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7693A - 경사면 보강구조물을 이용한 경사면 보강방법 - Google Patents

경사면 보강구조물을 이용한 경사면 보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7693A
KR20100027693A KR1020080086704A KR20080086704A KR20100027693A KR 20100027693 A KR20100027693 A KR 20100027693A KR 1020080086704 A KR1020080086704 A KR 1020080086704A KR 20080086704 A KR20080086704 A KR 20080086704A KR 20100027693 A KR20100027693 A KR 20100027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block
soil
reinforcing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6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호
Original Assignee
시우건설(주)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윤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우건설(주),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윤성호 filed Critical 시우건설(주)
Priority to KR1020080086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7693A/ko
Publication of KR20100027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76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면 보강구조물을 이용한 경사면 보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면의 경사각도에 맞도록 절곡 형성시킨 격자구조물의 후방에 다수 개의 배수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배수구조물을 일체로 설치하고, 이와 같이 설치된 보강구조물을 인장강도가 높은 지반보강재와 함께 기초지반상에 시공한 다음, 경사면의 배수층과 보강층을 지반보강재로부터 격자구조물의 높이만큼 순차적으로 다짐 시공하며, 상기 보강층의 시공에는 시멘트 또는 pH완충제와 완효성비료 성분이 혼합된 시멘트계 고화재를 토사와 혼합하여 다짐하는 보강압성토 옹벽공법{일명, 소일캐슬(Soil Castle)공법)을 적용하므로서, 경사면 전방측의 격자구조물이 후방의 배수구조물에 의하여 매우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배수구조물에 의한 경사면의 배수로를 확보하고, 토사의 다짐시공과정에서 발생하는 구조물의 변형이나 붕괴를 사전에 차단하면서 침투수에 의한 토사간의 점착력 증대와 산성토에 대한 객토작용 및 초,목본식물에 대한 영양분 공급을 통하여 경사면의 안정화와 조기녹화에 보다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경사면의 보강 시공후에도 보강구조물과 보강층에 의하여 경사면의 반영구적 보호를 이루어 낼 수 있도록 한 경사면 보강구조물을 이용한 경사면 보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경사면 보강구조물을 이용한 경사면 보강방법은, 기초지반 시공단계(A)와 보강구조물 시공단계(B) 및 토사성토단계(C)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시공단계를 거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보강구조물 시공단계(B)는 지반보강재(31)를 기초지반(1)의 상면에 덮어 씌우는 지반보강재 설치단계(B-1)와, 격자구조물(10)의 후면보강체(12)에 보강블록(21)을 관통시킨 1차 구조물을 지반보강재(31)의 상면에 설치하는 1차 구조물 설치단계(B-2)와, 1차 구조물의 보강블록(21) 후방에 제 1배수블록(23)과 제 2배수블록(26)을 이음블록(22)과 마감블록(24)(25)에 의하여 연결하는 배수구조물 설치단계(B-3)로 이루어지며, 상기 토사성토단계(C)는 지반보강재(31)의 상면에 배수층(32)을 형성시키는 1차 성토단계(C-1)와, 시멘트 또는 pH완충제와 완효성비료 성분이 혼합된 시멘트계 고화재를 토사와 혼합시킨 혼합토사를 상기 배수층(32)의 상면에 다짐하여 보강층(33)을 형성시키는 2차 성토단계(C-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다른실시예로써 상기 2차 성토단계(C-2)는 토사 100wt%를 기준으로 하여 시멘트를 5 ~ 15wt%의 비율로 혼합시키거나 또는 토사 100wt%를 기준으로 하여 pH완충제와 완효성비료 성분이 첨가된 시멘트계 경화재를 10 ~ 30wt%의 비율로 혼합시킨 혼합토사를 상기 배수층(32)의 상면에서 격자구조물(10)의 높이만큼 다짐하여 보강층(33)을 형성시키는 시공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80086704
경사면, 보강구조물, 격자구조물, 배수구조물, 지반보강재, 배수층, 보강층

Description

경사면 보강구조물을 이용한 경사면 보강방법{Reinforcing method using structure for reinforcing slope}
본 발명은 경사면 보강구조물을 이용한 경사면 보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면의 경사각도에 맞도록 절곡 형성시킨 격자구조물의 후방에 다수 개의 배수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배수구조물을 일체로 설치하고, 이와 같이 설치된 보강구조물을 인장강도가 높은 지반보강재와 함께 기초지반상에 시공한 다음, 경사면의 배수층과 보강층을 지반보강재로부터 격자구조물의 높이만큼 순차적으로 다짐 시공하며, 상기 보강층의 시공에는 시멘트 또는 pH완충제와 완효성비료 성분이 혼합된 시멘트계 고화재를 토사와 혼합하여 다짐하는 보강압성토 옹벽공법{일명, 소일캐슬(Soil Castle)공법)을 적용하므로서, 경사면 전방측의 격자구조물이 후방의 배수구조물에 의하여 매우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배수구조물에 의한 경사면의 배수로를 확보하고, 토사의 다짐시공과정에서 발생하는 구조물의 변형이나 붕괴를 사전에 차단하면서 침투수에 의한 토사간의 점착력 증대와 산성토에 대한 객토작용 및 초,목본식물에 대한 영양분 공급을 통하여 경사면의 안정화와 조기녹화에 보다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경사면의 보강 시공후에도 보강구조물과 보강층에 의하여 경사면의 반영구적 보호를 이루어 낼 수 있도록 한 경사면 보강구조물을 이용한 경사면 보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폭우나 