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0886B1 - 색상이 개선된 무수당 알코올 디에스테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색상이 개선된 무수당 알코올 디에스테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0886B1
KR101620886B1 KR1020140010596A KR20140010596A KR101620886B1 KR 101620886 B1 KR101620886 B1 KR 101620886B1 KR 1020140010596 A KR1020140010596 A KR 1020140010596A KR 20140010596 A KR20140010596 A KR 20140010596A KR 101620886 B1 KR101620886 B1 KR 101620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cohol
acid
activated carbon
carboxylic acid
di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9684A (ko
Inventor
경도현
김진경
류훈
정영재
조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사
Priority to KR1020140010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886B1/ko
Publication of KR20150089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8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7/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 C07C67/08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by reacting carboxylic acids or symmetrical anhydrides with the hydroxy or O-metal group of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013Esters of alcohols having the esterified hydroxy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ring other than a six-membered aromatic ring

Abstract

본 발명은 색상이 개선된 무수당 알코올 디에스테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불활성 가스 분위기에서 활성탄의 존재하에 무수당 알코올의 에스테르화 반응을 수행한 후, 용매, 활성탄 및 미반응물을 간단한 방법으로 제거함으로써, 색상 개선을 위한 별도의 후처리 공정이 없이도 색상이 탁월하게 개선된 무수당 알코올 디에스테르를 간편하고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색상이 개선된 무수당 알코올 디에스테르의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diesters of anhydrosugar alcohol with improved color}
본 발명은 색상이 개선된 무수당 알코올 디에스테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불활성 가스 분위기에서 활성탄의 존재하에 무수당 알코올의 에스테르화 반응을 수행한 후, 용매, 활성탄 및 미반응물을 간단한 방법으로 제거함으로써, 색상 개선을 위한 별도의 후처리 공정이 없이도 색상이 탁월하게 개선된 무수당 알코올 디에스테르를 간편하고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수당 알코올은 분자 내 하이드록시기가 두 개인 디올(diol) 형태를 가지며, 전분에서 유래하는 헥시톨을 활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무수당 알코올은 재생 가능한 천연자원으로부터 유래한 친환경 물질이라는 점에서 오래 전부터 많은 관심과 함께 그 제조방법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무수당 알코올 중에서 솔비톨로부터 제조된 이소소르비드가 현재 산업적 응용범위가 가장 넓다.
무수당 알코올의 용도는 심장 및 혈관 질환 치료, 패치의 접착제, 구강 청정제 등의 약제, 화장품 산업에서 조성물의 용매, 식품산업에서는 유화제 등 매우 다양하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PET,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에폭시 수지 등 고분자 물질의 유리전이온도를 올릴 수 있고, 이들 물질의 강도 개선효과가 있으며, 천연물 유래의 친환경소재이기 때문에 바이오 플라스틱 등 플라스틱 산업에서도 매우 유용하다. 또한, 접착제, 친환경 가소제, 생분해성 고분자, 수용성 락카의 친환경 용매로도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양한 무수당 알코올 유도체가 개발 및 사용되고 있으며, 그 일 예로 무수당 알코올에 존재하는 두 개의 하이드록시기와 알킬카복시산을 에스테르화 반응시켜 얻어지는 무수당 알코올의 디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무수당 알코올의 디에스테르는 폴리염화비닐(polyvinylchloride, PVC)의 가소제(plasticizer)로서 많은 장점이 있다. 따라서, 현재 PVC의 석유유래의 가소제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가소제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러한 무수당 알코올 디에스테르는 그 제조를 위한 에스테르화 반응시 색상특성이 나빠지는(즉, 황색도(YI)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는바, 그 색상 개선을 위한 노력이 있어 왔다.
국제공개특허 WO01/83488호에는 거대다공성(macroporous) 산 이온 교환 수지 촉매를 사용하여 무수글리시톨 에스테르를 합성함으로써 제품의 색상을 개선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고가의 거대다공성 산 이온 교환 수지 촉매를 사용하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색상 개선 효과도 만족스럽지 않다.
