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6625B1 - 사면 보호용 다공성 블록 - Google Patents

사면 보호용 다공성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6625B1
KR100806625B1 KR1020070092415A KR20070092415A KR100806625B1 KR 100806625 B1 KR100806625 B1 KR 100806625B1 KR 1020070092415 A KR1020070092415 A KR 1020070092415A KR 20070092415 A KR20070092415 A KR 20070092415A KR 100806625 B1 KR100806625 B1 KR 100806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porous block
slope
aggregat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2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탑
Priority to KR1020070092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66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6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6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면을 친환경적으로 조성할 수 있는 사면 보호용 다공성 블록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호용 다공성 블록은 일정크기를 가지는 골재들이 접합제에 의하여 일정형태로 접합되어 있으며, 물이나 공기가 통과하고 식물이 뿌리를 내릴 수 있도록 상호 접합되는 상기 골재와 골재 사이에는 공극이 형성되어 있는 식생부와; 일정형태를 가지도록 제작되는 상기 식생부가 고정되도록 상기 식생부의 외부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골재는 입자의 크기가 20mm 내지 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골재에 의하여 이루어진 식생부가 고정부에 의하여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다공성 블록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다공성 블록을 제작할 때 식생부에 보다 큰 골재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식생부의 골재와 골재 사이에 존재하는 공극의 크기가 크게 형성되어 식생부의 공극율이 증가됨으로 인하여 식물의 뿌리가 공극을 통해 지면까지 용이하게 뿌리 내리는 효과가 있다.
공극, 다공성, 블록, 옹벽

Description

사면 보호용 다공성 블록{POROUS BLOCK FOR SLOPE PROTECTION}
본 발명은 하천의 제방이나 옹벽을 축조할 때 사용되는 사면 보호용 다공성 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이나 공기가 용이하게 통과하고 식물의 뿌리가 공극을 통해 지면에 뿌리 내릴 수 있음은 물론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면 보호용 다공성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제방이나 도로의 법면(경사면) 등에는 토사의 유실방지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옹벽을 타설하거나, 또는 콘크리트블록을 적층하여 시공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콘크리트 옹벽 및 콘크리트블록을 시공함에 있어서, 하천의 제방이나 도로의 법면을 더욱 친환경적으로 조성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옹벽 및 콘크리트블록에 여러 가지 형태의 식생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최근에는 기후의 온난화로 인하여 여름철 집중호우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어서 하천 주변의 제방 관리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더욱이 도시화 및 농경지의 확대로 인한 하천 유역의 토지 이용 증대로 인하여 하천 제방의 건설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어 콘크리트블록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 또한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지역에서도 하천 제방의 보수 공사를 대부분 콘크리트블록을 사용하고 있어서 콘크리트블록의 사용이 나날이 늘어나고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블록으로 제방이나 옹벽 등을 조성할 때 상기 제방이나 옹벽에 식물이 보다 용이하게 자생함은 물론 효과적으로 식생할 수 있도록 다공성 콘크리트블록의 연구가 활성화됨은 물론 그 제작 또한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다공성 콘크리트블록은 식물의 자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일정크기의 골재들을 시멘트 페이스트로 접합시킴으로써, 골재와 골재 사이인 공극을 통해 식물들이 용이하게 뿌리 내릴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이와 같은 다공성 식생블록은 하천과 도로의 사면안정에 필요한 블록의 구조적인 강성은 유지하면서 물과 공기가 통과하고 식물의 뿌리가 콘크리트블록의 공극을 통해 생육하여 사면에 정착되게 함으로써 블록 하부의 토양이 유실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또한 사면의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여 주는 동시에 블록의 전면에 식생이 가능하므로 보다 더 환경친화적인 하천 호안이나 도로 사면을 조성할 수 있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다공성 콘크리트블록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371440호 및 제10-392069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등록특허 제10-371440호에 개시된 다공성 블록은 미생물과 소동물의 생육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건조된 황토를 이용하여 골재를 결합한 것이고, 제10-392069호에 개시된 다공성 식생블록은 화토페이스트를 이용하여 골재를 부착시켜 식생블록을 제작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다공성 블록들은 골재와 골재 사이에 공극이 생성되도록 시멘트 및 황토 등에 의하여 제작된 접합제를 이용하여 골재들을 접합시키므로, 다공성 블록을 제작한 후, 골재와 골재 사이에 존재하는 공극에 의하여 다공성 블록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다공성 블록을 시공할 때 발생되는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다공성 블록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다.
