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8618B1 - 채광용 선박 및 이를 이용한 채광 시스템 - Google Patents

채광용 선박 및 이를 이용한 채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618B1
KR101618618B1 KR1020140027038A KR20140027038A KR101618618B1 KR 101618618 B1 KR101618618 B1 KR 101618618B1 KR 1020140027038 A KR1020140027038 A KR 1020140027038A KR 20140027038 A KR20140027038 A KR 20140027038A KR 101618618 B1 KR101618618 B1 KR 101618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ning
mineral
minerals
inlet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7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5544A (ko
Inventor
진용민
정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7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618B1/ko
Publication of KR20150105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5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sol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2003/147Moon-pools, e.g. for offshore drilling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021/003Mooring or anchor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025/025Vessels adapted for particular combinations of bulk cargo
    • B63B2025/027Ore-bulk-oil carri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Exploitation, And Mining Machines And Methods (AREA)

Abstract

채광용 선박이 개시된다. 채광용 선박은, 해저 광물의 채광용 선박에 있어서, 해저 광물을 채광하는 채광 설비와, 채광 설비가 위치하는 데크의 하부에 위치하며, 광물 수송선이 위치하는 인입부와, 인입부와 이격되어 위치하고, 채광된 광물이 저장되는 스토리지 탱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채광용 선박 및 이를 이용한 채광 시스템{MINING SHIP AND MINING SYSTEM USING 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채광용 선박에 저장된 광물을 광물 수송선에 효율적으로 이송하는 채광용 선박 및 이를 이용한 채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심해저의 광물을 채광하는 채광용 선박은 단순하게 광물의 채광 작업이 중요한 것이 아니고, 광물을 채광하고 이송하는 과정에서 친환경적인 선박이 요구된다. 또한, 채광용 선박은 채광한 광물을 광물 수송선에 이송하는 이송 설비가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채광용 선박은 채광한 광물을 광물 수송선에 안정적으로 이송하는 이송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구비하고 있지 않아, 광물 수송선에 광물을 이송하는 설비가 복잡하고 광물의 이송 과정에서 환경 오염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채광용 선박에서 광물을 광물 수송선으로 이송하는 과정을 최소한의 설비로 이송 작업을 진행하고, 광물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환경 오염을 방지하는 채광용 선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광용 선박은, 해저 광물의 채광용 선박에 있어서, 해저 광물을 채광하는 채광 설비와, 채광 설비가 위치하는 데크의 하부에 위치하며, 광물 수송선이 위치하는 인입부와, 인입부와 이격되어 위치하고, 채광된 광물이 저장되는 스토리지 탱크를 포함한다.
스토리지 탱크에는 인입부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되는 개폐부가 설치될 수 있다.
인입부는, 선박 상부의 데크와 선박의 저면 사이 부분에서 선박의 선수(船首) 부분에서 선미(船尾)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광시스템은, 해저 광물을 채광하는 채광 설비와 채광 설비가 위치하는 데크의 하부에 위치하는 인입부와, 인입부와 이격되어 위치하고, 채광된 광물이 저장되는 스토리지 탱크를 포함하는 채광선과, 채광선의 인입부에 위치하여 스토리지 탱크로부터 광물을 이송받고, 광물이 투입되는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덮개부가 설치되는 광물 수송선을 포함한다.
광물 수송선과 채광용 선박을 연결하는 계류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계류기는, 광물 수송선에 설치되며 로드에는 핀부재가 설치되는 실린더부재와, 채광용 선박에 설치되며 핀부재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소켓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채광용 선박에 채광 설비와 채광된 광물을 저장하는 복수개의 스토리지 탱크(110)를 함께 구비하고 스트리지 탱크(110)를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광물의 채광 작업과, 채광된 광물의 이송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채광용 선박의 내부에 광물 수송선이 위치한 상태에서 채광용 선박에 저장된 광물을 광물 수송선에 최소한의 설비를 이용하여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여, 효율적인 광물 이송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광물을 채광용 선박에서 광물 수송선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신속한 이송이 가능하여 환경 오염의 방지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광용 선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채광용 선박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채광용 선박의 선수 부분을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스토리지 탱크에서 광물 수송선으로 광물이 투입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광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광물 수송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광물 수송선과 채광용 선박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계류기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광용 선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채광용 선박의 평면도이고, 도 3은 채광용 선박의 선수 부분을 바라본 도면으로 광물 수송선이 인입부에 위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광용 선박(200)은, 해저 광물을 채광하는 채광 설비(101)와, 채광 설비(101)가 위치하는 데크의 하부에 위치하고, 광물 수송선(120)을 수용하는 인입부(107)와, 인입부(107)와 이격되어 위치하고 채광된 광물이 저장되는 스토리지 탱크(110)를 포함한다.
채광용 선박(200)은 선박의 데크(103)의 상측으로 광물의 채광을 위한 라이저 및 채광 설비(101)가 설치된다. 라이저(미도시)는 선박의 데크(103)의 상측에서 라이저 랙(109)에 적재된다. 본 실시예에서 채광용 선박(200)은 바지선(barge)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채광용 선박(200)이 바지선 타입으로 적용되는 것은 광물의 채광시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채광용 선박(200)은 바지선 타입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채광 설비가 설치될 수 있는 통상의 선박도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광용 선박(200)에는 인입부(107)가 형성된다. 인입부(107)는 채광용 선박(200)의 선수(船首, 102) 부분으로부터 선미(船尾, 104)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인입부(107)는 채광용 선박(200)의 선수(102) 부분에서 선미(104) 방향을 따라 선체의 내부 방향으로 광물 수송선(120)이 위치 가능한 정도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인입부(107)는 선수(102) 부분과 선미(104) 부분을 관통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인입부(107)는 채광용 선박(200)이 해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해수면(106)이 인입부(107)의 내부에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채광용 선박(200)이 해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해수면(106)이 인입부(107)의 내부에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은 광물 수송선(120)이 채광용 선박(200)의 인입부(107)의 내부로 부력으로 뜬 상태로 위치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인입부(107)와 채광용 선박(200)의 데크(103) 사이 부분에는 스토리지 탱크(110)가 설치된다.
