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0804B1 -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0804B1
KR101540804B1 KR1020140113977A KR20140113977A KR101540804B1 KR 101540804 B1 KR101540804 B1 KR 101540804B1 KR 1020140113977 A KR1020140113977 A KR 1020140113977A KR 20140113977 A KR20140113977 A KR 20140113977A KR 101540804 B1 KR101540804 B1 KR 101540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pipe
fluid
vegetation
concrete mort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3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득일
Original Assignee
김득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득일 filed Critical 김득일
Priority to KR1020140113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08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의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 제조방법은 암석 형상 및 문양을 갖는 성형틀 표면에 내피 및 외피를 적층되게 도포한 다음 굳힌 기초틀을 제조하는 단계와, 성형틀에서 기초틀을 분리한 다음 뒤집어 기초틀의 개구된 하부가 상부로 향하도록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틀의 바닥면에 구멍을 형성시킨 다음 화분을 구멍과 연통되게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화분에 관통되도록 수직으로 공급관로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화분의 상부에 흙이 충진된 포대를 적층시키되 상기 포대에 공급관로가 관통되도록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포대 상부에 부직포를 덮고 연통관로를 수직으로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포대 상부에 배출관로를 갖는 물통을 설치시키되 상기 물통 내부로 공급관로 및 연통관로가 수용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 및 그 제조방법{Retaining Wall Structur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암에 식물의 식생을 가능하는 환경이 조성된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활환경이 점차 윤택해짐에 따라 공공장소를 조성함에 있어 조경 분야의 비중이 증대되고 있다.
한편, 각종 수목과 함께 조경 분야의 주축을 이루는 것이 암석인데, 인조 조형물 제작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상당수의 정원 조성용 암석, 즉 정원석을 인공으로 제작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인조 정원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특정 자연석 표면상에다 고무 또는 합성수지를 도포하여 적정 두께의 막을 형성한 다음 이를 벗겨내면 하나의 주형, 즉 형틀(외부형틀)이 얻어지게 된다.
이어서, 외부형틀과의 사이에 간격을 둔 상태로 그 내부에 목재 등으로 별도의 형틀, 즉 내부형틀을 설치한 다음 이들 두 개의 형틀 사이 공간에 액상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후 상기 두 개 형틀을 제거하면, 속이 빈 상태의 하단 개구부를 갖는 몰딩(molding) 성형체로서 그 표면이 상기 자연석과 동일한 형상의 인조석 상부 부재가 얻어진다.
다음으로, 상부 부재의 하단 개구부에는 평판 형상의 하부 부재가 결합됨으로써, 속은 비어 있지만, 상기 자연석과 동일한 외관을 갖는 하나의 인조석이 완성된다.
하부 부재의 경우, 상부 부재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인조석 전체를 단순히 받쳐주는 역할을 할 뿐이므로, 상부 부재에서와 같은 특정 형상의 형틀 없이, 평면 위에 천막지 등으로 간단히 울타리를 쳐서 하부 형틀을 만들고 그 내부 공간에 액상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시켜 제조하는 것이 보통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인조 정원석은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는바, 견고하게 굳은 상태의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를 철사 등으로 묶어 상호 결합시키는 관계로, 인조 정원석을 운반 또는 취급하는 과정에 있어 이들 부재들 사이의 결합 상태가 견고하지 못해,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와의 연결 부위가 약해서, 운반도중이나 설치 시 금이 가는 일이 발생하여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우선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인조 정원석 표면에 군데군데 형성된 함몰부에 관상수를 심어 자연미를 나타내려고 하고는 있으나, 식재된 관상수에 대한 수분 공급이 여의치 않아 생육상태가 나빠서 죽을 수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공암에 식물의 식생을 가능하게 하면서 식생 환경을 조성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갈수기에도 유체를 지속적으로 식물에 공급하도록 하여 최적의 식물의 식생 환경을 조성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 제조방법은 암석 형상 및 문양을 갖는 성형틀 표면에 내피 및 외피를 적층되게 도포한 다음 굳힌 기초틀을 제조하는 단계와, 성형틀에서 기초틀을 분리한 다음 뒤집어 기초틀의 개구된 하부가 상부로 향하도록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틀의 바닥면에 구멍을 형성시킨 다음 화분을 구멍과 연통되게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화분에 관통되도록 수직으로 공급관로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화분의 상부에 흙이 충진된 포대를 