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7879B1 - 이끼가 자라는 친환경 인공암 및 이를 이용한 인공폭포 - Google Patents

이끼가 자라는 친환경 인공암 및 이를 이용한 인공폭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7879B1
KR101617879B1 KR1020150141669A KR20150141669A KR101617879B1 KR 101617879 B1 KR101617879 B1 KR 101617879B1 KR 1020150141669 A KR1020150141669 A KR 1020150141669A KR 20150141669 A KR20150141669 A KR 20150141669A KR 101617879 B1 KR101617879 B1 KR 101617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weight
parts
eco
porous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1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상
박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림랜드
박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림랜드, 박창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림랜드
Priority to KR1020150141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78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7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7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Abstract

본 발명은 이끼가 자라는 친환경 인공암 및 이를 이용한 인공폭포에 관한 것으로서, 인공암의 기본 조형을 이루는 뼈대 및 내부보강부재가 되며, 바위(rock) 형상을 갖게 하기 위한 조형틀(110); 상기 조형틀(110)을 감싸도록 충전되어 블럭체로 형성되고, 상기 조형틀(110)을 매개로 결합 및 경화되어 바위(rock) 형상으로 성형 구비되는 콘크리트블럭(120); 상기 콘크리트블럭(120)의 외면으로 결합되어 표면층을 형성하도록 구비되고, 다공성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다공성구조층(130); 을 포함하되, 상기 콘크리트블럭(120)은 시멘트에 다공질 ALC(경량기포콘크리트)재료 및 중금속 안정화제 등을 포함하는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공성구조층(130)은 다공질 ALC(경량기포콘크리트)재료에 소성 규조토와 중금속 안정화제 및 셀룰로즈섬유 등을 포함하는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강도와 내구성을 유지하면서도 유해한 물질이 유출되지 않는 등 친환경성을 추구할 수 있으며, 내부 다공성 구조 및 외부 확대된 다공성 구조와 더불어 무기질재료에 의한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어 이끼나 식물의 용이한 정착 및 성장을 가능하게 하며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끼가 자라는 친환경 인공암 및 이를 이용한 인공폭포{Eco-Friendly Artificial Rock Structure and Artificial falls using This}
본 발명은 이끼가 자라는 친환경 인공암 및 이를 이용한 인공폭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도와 내구성을 유지하면서도 식물 등에 유해한 물질들이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등 친환경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하며, 친환경재료를 활용한 다공성 구조를 갖도록 함과 더불어 모세관 현상을 통한 수분 공급이 원활하도록 구성 및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함으로써 표면에 이끼가 자라나게 하는 등 식생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 인공암 및 이를 이용한 인공폭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심에서도 자연 환경의 경관 연출을 위하여 인공암 등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인공암을 이용하여 인공폭포를 조성하는 등 도심 내 환경 개선을 도모하고 있다.
상기 인공암은 사람이 인공적으로 만든 바위를 의미하는 것는 것으로서, 각종 야외에 설치됨은 물론 건물의 실내외 등에도 설치되고 있다.
부연하여, 상기 인공암은 도시화된 사회에서 자연을 접하기 어려운 도시인의 휴식공간을 연출하는데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자연의 경관을 연출하고자 하는 골프장, 분수대, 동물원, 테마파크 등지에도 보급되고 있으며, 그 사용범위가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인공암은 종래에 주로 유리섬유강화 시멘트(Glassfiber Reinforced Cement)로 많이 형성하였으며, 이는 강도 및 내구성을 높이고 공사비를 낮추기 위해서 시멘트를 주요 결합재로 사용한 것으로서, 단순한 콘크리트 구조물이라 할 수 있으며, 자연적인 질감의 외관, 제조의 용이성, 설치의 용이성 등만을 고려할 뿐 생물의 영향에 미치는 것들은 고려되지 않았다.
