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3225B1 - 송수화기에 대한 음향 통로 - Google Patents

송수화기에 대한 음향 통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3225B1
KR101623225B1 KR1020117011285A KR20117011285A KR101623225B1 KR 101623225 B1 KR101623225 B1 KR 101623225B1 KR 1020117011285 A KR1020117011285 A KR 1020117011285A KR 20117011285 A KR20117011285 A KR 20117011285A KR 101623225 B1 KR101623225 B1 KR 101623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set
hands
speaker
cutout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1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4007A (ko
Inventor
윌리암 지. 베르데인
스티븐 지. 리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filed Critical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10094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4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04M1/035Improving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by means of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housing, e.g. ribs, walls, resonating chambers or cav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2Constructional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송수화기 아래에 배열된 핸즈프리 동작 스피커로부터 전달되는 소리에 대한 음향 통로가 전화기 송수화기에 제공된다. 송수화기의 중간 부분에 있는 직사각형, 원형, 타원형 및 기타 등의 다양한 형상의 하나 이상의 컷아웃(cutout)은 스피커폰 기능이 사용될 때의 향상된 소리 품질 및 송수화기 설계의 유연성을 가능하게 해준다.

Description

송수화기에 대한 음향 통로{ACOUSTIC PASS THROUGH FOR HANDSETS}
원격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전화기 장치의 기본 형상 및 설계는 지난 수십년에 걸쳐 거의 변하지 않았다. 디스플레이, 특수 기능 버튼, 및 비슷한 부가물 등의 부가적인 특징이 본체부(base unit)에 포함되어 있지만, 통상적으로 한 가장자리를 따라 본체부 상에 놓여 있는 송수화기는 그의 초기 외형을 유지하고 있다.
스피커폰 기능을 통한 핸즈프리 동작은 얼마간 가정 및 사무실 전화기의 근간이 되어 왔다. 좁은 전화기 면적에서 핸즈프리 스피커폰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스피커폰 스피커는 통상 송수화기의 본체 아래에 놓이게 되며, 이는 송수화기 본체의 중간 부분이 좁고 곡면이어서 전화기의 본체부 내의 스피커로부터 상당히 떨어져 있을 것을 필요로 한다. 이것은 산업적 설계 선택에 상당한 제한을 야기한다. 직사각형의 각진 설계를 가지는 송수화기는 어쩔 수 없이 보다 넓은 본체부 및 핸즈프리 스피커를 송수화기의 측면에 배치할 것을 필요로 한다. 종래의 송수화기 설계에 대한 다른 변형은 종종 전화기의 나머지 부분의 산업적 설계와 시각적 충돌을 야기한다.
이 요약은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에 더 기술되는 일련의 개념을 간략화된 형태로 소개하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이 요약은 전적으로 청구된 발명 대상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인 특징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청구된 발명 대상의 범위를 정하는 데 보조 수단으로 사용되기 위한 것도 아니다.
실시예는 전화기 송수화기에 송수화기 아래에 배열된 스피커로부터 전달되는 소리에 대한 음향 통로(acoustic pass through)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송수화기의 중간 부분에 있는 직사각형, 원형, 타원형 및 기타 다양한 형상의 컷아웃(cutout)은 스피커폰 기능이 사용될 때의 향상된 소리 품질 및 송수화기 설계의 유연성을 가능하게 해준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큰 컷아웃 대신에 다양한 형상의 다수의 컷아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특징 및 이점이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어보고 또 관련 도면을 살펴보면 명백하게 될 것이다. 이상의 개괄적인 설명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 둘다가 설명을 위한 것이며 청구된 측면들을 제한하는 것이 아님을 잘 알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base unit) 및 음향 통로(acoustic pass through)를 포함하는 송수화기(handset)를 가지는 전화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송수화기가 스피커폰 스피커 위에 놓여 있는 도 1의 전화기의 평면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통로를 포함하는 다른 송수화기 배치를 가지는 또 하나의 전화기의 평면도.
