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803B1 - 소독 장치 - Google Patents

소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803B1
KR101616803B1 KR1020090065283A KR20090065283A KR101616803B1 KR 101616803 B1 KR101616803 B1 KR 101616803B1 KR 1020090065283 A KR1020090065283 A KR 1020090065283A KR 20090065283 A KR20090065283 A KR 20090065283A KR 101616803 B1 KR101616803 B1 KR 101616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liquid
cleaning
delete delete
disinfec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5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5466A (ko
Inventor
테페이 에지리
타카유키 이이다
요시유키 쿠누키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17617A external-priority patent/JP509376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17618A external-priority patent/JP5179294B2/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25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5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80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소독액의 농축액을 수용한 보틀은 입구부가 폐쇄부에서 밀봉되어 있다. 보틀 개폐부는 상기 폐쇄부의 상방의 일부가 연결 부분으로서 남도록 상기 폐쇄부를 파단하고, 이 연결 부분으로부터 상기 폐쇄부를 상기 보틀내에 절곡시켜 상기 농축액의 유출구를 형성한다. 농축액의 배출후에 노즐로부터의 세정액으로 보틀내가 세정된다. 노즐은 세정액이 상기 폐쇄부에 충돌하지 않는 위치에서, 또한 상기 세정액의 복귀액의 수위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보틀 개폐부에는 상기 폐쇄부에 컷아웃(cutout)을 넣는 칼날부를 갖는다. 이 컷아웃으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농축액은 상기 보틀 개폐부의 외면에 형성한 액배출 통로를 통하여 배출된다.
Figure R1020090065283
소독 장치, 내시경

Description

소독 장치{DISINFECTING DEVICE}
본 발명은 내시경 등의 의료 기기의 소독에 적합한 소독 장치에 관한 것이고, 더욱 자세하게는 소독액의 농축액을 수용한 보틀(bottle)을 개봉하는 기능을 가진 소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체의 체강내의 검사나 수술에서는 내시경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내시경은 체강내에 삽입되는 삽입 섹션과, 이 삽입 섹션의 선단 방향 등을 조절하는 조작 섹션을 구비하고 있다. 삽입 섹션은 가요성을 가진 봉상을 하고 있고, 체강내를 촬영하는 전자 촬영부와, 처치구가 삽입된 겸자 채널 등의 각종 채널을 구비하고 있다. 사용된 내시경은 삽입 섹션의 외표면과 각 채널내에 체액이나 오물이 부착되어 있다. 체액이나 오물에 포함되는 병원균이나 바이러스는 원내 감염의 원인이 되므로 사용후의 내시경은 내시경 세정 소독 장치로 세정, 소독이 행하여진다.
상기 내시경 세정 소독 장치는 내시경을 세정하는 세정조와, 소독액을 수용하는 소독액 탱크를 구비하고, 세정 공정, 소독 공정 등의 각종 공정을 자동적으로 행한다. 세정 공정은 물, 물에 세제를 첨가한 세제액 등의 세정액을 세정조내의 내시경에 분사하여 외표면 및 각 채널내에 부착된 체액이나 오물을 씻어 버린다. 소 독 공정에서는 소독액 탱크로부터 소정량의 소독액을 세정조내에 공급한다. 이 소독액중에 내시경을 침지시켜서 세정 공정에서 제거되지 않은 균이나 바이러스를 제거, 또는 병원성을 소실시킨다. 세정 공정의 종료시에는 소독액은 재사용을 위해 소독액 탱크내로 복귀된다.
소독액에는 예를 들면, 클루타르알데히드, 오르토프탈알데히드, 과초산 등의 고수준 소독제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클루타르알데히드가 사용되고 있었지만, 현재에서는 소독 효과가 높고, 인체에의 악영향이 적은 과초산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과초산 등의 농축액(원액)은 희석액, 예를 들면 물이 가해지고, 소정 농도의 소독액으로 조제된다. 예를 들면, 과초산의 농축액은 과초산 농도가 6%이며, 10% 이상의 과산화 수소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극물급으로 되어 있다. 이 농축액은 대단히 강한 악취가 있어서 농축액을 수납한 플라스틱제의 보틀은 그 입구부가 은지(銀紙), 플라스틱 필름 등의 씰 부재로 밀봉되고, 그 위로부터 캡을 씌우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
소독액의 작성중에 농축액의 악취가 누설되면 작업 환경이 악화된다. 이 악취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서 보틀의 입구부는 내시경 세정 소독 장치 보틀 부착부에 기밀(氣密), 그리고 액밀(液密)로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씰 부재가 컷팅된다. 보틀로부터 유출된 농축액은 농축액 주입로를 거쳐서 소독액 탱크에 공급된다. 농축액의 악취가 내시경 세정 소독 장치의 외부로 누설될 일은 없지만 컷팅된 씰 부재가 소독액 탱크내에 흘러내리는 불량이나 씰 부재가 농축액 주입로에 막히는 등의 불량이 발생한다.
상기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2006-230493호 공보에 기재된 내시경 세정 소독 장치에서는 보틀의 입구부에 원통상을 한 캡이 끼워져있다. 이 캡에는 절개 가능한 판상을 한 폐쇄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캡의 도중을 폐쇄하고 있다. 또한, 소독액 탱크에 형성된 보틀 부착부에는 칼날부, 확장면부, 릴리징부, 가압부가 형성되어 있다. 보틀을 보틀 부착부에 끼우면 우선 칼날부가 폐쇄부의 일부에 컷아웃을 넣는다. 이어서, 확장면부가 컷아웃의 양측을 서서히 가압하여 파단시킨다. 이 파단 부분은 보틀의 압입량에 따라 서서히 확대되어 간다. 확장면부에 계속되는 릴리징부는 폐쇄부를 가압하지 않으므로 파단 부분이 폐쇄부의 전체 가장자리로 확장되지 않는다. 최후에 가압부가 폐쇄부를 보틀 내측으로 가압하고, 릴리징부에 의해 남겨진 연결 부분(캡에 연결되어 있는 부분)으로부터 폐쇄부를 거의 45° 정도로 기울어지게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폐쇄부가 보틀로부터 컷팅되지 않으므로 폐쇄부가 소독액 탱크내에 유입되거나 농축액 주입로에 막히는 등의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다.
