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7800B1 - 조리기기와 그 가열장치 - Google Patents

조리기기와 그 가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7800B1
KR101617800B1 KR1020090041816A KR20090041816A KR101617800B1 KR 101617800 B1 KR101617800 B1 KR 101617800B1 KR 1020090041816 A KR1020090041816 A KR 1020090041816A KR 20090041816 A KR20090041816 A KR 20090041816A KR 101617800 B1 KR101617800 B1 KR 101617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ing coil
cooking
coil
working
suppor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1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3089A (ko
Inventor
이성호
홍석원
장성덕
김향기
김대래
이길영
강민재
이세민
정원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2/654,308 priority Critical patent/US8350194B2/en
Priority to AT09179541T priority patent/ATE545317T1/de
Priority to EP09179541A priority patent/EP2207401B1/en
Publication of KR20100083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3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7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7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조리용기를 조리대 상에 자유롭게 배치하여 조리할 수 있도록 한 조리기기와 그 가열장치를 개시한다. 조리기기는 조리용기가 놓이는 조리대와, 조리대의 하부에 배치되어 조리대에 놓인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적어도 하나의 워킹코일을 구비한다. 적어도 하나의 워킹코일은 워킹코일을 형성하는 도선이 워킹코일의 특정 부분에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로 배치되도록 서로 다른 형태로 권선된 제1부분과 제2부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와 그 가열장치{COOKING APPARATUS AND HEATING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에서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원으로는 유도가열장치가 사용되기도 한다. 유도가열장치는 교류 자기장 내에 배치되는 조리용기에서 발생하는 와류 손실(eddy current loss)에 의한 열과 히스테리시스 손실(hysteresis loss)에 의한 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한다.
유도가열장치가 적용된 조리기기는 조리용기가 놓이는 조리대와, 조리대의 하부에 배치되어 조리용기를 유도 가열하는 적어도 하나의 워킹코일을 구비한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유해가스의 방출이 없고 조리 시에 조리대가 비교적 낮은 온도를 유지하므로 안전성이 뛰어나며, 코일 자체가 가열되는 방식이나 가스버너를 채택한 조리기기에 비해 에너지 효율이 높다.
일반적으로 유도가열장치가 적용된 조리기기에서는 워킹코일의 크기 및 위치에 따라 사용상의 제약이 따른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워킹코일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정해지는 조리영역에 조리용기를 정확하게 올려 놓지 않은 경우에는 불필요하 게 전력이 많이 소모되며, 유도가열장치를 구동하는 파워소자에 걸리는 스트레스가 증가하여 고장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조리용기를 조리대 상에 자유롭게 배치하여 조리할 수 있도록 한 조리기기와 그 가열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용기가 놓이는 조리대;와 상기 조리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대에 놓인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적어도 하나의 워킹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워킹코일은 상기 워킹코일을 형성하는 도선이 상기 워킹코일의 특정 부분에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로 배치되도록 서로 다른 형태로 권선된 제1부분과 제2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워킹코일은 복수의 워킹코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워킹코일의 제1부분과 상기 워킹코일의 제2부분은 서로 다른 수의 층으로 권선될 수 있다.
상기 워킹코일의 제1부분에는 상기 도선이 복수의 층으로 권선될 수 있다.
상기 워킹코일의 제1부분에서 단위 면적에 포함되는 상기 워킹코일의 턴 수를 N1이라 하고, 상기 워킹코일의 제2부분에서 단위 면적에 포함되는 상기 워킹코일의 턴 수를 N2라 할 때, 다음의 관계식을 만족할 수 있다.
