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9985B1 - 범퍼 커버용 토잉 후크 캡의 힌지 장치 - Google Patents

범퍼 커버용 토잉 후크 캡의 힌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9985B1
KR101619985B1 KR1020140167476A KR20140167476A KR101619985B1 KR 101619985 B1 KR101619985 B1 KR 101619985B1 KR 1020140167476 A KR1020140167476 A KR 1020140167476A KR 20140167476 A KR20140167476 A KR 20140167476A KR 101619985 B1 KR101619985 B1 KR 101619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cap
compression spring
hinge
bumper cov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노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40167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99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9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9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58Auxiliary devices
    • B60D1/60Covers, caps or guards, e.g. comprising anti-thef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58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58Auxiliary devices
    • B60D1/60Covers, caps or guards, e.g. comprising anti-theft devices
    • B60D1/605Protection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범퍼 커버에 대한 토잉 후크 캡의 개폐 구조를 압축 스프링과 이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유동형 힌지 구조로 구현함으로써 제품의 치수 불안정에 따른 조립 및 개폐작동의 오차를 배제하고 유동에 의한 이상 접촉으로부터 기인하는 노이즈의 발생을 억제하며 토잉 후크 캡의 개폐 조작감을 개선할 수 있는 범퍼 커버용 토잉 후크 캡의 힌지 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토잉 후크 캡의 힌지 장치는 범퍼 커버(10)에 구비되는 유동형 힌지부(50), 및 상기 유동형 힌지부(50)에 설치되어 상기 범퍼 커버(1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 스프링(70)을 포함하고, 상기 토잉 후크 캡(30)은 상기 유동형 힌지부(50)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시 상기 압축 스프링(70)에 의한 탄성력을 매개로 상기 범퍼 커버(10)에 밀착 지지된다.

Description

범퍼 커버용 토잉 후크 캡의 힌지 장치{Hinge device of towing hook cap for bumper cover}
본 발명은 자동차의 범퍼 커버용 토잉 후크 캡의 힌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견인시 범퍼 커버로부터 개방되는 토잉 후크 캡의 개폐 구조를 압축 스프링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유동형 힌지 구조로 변경함으로써 제품의 치수 불안정에 따른 조립 및 개폐 작동의 오차를 줄이고 부품 사이의 상대 유동에 의한 이상 접촉으로부터 기인하는 노이즈의 발생을 억제함과 더불어 토잉 후크 캡의 개폐를 위한 조작감을 개선할 수 있는 범퍼 커버용 토잉 후크 캡의 힌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잉 후크는 자동차의 견인을 목적으로 자동차의 전방 또는 후방 차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에 구비되는 것으로, 특히 토잉 후크가 범퍼 커버의 배면측에 위치할 경우 외부로의 노출을 제한하기 위한 토잉 후크 캡을 설치하게 된다.
일례로, 종래 등록실용신안 제20-0434576호에 개시된 자동차 범퍼의 토잉 후크 캡은 사각판재 형상의 후크 캡 몸체가 양측 돌출편에 형성된 힌지축을 매개로 범퍼커버 관통홀의 고정편에 형성된 축공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몸체의 돌출편과 관통홀의 고정편에는 몸체의 회동상태를 닫힘상태와 개방상태로 각각 유지하기 위한 반구형 돌기를 비롯하여 하부고정홈과 상부고정홈이 형성되어 있어, 후크 캡 개방 조작이 용이하고 개방시 후크 캡의 분실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견인 차량과 피견인 차량의 토잉 후크 연결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른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37888호의 자동차의 토잉 후크 캡 결합구조는 양측에 형성된 돌출부에 범퍼커버의 관통구멍 양측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리브의 가이드홀에 끼워져서 수직과 수평이동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토잉 후크 캡의 하단에 관통구멍의 하측부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결합되는 돌기부를 구비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토잉 후크 캡과 토잉 후크 캡이 장착되는 범퍼커버의 후크캡 장착부의 구조가 개선됨으로써, 토잉 후크 캡의 결합과 탈거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토잉 후크 캡의 간섭없이 토잉 후크의 연결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토잉 후크 캡은 범퍼 커버에 대해 단순히 힌지 구조로 개폐가 이루어지는 방식이기 때문에 각 부품의 제작시 공차의 허용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조립은 물론 개폐 작동에 어려울 뿐만 아니라 부품 사이의 상대 유동의 발생으로 인해 이상 접촉소음이 야기되는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종래 토잉 후크 캡의 개폐 구조는 대부분 상대 부품 사이의 억지 끼움에 의한 고정 구조를 채택하고 있으므로 개폐시 과도한 조작력 소요되므로 사용의 편의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고정력을 제공하는 부위가 마모될 경우 범퍼 커버에 대한 토잉 후크 캡의 지지력이 떨어지는 문제를 내재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4576호의 자동차 범퍼의 토잉 후크 캡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37888호의 자동차의 토잉 후크 캡 결합구조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안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범퍼 커버에 대한 토잉 후크 캡의 개폐 구조를 압축 스프링과 이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유동형 힌지 구조로 구현함으로써 제품의 치수 불안정에 따른 조립 및 개폐작동의 오차를 배제하고 유동에 의한 이상 