소독액의 교환시에는 빈 보틀이 보틀 부착부로부터 분리되지만 이 때에 보틀내, 및 보틀 부착부내에 잔류하고 있는 농축액의 악취가 외부로 누설되어 버린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11-137506호 공보의 장치에서는 노즐로 보틀을 세정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세정조의 탑 커버에 보틀 커넥터가 설치되고, 이것에 보틀 개폐용 돌기가 부착되어 있다. 보틀 커넥터에 보틀의 입구부를 부착하는 사이에 씰 부재가 보틀 개폐용 돌기에 의해 구멍이 형성되고, 보 틀내의 농축액이 세정조내에 흘러내린다. 소독액의 주입후에 세정조내의 농축액이 소독 탱크로 이전된다. 이어서, 세정조에 물(세정액)을 공급하여 세정조내를 세정한다. 이것과 함께, 세정조의 거의 중앙에 배치되어 탑 커버의 내면을 세정하기 위한 노즐을 이용하여 보틀을 세정한다. 보틀의 세정후에 보틀이 보틀 커넥터로부터 분리되고, 또한 세정조내의 물이 배출된다. 이 일본 특허 공개 평11-137506호 공보에는 보틀 개폐용 돌기에 노즐 기능을 부여한 것도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6-230493호 공보에 기재된 내시경 세정 소독 장치에 있어서, 보틀 분리시의 악취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일본 특허 공개 평11-137506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보틀 세정 기술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2006-230493호 공보에 기재된 장치에서는 세정조내의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세정액이 보틀내에서 기울어져 있는 폐쇄부에 충돌하기 때문에 보틀의 내부까지 세정할 수 없다. 또한,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세정액이 보틀 내부를 세정한 후에 입구부를 향해서 흐르는 복귀액에 충돌하기 때문에 보틀내의 세정을 충분히 행할 수 없다.
보틀 커넥터에 노즐 겸용 돌기를 형성한 경우에는 보틀내의 농축액이나 세정액은 노즐 돌기내의 통로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에 따라, 보틀의 세정 중에는 노즐 돌기로부터 분출되는 세정액은 입구부내에 모아지는 복귀액내를 빠져나가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보틀내를 충분히 세정할 수 없다. 또한, 보틀내의 소독액을 세정조내에 배출한 후에 세정액을 공급하는 튜브를 노즐 겸용 돌기에 접속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세정조내에는 튜브의 착탈 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고, 구 조가 복잡하게 된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2006-230493호 공보에서는 보틀 부착부에 보틀을 집어넣으면 폐쇄부의 파단과 동시에 다량의 농축액이 강력하게 분출되기 때문에 보틀 부착부로부터 농축액이 넘칠 우려가 있다. 또한, 농축액이 넘칠때 까지는 이르지 않더라도 농축액이 칼날부나 칼날부 근방의 확장면부에 충돌해서 크게 되튀어서 액류가 어지러워지기 때문에 부드럽게 농축액을 소독액 탱크에 주입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폐쇄부에 방해되지 않고, 보틀 내부를 확실히 세정할 수 있는 소독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틀로부터 농축액을 부드럽게 소독액 탱크에 주입할 수 있는 소독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 기타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소독 장치는 소독액의 농축액을 수용한 보틀의 폐쇄부를 파단하는 보틀 개폐부와, 보틀내를 향해서 세정액을 분출하는 노즐을 구비하고 있다. 보틀 개폐부는 연결 부분을 남기도록 폐쇄부를 파단하고, 이 연결 부분으로부터 폐쇄부를 보틀내로 절곡시켜 상기 농축액의 유출구를 형성한다. 노즐은 보틀 개폐부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 노즐은 보틀 개폐부에서 절곡된 폐쇄부에 분출한 세정액이 충돌하지 않는 위치에서, 또한 보틀내로부터 되돌아오는 세정액의 복귀액의 수위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노즐로부터 분사된 세정액은 폐쇄부 및 복귀액에 충돌하지 않고, 보틀의 밑바닥을 향한다.
소독 장치는 소독액 탱크와, 농축액 주입로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소독액 탱크에는 농축액과 희석액이 공급되고, 상기 농축액을 소정 농도로 희석한 소독액을 조제한다. 상기 농축액 주입로는 상기 보틀 개폐부가 일단에 설치되고, 타단에 상기 소독액 탱크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유출구를 통과하여 상기 보틀로부터 유출된 상기 농축액과 상기 세정액의 복귀액은 상기 농축액 주입로를 통과하여 상기 소독액 탱크에 공급된다. 이 복귀액은 상기 희석액으로서 사용된다.
상기 보틀이 상기 보틀 개폐부내로 이동하는 사이에 상기 폐쇄부가 파단된다. 상기 노즐은 상기 보틀 개폐부의 내벽면에 일체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즐은 단면이 원형 또는 슬릿상의 분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틀 개폐부는 칼날부와, 확장면부와, 릴리징부와, 가압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칼날부는 상기 폐쇄부의 주위의 일부에 컷아웃을 넣는다. 상기 확장면부는 상기 보틀이 상기 보틀 개폐부내로 이동하고 있는 사이에 상기 폐쇄부를 가압하고, 상기 컷아웃으로부터 연장된 파단 부분을 형성한다. 상기 릴리징부는 상기 폐쇄부에 접촉하지 않도록 후퇴하고 있다. 이 릴리징부는 상기 폐쇄부를 가압하지 않으므로 상기 파단 부분의 확장이 정지하고, 상기 연결 부분을 남긴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확장면부와 상기 릴리징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폐쇄부를 가압하여 상기 연결 부분으로부터 절곡된다.
