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3719B1 - 해저광물 채굴용 해상구조물 - Google Patents

해저광물 채굴용 해상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3719B1
KR101563719B1 KR1020130142441A KR20130142441A KR101563719B1 KR 101563719 B1 KR101563719 B1 KR 101563719B1 KR 1020130142441 A KR1020130142441 A KR 1020130142441A KR 20130142441 A KR20130142441 A KR 20130142441A KR 101563719 B1 KR101563719 B1 KR 101563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neral
floating body
carrier
submarine
unders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2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9004A (ko
Inventor
진양수
주경환
최규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2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3719B1/ko
Publication of KR20150059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9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3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3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9Other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involving an intermittent action, not provided in groups B63B27/04 - B63B27/1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2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onveyers, e.g. of endless-belt or screw-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CMINING OR QUARRYING
    • E21C50/00Obtaining minerals from underwa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Drilling And Exploitation, And Mining Machines And Methods (AREA)

Abstract

해저광물 채굴용 해상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저광물 채굴용 해상구조물은, 양광된 해저광물을 내부에 저장하도록 해저광물 저장부를 포함하는 부유식 바디와, 운반선으로 해저광물이 하역되도록 부유식 바디에 형성되는 운반선 접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저광물 채굴용 해상구조물{OFFSHORE STRUCTURE FOR EXTRACTION OF SEABED MINERALS}
본 발명은 해저광물 채굴용 해상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세계 각국은 천연자원 특히 광물자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수 많은 인력과 자본을 투자하고 있다.
특히 지상의 광물자원이 고갈됨에 따라 해상으로 눈을 돌리고 있으며 심지어는 이로 인해 영토분쟁까지 벌이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해상의 광물자원 중 대표적인 것이 열수광상과 망간단괴(nodule)이며, 이들은 수심이 1,000m 이상의 심해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 여기서 망간단괴는 태평양의 Clarion-Clipperton 해역의 수심 5,000m 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따라서 심해에서 망간단괴를 채취하기 위해서 채굴(Mining), 양광(Nodule Lifting)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해저광물은 주로 고체상으로 존재하는데 이를 해저에서 채취하여 육상으로 운반하기 위한 새로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37705호(2013.04.16.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해저광물의 하역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해저광물 채굴용 해상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양광된 해저광물을 내부에 저장하도록 해저광물 저장부를 포함하는 부유식 바디; 및 운반선으로 상기 해저광물이 하역되도록 상기 부유식 바디에 형성되는 운반선 접안부를 포함하는 해저광물 채굴용 해상구조물이 제공된다.
상기 운반선 접안부는 상기 운반선을 상기 부유식 바디의 내측에 수용 가능하도록 상기 부유식 바디의 측면에서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운반선 접안부는 상기 운반선을 상기 부유식 바디의 내측에 수용 가능하도록 상기 부유식 바디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해저광물 채굴용 해상구조물은 상기 부유식 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해저광물을 운반선으로 하역하는 해저광물 하역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저광물 하역장치는, 상기 운반선 접안부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운반선으로 상기 해저광물을 투하하는 해저광물 투하부; 및 상기 해저광물 투하부와 상기 해저광물 저장부 사이를 연결하는 해저광물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유식 바디는 해수면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실린더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해저광물 저장부는 상기 부유식 바디의 상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부유식 바디는 해수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박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해저광물 저장부는 상기 부유식 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해저광물 채굴용 해상구조물은 상기 부유식 바디에서 해저 방향으로 연장되어 해저의 해저광물을 상기 부유식 바디로 양광하는 해저광물 양광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저화물은 고체상의 해저광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양광된 해저광물을 운반선 또는 육상으로 바로 하역할 수 있도록 해저광물의 이동성을 높임으로써 해저광물의 하역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해저광물 채굴용 해상구조물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해저광물 채굴용 해상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해저광물 채굴용 해상구조물을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해저광물 채굴용 해상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해저광물 채굴용 해상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저광물 채굴용 해상구조물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해저광물 채굴용 해상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해저광물 채굴용 해상구조물을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해저광물 채굴용 해상구조물(1000)는 해저광물 저장부(110)를 포함하는 부유식 바디(100) 및 이러한 부유식 바디(100)에 구비되어 해저광물(10)을 운반선(20)으로 낙하 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하역할 수 있는 운반선 접안부(200)를 포함한다.
