KR20140120214A -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0214A
KR20140120214A KR1020130036046A KR20130036046A KR20140120214A KR 20140120214 A KR20140120214 A KR 20140120214A KR 1020130036046 A KR1020130036046 A KR 1020130036046A KR 20130036046 A KR20130036046 A KR 20130036046A KR 20140120214 A KR20140120214 A KR 20140120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post
terminal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6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석
추인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버즈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버즈미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버즈미디어
Priority to KR1020130036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0214A/ko
Publication of KR20140120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2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운영자가 특정한 하나의 특정인단말로부터 새로운 콘텐츠가 업로드되면, 업로드된 콘텐츠를 게시물로 등록하는 단계와; 복수의 사용자단말 중 게시물 제공을 요청한 사용자단말로, 등록된 게시물을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임의의 사용자단말로부터 새로운 콘텐츠가 업로드되면, 업로드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특정인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인과 다른 사용자들 사이의 1:N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게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본 발명은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영자측에서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인터넷 통신기술이 발전하면서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다양해 졌다. 특히 다양한 콘텐츠를 사용자들이 서로 교환하거나 공유하도록 하는 다양한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서비스들에서, 사용자들은 온라인을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개개인의 공간에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를 등록하여 다른 사용자들에게 공개하고, 다른 사용자들은 공개된 콘텐츠를 자유롭게 자신의 온라인 공간으로 복제하며, 복제된 콘텐츠를 다시 다른 사용자들이 열람하고 복제함으로써, 하나의 콘텐츠가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빠르고 넓게 전파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서비스들에서는, 모든 사용자들이 서로 소통하는 N:N의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짐에 따라, 특정 사용자와 관련되거나 특정 범주에 속하는 콘텐츠에 대한 집중도는 상대적으로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타인의 콘텐츠에 대한 열람 의사만 있고, 자신의 콘텐츠를 함께 공유하거나 자신의 콘텐츠를 공개할 의사가 없는 경우에도, 자신에게 할당된 온라인 공간을 관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다만,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습득한 기술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정인과 다른 사용자들 사이의 1:N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게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인에 의해 생성되거나 편집된 콘텐츠만을 게시물로 제공함으로써, 특정인과 관련된 콘텐츠에 대한 집중도를 높이고, 사용자들이 원치 않는 콘텐츠의 노출을 최소화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자신의 온라인 공간을 생성하거나 관리할 필요 없이, 타인의 콘텐츠를 열람하고 스크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은, 운영자가 특정한 하나의 특정인단말로부터 새로운 콘텐츠가 업로드되면, 업로드된 콘텐츠를 게시물로 등록하는 단계와; 등록된 게시물을 복수의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임의의 사용자단말로부터 새로운 콘텐츠가 업로드되면, 업로드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특정인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운영자가 특정한 하나의 특정인단말로부터 새로운 콘텐츠가 업로드되면, 업로드된 콘텐츠를 게시물로 등록하는 게시물관리부와; 복수의 사용자단말 중 임의의 사용자단말에서 게시물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게시물관리부에 등록된 게시물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게시물제공부; 그리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단말 중 임의의 사용자단말로부터 새로운 콘텐츠가 업로드되면, 업로드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특정인단말로 제공하는 메시지중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특정인과 다른 사용자들 사이의 1:N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게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특정인에 의해 생성되거나 편집된 콘텐츠만을 게시물로 제공함으로써, 특정인과 관련된 콘텐츠에 대한 집중도를 높이고, 사용자들이 원치 않는 콘텐츠의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자신의 온라인 공간을 생성하거나 관리할 필요 없이, 타인의 콘텐츠를 열람하고 스크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운영자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제공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제공 방법에서 특정인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방향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되어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어를 정의한다.