상기 보틀 개폐부는 거의 원통형을 하고 있고, 상기 입구부의 내주를 따라 상기 파단 부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틀 개폐부는 상기 입구부의 직경 방향 단면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과 이루는 각이 거의 ±90°가 되는 2개의 선으로 둘러싸여진 범위내에 상기 연결 부분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상기 폐쇄부를 파단하고, 또한 상기 노즐의 중심은 입구부의 직경 방향 단면 중심과 연결 부분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과 이루는 각이 거의 ±45°가 되는 2개의 선으로 둘러싸여진 범위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틀 개폐부는 상기 입구부의 직경 방향 단면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 과 이루는 각이 거의 +45°가 되는 선상에 상기 연결 부분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폐쇄부를 파단하고, 또한 상기 노즐의 중심은 상기 연직선과 이루는 각이 거의 -45° 및 거의 -90°인 2개의 선으로 둘러싸여진 범위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틀 개폐부는 입구부의 직경 방향 단면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과 이루는 각이 거의 -45°가 되는 선상에 상기 연결 부분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폐쇄부를 파단하고, 또한 상기 노즐의 중심은 상기 연직선과 이루는 각이 거의 +45° 및 거의 +90°인 2개의 선으로 둘러싸여진 범위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틀 개폐부는 상기 입구부의 직경 방향 단면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상에 상기 연결 부분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상기 폐쇄부를 파단하고, 또한 상기 노즐의 중심은 상기 연직선과 이루는 각이 거의 +45° 및 거의 +90°인 2개의 선으로 둘러싸여진 범위내, 또는 거의 -45° 및 거의 -90°인 2개의 선으로 둘러싸여진 범위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즐에 상기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 공급 수단과, 상기 노즐로부터 분출하는 상기 세정액의 분출 상태를 계측하는 계측 수단과, 상기 계측 수단의 계측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세정액의 분출량이 소정 범위내가 되도록 상기 세정액 공급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측 수단은 상기 세정액의 유량, 적산 유량, 또는 분출 시간 중 어느 하나를 계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희석액을 상기 소독액 탱크에 공급하기 위한 희석액 유로와, 상기 희석액 유로로부터 분기되고, 상기 희석액을 상기 세정액으로서 상기 노즐에 공급하는 세정액 유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예에서는 상기 농축액이 상기 소독액 탱크에 공급된 것을 검지하는 제 1 센서와, 상기 농축액에 상기 희석액을 첨가하고, 소정 농도의 상기 소독액을 조제한 것을 검지하는 제 2 센서와, 상기 제 1 센서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의해 상기 희석액과 상기 세정액의 공급을 시작하고, 상기 제 2 센서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의해 상기 희석액과 상기 세정액의 공급을 정지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제 2 예에서는 상기 세정액 유로가 분기되는 분기점에 배치되어 유로를 스위칭하는 유로 스위칭 수단과, 상기 노즐로부터 분출하는 상기 세정액의 분출 상태를 계측하는 계측 수단과, 상기 계측 수단의 계측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세정액의 적산 분출량이 소정값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세정액 유로를 폐쇄함과 아울러 상기 희석액 유로를 개방하여 상기 희석액을 상기 소독액 탱크에 공급하도록 상기 유로 스위칭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분기점보다도 상류측에서 상기 희석액 유로에 펌프가 배치된다.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유로 스위칭 수단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상기 노즐로부터의 상기 세정액의 분출이 정지한 후에 상기 희석액의 공급량이 많아지도록 상기 펌프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 농축액이 상기 소독액 탱크에 공급된 것을 검지하는 제 1 센서와, 상기 농축액에 상기 희석액을 첨가하고, 소정 농도의 상기 소독액을 조제한 것을 검지하는 제 2 센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 수단은 또한 상기 제 1 센서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의해 상기 펌프의 구동을 개시시키고, 상기 제 2 센서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의해 상기 펌프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상기 보틀 개폐부는 상기 칼날부에 의해 상기 컷아웃이 형성된 직후에 이 컷아웃으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농축액을 상기 농축액 주입로로 인도하기 위한 액배출 통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배출 통로는 상기 칼날부의 근방에서 상기 보틀 개폐부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보틀 개폐부와, 농축액 주입로와, 액배출 통로와, 소독액 탱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보틀 개폐부는 상기 보틀의 입구부를 폐쇄하고 있는 폐쇄부에 컷아웃을 넣는 칼날부를 갖고, 상기 컷아웃을 기점으로 해서 그 상방의 일부가 연결 부분으로서 남도록 파단함과 아울러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폐쇄부를 상기 보틀내에 절곡시키고, 상기 농축액의 유출구를 형성한다. 상기 농축액 주입로는 상기 보틀 개폐부에 연결되고, 상기 유출구를 통과하여 상기 보틀로부터 유출된 상기 농축액을 소독액 탱크로 인도한다. 상기 액배출 통로는 상기 칼날부의 근방에 형성되고, 상기 칼날부에서 상기 폐쇄부에 상기 컷아웃을 넣은 직후에 상기 컷아웃으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농축액을 상기 농축액 주입로로 인도한다.
상기 칼날부는 상기 입구부의 직경 방향 단면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과 이루는 각이 거의 ±135°인 2개의 선으로 둘러싸여진 각도 범위내로부터 컷팅되도록 설치되고, 또한 상기 액배출 통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각도 범위내에서 그리고 칼날부와 중첩되지 않는 각도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칼날부는 입구부의 직경 방향 단면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과 이루는 각이 거의 +135° 또는 -135°인 선상을 최초에 컷팅하도록 설치되고, 또한 상기 액배출 통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연직선상에서 상기 보틀 개폐부의 하방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배출 통로로서 상기 칼날부보다 인입된 위치에 상기 보틀 개폐부의 외면을 내측으로 오목하게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액배출 통로로서 상기 보틀 개폐부의 둘레면에 홈을 형성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노즐의 연장선이 절곡된 폐쇄부와 교차하지 않는 위치에서 그리고 농축액 주입로로부터 유출되는 세정액의 수위보다도 높은 위치가 되도록 노즐을 보틀 개폐부내에 설치했기 때문에 폐쇄부에서 방해되지 않고, 또한 노즐로부터 분사된 세정액이 보틀 내부의 세정후에 보틀로부터 배출되는 세정액의 복귀액에 충돌하지 않는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에 의해 보틀 내부를 확실히 세정할 수 있다. 또한, 농축액의 악취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작업 환경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농축액 주입로에 농축액을 인도하기 위한 액배출부를 설치했으므로 폐쇄부의 파단과 동시에 다량의 농축액이 강력하게 흘러나와서 보틀 부착부로부터 농축액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폐쇄부의 파단 직후에 농축액이 보틀 개폐부에 충돌함으로 인한 되튐이 방지되어 액류의 혼란을 발생시키지 않고, 부드럽게 농축액을 소독액 탱크내에 주입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
도 1에 있어서, 내시경(10)은 생체의 체강내에 삽입되는 삽입 섹션(11)과, 이 삽입 섹션(11)을 조작하는 조작 섹션(12)을 구비하고 있다. 삽입 섹션(11)은 가늘고 긴 봉형상을 하고 있고, 가요성을 갖고 있다. 삽입 섹션(11)의 선단부에는 체강내를 조명하는 조명부와, 체강내를 촬영하는 전자 촬영부(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삽입 섹션(11)내에는 송기ㆍ송수 채널(15) 및 겸자 채널(16)이 설치되고, 각 채널의 단부는 선단부로 개구되어 있다. 겸자 채널(16)은 조작 섹션(12)내에서 흡인 채널(17)에 접속되어 있다.
조작 섹션(12)에는 겸자 채널(16)에 접속된 겸자구(20)와, 송기ㆍ송수 버튼(21)과, 흡인 버튼(22)이 설치되어 있다. 겸자구(20)에는 사용시에 분리되는 겸자구 캡(23)이 감합되어 있다. 송기ㆍ송수 버튼(21) 및 흡인 버튼(22)은 송기ㆍ송수 채널(15)이 접속된 장착구(12a), 및 흡인 채널(17)이 접속된 장착구(12b)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송기ㆍ송수 버튼(21), 흡인 버튼(22) 및 겸자구 캡(23)은 내시경(10)의 세정시에 분리된다.
조작 섹션(12)에는 유니버설 코드(25)가 접속되어 있다. 이 유니버설 코드(25)내에는 송기ㆍ송수 채널(15) 및 흡인 채널(17)과, 조명부로부터의 라이트 가이드(도시되지 않음)와, 전자 촬영부로부터의 케이블(도시되지 않음)이 포함되어 있다. 유니버설 코드(25)의 선단에는 라이트 가이드를 광원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접속하기 위한 광원 커넥터(26)와, 케이블을 비디오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에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되어 있다. 내시경(10)의 세정시에는 방수 캡(27)(도 3 참조)이 각 커넥터에 장착된다.
