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9139B1 - 1-2인 취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와 밥솥 세트 - Google Patents

1-2인 취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와 밥솥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9139B1
KR102259139B1 KR1020200012390A KR20200012390A KR102259139B1 KR 102259139 B1 KR102259139 B1 KR 102259139B1 KR 1020200012390 A KR1020200012390 A KR 1020200012390A KR 20200012390 A KR20200012390 A KR 20200012390A KR 102259139 B1 KR102259139 B1 KR 102259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rice cooker
induction range
induction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2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두산
Original Assignee
방두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두산 filed Critical 방두산
Priority to KR1020200012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139B1/ko
Priority to CN202020375126.8U priority patent/CN211883370U/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27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for wok pans and wok pans supports for induction cooking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dapted to high-frequency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81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with flat coils

Abstract

본 발명은 1~2인 취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와 밥솥 세트에 관한 것으로, 조리기능 중 백미와 누룽지 버튼(B1,B2)이 구비된 인덕션 레인지(100); 상기 인덕션 레인지 위에 안치되는 1~2인용 밥솥(200); 상기 인덕션 레인지 위에 안치되는 1~인용 밥솥의 저면이 인덕션 레인지의 세라믹 상판에서부터 1~4mm 이격되도록 받쳐주되 상기 인덕션 레인지에 의해 가열되지 않는 비자기유도재질로 이루어진 밥솥 받침(300); 으로 구성되어 인덕션 레인지 위에 밥솥 받침과 1~2인용 밥솥을 올린 상태에서 백미 또는 누룽지를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고, 조리 후 밥솥을 밥솥 받침과 함께 들어내어 식탁이나 싱크대 상판 위에 올려서 식탁이나 싱크대 상판의 손상없이 식사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1-2인 취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와 밥솥 세트{A COOKING SET WITH INDUCTION RANGE AND RICE POT FOR 1~2MAN}
본 발명은 1~2인 가구에 적합한 취사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최근 비율이 높아지고 있는 1인 가구 또는 2인 가구에서 소형 압력 밥솥을 사용하여 백미와 누룽지를 인덕션 레인지에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취사할 수 있고, 볶음이나 튀김 등 다른 종류의 요리 또한 인덕션 레인지에서 편리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한 1~2인 취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와 밥솥 세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계 보고(2015년 인구주택 총조사)에 따르면 부모와 자녀 2세대의 3~5인이 한 가족을 이루는 핵가족보다 작은 1인 가구의 비율이 30%에 육박하고 있고, 2인 가구의 비율 또한 1인 가구와 비슷한 30% 정도나 되어 전체 가족에서 1~2인 가구의 비율이 60%를 넘어서고 있는 상황이며, 이혼가구의 증가와 함께 결혼하지 않는 청년층의 증가로 인해 앞으로도 이러한 경향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1~2인 가구의 생활방식을 살펴보면, 가정에서 식사를 하는 경우 또한 줄어들고 주로 외식을 하고 있으며, 아침 식사는 대부분 끼니를 거르는 것이 일상화되어 있다고 하는데, 이러한 요인 중의 하나는 일반 가정의 주방문화 및 주방기구가 기존의 대식구 또는 핵가족 체계에 맞게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었기 때문에 1~2인 가구의 가정에서 밥과 반찬을 포함하여 각종 요리를 혼자서 해먹을 경우 비용과 시간의 효용성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 구입한 식재료의 낭비와 남은 음식의 처리 또한 곤란해지게 되는 등 여러 면에서 비효율적이라는 점에 있었다.