즉, 종래 인공암은 유리섬유강화 시멘트(GRC)를 이용함으로써 강도 및 내구성 등을 높이고 저렴하게 공사하는 등 유용함을 가지고 있으나, 시멘트 재료가 갖는 독성으로 인해 장시간에 걸쳐 유해성을 나타내고, 특히 시멘트 제조에 사용되는 슬러지 재료가 크롬, 납, 카드뮴 등의 중금속과 기타 방사능 물질을 내포하고 있어 환경문제를 유발하게 되며, 이끼 등이 성장할 수 없는 등 식생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종래 유리섬유강화 시멘트(GRC)로 형성되는 인공암은 무기물 재료가 많이 투입되는데, 비중이 높아 매우 무겁고 운반 설치에 어려움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 인공암은 인공폭포 등에 이용시 패널 형태로 많이 제조하여 사용되었는데, 종래 패널 형태로 제조되는 인공암은 공장에서 만든 재료를 현장에 가져와 조립하여야 하는 방식으로서, 장비가 없으면 힘들고 실내에 적용시키기도 어려웠으며, 비교적 패널의 덩치가 크다 보니 인력으로는 인공폭포를 구축하는데 한계가 발생되고 있고 조인트 부분에 하중이 가중되므로 지반 침하나 철골 변형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 선행기술문헌에 있어 국내등록특허 제10-0805912호에서는 고로슬래그와 모래 및 내알칼리성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여 유리섬유강화 슬래그를 이용한 인공암 패널 및 그 제조방법을 제안하고 있고, 국내등록특허 1035050호에서는 황토분말이 혼합된 황토 시멘트와 모래 및 실리카퓸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여 황토 인공암 패널 및 그 제조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들은 패널 형태로 제조되는 인공암으로서, 이미 상술한 문제점들을 지니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0591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505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강도와 내구성을 유지하면서도 식물 등에 유해한 물질들이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등 친환경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한 이끼가 자라는 친환경 인공암 및 이를 이용한 인공폭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친환경재료를 활용한 다공성 구조를 갖도록 함과 더불어 모세관 현상을 통한 수분 공급이 원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표면에 이끼가 자라나게 하는 등 식생이 가능하도록 한 이끼가 자라는 친환경 인공암 및 이를 이용한 인공폭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경량화 및 안정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하고, 자연암에 더욱 가까운 형상으로 용이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하며, 독성 제거효율을 높임과 더불어 정수 기능을 발휘토록 함은 물론 영양분을 갖는 무기질재료의 사용을 통해 이끼가 잘 자라날 수 있게 하는 이끼가 자라는 친환경 인공암 및 이를 이용한 인공폭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끼가 자라는 친환경 인공암은, 인공암의 기본 조형을 이루기 위한 뼈대 및 내부보강부재가 되며, 바위(rock) 형상을 갖게 하기 위한 조형틀(110); 상기 조형틀(110)을 감싸도록 충전되어 블럭체로 형성되고, 상기 조형틀(110)을 매개로 결합 및 경화되어 바위(rock) 형상으로 성형 구비되는 콘크리트블럭(120); 상기 콘크리트블럭(120)의 외면으로 결합되어 표면층을 형성하도록 구비되고, 다공성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다공성구조층(130);을 포함하되, 상기 콘크리트블럭(120)은 시멘트 70~90중량부에 대해 다공질 ALC(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경량기포콘크리트)재료 30~70중량부, 중금속 안정화제 20∼90중량부, 무기질 중공구체 10∼30중량부, 규사 10∼30중량부, 보강섬유 0.5~10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공성구조층(130)은 다공질 ALC(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경량기포콘크리트)재료 90~110중량부에 대해 소성 규조토 20∼70중량부, 제올라이트 20~50중량부, 중금속 안정화제 30~70중량부, 셀룰로즈섬유 2~10중량부, 천연 안료 2∼10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콘크리트블럭(120)에는 내부의 다수 곳에 삽입 설치되는 삽설배관(140)을 다수 구비하고; 상기 