홍수와 같은 천재지변에 의하여 산비탈이나 언덕의 경사면이 일부 훼손된 경우에는 훼손된 경사면을 일정량만큼 깍아내고 그 부분에 토사를 메워서 새로운 경사면을 조성하게 되고, 산비탈이나 언덕 부분에 도로나 철도 등을 새로이 개설할 경우에는 산비탈이나 언덕 부분을 일정량만큼 깍아내어 개설면을 평지화시킨 다음 나머지 부분을 새로운 경사면으로 조성하게 되며, 하천의 범람방지와 수자원의 이용을 위하여 하천이나 호수의 부근에 조성된 둑이나 제방 또한 토사의 성토로 인한 경사면이 조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토사를 깍아내거나 메워서 새로운 지형으로 조성한 성토지역이나 절토지역의 연약한 경사면을 나대지로 방치할 경우에는, 폭우나 홍수등과 같은 여러 가지 자연적인 원인으로 인하여 경사면의 토사가 쉽게 유실되므로서 번번히 경사면의 복구작업을 수행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에는 나대지 상태의 경사면이 붕괴되어 막대한 인명과 재산피해를 유발시킬 위험성이 크기 때문에, 경사면상에 별도의 보강구조물을 설치한 다음 경사면을 녹화시키므로서 경사면의 표면붕괴를 사전에 차단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경사면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구조물로는 경사면의 표면을 그물 형태로 덮는 각종 네트(Net)를 포함하여, 다수 개의 가로철봉(또는, 강봉)과 세로철봉을 일체로 연결시킨 다음 경사면의 경사각도에 맞추어 "∠"형태로 절곡시킨 철봉격자나, 경사면상에서 사각 또는 육각 등의 형태로 연결되도록 각종 규격으로 제 조되는 플라스틱, 철강 또는 콘크리트 블록 등이 알려져 있으며, 경사면에 요구되는 시공강도와 시공규모에 따라 필요한 보강구조물(보통, 네트〈 플라스틱 블록〈 철근격자 〈콘크리트 및 철강블록의 순이다)을 선택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경사면 보강구조물 중에서 철봉격자를 이용하여 경사면을 보강하게 한 것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4-213625호(1992. 8.4 공개, 발명의 명칭: 경사면 지지구조)에 기재되어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경사면 지지구조는, 가로철봉과 세로철봉으로 이루어지는 철봉격자를 경사면의 경사각도에 맞도록 "∠"형태로 절곡하여 철봉격자에 의한 전방벽과 후방벽을 형성시키고, 이와 같이 형성된 철봉격자를 경사면의 높이에 맞도록 적층시키되, 전방벽과 후방벽의 사이에는 철봉격자의 강도보강을 위하여 전방벽과 후방벽의 각 철봉을 연결하는 연결봉을 가로지게 설치하고, 철봉격자의 전방벽에는 녹화시트 또는 그린식생토와 같은 식물후리스를 덮고, 철봉격자의 후방벽 하부에는 보강후리스로서 부직포가 기초지반상에 덮혀지도록 한 다음, 철봉격자의 후방으로 토사를 성토하여 경사면을 다짐 시공하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경사면 지지구조는, 철봉격자를 사용하여 경사면의 보강시공을 용이하게 수행하고, 시공된 경사면의 전방에 식생토의 취부를 효과적으로 이루어 낼 수는 있었으나, 경사면의 높이에 따라 수 개의 층으로 적층된 철봉격자의 전방벽이 토사의 다짐 시공과정에서 발생하는 토압에 의하여 불룩하게 배가 튀어나오는 것과 같은 구조물의 변형이 쉽게 발생하고, 심한 경우에는 각 철봉격자와 부직포로 나뉘어지는 토사층이 토압에 의하여 서로 괴리되므로서 구조물 의 붕괴를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경사면의 높이가 다소 높은 곳에는 상기한 철봉격자 구조물을 적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토사의 다짐 시공과정에서 발생하는 철봉격자 구조물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철봉격자를 이루는 가로철봉과 세로철봉을 강도가 우수한 이형철근으로 제작할 경우에는, 일차적으로 세로철근을 경사면의 경사각도에 맞추어 "∠"형태로 절곡 형성시킨 다음, 이와 같이 형성된 수십 개의 세로철근에 가로철근을 일일이 용접하여 철근격자를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철근격자의 제작시간이 매우 길어지게 되고 그 단가 또한 매우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철봉격자나 철근격자와 같은 격자구조물에 의하여 경사면 전방측에 대한 보강은 어느 정도 이루어낼 수 있었으나, 격자구조물의 내측에는 단순히 토사만을 성토 다짐하여 경사면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지하수나 빗물과 같은 침투수를 배수시킬 수 있는 적절한 배수수단 및 경사면 내측부에 대한 적절한 보강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침투수에 의한 경사면의 토사침식과 이로 인한 경사면의 함몰 및 붕괴를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격자구조물의 시공과정에서 경사면의 표면에 콘크리트 배수로를 별도로 형성시킨다 하더라도 경사면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침투수에 대한 근복적인 대책을 제공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공사기간과 공사비용의 증대만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경사면 보강구조물을 이용한 경사면 보강방법은 경사면의 경사각도에 맞도록 절곡 형성시킨 격자구조물의 후방에 다수 개의 배수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배수구조물을 일체로 설치하고, 이와 같이 설치된 보강구조물을 인장강도가 높은 지반보강재와 함께 기초지반상에 시공한 다음, 경사면의 배수층과 보강층을 지반보강재로부터 격자구조물의 높이만큼 순차적으로 다짐 시공하며, 상기 보강층의 시공에는 시멘트 또는 pH완충제와 완효성비료 성분이 혼합된 시멘트계 고화재를 토사와 혼합하여 다짐하는 보강압성토 옹벽공법{일명, 소일캐슬(Soil Castle)공법)을 적용하므로서, 경사면 전방측의 격자구조물이 후방의 배수구조물에 의하여 매우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배수구조물에 의한 경사면의 배수로를 확보하고, 토사의 다짐시공과정에서 발생하는 구조물의 변형이나 붕괴를 사전에 차단하면서 침투수에 의한 토사간의 점착력 증대와 산성토에 대한 객토작용 및 초,목본식물에 대한 영양분 공급을 통하여 경사면의 안정화와 조기녹화에 보다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경사면의 보강 시공후에도 보강구조물과 보강층에 의하여 경사면의 반영구적 보호를 이루어 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경사면 보강구조물을 이용한 경사면 보강방법은, 경사면의 