도 4는 음향 통로를 갖지 않는 본체부 상의 종래의 송수화기의 측면도.
도 5는 음향 통로의 존재에 의해 가능하게 되는 설계 유연성을 나타내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통로를 갖는 송수화기의 측면도.
도 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2개의 예시적인 송수화기 설계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2개의 추가의 예시적인 송수화기 설계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예시적인 컷아웃(cutout)의 측면도.
도 9는 다양한 내부벽 각도 및 형상을 가지는 2개의 예시적인 컷아웃 세트(cutout set)의 측면도.
앞서 간략히 기술한 바와 같이, 송수화기의 중간 부분에 있는 하나 또는 다수의 컷아웃 형태의 음향 통로는 전화기 본체부의 핸즈프리 동작(hands free operation)에 대해 향상된 음향 성능을 제공하고 송수화기 및 본체부 설계에서의 유연성을 가능하게 해주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고 특정의 실시예 또는 일례가 예시로서 도시되어 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본 개시 내용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들 측면이 결합될 수 있고, 다른 측면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구조적 변경이 행해질 수 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따라서 제한적인 의미로 보아서는 안되며, 실시예의 범위가 첨부된 청구항 및 그의 등가물에 의해 한정된다.
실시예가 일반적으로 송수화기 및 본체부를 포함하는 전화기 장치와 관련하여 기술될 것이지만, 본 개시 내용이 종래의 전화기 장치로 제한되지 않고, 본체부 및 송수화기를 포함할 수 있는 임의의 통신 장치가 본체부의 스피커 상에 배치된다.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최신의 통신 기술을 이용하는 장치의 일례가 이하에 제공되어 있다.
송수화기에 있는 하나 또는 다수의 컷아웃 형태의 음향 통로는 수동으로 또는 컴퓨터 설계 프로그램(computerized design program)의 도움을 받아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모듈 등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은 특정의 작업을 수행하거나 특정의 추상 데이터 형식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그램, 구성요소, 데이터 구조, 및 기타 유형의 구조체를 포함한다. 더욱이, 이러한 설계 보조 수단은 핸드헬드 장치,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 또는 프로그램가능 가전 제품, 미니컴퓨터, 메인 프레임 컴퓨터, 및 비슷한 컴퓨팅 장치를 비롯한 기타 컴퓨터 시스템 구성에서 실시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 및 음향 통로를 포함하는 송수화기를 가지는 전화기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각종의 진보된 통신 기술을 용이하게 해주는 실시예가 통신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기술의 일례는 음성 전화, 비디오 전화, 인스턴트 메시징, 데이터 교환, 및 유사한 기술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들 기술을 용이하게 해주는 통신 장치는, 용이하게 되는 통신 기술(들)에 따라, 디스플레이, 특수 버튼, 기타 등등의 특정의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본 전화기는 본체부(112) 및 송수화기(102)를 포함한다. 송수화기(102)는 유선 또는 무선 수단을 통해 본체부(112)에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108)은 유선 연결의 일례이다. 많은 전화기가 핸즈프리 동작의 일부로서 스피커(114)를 포함한다. 대부분의 전화기 설계에서, 송수화기가 본체부(112) 상에 올려져 있을 때, 스피커(114)는 전화기의 한쪽을 따라 송수화기(102) 아래에 위치된다. 이것은 2가지 주요 과제를 제시하는데, 첫째로 송수화기(102)가 스피커(114) 위에 존재하는 것에 의해 핸즈프리 동작에서의 소리의 품질이 열화되고, 둘째로 스피커(114)로부터의 음향 전달에 대응하기 위해 송수화기(102)의 설계가 제한된다.