적층시키되 상기 포대에 공급관로가 관통되도록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포대 상부에 부직포를 덮고 연통관로를 수직으로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포대 상부에 배출관로를 갖는 물통을 설치시키되 상기 물통 내부로 공급관로 및 연통관로가 수용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공급관로를 설치하는 단계 이후, 화분 상부 높이 만큼 기초틀 내부공간에 1차 콘크리트몰탈을 충진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포대 설치 이후 상기 포대 상부 높이만큼 기초틀 내부공간에 2차 콘크리트몰탈을 충진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2차 콘크리트몰탈에 철근을 격자 형태로 배근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철근을 격정 형태로 배근시키는 단계 이후 3차 콘크리트몰탈을 충진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물통을 설치한 후 4차 콘크리트몰탈을 충진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은 외부 표면이 암석의 문양을 갖고 내부공간의 하부가 개구된 기초틀과, 상기 기초틀 내부공간 상부에 위치하여 식물을 식생할 수 있는 화분과, 상기 화분 하부에 차례로 적층되어 유체를 화분에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식생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화분 및 식생부가 설치된 기초틀의 내부공간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식생부는 상기 화분의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흙이 충진된 포대와, 상기 포대의 하부에 설치되고 유체를 보관하는 물통과, 상기 화분에서 물통으로 연결되어 유체를 물통으로 공급하는 공급관로와, 상기 몰통에서 수위 상승시 외부로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관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포대와 물통 사이에는 연통관로를 설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포대와 물통 사이에는 부직포가 더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공급관로는 외주연에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공급관로의 내주연, 외주연에 부직포를 설치하여 모세관 현상을 통해 물통의 유체를 포대의 흙으로 공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기초틀은 내피와 외피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내피는 고무재질이고, 상기 외피는 FRP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연통관로의 내주연 또는 외주연에는 부직포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연통관로 내부에는 복수의 부직포 심지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은 외부 표면이 암석의 문양을 갖고 내부공간의 하부가 개구된 기초틀과, 상기 기초틀 내부공간 상부에 위치하여 식물을 식생할 수 있는 화분과, 상기 화분 하부에 차례로 적층되어 유체를 화분에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식생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식생부는 상기 화분의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흙이 충진된 포대와, 상기 포대의 하부에 설치되고 유체를 보관하는 물통과, 상기 화분에서 물통으로 연결되어 유체를 물통으로 공급하는 공급관로와, 상기 몰통에서 수위 상승시 외부로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관로로 구성하여
자연 암석의 문양을 갖는 기초틀에 식물을 식생시키는 동시에 공급관로와 식생부를 통하여 유체를 지속적으로 식물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식물의 식생을 돕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은 상기 포대와 물통 사이에 연통관로를 설치하고, 상기 상기 연통관로 표면 또는 내부에 부직포를 설치하여 모세관 현상을 통해 물통의 유체를 포대의 흙으로 공급하도록 하여 갈수기에도 유체를 지속적으로 식물에 공급하도록 하여 최적의 식물의 식생 환경을 조성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에 적용된 공급관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에 적용된 연통관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에 적용된 공급관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에 적용된 연통관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2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 100은 기초틀 110, 화분 120, 식생부 130로 구성된다.
자연 암석의 형상과 무늬를 갖는 성형틀 100 표면에 기초틀 110을 도포하여 굳혀 상기 기초틀 110 제조를 완료한다.
즉, 상기 기초틀 110은 성형틀 표면에 내피 111와 외피 112를 차례로 도포하여 건조시켜 성형틀에서 분리한다.
여기서, 상기 기초틀 110은 내부공간을 갖고 하부가 개구된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기초틀 110은 내피 111와 외피 112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외피 112는 FRP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피 111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외피 112는 기초틀 110의 형상을 유지시키기 위한 강성 기능을 갖고, 내피 111은 내수성을 보장받기 위한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화분 120은 상기 기초틀 110 내부공간 상부에 위치하여 식물을 식생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의 물품과 인공암의 제조방법에서 개시되는 기초틀의 위치는 상호 반대로 설명된다.