일부를 깍아내어 기초지반을 평평하게 고르고 다지는 기초지반 시공단계와, 시공된 기초지반에 보강구조물을 설치하는 보강구조물 시공단계와, 시공된 보강구조물의 내측에 녹화시트를 부착시킨 상태에서 보강구조물의 내측으로 토사를 다짐하여 성토하는 토사성토단계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시공단계를 경사면의 높이에 걸쳐 적층식으로 반복 시공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보강구조물 시공단계는, 장섬유 또는 지오그리드(Gio-grid) 중에서 택일하여서 되는 지반보강재를 기초지반의 상면에 덮어 씌우는 지반보강재 설치단계와, 경사면의 전면보강체와 후면보강체가 형성된 격자구조물에 일자형의 보강블록을 후면보강체의 가로봉에 관통시킨 1차 구조물을 지반보강재의 전방 상면에 설치하는 1차 구조물 설치단계와, 1차 구조물의 보강블록 후방에 제 1배수블록을 이음블록에 의하여 보강블록과 일직선상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제 1배수블록의 후방에는 T자형 및 ㄱ자형 마감블록에 의하여 제 2배수블록을 제 1배수블록과 직교하도록 연결시키는 배수구조물 설치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토사성토단계는, 각 블록의 내부에 골재를 충진시키고 블록의 외부에는 토사 또는 골재를 블록의 높이만큼 다짐하여 지반보강재의 상면에 배수층을 형성시키는 1차 성토단계와, 시멘트 또는 pH완충제와 완효성비료 성분이 혼합된 시멘트계 고화재를 토사와 혼합시킨 혼합토사를 상기 배수층의 상면에서 격자구조물의 높이만큼 다짐하여 보강층을 형성시키는 2차 성토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다른실시예로써 상기 2차 성토단계(C-2)는 토사 100wt%를 기준으로 하여 시멘트를 5 ~ 15wt%의 비율로 혼합시키거나 또는 토사 100wt%를 기준으로 하여 pH완충제와 완효성비료 성분이 첨가된 시멘트계 경화재를 10 ~ 30wt%의 비율로 혼합시킨 혼합토사를 상기 배수층(32)의 상면에서 격자구조물(10)의 높이만큼 다짐 하여 보강층(33)을 형성시키는 시공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경사면 보강구조물을 이용한 경사면 보강방법은, 토사의 다짐 시공과정에서 경사면 전방측의 격자구조물에 작용하는 토압을 최소화시켜 격자구조물의 변형이나 파손 및 이로 인한 보강구조물의 붕괴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비교적 얇은 철봉을 압접시켜 제작한 격자구조물을 사용하더라도 높은 보강강도가 요구되는 경사면에 용이하게 적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격자구조물의 제작시간을 단축시키고 그 제조단가 또한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격자구조물을 이형철근으로 제작한 경우에는 콘크리트 블록이나 철강블록과 유사한 보강강도를 가지면서도 그 설치기간이 매우 빠르고, 그 설치비용이 매우 저렴하며, 보강된 경사면의 조기녹화가 가능한 보강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경사면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침투수를 용이하게 배출시켜 침투수에 의한 경사면의 토사침식과 그로 인한 경사면의 함몰 및 붕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2차 성토단계에서 보강압성토 옹벽공법으로 보강층을 형성시킬 경우에는 침투수에 의한 토사간의 점착력 증대로 인하여 보강층의 강도가 더욱 향상되어 경사면을 거의 반영구적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는 효과와, 산성토에 대한 객토작용 및 보강층에 함유된 완효성 비료성분에 의하여 경사면의 조기녹화를 이루어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경사면 보강구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경사면 보강구조물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경사면 보강구조물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경사면 보강구조물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면에 대한 부호의 설명중 미설명 된 부호 2는 체결볼트, 21a ~ 24a는 각 블록의 몸체, 21b ~ 26b는 각 블록의 배수공, 21c 및 23c는 연결단부, 22c 및 24c는 연결홈, 21d ~ 24d는 체결공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경사면 보강구조물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경사면의 전방측에서 경사면을 보강하기 위한 격자구조물(10)과, 상기 격자구조물(10)의 후방측에서 경사면 내측의 배수로 역할을 하는 배수구조물(20)이 일체로 연결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격자구조물(10)은 경사면의 경사각도에 맞추어 "∠" 형태로 절곡시킨 수십 개의 세로봉(10a)과, 상기 세로봉(10a)에 직교하도록 세로봉(10a)과 일체로 형성되는 수십 개의 가로봉(10b)으로 구성되고, 각 세로봉(10a)과 가로봉(10b)에 의하여 경사면의 전방측을 보강하는 전면보강체(11)와 후면보강체(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의 배수구조물(20)은 후면보강체(12)의 가로봉(10b)에 수직으로 관통되는 일자형의 보강블록(21)이 후면보강체(12)를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고, 각 보강블록(21)의 후단부에는 이음블록(22)에 의하여 일자형의 제 1배수블록(23)이 보강블록(21)과 일체로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 1배수블록(23)중에서 중앙부에 설치되는 배수블록(23)의 후단부에는 T자형 마감블록(24)이 일체로 연결 설치되고, 제 1배수블록(23)중에서 양측부에 설치되는 배수블록(23)의 후단부에는 ㄱ자형 마감블록(25)이 일체로 연결 설치되며, 각 마감블록(24)(25)의 사이에는 일자형의 제 2배수블록(26)이 마감블록(24)(25)과 일체로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수구조물(20)을 구성하는 각 블록(21~26)의 세부적인 형태와 결합관계를 도 3을 중심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며, 도 3에서는 지면관계상 ㄱ자형 마감블록(25)과 제 2배수블록(26)을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이에 대한 전체적인 구조와 결합관계는 도면 제 1도와 제 2도에 이미 도시되어 있으므로 이를 참조하기 바란다.
