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1650B1 - 고주파 카테터를 포함하는 생체조직 생검 장치 - Google Patents

고주파 카테터를 포함하는 생체조직 생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1650B1
KR101621650B1 KR1020150020092A KR20150020092A KR101621650B1 KR 101621650 B1 KR101621650 B1 KR 101621650B1 KR 1020150020092 A KR1020150020092 A KR 1020150020092A KR 20150020092 A KR20150020092 A KR 20150020092A KR 101621650 B1 KR101621650 B1 KR 101621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psy device
conductor
biopsy
high frequenc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0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민
문홍상
강호철
김용수
김희성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20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16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주파 카테터를 포함하는 생체조직 생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조직 생검 장치를 사용하면 생체조직 검사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출혈에 대하여 정확한 위치에서 지혈이 가능하며, 환자의 생체조직 검사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고주파 카테터를 포함하는 생체조직 생검 장치{Biopsy Device Comprising Radiofrequency Catheter}
본 발명은 고주파 카테터를 포함하는 생체조직 생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체조직검사는 환부의 일부분을 적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조직의 적출과 동시에 적출 부위에서 출혈이 발생되는데, 지속적인 출혈이 발생될 경우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적출 부위의 오염으로 인해 세포의 재생률이 극히 저하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생체조직검사 시 출혈 및 시술 후에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술 부위에 정확한 지혈 조치는 매우 중요하다. 기존 고주파 카테터(Catheter)를 이용한 시술을 많이 사용하고 있지만, 조직을 빼낸 뒤 다시 열치료(Ablation)를 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의 지혈이 어렵고, 특히 여러 개의 조직 적출 시 정확한 지혈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고주파 카테터 일체형 생체조직 생검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러한 일체형 생체조직 생검 장치의 사용은 생체조직검사 시술을 진행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비 숙련된 시술자에게도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에 대한 위험도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몸체부, 고주파 카테터, 외침, 내침 및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생체조직 생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생체조직 생검 장치는 내부 상단에 전도체가 구비되며, 일측 말단에 포어를 포함하는 몸체부, 포어를 통해 삽입되며, 전도체에 접촉되어 구비되는 고주파 카테터, 몸체부를 관통하여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채널을 포함하는 외침, 채널 내부에 구비되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내침, 및 몸체부에 구비되며, 내침의 일측 말단과 연결 설치되어 내침을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외침은 몸체부를 관통하여 전도체와 접촉되어 있으며, 고주파가 최종 전달되는 부분으로서 일 말단에 배치되어 있는 지혈부, 및 생체조직에 삽입된 깊이를 탐지할 수 있는 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전도체는 은, 구리, 금, 알루미늄, 텅스텐, 아연, 니켈, 철, 백금, 주석, 연, 니크롬, 황동 및 청동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고주파 카테터는 몸체부로부터 착탈 가능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단에 외침이 관통되며, 내침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탐지부는 표면이 절연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탐지부는 외침의 일 말단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외침은 일측 선단부에 팁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내침은 표면이 절연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내침은 일 말단 일부에 하나 이상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홈은 일측 테두리에 절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조직 생검 장치를 사용하면 생체조직 검사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출혈에 대하여 정확한 위치에서 지혈이 가능하며, 환자의 생체조직 검사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생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생검 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제1내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생검 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제2내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생검 장치의 내침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생검 장치의 외침 및 내침의 확대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생검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생검 장치(100)의 내부를 나타내는 내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생검 장치의 내침(400)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생검 장치의 외침 (300) 및 내침(400)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내부 상단에 전도체(210)가 구비되며, 일측 말단에 포어(220)를 포함하는 몸체부(200); 상기 포어(220)를 통해 삽입되며, 상기 전도체(210)에 접촉되어 구비되는 고주파 카테터(500); 상기 몸체부(200)를 관통하여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채널을 포함하는 외침(300); 상기 채널 내부에 구비되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내침(400); 및 상기 몸체부(200)에 구비되며, 상기 내침(400)의 일측 말단과 연결 설치되어 상기 내침(400)을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슬라이드부(230)를 포함하는 생체조직 생검 장치를 제공한다.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생체조직 생검 장치(100)는 내부 상단에 전도체(210)가 구비되며, 일측 말단에 포어(220)를 포함하는 몸체부(200)를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전도체(210)는 은, 구리, 금, 알루미늄, 텅스텐, 아연, 니켈, 철, 백금, 주석, 연, 니크롬, 황동 및 청동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전류 또는 고주파를 전달할 수 있다면, 그 재질에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포어(220)는 고주파 카테터(500)가 몸체부(200)의 내부에 있는 전도체(210)와 연결될 수 있게 몸체부(200)의 일 측면을 관통하는 구멍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포어(220)의 직경은 고주파 카테터(500)의 직경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생체조직 생검 장치(100)는 상기 포어(220)를 통해 삽입되며, 상기 전도체(210)에 접촉되어 구비되는 고주파 카테터(500)를 포함한다.