콘크리트블럭(120)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삽설배관(140)의 각 끝부분은 상기 다공성구조층(130)과 접촉되어 연결되도록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다공성구조층(130)의 외면에 노출되게 구비하며; 상기 삽설배관(140)의 중공 내에는 흙(150)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흙(150)은, 비료가 혼합된 흙, 부엽토, 경량토 중에서 어느 1종을 선택 사용하거나 또는 2종 이상을 혼합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올라이트는 다공질 조직이 대구경을 갖는 X형 합성제올라이트, Y형 합성제올라이트, 천연제올라이트, 모오데나이트 중에서 어느 1종을 사용함으로써 다공성 구조를 확대시킴과 더불어 유해물질 흡착에 의한 독성 제거효율 및 정수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끼가 자라는 친환경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폭포는, 상기한 구성을 갖는 친환경 인공암을 다수 구비한 후 쌓아올려 일정 길이 및 폭을 갖는 입체적 구조의 인공암벽으로 구축함으로써 상기 입체적 구조의 인공암벽을 타고 물줄기가 흘러내리게 함과 더불어 폭포수로 낙하시킬 수 있도록 하며, 표면에서 이끼와 식물이 자라날 수 있는 환경조건을 구비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강도와 내구성을 유지하면서도 친환경적인 무기질 재료를 적용함에 따라 식물 등에 유해한 물질들이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등 친환경성을 추구할 수 있으며, 내부 다공성 구조 및 외부 확대된 다공성 구조를 제공함을 통해 모세관 현상을 유도할 수 있어 수분 공급 및 습기를 머금을 수 있고 무기질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어 이끼나 식물의 용이한 정착 및 성장을 가능하게 하며, 인공암에 대해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독성 제거 및 정수 기능을 함께 갖는 등 친환경 인공암을 제공할 수 있고, 자연암에 더욱 가까운 형상으로 용이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자연암에 비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표면에 이끼가 자랄 수 있게 하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끼가 자라는 친환경 인공암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끼가 자라는 친환경 인공암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끼가 자라는 친환경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폭포를 구성한 예시를 보인 개략적 도면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끼가 자라는 친환경 인공암(10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공암의 기본 조형(造型)을 이루기 위한 뼈대 및 내부보강부재가 되며 바위(rock) 형상을 갖게 하기 위한 조형틀(110)과, 상기 조형틀(110)을 감싸도록 충전되어 블럭체로 형성되고 상기 조형틀(110)을 매개로 결합 및 경화되어 바위(rock) 형상으로 성형 구비되는 콘크리트블럭(120) 및, 상기 콘크리트블럭(120)의 외면으로 결합되어 표면층을 형성하도록 구비되고 다공성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다공성구조층(13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형틀(110)은 철근이나 와이어메쉬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때로는 철근과 와이어메쉬를 혼합 사용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조형틀(110)은 배근 방식으로 구축하여 바위(rock) 형상을 갖게 하기 위한 뼈대 및 내부보강부재라 할 수 있으며, 인공암(100)에 대한 강도 및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블럭(120)은 바위(rock) 형상으로 성형 구비되는 것으로서, 보다 사실적인 바위 형상의 표출을 위해 성형거푸집이 사용될 수 있다 할 것이며, 시멘트 70~90중량부에 대해 다공질 ALC(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경량기포콘크리트)재료 30~70중량부, 중금속 안정화제 20∼90중량부, 무기질 중공구체 10∼30중량부, 규사 10∼30중량부, 보강섬유 0.5~10중량부 및 혼화제 0.5∼5중량부가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시멘트는 인공암(100)이 기본적으로 쉽게 파손되지 않는 강도 및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재료이다.