해저광물 저장부(110)은 해저에서 해상의 부유식 바디(100)로 양광(Nodule Lifting)된 해저광물(10)들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의 해저광물(10)은 예를 들어 영수광상이나 망간단괴와 같은 고체상의 해저광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해저광물(10)은 해저광물 채굴용 해상구조물(1000)의 해저광물 양광장치(300)을 이용하여 해상으로 끌어올리더라도 육상으로 운송하기 위해서는 해저광물 채굴용 해상구조물(1000)에서 별도의 운반선(20))으로의 하역작업 또는 해저광물 채굴용 해상구조물(1000)에서 육상으로의 하역작업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열수광상이나 망간단괴와 같은 해저광물(10)은 천연가스나 원유와 같은 기체 또는 유체상의 화물과 달리 고체상의 단단한 덩어리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고체상 덩어리들은 여러 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특성상 한번에 운반선(20)으로 또는 육상(미도시)으로 하역하는 것이 쉽지 않다.
이로 인해, 해저광물(10)의 하역작업은 스쿠퍼(scooper) 또는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해저광물 채굴용 해상구조물에서 운반선(20)으로 또는 육상으로 일일이 해저광물(10) 덩어리들을 이동시키는 작업이 요구된다. 이러한 작업은 고도의 숙련도를 갖는 작업자와 그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을 요구하는 작업이다.
또한, 열수광상이나 망간단괴와 같은 해저광물(10)은 경도가 높은 단단한 물질로 이루어진 경우가 일반적이기 때문에 하역 작업시 마찰로 인해 장비를 마모시키거나 파손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해저광물(10)을 하역하기 위해 해저광물(10)을 스쿠퍼나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일일이 이동시킬 필요 없이, 양광된 해저광물(10)을 운반선(20)으로 바로 하역할 수 있도록 해저광물(10)의 이동성을 높임으로써 해저광물(10)의 하역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스쿠퍼 등의 하역장비를 이용하여 해저광물(10)을 퍼서 하역하는 방식에 비해 해저광물(10)을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운반선(20)이나 육상으로 하역할 수 있다. 또한, 스쿠퍼 등의 대형장비가 생략됨에 따라 고도의 숙련도를 갖는 작업자가 필요 없어 하역작업의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해저광물 채굴용 해상구조물(1000)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식 바디(100)에는 해저광물 저장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는, 부유식 바디(100)의 가상의 상하 중심축 영역에 예를 들어 라이저(410) 등과 같은 해저광물 양광장치(400)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홀, 즉 문풀(12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저광물 저장부(110)은 이러한 문풀(120)을 중심으로 그 외측 영역에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해저광물 저장부(110)는 부유식 바디(100)의 가상의 상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바디(100)는 해수면에 대해 그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실린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실시예의 경우는 부유식 바디(100)가 원통형의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부유식 바디(100)의 형태는 이외에도 예를 들어 다각형 실린더 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저광물 저장부(110)는 문풀(12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해저광물 저장부(110)가 문풀(120)로부터 동일한 이격 거리 상에 배치됨으로써, 문풀(120)을 통과하는 라이저(410)를 통해 양광된 해저광물(10)이 각각의 해저광물 저장부(110)로 보다 신속하게 분배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부유식 바디(100)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문풀(120)을 기준으로 360도 모든 방향에서 부유식 바디(100)를 향해 외력(예를 들어 파력)이 작용하더라도 부유식 바디(100)가 일정한 패턴으로 반응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해상 환경에서 부유식 바디(100)의 횡동요 등을 미리 해석하기 용이하여 다이나믹포지셔닝(Dynamic Positioning, or DP)을 수행할 때 부유식 바디(100)의 안정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운반선 접안부(200)는 부유식 바디(100)에서 별도의 운반선(20)으로 해저광물(10)을 낙하 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하역할 수 있도록 부유식 바디(100)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이다.