또한, 다공성 블록의 공극을 크게 제작하기 위하여 입자가 큰 골재를 사용하게 되면, 골재의 입자가 커지는 만큼 다공성 블록의 강도가 즉, 내구성이 저하되므로, 다공성 블록의 공극을 크게 제작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위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공극율이 증가하여 물이나 공기가 용이하게 통과하고 식물의 뿌리가 공극을 통해 지면까지 용이하게 뿌리 내릴 수 있음은 물론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면 보호용 다공성 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호용 다공성 블록은 여기서, 일정크기를 가지는 골재들이 접합제에 의하여 일정형태로 접합되어 있으며, 물이나 공기가 통과하고 식물이 뿌리를 내릴 수 있도록 상호 접합되는 상기 골 재와 골재 사이에는 공극이 형성되어 있는 식생부와; 일정형태를 가지도록 제작되는 상기 식생부가 고정되도록 상기 식생부의 외부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골재는 입자의 크기가 20mm 내지 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는 고로슬래그 시멘트, 소성황토, 소석회 및 화이버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소성황토와 고로슬래그시멘트 및 소석회를 1~3:4~6:2~4의 무게비로 혼합하고, 상기 소성황토와 고로슬래그시멘트 및 소석회의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25 ~ 32중량부의 물과, 0.5 ~ 2중량부의 혼화제 및 3 ~ 5중량부의 화이버를 첨가하고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면 보호용 다공성 블록에 의하면, 골재에 의하여 이루어진 식생부가 고정부에 의하여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다공성 블록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다공성 블록을 제작할 때 식생부에 보다 큰 골재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식생부의 골재와 골재 사이에 존재하는 공극의 크기가 크게 형성되어 식생부의 공극율이 증가됨으로 인하여 식물의 뿌리가 공극을 통해 지면까지 용이하게 뿌리 내리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호용 다공성 블록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면 보호용 다공성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면 보호용 다공성 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면 보호용 다공성 블록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면 보호용 다공성 블록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블록(10)은 골재에 의하여 공극을 가지도록 마련되는 식생부(11)와, 이 식생부(11)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13)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블록(10)은 성토지나 절개지 등의 사면 예컨대, 하천의 제방 도로나 철도의 법면에 노출되어 있는 토사가 붕괴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사면을 따라 적층되어 시공된다.
이때, 다공성 블록(10)은 식생부(11)의 외면인 테두리에 고정부(13)가 형성되어 있어서 식생부(11)의 골재들이 더욱 강하게 밀착 및 결합되므로, 다공성 블록(10)의 강도 및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고정부(13)를 형성함으로써, 다공성 블록(10)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식생부(11)를 이루는 골재들의 크기를 더욱 크게 하여 골재와 골재 사이에 존재하게 되는 공극의 크기를 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더욱이, 식물이 식생되는 식생부(11)의 공극율이 증가하게 되면 식물의 뿌리가 빠른 시간 내에 공극을 통해 지면까지 뿌리를 내릴 수 있게 되어 하천의 제방이나 도로의 옹벽을 보다 빠른 시간에 안정화시키고 친환경적으로 조성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블록(10)이 4각형으로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지만, 다공성 블록(10)을 원형 또는 4각형 이외의 다각형으로도 제작하여 제방이나 옹벽을 다양한 형태로 조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생부(11)에 사용되는 골재는 그 입자의 크기가 20mm 내지 50mm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30mm이상인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바람직하다. 여기서 골재의 크기가 50mm를 초과하게 되면 식생부(11)의 공극 즉, 골재와 골재 사이에 존재하는 공극의 크기는 증가하게 되나, 강도 및 내구성이 저하되어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식생부(11)가 쉽게 파손되며, 골재의 크기가 20mm미만인 경우에는 식생부(11)의 강도 및 내구성은 증가하지만 공극의 크기가 현저하게 저하되어 식물이 뿌리를 내리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한편, 식생부(11)의 골재들은 접합제인 콘크리트에 의하여 상호 부착되어 진다.
다음의 표 1은 본 발명의 식생부(11)에 사용되는 골재의 크기에 따른 식생부(11)의 공극 크기 및 공극률을 나타낸 것이다.