즉, 인공암은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화분, 식생부의 위치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적층되는 순서로 기재된다.
또한, 인공암 제조방법은 최초 공정시 기초틀을 뒤집은 상태에서 제조하기 때문에 화분 및 식생부의 적층 순서가 인공암의 구조와 상호 다를 수 있다.
즉, 상기 화분 120과 맞닿아 있는 기초틀 110에 구멍 113을 형성시켜 화분 120과 연통되도록 한 다음 구멍 113을 통해 식물을 화분 120에 식생시킨다.
아울러, 식생부 130는 상기 화분 120 하부에 차례로 적층되어 유체를 화분 120에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식생부 130는 화분 120 하부 방향으로 차례로 포대 131, 물통 132이 설치되고, 상기 화분 120, 포대 및 물통 132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관로 133 및 상기 물통 132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로 134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상기 포대 131는 상기 화분 120의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흙이 충진된다.
상기 포대 131의 기능은 유체의 흡수한 상태를 유지하여 식물의 식생과정에서 화분 120을 거쳐 식물 뿌리가 포대 131측으로 침투되면 지속적으로 유체를 식물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관로 133는 내부가 중공으로 이루어지고 표면에 복수의 통공 133a이 형성되어 상기 화분 120, 포대 131, 물통 132을 수직으로 연결한다.
즉, 화분 120 외부에서 유체를 공급하면 공급관로 133를 통해 화분 120, 포대 131, 물통 132으로 유체가 분기되면서 공급되는 동시에 최종적으로 물통 132에 물을 보관된다.
또한, 상기 공급관로 133의 내주연 또는 외주연에 선택적으로 부직포 133b를 설치하거나, 내부의 중공에 심지 133c를 설치하여 모세관 현상을 통해 물통 132의 유체를 포대 131의 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포대 131와 물통 132 사이에는 연통관로 135를 설치하되, 상기 연통관로 135 내주연 또는 외주연에 부직포 136를 설치하거나, 내부의 중공에 심지 136를 설치하여 모세관 현상을 통해 물통 132의 유체를 포대 131의 흙으로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물통 132에 충진된 유체의 수위가 상승시에는 배출관로 134를 통해 외부로 유체를 배출시켜 적절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기초틀 110 내부에 설치된 화분 120, 포대 131 및 물통 132을 제외한 내부공간에는 콘크리트 140를 타설 및 양생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 100의 제조방법은 아래와 같다.
먼저, 자연 암석의 형상과 문양을 갖는 성형틀 100을 마련한다.(S10)
이후, 상기 성형틀 표면에 내피 111 및 외피 112를 차례로 도포한 후 굳혀 기초틀 110을 제작한다.(S20)
여기서, 외피 112는 FRP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피 111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외피 112는 기초틀 110의 형상을 유지시키기 위한 강성 기능을 갖고, 내피 111는 내수성을 보장받기 위한 기능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기초틀 110은 내부공간을 갖고 하부가 개구된 형상을 갖는다.