송수화기(102)는 그 하부 부분에 마이크(106)를 포함하고 그 상부 부분에 보통의 송수화기 스피커(104)를 포함한다. 보통의 송수화기 스피커(104)는 귀에 가까운 전달을 위한 것이고, 그것의 소리 레벨은 스피커(114)의 레벨보다 상당히 낮다. 도면에 도시된 송수화기(102)는 스피커폰에서 선호되는 고전적인 송수화기 형상을 가진다. 송수화기의 중간 부분은 하부 부분 및 상부 부분보다 좁고, 본체부(112) 상에 배치될 때, 핸즈프리 동작 스피커(114)로부터의 향상된 음향 전달을 가능하게 해주기 위해 중간 부분이 높여져 있다.
고전적인 형상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송수화기(102)는 핸즈프리 동작 스피커(114)에 대한 음향 통로(110)로서 역할하는 컷아웃을 그의 중간 부분에 포함한다. 음향 통로(110)는 직사각형, 원형, 타원형, 기타 등등의 각종의 형상 - 몇몇 일례에 대해 이하에서 기술함 - 을 가질 수 있다. 음향 통로(110)의 주요 목적은 송수화기가 본체부의 스피커 상에 위치될 때 핸즈프리 동작 스피커(114)로부터의 음파(sound wave)의 향상된 전달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다. 이것으로 인해 또한 송수화기 설계의 유연성이 향상되는데, 그 이유는 송수화기(102)의 중간 부분이 더 이상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보다 좁게 또는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과 비교하여 높여져 설계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도 2는 송수화기가 스피커폰 스피커 위에 놓여 있는 도 1의 전화기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많은 가정 또는 사무실 전화기에서와 같이, 본체부(112)에 있는 핸즈프리 동작 스피커(114)는 송수화기의 중간 부분 근방에서 송수화기(102) 아래에 위치한다. 그렇지만, 종래의 전화기와 달리, 송수화기(102)는 스피커(114)가 송수화기의 중간 부분을 통해 방해를 받지 않고 음파를 전달할 수 있게 해주는 음향 통로(110)를 포함한다.
전화기의 본체부(112)는 또한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다이얼 버튼(120), 특수 기능 버튼(118) 및 디스플레이(116) 등의 부가 요소를 포함한다.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실시예를 구현하는 원격 통신 장치는, 인스턴트 메시징 등의 음성 전화, 비디오 전화 등에 부가하여, 다른 통신 방법을 용이하게 해줄 수 있다. 디스플레이(116) 등의 부가 요소는 다른 통신 방법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음성 전화를 보충할 수 있다(예를 들어, 발신자 번호, 날짜 및 시간, 및 유사 정보의 표시).
원격 통신 장치의 특정의 구성요소 및 유형이 이상에서 기술되어 있지만, 이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실시예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원리를 사용하여 실시예에 따라 송수화기에 음향 통로를 구현하는 데 많은 다른 하드웨어 환경, 구성요소, 및 장치 유형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통로를 포함하는 다른 송수화기 배치를 가지는 또 하나의 전화기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통상적인 전화기 장치에서는 본체부의 우측 또는 좌측을 따라 송수화기가 배치되어 있지만(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됨), 송수화기(102) 또는 본체부(112)의 다른 요소의 위치가 이들 2 곳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2)는 디스플레이(116), 특수 버튼(118), 및 DTMF 다이얼 버튼(120)을 하부 부분에 포함할 수 있으며, 핸즈프리 동작 스피커(114)는 본체부의 상부 부분에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송수화기(102)는 본체부(112)의 상부측을 따라 수평으로 놓여 있을 수 있으며, 그의 음향 통로(110)가 스피커(114) 상에 있다. 물론,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원리를 사용하여, 송수화기(102), 핸즈프리 동작 스피커, 및 본체부의 다른 요소의 많은 다른 배치가 가능하다.
도 4는 음향 통로를 갖지 않는 본체부 상의 종래의 송수화기의 측단면도이다. 간단함을 위해, 본체부(412)의 다이얼 버튼 등의 요소 및 하부 부분이 도 4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핸즈프리 동작 스피커의 표면이 참조 번호(414)로 나타내어져 있다.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전화기가 핸즈프리 모드에 있을 때 음파의 가청 전달(audible transmission)을 위해 핸즈프리 동작 스피커의 표면(414) 상에 최소량의 공간(426)이 필요하다. 따라서, 송수화기(402)는 중간 부분(424)이 송수화기의 마이크 및 스피커를 각각 수용하고 있는 송수화기의 하부 부분 및 상부 부분과 비교하여 높여질 수 있게 해주는 곡률로 설계되어야만 한다.