[표 1]
골재의 크기 공극의 크기(평균;mm) 공극률(%)
13 - 21mm 2.7 31
21 - 25mm 3.2 34
25 - 50mm 5.6 29
위의 표 1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공극률은 골재 크기(입도)의 균일도에 의하여 차이가 나므로, 그 크기가 21 ~ 25mm인 골재를 사용하여 식생부(11)를 형성하였을 때 식생부(11)의 공극율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공기나 물이 통과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식생부(11)의 공극 크기는 골재의 크기(입도)가 가장 큰 25 ~ 50mm일 때, 가장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식생부(11)에서 식물이 가장 잘 자라게 하기 위해서는 골재의 크기가 25 ~ 50mm인 것을 사용하여 식생부(11)를 제작하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블록(10)은 식생부(11)에서 식물을 보다 더 원활하게 식생할 수 있도록 식생부(11)의 상측에 토사가 복토된 토사층(15)이 더 형성되는데, 토사층(15)은 식생부(11)의 높이보다 고정부(13)의 높이를 더 높게 형성함으로 인하여 형성된다. 이때, 식생부(11)의 높이(h1) : 토사층(15)의 높이(h2)가 1 : 0.5 ~ 1의 비율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정부(13)의 내면은 테이퍼면(13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토사층(15)의 높이(h2)가 식생부(11)의 높이(h1)보다 더 높게 형성되면 식물의 뿌리가 식생부(11)를 통과하여 지면에 까지 자라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되어 사면을 안정화 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그리고 토사층(15)의 높이(h2)가 너무 낮게 즉, 식생부(11)의 높이(h1)에 대하여 1/2 이하로 형성되면, 식물이 토사층(15)의 수분이나 영양이 부족하여 식물이 고사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다음의 표 2는 식생부(11)에 사용되는 골재의 크기에 따라 식생부(11)에서 생육되는 식물 뿌리의 생육정도를 관찰한 결과이다.
[표 2] 사용골재의 크기에 따른 식물 뿌리의 생육 비교 (단위: cm)
골재의 크기 1주 3주 5주 10주
13 - 21mm 0 1.2 2.1 4.2
21 - 25mm 0 1.2 3.5 6.3
25 - 50mm 0 1.3 7.2 15.7
이때, 다공성 블록(10)은 식생부(11)에 사용되는 골재의 크기에 따라 각각 제작하였고, 각각의 다공성 블록(10)은 두께(h)를 10cm로 제작하였으며, 다공성 블록(10)의 토사층(15)은 밭토양을 충진한 다음 일반 상토를 3cm복토하였다. 그리고 토사층(15)에 생육되는 식물로는 쑥부쟁이 종자를 발아시켜 파종하였으며, 식물의 자생조건은 주 1회 토사층(15)에 물을 공급하였고, 다공서 블록(10)이 설치된 지반에는 항상 충분한 수분이 공급되도록 하였다. 이후 위와 같은 조건에서 식물의 뿌리 생육을 관찰한 결과이다.
위의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파종 10주 후의 결과를 보면 식생부(11) 골재의 크기가 13 ~ 21mm인 다공성 블록(10)은 쑥부쟁이(식물)의 뿌리가 4.2cm 정도 밖에 내리지 못했으며 밭토양이 공극 사이로 충분히 충진되지 않아 쑥부쟁이의 뿌리 생장상태가 좋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쑥부쟁이가 생육도중 고사하는 경우가 30%를 넘었다.
또한, 다공성 블록(10)의 식생부(11) 골재크기를 21 ~ 25mm로 한 경우도 골재의 크기가 13 ~ 21mm일 때 보다는 쑥부쟁이의 뿌리 생장이 좋았으나 여전히 블록의 공극을 통하여 뿌리가 내리기 어려운 상황이었으며, 10주가 지난 상태에서도 바닥부를 관통한 뿌리는 관찰할 수 없었다. 그리고 다공성 블록(10)의 식생부(11) 골재크기를 25 ~ 50mm인 경우에는 쑥부쟁이의 뿌리가 식생부(11)를 관통하여 지반까지 자라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즉, 공극의 크기가 클수록 식생부(11)의 공극에 더 많은 공기 및 수분이 축적되므로, 쑥부쟁이의 생육과정에서 수분부족 현상을 거의 보이지 않았다.