이하에서 ‘콘텐츠’는 온라인 상에 게시 가능한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데이터로서, 각각 하나의 단위로 구분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그리고 ‘게시물’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의해 온라인에 게시된 콘텐츠를 의미하며, 콘텐츠가 업로드된 시간이나 위치정보 등이 함께 연관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게시물’은 복수의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하게 게시되는 콘텐츠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한편 ‘메시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의해 온라인에 게시되는 콘텐츠로서, 특정한 하나의 사용자, 특히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운영자측에서 선정한 하나의 특정인에게만 제공 가능하게 게시되는 콘텐츠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그리고 이하에서 ‘사용자’는 1:N의 관계에서, N에 대응하는 일반 사용자들로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서비스 운영주체가 특정한 특정인을 제외한 나머지이고, 이하에서 ‘운영자’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운영주체가 특정한 특정인을 지시하고, 1:N의 관계에서 1에 대응하는 사용자를 의미한다.
또한 ‘사용자단말’은 위에서 정의한 ‘사용자’들에 대응하는 각각의 단말, ‘운영자단말’은 위에서 정의한 ‘운영자’에 대응하는 하나의 단말을 의미한다.
나아가 아래에서 ‘위치정보’는 각각의 단말의 위치를 특정 가능하게 하는 정보이며, ‘방향정보’는 임의의 사용자단말을 기준으로 ‘운영자단말’의 방향과 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네트워크(N)에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된다.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단말(200)과 운영자단말(300) 사이에서 N:1로 데이터 교환을 중개하는 서비스 제공자로서, 하나 이상의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200)과 운영자단말(300)은 네트워크(N)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단말(200)과 운영자단말(300)은 실시간성과 휴대성을 보장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200)은 네트워크(N)를 통해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으로부터 운영자단말(300)에서 작성된 게시물을 제공받는다. 또한 운영자단말(300)도 네트워크(N)를 통해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으로부터 사용자단말(200)에서 수신되는 메시지를 제공받는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과 사용자단말(200), 그리고 운영자단말(300)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운영자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먼저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게시물관리부(110)를 포함한다. 게시물관리부(110)는 게시물로 제공될 콘텐츠를 운영자단말(300)로부터 수신한다.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운영자단말(300)이 콘텐츠를 업로드하면, 업로드된 콘텐츠를 게시물로 등록하고, 콘텐츠가 업로드된 시간과 콘텐츠가 업로드될 때의 운영자단말(300)의 위치 등에 대한 정보를 함께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게시물관리부(110)는 게시물로 등록된 콘텐츠에 연관된 정보, 예를 들어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들의 평가 정보 등을 기록하고 갱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게시물제공부(120)를 포함한다. 게시물제공부(120)는 게시물관리부(110)가 관리하는 게시물을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게시물제공부(120)는 사용자단말(200)에서 게시물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게시물 제공을 요청한 사용자단말(200)로 하나 이상의 게시물을 전송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게시물제공부(120)는 후술할 레벨관리부(170)에 의해 각각의 사용자 또는 사용자단말로 할당되는 사용자 레벨에 기초하여, 게시물 제공을 요청한 사용자단말(200)의 사용자 레벨에서 열람 가능한 게시물만 선별하여 게시물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메시지중개부(130)를 포함한다. 메시지중개부(130)는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운영자단말(300)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사용자단말(200)에서 콘텐츠를 업로드하면, 업로드된 콘텐츠를 메시지로 구성하여 운영자단말(300)로 전달한다. 이때 메시지중개부(130)는 각각의 메시지를 운영자단말(300)로 제공함에 있어서, 운영자단말(300)로 푸시통지를 전송할 수도 있고, 또는 수신된 메시지들을 누적하여 두었다가 운영자단말(300)에서 메시지 열람 요청이 수신되었을 때 누적된 메시지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나아가 메시지중개부(130)는 운영자단말(300)의 메시지 수신 여부를 확인하여 메시지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업로드한 사용자단말(200)로 확인된 수신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에는 앨범관리부(140)가 포함될 수 있다. 앨범관리부(140)는 각각의 사용자 또는 사용자단말에 대한 앨범을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앨범은, 각각의 사용자 또는 사용자단말에 의해 스크랩 요청된 게시물에 포함된 콘텐츠들을 모아서 나열된 형태로 제공하는 콘텐츠 집합으로서, 임의의 사용자의 앨범은,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단말로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앨범은 사용자단말(200)에서만 생성되고 저장될 수도 있으며, 앨범관리부(140)는 사용자단말(200)의 분실이나 고장, 데이터 손실 등에 대비하여, 각 사용자의 앨범에 포함되는 콘텐츠들의 식별정보와 배열정보 등만을 따로 기록하여 둘 수도 있다.