미국특허 제8,129,549호에는 무수헥시톨 디에스테르의 합성시 반응 촉매로 차아인산(hypophosphorous acid)을 산 촉매와 혼합 사용한 후, 미반응 지방산을 증류하는 공정을 통하여 제품의 황색도(YI)를 50 이하로 낮추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렇게 차아인산을 사용할 경우 반응액에서 특유의 냄새가 발생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좋지 않고 반응시간도 지연된다. 또한, 산 촉매 외에 추가적으로 차아인산을 투입함으로써 반응 종료 후 중화를 위한 NaOH 투입량이 증가하게 되고, 그 결과 수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고가의 카복시산을 3당량 또는 그 이상 사용함으로써 제조원가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미반응된 카복시산을 증류를 통해 제거해야 하는 문제점도 있다. 게다가, 이 기술에 의하더라도 색상 개선 효과가 만족스럽지 않다.
따라서, 색상 개선을 위한 별도의 후처리 공정이 필요 없는 간편하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무수당 알코올 디에스테르의 색상을 만족스럽게 개선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서, 무수당 알코올 디에스테르의 색상을 탁월하게 개선하면서, 기존의 방법 대비 현저히 저렴하고 단순하며, 친환경적이고, 색상 개선을 위한 별도의 후처리 공정도 필요치 않은 무수당 알코올 디에스테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불활성 가스 분위기에서 활성탄 및 산 촉매의 존재하에 무수당 알코올과 카르복시산의 에스테르화 반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수당 알코올 디에스테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 따르면, (1) 용매, 무수당 알코올, 카르복시산, 활성탄 및 산 촉매를 반응기에 투입하는 단계; (2) 반응기 내부를 불활성 가스 분위기로 만드는 단계; 및 (3) 무수당 알코올과 카르복시산의 에스테르화 반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수당 알코올 디에스테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편하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색상이 현저히 개선된(예컨대, 황색도(YI) 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무수당 알코올 디에스테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수당 알코올 디에스테르 제조 방법은, 기존의 방법 대비 현저히 저렴하고 단순하며, 색상 개선을 위한 별도의 후처리 공정도 필요치 않아 무수당 알코올 디에스테르의 상업적 대량 생산에 매우 적합하고, 동시에 친환경적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무수당 알코올 디에스테르 제조 방법은, 불활성 가스 분위기에서 활성탄 및 산 촉매의 존재하에 무수당 알코올과 카르복시산의 에스테르화 반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수당 알코올은, 수소화 당(또는, 당 알코올)의 원래 내부 구조로부터 하나 이상의 물 분자를 제거(탈수 반응)하여 얻은 물질이다. 여기서 수소화 당은 당류가 갖는 환원성 말단기에 수소를 부가하여 얻어지는 화합물로서, 탄소수에 따라 테트리톨, 펜티톨, 헥시톨 및 헵티톨(각각, 탄소수 4, 5, 6 및 7)로 분류되며, 그 중에서 탄소수가 6개인 헥시톨에는 소르비톨, 만니톨, 이디톨, 갈락티톨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수당 알코올로는 헥시톨을 탈수 반응시켜 얻어진 이소소르비드가 바람직하게 사용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불활성 가스 분위기는, 반응기 내부를 불활성 가스로 치환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불활성 가스로는 예컨대 질소, 아르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불활성 가스를 이용하여 에스테르화 반응 전과 반응 중에 반응기 내로의 산소유입을 차단함으로써 반응 도중의 변색을 방지한다.
상기 활성탄으로는 목재, 야자 등의 식물계 원료나 갈탄, 유연탄, 역청탄, 무연탄 등의 광물계 원료를 활성화하여 얻어진 활성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활성탄 입자의 형태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본 발명의 무수당 알코올 디에스테르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의 사용량은, 상기 무수당 알코올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5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0.2~3 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활성탄의 사용량이 무수당 알코올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중량부에 못 미치면 색상 개선 효과가 부족할 수 있고, 5 중량부를 초과하면 공정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활성탄을 후처리 탈색공정에 사용하는 기존의 기술(무수당 알코올 디에스테르 100 중량부당 통상 7~10 중량부 수준으로 사용)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활성탄을 사용하면서도 현저히 우수한 색상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산 촉매로는 무수당 알코올의 에스테르화에 사용가능한 산 물질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황산, 질산, 염산, p-톨루엔설폰산(PTSA), 인산,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벤젠설폰산, 나프탈렌설폰산 및 황산알루미늄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p-톨루엔설폰산을 사용할 수 있다. 