구체적으로, 운반선 접안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운반선(20)이 하역을 위한 접안(berthing)을 위해 부유식 바디(100)의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운반선 접안부(200)는 운반선(20)을 부유식 바디(100)의 내측으로 수용 가능하도록 부유식 바디(100)의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운반선 접안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면에 평행하도록 부유식 바디(100)의 측면부(외측면)에서 내측방향으로 오목(凹)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는 운반선 접안부(200)가 부유식 바디(100)의 측면부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즉, 운반선 접안부(200)는 부유식 바디(100)의 측면부에서 그 가상의 상하 중심축 영역인 문풀(120)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간 환형의 홈(즉, 도 1을 상측에서 내려다볼 때 띠 모양의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유식 바디(100)의 측면부 둘레를 따라 운반선 접안부(200)가 오목하게 형성됨으로써, 복수의 운반선(20)을 부유식 바디(100)에 동시에 접안 가능하며, 운반선(20)이 부유식 바디(100)의 내측에 수용됨에 따라 부유식 바디(100)가 운반선(20)을 외력(예를 들어 파력이나 풍력)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어 해저광물(10)의 하역작업을 보다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해저광물 채굴용 해상구조물(1000)은 해저광물 하역장치(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저광물 하역장치(300)는 부유식 바디(100)에 설치되어 해저광물 저장부(110) 내의 해저광물(10)을 운반선(20) 측으로 하역할 수 있는 장치로 해저광물 투하부(310)와 해저광물 이송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해저광물 투하부(310)는 운반선 접안부(20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그 하측에 위치하는 운반선(20)으로 해저광물(10)을 투하할 수 있다.
또한, 해저광물 이송부(320)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저광물 투하부(310)와 해저광물 저장부(110) 사이를 연결함으로써 해저광물(10)을 이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해저광물 투하부(310)는 해저광물 저장부(110)의 개수에 상응하여 설치될 수 있다. 해저광물 투하부(310)에는 예를 들어 하측으로 투하되는 해저광물(10)의 투하량을 제어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제어밸브(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해저광물 투하부(310)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노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해저광물 투하부(310)의 배출 각도를 제어함으로써 해저광물(10)의 투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해저광물 투하부(310)는 해저광물 이송부(320)의 끝단부에 중심점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360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해저광물 이송부(320)는 해저광물(10)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해저광물 투하부(310)와 해저광물 저장부(110) 간을 연결하는 이송 라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비록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러한 이송 라인은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저광물 저장부(110)가 해저광물 투하부(310)의 상측에 위치함에 따라, 해저광물 이송부(320)는 별도의 동력장치를 구비할 필요 없이 해저광물(10)을 중력에 의한 자유낙하 방식으로 이송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하나의 해저광물 투하부(310)를 복수의 해저광물 저장부(110)가 공유하는 경우(도 2 참조), 각각의 해저광물 저장부(110) 내의 해저광물(10)을 상기 하나의 해저광물 투하부(310)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해저광물 이송부(320)는 이들 간을 연결하는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일 수 있다.