1.3N2≤N1≤3N2
상기 워킹코일의 제1부분은 상기 워킹코일의 제2부분보다 리액턴스가 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워킹코일의 제1부분의 상면과 상기 워킹코일의 제2부분의 상면은 실질적으로 같은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워킹코일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워킹코일의 제1부분과 제2부분에 각각 대응하는 제1지지면과 제2지지면을 가지는 코일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일베이스의 제1지지면은 상기 코일베이스의 제2지지면에 대해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워킹코일은 나란히 배치되는 제1워킹코일과 제2워킹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워킹코일과 제2워킹코일은 각각의 워킹코일을 형성하는 도선이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로 배치된 제1부분을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제1워킹코일의 제1부분과 상기 제2워킹코일의 제1부분은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상기 조리대는 상기 제1워킹코일의 제1부분과 상기 제2워킹코일의 제1부분에 의해 정의되는 조리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워킹코일의 제1부분과 상기 워킹코일의 제2부분은 하나의 도선으로 권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용기가 놓이는 조리대;와 상기 조리대의 하부에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조리용기를 유도 가열하는 제1워킹코일과 제2워킹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1워킹코일의 일부분에는 상기 제1워킹코일의 다른 부분보다 도선이 높은 밀도로 배치되고, 상기 제1워킹코일의 일부분과 마주하는 상기 제2워킹코일의 일부분에는 상기 제2워킹코일의 다른 부분보다 도선이 높은 밀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가열장치는 조리기기에 사용되는 가열장치에 있어서,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1워킹코일과 제2워킹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워킹 코일은 상기 제1워킹코일을 형성하는 도선이 복수의 층으로 권선된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보다 적은 수의 층으로 권선된 제2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2워킹코일은 상기 제2워킹코일을 형성하는 도선이 복수의 층으로 권선된 제1부분과 상기 제2워킹코일의 제1부분보다 적은 수의 층으로 권선된 제2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워킹코일의 제1부분과 상기 제2워킹코일의 제1부분은 마주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워킹코일의 제1부분과 상기 제2워킹코일의 제1부분은 상기 제1워킹코일과 상기 제2워킹코일의 다른 부분보다 리액턴스가 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워킹코일의 상면과 상기 제2워킹코일의 상면은 실질적으로 같은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워킹코일과 제2워킹코일을 함께 지지하는 코일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일베이스는 상기 제1워킹코일의 제1부분과 상기 제2워킹코일의 제1부분에 대응하는 제1지지면과, 상기 제1워킹코일의 제2부분과 상기 제2워킹코일의 제2부분에 대응하는 제2지지면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베이스의 제1지지면은 상기 제2지지면에 대해 하부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크기의 조리용기를 자유롭게 배치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기(1)는 음식물을 밀폐시킨 상태에서 가열하여 조리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오븐(10)과, 조리용기를 올려 놓고 조리할 수 있도록 오븐(10)의 상측에 마련되는 쿡탑(30)과, 저장 기능이나 간단한 조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오븐(10)의 하측에 마련되는 드로워(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오븐(10)은 열 대류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한다. 오븐(10)은 상면판(12), 바닥판(14), 양 측면판(미도시) 및 후면판(16)에 의해 한정되는 조리실(18)과, 조리실(18)의 개방된 전방을 개폐하기 위한 오븐 도어(20)를 가진다.
후면판(16)의 외측에는 팬커버(22)가 결합되고, 팬커버(22)에는 조리실(18)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컨벡션 팬(24)이 내장된다. 컨벡션 팬(24)의 외주연에는 컨벡션 히터(26)가 설치되며, 팬커버(22)의 후방에는 컨벡션 팬(24)의 구동을 위한 팬모터(28)가 설치된다.
컨벡션 팬(24)과 마주하는 후면판(16)의 중심 부근에는 조리실(18) 내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다수의 흡입공(16a)이 형성되고, 후면판(16)의 가장자리에는 조리실 내로 열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다수의 배출공(16b)이 형성된다.
또한 오븐(10)은 그 동작 제어를 위한 컨트롤패널(50)을 구비한다. 컨트롤패널(50)에는 오븐(1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52)와 오븐(10)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조작노브(54)들이 설치된다.
사용자가 조리실(18)의 내부에 음식물을 넣고 컨트롤패널(50)을 통해 오븐(10)을 동작시키면 컨벡션 히터(26)가 발열하고, 컨벡션 팬(24)이 팬모터(28)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조리실(18) 내부의 공기가 흡입공(16a)으로 흡입되어 컨벡션 히터(26)에 의해 가열된 후 배출공(16b)을 통해 조리실(18)로 공급되고, 공급된 뜨거운 공기는 조리실(18) 내부를 순환하면서 음식물을 조리하게 된다.