산 촉매의 사용량은 무수당 알코올(예컨대, 이소소르비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산 촉매의 양이 무수당 알코올 100 중량부당 0.5 중량부 미만이면 디에스테르로의 전환 시간이 너무 길어질 수 있고, 10중량부를 초과하면 색상문제 또는 중화를 위한 NaOH 투입량 증가, Salt 증가로 인한 공정 수율 감소, 폐기물 증가 등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시산으로는, 무수당 알코올의 두 개의 히드록시기와 반응하여 디에스테르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카르복시산은 구체적으로 직쇄상 또는 가지상의 C3-C20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또는 방향족 카르복실산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프로피온산, 헥산산, 2-에틸헥산산, 옥탄산, 노난산, 데칸산, 라우르산, 스테아르산,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벤조산, 페닐아세트산 및 나프탈렌카르복실산, 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카르복시산을 무수당 알코올 1당량에 대하여 2당량 이하(예컨대, 1.8~2당량)의 양으로 사용함으로써 반응 완결 후 미반응된 카르복시산 잔량을 최소화할 수 있고, 따라서 그 제거를 위해 추가적으로 증류공정을 거치지 않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무수당 알코올과 카르복시산의 에스테르화 반응은, 예컨대, 100~18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15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10~125℃의 온도 및 50~700 torr, 보다 바람직하게는 50~300 torr,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0~200 torr의 압력 조건에서 5시간 이상(예컨대 5~30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시간 이상(예컨대 15~20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 따른 무수당 알코올 디에스테르의 제조 방법은, (1) 용매, 무수당 알코올, 카르복시산, 활성탄 및 산 촉매를 반응기에 투입하는 단계; (2) 반응기 내부를 불활성 가스 분위기로 만드는 단계; 및 (3) 무수당 알코올과 카르복시산의 에스테르화 반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무수당 알코올, 카르복시산, 활성탄 및 산 촉매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고, 상기 반응기로는 회분식 반응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반응 중에 발생하는 물을 효과적으로 공비하여 제거할 수 있는 유기용매가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자일렌, 톨루엔 및 벤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유기용매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매, 무수당 알코올, 카르복시산, 활성탄 및 산 촉매를 반응기에 투입한 후, 반응기 내부를 불활성 가스, 예컨대 질소로 치환하여 불활성 가스 분위기로 만든다. 불활성 가스 치환이 완료된 후 및 반응 중에는 반응기 내로의 산소유입을 차단한다.
반응기 내부를 불활성 가스 분위기로 만든 후, 무수당 알코올과 카르복시산의 에스테르화 반응을 수행한다. 구체적인 반응 조건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반응 중에 발생하는 물은 용매와 공비시켜 Dean-Stark Trap 장치를 사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수당 알코올 디에스테르의 제조 방법은,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의 결과 혼합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용매의 제거는 통상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예컨대, 감압 하에 용매를 제거하여 결과물을 농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수당 알코올 디에스테르의 제조 방법은 또한,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의 결과 혼합물로부터 활성탄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활성탄의 제거는 통상의 방법, 예컨대 여과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수당 알코올 디에스테르의 제조 방법은 또한,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의 결과 혼합물로부터 산 촉매 및 미반응 키르복시산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산 촉매 및 미반응 키르복시산의 제거는 적당량의 염기 물질(예컨대 NaOH)을 에스테르화 반응 결과물에 투입하여 이들 산 물질들을 중화하고 염으로 침전시킨 후, 침전된 염 물질을 여과하는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미반응된 카르복시산 잔량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제거를 위한 추가의 증류공정 없이 상기한 중화 및 여과 공정만으로도 미반응 카르복시산을 제가할 수 있다.