나아가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에는 위치정보제공부(150)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위치정보제공부(150)는 운영자단말(30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받아 운영자단말(300)의 최신 위치를 주기적으로 갱신하고, 사용자단말(200)에서 운영자단말(300)의 위치정보를 요청하면, 운영자단말(300)의 최신 위치정보를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한다.
이때 위치정보제공부(150)가 운영자단말(300)의 위치정보를 갱신하는 주기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제공부(150)가 운영자단말(300)로 새로운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요청하여 위치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에는 사용자관리부(160)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사용자관리부(160)는 각각의 사용자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들의 계정을 관리하고,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등록 받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각 사용자의 국적이나 성별, 나이 등의 개인정보를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수신받고, 사용자의 레벨이나 사용자의 활동 내역 등을 기록하고 갱신할 수 있다.
나아가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레벨관리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레벨관리부(170)는 각각의 사용자의 서비스 내에서의 활동 이력을 누적하여 기록하고, 그에 따라 각각의 사용자에 대해 레벨을 부여하여 관리한다. 여기서 활동 이력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임의의 게시물에 대해 평가 정보를 입력하거나, 임의의 게시물을 스크랩하거나, 사용자가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게시물을 요청하는 등의 행위를 각각 사용자의 활동으로 인식하고 그 내역을 기록함으로써 관리된다. 그에 따라 레벨관리부(170)는 특정 사용자의 일정 기간 내의 게시물 스크랩 횟수, 평가 정보 입력 횟수, 접속 횟수 등을 누적 기록한 후, 이를 수치화하여 각각의 사용자에게 활동량에 따른 레벨을 부여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들은 활동량에 따라 서로 다른 레벨을 부여받을 수 있으며, 상술한 게시물관리부(110)는 임의의 게시물에 대해 사용자 레벨에 따라 접근 권한을 달리 설정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각각의 게시물을 제공받을 수 있는 사용자의 레벨을 게시물마다 미리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게시물제공부(120)는 이와 같이 설정된 레벨에 따라 임의의 사용자가 게시물 제공을 요청했을 때, 해당 사용자의 레벨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하게 설정된 게시물만 따로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200)에는 게시물수신부(210)가 포함된다. 게시물수신부(210)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으로부터 게시물을 수신한다. 사용자단말(200)에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과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하여, 전용 응용 프로그램이나 웹브라우저가 설치되며, 사용자가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웹브라우저를 통해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으로 접속 시도하면 게시물수신부(210)가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으로 게시물을 요청하여 게시물을 수신한다. 그리고 게시물수신부(210)는 수신된 게시물을 사용자단말(100)을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리고 사용자단말(100)에는 게시물평가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 게시물평가부(230)는 각각의 게시물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나 선호도, 공감도를 표현할 수 있도록 게시물 평가를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평가 데이터를 입력받으며, 입력된 평가 데이터를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으로 전달한다. 그에 따라 각각의 게시물에 대한 사용자들의 평가정보가 다시 게시물 일측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게시물 평가를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클릭이나 터치에 의해 선택됨으로써 평가지수를 증가시키는 하나 이상의 아이콘이 될 수 있다. 또는 둘 이상의 아이콘을 포함하되, 아이콘마다 서로 다른 종류의 평가지수를 증가시키도록 설정되고, 둘 이상의 아이콘이 택일적으로 선택되도록 설정되는 아이콘의 집합이 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각각의 게시물에 대해서 평가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고, 사용자단말(100)로부터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으로 각 게시물에 대한 평가 데이터가 수집되며,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의 게시물관리부(110)가 이와 같이 수집된 게시물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누적하여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단말(100)에는 메시지송신부(240)가 포함될 수 있다. 메시지송신부(240)는 사용자단말(100)의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을 통해 운영자단말(200)에 메시지로 송신한다. 