접촉으로부터 기인하는 노이즈의 발생을 억제하며 토잉 후크 캡의 개폐 조작감을 개선할 수 있는 범퍼 커버용 토잉 후크 캡의 힌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범퍼 커버에 대해 토잉 후크 캡을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는 힌지 장치로서, 상기 범퍼 커버에 구비되는 유동형 힌지부, 및 상기 유동형 힌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범퍼 커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토잉 후크 캡은 상기 유동형 힌지부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시 상기 압축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을 매개로 상기 범퍼 커버에 밀착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유동형 힌지부는 상기 범퍼 커버의 배면에서 개구부의 측부에 위치하는 수용 몸체, 상기 수용 몸체에 형성되는 가이드 슬롯, 및 상기 토잉 후크 캡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 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수용 몸체는 상기 압축 스프링의 설치를 위한 고정용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용 돌기는 상기 수용 몸체 내에서 상기 압축 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면에 형성되며, 상기 압축 스프링은 상기 고정용 돌기와의 결합을 위한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수용 몸체는 상기 압축 스프링의 구속을 위한 삽입용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압축 스프링은 상기 삽입용 구멍에 결합되는 삽입 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가이드 슬롯은 상기 수용 몸체에 대해 상기 토잉 후크 캡의 설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힌지 몸체는 상기 가이드 슬롯에 삽입되는 힌지 축, 및 상기 토잉 후크 캡의 개폐시 상기 압축 스프링과 밀착되는 가압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 몸체는 상기 토잉 후크 캡의 폐쇄시 상기 압축 스프링과 밀착되는 제1접촉면, 및 상기 토잉 후크 캡의 개방시 상기 압축 스프링과 밀착되는 제2접촉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접촉면과 상기 제2접촉면은 상기 가압 몸체의 자유단부에서 상기 토잉 후크 캡의 개방각과 동일한 각도로 인접한 부위에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힌지 몸체는 일단부에 상기 수용 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압축 스프링의 측부를 구속하는 걸림 플랜지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범퍼 커버용 토잉 후크 캡의 힌지 장치는 범퍼 커버에 대한 토잉 후크 캡의 개폐 구조를, 도어 플레이트의 배면에 위치한 가압 몸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범퍼 커버의 수용 몸체에 설치되는 압축 스프링에 의한 유동형 힌지 구조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치수 불안정에 따른 조립 및 개폐 작동의 오차를 배제하고 유동에 의한 이상 접촉으로부터 기인하는 노이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토잉 후크 캡의 개폐 조작감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범퍼 커버용 토잉 후크 캡의 힌지 장치는 범퍼 커버에 대한 토잉 후크 캡의 개폐 구조가 유동형 힌지 구조에 따른 완전 이탈의 방식이 아니므로 토잉 후크 캡의 분실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방과 폐쇄시 기존의 억지 끼움방식에 의한 개폐 구조에 비해 조작력을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동차의 범퍼 커버용 토잉 후크 캡의 설치 상태를 정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토잉 후크 캡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동차의 범퍼 커버용 토잉 후크 캡의 설치 상태를 배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토잉 후크 캡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과 도 4에 각각 도시된 토잉 후크 캡의 배면측 힌지 몸체와 압축 스프링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퍼 커버용 토잉 후크 캡의 폐쇄시 힌지부위를 상세하게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동차의 범퍼 커버용 토잉 후크 캡의 개방 상태를 정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퍼 커버용 토잉 후크 캡의 개방시 힌지부위를 상세하게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동차의 범퍼 커버용 토잉 후크 캡의 설치 상태를 정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토잉 후크 캡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동차의 범퍼 커버용 토잉 후크 캡의 설치 상태를 배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토잉 후크 캡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과 도 4에 각각 도시된 토잉 후크 캡의 배면측 힌지 몸체와 압축 스프링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퍼 커버용 토잉 후크 캡의 힌지 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차체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위치하는 범퍼 커버(10), 상기 범퍼 커버(10)의 개구부(12)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조립되는 토잉 후크 캡(30), 상기 범퍼 커버(10)와 상기 토잉 후크 캡(30) 사이에 구비되는 유동형 힌지부(50), 및 상기 유동형 힌지부(50)에 설치되는 압축 스프링(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범퍼 커버(10)는 차체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부재이고, 상기 개구부(12)는 상기 범퍼 커버(10)의 전 부위 중에서 상기 토잉 후크 캡(30)의 개폐 설치를 위해 형성되는 국부적인 형태의 절개 부위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범퍼 커버(10)는 상기 개구부(12)의 내측부위에 상기 토잉 후크 캡(30)과의 접촉을 통해 상기 토잉 후크 캡(30)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하는 경사면(12a; 도 6 참조)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범퍼 커버(10)는 배면부위에서 상기 개구부(12)의 양쪽 측부로 상기 압축 스프링(70)의 설치를 위한 수용 몸체(14)를 형성한다.