핸즈프리 동작 스피커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종래의 송수화기의 다른 측면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통상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단면 평면에 수직인 평면에서, 송수화기(402)의 중간 부분(424)이 또한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보다 좁게 설계된다. 이들 제한으로 인해, 송수화기 및 본체부에 추가 제한이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진보된 통신 기술 또는 심지어 음성 전화 자체와 연관된 버튼 또는 소형 디스플레이 등의 요소가 형상 제한으로 인해 송수화기의 배면측에 쉽게 설계되지 않을 수 있다.
더욱이, 최신의 전화기 장치에서 이용되는 오디오 대역폭은 기존의 전화기(예를 들어, 0 - 8 kHz를 사용하는 광대역 오디오 전화 또는 0 - 4 kHz를 사용하는 협대역 오디오 전화)보다 더 넓을 수 있다. 전술한 대책에도 불구하고, 스피커의 전달 경로에 있는 물리적 장애물인 것으로 인해, 송수화기의 본체가 핸즈프리 동작 스피커로부터의 소리의 품질을 열화시킬 수 있다. 이 열화는 사용되는 대역, 송수화기의 형상, 및 송수화기와 스피커 간의 거리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도 5는 음향 통로의 존재에 의해 가능하게 되는 설계 유연성을 나타내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통로를 갖는 송수화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4의 종래의 송수화기와 도 5의 송수화기 간의 2가지 시각적 차이점은 송수화기의 두께 및 도 5의 전화기에서 송수화기와 본체부의 표면 사이에 공간이 없다는 것이다.
도 5의 송수화기(502)의 음향 통로(110)는 핸즈프리 동작 스피커(114)로부터의 음파가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해주며, 그로써 송수화기가 스피커에 대한 장애물로서 역할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없애준다. 이것으로 인해, 차례로 송수화기(502)의 중간 부분을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보다 좁게 또는 송수화기(502)의 중간 부분과 본체부(512)의 표면 간의 공간을 위해 곡률을 갖도록 설계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송수화기가 참조 번호(528)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올려져 있을 때 송수화기의 표면과 본체부의 표면이 서로 닿을 수 있다.
송수화기(502)의 음향 통로(110)는 송수화기의 위치에 상관없이 향상된 효율로 임의의 오디오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게다가, 송수화기 형상에 대한 제한을 없앰으로써 보다 가볍고 얇은 송수화기 설계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이얼 버튼, 특수 기능 버튼, 또는 심지어 소형 디스플레이 등의 부가 요소가 송수화기의 배면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송수화기의 레이아웃이 설계될 수 있으며, 그로써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송수화기가 보다 편평하고 넓게 설계될 수 있다.
음향 통로(110)의 형상, 위치, 유형 및 송수화기(502)의 하우징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재료가 여전히 핸즈프리 동작 스피커의 소리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송수화기에서 컷아웃의 형상, 위치, 유형은 물론 벽 형상(wall-shape)도 특정의 송수화기 유형(예를 들어, 송수화기의 전체 크기 및 형상, 송수화기 상의 부가 요소의 존재, 및 기타 설계 고려사항)에 대해 최적의 소리 품질을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실시예를 구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컷아웃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2개의 예시적인 송수화기 설계를 나타낸 것이다. 송수화기(632-1)는 핸즈프리 동작 스피커에 대한 음향 통로로서 복수의 원형 형상의 컷아웃(634)을 포함하고 있다. 송수화기의 크기, 스피커의 크기, 스피커의 오디오 대역폭은 물론 기타 설계 고려사항에 따라, 컷아웃(634)의 개수, 형상, 및 크기가 조정될 수 있다. 각각의 개별 컷아웃의 형상이 원형 이외의 것일 수 있다. 더욱이, 컷아웃이 균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을 필요가 없다. 음향 통로가 달성되는 한, 동일한 송수화기 상에서 컷아웃의 형상 및 크기도 역시 다를 수 있다.