이와 같이 메시지송신부(240)가 업로드하는 콘텐츠는 다른 사용자단말(100)에서는 노출되지 않고 운영자단말(200)에서만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송신부(240)는 사용자단말(100)에서 운영자단말(200)로의 메시지 전송 기록을 관리하고, 각각의 메시지에 대한 운영자단말(200)에서의 수신여부에 대한 정보를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의 메시지중개부(130)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단말(100)에 수신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단말(100)은 앨범저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앨범저장부(150)는 사용자단말(100)의 사용자가 스크랩한 게시물들을 사용자단말(100)에 저장하고, 앨범에 스크랩된 콘텐츠들을 나열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그에 따라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에 각 사용자에 대한 앨범이 저장되지 않더라도, 자신이 스크랩한 콘텐츠들을 모아서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방향정보연산부(260)는, 사용자로부터 운영자단말(300)과의 방향정보 요청이 수신되면, 우선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으로 운영자단말(300)의 위치정보를 요청한다. 그리고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으로부터 운영자단말(300)의 최신 위치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위치정보와 사용자단말(100)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두 단말 사이의 거리와, 사용자단말(100)의 위치를 기준으로 한 운영자단말(300)의 위치의 상대적인 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향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방향정보연산부(260)는 연산된 방향 정보를 표시함에 있어서, 예를 들어 나침반과 같이 운영자단말(300)을 향하는 방향 지시 바늘을 화상출력 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단말(100)에는 사용자단말(100)이 회전하더라도 방향 지시 바늘은 일정하게 운영자단말(300)을 향하도록 하기 위하여, 자기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방향정보연산부(260)는 방향 정보를 표시할 때, 자기센서가 감지하는 지자기장의 방향을 기준으로 사용자단말(100)의 회전을 감지하여, 사용자단말(100)이 어떤 방향을 향해 배열되더라도 운영자단말(300)의 위치를 향하도록 방향 지시 바늘을 배열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운영자단말(3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영자단말(300)에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과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하여, 운영자에 특화된 전용 응용 프로그램이나 웹브라우저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운영자단말(300)은 위와 같은 응용 프로그램이나 운영자 계정으로 세션 연결된 웹브라우저를 통해, 운영자가 게시물을 작성하여 업로드하거나, 사용자들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한다.
먼저 운영자단말(300)에는 게시물작성부(310)가 구비된다. 게시물작성부(310)는 운영자단말(300)에서 운영자가 미리 저장된 콘텐츠를 선택하거나, 또는 새로운 콘텐츠를 생성하거나, 이들을 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운영자로부터 새로운 게시물로 구성될 콘텐츠를 입력 받는다.
또한 게시물작성부(310)는 미리 정해진 시점에 게시물 업로드 요청을 운영자에게 통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루에 2회에 걸쳐 게시물 업로드를 요청하는 통지를 오디오나 텍스트, 진동 등으로 운영자에게 통지하여 운영자가 주기적인 콘텐츠를 생성하여 게시물로 등록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위와 같이 게시물작성부(310)에 의해 작성된 게시물은 게시물송수신부(320)를 통해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으로 전달되며, 그에 따라 복수의 사용자단말(100)로 전달된 게시물이 송신된다.
또한 운영자단말(300)에는 메시지수신부(330)가 포함된다. 메시지수신부(330)는 사용자단말(100)에서 업로드된 콘텐츠로 구성되는 메시지를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을 통해 수신하여 운영자에게 제공한다. 메시지수신부(330)는 읽기 전 메시지와, 읽은 후 메시지를 구분하거나, 메시지를 송신한 사용자단말(100)의 사용자의 국적 등을 기준으로 메시지를 구분하여 운영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운영자단말(300)은 위치정보송신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정보송신부(340)는 운영자단말(300)의 위치를 감지하여, 감지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치정보송신부(340)는 미리 주기적으로 위치정보를 획득하도록 프로그래밍되거나,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으로부터의 주기적인 위치정보 제공 요청에 기초하여, 운영자단말(300) 사용자에게 위치정보 획득 여부에 대해 동의를 받고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제공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제공 방법에서 운영자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방향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제공 방법을 하나의 게시물에 대하여 단계적으로 살펴보면, 운영자단말(300)로부터 게시물에 포함될 콘텐츠가 업로드되는 단계(S310)로부터 시작된다.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업로드된 콘텐츠를 게시물로 등록하고(S110), 등록된 게시물을 사용자단말(200)과 운영자단말(300)로 제공한다(S120).