도 2에 있어서, 내시경 세정 소독 장치(이하, 단지 장치라 함)(28)는 상자 형상의 본체(30)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30)의 상면에는 사용된 내시경(10)이 수용되는 세정조(31)가 설치되어 있다. 세정조(31)는 상부가 개방된 수조이며,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등의 내열성, 내식성 등이 우수한 금속판으로 제작되어 있다.
본체(30)의 상면 앞에는 조작 패널(33) 및 표시 패널(34)이 배치되어 있다. 조작 패널(33)은 내시경(10)의 세정, 소독에 관한 각종 설정이나 세정 및 소독의 개시 또는 정지 등을 지시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을 구비하고 있다. 표시 패널(34)에는 예를 들면 액정 모니터(LCD)가 사용되고, 각종 설정 화면, 각 공정의 나머지 시간, 트러블 발생시의 경고 메시지 등이 표시된다.
본체(30)의 전면에는 도어(36)에 의해 개폐 가능한 보틀 수용부(37)가 설치되어 있다. 보틀 수용부(37)에는 보틀 유닛(38)이 수용된다. 보틀 유닛(38)은 과초산의 농축액을 밀봉한 제 1 보틀(39)과, 완충제를 밀봉한 제 2 보틀(40)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보틀(39)과 제 2 보틀(40)은 외주에 권회된 띠상의 필름(41)에 의해 묶여서 보틀 유닛(38)을 구성한다.
제 1 보틀(39)은 과초산의 농축액에 대한 내성을 갖는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 1 보틀(39)은 거의 상자형의 보틀 본체(39a)와, 보틀 본체(39a)의 상면에 형성된 원통상의 입구부(39b)와, 입구부(39b)내에 형성된 폐쇄부(뚜껑부)(39c)를 구비하고 있다. 보틀 본체(39a)내에는 농축액이 수용되어 있다. 입구부(39b)는 보틀 본체(39a)에 접속되어 있고, 입구부(39b)를 통해서 보틀 본체(39a)내의 농축액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폐쇄부(39c)는 절개 가능한 플라스틱제의 박판이며, 농축액이 새지 않도록 입구부(39b)의 도중을 차단하고 있다.
제 1 보틀(39)은 입구부(39b)가 비스듬히 하방을 향하도록 기울어진 상태에서 보틀 수용부(37)에 수용된다. 입구부(39b)는 제 1 보틀(39)내의 액체를 중력에 의해 남기지 않고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 보틀 본체(39a)의 중심축에 대하여 편심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보틀(39)을 기울일 때에 보틀 수용부(37)의 지지면(107)(도 4 참조)과 접하는 보틀 본체(39a)의 측면(39d)과 입구부(39b)가 동일한 두께를 갖고, 또한 연속한 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 2 보틀(40)은 제 1 보틀(39)과 마찬가지 구성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보틀 수용부(37)의 측방에는 도어(44)에 의해 개폐 가능한 탱크 수용부(45)가 설치되어 있다. 탱크 수용부(45)내에는 세제 탱크(46), 알코올 탱크(47)가 수납되어 있다. 세제 탱크(46)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시경(10)의 세정에 사용되는 세제(예를 들면, 액상 효소 세제 등)(82)가 저장되어 있다. 알코올 탱크(47)에는 내시경(10)의 소독후에 각 채널내에 흘려지는 알코올이 저장되어 있다.
본체(30)의 상면에는 세정조(31)를 개폐하는 탑 커버(49)가 설치되어 있다. 탑 커버(49)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직사각형의 판상을 하고 있고, 힌지(50)에 한 변이 축지되어 있다. 탑 커버(49)는 내시경(10)의 세정, 소독시에 폐쇄되는 세정조(31)의 상부를 덮는다. 탑 커버(49)의 외주에는 세정조(31)를 밀폐하는 패킹(49a)이 설치되어 있다. 탑 커버(49)는 전체 또는 일부에 투명한 플라스틱이 사용되고, 폐쇄 상태라도 세정조(31)내에서의 세정이나 소독의 모양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탑 커버(49)에는 폐쇄 위치에서 록킹하기 위한 록킹 기구(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세정조(31) 내부의 다리부에 설치된 경사부(31a)에는 내시경(10)의 세정, 소독에 사용하는 액체를 세정조(31)내에 공급하는 공급 포트(52)가 설치되어 있다. 공급 포트(52)에는 세정조(31)내를 향해서 굴곡된 급수 노즐(53), 세제 공급 노즐(54), 소독액 공급 노즐(55)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노즐(53∼55)은 세정조(31)내에 저장된 액체의 액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공급 포트(52)는 탑 커버(49)를 폐쇄할 때에 탑 커버(49)에 형성된 오목부(49b)에 수용된다.
급수 노즐(53)은 세정조(31)내에 물을 공급한다. 세제 공급 노즐(54)은 세제 탱크(46)내에 저장되어 있는 세제를 세정조(31)내에 공급하고, 이 세제를 물에 더해서 세정액을 조제한다. 소독액 공급 노즐(55)은 소독액 탱크(87)(도 4 참조)내에 저장되어 있는 소독액을 세정조(31)내에 공급한다. 사용된 내시경(10)에 부착되어 있는 체액이나 오물은 세정 공정에 있어서 세정액에 의해 세정된다. 세정액으로 세정되지 않은 병원균이나 바이러스는 소독 공정에 있어서 소독액에 의해 제거, 또는 병원성이 소실된다.
도 3에 있어서, 세정조(31)의 내측면(31b)에는 채널 세정 포트(57)가 설치되어 있다. 채널 세정 포트(57)는 내시경(10)의 송기ㆍ송수 채널(15), 겸자 채널(16), 및 흡인 채널(17)내의 세정, 소독에 이용된다. 채널 세정 포트(57)에는 송기ㆍ송수 채널용 커플러(58), 흡인 채널용 커플러(59), 겸자 채널용 커플러(60)가 설치되어 있다.
내시경(10)의 장착구(12a, 12b) 및 겸자구(20)는 유연성을 가진 튜브(62∼ 64)에 의해 각 커플러(58∼60)에 접속되어 있다. 각 커플러(58∼60)로부터는 물, 세정액, 소독액, 알코올, 건조를 위한 압축 공기 등의 각종 액체 및 기체가 송기ㆍ송수 채널(15), 겸자 채널(16), 및 흡인 채널(17)내에 공급된다.
다른 내측면(31c)에는 내시경(10)의 기밀 시험에 이용되는 기밀 시험 포트(65)가 설치되어 있다. 기밀 시험 포트(65)에는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튜브 커플러(65a)가 설치되어 있다. 튜브 커플러(65a)에는 유연성을 가진 튜브가 장착된다. 튜브는 커넥터부(26)에 장착된 방수 캡(27)에 접속된다.