이 경우,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은 각각의 해저광물 저장부(110)의 하측을 따라 수평방향(해수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해저광물 저장부(110) 내의 해저광물(10)들은 이러한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을 통해 해저광물 투하부(310)로 이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해저광물(10)을 하역하기 위해 해저광물(10)을 스쿠퍼나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일일이 하역시킬 필요 없이, 양광된 해저광물(10)을 운반선(20)으로 바로 하역할 수 있도록 해저광물(10)의 이동성을 높임으로써 해저광물(10)의 하역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스쿠퍼 등의 하역장비를 이용하여 해저광물(10)을 퍼서 하역하는 방식에 비해 해저광물(10)을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운반선(20)이나 육상(미도시)으로 하역할 수 있다. 또한, 스쿠퍼 등의 대형장비가 생략됨에 따라 고도의 숙련도를 갖는 작업자가 필요 없어 하역작업의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해저광물 채굴용 해상구조물(1000)는 부유식 바디(100)에서 해저 방향으로 연장되어 해저의 해저광물(10)을 부유식 바디(100)로 끌어올릴 수 있는 해저광물 양광장치(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해저광물 양광장치(300)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저(riser, 410)와 마이너(miner, 4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해저광물 양광장치(300)는 마이너(420)가 채집한 해저광물(10)을 수면 위로 운반하는 컨테이너(미도시)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해저광물 채굴용 해상구조물(20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해저광물 채굴용 해상구조물(1000)과 동일 또는 상응하여 중복되는 부분은 구체적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형태를 갖는 운반선 접안부(200)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운반선 접안부(200)는 운반선(20)을 부유식 바디(100)의 내측으로 수용 가능하도록 부유식 바디(10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운반선 접안부(200)는 해수면에 평행하게 부유식 바디(100)를 관통하는 터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는 운반선 접안부(200)가 부유식 바디(100)의 가상의 상하 중심축 영역, 즉 문푼(120)을 기준으로 그 양측에 각각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부유식 바디(100)의 측면부를 관통하도록 운반선 접안부(200)가 형성됨으로써, 복수의 운반선(20)가 부유식 바디(100)에 동시에 접안할 수 있다. 또한, 운반선(20)이 부유식 바디(100)의 내측에 수용됨에 따라 부유식 바디(100)가 운반선(20)을 외력(예를 들어 파력이나 풍력)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어 해저광물(10)의 하역작업을 보다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해저광물 채굴용 해상구조물(30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해저광물 채굴용 해상구조물(1000, 2000)과 동일 또는 상응하여 중복되는 부분은 구체적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형태를 갖는 부유식 바디(100)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바디(100)는 해수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박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유식 바디(100)는 문풀(120)을 중심으로 그 양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드릴쉽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복수의 해저광물 저장부(110)는 부유식 바디(100)의 형상에 상응하여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운반선 접안부(200)는 해수면에 평행하게 부유식 바디(100)를 관통하는 터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운반선 접안부(200)는 부유식 바디(100)의 형상에 상응하여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 있다.
또한, 해저광물 이송부(320)는 해저광물(10)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해저광물 투하부(310)와 해저광물 저장부(110) 간을 연결하는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운반선 접안부(200)가 부유식 바디(100)의 측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복수의 운반선(20)가 부유식 바디(100)에 동시에 접안할 수 있다. 또한, 운반선(20)이 부유식 바디(100)의 내측에 수용됨에 따라 부유식 바디(100)가 운반선(20)을 외력(예를 들어 파력이나 풍력)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어 해저광물(10)의 하역작업을 보다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해저광물 채굴용 해상구조물은, 해저광물(10)의 채굴과 동시에 저장과 하역이 동시에 이루어짐으로써 해저광물(10)의 하역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0, 2000, 3000: 해저광물 채굴용 해상구조물
10: 해저광물 20: 운반선
100: 부유식 바디 110: 해저광물 저장부
120: 문풀 200: 운반선 접안부
300: 해저광물 하역장치 310: 해저광물 투하부
320: 해저광물 이송부 400: 해저광물 양광장치
410: 라이저 420: 마이너

Claims (9)

  1. 양광된 해저광물을 내부에 저장하도록 해저광물 저장부를 포함하는 부유식 바디; 및
    운반선으로 상기 해저광물이 하역되도록 상기 부유식 바디에 형성되는 운반선 접안부를 포함하되,
    상기 부유식 바디는 해수면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실린더 형상을 포함하며,
    상기 해저광물 저장부는 상기 부유식 바디의 상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해저광물 채굴용 해상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선 접안부는 상기 운반선을 상기 부유식 바디의 내측에 수용 가능하도록 상기 부유식 바디의 측면에서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홈 형태로 형성되는, 해저광물 채굴용 해상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선 접안부는 상기 운반선을 상기 부유식 바디의 내측에 수용 가능하도록 상기 부유식 바디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해저광물 채굴용 해상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해저광물을 운반선으로 하역하는 해저광물 하역장치를 더 포함하는, 해저광물 채굴용 해상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해저광물 하역장치는,
    상기 운반선 접안부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운반선으로 상기 해저광물을 투하하는 해저광물 투하부; 및
    상기 해저광물 투하부와 상기 해저광물 저장부 사이를 연결하는 해저광물 이송부를 포함하는, 해저광물 채굴용 해상구조물.