먼저, 보강블록(21)과 이음블록(22) 및 제 1, 제 2배수블록(23)(26)은 일자형태의 외관을 가지며, 각 블록(21)(22)(23)(26)의 몸체(21a)(22a)(23a)는 "ㄷ"자 형태로 절곡되어 그 개구부가 상부를 향하도록 설치되고, 몸체(21a)(22a)(23a)의 양측면에는 외부의 토사로부터 블록(21)(22)(23)(26)의 내부로 침투수를 유입시키기 위한 배수공(21b)(22b)(23b)(26b)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강블록(21)의 경우에는 몸체(21a)의 일측단에 연결단부(21c)가 단지게 돌출 형성되고, 제 1, 제 2배수블록(23)(26)의 경우에는 몸체(23a)의 양측단에 연결단부(23c)가 단지게 형성되고, 이음블록(22)의 경우에는 보강블록(21)과 제 1배수블록(23)의 각 연결단부(21c)(23c)가 삽입되는 연결홈(22c)이 몸체(22a)의 내 측으로 단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각 연결단부(21c)(23c)와 연결홈(22c)의 하측면에는 각 블록(21)(22)(23)(26)을 체결볼트(2)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체결공(21d)(22d)(23d)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T자형 마감블록(24)과 ㄱ자형 마감블록(25)은 각각 "T"자형과 "ㄱ"자 형태의 외관을 가지며, 각 블록(24)(25)의 몸체(24a)는 "ㄷ"자 형태로 절곡되어 그 개구부가 상부를 향하도록 설치되고, 몸체(24a)의 양측면에는 외부의 토사로부터 침투수를 블록(24)(25)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배수공(24b)(25b)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24a)의 각 절단부측에는 제 1배수블록(23)과 제 2배수블록(26)의 각 연결단부(23c)가 삽입되는 연결홈(24c)이 몸체(24a)의 내측으로 단지게 형성되고, 각 연결홈(24c)의 하측면에는 각 블록(23)(24)(25)(26)을 체결볼트(2)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체결공(24d)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각 블록(21~26)중에서 보강블록(21)에 형성된 배수공(21b)의 주된 역할은 보강블록(21)을 후면보강체(12)의 가로봉(10b)에 관통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수공(21b)의 직경을 가로봉(10b)의 두께보다 다소 크게 하여 배수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상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격자구조물(10)의 후방에 3개의 보강블록(21)을 연결하여 이음블록(22)과 제 1배수블록(23) 각 3개, T자형 마감블록(24) 1개, ㄱ자형 마감블록(25) 2개, 제 2배수블록(26) 2개를 사용하여 배수구조물(20)을 형성시킨 것으로 되어 있으나, 시공하고자 하는 경사면의 폭과 높이에 따라 각 블록(21~26)의 사용갯수는 달라질 수 있으며, 각 블록(21~26)의 연 결구조 또한 임의의 형태로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종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격자구조물(10)의 전면보강체(11)와 후면보강체(12)의 사이에 보강봉을 가로지게 설치하여 격자구조물(10)의 지지강도를 보강시킬 수도 있고, 배수구조물(20)의 각 블록(21~26)상에 강도보강을 위하여 쏘일네일이나 앵커볼트 등을 관통 설치할 수도 있으며, 배수구조물(20)을 이루는 각 블록(21~26)의 재질 또한, 플라스틱이나 형강 또는 철구조물 중에서 용이하게 선택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상기 경사면 보강구조물을 이용한 경사면 보강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경사면 보강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보강방법에 따른 각 층의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보강방법에 따라 경사면이 보강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경사면 보강방법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초지반 시공단계(A)와 보강구조물 시공단계(B) 및 토사성토단계(C)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시공단계를 경사면의 높이에 맞도록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며, 상기 보강구조물 시공단계(B)는 지반보강재 설치단계(B-1)와 1차구조물 설치단계(B-2) 및 배수구조물 설치단계(B-3)의 3단계로 나뉘어지고, 상기 토사성토단계(C) 또한, 1차 성토단계(C-1)와 2차 성토단계(C-2)의 2단계로 나뉘어진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경사면 보강방법을 적용할 지역을 현장 답사하여, 우천으로 지반이 약해진 장소와 같이 문제점이 노출되는 경사면이나, 도로나 철도 등 을 새로이 조성할 경사면에 대한 지반과 토질조사를 완료하고, 이와 같이 조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시공할 보강구조물의 경사면 구배와, 구조물을 구성하는 각종 기자재의 적절한 규격을 결정하여 보강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설계를 완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보강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설계가 완료되면, 굴착기 등을 사용하여 경사면을 일정한 범위만큼 절취해 낸 다음, 절취된 토사는 재성토를 위하여 작업장의 일측에 쌓아놓고, 절취된 경사면의 바닥층은 진동롤러나 각종 다짐기계를 사용하여 평평하게 고르고 다짐으로서, 본 발명의 보강구조물을 설치할 기초지반(1)을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기초지반 시공단계(A)가 완료되면, 기초지반(1)의 상면에 장섬유 또는 지오그리드(Gio-grid) 중에서 택일하여서 되는 지반보강재(31)를 덮어 씌우는 지반보강재 설치단계(B-1)를 거치게 된다.
상기 지반보강재 설치단계(B-1)에서 지반보강재(31)로 사용되는 장섬유{長纖維, 일명 필라멘트(Filament)라고도 한다}는 방적에 의하여 형성되지 않은 길이가 긴 섬유를 일컫는 것으로서, 개략 4 ~ 10mm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장섬유를 기초지반(1) 전체에 걸쳐 덮어 씌우게 되며, 이와 같이 설치되는 장섬유는 지하수나 침투수를 흡수하여 지반의 내부에 세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흡수된 수분을 격자구조물(10)의 전방측으로 배출시켜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4 ~ 10mm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장섬유는 1m2 당 약 4톤(ton) 이상의 인장력을 견디기 때문에 구조물의 강도보강과 경사면의 안정화에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또 다른 지반보강재(31)로 사용되는 지오그리드(Gio-grid)는 높은 인장강도가 요구되는 중요 토목구조물에 사용되는 토목섬유의 일종으로서, 고인장, 저신율의 폴리에스터(Polyester) 원사를 종방향 격자식으로 직조한 후 P.V.C 코팅을 행한 직포형그리드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시트에 일정한 배열로 천공을 한 후 열처리로 연신시킨 시트형그리드와, 상기와 같은 폴리머계 섬유의 물성치를 개선하여 강도와 저신도 및 저크리프성을 가지는 유리섬유 지오그리드와 같은 종류중에서 시공여건에 따라 가장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기초지반(1) 전체에 걸쳐 덮어 씌우게 된다.
상기와 같은 지반보강재 설치단계(B-1)를 거친 후에는, 경사면의 전면보강체(11)와 후면보강체(12)로 이루어지는 상기 격자구조물(10)에 일자형의 보강블록(21)을 후면보강체(12)의 가로봉(10b)과 일체로 형성시킨 1차 구조물을 별도로 제작한 다음, 이 1차 구조물을 지반보강재(31)의 전방 상면에 설치하는 1차 구조물 설치단계(B-2)를 거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격자구조물(10)과 보강블록(21)을 하나의 별도 구조물로 먼저 제작하는 이유는, 지반보강재(31)의 전방 상면에 격자구조물(10)을 먼저 설치하여 놓은 상태에서 격자구조물(10)의 후방에 배수구조물(20)을 연결하는 것 보다, 시공현장 이외의 장소에서 격자구조물(10)의 후면보강체(12)에 보강블록(21)을 일체로 고정시켜 별도의 1차 구조물을 제작한 다음, 이 1차 구조물을 지반보강재(31)의 상면에 설치하는 것이 배수구조물(20)의 연결작업에 따른 시간과 경비의 절약측면에 서 훨씬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1차 구조물을 제작하는 것은 크게 2 가지의 경우로 나뉘어질 수 있으며, 그 중 하나는 격자구조물(10)을 이형철근과 같은 재질로 형성시킬 경우로서, 이 경우에는 이형철근으로 세로봉(10a)을 먼저 절곡 형성시킨 다음 이 세로봉에 가로봉(10b)의 역할을 하는 이형철근을 용접하되, 후면보강체(12) 부분에는 각 보강블록(21)에 이형철근을 먼저 관통시킨 다음 각 이형철근을 용접하여 형성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격자구조물(10)이 압접방식에 의하여 하나의 완성된 구조물로 먼저 제작된 경우로서, 이 경우에는 격자구조물(10)을 약 2 ~ 3m 간격으로 절단하여 보강블록(21)의 양측으로 절단된 각 격자구조물(10)의 가로봉(10b)이 관통되도록 한 다음, 각각의 격자구조물(10)을 일체로 연결시켜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1차 구조물 설치단계(B-2)를 거친 후에는, 1차 구조물의 각 보강블록(21) 후단부에 이음블록(22)을 연결하여 보강블록(21)과 이음블록(22)을 체결볼트(2)로서 고정시킨 다음, 각 이음블록(22)의 후단부에 제 1배수블록(23)을 연결하여 이음블록(22)과 제 1배수블록(23)을 체결볼트(2)에 의하여 고정시키며, 이와 같이 고정된 제 1배수블록(23)중에서 중앙부에 위치한 배수블록(23)의 후단부에는 T자형 마감블록(24)을 체결볼트(2)로서 고정시키고, 양측부에 위치한 제 1배수블록(23)의 후단부에는 ㄱ자형 마감블록(25)을 체결볼트(2)로서 고정시킨 다음, 각 마감블록(24)(25)의 사이에 제 2배수블록(26)을 삽입하여 마감블록(24)(25)과 제 2배수블록(26)을 체결볼트(2)로서 연결 고정시키므로서 격자구조물(10)의 후방에 배수구조물(20)을 설치하는 배수구조물 설치단계(B-3)를 거치게 된다.