상기 다공질 ALC재료는 규석과 생석회 등의 천연 무기광물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높은 온도와 압력으로 증기 양생의 과정을 거쳐 만들어지는 재료로 다수의 공극이 있고 증기 양생되는 특성상 어느 정도 습기를 머금고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블럭(120)에 대한 경량화를 가능하게 하므로 인공암(100)의 무게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질 ALC재료는 다수의 공극에 의한 공기층이 있고 무기광물질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환경친화적인 재료이면서 습기와 영양분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이끼 등의 식생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중금속 안정화제는 유해 중금속 물질과 결합하거나 흡착하여 안정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인회석, 인산철, 모노오르토인산칼슘, 황산칼슘, 황산철, 산화철, 산화알루미늄, 산화칼슘, 산화실리콘, 산화나트륨, 산화티타늄, 이산화망간, 보크사이트, 산화마그네슘 중에서 어느 1종을 선택 사용하거나 또는 2종 이상을 혼합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중금속 안정화제로는 인산염 화합물, 황 화합물, 산화 화합물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중금속 안정화제는 콘크리트가 경화 및 양생되는 동안에 수분을 잘 유지시켜 건조를 방지함으로써 강도를 유지하면서 수축 현상을 줄이게 하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보강섬유는 유리섬유 또는 폴리프로필렌이나 나일론의 합성섬유와 셀룰로즈섬유를 1:1∼1:2의 질량비율로 혼합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유리섬유와 합성섬유는 강도를 보강할 수 있으며, 셀룰로즈 섬유는 유리섬유가 제공하지 못하는 미세한 전단 압력을 보강할 수 있고 혼합과정에서 미세 균열이 발생하는 방지 및 매우 밀실한 콘크리트를 만들어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하며, 제품의 경량화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무기질 중공구체는 유리입자 등 미세 무기질입자 내부가 비어있게 제조된 것으로서, 다공성 및 경량화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다공성구조층(130)은 뿜칠 등 다양한 방식으로 콘크리트블럭(120)의 표면에 형성시킬 수 있고 콘크리트블럭(120)에 비해 확대된 다공성 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바위 형상을 보다 사실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성형 처리작업 등이 부가될 수 있다 할 것이다.
상기 다공성구조층(130)은 다공질 ALC(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경량기포콘크리트)재료 90~110중량부에 대해 소성 규조토 20∼70중량부, 제올라이트 20∼50중량부, 중금속 안정화제 30~70중량부, 셀룰로즈섬유 2~10중량부, 천연 안료 2∼10중량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무기질 중공구체 10∼30중량부와 기포안정제 0.05∼1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으며, 기포안정제 0.05∼1중량부만을 첨가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다공질 ALC재료와 중금속 안정화제, 셀룰로즈섬유 등은 이미 상술하게 기재한 기능성을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를 준용하기로 한다.
상기 제올라이트는 자체가 무수한 다공질 조직을 갖는 것으로서, 다공성 구조를 확대시킴과 더불어 유해물질 흡착에 의한 독성 제거효율을 높이면서 정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올라이트는 다공질 조직이 대구경을 갖는 X형 합성제올라이트, Y형 합성제올라이트, 천연제올라이트, 모오데나이트 중에서 어느 1종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제올라이트는 음이온 및 원적외선을 방사함은 물론 탈취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무기질광물로 영양분을 갖는 것으로서 친환경재료이면서 이끼 등의 식생을 가능하게 하며, 경량화 또한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소성 규조토는 약 1,300℃에서 소성시켜 규조토의 다공성을 확대시키고 강도를 높인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 안료는 바위 색상을 잘 표출할 수 있도록 하며, 바위의 느낌을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이끼가 자라는 친환경 인공암(100)은 전체적으로 강도와 내구성을 유지하면서도 친환경적인 무기질 재료를 적용함에 따라 식물 등에 유해한 물질들이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등 친환경성을 추구할 수 있으며, 내부 다공성 구조 및 외부 확대된 다공성 구조를 제공함을 통해 모세관 현상을 유도할 수 있어 수분 공급 및 습기를 머금을 수 있고 무기질 성분을 통해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이끼나 식물의 용이한 정착 및 성장을 가능하게 하며 인공암에 대해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다.
