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8101Y1 - 휴대폰의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이어폰구조 - Google Patents

휴대폰의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이어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8101Y1
KR200168101Y1 KR2019990016062U KR19990016062U KR200168101Y1 KR 200168101 Y1 KR200168101 Y1 KR 200168101Y1 KR 2019990016062 U KR2019990016062 U KR 2019990016062U KR 19990016062 U KR19990016062 U KR 19990016062U KR 200168101 Y1 KR200168101 Y1 KR 2001681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voice signal
mobile phone
sound quality
earphon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60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철
이영태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160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81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81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81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의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이어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구적으로 여분의 공간을 마련하여 이어폰에서 나오는 1차 음성 신호를 피드백시켜 2차 음성 신호를 발생시키는 휴대폰의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이어폰구조에 관한 것으로, 음성 신호가 이어폰 주변에 머무는 시간을 늘임으로써 보다 자연스러운 음질을 제공하고, 이어폰과 귀와의 거리 및 위치에 따른 음의 변화를 줄여서 우수한 음질을 가지게 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폰의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이어폰구조{EARPHONE STRUCTURE FOR IMPROVING TONE QUALITY OF MOBILE STATION}
본 고안은 휴대폰의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이어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구적으로 여분의 공간을 마련하여 이어폰에서 나오는 1차 음성 신호를 피드백시켜 2차 음성 신호를 발생시키는 휴대폰의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이어폰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폰에 있어서 이어폰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기계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발신자의 음성 신호를 들을 수 있도록 해주는 이어폰(100)과; 상기 이어폰에서 발생하는 음성 신호가 통과할 수 있도록 케이스에 구멍을 뚫은 홀(200)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휴대폰에 있어서 이어폰구조는 잡음이 없는 깨끗한 음질을 제공하였으나 음성 신호를 샘플링하여 다시 재생하는 과정에서 음의 변형이 불가피하여 자연음과 달리 부자연스럽게 들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통화시 이어폰과 귀가 멀어지면 음량이 급격히 줄어들어 습관적으로 귀를 밀착시켜 통화를 함으로써 귀에 부담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음성신호가 이어폰 주변에 머무는 시간을 늘임으로써 보다 자연스러운 음질을 제공하고, 이어폰과 귀와의 거리 및 위치에 따른 음의 변화를 줄여서 우수한 음질을 가지게 하는 휴대폰의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이어폰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 휴대폰의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이어폰구조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기계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발신자의 음성 신호를 들을 수 있도록 해주는 이어폰과; 상기 이어폰에서 발생하는 음성 신호가 통과할 수 있도록 케이스에 구멍을 뚫은 주 홀과; 상기 이어폰의 측면에 차단된 공간을 만들기 위하여 장착된 보조칸막이와; 상기 보조칸막이에 의해 만들어진 빈 공간에 음성 신호가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보조 홀과; 상기 보조 홀을 통하여 들어온 음성 신호를 피드백하여 2차 음성 신호를 만들어 원래의 음성 신호와 믹싱될 수 있도록 보조 홀을 통하여 2차 음성 신호를 전달하는 피드백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휴대폰에 있어서 이어폰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이어폰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이어폰구조를 전면에서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어폰 20 : 주 홀
30 : 보조 칸막이 40 : 보조 홀
50 : 피드백 공간 60 : 주 칸막이
70 : 휴대폰 케이스 100 : 이어폰
200 : 홀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의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이어폰구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이어폰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어폰 구조를 갖는 휴대폰은 이어폰(10), 주 홀(20), 보조 칸막이(30), 보조 홀(40), 피드백 공간(50), 주 칸막이(60) 및 휴대폰 케이스(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어폰(10)은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기계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발신자의 음성 신호를 들을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주 홀(20)은 상기 이어폰(10)에서 케이스에 구멍을 뚫어 발생하는 음성 신호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보조칸막이(30)는 상기 이어폰(10)의 측면에 장착되어 차단된 공간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보조홀(40)은 상기 보조칸막이(30)에 의해 만들어진 빈 공간에 음성 신호가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피드백 공간(50)은 상기 보조 홀을 통하여 들어온 음성 신호를 피드백하여 2차 음성 신호를 만들어 원래의 음성 신호와 믹싱될 수 있도록 보조 홀을 통하여 2차 음성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 외에, 종래의 휴대폰에서와 같이 주 칸막이(60)와 휴대폰 케이스(7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이어폰구조를 전면에서 나타낸 투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휴대폰의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이어폰구조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의 점선은 음성신호의 흐름을 보여주는데, 먼저 이어폰(10)에서 형성된 음성 신호가 주 홀(20)을 통해서 귀로 전달된다.
이 때, 상기 음성 신호 중 일부가 보조 홀(40)을 통해서 피드백 공간(50)으로 들어간다.
그런 후, 피드백 공간(50)으로 들어온 음성 신호는 여분의 공간에서 돌면서 2차 음성 신호를 만들고 이렇게 형성된 2차 음성 신호가 보조 홀(40)을 통해서 전달된다.
이후에, 상기 2차 음성 신호는 본래의 음성 신호와 믹싱되어 귀에 전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의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이어폰구조에 의하면, 음성 신호가 이어폰 주변에 머무는 시간을 늘임으로써 보다 자연스러운 음질을 제공하고, 이어폰과 귀와의 거리 및 위치에 따른 음의 변화를 줄여서 우수한 음질을 가지게 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기계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발신자의 음성 신호를 들을 수 있도록 해주는 이어폰과; 상기 이어폰에서 발생하는 음성 신호가 통과할 수 있도록 케이스에 구멍을 뚫은 주 홀과; 상기 이어폰의 측면에 차단된 공간을 만들기 위하여 장착된 보조칸막이와; 상기 보조칸막이에 의해 만들어진 빈 공간에 음성 신호가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보조 홀과; 상기 보조 홀을 통하여 들어온 음성 신호를 피드백하여 2차 음성 신호를 만들어 원래의 음성 신호와 믹싱될 수 있도록 보조 홀을 통하여 2차 음성 신호를 전달하는 피드백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이어폰구조.
KR2019990016062U 1999-08-06 1999-08-06 휴대폰의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이어폰구조 KR2001681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062U KR200168101Y1 (ko) 1999-08-06 1999-08-06 휴대폰의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이어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062U KR200168101Y1 (ko) 1999-08-06 1999-08-06 휴대폰의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이어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8101Y1 true KR200168101Y1 (ko) 2000-02-15

