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7626B1 - 사운드 재생 기기용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 - Google Patents

사운드 재생 기기용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7626B1
KR101747626B1 KR1020170015876A KR20170015876A KR101747626B1 KR 101747626 B1 KR101747626 B1 KR 101747626B1 KR 1020170015876 A KR1020170015876 A KR 1020170015876A KR 20170015876 A KR20170015876 A KR 20170015876A KR 101747626 B1 KR101747626 B1 KR 101747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hole
microphone
remote controll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병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우스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우스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우스디지
Priority to KR1020170015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76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운드 재생 기기, 즉 이어폰이나 헤드폰등에 채용되는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운드 재생 기기용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로서, 사운드를 수집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마이크가 구비된 회로부와, 내부에 상기 회로부가 안착되는 공간이 구비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덮기 위한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본체부에 내부에 안착된 회로부의 마이크에 외부로부터의 음향이 도달되도록 관통하는 홀(Hall)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과 인접하게 상기 홀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 끝단까지 좌우대칭형으로 일부 제거되어, 외부로부터의 음향이 상기 홀을 통해 마이크에 도달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운드 재생 기기용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The remote controller device for sound reprodu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사운드 재생 기기, 즉 이어폰이나 헤드폰등에 채용되는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운드 재생 기기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이 음향 컨텐츠를 감상할 때, 주변의 소음으로부터 음향 컨텐츠의 감상을 방해받지 않기 위하거나 해 이어폰(헤드폰을 포함함)을 사용한다.
특히, 최근에는 스마트폰 등 휴대용 음향 신호 출력기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진화하면서 음성 통화나 음향 컨텐츠 감상에 종종 이어폰이 사용된다. 이러한 이어폰은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진화하는 추세이다. 예를 들면, 마이크를 구비해 음성 통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이어폰이 개발되었고, 자체적으로 볼륨을 조절하는 등 음향 신호 출력기로 이용자의 제어 명령들을 입력시킬 수 있는 리모트 콘트롤러가 구비된 이어폰이 진화되어 개발되고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 185670호를 참고해 보면, 마이크(12)가 구비되어 있고, 사운드 유입을 위한 구멍(번호 미표시)이 본체의 정 중앙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마이크(12)는 사운드 유입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가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음은 물론이고, 사운드 유입을 위한 구멍이 한개만 형성되어 있어 먼지등에 의한 막힘에 취약한 형태를 드러낸다. 또한, 외부로 노출되어 개성을 표시하기 용이한 마이크(12)의 본체 정 중앙측에 그 구멍이 형성되어 데코레이션을 위한 그 어떤 구성도 찾아보기 어려운 형태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운드 재생 기기용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는 마이크의 성능을 최대화 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의 사운드 유입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는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운드 재생 기기용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는 내부 마이크로의 사운드 유입을 위한 부분을 중앙측에서 이격되도록 마련하여 본체를 데코레이션에 최대한 활용이 가능하도록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운드 재생 기기용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로서, 사운드를 수집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마이크가 구비된 회로부와, 내부에 상기 회로부가 안착되는 공간이 구비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덮기 위한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본체부에 내부에 안착된 회로부의 마이크에 외부로부터의 음향이 도달되도록 관통하는 홀(Hall)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과 인접하게 상기 홀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 끝단까지 좌우대칭형으로 일부 제거되어, 외부로부터의 음향이 상기 홀을 통해 마이크에 도달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홀(Hall)을 중심으로 좌우대칭형으로 가이드로를 구비함으로서 유저의 음성과 같은 사운드가 단방향이 아닌 양방향으로 원할하게 상기 마이크에 도달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운드 재생 기기용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에서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가이드로와 대응되는 위치로 폭방향 양측 끝단이 부분 절개되어 외부로부터의 사운드가 가이드로를 따라 유입되도록 하는 데코부가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데코부의 폭방향 양측 끝단에 사운드 유입을 위한 부분 절개가 이루어져 있어 양방향 사운드 유입이 원할함과 함께, 데코부의 전면을 데코레이션에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운드 재생 기기용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에서 상기 덮개부의 가이드로는, 양측면이 라운드(Round)져 있고, 바닥면이 라운드(Round)진 것을 특징한다.