도 6의 송수화기(632-2)는 단일 피스(single piece)의 음향 통로 컷아웃(636)을 나타낸 것이다. 컷아웃은 둥근 코너를 가진 직사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다시 말하지만, 최적의 음향 통로 및 송수화기 설계 고려사항에 대응하기 위해 코너의 크기, 형상(짧은 쪽에 대한 긴 쪽의 비) 및 둥근 반경(rounding radius)이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컷아웃은 송수화기 설계 및 핸즈프리 동작 스피커 크기/형상에 따라 다소 길쭉한(oblong) 원형, 타원형, 정사각형 또는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2개의 추가의 예시적인 송수화기 설계를 나타낸 것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음향 통로에 대한 하나의 큰 컷아웃 대신에 복수의 컷아웃이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송수화기(732-1)는 장축이 송수화기의 단축을 따라 있는 4개의 직사각형 형상의 컷아웃(738)을 포함한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각각의 컷아웃의 크기 및 형상이 설계 고려사항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송수화기(732-2)는 송수화기의 장축을 따라 배열된 직사각형 컷아웃(740)을 포함한다.
컷아웃의 크기, 형상 및 유형에 대해 이상에서 기술하였지만, 음향 통로 컷아웃은 3차원 구조이다. 따라서, 컷아웃의 제3 차원(컷아웃의 깊이)의 형상이 또한 컷아웃의 음향 통로 속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간단한 방식은 컷아웃 평면에 수직인 직선 벽일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어진 컷아웃 형상에 대한 음향 통로를 향상시키기 위해 다른 형상 및 각도도 이용될 수 있다.
도 8은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예시적인 컷아웃(cutout)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음향 통로 컷아웃 설계에 대한 기본적인 방식은 예시적인 컷아웃(810-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컷아웃의 개구 평면(opening plane)(852)에 수직하는 직선 내부 벽(straight inner wall)(854)일 수 있다. 이 결과 직사각형 3 차원 단면이 얻어진다.
다른 예시적인 컷아웃 벽은 컷아웃(810-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핸즈프리 동작 스피커(856)로부터 먼쪽의 송수화기의 측면 상에 개구가 커지게 하는 곡면 내부 벽(curved inner wall)(858)을 포함한다. 추가의 예시적인 형상은 컷아웃(810-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컷아웃의 하부 개구 평면(861)과 상부 개구 평면(862) 사이의 완전 곡면 내부 벽(fully curved inner wall)(864)이다. 컷아웃의 내부 벽은 컷아웃의 모든 가장자리를 따라 대칭이거나 동일한 유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컷아웃의 각각의 내부 벽은 개구 평면(들)에 대해 상이한 형상 또는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내부벽 각도 및 형상을 가지는 2개의 예시적인 컷아웃 세트(cutout set)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예시적인 컷아웃(97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 평면(971, 972)에 대해 다양한 각도로 내부 벽(974)을 가지는 컷아웃이 설계될 수 있다. 이것은 전달되는 음파에 대한 채널링 효과(channeling effect)를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컷아웃(970-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 평면(976, 977)에 대해 가변적인 각도를 가지는 곡면 내부 벽(978)을 사용하여 유사한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유의할 점은, 컷 아웃의 내부 벽 형상 및 각도와 개구 평면 형상 및 크기도 본 명세서에 설명된 예시것인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음향 통로 컷아웃은 전술한 원리를 사용하여 임의의 형상, 각도 및 유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가 각종의 방법을 통해 설계 및 제조될 수 있다. 이들 방법은 본 문서에 기술된 구조를 비롯한 임의의 수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가지 이러한 방식은 다양한 종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하드웨어를 결합한 기계 동작에 의한 것이다.