덧붙여, 상술한 구성에 부가적인 구성을 가미하여 이끼나 식물 등의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부가적 식생 환경조건을 갖게 할 수도 있다 할 것인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블럭(120)의 내부 다수 곳에 삽설배관(140)을 삽입 설치하여 다수 구비하고, 상기 콘크리트블럭(120)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삽설배관(140)의 각 끝부분에 대해 상기 다공성구조층(130)과 접촉되어 연결되도록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다공성구조층(130)의 외면에 노출되게 구비하며, 상기 삽설배관(140)의 중공 내에 흙(150)을 채우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흙(150)은 영양분 공급을 위해 비료가 혼합된 흙, 부엽토, 경량토 중에서 어느 1종을 선택 사용하거나 또는 2종 이상을 혼합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비료는 질소, 인산,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의 식물영양소를 갖는 식물영양제라 할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갖는 이끼가 자라는 친환경 인공암(100)을 이용하여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끼나 식물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친환경 인공폭포(200)를 구축할 수 있다.
즉, 상기 친환경 인공폭포(200)는 상술한 구성을 갖는 이끼가 자라는 친환경 인공암(100)을 다수 구비하고, 이를 쌓아올려 일정 길이 및 폭을 갖는 입체적 구조의 인공암벽으로 구축한다.
이때, 상기 인공암(100)을 쌓아올리는데 모르타르 등이 활용된다 할 것이며, 다양한 구성으로 구현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상기 입체적 구조의 인공암벽으로 구축된 인공폭포(200)를 안정적으로 설치하는 등 시공할 수 있고, 운반이 용이하므로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경량화된 인공암(100)을 이용하므로 안정성 있는 설치와 더불어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블럭체 구성을 갖는 친환경 인공암(100) 및 이를 이용한 인공폭포(200)를 제안하고 있으나, 상기 다공성 재료를 포함하는 콘크리트블럭(120)과 다공성구조층(130)을 이용하여 패널형 몸체로 내외부층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친환경 인공암 110: 조형틀
120: 콘크리트블럭 130: 다공성구조층
140: 삽설배관 150: 흙

Claims (5)

  1. 인공암의 기본 조형을 이루기 위한 뼈대 및 내부보강부재가 되며, 바위(rock) 형상을 갖게 하기 위한 조형틀(110);
    상기 조형틀(110)을 감싸도록 충전되어 블럭체로 형성되고, 상기 조형틀(110)을 매개로 결합 및 경화되어 바위(rock) 형상으로 성형 구비되는 콘크리트블럭(120);
    상기 콘크리트블럭(120)의 외면으로 결합되어 표면층을 형성하도록 구비되고, 다공성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다공성구조층(130); 및
    상기 콘크리트블럭(120) 내부의 다수 곳에 삽입 설치되는 다수의 삽설배관(140)을 포함하되,
    상기 콘크리트블럭(120)은,
    시멘트 70~90중량부에 대해 다공질 ALC(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경량기포콘크리트)재료 30~70중량부, 중금속 안정화제 20∼90중량부, 무기질 중공구체 10∼30중량부, 규사 10∼30중량부, 보강섬유 0.5~10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공성구조층(130)은,
    다공질 ALC(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경량기포콘크리트)재료 90~110중량부에 대해 소성 규조토 20∼70중량부, 제올라이트 20∼50중량부, 중금속 안정화제 30~70중량부, 셀룰로즈섬유 2~10중량부, 천연 안료 2∼10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끼가 자라는 친환경 인공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블럭(120)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삽설배관(140)의 각 끝부분은 상기 다공성구조층(130)과 접촉되어 연결되도록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다공성구조층(130)의 외면에 노출되게 구비하며;
    상기 삽설배관(140)의 중공 내에는 흙(150)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끼가 자라는 친환경 인공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흙(150)은,
    비료가 혼합된 흙, 부엽토, 경량토 중에서 어느 1종을 선택 사용하거나 또는 2종 이상을 혼합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끼가 자라는 친환경 인공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올라이트는 X형 합성제올라이트, Y형 합성제올라이트, 천연제올라이트, 모오데나이트 중에서 어느 1종을 사용함으로써 다공성 구조를 확대시킴과 더불어 유해물질 흡착에 의한 독성 제거효율 및 정수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끼가 자라는 친환경 인공암.