상기한 용매 제거, 활성탄 제거, 및 산 촉매 및 미반응 키르복시산 제거는 이 순서대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그 순서가 바뀔 수도 있다. 예컨대, 장치 구성상 활성탄 제거 후에 용매를 제거할 수도 있다. 또한, 활성탄 제거와 산 촉매 및 미반응 키르복시산 제거는 하나의 단계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예컨대, 용매가 제거된 결과물에 염기를 투입하여 염으로 침전시킨 후, 이를 활성탄과 함께 여과하여 제거할 수도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색상 개선을 위한 추가의 후처리 공정(예컨대, 활성탄을 사용한 탈색 공정 또는 증류정제 공정)을 수행하지 않고도, 색상이 현저히 개선된, 예컨대, 황색도(YI) 4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인, 무수당 알코올 디에스테르를 우수한 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이소소르비드 73g, 1-옥탄산(1-octanoic acid) 140.5g(1.95eq), 자일렌(xylene) 86.4g, 활성탄 1.46g(이소소르비드 100중량부 대비 2 중량부), 그리고 p-톨루엔술폰산(p-toluenesulfonic acid, PTSA) 1.5g을 Dean-Stark Trap장치가 부착된 회분식 반응기에 투입하였다. 반응기 내부를 질소로 치환하고 반응기 내부로의 산소 유입을 차단하였다. 이어서 반응기 내부 온도를 110~125℃로 하고, 내부압력을 100~200 torr로 한 조건하에 15시간 이상 반응을 수행하여 완결시켰다. 반응 완결 후 자켓(jacket) 온도 약 100~150℃, 반응기 내부압력 20 torr 이하의 조건에서 자일렌 용매를 제거하고, 반응 결과물을 최대한 농축시켰다. 농축물을 이어서 진공 여과기로 여과하여 활성탄을 제거하였다. 여과액에 50% NaOH 약 1~4g을 투입하여 산 촉매 및 미반응 1-옥탄산을 중화하고 침전시킨 후, 침전된 염 물질을 여과기로 제거하여 이소소르비드 디카프릴레이트(isosorbide dicaprylate)를 최종 수득하였다. 최종 결과물의 이소소르비드 디카프릴레이트 순도는 91%이었고, 반응부산물인 이소소르비드 모노카프릴레이트(isosorbide monocaprylate) 순도는 7%이었다. 최종 결과물의 황색도(yellow index, YI, ASTM D1925에 의거하여 측정)는 2.66이었으며, 이소소르비드 디카프릴레이트의 수율은 92%이었다.
비교예 1
이소소르비드 73g, 1-옥탄산 140.5g(1.95eq), 자일렌 86.4g, 그리고 p-톨루엔술폰산(PTSA) 1.5g을 Dean-Stark Trap장치가 부착된 회분식 반응기에 투입하였다. 반응기 내부를 질소로 치환하고 반응기 내부로의 산소 유입을 차단하였다. 이어서 반응기 내부 온도를 110~125℃로 하고, 내부압력을 100~200 torr로 한 조건하에 15시간 이상 반응을 수행하여 완결시켰다. 반응 완결 후 자켓(jacket) 온도 약 100~150℃, 반응기 내부압력 20 torr 이하의 조건에서 자일렌 용매를 제거하고, 반응 결과물을 최대한 농축시켰다. 농축액에 50% NaOH 약 1~4g을 투입하여 산 촉매 및 미반응 1-옥탄산을 중화하고 침전시킨 후, 침전된 염 물질을 여과기로 제거하였다. 여과액에 활성탄 1.46g(이소소르비드 100중량부 대비 2 중량부)을 투입하고, 80~100℃에서 약 2시간동안 교반하여 탈색을 위한 후처리 공정을 수행하였다. 이후, 후처리 결과물을 진공 여과기로 여과하여 활성탄을 제거함으로써 이소소르비드 디카프릴레이트를 최종 수득하였다. 최종 결과물의 이소소르비드 디카프릴레이트 순도는 91%이었고, 이소소르비드 모노카프릴레이트 순도는 7%이었다. 최종 결과물의 황색도(YI)는 33.91이었으며, 이소소르비드 디카프릴레이트의 수율은 92%이었다.
비교예 2
이소소르비드 73g, 1-옥탄산 140.5g(1.95eq), 자일렌 86.4g, 그리고 p-톨루엔술폰산(PTSA) 1.5g을 Dean-Stark Trap장치가 부착된 회분식 반응기에 투입하였다. 반응기 내부를 질소로 치환하고 반응기 내부로의 산소 유입을 차단하였다. 이어서 반응기 내부 온도를 110~125℃로 하고, 내부압력을 100~200 torr로 한 조건하에 15시간 이상 반응을 수행하여 완결시켰다. 반응 완결 후 자켓(jacket) 온도 약 100~150℃, 반응기 내부압력 20 torr 이하의 조건에서 자일렌 용매를 제거하고, 반응 결과물을 최대한 농축시켰다. 농축액에 50% NaOH 약 1~4g을 투입하여 산 촉매 및 미반응 1-옥탄산을 중화하고 침전시킨 후, 침전된 염 물질을 여과기로 제거함으로써 이소소르비드 디카프릴레이트를 최종 수득하였다. 최종 결과물의 이소소르비드 디카프릴레이트 순도는 91%이었고, 이소소르비드 모노카프릴레이트 순도는 7%이었다. 최종 결과물의 황색도(YI)는 41.15이었으며, 이소소르비드 디카프릴레이트의 수율은 92%이었다.