다른 선택적인 방식은 방법의 개별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의 동작이 한명 이상의 사람 조작자가 일부를 수행하는 것과 관련하여 수행되는 것이다. 이들 사람 조작자는 서로 동일한 위치에 있을 필요가 없으며, 각각이 프로그램의 일부분을 수행하는 기계하고만 있을 수 있다.
이상의 명세서, 일례 및 데이터는 실시예의 조성물의 제조 및 사용의 완전한 설명을 제공한다. 발명 대상이 구조적 특징 및/또는 방법적 동작과 관련하여 기술되어 있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정의된 발명 대상이 이상에서 기술한 특정의 특징 또는 동작으로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오히려, 이상에서 기술한 특정의 특징 및 동작은 청구항 및 실시예를 구현하는 예시적인 형태로서 개시되어 있다.

Claims (20)

  1. 원격 통신 장치로서,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본체부(base unit) - 상기 본체부는 핸즈 프리 동작을 위한 핸즈프리 동작 스피커(hands free operation speaker)를 구비함 -, 및
    상기 본체부에 연결된 송수화기(handset) - 상기 송수화기는 사용되지 않을 때 상기 핸즈프리 동작 스피커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하며,
    상기 송수화기는,
    마이크를 탑재한 하부 부분,
    스피커를 탑재한 상부 부분, 및
    상기 송수화기가 상기 핸즈프리 동작 스피커 상에 위치할 경우 상기 핸즈프리 동작 스피커와 겹치는 곳(overlapping)에 컷아웃(cutout)을 가지는 중간 부분 - 상기 컷아웃은 상기 핸즈프리 동작 스피커로부터 멀어질수록 더 넓은 개구(opening)를 갖고, 상기 컷아웃은 개구 평면(opening plane)에 대해 다양한 각도를 가지는 내부벽을 갖는 복수의 개구부(apertures)를 포함함 - 을 갖는
    원격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컷아웃은 입체(solid)인
    원격 통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컷아웃은 직사각형 형상, 원형 형상, 타원형 형상, 및 다각형 형상의 집합 중 하나를 포함하는
    원격 통신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컷아웃의 내부 벽은 직선 형상, 볼록 형상, 오목 형상, 및 가늘어지는 형상(tapered shape)의 집합 중 하나를 포함하는
    원격 통신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컷아웃의 파라미터(parameter)는 상기 송수화기의 크기, 상기 핸즈프리 동작 스피커의 크기, 상기 핸즈프리 동작 스피커의 형상, 및 상기 원격 통신 장치의 오디오 대역폭의 집합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원격 통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컷아웃의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컷아웃의 형상, 상기 컷아웃의 크기, 상기 컷아웃의 내부 벽의 형상, 및 상기 송수화기 상에서의 상기 컷아웃의 배치의 집합 중 하나를 포함하는
    원격 통신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부의 크기, 형상, 배치 및 개수의 집합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송수화기의 크기, 상기 핸즈프리 동작 스피커의 크기, 상기 핸즈프리 동작 스피커의 형상, 및 상기 원격 통신 장치의 오디오 대역폭의 집합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원격 통신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음성 통화, 비디오 통화, 인스턴트 메시징, 및 데이터 교환의 집합 중 적어도 하나를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원격 통신 장치.
  10. 음성 통화, 비디오 통화, 인스턴트 메시징, 및 데이터 교환의 집합 중 적어도 하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네트워크화된 통신 장치의 송수화기로서,
    마이크를 탑재한 하부 부분,
    스피커를 탑재한 상부 부분, 및
    상기 송수화기가 상기 네트워크화된 통신 장치의 본체부의 핸즈프리 동작 스피커 상에 위치할 경우 상기 핸즈프리 동작 스피커와 겹치도록 레이아웃된 컷아웃을 가지는 중간 부분 - 상기 컷아웃은 상기 핸즈프리 동작 스피커로부터 멀어질수록 더 넓은 개구(opening)를 갖고, 상기 컷아웃은 개구 평면(opening plane)에 대해 다양한 각도를 가지는 내부벽을 갖는 복수의 개구부(apertures)를 포함함 -
    을 포함하는 송수화기.