  6. 삭제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바디는 해수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박 형상을 포함하며,
    상기 해저광물 저장부는 상기 부유식 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해저광물 채굴용 해상구조물.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바디에서 해저 방향으로 연장되어 해저의 해저광물을 상기 부유식 바디로 양광하는 해저광물 양광장치를 더 포함하는, 해저광물 채굴용 해상구조물.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저광물은 고체상의 해저광물을 포함하는, 해저광물 채굴용 해상구조물.
KR1020130142441A 2013-11-21 2013-11-21 해저광물 채굴용 해상구조물 KR101563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441A KR101563719B1 (ko) 2013-11-21 2013-11-21 해저광물 채굴용 해상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441A KR101563719B1 (ko) 2013-11-21 2013-11-21 해저광물 채굴용 해상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004A KR20150059004A (ko) 2015-05-29
KR101563719B1 true KR101563719B1 (ko) 2015-10-27

Family

ID=53393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441A KR101563719B1 (ko) 2013-11-21 2013-11-21 해저광물 채굴용 해상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371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1075A1 (en) 2011-06-17 2012-12-20 Nautilus Minerals Pacific Pty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eafloor stockpil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1075A1 (en) 2011-06-17 2012-12-20 Nautilus Minerals Pacific Pty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eafloor stockp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004A (ko) 2015-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6307B1 (ko) 해저 채광을 위한 시스템
US8052369B2 (en) Device for storing tubulars and devices for handling of tubulars
CN105378187B (zh) 深海开采方法以及深海开采系统
KR101980221B1 (ko) 해저 채광을 위한 분리 가능한 방법 및 시스템
AU2015262042B2 (en) Decoupled seafloor mining system
CN104326065A (zh) 海上钻探船
KR20150140757A (ko) 해저 수직 호이스팅 시스템 및 방법
CN105555656A (zh) 用于部署物体至海底的设备和方法
Liu et al. Development of mining technology and equipment for seafloor massive sulfide deposits
CN103911999A (zh) 物料回填系统
KR101563719B1 (ko) 해저광물 채굴용 해상구조물
KR101258925B1 (ko) 덕트킬을 이용한 화물하역장치를 갖는 선박
KR20120067072A (ko) 해저광물 채취방법
KR101580974B1 (ko) 해저광물 채취용 장치
KR20150104872A (ko) 해저광물 채굴용 해상구조물
KR101732521B1 (ko) 라이저 적재 및 이송 장치
KR20170127836A (ko) 해저 광물 채굴용 리프팅 장치
JP6201094B1 (ja) 海底資源採掘システム
KR101580976B1 (ko) 채광선
US9650118B2 (en) Underwater transport module
KR101519532B1 (ko) 해양구조물의 드릴링 절단물 처리시스템
Flipse An engineering approach to ocean mining
KR20150023179A (ko) 고체화물 하역장치
KR20150030940A (ko) 해저광물 분리 장치
RU2533473C1 (ru) Подводная буровая установ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