한편, 1~2인 가구에서는 외식의 증가로 인해 가계수입 중 외식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높아지는 것은 물론, 잦은 외식과 불규칙한 식단으로 인해 신체가 필요로 하는 영양상의 불균형을 초래하게 되고, 중장기적으로는 건강상으로도 좋지 않은 원인이 된다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가구 인구의 변화에 발맞추어 최근 급증하고 있는 1~2인 가구를 위한 가정식의 취사에 적합한 조리용기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출원인이 검색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로 특허문헌 1의 '인덕션 조리기' 및 특허문헌 2의 '솥단지 인덕션 레인지'는 안치부가 움푹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이에 맞는 전용 용기만 사용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었으며, 일반 인덕션 레인지를 사용할 수 없거나 사용시 여러 가지 불편함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외에도 '인덕션 레인지용 압력솥'에 관한 특허문헌 3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취사 후 압력솥을 싱크대나 식탁 위에 올릴 경우 고열로 가열된 상태의 압력솥 바닥이 싱크대나 식탁 위를 열변형 시킬 우려가 있었으며, 인덕션 레인지 자체에 별도의 백미나 누룽지 취사기능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으므로 사용자가 시간과 온도를 일일이 세팅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조리 시간과 온도를 잘못 설정할 경우 제대로 된 밥이나 누룽지를 만들지 못하게 됨으로써 낭패를 보는 것은 물론, 정확한 온도와 시간의 설정을 위하여는 상당한 경험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1~2인 취사를 기피하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특허문헌 4에는 '다단으로 구획된 인덕션을 이용한 밥 조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가정용이 아닌 업소용 밥 조리장치에 관련된 기술이다.
한편,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압력밥솥은 가스용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전기압력밥솥은 보온밥솥이라고 하여 가스용 압력밥솥보다 밥맛이 떨어질뿐더러 조리시간도 길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술한 특허문헌 1,2와 같은 압력밥솥 전용 인덕션 레인지가 출시되었으나, 전용 인덕션 레인지에 삽입되어 있는 코일을 U자 형태로 움푹하게 제작을 해야했으므로 생산 효율이 떨어지고 부피가 크며, 가격이 고가라는 문제점이 있었고, 압력밥솥을 반드시 전용 인덕션 레인지에 사용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인덕션 레인지에 편평한 바닥을 갖는 밥솥을 사용하여 취사를 하게 될 경우에는 유도코일의 중앙부 온도가 외곽보다 높으므로 밥솥 내부에서의 열흐름이 중앙부에서 상승하고 외곽에서 하강하는 대류열 현상을 보이게 됨으로써 가운데 부분의 밥이 타고 외곽은 설익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32742호(2016.06.16.) 한국등록특허 제10-1920341호(2018.11.14.)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83916호(2008.09.19.) 한국등록특허 제10-1565755호(2015.10.29.)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편평한 인덕션 레인지에 반구형의 본체로 이루어진 1~2인용 압력밥솥을 사용하여 기존의 가스압력밥솥과 같은 백미 및 누룽지의 취사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는바, 가정에서도 누구나 간편하게 1~2인용 소형 밥솥과 인덕션 레인지를 사용하여 1인 또는 2인이 백미와 누룽지를 취사할 수 있고, 백미와 누룽지 뿐만 아니라 볶음이나 튀김을 비롯한 다양한 요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와 밥솥 세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리기능 중 백미와 누룽지 버튼이 구비된 인덕션 레인지와; 상기 인덕션 레인지 위에 안치되는 1~2인용 밥솥과; 상기 인덕션 레인지 위에 안치되는 1~인용 밥솥의 저면이 인덕션 레인지의 세라믹 상판에서부터 1~4mm 이격되도록 받쳐주되 상기 인덕션 레인지에 의해 가열되지 않는 비자기유도재질로 