내측면(31c)의 근방에는 액면 센서(LS)(66)가 설치되어 있다. 액면 센서(66)는 세정조(31)내에 저장된 액체의 액면 위치를 검출한다. 액면 센서(66)로서는, 예를 들면 액면에 따라서 플롯이 상하 이동하는 플롯식 레벨 센서가 이용된다.
세정조(31) 저면(31d)의 중앙에는 소형물 세정 카고(68)가 장착되어 있다. 소형물 세정 카고(68)는 예를 들면 상부가 개구된 원형의 카고이며, 내시경(10)의 조작 섹션(12)으로부터 분리된 송기ㆍ송수 버튼(21), 흡인 버튼(22), 겸자구 캡(23) 등의 소형물 부품이 수용된다. 저면(31d) 앞의 다리부에는 폐액구(69)가 설치되어 있다. 폐액구(69)는 세정조(31)로부터 세정액, 소독액, 헹굼물 등을 배출한다.
본체(30)내의 배관 계통을 나타낸 도 4에 있어서, 세정조(31)의 하면에는 러버 히터(71)가 장착되어 있다. 러버 히터(71)는 세정조(31)내에 저장된 세정액 또는 소독액을 가열한다. 세정조(31)내에는 세정액 또는 소독액의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 센서(TE)(72)가 설치되어 있다.
급수 노즐(53)에는 물, 세정액, 소독액을 순환적으로 흘리기 위한 급액로(74)가 접속되어 있다. 급액로(74)의 타단은 전동 삼방 밸브(75)의 토출구에 접속되어 있다. 전동 삼방 밸브(75)의 한쪽의 유입구에는 급수로(76)가 접속되어 있다.
희석액, 보틀 세정액, 헹굼액으로서는 수도물이 이용되고, 또한 수도물에 세제를 첨가해서 세정액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수도의 수도꼭지(도시되지 않음)에 급수로(76)가 접속되어 있다. 급수로(76)에는 수도꼭지측으로부터 전자 밸브(78), 워터 필터(WF)(79), 워터 펌프(이하, WP라 칭함)(80)가 설치되어 있다. 전자 밸브(78)는 급수로(76)에 대한 수도물(이하, 물이라 함)의 공급/정지를 스위칭한다. WF(79)는 물에 포함되는 이물이나 세균을 포착한다. WP(80)는 급수로(76)에 대한 물의 공급 유량을 조정한다. 전동 삼방 밸브(75)는 세정조(31)내에 물을 공급할 때에 급액로(74)와 급수로(76)를 접속한다.
세제 공급 노즐(54)에는 세제 공급로(81)가 접속되어 있다. 세제 공급로(81)의 타단은 세제(82)가 수용된 세제 탱크(46)에 접속되어 있다. 세제 공급로(81)에는 WP(83)가 설치되어 있다. WP(83)는 세제 탱크(46)내의 세제(82)를 흡인하고, 세제 공급 노즐(54)로부터 토출시킨다.
소독액 공급 노즐(55)에는 소독액 공급로(85)가 접속되어 있다. 소독액 공급로(85)의 타단은 소독액(86)이 수용된 소독액 탱크(87)에 접속되어 있다. 소독액 공급로(85)에는 WP(88)가 설치되어 있다. WP(88)는 소독액 탱크(87)내의 소독액(86)을 흡인하고, 소독액 공급 노즐(55)로부터 토출시킨다.
소독액 탱크(87)는 과초산에 대한 내성을 갖는 폴리에틸렌(PE)으로 제작되어 있다. 소독액 탱크(87)는 본체(30)내의 빈 스페이스에 맞춰진 형상을 하고 있고, 또한 소정의 강도를 갖게 하기 위해서 블로우 성형법으로 성형되어 있다. 소독액 탱크(87)의 하면에는 사용된 소독액(86)을 배출하는 배출구(90)가 설치되어 있다. 배출구(90)에는 본체(30)의 외부로 연장된 배출로(91)가 접속되어 있다. 배출로(91)에는 전자 밸브(92)가 설치되어 있다.
폐액구(69)에는 폐액로(94)가 접속되어 있다. 폐액로(94)는 하류측에서 제 1 폐액로(95)와 제 2 폐액로(96)로 분기되어 있다. 제 1 폐액로(95)는 내시경(10)의 세정에서 사용된 세정액, 헹굼물을 WP(97)를 통해 본체(30)의 외부로 배출한다. 제 2 폐액로(96)는 내시경(10)의 소독에 사용된 소독액(86)을 소독액 탱크(87)로 복귀시킨다. 소독액(86)은 고가이며, 그리고 수회의 사용에서는 소독 효과가 소실되지 않으므로 소독액 탱크(87)로 복귀되어 반복 사용된다. 제 1 폐액로(95) 및 제 2 폐액로(96)의 각각에 설치된 전자 밸브(98, 99)의 개폐에 의해 각 폐액로(95, 96) 중 어느 한쪽에 폐액이 흘려진다.
폐액구(69)에는 순환로(101)도 접속되어 있다. 순환로(101)에는 세정조(31)내의 액체를 흡인하는 WP(102)가 설치되어 있다. 순환로(101)는 하류측에서 제 1 순환로(103)와 제 2 순환로(104)로 분기되어 있다. 제 1 순환로(103)는 전동 삼방 밸브(75)의 다른쪽 유입구에 접속되어 있다. 전동 삼방 밸브(75)는 제 1 순환로(103)와 급액로(74)를 접속하고, WP(102)에 의해 세정조(31)내에서 흡인된 액체를 급수 노즐(53)로부터 세정조(31)내로 분출해서 순환시킨다.
제 2 순환로(104)는 채널 세정 포트(57)의 각 커플러(58∼60)에 접속되어 있다. WP(102)에 의해 세정조(31)내에서 흡인된 액체는 각 커플러(58∼60)로부터 내시경(10)의 각 채널(15∼17)내에 공급된다.
채널 세정 포트(57)에는 제 2 순환로(104) 이외에 각 채널(15∼17)내에 송풍해서 물방울을 제거하기 위한 송기로나 각 채널(15∼17)내에 알코올을 흘려보내서 건조시키는 알코올 공급로 등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면의 번잡화를 피하기 위해서 도 4에서는 송기로, 알코올 공급로 등을 생략하고 있다.
보틀 수용부(37)는 소독액 탱크(87)의 근방에 배치되고, 보틀 유닛(38)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지지면(107)을 갖고 있다. 지지면(107)은 본체(30)의 내측을 향해서 낮아지도록 기울어져 있다. 보틀 유닛(38)은 입구부(39b)가 하방을 향하도록 기울어져 있고, 측면(39d)이 지지면(107)에 접한 상태에서 보틀 수용부(37)에 장전된다. 지지면(107)의 최하단에는 제 1 보틀 부착부(108)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보틀 부착부(108)는 제 1 보틀(39)의 입구부(39b)의 외주에 기밀, 그리고 액밀로 감합하는 구금형(口金形)을 하고 있다.