스토리지 탱크(110)는 채광된 광물을 저장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광물 수송선(120)으로 광물을 이송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스토리지 탱크에서 광물 수송선으로 광물이 투입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리지 탱크(110)는 채광용 선박(200)의 인입부(107)와 데크(103)의 사이 위치에서 선체의 내부에 복수개로 설치된다. 스토리지 탱크(110)는 채광용 선박(200)에서 채광된 광물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체의 내부에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스토리지 탱크(110)는 인입부(107)를 향하는 저면에는 개폐부(111)가 설치되어 광물(108)의 배출을 위해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스토리지 탱크(110)의 저면이 개폐부(111)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은, 스토리지 탱크(110)에 저장된 광물(108)을 광물 수송선(120)으로 이송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광용 선박에는 채광 설비(101)와 채광된 광물을 저장하는 복수개의 스토리지 탱크(110)를 함께 구비하고, 스트리지 탱크(110)를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하게 설치하여, 광물의 채광 작업과, 채광된 광물의 이송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광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기능의 동일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광 시스템(300)은, 인입부(107)가 형성된 채광 선박(200)과, 채광 선박(200)의 인입부(107)에 선택적으로 위치하여 광물을 이송 받는 광물 수송선(120)을 포함한다.
채광 선박(200)은 해저 광물을 채광하는 채광 설비(101)와, 채광 설비(101)가 위치하는 데크의 하부에 위치하며 광물 수송선(120)이 위치하는 인입부(107)와, 인입부(107)와 이격되어 위치하고 채광된 광물이 저장되는 스토리지 탱크(110)를 포함한다.
도 6은 광물 수송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물 수송선(120)은, 채광용 선박(300)의 인입부(107) 위치에 위치하여 채광된 광물을 저장하여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물 수송선(120)에는 광물을 저장한 상태로 상부를 덮는 덮개부(121)가 설치된다.
덮개부(121)는 일측 가장자리 부분이 광물 수송선(1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오픈 타입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덮개부(121)는 오픈 타입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광물 수송선(120)의 저장부(122)를 슬라이딩 타입으로 폐쇄 또는 개방 하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광물 수송선(120)은 채광용 선박(300)에 계류기(230)를 이용하여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도 7은 광물 수송선과 채광용 선박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계류기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류기(230)는, 광물 수송선(120)에 설치되는 실린더부재(231)와, 채광용 선박(300)의 인입부(107)에 설치되는 소켓부재(233)를 포함한다.
실린더부재(231)는 몸체 부분은 광물 수송선(120)에 설치되고, 로드(232)는 광물 수송선(120)의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로드(232)의 단부에는 소켓부재(233)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핀부재(234)가 설치된다. 핀부재(234)는 실린더부재(231)의 작동에 따라 광물 수송선(120)의 외측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채광용 선박(300)의 인입부(107) 위치에 설치되는 소켓부재(233)에 체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실린더부재(231)는 광물 수송선(120)의 가장자리에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린더부재(231)는 광물 수송선(120)의 데크 상부의 일측에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설치되고, 광물 수송선(120)의 데크 상부의 타측에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실린더부재(231)가 복수개로 설치되는 것은 광물 수송선(120)을 채광용 선박(300)의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계류시키기 위한 것이다.
소켓부재(233)는 채광용 선박(300)의 인입부(107)의 내부에서 실린더부재(231)의 설치된 개수에 대응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개로 설치된다. 소켓부재(233)가 채광용 선박(300)에 설치됨으로써, 실린더부재(231)의 작동에 따라 핀부재(234)가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여 채광용 선박(300)과 광물 수송선(120)의 이동 특성을 일치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안정적인 계류 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채광용 선박(300)에서 채광되어 스토리지 탱크(110)에 저장된 광물은 스토리지 탱크(110)의 개방만으로 광물 수송선(120)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여, 광물의 효율적인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100...채광용 선박 101...채광 설비
102...선수 104...선미
103...데크 107...인입부
110...스토리지 탱크 111...개폐부
120...광물 수송선 121...덮개부
122...저장부 230...계류기
231...실린더부재 233...소켓부재
234...핀부재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해저 광물을 채광하는 채광 설비와, 상기 채광 설비가 위치하는 데크의 하부에 위치하는 인입부와, 상기 인입부와 이격되어 위치하고, 채광된 광물이 저장되는 스토리지 탱크를 포함하는 채광선;
    상기 채광선의 상기 인입부에 위치하여 상기 스토리지 탱크로부터 광물을 이송받고, 상기 광물이 투입되는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덮개부가 설치되는 광물 수송선; 및
    상기 광물 수송선과 상기 채광용 선박을 연결하는 계류기;
    를 포함하고,
    상기 계류기는,
    상기 광물 수송선에 설치되며 로드에는 핀부재가 설치되는 실린더부재 및상기 채광용 선박에 설치되며 상기 핀부재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소켓부재를 포함하는 채광 시스템.
  5. 삭제
  6. 삭제
KR1020140027038A 2014-03-07 2014-03-07 채광용 선박 및 이를 이용한 채광 시스템 KR101618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038A KR101618618B1 (ko) 2014-03-07 2014-03-07 채광용 선박 및 이를 이용한 채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038A KR101618618B1 (ko) 2014-03-07 2014-03-07 채광용 선박 및 이를 이용한 채광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5544A KR20150105544A (ko) 2015-09-17
KR101618618B1 true KR101618618B1 (ko) 2016-05-10