이루어진 밥솥 받침; 으로 구성되어 인덕션 레인지 위에 밥솥 받침과 1~2인용 밥솥을 올린 상태에서 백미 또는 누룽지를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고, 조리 후 밥솥을 밥솥 받침과 함께 들어내어 식탁이나 싱크대 상판 위에 올려서 식탁이나 싱크대 상판의 손상 없이 식사를 할 수 있도록 된 1~2인 취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와 밥솥 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1인 가구 및 1~2인 가구가 대세를 이루고 있는 현 상황에서 인덕션 레인지를 사용하여 백미와 누룽지를 간편하게 취사할 수 있으며, 인덕션 레인지에 압력 밥솥을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고, 압력 밥솥의 사용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나 싱크대 상판 또는 식탁 등의 주방설비 및 용품의 손상 예방은 물론, 압력 밥솥 사용시의 불안감도 해소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1~2인 취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와 밥솥 세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덕션 레인지와 밥솥 세트의 분리상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덕션 레인지와 밥솥 세트의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인덕션 레인지와 밥솥 세트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인덕션 레인지와 밥솥 세트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조리기능 중 백미 버튼(B1)과 누룽지 버튼(B2)이 구비된 인덕션 레인지(100)와;
상기 인덕션 레인지(100) 위에 안치되는 1~2인용 밥솥(200)과;
상기 인덕션 레인지(100) 위에 안치되는 1~인용 밥솥(200)의 저면(210)이 인덕션 레인지(100)의 세라믹 상판(110)에서부터 1~4mm 이격되도록 받쳐주되 상기 인덕션 레인지(100)에 의해 가열되지 않는 비자기유도재질로 이루어진 밥솥 받침(300); 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는 도 1 및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덕션 레인지(100) 위에 밥솥 받침(300)과 1~2인용 밥솥(200)을 올린 상태에서 백미 버튼 또는 누룽지 버튼(B1,B2)을 누르는 것에 의해 백미 또는 누룽지를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고, 조리 후 1~2인용 밥솥(200)을 밥솥 받침(300)과 함께 들어내어 식탁이나 싱크대 상판 위에 올려서 식탁이나 싱크대 상판의 열손상이나 스크래치 없이 식사를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인덕션 레인지(100)는 내부에 설치된 유도코일에서부터 세라믹 상판까지의 이격 거리는 8~10mm이고, 유도코일의 자기장 유도 범위는 세라믹 상판(110)에서부터 조리용기의 저면까지 0~40mm로 세팅되어 있어서 본 실시 예의 1~2인용 밥솥(200)은 본체(200)의 저면(210)이 세라믹 상판(110)에서부터 1~4mm이격된 상태에서도 백미와 누룽지의 취사가 가능하고, 기타 인덕션 조리용기는 세라믹 상판(110) 위에 접촉된 상태에서 유도가열되어 조리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실시 예의 인덕션 레인지는 기존의 인덕션 레인지보다 유도코일과 조리용기와의 간격을 더 멀게 하여 밑바닥의 편평한 면적이 작은 대체로 반구형의 압력밥솥(200)의 반구형 바닥도 자기장에 유도되어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백미와 누룽지의 취사가 가능하도록 된 것이며, 프라이팬이나 주전자 등과 같이 바닥이 편평한 일반 인덕션레인지용 조리용기의 사용도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첨부된 도면에서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유도코일의 중앙부와 외곽부의 밀도를 달리하여 반구형의 바닥을 갖는 압력밥솥에서 백미와 누룽지의 효율적인 취사가 가능하도록 외곽으로 갈수록 유도코일의 밀집도를 높임으로써 위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밀집도의 변화에 의해 압력밥솥 내부에서의 열류방향이 기존의 가스압력밥솥에서와 같이 외곽에서 상향열류가 발생하여 중심부에서 하향하는 대류열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며, 이에 의해 백미 취사시 밥이 타지 않고 골고루 익게 된다.