상기한 배수구조물 설치단계(B-3)를 거치므로서, 기초지반(1)상에 본 발명에 의한 경사면 보강구조물의 설치가 완료되며, 이 과정에서 격자구조물(10)의 전면보강체(11)와 후면보강체(12)의 사이에 보강봉을 가로지게 설치하여 격자구조물(10)의 지지강도를 보강시키는 작업과, 배수구조물(20)의 각 블록(21~26)상에 쏘일네일이나 앵커볼트 등을 기초지반(1)으로 관통시켜 배수구조물(20)의 설치강도를 보강시키는 작업을 병행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지반보강재 설치단계(B-1)와 1차구조물 설치단계(B-2) 및 배수구조물 설치단계(B-3)로 이루어지는 보강구조물 설치단계(C)를 거친 후에는, 경사구조물(10)의 후방측에 초본식물의 생육을 위한 녹화시트(13)를 부착시킨 다음 경사구조물(10)의 후방측과 배수구조물(20)의 상측으로 토사를 성토하는 토사성토단계(C)를 거치게 된다.
상기 토사성토단계(C)중 1차 성토단계(C-1)는 지반보강재(1)의 상면에 배수층(32)을 형성시키는 것으로서, 배수구조물(20)을 이루는 각 블록(21~26)의 내부에는 골재를 충진시키고, 각 블록(21~26)의 외부에는 토사 또는 골재를 블록(21~26)의 높이만큼 다짐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1차 성토단계(C-1)에서 배수층(32) 전체를 골재로 형성시키게 되면, 경사면의 배수기능은 최대한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나 시공단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고, 배수구조물(20)의 블록(21~26) 내부에 골재를 충진시키는 것만으로도 경사면의 배수기능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블록(21~26)의 외부에 토사를 다짐하는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배수층(32)의 두께는 시공되는 경사면과 블록(21~26)의 높이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대부분의 격자구조물(10) 높이가 50cm정도이고 블록(21~26)의 높이는 약 10cm정도가 되므로 배수층(32)의 두께는 약 10cm, 즉 격자구조물(10) 높이의 1/5 정도가 적당하다.
상기와 같은 1차 성토단계(C-1)를 거친 후에는, 경사면을 절취하여 발생한 토사를 배수층(32)의 상면으로부터 격자구조물(10)의 높이만큼 다짐하여 보강층(33)을 형성시키는 2차 성토단계(C-2)를 거치므로서 본 발명에 의한 경사면 보강방법이 완료되며, 상기 2차 성토단계(C-2)에서 시멘트 또는 pH완충제와 완효성비료 성분이 혼합된 시멘트계 고화재를 토사와 혼합시킨 혼합토사를 다짐하는 보강압성토 옹벽공법{일명, 소일캐슬(Soil castle)공법}을 적용시켜 보강층(33)을 형성시킬 경우 경사면의 안정화에 보다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2차 성토단계(C-2)에 적용되는 보강압성토 옹벽공법은 일반적인 토사를 사용하여 보강층(33)을 성토 다짐하는 대신에 토사 100wt%를 기준으로 하여 시멘트를 5 ~ 15wt%의 비율로 혼합시키거나 또는 시멘트를 주성분으로 하여 pH완충제와 완효성비료 성분이 첨가된 시멘트계 경화재를 토사 100wt%를 기준으로 하여 10 ~ 30wt%의 비율로 혼합시킨 혼합토사를 상기 배수층(32)의 상면으로부터 격자구조물(10)의 높이만큼 성토하여 다짐 시공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2차 성토단계(C-2) 즉, 보강압성토 옹벽공법에 사용되는 시멘트는 흔히 포클랜드 시멘트라 불리우는 일반적인 시멘트를 사용하게 되며, 이 시멘트를 토사와 일정 비율로 배합하여 혼합토사를 형성시킨 다음, 이 혼합토사를 성토 다짐하여 보강층(33)을 형성시키게 되면, 시멘트의 주성분이 되는 석회, 실리카, 알루미나, 산화철 등의 성분이 보강층(33)으로 유입된 침투수의 수분과 반응하여 토사의 점결제 및 노반 안정제의 역할을 하는 물질을 생성하게 되므로서, 지층 자체를 고화시키지 않으면서도 상기 보강층(33)에 의한 경사면의 강도보강을 더욱 촉진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토사와 시멘트를 배합하여 혼합토사를 형성시킬 경우 토사에 대한 시멘트의 배합비율이 5wt% 미만이 되면, 시멘트에 의한 보강층(33)의 강도향상을 기대하기 어렵고, 시멘트의 배합비율이 15wt%를 초과하게 되면, 보강층(33)의 알칼리도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시멘트의 배합량 증가측면과 보강층(33)의 강도향상 측면을 동시에 고려할 경우 비경제적이므로 시멘트의 배합비율은 5 ~ 15wt%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차 성토단계(C-2)에서 사용되는 시멘트계 경화재는 경사면 보강시공분야에서 상표명 소일크리트 HS-200으로 하여 제조되는 분말 형태의 제품으로서, 단순히 토사와 함께 혼합하여 다짐하는 것만으로도 점착성이 있는 토사의 경우에는 그 점착력을 영구히 보존시키고, 점착력이 없는 사질토에 대하여는 일정한 점착력을 갖게 하며, 차수효과 이외에 유수와 고결작용 및 하중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황토를 포함하는 각종 토질에 용이하게 적용시킬 수 있는 재료이다.