즉, 상기 수용 몸체(14)는 상기 토잉 후크 캡(30)의 힌지부위를 내부에 설치하기 위해 전방을 향해 개방되는 조립 공간을 형성하는 부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 토잉 후크 캡(30)의 개폐시 상기 범퍼 커버(10)에 대한 상기 토잉 후크 캡(30)의 힌지부위의 전후방향 유동을 허용하기 위해 부재의 측부를 관통하는 형태의 가이드 슬롯(16)을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슬롯(16)은 상기 수용 몸체(14)의 일측에서 상기 범퍼 커버(10)에 대한 상기 토잉 후크 캡(30)의 설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용 몸체(14)는 상기 압축 스프링(70)의 지지를 위한 스프링 지지면(18), 상기 스프링 지지면(18)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압축 스프링(70)을 고정 설치하기 위한 고정용 돌기(20), 및 상기 스프링 지지면(18)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압축 스프링(70)의 일측 자유단부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삽입용 구멍(22)을 각각 형성한다.
상기 토잉 후크 캡(30)은 상기 범퍼 커버(10)의 개구부(12)에 개폐 가능하게 조립되는 도어 플레이트(32), 상기 도어 플레이트(32)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 몸체(14)의 내부 조립 공간으로 삽입되는 힌지 몸체(34), 상기 힌지 몸체(34)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용 몸체(14)의 가이드 슬롯(16)의 내부에 삽입되는 힌지 축(36), 및 상기 힌지 몸체(34)의 자유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토잉 후크 캡(30)의 개폐시 상기 압축 스프링(70)과 접촉하여 스프링에 의해 밀착 지지되는 가압 몸체(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가압 몸체(38)는 상기 토잉 후크 캡(30)의 폐쇄시 상기 압축 스프링(70)과 밀착되는 제1접촉면(38a), 및 상기 토잉 후크 캡(30)의 개방시 상기 압축 스프링(70)과 밀착되는 제2접촉면(38b)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1접촉면(38a)과 상기 제2접촉면(38b)은 상기 가압 몸체(38)의 자유단부에서 상기 토잉 후크 캡(30)의 개방각과 동일한 각도를 두고 상호 인접한 부위로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힌지 몸체(34)는 일단부에 상기 수용 몸체(14)의 내부에서 상기 압축 스프링(70)의 측부를 구속하는 걸림 플랜지(40)를 일체로 형성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범퍼 커버(10)의 개구부(12)와 상기 토잉 후크 캡(30)의 도어 플레이트(32)는 사각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나, 그 외 다양한 형태로 설정되어도 무방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유동형 힌지부(50)는 상기 수용 몸체(14), 상기 가이드 슬롯(16), 및 상기 힌지 몸체(3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용 몸체(14)는 상기 범퍼 커버(10)의 배면에서 상기 개구부(12)의 양쪽 측부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가이드 슬롯(16)은 상기 수용 몸체(14)를 관통하여 내부에 상기 힌지 축(36)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힌지 몸체(34)는 상기 토잉 후크 캡(30)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슬롯(16)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 축(36)을 포함하는 부재에 해당한다. 즉, 상기 토잉 후크 캡(30)은 상기 유동형 힌지부(50)를 매개로 상기 범퍼 커버(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개폐시 상기 압축 스프링(70)에 의한 탄성력을 매개로 상기 범퍼 커버(10)에 밀착 지지됨으로써, 상기 범퍼 커버(10)에 대한 상기 토잉 후크 캡(30)의 유동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압축 스프링(70)은 일측 자유단부에 상기 삽입용 구멍(22)과의 결합을 위한 삽입 돌기(72)를 형성하고, 타측 자유단부에 상기 고정용 돌기(20)와의 결합을 위해 부재를 관통하는 형태의 관통구멍(74)을 형성한다. 즉, 상기 압축 스프링(70)은 절곡부(76)를 중심으로 대략 U자 형상으로 구부러진 판 스프링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부재의 양측 자유단부에 각각 상기 삽입 돌기(72)와 상기 관통구멍(74)을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퍼 커버용 토잉 후크 캡의 폐쇄시 힌지부위를 상세하게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범퍼 커버(10)에 대해 상기 토잉 후크 캡(30)이 폐쇄된 상태에 위치할 경우, 상기 힌지 몸체(34)의 가압 몸체(38)는 상기 압축 스프링(70)으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힌지 축(36)은 상기 수용 몸체(14)의 가이드 슬롯(16) 내에서 전방측 선단부위에 걸림 지지를 받게 된다.