도면 중 부호 B0는 전원 버튼이고, B3,B4,B5는 각각 볶음,튀김,끓이기 버튼이며, B6는 예약 버튼이고, D는 시간과 온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이며, H는 세라믹 상판(110) 위의 가열구역으로, 내부에 유도코일이 설치되어 상부에 조리용기가 올려져 가열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밥솥(200)은 본체(220)와 뚜껑(230)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뚜껑(230)은 본체(220)에 손잡이를 돌려서 체결고리를 잠그는 방식으로 견고하게 폐쇄되어 본체(220) 내부가 고압상태에서 압력이 새지 않고 취사가 이루어지고, 증기는 뚜껑(230)에 구비된 압력조절 신호추 방식의 증기배출구(240)를 통해 배출되는 구조로 된 압력 밥솥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밥솥(200)의 본체(220)는 그 저면(210)이 대체로 반구형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내압성을 고려한 구조임은 물론 취사 및 세척시 바닥의 밥을 간편하게 떠냄과 동시에 세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저면(210)의 중앙부는 자립이 가능하도록 일부편평한 부분이 존재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220)의 바닥은 2종의 스테인리스합금층과 1종의 알루미늄합금층이 3중으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최하층을 형성하는 스테인리스합금층은 인덕션 레인지에 의한 전자유도가열이 가능하도록 철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SUS-430계열을 사용하고, 중간의 알루미늄합금층은 열전도율을 높임과 동시에 열흡수에 의한 열의 장시간 보유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며, 상단 즉, 내부 바닥을 이루는 스테인리스합금층은 식품안전법상의 위생성을 감안하여 비자성의 SUS-304계열로 이루어져 있는바, 밥솥 본체(220)의 바닥은 위와 같은 3중 적층구조로 인해 열기의 효율적인 분산과 더불어 열기를 장시간 간직할 수 있으며, 음식물이 직접 접촉하는 부위는 녹이 발생하지 않는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 위생적인 취사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인덕션 레인지(100)와 압력 밥솥(200)을 사용하여 백미를 취사하게 될 경우 미리 불린 쌀과 함께 물을 넣되 밥솥 깊이의 2/3를 넘지 않게 하고, 뚜껑(230)을 덮어 폐쇄시킨 후 도 1 및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덕션 레인지(100)의 세라믹 상판(110) 위에 위치한 가열구멱(H)에 올린 후, 신호추 형태로 이루어진 증기배출구(240)를 바로 세우고 백미 버튼(B1)을 누르면 백미의 취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백미 조리시간은 1인분의 경우 약 7~8분, 2인분은 약 9~10분 정도소요되고, 누룽지 조리시간은 백미보다는 1분 정도 더 소요된다.
이에 의해 본 실시 예에서는 기존의 가스레인지나 일반 하이라이트 방식의 전기 레인지에서보다 열전도율이 높아 취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대 1/3까지 단축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에 의해 전력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고, 압력 밥솥에 의해 찰진 백미를 간편하게 취사할 수 있으며, 백미의 취사 후 밥을 남겨 누룽지도 간편하게 만들어 간식으로 누룽지 자체를 즐기거나 누룽지에 물을 넣고 끓여 숭늉도 간편하게 만들 수 있으므로 1회 취사한 밥을 남기지 않고 깨끗하게 처리할 수 있고, 다음날 아침 밥맛이 없더라도 간편한 식사 대용으로 채소와 달걀을 넣고 누룽지탕 또는 누룽지죽이나 숭늉을 먹을 수도 있어서 아침 끼니를 거르지 않을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인덕션 레인지 자체에 백미와 누룽지의 취사에 적정한 온도와 시간이 각각 세팅된 백미 버튼과 누룽지 버튼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온도와 시간을 일일이 세팅하지 않아도 되므로 실패를 하지 않고 맛있는 백미와 누룽지를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으며, 1~2인용 압력 밥솥을 사용하여 찜을 하거나 기타 인덕션 레인지용 프라이팬 등을 사용하여 볶음이나 튀김을 포함한 각종 다양한 요리도 할 수 있으므로 싱크대 위에 간편하게 작은 크기의 인덕션 레인지 하나만 구비하더라도 여러 종류의 요리를 충분히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밥솥 받침(300)은 유도가열이 이루어지지 않는 비철금속 또는 