제 1 보틀 부착부(108)에는 소독액 탱크(87)의 상부에 설치된 농축액 주입로(109)가 접속되어 있다. 농축액 주입로(109)는 제 1 보틀 부착부(108)와 소독액 탱크(87)를 연통한다. 농축액 주입로(109)의 선단 부분은 제 1 보틀 부착부(108)내로 돌출되어 있고, 제 1 보틀(39)의 입구부(39b)를 개폐하기 위한 보틀 개폐부(110)를 구성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축액 주입로(109)는,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강 등의 금속제의 관이며, 그 선단 부분이 비스듬히 절단되어 보틀 개폐부(110)를 구성하고 있다. 이 보틀 개폐부(110)는 칼날부(110a), 확장면부(110b), 가압부(110c), 릴리징부(110d)를 구비하고 있다. 하방에 위치하는 칼날부(110a)가 가장 돌출되어 있고, 상방에 위치하는 릴리징부(110d)가 가장 후퇴하고 있다.
칼날부(110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틀 개폐부(110)를 보틀 유닛(38)측으로부터 보아서 보틀 개폐부(110)의 직경 방향의 단면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입구부(39b)의 직경 방향 단면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과 같음](L1)의 상방을 0시(단침의 위치)라고 했을 때에, 예를 들면 4시 30분(단침의 위치, 이하 같음) 에 그 중심이 있다. 칼날부(110a)는 보틀 유닛(38)의 입구부(39b)가 제 1 보틀 부착부(108)내로 압입될 때에 폐쇄부(39c)에 컷아웃을 넣으면서 제 1 보틀(39)내로 들어간다.
확장면부(110b)는 보틀 유닛(38)의 삽입량에 따라 폐쇄부(39c)를 가압하는 부분이 확장되기 때문에 폐쇄부(39c)를 서서히 파단해서 파단 부분을 형성한다. 이 파단 부분은 칼날부에 의한 컷아웃을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릴리징부(110d)는 칼날부(110a)와 반대의 위치에 있고, 예를 들면 릴리징부(110d)의 중심은 10시 30분 위치에 있다. 릴리징부(110d)는 확장면부(110b)에 대하여 농축액 주입로(109)의 내측으로 각도가 취해진 면이 되어 있고, 폐쇄부(39c)와 접촉하지 않도록 후퇴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확장면부(110b)에 의해 폐쇄부(39c)의 파단 부분이 확장되어도 폐쇄부(39c)의 전둘레에 걸치지 않게 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분(파단되지 않고 남아있는 부분)(39e)에서 폐쇄부(39c)가 입구부(39b)에 연결되어 있 다. 폐쇄부(39c)의 파단을 쉽게 하기 위해서 파단되는 부분에 홈을 형성하고, 얇은 두께로 하는 것이 좋다.
가압부(110c)는 확장면부(110b)와 릴리징부(110d)의 경계에 존재한다. 보틀 유닛(38)의 삽입량이 일정값에 도달했을 때에 폐쇄부(39c)에 접한다. 또한, 보틀 유닛(38)을 삽입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분(39e)을 절곡시키면서 폐쇄부(39c)를 제 1 보틀(39)의 내측으로 가압하여 올린다. 이에 따라, 제 1 보틀(39)내의 농축액을 배출하기 위한 액출구가 형성된다. 또한, 입구부(39b)는 그 내경이, 예를 들면 34㎜이며, 연결 부분(39e)은 약 10㎜의 길이(원호각 34°∼36°)를 갖는다.
보틀 개폐부(110)에는 그 내주면상에 보틀 세정 노즐(112)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보틀 세정 노즐(112)의 직경 방향의 중심은, 예를 들면 보틀 개폐부(110)의 3시 위치에 있다. 보틀 세정 노즐(112)의 선단은 보틀 유닛(38)의 삽입시에 폐쇄부(39c)에 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확장면부(110b)보다 내측[소독액 탱크(87)측]에 위치하고 있다. 보틀 세정 노즐(112)에는 급수로(76)로부터 분기된 세정액 유로(113)(도 4 참조)가 접속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폐쇄부(39c), 연결 부분(39e), 보틀 세정 노즐(112)의 보틀 개폐부(110)의 직경 방향 단면에 있어서의 위치 관계를 설명한다. 연결 부분(39e)의 중심(10시 30분 위치)은 보틀 개폐부(110)의 직경 방향 단면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L1)에 대하여, -45°(시계회전을 +, 반시계회전을 -로 함)의 각을 이루는 직선(L2)상에 있다. 보틀 세정 노즐(112)의 중심(3시 위치)은 연직선(L1)에 대하여 +90°의 각을 이루는 직선상에 있다. 연결 부분(39e)과 보틀 세정 노즐(112)이 이 위치 관계에 있을 때 보틀 세정 노즐(112)의 연장선은, 해칭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폐쇄부(39c)에 교차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보틀 세정 노즐(112)로부터 분출한 보틀 세정액이 절곡된 폐쇄부(39c)에 충돌하지 않는다.
보틀 수용부(37)에는 제 2 보틀(40)을 수용하기 위한 제 2 보틀 부착부(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보틀 부착부는 제 1 보틀 부착부(108)와 마찬가지 구조를 갖고 있다. 제 2 보틀 부착부에는 농축액 주입로(109)와 나란히 완충제 주입로가 접속되어 있다. 제 2 보틀(40)도 제 1 보틀(39)과 마찬가지로 개봉되고, 제 2 보틀(40)내의 완충제가 완충제 주입로를 통과해서 소독액 탱크(87)내에 공급된다. 또한, 제 2 보틀 부착부에도 세정 노즐(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고, 보틀 세정액을 분사해서 제 2 보틀(40)내를 세정한다. 이때, 보틀 세정액은 절곡된 폐쇄부(도시되지 않음)에 충돌하지 않는다.
도 4에 있어서, 보틀 수용부(37)내에는 보틀 유닛(38)을 검지하는 보틀 센서(116)가 설치되어 있다. 보틀 센서(116)는 제 1 보틀(39) 및 제 2 보틀(40)이 제 1 보틀 부착부(108) 및 제 2 보틀 부착부에 압입될 때에 보틀 유닛(38)을 검지한다.
세정액 유로(113)는 희석액 유로(117)로부터 분기되고 있다. 희석액 유로(117)에는 급수로(76)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전자 밸브(111), 유로를 스위칭하는 전동 삼방 밸브(114) 및 유량계(115)가 설치되어 있다. 전동 삼방 밸브(114)의 유입구에는 희석액 유로(117)가 접속되어 있고, 한쪽의 유출구에는 희석액 유로(117) 가 다른쪽의 유출구에는 세정액 유로(113)가 접속되어 있다. 희석액 유로(117)는 소독액 탱크(87)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 전동 삼방 밸브(114)의 스위칭에 의해 희석액 유로(117)에 급수할 것인지, 세정액 유로(113)에 급수할 것인지가 선택된다.