한편, 다공성 블록(10)은 그 폭(L1)이 50cm ~ 100cm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정부(13)의 폭(L2)은 15cm ~ 10cm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다공성 블록(10)의 폭(L1)을 100cm를 초과하여 제작하게 되면 다공성 블록(10)의 내구성 및 강도가 저하되고, 다공성 블록(10)의 폭(L1)을 50cm 미만으로 제작하면 다공성 블록(10)의 강도 및 내구성은 향상되나 식생부(11)의 크기가 작아지게 되어 식물을 식생하는 공간이 감소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공성 블록(10)은 그 내구성 및 강도를 보다 향상시킴과 동시에 사면에 시공할 때 다공성 블록(10) 상호를 더욱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고정부(13)의 중심부에는 철근(13a)이 더 배근되고, 철근(13a)의 모서리는 고정부(13)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다공성 블록(10)의 고정부(13) 모서리는 철근(13a)이 노출되도록 모따기 처리 되어 있으며, 상호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다공성 블록(10)은 모서리로 노출된 철 근(13a)을 상호 결속시켜 고정시킨다.
더하여, 식생부(11)를 밀착 및 결합시키는 고정부(13)는 고로슬래그 시멘트, 소성황토, 소석회 및 화이버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되며, 고정부(13)는 상기 식생부(11)를 형성한 후, 일정형상의 틀에 식생부(11)를 위치시키고 상기 틀에 상기 혼합물을 투입하여 식생부(11)와 함께 건조시키는 과정을 통해 제작된다. 여기서, 고정부(13)는 고로슬래그 시멘트 및 소성황토가 혼합된 혼합물에 소석회 및 화이버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혼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부(13)는 상기 고로슬래그시멘트와 소성황토 및 소석회를 4~6 : 1~3 : 2~4의 무게비로 혼합하고, 상기 소성황토와 고로슬래그시멘트 및 소석회의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25 ~ 32중량부의 물과, 0.5 ~ 2중량부의 혼화제 및 3 ~ 5중량부의 화이버를 첨가하여 혼합한다.
상기 소성황토는 황토를 1시간 내에 1,000℃이상까지 고온 소성시킨 다음 공기 및 물을 이용하여 급냉시킨다. 이후 냉각과정에서 일정크기로 굳어진 소성황토를 미세하게 분쇄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상기 소성황토에 소석회를 혼합하게 되면 포졸란 반응을 통행 경화가 이루어지며, 소성황토가 갖는 본래의 특성을 그대로 나타내게 된다. 이때, 소성황토와 고로슬래그시멘트 및 소석회를 1~3:4~6:2~4의 무게비로 혼합할 때 소성황토의 무게비가 1~3인 것은 소성황토의 무게비가 1미만인 경우에는 소성황토의 특성이 전혀 나타나지 않으며, 무게비가 3을 초과하게 되면 고정부(13)의 강도가 저하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13)를 소성황토 및 소석회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은 소성황토에 의하여 오염된 토양 또는 빗물 속에 함유된 중금속 등이 다공성 블록(10)의 고정부(13)로 흡수되므로, 제방이나 옹벽 등을 보다 친환경적으로 조성할 수 있다.
상기 고로슬래그 시멘트(portland blast furnace cement)는 용광로에서 선철을 제조할 때 생기는 부산물인 슬래그(광재)에 포틀랜드 시멘트와 석고(石膏)를 혼합하여 만든 혼합 시멘트로, 보통의 포틀랜드 시멘트에 비하여 시멘트의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인 수화열(水和熱)이 낮고, 내구성이 높으며, 화학 저항성이 큰 반면 투수(透水)가 적은 특징이 있다. 또한, 중량이 크고 강도가 우수하며, 알칼리성이 낮아 중성에 가깝고 특히 양생 후 강도가 향상되는 특징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로슬래그시멘트와 소성황토 및 소석회를 4~6 : 1~3 : 2~4의 무게비로 혼합할 때 고로슬래그시멘트의 무게비가 4~6인 것은 고로슬래그시멘트의 무게비가 4미만인 경우에는 고정부(13)의 강도가 저하되어 다공성 블록(10)의 내구성이 저하되고, 무게비가 6을 초과할 경우에는 강도는 향상되나 소성황토의 특성이 저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3)는 상기 소성황토와 고로슬래그시멘트 및 소석회의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25 ~ 32중량부의 물과, 0.5 ~ 2중량부의 혼화제 및 3 ~ 5중량부의 화이버를 더 혼합한다.