Family

ID=19583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6062U KR200168101Y1 (ko) 1999-08-06 1999-08-06 휴대폰의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이어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810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62727B2 (ja) イヤホン
US20050107130A1 (en) Telephone silent conversing (TSC) system
KR200168101Y1 (ko) 휴대폰의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이어폰구조
US6389297B1 (en) Radiocommunications terminal
KR100423705B1 (ko) 보청기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JPH10126466A (ja) 携帯電話機
KR101023467B1 (ko) 이어마이크폰
KR20030069471A (ko) 음향 입출력장치 및 이를 적용한 마이크 일체형 이어폰
JPS6244636Y2 (ko)
KR10073656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30027465A (ko) 휴대폰의 스피커 장치
JPH09167975A (ja) 携帯無線機
JPS6236400Y2 (ko)
KR100624787B1 (ko) 양방향 스피커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392063B1 (ko) 전자신호에 의한 음성다이얼 기능을 가진 휴대폰용 리모콘
KR200301199Y1 (ko) 듀얼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라우드 스피커 설치구조
KR200189835Y1 (ko) 다용도 음성신호 입출력 보조장치
JPH0122287Y2 (ko)
KR20040058660A (ko) 스테레오 신호를 출력하는 휴대 단말기
KR100413537B1 (ko) 유선전화기의 핸즈프리장치
JPH09247245A (ja) 電話機
JPH033021Y2 (ko)
KR200295605Y1 (ko) 통화수단이 구비된 이어마이크
KR200303889Y1 (ko) 휴대 전화 핸즈프리기능이 내장된 컴퓨터용 헤드폰세트
KR200252094Y1 (ko) 유선전화기의 핸즈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