(도 3 참조) 이 경우, 상기 압축 스프링(70)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탄성력을 제공받는 부위는 상기 가압 몸체(38)의 제1접촉면(38a)에 해당된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동차의 범퍼 커버용 토잉 후크 캡의 개방 상태를 정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퍼 커버용 토잉 후크 캡의 개방시 힌지부위를 상세하게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과 도 8을 참조로 하면, 상기 토잉 후크 캡(30)의 개방시 상기 도어 플레이트(32)의 하단부위를 상기 범퍼 커버(10)의 내측방향을 향해 밀게 되면, 상기 힌지 몸체(34)의 가압 몸체(38)는 상기 압축 스프링(70)을 수축시킨 상태에서 상기 힌지 축(36)은 상기 가이드 슬롯(16)을 따라 내측으로 전진하면서 상기 도어 플레이트(32)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도어 플레이트(32)의 회전이 완료되어 상기 토잉 후크 캡(30)의 개방이 종료되면, 상기 가압 몸체(38)의 제2접촉면(38b)은 상기 압축 스프링(70)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탄성력을 제공받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힌지 축(36)은 상기 수용 몸체(14)의 가이드 슬롯(16) 내에서 전방측 선단부위에 걸림 지지를 받게 된다.(도 3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은 견인시 상기 범퍼 커버(10)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토잉 후크 캡(30)의 힌지 구조를 상기 압축 스프링(70)에 의해 탄력 지지될 수 있는 유동형 힌지 구조로 구현함으로써 부품의 공차에 따른 제품의 치수 불안정시에도 조립 및 개폐 작동의 오차를 줄일 수 있게 되고, 부품 사이의 상대 유동에 의한 이상 접촉으로부터 기인하는 노이즈의 발생을 보다 적극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토잉 후크 캡(30)의 개폐시 조작감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범퍼 커버(10)의 수용 몸체(14)에 대한 상기 토잉 후크 캡(30)의 힌지 몸체(34)의 지지를 상기 압축 스프링(70)에 의한 탄성력을 매개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부품 사이의 상대 오차에 따른 유격 발생시에도 상기 범퍼 커버(10)에 대한 상기 토잉 후크 캡(30)의 유동을 보다 적극적으로 제한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주행 중 상기 범퍼 커버(10)의 개구부(12)에 대한 상기 토잉 후크 캡(30)의 이상 접촉에 의한 노이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범퍼 커버(10)에 대한 상기 토잉 후크 캡(30)의 개폐시 상기 압축 스프링(70)에 의한 탄성력을 매개로 절도감을 부여받을 수 있으므로 종래 억지 끼움방식에 의한 개폐 구조에 비해 조작력을 경감받을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범퍼 커버 12-개구부
14-수용 몸체 16-가이드 슬롯
18-스프링 지지면 20-고정용 돌기
22-삽입용 구멍 30-토잉 후크 캡
32-도어 플레이트 34-힌지 몸체
36-힌지축 38-가압 몸체
40-걸림 플랜지 50-유동형 힌지부
70-압축 스프링 72-삽입 돌기
74-관통구멍 76-절곡부

Claims (10)

  1. 자동차의 범퍼 커버(10)의 개구부(12)에 대해 토잉 후크 캡(30)을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는 힌지 장치로서,
    상기 범퍼 커버(10)의 배면에서 상기 개구부(12)의 측부에 위치하는 수용 몸체(14), 상기 수용 몸체(14)에 형성되는 가이드 슬롯(16), 및 상기 토잉 후크 캡(30)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슬롯(16)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 몸체(34)를 구비하는 유동형 힌지부(50); 및
    상기 유동형 힌지부(50)에 설치되어 상기 범퍼 커버(1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 스프링(70)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 몸체(14)는 상기 압축 스프링(70)의 설치를 위한 고정용 돌기(20)를 형성하며,
    상기 토잉 후크 캡(30)은 상기 유동형 힌지부(50)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시 상기 압축 스프링(70)에 의한 탄성력을 매개로 상기 범퍼 커버(10)에 밀착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 커버용 토잉 후크 캡의 힌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돌기(20)는 상기 수용 몸체(14) 내에서 상기 압축 스프링(70)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면(18)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 커버용 토잉 후크 캡의 힌지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축 스프링(70)은 상기 고정용 돌기(20)와의 결합을 위한 관통구멍(74)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 커버용 토잉 후크 캡의 힌지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 몸체(14)는 상기 압축 스프링(70)의 구속을 위한 삽입용 구멍(22)을 형성하고, 상기 압축 스프링(70)은 상기 삽입용 구멍(22)에 결합되는 삽입 돌기(7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 커버용 토잉 후크 캡의 힌지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롯(16)은 상기 수용 몸체(14)에 대해 상기 토잉 후크 캡(30)의 설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 커버용 토잉 후크 캡의 힌지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 몸체(34)는,