상기 소성황토와 고로슬래그시멘트 및 소석회의 혼합물에 혼합되는 물 및 혼 화제는 상기 소성황토와 고로슬래그시멘트 및 소석회의 혼합물을 일정한 모양으로 양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혼합물이 점성을 띠게 한다. 상기 혼화제로는 AE감수제 및 유동화제가 사용되며, 이때, AE감수제는 발포성(發泡性)이 현저한 계면활성제로서 고정부(13)를 이루는 콘크리트 중에 미소한 독립된 기포(氣泡)를 고르게 발생시켜 고정부(13)의 내동결융해성(耐凍結融解性), 내식성(耐蝕性) 및 내구성을 개선시켜 다공성 블록(10)의 압축강도를 증대시킨다.
그리고 상기 소성황토와 고로슬래그시멘트 및 소석회의 혼합물에 대하여 AE감수제 및 유동화제가 혼합되어진 본 실시예에 따른 혼화제를 0.5중량부미만 또는 2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고정부(13)의 압축강도가 저하된다.
화이버로는 고정부(13)를 이루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휨강도 및 인장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일정크기로 절단되거나 또는 실, 망사형상으로 제작된 섬유사를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화이버로는 무기계 섬유 또는 유기계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무기계 섬유로는 강섬유, 유리섬유 및 탄소섬유를 사용하고, 유기계 섬유로는 아라미드섬유, 폴리프로필렌섬유, 비닐론섬유 및 나일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고정부(13)를 이루는 콘크리트에 화이버가 혼합되면, 콘크리트의 결합력이 우수해지고, 콘크리트가 양생되면서 발생하는 균열현상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 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면 보호용 다공성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면 보호용 다공성 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면 보호용 다공성 블록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면 보호용 다공성 블록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다공성 블록 11 : 식생부
13 : 고정부 13a : 철근
15 : 토사층

Claims (5)

  1. 삭제
  2. 성토지나 절개지 등의 사면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사면의 녹화를 위하여 상기 사면에 축조되는 것으로 일정크기를 가지는 골재들이 접합제에 의하여 일정형태로 접합되어 있으며, 물이나 공기가 통과하고 식물이 뿌리를 내릴 수 있도록 상호 접합되는 상기 골재와 골재 사이에는 공극이 형성되어 있는 식생부와; 일정형태를 가지도록 제작되는 상기 식생부가 고정되도록 상기 식생부의 외부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골재는 입자의 크기가 20mm 내지 50mm인 사면 보호용 다공성 블록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고로슬래그 시멘트 및 소성황토가 혼합된 혼합물에 소석회 및 화이버를 더 혼합하여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보호용 다공성 블록.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높이를 상기 식생부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하고, 상기 식생부의 상측에 토사를 복토하여 토사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보호용 다공성 블록.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로슬래그시멘트와 소성황토 및 소석회를 4~6 : 1~3 : 2~4의 무게비로 혼합하고, 상기 소성황토와 고로슬래그시멘트 및 소석회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25 ~ 32중량부의 물과, 0.5 ~ 2중량부의 혼화제 및 3 ~ 5중량부의 화이버를 첨가하고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보호용 다공성 블록.