물론 이때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등록된 게시물 중에서 임의의 사용자단말(200)의 사용자 레벨로 접근할 수 없도록 설정된 게시물이 있으면, 해당 게시물을 제외하고 나머지 게시물을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이에 따라 사용자단말(200)에서는 게시물이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S210).
이와 같이 제공된 게시물에 대하여 사용자단말(200)에서 평가정보가 입력되면(S220), 사용자단말(200)은 입력된 평가정보를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으로 전달한다(S230).
그에 따라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해당 게시물의 평가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고(S130), 다시 사용자단말(200)과 운영자단말(300)로 평가정보가 갱신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S140).
한편 다시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제공된 게시물에 대한 스크랩 요청이 있으면(S240), 사용자단말(200)은 사용자단말(200)에 저장된 앨범에 스크랩된 게시물에 포함되는 콘텐츠를 배열하여 등록하고 저장한다(S260).
또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도 사용자단말(200)에서 스크랩된 게시물에 대한 정보를 각 사용자에 대하여 구분하여 기록함으로써, 사용자단말(200) 내에 저장된 앨범의 데이터가 유실되더라도 복원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제공 방법에서, 운영자에 대한 콘텐츠 중 하나로서, 운영자와 사용자 사이의 방향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운영자단말(300)에서 운영자단말(300)의 위치정보를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으로 전달하는 단계(S350)가 수행된다.
그에 따라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운영자의 위치정보를 새로 수신된 위치정보로 갱신한다(S150).
그리고 사용자단말(200)에서 운영자의 방향정보가 요청되면(S270), 사용자단말(200)은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으로 운영자의 최신 위치정보를 요청한다(S280).
그에 대응하여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이 요청된 위치정보를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하면(S160), 제공된 위치정보를 수신한 사용자단말(200)은 이를 사용자단말(200)의 위치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를 중심으로 한 운영자의 방향 정보를 연산한다(S130).
그리고 사용자단말(200)은 연산된 방향 정보를 표시한다(S150).
한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주기적으로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에 운영자단말(300)로 위치정보의 갱신을 요청하여(S170), 운영자의 위치정보를 갱신하는 과정을 반복하고, 운영자단말(300)도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의 요청에 따라 또는 운영자단말(300) 스스로 미리 정해진 시간이나 주기에 맞춰 운영자단말(300)의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으로 전달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운영자와 관련된 상품에 대한 콘텐츠를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단말(200)이 선택한 상품을 온라인 판매할 수 있다. 온라인 판매된 상품은 사용자단말(200)의 사용자의 주소 또는 미리 등록된 운영자의 주소로 배송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운영자의 주소 정보가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또는 사용자가 배송 대상을 특별히 선택하지 않는 경우, 배송 대상을 운영자로 자동으로 지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복수의 사용자단말(200)에 대응하는 각각의 사용자들이 친구관계 또는 그룹을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친구관계를 형성하거나 또는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들이 공동의 사용자 앨범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거나, 공동의 사용자가 하나의 상품에 대해 상품 가액을 나누어 결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친구관계를 형성하거나 또는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들에 대해 통일된 사용자 레벨을 부여하여, 그룹에 특정 사용자 레벨이 부여되면, 그룹에 속한 모든 사용자가 해당 그룹의 사용자 레벨과 동일한 사용자 레벨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친구관계나 그룹에 속한 각각의 사용자들의 개별적인 활동이 모두 해당 친구관계나 그룹의 활동으로 기록되도록 하여 공동으로 친구관계나 그룹의 사용자 레벨을 증가시키는데 기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이벤트를 진행하여 사용자들에게 각종 리워드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시점에 운영자와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사용자를 당첨자로 결정하여 리워드를 제공하거나 게시물에 최초로 평가정보를 입력한 사용자를 당첨자로 결정하는 등, 각종 이벤트를 진행하고 그에 따른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리워드는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각종 혜택 중 무엇이라도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활동지수가 될 수도 있고, 운영자와 관련된 비공개 콘텐츠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콘텐츠 제공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와 운영자, 즉 운영주체가 미리 지정한 특정인 사이의 N:1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게 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과 특정인이 마치 1:1의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것으로 느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게시물의 등록권한은 운영자에게만 부여하고, 일반 사용자들은 해당 게시물에 대한 호감도를 표시하거나 게시물을 저장하도록 하는 소극적인 행위만을 가능하게 하여, 운영자가 등록한 게시물에 다른 모든 사용자들이 집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일반 