  11. 제10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복수의 DTMF 버튼, 및 복수의 특수 기능 버튼의 집합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송수화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부는 다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개구부의 형상, 크기, 내부 벽의 형상, 모서리의 수 및 배치의 집합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송수화기의 크기, 상기 핸즈프리 동작 스피커의 크기, 상기 핸즈프리 동작 스피커의 형상, 상기 핸즈프리 동작 스피커의 배치, 및 상기 네트워크화된 통신 장치의 오디오 대역폭의 집합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송수화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컷아웃은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개구부의 수는 상기 송수화기의 크기, 상기 핸즈프리 동작 스피커의 크기, 상기 핸즈프리 동작 스피커의 형상, 상기 핸즈프리 동작 스피커의 배치, 및 상기 네트워크화된 통신 장치의 오디오 대역폭의 집합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송수화기.
  14. 삭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컷아웃은 서로 평행하게 레이아웃된 복수의 슬롯을 포함하고, 각각의 슬롯의 치수, 상기 복수의 슬롯의 간격, 및 각각의 슬롯의 이웃 슬롯에 대한 각도의 집합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송수화기의 크기, 상기 핸즈프리 동작 스피커의 크기, 상기 핸즈프리 동작 스피커의 형상, 상기 핸즈프리 동작 스피커의 배치, 및 상기 네트워크화된 통신 장치의 오디오 대역폭의 집합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송수화기.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17011285A 2008-11-20 2009-10-23 송수화기에 대한 음향 통로 KR1016232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274,733 US7720216B1 (en) 2008-11-20 2008-11-20 Acoustic pass through for handsets
US12/274,733 2008-1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007A KR20110094007A (ko) 2011-08-19
KR101623225B1 true KR101623225B1 (ko) 2016-05-31

Family

ID=42166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1285A KR101623225B1 (ko) 2008-11-20 2009-10-23 송수화기에 대한 음향 통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720216B1 (ko)
EP (1) EP2356804B1 (ko)
JP (2) JP5615835B2 (ko)
KR (1) KR101623225B1 (ko)
CN (1) CN102217290B (ko)
BR (1) BRPI0920615A2 (ko)
CA (1) CA2739556A1 (ko)
HK (1) HK1161012A1 (ko)
RU (1) RU2518527C2 (ko)
TW (1) TWI414171B (ko)
WO (1) WO201005933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81463B2 (ja) * 2018-11-30 2022-06-0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気接続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22257A (en) * 1997-02-18 1998-08-19 Mitel Corp Increased acoustic separation for a speakerphon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102A (en) * 1896-02-04 Underground system for electric railways
US4178488A (en) * 1977-08-02 1979-12-11 Toa Electric Co., Ltd. Telephone set
US4720858A (en) * 1986-01-31 1988-01-19 Msi Data Corporation Telephone handset/acoustic coupler adapter
US4930157A (en) * 1989-05-10 1990-05-29 Nynex Corporation Telephone handset having apertures for key access
JPH03192898A (ja) * 1989-12-21 1991-08-22 Sharp Corp スピーカシステム
US5134649A (en) * 1990-09-21 1992-07-28 Gutzmer Howard A Acoustic coupler for high-speed modem
JP2580383B2 (ja) * 1990-10-25 1997-02-12 シャープ株式会社 スピーカシステム
JP2925766B2 (ja) * 1991-03-19 1999-07-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電話装置及び電話装置
JPH05176030A (ja) * 1991-03-26 1993-07-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電話機用アダプタ
JPH0711043U (ja) * 1993-07-06 1995-02-14 株式会社田村電機製作所 電話装置
JP3198373B2 (ja) * 1994-10-12 2001-08-13 シャープ株式会社 テレビ付きインターホン装置