다음으로 성형틀 100에서 기초틀 110을 분리한 다음 개구된 하부가 상부로 향하도록 뒤집어 놓는다.(S30, S40)
이때, 화분 120이 설치된 부위의 기초틀 110에는 구멍 113을 형성시켜 화분 120과 연통시키도록 하여 구멍 113을 통해 식물을 화분 120에 식생시킬 수 있도록 한다.(S50)
이후, 화분 120에 공급관로 133를 수직으로 설치한다.(S60)
그리고, 상기 공급관로 133는 기초틀 110 내부공간의 상부를 향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공급관로 133는 외주연에 복수의 통공 1330a이 설치되는 동시에 공급관로 133의 내주연 또는 외주연에 부직포 133b를 설치하거나, 상기 공급관로 내부 중공에 심지 133c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급관로 133는 내부가 중공으로 이루어지고 표면에 복수의 배수공이 형성되어 화분 120 외부에서 유체를 공급하면 공급관로 133를 통해 화분 120, 포대 131, 물통 132으로 유체가 분기되면서 공급되는 동시에 최종적으로 물통 132에 물을 보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화분 120의 높위와 동일하게 기초틀 내부공간에 1차 콘크리트 141를 타설하여 양생시킨다,(S70)
이후 화분 120의 바닥면에 해당되는 상부에 흙이 충진된 포대 131를 설치한다.(S80)
그리고, 상기 포대 131의 상부에 연통관로 135를 수직으로 설치한다.(S90)
이때, 상기 연통관로 135의 내주연 또는 외주연에 부직포 137를 설치하거나, 상기 공급관로 137 내부 중공에 심지 136가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부직포 137와 심지 136를 통해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후술될 물통 132의 유체를 포대 131의 흙으로 흡수시키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포대 131의 높이와 동일하게 기초틀 내부공간에 2차 콘크리트 142를 타설한다.(S100)
이후, 상기 포대의 상부에 부직포를 깔고 철근을 격자 형태로 배근한다.(S110, S120)
그리고, 3차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철근 150과 부직포 160가 매설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3차 콘크리트 상부에 물통 132을 설치하되, 상기 공급관로 133와 연통관로 135가 물통 132의 내부에 인입되도록 위치시킨다.(S140)
이때, 물통 132은 배출관로 134를 설치하여 유체의 수위가 상승시 외부로 유체를 배출시켜 물통 132에 적절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물통 132 주위의 기초틀 110 내부공간에 4차 콘크리트 144를 타설 후 양생시킨다.
이후, 기초틀 110을 뒤집으면 인공암 100 제조공정을 마무리한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인공암 100은 자연 암석의 문양을 갖는 기초틀 110에 식물을 식생시키는 동시에 공급관로 133와 식생부 130를 통하여 유체를 지속적으로 식물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식물의 식생을 돕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포대 131와 물통 132 사이에 연통관로 135를 설치하고, 상기 상기 연통관로 135 표면 또는 내부에 부직포 136를 설치하여 모세관 현상을 통해 물통 132의 유체를 포대 131의 흙으로 공급하도록 하여 갈수기에도 유체를 지속적으로 식물에 공급하도록 하여 최적의 식물의 식생 환경을 조성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성형틀 110 : 기초틀
111 : 내피 112 : 외피
113 : 구멍 120 : 화분
130 : 식생부 131 : 포대
132 : 물통 133 : 공급관로
133a : 통공 133b : 부직포
133c : 심지 134 : 배출관로
135 : 연통관로 136 : 심지
137 : 부직포 140 : 콘크리트
141 : 1차 콘크리트 142 : 2차 콘크리트
143 : 3차 콘크리트 144 : 4차 콘크리트
150 : 철근 160 : 부직포

Claims (16)

  1. 암석 형상 및 문양을 갖는 성형틀 표면에 내피 및 외피를 적층되게 도포한 다음 굳힌 기초틀을 제조하는 단계와,
    성형틀에서 기초틀을 분리한 다음 뒤집어 기초틀의 개구된 하부가 상부로 향하도록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틀의 바닥면에 구멍을 형성시킨 다음 화분을 구멍과 연통되게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화분에 관통되도록 수직으로 공급관로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화분의 상부에 흙이 충진된 포대를 적층시키되 상기 포대에 공급관로가 관통되도록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화분 상부 높이 만큼 기초틀 내부공간에 1차 콘크리트몰탈을 충진시키는 단계와,
    상기 1차 콘크리트몰탈 상부에서 포대 상부 높이만큼 2차 콘크리트몰탈을 충진시키는 단계와,
    상기 포대 상부에 부직포를 덮고 연통관로를 수직으로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2차 콘크리트몰탈 상부에 3차 콘크리트몰탈을 충진시키되 연통관로의 상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4차 콘트리트몰탈 상부에 배출관로를 갖는 물통을 설치하되 상기 물통 내부로 공급관로 및 연통관로가 수용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3차 콘크리트몰탈 상부에 4차 콘크리트몰탈을 충진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콘크리트몰탈에 철근을 격자 형태로 배근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7. 외부 표면이 암석의 문양을 갖고 내부공간의 하부가 개구된 기초틀과,
    상기 기초틀 내부공간 상부에 위치하여 식물을 식생할 수 있는 화분과,
    상기 화분 하부에 적층되어 유체를 화분에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식생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식생부는,