한편, 드로워(70)는 별도의 조리공간을 형성한다. 드로워(70)의 내부에는 조리된 음식을 데우거나, 간단한 조리를 할 수 있도록 별도의 히터가 설치되기도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쿡탑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쿡탑에서 코일베이스, 제1,2워킹코일과 조리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쿡탑(30)은 케이스(31), 조리대(32), 가열장치(34)와 제어유닛(4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31)는 가열장치(34)와 제어유닛(48)을 비롯하여 쿡탑(30)을 구성하는 각종 부품 및 전장물을 수용한다.
조리대(32)는 케이스(31)의 상부에 배치되며, 조리용기가 놓일 수 있도록 평판 형상으로 마련된다. 조리대(32)는 쉽게 깨지거나 긁히지 않도록 강화유리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조리대(32)의 하부에는 조리대(32)에 놓인 조리용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가 열장치(34)가 설치된다. 가열장치(34)는 적어도 하나의 워킹코일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워킹코일(36, 38, 40, 42)이 구비된 예를 도시하였다. 워킹코일(36, 38, 40, 42)에 전압이 인가되면 워킹코일(36, 38, 40, 42)에 교류자기장이 발생되고, 교류자기장은 조리대(32)에 놓인 조리용기에 작용하여 열을 발생시킨다.
제1워킹코일(36)과 제2워킹코일(38)은 나란히 배치되어 조리대(32) 상에서 제1조리영역(32a)을 정의한다. 제1조리영역(32a)은 제1워킹코일(36)에 대응하는 제1서브조리영역(32b), 제2워킹코일(38)에 대응하는 제2서브조리영역(32c)과, 제1워킹코일(36)의 일부와 제2워킹코일(38)의 일부에 대응하는 제3서브조리영역(32d)으로 세분될 수 있다.
한편, 제3워킹코일(40)과 제4워킹코일(42)은 각각 조리대(32) 상에서 제2조리영역(32e)과 제3조리영역(32f)을 정의한다. 도 3 및 도 4에서는 설명 상의 편의를 위해 제3워킹코일(40), 제4워킹코일(42),제2조리영역(32e) 및 제3조리영역(32f)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이들이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제어유닛(48)은 쿡탑(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유닛(48)은 사용자가 조리에 관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조작유닛(49)을 포함하고, 조작유닛(49)을 통해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제1워킹코일 내지 제4워킹코일(36, 38, 40, 42)을 제어한다.
사용자는 조작유닛(49)을 통해 제1워킹코일(36)과 제2워킹코일(38)을 동시에 동작시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제1워킹코일(36)과 제2워킹코일(38) 중 하나만을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조작유닛(49)을 통해 제3워킹코일(40)과 제4워킹코일(42)을 동작시킬 수 있다.
음식물의 조리 시 사용자는 조리용기의 크기나 형상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조리영역을 선택하고, 선택된 조리영역에 조리용기를 올바르게 배치하여야 음식물을 원활하게 조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와 같이, 사용자가 제2조리영역(32e)과 제3조리영역(32f) 사이에 크기가 작은 조리용기(C1)를 올려 놓고 제3워킹코일(40)과 제4워킹코일(42) 중 어느 하나를 동작시키게 되면, 조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3워킹코일(40) 또는 제4워킹코일(42)을 구동하는 파워공급소자가 손상될 수 있다.