상기와 같이 외부 사운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로가 라운드져 있어서 첨예하게 각이선 형상과는 다르게 훨씬 더 많은 사운드 양을 유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운드 재생 기기용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에서, 상기 데코부의 양측 끝단이 타원형으로 절개되되, 타원형의 장축이 덮개부의 길이방향 중심축과 평행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데코부의 양측 절개모양을 최대한 측면으로 붙이는 타원형으로 절개함으로서 절개부분이 데코레이션 영역을 최대한 침범하지 않도록 하여 데코레이션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운드 재생 기기용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에서, 상기 덮개부의 가이드로는, 상기 홀과 인접한 일측 선단의 폭방향 길이보다 타측 선단의 폭방향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로의 사운드 유입 초입부분을 좀 더 크게 형성하고 홀과 인접한 부분을 초입부분보다 작게 마련함으로서 사운드 유입이 좀 더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유입된 사운드의 외부유실을 최소화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운드 재생 기기용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에서, 상기 라운드는, 홀과 근접할수록 곡률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라운드 지되 그 곡률이 홀을 향할 수록 휨 정도가 급격해지도록 하여 홀 쪽으로의 사운드 유입이 좀 더 용이해지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운드 재생 기기용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는 외부의 사운드를 최대한으로 마이크로 유입시킴으로서 핸드프리 기능을 충실하게 달성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로 노출이 많은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의 데코레이션 영역을 최대한 확보하게 함으로서 데코레이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가 구비된 이어폰을 보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덮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가이드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가 구비된 이어폰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200)가 구비된 이어폰(1000)의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의 귀에 착용하여 사운드를 출력하는 헤드폰부(100)와 외부의 사운드를 유입하여 스마트폰과 같은 기기(미도시)에 전달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UI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버튼부(270)가 구비된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200)와, 스마트폰과 같은 기기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3.5파이 등의 규격으로 마련되는 잭(Jack)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긴 장방형의 타원형으로 마련되어 길이방향 양 끝 선단에 전선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210)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길이방향으로 긴 장방형의 타원형을 일예로 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200)의 분해 사시도를 참조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운드를 수집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마이크(번호 미표시)가 구비된 회로부(260)와, 내부에 상기 회로부(260)가 안착되는 공간이 구비된 본체부(230)와, 상기 본체부(230)를 덮기 위한 덮개부(250)를 포함한다. 도면상 덮개부(250)에 상면에는 데코부(220)가 마련되며, 덮개부(250)와 데코부(220)는 접착부(240)를 통해 접착 고정된다.
상기 덮개부(250)는 그 소정위치에 상기 본체부(230)에 내부에 안착된 회로부(260)의 마이크에 외부로부터의 음향이 도달되도록 관통하는 홀(Hall : 25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251)과 인접하게 상기 홀(251)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 끝단까지 좌우대칭형으로 일부 제거되어, 외부로부터의 사운드가 상기 홀(251)을 통해 마이크에 도달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로(25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데코부(220)에는 상기 가이드로(252)와 대응되는 위치로 폭방향 양측 끝단이 부분 절개된 절개부(221)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절개부(221)가 본체(230)와의 사이에서 구멍역할을 담당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홀(251)을 중심으로 사운드 가이드를 위한 가이드로(252)가 구비되어 유저의 음성과 같은 사운드가 단방향이 아닌 양방향으로 원할하게 상기 마이크에 도달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데코부(220)의 중앙측이 아닌 폭방향 양 끝단에 절개부(221)를 마련함으로서 데코부(220)의 전면을 데코레이션에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장방형으로 긴 타원형으로 상기 데코부(220)의 전면에 이름등을 레이져 각인 하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중앙측이 아닌 최외각측에 절개부(221)가 마련되어 레이져 각인 작업에 효율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덮개부(250)의 가이드로(252)는 그 양측면(252a)과 바닥면(252b)이 라운드(Round)져 있고, 특히 라운드 진 정도가 홀(251)가 근접할 수록 급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외부 사운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로가 라운드져 있어서 첨예하게 각이 선 형상에서는 반복되는 반사로 소멸되어 없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바, 상기와 같이 라운드 지게 형성함으로서 가이드로(252)를 따라 사운드가 홀(251) 방향으로 유입되는 효과가 상승되는 것이다. 특히 홀(251)에 근접할 수록 라운드의 곡률을 더 높게 형성함으로서 그 효과는 배가됨이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
한편, 상기 데코부(220)의 절개부(221)는 타원형으로 절개되되, 타원형의 장축이 덮개부(250)의 길이방향 중심축과 평행하도록 형성된다. 즉,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200)의 길이방향에 맞춰 타원형으로 형성하여 최소한의 절개로 데코부(220)의 중앙측에 간섭을 최소화 한 것이다. 그럼으로서 데코부(220)의 중앙측에 레이져 각인 등의 서비스를 제공함에 손실영역이 최소화 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250)의 가이드로(252)는, 상기 홀(251)과 인접한 일측 선단의 폭방향 길이(d2)보다 타측 선단의 폭방향 길이(d1)가 더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가이드로(252)의 사운드 유입 초입부분을 좀 더 크게 형성하고 홀(251)과 인접한 부분을 초입부분보다 작게 마련함으로서 사운드 유입이 좀 더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유입된 사운드의 외부유실을 최소화 하는 장점이 있음과 동시에 이물질 등이 홀(251)을 통해 회로부(260)까지 침입하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헤드부 200 :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
210 : 전선 가이드부 220 : 데코부
230 : 본체 240 : 접착부
250 : 덮개부 260 : 회로부
270 : 버튼부 300 : 잭(Jack)부
1000 : 이어폰