상기 시멘트계 경화재로서의 소일크리트를 토사와 함께 혼합시공한 후 발생하는 각종 특징 및 그에 따른 화확반응을 표 1에 기재된 소일크리트의 화학성분 분석표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표 1 . 소일크리트 HS-200에 대한 성분분석표
성분 SiO2 Al2O3 Fe2O3 CaO MgO Na2O K2O SO3 lg.loss
함유량 27.4 4.4 2.7 57.1 2.5 0.1 0.9 1.8 2.8
상기와 같은 성분을 가지는 소일크리트를 토사와 함께 혼합하여 성토 다짐하게 되면, 보강층(33)으로 유입되는 수분이 고분말 시멘트 성분(CaO)과 반응하여 생석회 성분인 수산화칼슘(Ca(OH)2)을 생성시키므로서 이 생석회 성분이 토사와 혼합되어 보강층(33)을 1차적으로 고결시키게 되고, 상기 소일크리트에 혼합된 산화칼슘(CaO)과 이산화규소(SiO2) 및 산화알루미늄(Al2O3)이 수분과의 접촉에 의하여 포졸란(Pozzolan) 반응을 일으키므로서 상기 보강층(33)을 2차적으로 고결시키게 되며, 이로 인하여 보강층(33)의 강도를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포졸란 반응은 수분(H2O)의 존재하에서 산화칼슘(CaO) 및 산화알루미늄(Al2O3)과 결합하여 C-S-H(CaO.SiO2.H2O)계 또는 A-S-H(Al2O3.SiO2.H2O)계의 불용성 포졸란 물질을 생성시키는 반응로서, 상기 포졸란 물질의 대표적인 조성은 소일크리트의 성분분석표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산화규소(SiO2),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칼슘(CaO) 및 산화철(Fe2O3)의 순으로 구성되지만, 포졸란 활성에 기여하는 성분은 주로 이산화규소(SiO2)와 산화알루미늄(Al2O3)이며, 이와 같은 포졸란 물질이 수분과 접촉하면 미량의 산화칼슘(CaO)과 이산화규소(SiO2)가 용출되어 입자의 표면에 불용성의 치밀한 수화물을 생성하게 되는 데, 이와 같은 응결고화 반응을 통하여 보강층(33)의 강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점토성 광물질인 산화알루 미늄(Al2O3)에 의하여 보강층(33)의 점결력이 증대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고결반응 이외에도 소일크리트에 함유된 성분이 수분과 접촉함에 따라 3CaO.Al2O3.3CaSO4.32H2O(CaSO4는 석고임)의 성분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에트링가이트(Ettringite)가 생성되는 데, 이 에트링가이트는 침상결정구조를 가지는 고황산염 슬랙시멘트로서 에트링가이트의 침상결정구조사이에 다량의 미세 토립자가 구속되어 거대 토립자를 형성시키므로서 보강층(33)의 다짐효과가 향상되어 상기 포졸란 반응과 함께 보강층(33)의 강도향상 및 경사면의 안정화에 한층 더 기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소일크리트는 전형적인 무기계 고화재로서 초,목본식물의 생육에 악영향을 미치는 중금속 성분이 전혀 함유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비료의 주성분이 되는 칼륨(K)과 칼슘(Ca)을 포함하여 보조성분으로서의 마그네슘(Mg)과 규소(Si) 및 철(Fe)이 함유되어 있고, 이러한 성분이 수분과의 접촉으로 서서히 용출되기 때문에 초,목본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영양소를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초,목본식물의 생육을 더욱 촉진시키므로서 경사면의 조기녹화에 보다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소일크리트를 토사와 혼합하게 되면, 그 토질의 알칼리도가 다소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나지만, 초,목본식물의 생장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수준일 뿐만 아니라, 경사면의 토질이 산성인 경우에는 소일크리트 성분이 pH완충제로 작용하여 경사면 토질을 중성화시키는 객토 작용을 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경 사면의 토질 안정화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물성과 특징을 가지는 소일크리트를 토사와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그 혼합비율은 소일크리트의 사용에 의한 성토층 강화측면과 소일크리트의 혼합에 따른 시공단가 상승측면을 동시에 고려하여 토사 100wt%를 기준으로 상기 소일크리트를 10 ~ 30wt%의 비율로 혼합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소일크리트와 토사의 혼합에 사용되는 혼합기는 소일크리트와 토사를 혼합시키면서 그 혼합토사의 입도를 동시에 조정할 수 있도록 체눈(No.4, 4.75mm)을 구비하는 혼합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소일크리트를 2차 성토단계(C-2)에 적용시킨 것으로 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기초지반 시공단계(A)에서도 상기 소일크리트를 토사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1차 성토단계(C-1)와 2차 성토단계(C-2)로 이루어지는 토사성토단계(C)를 거치므로서, 본 발명의 경사면 보강방법에 의하여 기초지반(1)의 상면에 하나의 보강구조층이 완성되며, 이와 같이 완성된 보강구조층을 새로운 기초지반으로 하여 지반보강재 설치단계(B-1), 1차구조물 설치단계(B-2), 배수구조물 설치단계(B-3), 1차 성토단계(C-1), 2차 성토단계(C-2)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시공방법을 경사면의 높이에 따라 반복시공하게 되면, 다수 개의 보강구조층을 경사면을 따라 적층식으로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보강구조물의 시공에 따른 전체적인 시공단가를 저렴하게 하고자 할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강구조물을 포함하는 보강구조층을 기초지반(1)상에 일차적으로 시공한 다음, 상기 보강구조층의 상부에 플라스틱 재질의 "S"형 다발관(운 동장, 공원, 골프장이나 택지 등의 암거배수용 또는 구조물의 배면수 처리나 도로 및 터널 등의 암거 배수용에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플라스틱 판을 S형태로 구부려 파이프 형태로 형성시킨 것)을 포함하는 보강구조층을 형성시키고, 그 상부에 다시 본 발명에 의한 보강구조층을 시공하는 식으로 각각의 보강구조층을 교대로 시공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경사면 보강구조물을 이용한 경사면 보강방법에 의하여 경사면을 따라 적층 시공하게 되면, 보강층(33)의 다짐 시공과정에서 발생하는 토압이 격자구조물(10)측으로 작용하게 되는 데, 이와 같이 발생하는 토압을 배수층(32)과 일체로 형성된 배수구조물(20)이 일차적으로 지지하게 되고, 보강구조물 하측의 지반보강재(31)가 토압을 이차적으로 지지할 뿐만 아니라, 배수구조물(20)의 보강블록(21)이 격자구조물(10)의 후면보강체(12)를 견고하게 잡아주기 때문에, 격자구조물(10)로 작용하는 토압을 최소화 