유량계(115)는 세정액 유로(113)에 공급되어 있는 보틀 세정액(물)의 유량을 계측한다. 유량계(115)로부터의 유량 데이터에 의거해서 WP(80)가 컨트롤되어 급수로(76)에 대한 물의 공급압이 조정된다. 보틀 세정 노즐(112)로부터 제 1 보틀(39)내에 분사된 보틀 세정액은 제 1 보틀(39)내를 세정한다. CPU(122)(도 7 참조)는 보틀 세정 시간을 계측한다. 이 세정 시간으로부터 세정액 유로(113)에 공급되어 있는 보틀 세정액의 적산 유량이 소정값에 도달했다고 판단되었을 때에 전동 삼방 밸브(114)가 작동한다. 이 전동 삼방 밸브(114)는 희석액(물)의 유로를 세정액 유로(113)측으로부터 희석액 유로(117)측으로 스위칭하고, 희석액이 희석액 유로(117)를 통과해서 소독액 탱크(87)내로 주입된다. 전동 삼방 밸브(114)의 스위칭후는 WP(80)가 고속 회전하여 희석액의 액압이 높아진다. 이에 따라, 희석액의 공급량이 증대되어 소독액 탱크(87)내에 규정량의 희석액을 단시간에 공급할 수 있다.
소독액 탱크(87)내에는 액면을 검출해서 온으로 되는 농축액 센서(118)와, 소독액 센서(119)가 설치되어 있다. 농축액 센서(118) 및 소독액 센서(119)는, 예를 들면 소독액 탱크(87)에 형성된 구멍에 소독액 탱크(87)의 외측으로부터 장착되어 있다. 소독액 탱크(87)의 구멍과, 농축액 센서(118) 및 소독액 센서(119)의 사이에는 소독액(86)의 누설을 방지하는 패킹이 장착되어 있다. 이 패킹에는 과초산 에 대한 내성을 갖는 실리콘 고무(VMQ) 등이 사용되어 있다.
농축액 센서(118)는 보틀 개봉이 바로 행하여져서 농축액 및 완충제가 소독액 탱크(87)에 공급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지한다. 소독액 센서(119)는 농축액 및 완충제에 희석액을 혼합해서 이루어진 소독액이 규정량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검지한다. 여기서, 농축액 및 완충제는 보틀로부터 공급되므로 용량은 어느 특정값이다. 따라서, 소독액 센서(119)는 소정 농도의 소독액(86)을 조제하기 위해서 필요한 용량만큼 희석액이 공급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지한다. 또한, 소독액 탱크(87)에는 희석액 유로(117)로부터의 희석액뿐만 아니라 제 1 보틀(39)을 세정한 보틀 세정액이 희석액으로서 공급되어 있다. 따라서, 소독액 센서(119)는 농축액, 완충제, 희석액, 및 보틀 세정액이 혼합된 소독액의 액면을 검지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28)는 다리부를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CPU(122)와, 제어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가 기억된 ROM(123)과, 입력 데이터나 제어 프로그램을 일시적으로 격납하기 위한 RAM(124)을 구비하고 있다. CPU(122)에는 액면 센서(66), 온도 센서(72), 유량계(115), 보틀 센서(116), 농축액 센서(118), 소독액 센서(119) 등의 센서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CPU(122)에는 표시 패널(34)을 구동하는 LCD 드라이버(125), 각 전자 밸브를 구동하는 밸브 드라이버(126), 전동 삼방 밸브(75, 114)를 각각 구동하는 모터 드라이버(127) 등도 접속되어 있다. 각 WP를 구동하는 WP 드라이버(128), 러버 히터(71)를 구동하는 히터 드라이버(129) 등도 CPU(122)에 접속되어 있다.
장치(28)는 세정 소독 모드, 소독액 조제 모드, 소독액 배출 모드 등, 복수 의 동작 모드를 실행한다. 각 모드는 조작 패널(33)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다. 이어서, 도 8 및 도 9을 참조하면서 소독액 탱크(87)내에서 새로운 소독액(86)을 조제하는 소독액 조제 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작 패널(33)의 조작에 의해 소독액 조제 모드로 세팅되면(S1) CPU(122)는 농축액 센서(118) 및 소독액 센서(119)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소독액 탱크(87)내의 소독액(86)의 유무를 확인한다(S2). 교환 시기에 도달한 소독액(86)이 소독액 탱크(87)내에 저장되어 있을 때에는(S2에서 Y), CPU(122)는 전자 밸브(92)를 개방하여 소독액 탱크(87)내의 사용된 소독액(86)을 배출시킨다(S3). 또한, 소독액(86)의 배출후에 소정량의 희석액을 소독액 탱크(87)내에 공급하고, 소독액 탱크(87)내를 세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세정에 사용한 희석액은 전자 밸브(92)를 개방하여 배출된다.
소독액 탱크(87)내에 소독액(86)이 없을 때에는(S2에서 N), 또는 오래된 소독액(86)을 배출한 후에(S3), CPU(122)는 새로운 보틀 유닛(38)을 장전해야 할 것을 표시 패널(34)에 표시한다.
이어서, 도어(36)를 열고, 보틀 유닛(38)을 보틀 수납부(37)에 장전한다(S4). 이 경우에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축액(132) 및 완충제를 모아둔 보틀 유닛(38)은 입구부(39b)가 하방을 향하도록 기울어진 상태에서 입구부(39b)측으로부터 보틀 수용부(37)내에 들어간다. 이 보틀 유닛(38)은 지지면(107)상에 탑재된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틀 유닛(38)을 지지면(107)상에서 슬라이딩 시키고, 제 1 보틀 부착부(108)내에 입구부(39b)를 압입한다. 보틀 유닛(38)이 압입되면 우선 칼날부(110a)가 폐쇄부(39c)에 컷아웃을 넣는다. 이어서, 확장면부(110b)가 컷아웃을 연장하도록 폐쇄부(39c)를 파단시킨다. 폐쇄부(39c)의 파단 부분은 서서히 확장되지만 릴리징부(110d)와 가압부(110c)의 작용에 의해 폐쇄부(39c)가 입구부(39b)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연결 부분(39e)이 남겨진다. 가압부(110)는 이 연결 부분(39e)으로부터 폐쇄부(39c)를 제 1 보틀(39)의 내측으로 절곡시켜 입구부(39b)와의 사이에 유출구를 형성한다. 이때, 입구부(39b)의 외주에는 제 1 보틀 부착부(108)가 기밀, 그리고 액밀이 되도록 감합되므로 농축액(132)의 악취가 제 1 보틀(39)로부터 누설되지 않는다. 또한, 제 2 보틀(40)도 제 1 보틀(39)과 마찬가지로 제 2 보틀 부착부에 기밀, 그리고 액밀 감합되고, 또한 개봉된다.