Claims (7)

  1. 사운드 재생 기기용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로서,
    사운드를 수집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마이크가 구비된 회로부와,
    내부에 상기 회로부가 안착되는 공간이 구비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덮기 위한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본체부에 내부에 안착된 회로부의 마이크에 외부로부터의 음향이 도달되도록 관통하는 홀(Hall)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과 인접하게 상기 홀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 끝단까지 좌우대칭형으로 일부 제거되어, 외부로부터의 음향이 상기 홀을 통해 마이크에 도달하도록 하는 가이드로가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사운드 재생 기기용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가이드로와 대응되는 위치로 폭방향 양측 끝단이 부분 절개되어 외부로부터의 사운드가 가이드로를 따라 유입되도록 하는 데코부가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재생 기기용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가이드로는,
    양측면이 라운드(Round)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재생 기기용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가이드로는,
    바닥면이 라운드(Round)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재생 기기용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부의 양측 끝단에는 타원형으로 절개되되, 타원형의 장축이 덮개부의 길이방향 중심축과 평행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재생 기기용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가이드로는,
    상기 홀과 인접한 일측 선단의 폭방향 길이보다 타측 선단의 폭방향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재생 기기용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
  7.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는,
    홀과 근접할수록 곡률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재생 기기용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



KR1020170015876A 2017-02-04 2017-02-04 사운드 재생 기기용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 KR101747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876A KR101747626B1 (ko) 2017-02-04 2017-02-04 사운드 재생 기기용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876A KR101747626B1 (ko) 2017-02-04 2017-02-04 사운드 재생 기기용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7626B1 true KR101747626B1 (ko) 2017-06-14

Family

ID=59217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876A KR101747626B1 (ko) 2017-02-04 2017-02-04 사운드 재생 기기용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762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39215A (ja) 2014-01-22 2015-07-30 光寶電子(廣州)有限公司 ブルートゥース送受信機、リモコン付イヤホンモジュール及び携帯装置モジュール
KR101553576B1 (ko) 2015-01-21 2015-09-17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커넥터형 이어폰 컨트롤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39215A (ja) 2014-01-22 2015-07-30 光寶電子(廣州)有限公司 ブルートゥース送受信機、リモコン付イヤホンモジュール及び携帯装置モジュール
KR101553576B1 (ko) 2015-01-21 2015-09-17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커넥터형 이어폰 컨트롤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0275B2 (en) Loudspeaker apparatus
US11294619B2 (en) Earphone software and hardware
JP6878542B2 (ja) イヤチップ用アタッチメント機構
US9473845B2 (en) Active noise cancelling ear phone system
EP2779687B1 (en) Customizable headphone audio driver assembly and headphone including such an audio driver assembly.
US9338542B2 (en) Wireless headset having ear hook
US8238596B2 (en) In-ear headphones
US9245515B2 (en) Earphone
US20160293156A1 (en) In-ear headphones with noise reduction effect
KR101381289B1 (ko) 귓속 삽입형 마이크를 사용하는 유무선 이어셋
JP2015023495A (ja) イヤホンマイク
JP2006517760A (ja) 外部の音響雑音を減少させる効果を有する双方向音声通信装置
KR20220012554A (ko) 마이크를 포함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
CN210986376U (zh) 一种耳机芯及耳机
KR101747626B1 (ko) 사운드 재생 기기용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
US11206477B2 (en) Sound transducer structure of electronic device
US1161704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uppressing sound leakage
KR20190056215A (ko) 게임용 마이크 이어폰
KR20130004992A (ko) 모바일 핸드셋
CN212785784U (zh) 一种耳机喇叭的支架
KR200204436Y1 (ko) 이어폰
JP5615835B2 (ja) ハンドセット向け音響透過開口部
CN111866638A (zh) 一种美声耳机
KR200305260Y1 (ko) 이어폰형 핸즈프리나 음향기기용 이어셋/헤드셋과 함께사용 가능한 발광모듈
CN103260102B (zh) 一种耳机及其插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