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경우와 같이 격자구조물(10)측으로 작용하는 토압에 의하여 전방보강체(11) 부분이 불룩하게 배가 튀어나오는 것과 같은 격자구조물(10)의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하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지반보강재(31)와 배수층(32; 보강구조물 포함) 및 보강층(33)으로 이루어지는 보강구조층이 토압에 의하여 서로 괴리되므로서 보강구조층 자체가 붕괴되는 것과 같은 위험요소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보강층(33)의 다짐 시공과정에서 발생하는 토압의 영향을 최소화시켜 격자구조물(10)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직경이 5 ~ 10mm 정도로 비교적 얇은 철봉을 압접방식(철봉의 녹는점 바로 아래나 그 이하의 온도에서 압력을 가해 철봉을 접합시키는 방식)에 의하여 제작한 격자구조물(10)을 사용하더라도 높은 보강강도가 요구되는 경사면에 용이하게 적용시킬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격자구조물(10)의 제작시간을 단축시키고 그 제조단가 또한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격자구조물(10)을 이형철근으로 제작한 경우에는 기존의 콘크리트 블록이나 철강블록과 거의 유사한 강도 수준으로 경사면을 보강시킬 수 있게 되므로서, 콘크리트 블록이나 철강블록을 사용하여 경사면을 보강하는 것과 유사한 보강강도를 가지면서도 콘크리트 블록이나 철강블록에 비하여 그 설치기간이 매우 빠르고, 그 설치비용이 매우 저렴하며 보강된 경사면의 조기녹화가 가능한 보강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격자구조물(10)의 후방에 배수공(21b~26b)이 관통된 배수구조물(20)을 설치하고 이 배수구조물(20)의 각 블록(21~26) 내부에는 골재를 충진시켜, 경사면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지하수나 빗물과 같은 침투수가 배수공(21b~26b)과 배수구조물(20)을 통하여 경사면의 전방측으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므로서, 침투수에 의한 경사면의 토사침식과 그로 인한 경사면의 함몰 및 붕괴를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상기 2차 성토단계(C-2)에서 시멘트를 토사와 혼합하거나, pH완충제와 완효성비료 성분이 혼합된 시멘트계 고화재인 소일크리트를 토사와 혼합하여 보강층(33)을 형성시키는 보강압성토 옹벽공법을 적용시키게 되면, 침투수에 의한 토사간의 점착력 증대와 산성토에 대한 객토작용 및 초본식물에 대한 영양분 공급을 통하여 경사면 의 보강시공 이후에도 보강구조물과 보강층(33)에 의한 경사면의 반영구적인 안정화를 이루어 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강층(33)에 함유된 완효성 비료성분에 의하여 경사면 전방에 취부된 그린식생토(14)로부터 초본식물의 발아 및 그 빠른 성장을 도모하여 경사면의 조기녹화를 이루어 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경사면 보강구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경사면 보강구조물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경사면 보강구조물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경사면 보강구조물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경사면 보강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보강방법에 따른 각 층의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의 보강방법에 따라 경사면이 보강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초지반 10 : 격자구조물 10a : 세로봉
10b : 가로봉 11 : 전면보강체 12 : 후면보강체
13 : 녹화시트 14 : 그린식생토 20 : 배수구조물
21 : 보강블록 22 : 이음블록 23 : 제 1배수블록
24 : T자형 마감블록 25 : ㄱ자형 마감블록 26 : 제 2배수블록
31 : 지반보강재 32 : 배수층 33 : 보강층
A : 기초지반 시공단계 B : 보강구조물 시공단계 C : 토사성토단계
B-1 : 지반보강재 설치단계 B-2 : 1차 구조물 설치단계
B-3 : 배수구조물 설치단계 C-1 : 1차 성토단계
C-2 : 2차 성토단계

Claims (2)

  1. 경사면의 일부를 깍아내어 기초지반(1)을 평평하게 고르고 다지는 기초지반 시공단계(A)와, 시공된 기초지반(1)에 보강구조물을 설치하는 보강구조물 시공단계(B)와, 시공된 보강구조물의 내측에 녹화시트(13)를 부착시킨 상태에서 보강구조물의 내측으로 토사를 다짐하여 성토하는 토사성토단계(C)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시공단계를 경사면의 높이에 걸쳐 적층식으로 반복 시공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보강구조물 시공단계(B)는, 장섬유 또는 지오그리드(Gio-grid) 중에서 택일하여서 되는 지반보강재(31)를 기초지반(1)의 상면에 덮어 씌우는 지반보강재 설치단계(B-1)와,
    상기 지반보강재 설치단계(B-1)를 거친 후, 경사면의 전면보강체(11)와 후면보강체(12)가 형성된 격자구조물(10)에 일자형의 보강블록(21)을 후면보강체(12)의 가로봉(10b)에 관통시킨 1차 구조물을 지반보강재(31)의 전방 상면에 설치하는 1차 구조물 설치단계(B-2)와,
    상기 1차 구조물 설치단계(B-2)를 거친 후, 1차 구조물의 보강블록(21) 후방에 제 1배수블록(23)을 이음블록(22)에 의하여 보강블록(21)과 일직선상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제 1배수블록(23)의 후방에는 T자형 및 ㄱ자형 마감블록(24)(25)에 의하여 제 2배수블록(26)을 제 1배수블록(23)과 직교하도록 연결시키는 배수구조물 설치단계(B-3)로 이루어지며,
    상기 토사성토단계(C)는, 각 블록(21~26)의 내부에 골재를 충진시키고 블 록(21~26)의 외부에는 토사 또는 골재를 블록(21~26)의 높이만큼 다짐하여 지반보강재(31)의 상면에 배수층(32)을 형성시키는 1차 성토단계(C-1)와,
    상기 1차 성토단계(C-1)를 거친 후, 경사면을 절취하여 발생한 토사를 배수층(32)의 상면에서 격자구조물(10)의 높이만큼 다짐하여 보강층(33)을 형성시키는 2차 성토단계(C-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강구조물을 이용한 경사면 보강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성토단계(C-2)는 토사 100wt%를 기준으로 하여 시멘트를 5 ~ 15wt%의 비율로 혼합시키거나 또는 토사 100wt%를 기준으로 하여 pH완충제와 완효성비료 성분이 첨가된 시멘트계 경화재를 10 ~ 30wt%의 비율로 혼합시킨 혼합토사를 상기 배수층(32)의 상면에서 격자구조물(10)의 높이만큼 다짐하여 보강층(33)을 형성시키는 시공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강구조물을 이용한 경사면 보강방법.