열경화성수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비금속소재로 제작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열전도성이 낮고 세라믹 상판이나 식탁 또는 싱크대 등에 접촉하더라도 긁힘 등의 손상을 일으키지 않는 목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밥솥 받침(300)은 압력 밥솥(200)의 저면(210)이 반구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인덕션 레인지(100)의 세라믹 상판(110)과의 접지면적이 좁고, 증기가 배출되면서 압력 밥솥(200)이 흔들릴 우려도 있어서 불안정한 바, 밥솥 받침을 세라믹 상판(110) 위에 올리고 그 위에 압력 밥솥(200)을 안치하면 위와같은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압력 밥솥(200)은 취사완료 후 이를 싱크대 상판이나 식탁 위에 올리게 되는데 별도의 받침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싱크대나 식탁이 고온의 압력 밥솥(200) 저면(210)에 직접 닿아 열손상을 입거나 긁힐 가능성도 높은 바, 밥솥(200)은 취사시 사용했던 밥솥 받침(300)과 함께 들어내어 식탁이나 싱크대 위에 올리면 밥솥(200)의 저면(210)이 밥솥 받침(300)에 의해 바닥에서 떠 있는 상태가 되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밭솥 받침(300)은 내측에 안치 구멍(310)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있어서 밥솥(200)의 본체(220) 외측에 형성된 플랜지형의 테두리가 거치될 수 있으며, 저면에는 고무 또는 내열성 연질 실리콘 소재로 된 받침돌기(320)가 부착되어 있어서 세라믹 상판 등에 긁힘(스크래치)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100 : 인덕션 레인지
110 : 세라믹 상판
B1 : 백미 버튼
B2 : 누룽지 버튼
B3 : 볶음 버튼
B4 : 튀김버튼
B5 : 끓이기 버튼
B6 : 예약버튼
D : 디스플레이
H : 가열구역
200 : 밥솥
210 : 저면
220 : 본체
230 : 뚜껑
240 : 증기배출구
300 : 밥솥 받침
310 : 안치구멍
320 : 받침돌기

Claims (5)

  1. 조리기능 중 백미 버튼과 누룽지 버튼이 구비된 인덕션 레인지, 상기 인덕션 레인지 위에 안치되는 1~2인용 밥솥, 상기 인덕션 레인지 위에 안치되는 1~2인용 밥솥의 저면이 인덕션 레인지의 세라믹 상판에서부터 1~4mm 이격되도록 받쳐주되 상기 인덕션 레인지에 의해 가열되지 않는 비자기유도재질로 이루어진 밥솥 받침으로 구성되어 인덕션 레인지 위에 밥솥 받침과 1~2인용 밥솥을 올린 상태에서 백미 또는 누룽지를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고, 조리 후 밥솥을 밥솥 받침과 함께 들어내어 식탁이나 싱크대 상판 위에 올려서 식탁이나 싱크대 상판의 손상없이 식사를 할 수 있도록 된 1~2인 취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와 밥솥 세트로;
    상기 인덕션 레인지는 유도코일의 자기장 유도 범위가 세라믹 상판에서부터 조리용기의 저면까지 0~40mm로 세팅되고, 상기 유도코일은 중앙부에서 외곽으로 갈수록 밀집도가 높아져 밥솥 내부에서의 열류방향이 기존의 가스압력밥솥에서와 같이 외곽에서 상향열류가 발생하여 중심부에서 하향하는 대류열이 발생하도록 하여 백미 취사시 밥이 타지 않고 골고루 익도록 하고, 상기 밥솥 받침은 목재나 열경화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밥솥 받침의 내측에는 밥솥의 본체가 안치되는 안치 구멍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밥솥 받침의 저면에는 고무 또는 내열성 연질 실리콘 소재로 된 받침돌기가 부착되어 세라믹 상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2인 취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와 밥솥 세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12390A 2020-02-03 2020-02-03 1-2인 취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와 밥솥 세트 KR102259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390A KR102259139B1 (ko) 2020-02-03 2020-02-03 1-2인 취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와 밥솥 세트
CN202020375126.8U CN211883370U (zh) 2020-02-03 2020-03-23 一种饭煲套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390A KR102259139B1 (ko) 2020-02-03 2020-02-03 1-2인 취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와 밥솥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9139B1 true KR102259139B1 (ko) 2021-05-31