또한 도 7b와 같이, 사용자가 제2조리영역(32e)의 올바른 위치에 조리용기(C2)를 올려 놓고 제3워킹코일(40)을 동작시키더라도 조리용기(C2)의 크기가 제2조리영역(32e)의 크기보다 커서 조리용기(C2)가 제3조리영역(32f)의 일부분을 점유하는 경우에는 조리용기(C2)에서 제4워킹코일(42)에 의한 자기장이 작용하지 않는 부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조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이 때 조리를 빠르게 진행하기 위해 제4워킹코일(42)까지 동작시키게 되면 제4워킹코일(42)을 구동하는 파워공급소자가 손상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장치에서 제1워킹코일과 제2워킹코일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는 도 5에서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킹코일(36, 38)은 워킹코일(36, 38)을 형성하는 도선(36w, 38w)이 워킹코일(36, 38)의 특정 부분에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로 배치되도록 서로 다른 형태로 권선된 제1부분(36a, 38a)과 제2부분(36b, 38b)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제1워킹코일(36)의 제1부분(36a)에는 제1워킹코일(36)의 제2부분(36a)보다 도선(36w)이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로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제2워킹코일(38)의 제1부분(38a)에는 제2워킹코일(38)의 제2부분(38b)보다 도선(38w)이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로 배치된다. 이 때 제2워킹코일(38)의 제1부분(38a)은 제1워킹코일(36)의 제1부분(36a)과 마주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워킹코일(36)과 제2워킹코일(38)을 구성하면, 제1워킹코일(36)과 제2워킹코일(38)의 특정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리액턴스가 크도록 할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의 조리용기를 자유롭게 배치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서브조리영역(32b) 또는 제2서브조리영역(32c)에 조리용기를 올려 놓고 제1워킹코일(36) 또는 제2워킹코일(38)을 동작시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또 도 7a와 같이, 사용자가 작은 크기의 조리용기(C3)를 제3서브조리영역(32d), 즉 제1서브조리영역(32b)과 제2서브조리영역(32c)의 일부만을 포함하는 영역에 올려 놓은 경우에는 제1워킹코일(36)과 제2워킹코일(38)을 함께 동작시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7b와 같이, 사용자가 제1서브조리영역(32b)보다 크기가 약간 큰 조리용기(C4)를 올려 놓음에 따라 조리용기(C4)의 일부분이 제3서브조리영역(32d)을 점유하게 된 경우에도 제1워킹코일(36)과 제2워킹코일(38)을 동작시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이 때 제1워킹코일(36)의 제1부분(36a)과 제2워킹코일(38)의 제1부분(38a)에는 상대적으로 도선이 높은 밀도로 배 치됨에 따라 제3서브조리영역(32d) 상에 배치된 조리용기를 신속하게 가열할 수 있으며, 제1워킹코일(36) 또는 제2워킹코일(38)을 구동하는 파워소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7b와 같이, 제1조리영역(32a)에 제1조리영역(32a)을 전부 포괄하는 대형 조리용기(C5)가 배치된 경우에는 제1워킹코일(36)과 제2워킹코일(38)을 동작시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마주하는 제1워킹코일(36)과 제2워킹코일(38)의 제1부분(36a)(38a)에 도선(36w)(38w)이 집중되어 있으므로 조리용기의 중앙 부분을 효과적으로 가열하여 조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워킹코일(36)의 제1부분(36a)과 제2부분(36b)은 제1워킹코일(36)을 형성하는 도선(36w)이 서로 다른 수의 층으로 권선될 수 있다. 도 6과 같이, 제1워킹코일(36)의 제1부분(36a)은 복수의 층으로 권선될 수 있으며, 제1워킹코일(36)의 제2부분(36b)은 하나의 층으로 권선될 수 있다. 이 때 제1워킹코일(36)은 하나의 도선을 권선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1워킹코일(36)의 제1부분(36a)에서 단위 면적에 포함되는 제1워킹코일(36)의 턴수(N1)와 제1워킹코일(36)의 제2부분(36b)에서 단위 면적에 포함되는 제1워킹코일(36)의 턴수(N2)는 다음의 (식 1)을 만족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1.3N2≤N1≤3N2 (식 1)
N2<N1<1.3N2 인 경우에는 제1워킹코일(36)의 제1부분(36a)에 도선(36w)을 상대적으로 집중시킨 것에 따른 실질적인 효과를 발휘하기 힘들다. 반면에 N1>3N2 인 경우에는 제1워킹코일(36)의 제1부분(36a)의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제1워킹코 일(36)의 설치 시에 구조적인 제약이 따르고, 제1워킹코일(36)의 제1부분(36a)에 대응하는 조리영역이 너무 좁아지게 된다.
위에서 설명된 제1워킹코일(36)에 대한 내용은 제2워킹코일(38)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제2워킹코일(38)의 제1부분(38a)과 제2부분(38b)은 제2워킹코일(38)을 형성하는 도선(38w)이 서로 다른 수의 층으로 권선될 수 있으며, 제2워킹코일(38)의 제1부분(38a)은 복수의 층으로 권선될 수 있다.