    상기 화분의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흙이 충진된 포대와,
    상기 포대의 하부에 설치되고 유체를 보관하는 물통과,
    상기 화분에서 물통으로 연결되어 유체를 물통으로 공급하는 공급관로와,
    상기 물통에서 수위 상승시 외부로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관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및 식생부가 설치된 기초틀의 내부공간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와 물통 사이에는 연통관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와 물통 사이에는 부직포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로는 외주연에 복수의 통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로의 내주연, 외주연에 부직포를 설치하여 모세관 현상을 통해 물통의 유체를 포대의 흙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틀은 내피와 외피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내피는 고무재질이고,
    상기 외피는 FRP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로의 내주연 또는 외주연에는 부직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로 내부에는 복수의 부직포 심지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
KR1020140113977A 2014-08-29 2014-08-29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 및 그 제조방법 KR101540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977A KR101540804B1 (ko) 2014-08-29 2014-08-29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977A KR101540804B1 (ko) 2014-08-29 2014-08-29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0804B1 true KR101540804B1 (ko) 2015-07-31

Family

ID=53877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3977A KR101540804B1 (ko) 2014-08-29 2014-08-29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08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7879B1 (ko) 2015-10-08 2016-05-03 주식회사 태림랜드 이끼가 자라는 친환경 인공암 및 이를 이용한 인공폭포
KR101844804B1 (ko) 2017-04-24 2018-04-03 윤복모 식생 경관석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241B1 (ko) * 2006-07-28 2008-01-21 김득일 인공암 시공방법
KR20100095192A (ko) * 2009-02-20 2010-08-30 이즈피아 주식회사 인조 바위 제조방법, 그 인조 바위 및 인조 바위 시설물
KR101113926B1 (ko) * 2009-02-24 2012-02-29 김득일 마대를 이용한 인공바위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241B1 (ko) * 2006-07-28 2008-01-21 김득일 인공암 시공방법
KR20100095192A (ko) * 2009-02-20 2010-08-30 이즈피아 주식회사 인조 바위 제조방법, 그 인조 바위 및 인조 바위 시설물
KR101113926B1 (ko) * 2009-02-24 2012-02-29 김득일 마대를 이용한 인공바위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7879B1 (ko) 2015-10-08 2016-05-03 주식회사 태림랜드 이끼가 자라는 친환경 인공암 및 이를 이용한 인공폭포
KR101844804B1 (ko) 2017-04-24 2018-04-03 윤복모 식생 경관석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72639A (zh) 模块化容器和模块化灌溉系统
KR101216746B1 (ko) 수목 식재용 대형 화분 및 그 제조방법
KR101540804B1 (ko)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 및 그 제조방법
CN101861790A (zh) 盘根树、盘根树桩的培育方法
KR20160086677A (ko) 수목용 이동식 플랜터 및 그 제조방법
CN208691839U (zh) 可控水桂花育苗杯
CN103225309B (zh) 混凝土基体植绿护坡施工方法
CN104871866B (zh) 能够应用于绿化墙上的一体化花箱
CN105952255A (zh) 垂直绿化围墙及建造方法
CN105557361A (zh) 一种植物墙的水回收系统
CN107155761B (zh) 一种木桶式超大直径空心大树的培育方法
CN201182112Y (zh) 全自动供水供肥花箱
KR20150088003A (ko) 게비온형 녹화구조물
CN210086436U (zh) 一种园林绿地取排水结合的预制混泥土取水阀箱
CN207802882U (zh) 一种沙漠地区植树容器
KR101251988B1 (ko) 수목의 플랜터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플랜터
KR101310101B1 (ko) 대형화분의 제조방법
JP4701317B1 (ja) 岩石状植栽具
CN201665807U (zh) 可植草水泥地表及其模型块
CN108811931A (zh) 一种桂花可控水育苗杯
KR102219690B1 (ko) 화훼 조형물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화훼 조형물
KR101417672B1 (ko) 벽면 녹화구조물
KR101218753B1 (ko) 생목에 의하여 조성되는 텐트형 구조체 및 그 생목의 조성방법
JP2002291342A (ja) 植栽設備
JP2010239917A (ja) 緑化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