  5. 상기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친환경 인공암을 다수 구비한 후 쌓아올려 일정 길이 및 폭을 갖는 입체적 구조의 인공암벽으로 구축함으로써 상기 입체적 구조의 인공암벽을 타고 물줄기가 흘러내리게 함과 더불어 폭포수로 낙하시킬 수 있도록 하며, 표면에서 이끼와 식물이 자라날 수 있는 환경조건을 구비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끼가 자라는 친환경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폭포.
KR1020150141669A 2015-10-08 2015-10-08 이끼가 자라는 친환경 인공암 및 이를 이용한 인공폭포 KR101617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669A KR101617879B1 (ko) 2015-10-08 2015-10-08 이끼가 자라는 친환경 인공암 및 이를 이용한 인공폭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669A KR101617879B1 (ko) 2015-10-08 2015-10-08 이끼가 자라는 친환경 인공암 및 이를 이용한 인공폭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7879B1 true KR101617879B1 (ko) 2016-05-03

Family

ID=56022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1669A KR101617879B1 (ko) 2015-10-08 2015-10-08 이끼가 자라는 친환경 인공암 및 이를 이용한 인공폭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787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241B1 (ko) 2006-07-28 2008-01-21 김득일 인공암 시공방법
KR101540804B1 (ko) 2014-08-29 2015-07-31 김득일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241B1 (ko) 2006-07-28 2008-01-21 김득일 인공암 시공방법
KR101540804B1 (ko) 2014-08-29 2015-07-31 김득일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91481B2 (ja) ケージ構造
CN103290810B (zh) 多功能复合材料毯及其沟渠施工工艺
CN105830769A (zh) 储水型绿化砌块及其构成的垂直绿化墙体
WO2019152714A1 (en) Novel chemical substitutions for portland cement mixtures and applications therefor
KR20210023938A (ko) 튜브, 파이프, 중공체, 파동체, 진동기, 자화기, 장비, 재료, 자재, 제조, 공사, 정화, 작업
KR20210022609A (ko) 장비, 자재, 재료, 시설, 제조, 공사, 건설, 정화, 청정, 작업
KR20230150927A (ko) 풍력 이용 장치, 폭기장치, 정화장치, 콤프레셔, 발전기
CN104314362A (zh) 全预制装配式围墙
CN105128591A (zh) 一种植生假山石
KR101617879B1 (ko) 이끼가 자라는 친환경 인공암 및 이를 이용한 인공폭포
CN105165453A (zh) 一种垂直绿化砖及其绿化方法
CN101380870B (zh) 人造假山的制作方法
JP2004129560A (ja) 植栽用基材、その製法、及びそれを用いる植栽面の施工法
KR100806625B1 (ko) 사면 보호용 다공성 블록
KR20220122581A (ko) 장비, 드론, 자재, 재료, 제조, 공사, 건설, 청정, 작업
WO2009065521A1 (de) Baustei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usteins
JP3623718B2 (ja) 緑化用軽量ポーラスコンクリート材
KR102140578B1 (ko) 섬유 보강 시멘트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의 습식 방수 방법
CN113846634A (zh) 一种可无极让压的砂质土边坡生态防护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172007B1 (ko) 인조석의 제조방법
CN106220225A (zh) 一种轻质建筑环保材料
JP6748585B2 (ja) 自然石風な造形体の製造方法
KR101102298B1 (ko) 축소된 자연의 인공조경시스템
CN202164611U (zh) 阶梯式六面框格体护坡结构
KR101984206B1 (ko) 친환경 인공암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