US5784456A (en) * 1995-06-29 1998-07-21 Cyracom International, Inc. Single-line multi-handset telephone
KR100262306B1 (ko) * 1997-08-30 2000-07-15 강병호 핸드셋을통한스피커폰기능을갖는전화단말기
US6002949A (en) * 1997-11-18 1999-12-14 Nortel Networks Corporation Handset with a single transducer for handset and handsfree functionality
US6069943A (en) * 1997-12-01 2000-05-30 Nortel Networks Corporation Collaborative conferencing circuit
US6374120B1 (en) * 1999-02-16 2002-04-16 Denso Corporation Acoustic guide for audio transducers
GB0024350D0 (en) * 2000-10-05 2000-11-22 Mitel Corp Use of handset microphone to enhance speakerphone loudspeaker performance
US6584188B2 (en) * 2001-04-02 2003-06-24 Worldcom, Inc. Intelligent telephone set
CN2482290Y (zh) * 2001-04-24 2002-03-13 林宽农 电话机耳机或免持听筒功能选择的切换装置
JP2004208085A (ja) * 2002-12-25 2004-07-22 Niro1.Com Inc スピーカシステム
US7646862B2 (en) * 2005-05-24 2010-01-12 Polycom, Inc. Speakerphone with a novel loudspeaker placement
TWM284148U (en) * 2005-07-12 2005-12-21 Sweetone Ind Co Ltd Improved button module of a telephone
TWM341360U (en) * 2008-05-05 2008-09-21 Sweetone Ind Co Ltd Dialing switching device for telepho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22257A (en) * 1997-02-18 1998-08-19 Mitel Corp Increased acoustic separation for a speaker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518527C2 (ru) 2014-06-10
CA2739556A1 (en) 2010-05-27
JP5615835B2 (ja) 2014-10-29
RU2011120137A (ru) 2012-11-27
TWI414171B (zh) 2013-11-01
TW201021503A (en) 2010-06-01
JP2013059096A (ja) 2013-03-28
JP2012509643A (ja) 2012-04-19
EP2356804A4 (en) 2013-01-16
KR20110094007A (ko) 2011-08-19
HK1161012A1 (zh) 2012-08-17
EP2356804B1 (en) 2016-03-09
BRPI0920615A2 (pt) 2018-06-19
CN102217290B (zh) 2013-01-02
WO2010059330A2 (en) 2010-05-27
CN102217290A (zh) 2011-10-12
EP2356804A2 (en) 2011-08-17
US7720216B1 (en) 2010-05-18
WO2010059330A3 (en) 2010-08-05
US20100124327A1 (en) 201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8782B2 (en) Communications devices with receiver earpieces and methods therefor
CN110913048B (zh) 电子设备
CN110113453B (zh) 一种移动终端
CN110944079B (zh) 电子设备
US20180115847A1 (en) Mobile terminal with at least two transducers
JP2007150393A (ja) 電話装置
JP2006509432A (ja) 音のチャネル・ポーティングを介して音圧レベルの消散をもたらす無線端末
KR101623225B1 (ko) 송수화기에 대한 음향 통로
US6965790B1 (en) Acoustic pipe for flip style cellular telephone
US6389297B1 (en) Radiocommunications terminal
KR100543617B1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피커구조
CN212696158U (zh) 一种手机音箱
JPH02288455A (ja) 会議用通話装置
KR101747626B1 (ko) 사운드 재생 기기용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
KR200189577Y1 (ko) 사운드 단자가 전면에 구비된 컴퓨터본체구조
KR200298969Y1 (ko) 양방향 출력 스피커부를 구비한 이동전화기
KR10062811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입출력 장치
KR20040007884A (ko) 스테레오 미디 사운드구현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그의 제어방법
KR200168101Y1 (ko) 휴대폰의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이어폰구조
RU2332808C2 (ru) Способ громкоговорящей связи
KR20040012263A (ko) 듀얼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052086A (ko)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스테레오장치
JP2005269067A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JP2006042100A (ja) 二つ折り型携帯電話構造
TW200929997A (en) Shell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