사용자가 등록하는 콘텐츠는 다른 사용자들에게는 노출되지 않고 운영자에게만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다른 사용자가 원치 않는 콘텐츠를 열람하고 그 안에서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를 따로 검색하지 않도록 하고, 운영자의 입장에서는 사용자들의 콘텐츠를 모두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운영자에게는 주기적으로 콘텐츠를 업로드하도록 유도하여 운영자의 콘텐츠를 소비하는 사용자들의 서비스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이로써, 예를 들어, 스타와 팬 사이에서, 스타의 단말을 상술한 운영자단말(300)로 설정하고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과 데이터를 교환하는 운영자용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팬들이 자신의 사용자단말(200)에 사용자용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하도록 하는 경우, 팬에 해당하는 사용자들이 원하는 스타의 검증된 콘텐츠만을 집중하여 제공하되, 스타와 팬 개개의 관계에서는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스타가 자신의 사진이나, 자신이 쓴 글, 자신의 음성 등을 지속적으로 팬들에게 제공하여 팬 관리를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그에 대한 팬들의 평가나 메시지를 수신하여 피드백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스타가 자신의 위치정보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하고, 팬들에게는 이에 기초하여 스타의 방향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스타의 존재에 대한 현실감을 팬들이 보다 쉽게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팬들을 그룹핑하여, 각 그룹들이 서로 팬 활동에 대해 경쟁하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들의 레벨에 따라 스타의 콘텐츠가 선택적으로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스타의 콘텐츠를 보기 위한 팬들의 활동을 보다 왕성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스타와 관련된 상품을 판매하거나, 판매된 상품을 스타에게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수익을 창출할 수도 있다.
도5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채팅키패드제공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매체는 컴퓨터 저장매체 및 통신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명령어, 데이터구조, 프로그램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명령어, 데이터구조, 프로그램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신호의 기타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전달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4)

  1.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되고,
    운영자가 특정한 하나의 특정인단말로부터 새로운 콘텐츠가 업로드되면, 업로드된 콘텐츠를 게시물로 등록하는 단계와;
    복수의 사용자단말 중 게시물 제공을 요청한 사용자단말로, 등록된 게시물을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임의의 사용자단말로부터 새로운 콘텐츠가 업로드되면, 업로드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특정인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시물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등록된 콘텐츠에 대한 푸시메시지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시물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게시물 제공을 요청한 사용자단말의 콘텐츠 접근 권한을 확인하는 단계와;
    확인된 콘텐츠 접근 권한에 따라, 상기 게시물 제공을 요청한 사용자단말이 접근 가능한 콘텐츠만을 게시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방법은,
    임의의 사용자단말로부터 게시물에 대한 스크랩 요청이 수신되면, 스크랩 요청한 사용자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 앨범에 스크랩 요청된 게시물에 포함된 콘텐츠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방법은,
    주기적으로 상기 특정인단말로 위치정보 갱신 요청을 송신하여, 상기 특정인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임의의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특정인단말의 위치정보가 요청되면, 위치정보를 요청한 사용자단말로 상기 특정인단말의 최신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위치정보를 요청한 사용자단말의 위치정보 이용가능횟수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이용가능횟수가 1이상이면, 이용가능횟수를 1차감하면서 상기 특정인단말의 최신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복수의 사용자단말에 대응하는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각각의 사용자의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대한 활동량을 기록하여 사용자 레벨을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접근 권한을 확인하는 단계는,
    각각의 사용자에게 부여된 사용자 레벨에 따라 상기 콘텐츠 접근 권한의 존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8. 운영자가 특정한 하나의 특정인단말로부터 새로운 콘텐츠가 업로드되면, 업로드된 콘텐츠를 게시물로 등록하는 게시물관리부와;
    복수의 사용자단말 중 임의의 사용자단말에서 게시물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게시물관리부에 등록된 게시물 중 적어도 일부를, 게시물 제공을 요청한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게시물제공부; 그리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단말 중 임의의 사용자단말로부터 새로운 콘텐츠가 업로드되면, 업로드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특정인단말로 제공하는 메시지중개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게시물제공부는,
    상기 등록된 콘텐츠에 대한 푸시메시지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게시물제공부는,