비교예 3
이소소르비드 73g, 1-옥탄산 140.5g(1.95eq), 자일렌 86.4g, 활성탄 1.46g(이소소르비드 100중량부 대비 2 중량부), 그리고 p-톨루엔술폰산(PTSA) 1.5g을 Dean-Stark Trap장치가 부착된 회분식 반응기에 투입하였다. 반응기 내부의 질소 치환작업은 생략하였다. 반응기 내부 온도를 110~125℃로 하고, 내부압력을 100~200 torr로 한 조건하에 15시간 이상 반응을 수행하여 완결시켰다. 반응 완결 후 자켓(jacket) 온도 약 100~150℃, 반응기 내부압력 20 torr 이하의 조건에서 자일렌 용매를 제거하고, 반응 결과물을 최대한 농축시켰다. 농축물을 이어서 진공 여과기로 여과하여 활성탄을 제거하였다. 여과액에 50% NaOH 약 1~4g을 투입하여 산 촉매 및 미반응 1-옥탄산을 중화하고 침전시킨 후, 침전된 염 물질을 여과기로 제거함으로써 이소소르비드 디카프릴레이트를 최종 수득하였다. 최종 결과물의 이소소르비드 디카프릴레이트 순도는 91%이었고, 이소소르비드 모노카프릴레이트 순도는 7%이었다. 최종 결과물의 황색도(YI)는 56.85이었으며, 이소소르비드 디카프릴레이트의 수율은 92%이었다.
비교예 4
이소소르비드 73g, 1-옥탄산 140.5g(1.95eq), 자일렌 86.4g, 그리고 p-톨루엔술폰산(PTSA) 1.5g을 Dean-Stark Trap장치가 부착된 회분식 반응기에 투입하였다. 반응기 내부의 질소 치환작업은 생략하였다. 반응기 내부 온도를 110~125℃로 하고, 내부압력을 100~200 torr로 한 조건하에 15시간 이상 반응을 수행하여 완결시켰다. 반응 완결 후 자켓(jacket) 온도 약 100~150℃, 반응기 내부압력 20 torr 이하의 조건에서 자일렌 용매를 제거하고, 반응 결과물을 최대한 농축시켰다. 농축액에 50% NaOH 약 1~4g을 투입하여 산 촉매 및 미반응 1-옥탄산을 중화하고 침전시킨 후, 침전된 염 물질을 여과기로 제거함으로써 이소소르비드 디카프릴레이트를 최종 수득하였다. 최종 결과물의 이소소르비드 디카프릴레이트 순도는 91%이었고, 이소소르비드 모노카프릴레이트 순도는 7%이었다. 최종 결과물의 황색도(YI)는 109.05이었으며, 이소소르비드 디카프릴레이트의 수율은 92%이었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결과를 하기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Figure 112014009295688-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응기 내를 불활성 가스로 치환하지 않거나(비교예 3 및 4), 활성탄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비교예 2 및 4)에는 최종 결과물의 색상이 매우 열악하였다. 또한, 불활성 가스 분위기 하에서 반응을 수행하였고 활성탄을 사용하였다 하더라도, 활성탄을 반응공정이 아닌 후처리 탈색 공정에서 사용한 비교예 1의 경우, 비교예 2~4에 비해서는 최종 결과물의 색상이 개선되었으나, 여전히 열악하였다. 반면, 불활성 가스 분위기 하에서 활성탄의 존재 하에 반응을 수행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소량의 활성탄 사용만으로도 황색도(YI)가 2.66으로 현저히 개선된 색상을 지닌 최종 결과물을 수득하였다.

Claims (14)

  1. 불활성 가스 분위기에서 활성탄 및 산 촉매의 존재하에 무수당 알코올과 카르복시산의 에스테르화 반응을 수행하며,
    여기서, 무수당 알코올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5 중량부의 활성탄이 사용되고,
    상기 산 촉매가 황산, 질산, 염산, p-톨루엔설폰산, 인산,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벤젠설폰산, 나프탈렌설폰산 및 황산알루미늄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무수당 알코올 디에스테르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무수당 알코올이 이소소르비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수당 알코올 디에스테르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불활성 가스가 질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수당 알코올 디에스테르의 제조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카르복시산이 직쇄상 또는 가지상의 C3-C20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또는 방향족 카르복시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수당 알코올 디에스테르의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무수당 알코올 1당량에 대하여 2당량 이하의 카르복시산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수당 알코올 디에스테르의 제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1) 용매, 무수당 알코올, 카르복시산, 활성탄 및 산 촉매를 반응기에 투입하는 단계; (2) 반응기 내부를 불활성 가스 분위기로 만드는 단계; 및 (3) 무수당 알코올과 카르복시산의 에스테르화 반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수당 알코올 디에스테르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용매가 자일렌, 톨루엔 및 벤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수당 알코올 디에스테르의 제조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에스테르화 반응의 결과 혼합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수당 알코올 디에스테르의 제조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에스테르화 반응의 결과 혼합물로부터 활성탄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수당 알코올 디에스테르의 제조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에스테르화 반응의 결과 혼합물로부터 산 촉매 및 미반응 카르복시산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수당 알코올 디에스테르의 제조 방법.