상기 고주파 카테터(500)는 본 발명의 생체조직 생검 장치를 사용할 때, 원하는 부위의 생체조직을 적출한 후 지혈을 하기 위한 것으로, 교류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고주파 인가 장치(미도시)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주파는350 내지 500kHz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나, 고주파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켜 지혈이 가능한 범위라면, 상기 파장의 범위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고주파 카테터(500)는 본 발명의 생체조직 생검 장치의 몸체부(200)로부터 착탈이 가능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생체조직 생검 장치의 전도체(210)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한 전극관이다. 상기 고주파 카테터(500)는 고주파를 지혈부(310)까지 전달시켜 열치료를 통한 생체조직의 지혈이 가능하다면, 그 형상과 크기, 모양, 재질에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생체조직 생검 장치(100)는 상기 몸체부(200)를 관통하여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채널을 포함하는 외침(300) 및 상기 채널 내부에 구비되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내침(400)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채널"은 상기 외침(300) 내부의 통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내침(400)이 외침(300)의 채널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면, 그 형상과 크기, 모양에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외침(300)은 몸체부(200)를 관통하여 전도체(210)와 접촉되어 있으며, 고주파가 최종 전달되는 부분으로서 일 말단에 배치되어 있는 지혈부(310), 및 생체조직에 삽입된 깊이를 탐지할 수 있는 탐지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탐지부(320)는 외침(300)의 일 말단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생체 내부에 외침이 삽입되었을 때 외침의 위치를 탐지하기 위한 것으로, 접촉식, 비 접촉식, 기계식, 전기식, 자기식 또는 광학식 센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지혈부(310)는 고주파 인가 장치(미도시)
로부터 발생한 고주파가 고주파 카테터(500)를 거쳐 최종 전달되는 부분으로서 절연 코팅이 되어 있지 않으며, 고주파가 전도체(210)를 통하여 전도되면, 외침(300)의 최선단부에 열을 발생시켜 조직의 적출로 인해 발생되는 출혈을 막을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외침의 탐지부(320) 및 내침(400)은 표면이 절연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즉, 고주파 인가 장치(미도시)로부터 발생한 고주파가 고주파 카테터(500)를 거쳐 전도체(210)를 통해 외침의 지혈부(310)에만 전도되도록 하기 위해, 생체에 삽입되는 외침의 탐지부(320) 및 내침(400)의 표면은 절연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절연 물질은 알루미나, 실리카, 마그네시아, 고무,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터, 아크릴, 테프론, 폴리염화바이페닐(PCB), 바니쉬(varnish) 및 질화붕소(B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외침(300)은 일측 선단부에 팁(tip)의 형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팁(tip)은 선단 또는 날 끝을 의미하는 것으로, 표적 부위에 삽입되기 용이하도록 뾰족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내침(400)은 일 말단 일부에 하나 이상의 홈(4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조직 생검 장치는 상기 홈(420)을 통하여 생체조직 검사를 위한 조직을 수용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홈(420)은 일측 테두리에 조직 절개 시 유용하도록 칼날 형태의 절개부(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생체조직 생검 장치(100)는 상기 몸체부(200)에 구비되며, 상기 내침(400)의 일측 말단과 연결 설치되어 상기 내침(400)을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슬라이드부(230)를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슬라이드부(230)는 상단에 외침(300)이 관통되며, 내침(400)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스프링(231)일 수 있으나, 탄성력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신축성을 가질 수 있다면, 그 명칭과 형상, 크기, 모양, 재질에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230)는 내침(400)과 연결되어 있으며, 내침(400)을 움직여 탄성부재를 통해 슬라이드부(230)를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는 푸시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외침(300) 내부에 있는 내침(400)을 일 측면쪽으로 잡아당겨 외침(300)과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된 내침(400)의 홈(420)에 수용된 조직을 통해 생체조직 검사를 실시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조직 생검 장치의 작동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생체검사를 수행할 표적부위로 외침(300)을 삽입 시술하여 말단을 표적부위에 근접하게 위치시킨다. 이때, 탐지부(320)를 통해 표적부위의 깊이 및 위치를 탐지할 수 있다.
이후, 슬라이딩부(230)을 작동하여 내침(400)을 표적부위 내로 삽입시킴으로써 생체검사를 수행할 조직을 절개한다. 상기 조직은 내침(400) 외주면의 홈(420)에 형성된 절개부(430)에 의해서 절개되며, 절개된 조직은 상기 홈(420)에 수용된다.
이후, 내침(400)을 일 측면쪽으로 잡아당겨 외침(300)과 완전히 분리를 시킴으로써 생체검사를 수행할 조직을 얻을 수 있다.
이와 동시에, 고주파 인가 장치(미도시)를 구동시킴으로써, 고주파 카테터(500), 전도체(210) 및 외침(300)을 통해 말단의 지혈부(310)까지 고주파가 전달이 되어, 이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통해 출혈부위를 지혈시킨다.
그후, 내침을 외침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동일한 부위의 조직이 적출되며, 고주파 인가 장치(미도시)를 통해 동일한 방법으로 적출한 부위를 지혈시킨다.
이렇게 하여, 동일한 부위에서 다수의 조직을 적출하며 지혈시킨다.
상기와 같이, 조직의 적출과 지혈이 완료되면, 외침(200)을 제거하여 시술을 완료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생체조직 생검 장치
200: 몸체부
210: 전도체
220: 포어
230: 슬라이드부
231: 스프링
300: 외침
310: 지혈부
320: 탐지부
400: 내침
410: 푸시부
420: 홈
430: 절개부
500: 고주파 카테터