Family

ID=73268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390A KR102259139B1 (ko) 2020-02-03 2020-02-03 1-2인 취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와 밥솥 세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59139B1 (ko)
CN (1) CN211883370U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2663A (ja) * 2005-04-20 2006-11-02 Hideo Nishina 電磁調理テーブル用鍋敷
KR20080083916A (ko) 2007-03-14 2008-09-19 조용래 인덕션 렌지용 압력솥
KR20100083089A (ko) * 2009-01-12 2010-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와 그 가열장치
KR101565755B1 (ko) 2015-04-30 2015-11-05 (주) 다나일렉트릭스 다층으로 구획된 인덕션을 이용한 밥 조리장치
KR101632742B1 (ko) 2014-05-28 2016-06-22 정원식 인덕션 조리기
KR20170010971A (ko) * 2015-07-21 2017-02-02 이운학 압력밥솥 덮개
JP2017225706A (ja) * 2016-06-23 2017-12-28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調理器
KR101920341B1 (ko) 2016-09-30 2018-11-20 (주)피스월드 솥단지 인덕션 레인지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2663A (ja) * 2005-04-20 2006-11-02 Hideo Nishina 電磁調理テーブル用鍋敷
KR20080083916A (ko) 2007-03-14 2008-09-19 조용래 인덕션 렌지용 압력솥
KR20100083089A (ko) * 2009-01-12 2010-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와 그 가열장치
KR101632742B1 (ko) 2014-05-28 2016-06-22 정원식 인덕션 조리기
KR101565755B1 (ko) 2015-04-30 2015-11-05 (주) 다나일렉트릭스 다층으로 구획된 인덕션을 이용한 밥 조리장치
KR20170010971A (ko) * 2015-07-21 2017-02-02 이운학 압력밥솥 덮개
JP2017225706A (ja) * 2016-06-23 2017-12-28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調理器
KR101920341B1 (ko) 2016-09-30 2018-11-20 (주)피스월드 솥단지 인덕션 레인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1883370U (zh) 2020-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5196B2 (en) Food cooking or warming apparatus with self-regulating inductor
CN107374319A (zh) 多功能套餐机及其烹饪方法
US5290997A (en) Rotary electric stove for heating and warming food at a table
KR102259139B1 (ko) 1-2인 취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와 밥솥 세트
US4996410A (en) Dual purpose chafing pot
JP2506529B2 (ja) キッチンユニット
CN207745014U (zh) 多功能套餐机
CN201303832Y (zh) 一种多功能锅
JP2009201702A (ja) 炊飯と加熱料理ができる二段重ねの釜飯炊飯器
KR102327451B1 (ko) 다용도 조리기구
CN209770022U (zh) 一种可同时烹饪两种不同口感米饭的多功能电饭锅装置
US6369367B1 (en) Cooking apparatus
JP4431377B2 (ja) ユニットケア用配膳車及びこれを用いたユニットケア方法
CN211933626U (zh) 能够放置不锈钢蒸笼和食物耙的蒸煮一体锅
CN217547742U (zh) 一种三环火电炒锅
CN102273919A (zh) 一种大容量蒸锅
CN211022170U (zh) 一种电火锅
CN214756978U (zh) 一种岩板桌电磁加热导体结构
JP2562867Y2 (ja) 電磁調理テーブル用調理容器
CN202234873U (zh) 一种置于锅底的蒸煮盘
CN207821725U (zh) 套餐机的多功能烹饪座结构
TWM325797U (en) Pot with steam cook function
KR200239007Y1 (ko) 다용도 불고기판
KR20230062912A (ko) 다용도 조리기구
KR200336254Y1 (ko) 다중조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