KR1020080086704A 2008-09-03 2008-09-03 경사면 보강구조물을 이용한 경사면 보강방법 KR201000276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704A KR20100027693A (ko) 2008-09-03 2008-09-03 경사면 보강구조물을 이용한 경사면 보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704A KR20100027693A (ko) 2008-09-03 2008-09-03 경사면 보강구조물을 이용한 경사면 보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7693A true KR20100027693A (ko) 2010-03-11

Family

ID=42178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6704A KR20100027693A (ko) 2008-09-03 2008-09-03 경사면 보강구조물을 이용한 경사면 보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7693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9808A2 (en) * 2010-06-17 2011-12-22 T & B Structural Systems Llc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welded wire wall facing system and method
WO2011159809A2 (en) * 2010-06-17 2011-12-22 T & B Structural Systems Llc Soil reinforcing element for a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structure
US8632278B2 (en) 2010-06-17 2014-01-21 T & B Structural Systems Llc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welded wire facing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US8632280B2 (en) 2010-06-17 2014-01-21 T & B Structural Systems Llc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welded wire facing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KR101434594B1 (ko) * 2013-01-21 2014-08-26 주식회사 라온이앤지 보강용 옹벽프레임과 옹벽 시공방법
KR101506952B1 (ko) * 2013-08-30 2015-04-07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각도조절식 옹벽
KR101508590B1 (ko) * 2013-01-22 2015-04-14 주식회사 라온이앤지 친환경 옹벽 축조를 위한 옹벽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식생옹벽 시공방법
KR101508592B1 (ko) * 2013-01-22 2015-04-14 주식회사 라온이앤지 급수환경이 개선된 친환경 옹벽프레임과 식생 옹벽 시공방법
KR101508591B1 (ko) * 2013-01-22 2015-04-14 주식회사 라온이앤지 강화 옹벽을 위한 친환경 옹벽프레임과 이를 위한 식생형 옹벽 시공방법
US9605402B2 (en) 2009-01-14 2017-03-28 Thomas P. Taylor Retaining wall soil reinforcing connector and method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05402B2 (en) 2009-01-14 2017-03-28 Thomas P. Taylor Retaining wall soil reinforcing connector and method
US8632278B2 (en) 2010-06-17 2014-01-21 T & B Structural Systems Llc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welded wire facing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US8734059B2 (en) 2010-06-17 2014-05-27 T&B Structural Systems Llc Soil reinforcing element for a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structure
WO2011159808A3 (en) * 2010-06-17 2012-04-12 T & B Structural Systems Llc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welded wire wall facing system and method
WO2011159809A3 (en) * 2010-06-17 2012-04-12 T & B Structural Systems Llc Soil reinforcing element for a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structure
WO2011159807A3 (en) * 2010-06-17 2012-04-12 T & B Structural Systems Llc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system and method
WO2011159808A2 (en) * 2010-06-17 2011-12-22 T & B Structural Systems Llc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welded wire wall facing system and method
US8632280B2 (en) 2010-06-17 2014-01-21 T & B Structural Systems Llc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welded wire facing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WO2011159809A2 (en) * 2010-06-17 2011-12-22 T & B Structural Systems Llc Soil reinforcing element for a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structure
WO2011159807A2 (en) * 2010-06-17 2011-12-22 T & B Structural Systems Llc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system and method
KR101434594B1 (ko) * 2013-01-21 2014-08-26 주식회사 라온이앤지 보강용 옹벽프레임과 옹벽 시공방법
KR101508590B1 (ko) * 2013-01-22 2015-04-14 주식회사 라온이앤지 친환경 옹벽 축조를 위한 옹벽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식생옹벽 시공방법
KR101508592B1 (ko) * 2013-01-22 2015-04-14 주식회사 라온이앤지 급수환경이 개선된 친환경 옹벽프레임과 식생 옹벽 시공방법
KR101508591B1 (ko) * 2013-01-22 2015-04-14 주식회사 라온이앤지 강화 옹벽을 위한 친환경 옹벽프레임과 이를 위한 식생형 옹벽 시공방법
KR101506952B1 (ko) * 2013-08-30 2015-04-07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각도조절식 옹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27693A (ko) 경사면 보강구조물을 이용한 경사면 보강방법
CN106013191B (zh) 环保型植草混凝土公路护坡结构及施工方法
CN105544460B (zh) 现浇植生型生态混凝土护坡施工方法
CN203403426U (zh) 膨胀土路堑边坡支护结构
CN106638634A (zh) 公路岩质边坡藤本植物生态防护结构及施工方法
KR100653374B1 (ko) 절취사면의 돔형 토양보강돌망태격자틀 및 강봉네일링에의한 사면보강시공법
CN205999903U (zh) 环保型植草混凝土公路护坡结构
CN103410159A (zh) 膨胀土路堑边坡支护结构及其施工方法
CN206736931U (zh) 公路岩质边坡藤本植物生态防护结构
CN106368238B (zh) 一种具有生态恢复功能的蜂窝土工格室挡土墙及其构筑方法
CN109736346A (zh) 钢锚管加固风化岩层加筋衡重式挡土墙结构及施工方法
CN106759104A (zh) 生态型护坡结构及施工方法
CN108049423A (zh) 一种生态景观挡墙
KR101197124B1 (ko) 친환경 복합 사면 안정화공법
CN104674842B (zh) 固化土挡墙及其施工方法
CN114182745B (zh) 高液限土生态挡墙生态护坡路基及施工方法
KR101258821B1 (ko)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다기능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그리고 그 옹벽 구조물 시공방법
KR100597693B1 (ko) 경사면 보강구조물을 이용한 경사면 보강방법
KR102547910B1 (ko) 안정화된 식생기반층을 지니는 사면 녹화구조 및 녹화방법
KR20030019946A (ko) 경사면 배수구조물 및 그 구조물을 이용한 경사면 보강방법
CN114277815A (zh) 土工格栅反包改性膨胀土柔性生态护坡结构及施工方法
CN109763388B (zh) 一种路基结构及其施工方法
JPH10159102A (ja) 法面、壁面等の保護構造
KR100641583B1 (ko) 보강토 옹벽 축조 방법
CN114481953B (zh) 不破坏已建堤防硬质护坡完整性的生态护坡及其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