제1워킹코일(36)의 제1부분(36a)과 제2부분(36b)이 서로 다른 형태로 권선되더라도 제1워킹코일(36)의 제1부분(36a)의 상면과 제1워킹코일(36)의 제2부분(36b)의 상면은 도 4와 같이 실질적으로 같은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제2워킹코일(38)의 제1부분(38a)의 상면과 제2워킹코일(38)의 제2부분(38b)의 상면은 제1워킹코일(36)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는 제1워킹코일(36)과 제2워킹코일(38)을 조리대(32)에 가깝게 배치하는데 있어 제약을 받지 않도록 고려한 것이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장치(34)는 제1워킹코일(36)과 제2워킹코일(38)을 지지하는 코일베이스(44)를 구비한다. 코일베이스(44)는 제1워킹코일(36)과 제2워킹코일(38)의 하부에 배치된다.
코일베이스(44)는 제1워킹코일(36)이 안착되는 제1안착부(45)와 제2워킹코일(38)이 안착되는 제2안착부(46)를 가진다. 제1안착부(45)와 제2안착부(46)에는 복수의 설치홈(47)이 마련되며, 이 설치홈(47)에는 페라이트(47a)가 설치된다. 페라이트(47a)는 제1워킹코일(36)과 제2워킹코일(38)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의 밀도 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코일베이스(44)는 제1워킹코일(36)의 제1부분(36a)과 제2워킹코일(38)의 제1부분(38a)에 대응하는 제1지지면(44a)과, 제1워킹코일(36)의 제2부분(36b)과 제2워킹코일(38)의 제2부분(38b)에 대응하는 제2지지면(44b)을 포함한다. 코일베이스(44)의 제1지지면(44a)은 제2지지면(44b)에 대해 하부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복수의 층으로 권선된 도선이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제1워킹코일(36)과 제2워킹코일(38)의 상면을 같은 평면 상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워킹코일(36)과 제2워킹코일(38) 각각이 서로 다른 형태로 권선된 제1부분(36a)(38a)과 제2부분(36b)(38b)을 구비하는 예를 제시하였으나, 제1워킹코일(36)과 제2워킹코일(38) 중 어느 하나만이 서로 다른 형태로 권선된 제1부분과 제2부분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위에서는 쿡탑과 더불어 오븐과 드로워가 구비된 조리기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쿡탑으로만 구성되는 조리기기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함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쿡탑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쿡탑에서 코일베이스, 제1,2워킹코일과 조리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장치에서 제1워킹코일과 제2워킹코일을 도시한 평면도.
도 6는 도 5에서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다양한 크기의 조리용기가 조리대에 놓이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조리기기 30 : 쿡탑
32 : 조리대 32a : 제1조리영역
32d : 제3서브조리영역 34 : 가열장치
36 : 제1워킹코일 38 : 제2워킹코일
44: 코일베이스 44a : 코일베이스의 제1지지면
44b : 코일베이스의 제2지지면

Claims (17)

  1. 조리용기가 놓이는 조리대;
    도선이 권선되어 형성되고, 상기 조리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워킹코일; 및
    상기 워킹코일을 지지하는 코일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워킹코일은, 제1워킹코일 및 상기 제1워킹코일과 나란히 배치되는 제2워킹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워킹코일 또는 상기 제2워킹코일 중 적어도 하나는 도선이 서로 상이한 밀도로 권선된 제1부분 및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베이스는, 상기 제1부분을 지지하는 제1지지면과 상기 제2부분을 지지하는 제2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면은 상기 제2지지면에 대해 하부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면에 위치되는 상기 제1부분에 권선된 도선의 층은 상기 제2지지면에 위치되는 상기 제2부분에 권선된 도선의 층보다 더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에는 상기 제2부분보다 더 높은 밀도로 도선이 권선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킹코일의 제1부분에는 상기 도선이 복수의 층으로 권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킹코일의 제1부분에서 단위 면적에 포함되는 상기 워킹코일의 턴 수를 N1이라 하고, 상기 워킹코일의 제2부분에서 단위 면적에 포함되는 상기 워킹코일의 턴 수를 N2라 할 때, 다음의 관계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3N2≤N1≤3N2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킹코일의 제1부분은 상기 워킹코일의 제2부분보다 리액턴스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킹코일의 제1부분의 상면과 상기 워킹코일의 제2부분의 상면은 실질적으로 같은 평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워킹코일과 제2워킹코일은 각각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워킹코일의 제1부분과 상기 제2워킹코일의 제1부분은 서로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대는 상기 제1워킹코일의 제1부분과 상기 제2워킹코일의 제1부분에 의해 정의되는 조리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킹코일의 제1부분과 상기 워킹코일의 제2부분은 하나의 도선으로 권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2. 삭제