Family

ID=54244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038A KR101618618B1 (ko) 2014-03-07 2014-03-07 채광용 선박 및 이를 이용한 채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61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867B1 (ko) 2006-07-28 2007-12-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재기화 선박에 설치되는 부이 위치 검출장치 및검출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867B1 (ko) 2006-07-28 2007-12-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재기화 선박에 설치되는 부이 위치 검출장치 및검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5544A (ko) 2015-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5614B2 (en) Measurement system for aquatic environments comprising a surface vessel and a submersible device
MY192128A (en) Method using a floatable offshore depot
EP2465764B1 (en) Spar hull load out method
KR101138767B1 (ko) 부유식 lng 저장선
KR101618618B1 (ko) 채광용 선박 및 이를 이용한 채광 시스템
KR101258925B1 (ko) 덕트킬을 이용한 화물하역장치를 갖는 선박
KR20180012003A (ko) 작업용 플랫폼을 구비하는 수리용 부선거
KR101170388B1 (ko) 문풀의 조파저항 저감 및 쇄파 장치
KR20160033420A (ko) 적하역 모듈
KR101580976B1 (ko) 채광선
KR20150049808A (ko) 바지선을 이용한 해상구조물 진수공법
KR20160017765A (ko) 선박용 벙커링 시스템
KR20180012001A (ko) 생산물 하역용 커넥터를 구비하는 수리용 부선거
KR20170000688U (ko)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
KR101816444B1 (ko) 수리용 부선거
KR20180051849A (ko) 플로터의 갑판상부 오·폐수 배수가 가능한 수리용 부선거
KR20170019958A (ko) 해상 구조물의 접안 장치
KR101827151B1 (ko) 수리용 부선거
KR20160012442A (ko) 드릴쉽
KR101751849B1 (ko) 해상 부유물
KR20160000496U (ko) 드릴쉽
KR200454660Y1 (ko) 잠수식 중화물 운반선의 반건조선용 밸러스팅 장치
WO2019123639A1 (ja) 貨物船
KR101563719B1 (ko) 해저광물 채굴용 해상구조물
KR101607837B1 (ko) 해상저장설비 및 이를 이용한 오일이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