    상기 가이드 슬롯(16)에 삽입되는 힌지 축(36); 및
    상기 토잉 후크 캡(30)의 개폐시 상기 압축 스프링(70)과 밀착되는 가압 몸체(3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 커버용 토잉 후크 캡의 힌지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압 몸체(38)는,
    상기 토잉 후크 캡(30)의 폐쇄시 상기 압축 스프링(70)과 밀착되는 제1접촉면(38a); 및
    상기 토잉 후크 캡(30)의 개방시 상기 압축 스프링(70)과 밀착되는 제2접촉면(38b)을 구비하고,
    상기 제1접촉면(38a)과 상기 제2접촉면(38b)은 상기 가압 몸체(38)의 자유단부에서 상기 토잉 후크 캡(30)의 개방각과 동일한 각도로 인접한 부위에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 커버용 토잉 후크 캡의 힌지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힌지 몸체(34)는 일단부에 상기 수용 몸체(14)의 내부에서 상기 압축 스프링(70)의 측부를 구속하는 걸림 플랜지(40)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 커버용 토잉 후크 캡의 힌지 장치.
KR1020140167476A 2014-11-27 2014-11-27 범퍼 커버용 토잉 후크 캡의 힌지 장치 KR101619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476A KR101619985B1 (ko) 2014-11-27 2014-11-27 범퍼 커버용 토잉 후크 캡의 힌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476A KR101619985B1 (ko) 2014-11-27 2014-11-27 범퍼 커버용 토잉 후크 캡의 힌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9985B1 true KR101619985B1 (ko) 2016-05-12

Family

ID=56024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476A KR101619985B1 (ko) 2014-11-27 2014-11-27 범퍼 커버용 토잉 후크 캡의 힌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998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123B1 (ko) * 2001-12-24 2005-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필러 캡이 일체로 형성된 필러 도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123B1 (ko) * 2001-12-24 2005-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필러 캡이 일체로 형성된 필러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66293B2 (ja) 車両のリッド装置
RU250966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шарнир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щетки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я
RU2525505C1 (ru) Установоч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лючка зарядного окна
KR101636135B1 (ko) 자동차용 암레스트 힌지
EP3653425B1 (en) Lid device for vehicle
EP2940236B1 (en) Damper, striker assembly and vehicle
KR101619985B1 (ko) 범퍼 커버용 토잉 후크 캡의 힌지 장치
KR101601097B1 (ko) 배터리 단자용 케이스의 힌지 장치
KR101593043B1 (ko) 커버링 셀프의 힌지 장치
JP2018167833A (ja) 車両のリッド装置
KR101139818B1 (ko) 차량의 커버링 쉘프 힌지 브래킷
KR101199062B1 (ko) 차량용 커버링 쉘프 결합구조
KR102048825B1 (ko) 차일드 시트용 앵커 커버 장치
KR20100008581A (ko) 차량용 연료필러도어
KR100536608B1 (ko) 사이드 트림 및 셀프 트림 결합장치
JP2011201442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の組付構造
CN108368715B (zh) 包含双铰接声音衰减折片特征的门把手
KR101985483B1 (ko) 차량용 연료주입구 도어 구조
KR101340941B1 (ko) 힌지 조립체
KR101090071B1 (ko) 차량용 연료 필러 도어 장치
KR101985484B1 (ko) 차량용 연료주입구 도어 구조
KR101482773B1 (ko) 차량의 도어 키이 홀 커버 조립체
JPH0241256Y2 (ko)
JP2001339824A (ja) 電気接続箱
KR100623315B1 (ko) 버스용 연료주입구 도어의 개폐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