  13.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6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색상 개선을 위한 추가의 후처리 공정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수당 알코올 디에스테르의 제조 방법.
  14. 삭제
KR1020140010596A 2014-01-28 2014-01-28 색상이 개선된 무수당 알코올 디에스테르의 제조방법 KR101620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596A KR101620886B1 (ko) 2014-01-28 2014-01-28 색상이 개선된 무수당 알코올 디에스테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596A KR101620886B1 (ko) 2014-01-28 2014-01-28 색상이 개선된 무수당 알코올 디에스테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684A KR20150089684A (ko) 2015-08-05
KR101620886B1 true KR101620886B1 (ko) 2016-05-23

Family

ID=53886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596A KR101620886B1 (ko) 2014-01-28 2014-01-28 색상이 개선된 무수당 알코올 디에스테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088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684A (ko) 2015-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9127B1 (ko) 60%이상의 시스 디(c4-c20)알킬 시클로헥산-1,4-디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방법
KR101435640B1 (ko) 박막증류 및 단경로 증류의 순차적 조합을 이용한 고순도 무수당 알코올의 제조방법
KR101480849B1 (ko) 무수당 알코올의 제조방법
KR20140105185A (ko) 고분자성 반응 부산물의 생성이 감소된 무수당 알코올의 제조방법
KR20170070314A (ko) 무수당 알코올 에스테르의 개선된 제조방법
KR20140105189A (ko) 박막 증류기 내에서 반응과 증류를 동시에 수행하는 무수당 알코올의 제조방법
KR20170070313A (ko) 무수당 알코올 에스테르의 개선된 제조공정
KR20170065055A (ko) 무수당 알코올 에스테르의 개선된 제조방법
KR101631580B1 (ko) 공정 단순화를 통해 생산효율이 개선된 무수당 알코올의 제조방법
KR101435639B1 (ko) 다단 박막증류를 통한 고순도 무수당 알코올의 제조방법
KR101571511B1 (ko) 결정화 공정 폐기물의 정제물을 사용하여 수율을 항상시킨 고순도 무수당 알코올의 제조방법
KR101620886B1 (ko) 색상이 개선된 무수당 알코올 디에스테르의 제조방법
KR20140105193A (ko) 저급 증류물로부터 고순도의 무수당 알코올을 제조하는 방법
KR101455739B1 (ko) 결정화 공정 폐기물의 재증류물을 사용하여 수율을 항상시킨 고순도 무수당 알코올의 제조방법
KR101624569B1 (ko) 공정 단순화를 통해 생산효율이 개선된 고투명 무수당 알코올의 제조방법
KR101624567B1 (ko) 박막증류에 이은 컬럼증류를 채택한 단일 증류단계를 포함하는 고순도 무수당 알코올의 제조방법
KR101631583B1 (ko) 단순화된 반응 후처리 공정을 갖는 무수당 알코올의 제조방법
KR101688859B1 (ko) 색상이 개선된 무수당 알코올 에스테르 및 그 제조방법
KR101984830B1 (ko) 가소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07693B1 (ko)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114269A (ko) 색상이 개선된 무수당 알코올 에스테르 및 그 제조방법
KR102096256B1 (ko) 주석염 촉매를 이용한 무수당 알코올 에스테르 조성물의 제조 방법
JP6122505B2 (ja) 結晶化工程の廃棄物を使用して収率を向上した高純度無水糖アルコールの製造方法
KR101452903B1 (ko) 결정화 공정 폐기물의 재결정물을 사용하여 수율을 항상시킨 고순도 무수당 알코올의 제조방법
KR101475387B1 (ko) 점도 조절 첨가제를 사용하는 박막증류에 의한 고순도 무수당 알코올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