KR1020070092415A 2007-09-12 2007-09-12 사면 보호용 다공성 블록 KR100806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415A KR100806625B1 (ko) 2007-09-12 2007-09-12 사면 보호용 다공성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415A KR100806625B1 (ko) 2007-09-12 2007-09-12 사면 보호용 다공성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6625B1 true KR100806625B1 (ko) 2008-02-25

Family

ID=39383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2415A KR100806625B1 (ko) 2007-09-12 2007-09-12 사면 보호용 다공성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662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3625A3 (ko) * 2010-01-29 2012-01-05 대산녹화산업 주식회사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골재 콘테이너, 선반조립체와 물공급장치
CN102953387A (zh) * 2011-08-17 2013-03-06 临沂大学 一种适合土石山区的生态护坡方法
CN103088787A (zh) * 2013-01-30 2013-05-08 深圳市东华园林绿化有限公司 一种生态河堤构建的方法
CN103866776A (zh) * 2014-04-09 2014-06-18 湖北工业大学 一种建筑垃圾石笼墙生态护坡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5714A (ja) * 1992-04-22 1993-11-09 Mitsui Constr Co Ltd 植生ブロック
JPH08184054A (ja) * 1994-12-27 1996-07-16 Maeda Seikan Kk 緑化用植生体付き法枠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22867B1 (ko) 1999-07-14 2002-02-09 김인희 투수성 콘크리트의 현장타설에 의한 사면 녹화공법
KR200321367Y1 (ko) 2003-04-14 2003-07-31 김종철 비탈사면 생태블럭
KR100644413B1 (ko) 2006-07-28 2006-11-10 (주)이젠바텀 식생 녹화블록
KR100676311B1 (ko) 2005-08-03 2007-01-30 주식회사 초원기업 황토 식생블록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5714A (ja) * 1992-04-22 1993-11-09 Mitsui Constr Co Ltd 植生ブロック
JPH08184054A (ja) * 1994-12-27 1996-07-16 Maeda Seikan Kk 緑化用植生体付き法枠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22867B1 (ko) 1999-07-14 2002-02-09 김인희 투수성 콘크리트의 현장타설에 의한 사면 녹화공법
KR200321367Y1 (ko) 2003-04-14 2003-07-31 김종철 비탈사면 생태블럭
KR100676311B1 (ko) 2005-08-03 2007-01-30 주식회사 초원기업 황토 식생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0644413B1 (ko) 2006-07-28 2006-11-10 (주)이젠바텀 식생 녹화블록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3625A3 (ko) * 2010-01-29 2012-01-05 대산녹화산업 주식회사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골재 콘테이너, 선반조립체와 물공급장치
CN102953387A (zh) * 2011-08-17 2013-03-06 临沂大学 一种适合土石山区的生态护坡方法
CN102953387B (zh) * 2011-08-17 2015-05-13 临沂大学 一种适合土石山区的生态护坡方法
CN103088787A (zh) * 2013-01-30 2013-05-08 深圳市东华园林绿化有限公司 一种生态河堤构建的方法
CN103866776A (zh) * 2014-04-09 2014-06-18 湖北工业大学 一种建筑垃圾石笼墙生态护坡方法
CN103866776B (zh) * 2014-04-09 2016-01-20 湖北工业大学 一种建筑垃圾石笼墙生态护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70979B (zh) 一种基于淤泥固化土的生态护坡方法
CN107963838B (zh) 一种生态喷锚护坡结构及方法
CN111424687A (zh) 一种利用磷石膏与微生物矿化技术用于膨胀土边坡生态防护的施工方法
CN102010155A (zh) 一种高强度植生型多孔混凝土及其制备方法
KR100806625B1 (ko) 사면 보호용 다공성 블록
KR20100027693A (ko) 경사면 보강구조물을 이용한 경사면 보강방법
KR101258821B1 (ko)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다기능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그리고 그 옹벽 구조물 시공방법
CN108892446A (zh) 一种玻璃纤维增强植生型多孔混凝土及其施工方法
CN107129208A (zh) 一种生物活性多孔隙粗骨料生态护岸基质工程材料
CN102369834B (zh) Bsc大骨料生物基质植生混凝土及其制备、施工方法
KR100540160B1 (ko)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4129560A (ja) 植栽用基材、その製法、及びそれを用いる植栽面の施工法
CN105239532A (zh) 类海绵体生态混凝土砌块及其制备方法
KR101389557B1 (ko) 호안블록 및 이를 구비한 호안블록유닛
CN109056455A (zh) 一种海绵城市建设用透水型人行道板及铺装方法
KR200236322Y1 (ko) 식생공 블럭
KR100960601B1 (ko) 사면 보호용 생태블록
KR200324510Y1 (ko)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
CN115094924A (zh) 一种预制生态植被护坡砖材及其制备方法
KR101500978B1 (ko) 친환경 지압블럭, 친환경 지압블럭 충전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친환경 지압블럭 시공방법
CN110092620B (zh) 一种营养土内置的植生混凝土
JP2013028941A (ja) 新燃岳火山灰を活用した舗装構造及び施工方法
KR20090068864A (ko) 친환경 논두렁용 블록
JP2018002515A (ja) 凍結融解防止強化剤及びそれを用いた土固化モルタル施工方法
JP2000170318A (ja) 木片・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製造方法とそれによって得られた構造体及びその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