    상기 게시물 제공을 요청한 사용자단말의 콘텐츠 접근 권한을 확인하고, 확인된 콘텐츠 접근 권한에 따라, 상기 게시물 제공을 요청한 사용자단말이 접근 가능한 콘텐츠만을 게시물로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임의의 사용자단말로부터 게시물에 대한 스크랩 요청이 수신되면, 스크랩 요청한 사용자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 앨범에 스크랩 요청된 게시물에 포함된 콘텐츠를 등록하는 앨범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주기적으로 상기 특정인단말로 위치정보 갱신 요청을 송신하여, 상기 특정인단말의 위치정보를 갱신하고, 임의의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특정인단말의 위치정보가 요청되면, 위치정보를 요청한 사용자단말로 상기 특정인단말의 최신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위치정보제공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제공부는,
    위치정보를 요청한 사용자단말의 위치정보 이용가능횟수를 확인하고, 이용가능횟수가 1이상이면, 이용가능횟수를 1차감하면서 상기 특정인단말의 최신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사용자단말에 대응하는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각각의 사용자의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대한 활동량을 누적하여 사용자 레벨을 부여하는 레벨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접근 권한은,
    각각의 사용자에게 부여된 사용자 레벨에 따라 결정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1020130036046A 2013-04-02 2013-04-02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202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046A KR20140120214A (ko) 2013-04-02 2013-04-02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046A KR20140120214A (ko) 2013-04-02 2013-04-02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214A true KR20140120214A (ko) 2014-10-13

Family

ID=51992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6046A KR20140120214A (ko) 2013-04-02 2013-04-02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02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1581A (ko) 2015-05-08 2016-11-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셀 환경 기반 콘텐츠 공유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1581A (ko) 2015-05-08 2016-11-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셀 환경 기반 콘텐츠 공유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09631A1 (en) Social-referral network methods and apparatus
KR101895536B1 (ko) 어플리케이션 사용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추천 서버 및 단말,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추천 방법
US20200014744A1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Creating, Managing, and Delivery of Feed Formatted Content
CN107093097B (zh) 在社交网络中传播促销信息
US20220222626A1 (en) Social-referral network methods and apparatus
US2011005501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mantic based advertising on social networking platforms
US20150149544A1 (en) Channel-based management of calendar data
WO2014047425A1 (en) Timestamped commentary system for video content
CN105144134A (zh) 媒体共享通信系统
WO20140186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moting items within a location-based service
KR20150090192A (ko) 소셜 네트워킹 시스템 내 영향력 결정
US20140229289A1 (en) Enhanced shared screen experiences for concurrent users
KR20180019653A (ko) 소셜 네트워킹 시스템 자원을 위한 콜 투 액션을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230186339A1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Personal Information with Web Sites
US20140316832A1 (en) Recruiting Management System
KR20120102919A (ko) 위치 기반 광고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9565224B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a customized user interface based on user actions
CN108463819B (zh) 使用智能终端的基于数字串的实时信息分发系统以及信息分发方法
KR101624917B1 (ko) 퀘스트제공방법 및 시스템
US10963921B2 (en) Presenting content to an online system user assigned to a stage of a classification scheme and determining a value associated with an advancement of the user to a succeeding stage
KR20140120214A (ko)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190034979A1 (en) Systems, methods, and applications for social media advertisement and marketing management
KR102628880B1 (ko) 와이파이를 활용한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JP6086012B2 (ja) 電子チラシ配信装置、電子チラシ配信システム、電子チラシ配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483275B1 (en) Challenge interface and access controls for social network challen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