  13. 조리기기에 사용되는 가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는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조리영역을 정의하고, 도선이 권선되어 형성되는 제1워킹코일과 제2워킹코일; 및
    상기 워킹코일을 지지하는 지지면을 포함하는 코일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워킹코일 또는 상기 제2워킹코일 중 적어도 하나는 도선이 서로 상이한 밀도로 권선된 제1부분 및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면은, 상기 제1부분을 지지하는 제1지지면 및 상기 제2부분을 지지하는 제2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면은 상기 제2지지면에 대해 하부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면에 위치되는 제1부분에 권선된 도선의 층이 상기 제2지지면에 위치되는 제2부분에 권선된 도선의 층보다 더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워킹코일과 상기 제2워킹코일은 각각 제1부분 및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워킹코일의 제1부분과 상기 제2워킹코일의 제1부분은 마주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의 리액턴스는 상기 제2부분의 리액턴스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워킹코일의 상면과 상기 제2워킹코일의 상면은 실질적으로 같은 평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베이스는, 상기 제1워킹코일의 제1부분과 상기 제2워킹코일의 제1부분에 대응하는 제1지지면과, 상기 제1워킹코일의 제2부분과 상기 제2워킹코일의 제2부분에 대응하는 제2지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
KR1020090041816A 2009-01-12 2009-05-13 조리기기와 그 가열장치 KR101617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654,308 US8350194B2 (en) 2009-01-12 2009-12-16 Cooking apparatus and heating device including working coils thereof
AT09179541T ATE545317T1 (de) 2009-01-12 2009-12-17 KOCHVORRICHTUNG UND HEIZVORRICHTUNG EINSCHLIEßLICH ARBEITSSPULEN
EP09179541A EP2207401B1 (en) 2009-01-12 2009-12-17 Cooking apparatus and heating device including working coil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389309P 2009-01-12 2009-01-12
US61/143,893 2009-0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089A KR20100083089A (ko) 2010-07-21
KR101617800B1 true KR101617800B1 (ko) 2016-05-04

Family

ID=42642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1816A KR101617800B1 (ko) 2009-01-12 2009-05-13 조리기기와 그 가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17800B1 (ko)
AT (1) ATE545317T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9139B1 (ko) * 2020-02-03 2021-05-31 방두산 1-2인 취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와 밥솥 세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8750A (ja) 2000-05-26 2001-12-07 Mitsubishi Electric Corp 電磁調理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8750A (ja) 2000-05-26 2001-12-07 Mitsubishi Electric Corp 電磁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089A (ko) 2010-07-21
ATE545317T1 (de) 201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07401B1 (en) Cooking apparatus and heating device including working coils thereof
EP2579680B1 (en) Induction heating cooker
KR20110040120A (ko) 조리기기용 가열장치와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WO2012029306A1 (ja) 誘導加熱調理器
JP5322831B2 (ja) 誘導加熱調理器
WO2012132274A1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1772189B1 (ko) 전자유도가열 조리기기의 냉각장치
KR20080030737A (ko) 유도가열 히터가 구비된 전기 조리기기
JP5473864B2 (ja) 誘導加熱装置
WO2013018304A1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1617800B1 (ko) 조리기기와 그 가열장치
WO2013021535A1 (ja) 誘導加熱調理器及びそのプログラム
EP2452541B1 (en) Induction oven
KR20090011275U (ko) 다수개의 취사부를 갖는 인덕션 렌지
KR20170071222A (ko) 면상발열체가 설치된 전기 조리기
JP5418132B2 (ja) 誘導加熱調理器およびその取付け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厨房装置
JP5625296B2 (ja) 誘導加熱装置
JP5642268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0550479B1 (ko) 가열 조리기
JPH06235527A (ja) 加熱調理装置
JP5353738B2 (ja) 誘導加熱調理器およびその取付け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厨房装置
JP2006031947A (ja) 電磁誘導加熱調理器
JP5653172B2 (ja) 誘導加熱調理器
CN114052530A (zh) 一种电磁煎烤馍炉
JP5645606B2 (ja) 誘導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