Claims (11)

  1. 내부 상단에 전도체가 구비되며, 일측 말단에 포어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포어를 통해 삽입되며, 상기 전도체에 접촉되어 구비되는 고주파 카테터;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여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채널을 포함하는 외침;
    상기 채널 내부에 구비되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내침; 및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내침의 일측 말단과 연결 설치되어 상기 내침을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생체조직 생검 장치로서,
    상기 외침은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전도체와 접촉되어 있으며, 고주파가 최종 전달되는 부분으로서 일 말단에 배치되어 있는 지혈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침은 일 측면쪽으로 잡아당겨 외침과 완전히 분리가능한 것인 생체조직 생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침은 생체조직에 삽입된 깊이를 탐지할 수 있는 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생체조직 생검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도체는 은, 구리, 금, 알루미늄, 텅스텐, 아연, 니켈, 철, 백금, 주석, 연, 니크롬, 황동 및 청동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인 생체조직 생검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카테터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착탈 가능한 것인 생체조직 생검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단에 상기 외침이 관통되며, 상기 내침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생체조직 생검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탐지부는 표면이 절연 물질로 코팅되어 있는 것인 생체조직 생검 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탐지부는 상기 외침의 일 말단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센서가 배치되어 있는 것인 생체조직 생검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침은 일측 선단부에 팁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생체조직 생검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침은 표면이 절연 물질로 코팅되어 있는 것인 생체조직 생검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침은 일 말단 일부에 하나 이상의 홈을 포함하는 것인 생체조직 생검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홈은 일측 테두리에 절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생체조직 생검 장치.
KR1020150020092A 2015-02-10 2015-02-10 고주파 카테터를 포함하는 생체조직 생검 장치 KR101621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092A KR101621650B1 (ko) 2015-02-10 2015-02-10 고주파 카테터를 포함하는 생체조직 생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092A KR101621650B1 (ko) 2015-02-10 2015-02-10 고주파 카테터를 포함하는 생체조직 생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1650B1 true KR101621650B1 (ko) 2016-05-16

Family

ID=56109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0092A KR101621650B1 (ko) 2015-02-10 2015-02-10 고주파 카테터를 포함하는 생체조직 생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16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2445B1 (ko) 2017-05-25 2017-09-28 김범준 연성 섬유종 제거를 위한 고주파 치료장치의 니들 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67121A1 (en) * 2003-06-12 2004-12-30 Sarvazyan Armen P. Device and method for biopsy guidance using a tactile breast imag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67121A1 (en) * 2003-06-12 2004-12-30 Sarvazyan Armen P. Device and method for biopsy guidance using a tactile breast imag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2445B1 (ko) 2017-05-25 2017-09-28 김범준 연성 섬유종 제거를 위한 고주파 치료장치의 니들 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5803B1 (ko) 고주파 나이프 및 내시경 장치
JP5415727B2 (ja) 内視鏡用処置具
JP3655664B2 (ja) 高周波ナイフ
US7094233B2 (en) Hollow surgical probe
WO1996014018A1 (en) Biopsy needle with cauterization feature
JP2015033634A (ja) 粘膜下医療処置を実行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JP5755121B2 (ja) 内視鏡用高周波処置具
US20090247823A1 (en) Instrument for Endoscopic Treatment
JP2011502721A (ja) 組織の塊を破壊するための固定型高周波切断装置
US20130197299A1 (en) Unitary Endoscopic Vessel Harvesting Devices
US20090076412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Obtaining a Sample of Tissue
EP1839581A1 (en) Anti-seeding arrangement
US9119900B2 (en) Unitary endoscopic vessel harvesting devices
KR101621650B1 (ko) 고주파 카테터를 포함하는 생체조직 생검 장치
KR101491846B1 (ko) 내시경적 점막하 박리술의 시술기구
EP3200700B1 (en) Biopsy kit
JP2003199765A (ja) 生体組織切断用処置具
JP6559889B2 (ja) 格納式の組織切断デバイス
CN110811823A (zh) 一种腹腔镜用带电凝功能的组织活检钳
CN113677282A (zh) 透热内疗装置
JP2003199766A (ja) バイポーラ切開装置及び血管採取装置
JP7442253B2 (ja) 内視鏡用電気焼灼処置具
JP7267539B2 (ja) 内視鏡用マイクロ波照射器具
JP2021065244A (ja) 内視鏡用処置具
JP2007260314A (ja) 内視鏡用処置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