보틀 유닛(38)내의 농축액(132) 및 완충제는 농축액 주입로(109) 및 완충제 주입로를 통하여 소독액 탱크(87)내에 유입된다. 농축액 센서(118)는 농축액(132)과 완충제가 혼합된 액면을 검출해서 온으로 된다(S5에서 Y).
보틀 센서(116)는 보틀 수용부(37)에 수용된 보틀 유닛(38)을 검지해서 온으로 되어 있다. 또한, CPU(122)는 보틀 센서(116)가 온으로 되고나서의 경과 시간을 카운팅하고 있다. 따라서, 제 1 보틀(39)과 제 2 보틀(40)이 바로 개봉되고, 농축액(132) 및 완충제가 소독액 탱크(87)에 바로 공급되었을 경우에는 보틀 센서(116)가 온으로 되고 나서 소정 시간내에 농축액 센서(118)가 온이 된다. 한편, 소정 시간내에 농축액 센서(118)가 온이되지 않을 때에는(S5에서 N), 빈 보틀 유닛(38), 또는 농축액(132) 등의 수용량이 적은 보틀 유닛(38) 등이 세팅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보틀 부착부로부터 액누설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농축액 센서(118)가 온이 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표시 패널(34)에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는 등의 에러 처리를 행한다(S6).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CPU(122)는 농축액 센서(118)의 온 신호에 따라 전자 밸브(78, 111)를 개방한다. 또한, 전동 삼방 밸브(114)를 세정액 유로(113)측으로 스위칭한다. 급수로(76) 및 세정액 유로(113)를 흐른 물은 보틀 세정액으로서 보틀 세정 노즐(112)로부터 제 1 보틀(39)내에 분사된다(S7). 이에 따라, 제 1 보틀(39)내에 남은 농축액(132)이 보틀 세정액에 의해 세정된다. 또한, 소독액 조제 모드에서는 전동 삼방 밸브(75)는 급액로(74)와 제 1 순환로(103)를 접속하도록 스위칭되어 있으므로 세정조(31)내에 물이 유입되지 않는다.
유량계(115)는 세정액 유로(113)내를 흐르는 보틀 세정액(물)의 유량을 계측해서 CPU(122)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CPU(122)는 이 유량이 소정 범위내에 있는지를 감시한다(S8). 예를 들면, 이 범위는 5∼6 리터/분이다. 유량이 소정 범위내로부터 벗어나면(S8에서 N), CPU(122)는 WP 드라이버(128)를 통해 WP(80)에 의한 물의 공급압을 컨트롤하고, 유량이 소정 범위내에 들어가도록 한다(S9). 또한, 적정한 유량의 범위는 제 1 보틀(39)의 사이즈, 노즐(112)의 위치, 지지면(107)의 경사 각도 등에 의해 달라진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틀 세정 노즐(112)로부터 분사된 보틀 세정액은 제 1 보틀(39)내를 세정한 후, 복귀액(136)으로서 소독액 탱크(87)를 향해서 농축 액 주입로(109)를 흐른다. 이 복귀액(136)의 액면(수위)보다 보틀 세정 노즐(112)은 높은 위치에 있다. 이와 같이, 복귀액(136)의 유량을 적정하게 컨트롤함으로써 보틀 세정 노즐(112)로부터의 보틀 세정액이 복귀액(136)에 충돌하지 않는다. 따라서, 보틀 세정액을 확실하게 제 1 보틀(39)의 내측까지 도달하게 할 수 있고, 효과적으로 제 1 보틀(39)을 세정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연결 부분(39e) 이외의 폐쇄부(39c)도 입구부(39b)와 접촉하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연결 부분(39e) 이외는 입구부(39b)에 접촉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복귀액(136)의 수위는 보틀 세정 노즐(112)의 위치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에는 연결 부분(39e)의 둘레 높이까지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6의 해칭 부분은 절곡된 폐쇄부(39c)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폐쇄부(39c)는 10시 30분 방향에 있는 연결 부분(39e)을 중심으로 하여 보틀 개폐부(110)의 직경 방향의 일부분을 차단하고 있지만, 이 부분은 3시 방향을 중심으로 하는 보틀 세정 노즐(112)의 연장선과 교차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폐쇄부(39c)와 보틀 세정 노즐(112)과 복귀액(136)이 각각 간섭하지 않도록 연결 부분(39e) 및 보틀 세정 노즐(112)을 위치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정이 소정 시간 행하여지면(S10에서 Y) CPU(122)는 모터 드라이버(127)를 구동하여 전동 삼방 밸브(114)를 세정액 유로(113)측으로부터 희석액 유로(117)측으로 스위칭한다(S11). 이 소정 시간은 예를 들면 20초이다. 이에 따라, 보틀 세정 노즐(112)로부터의 보틀 세정액(물)의 분출이 정지되고, 대신에 희석액 유로(117)로부터 희석액(물)이 소독액 탱크(87)내로 주입된다. 보틀 세정중에 비하여 농축액 의 희석 중에는 CPU(122)가 WP 드라이버(128)를 통해 WP(80)에 의한 물의 공급압을 상승시킨다(S12). 예를 들면, 희석액 유로(117)를 통과하는 희석액의 유량이 10∼12 리터/분이 되도록 WP(80)에 의한 희석액의 공급압을 컨트롤한다. 이에 따라, 희석액 유로(117)를 생략하고, 보틀 세정 노즐(112)로부터의 보틀 세정액만으로 농축액(132)을 희석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단시간에 농축액(132)을 희석할 수 있다. 또한, 전동 삼방 밸브(114)를 스위칭하는 타이밍으로서는 CPU(122)가 소정 시간을 계시한 시점 이외에 유량계(115)가 소정의 적산 유량을 계측한 시점이라도 좋다.
농축액 주입로(109)를 통해 소독액 탱크(87)내에 유입된 보틀 세정액, 및 희석액 유로(117)로부터 소독액 탱크(87)내로 주입된 희석액은 농축액(132)을 희석해서 소독액(86)을 조제한다. 소독액(86)의 액면이 소독액 센서(119)에 도달하면 소독액 센서(119)가 온으로 된다(S13에서 Y). CPU(122)는 소독액 센서(119)의 온 신호에 따라 밸브 드라이버(126)를 통해 전자 밸브(78, 111)를 폐쇄하고, 희석액의 공급을 정지한다(S14). 이에 따라, 소독액 탱크(87)내에서 소독액(86)은 소정 농도로 희석된다. 예를 들면, 과초산 6%의 농축액(132)은 약 20배로 희석된다. 이와 같이 하여 조제된 소독액(86)은 소독 공정에서 사용된다.
내시경(10)의 세정, 소독에서는 세정 공정, 헹굼 공정, 소독 공정, 헹굼 공정, 건조 공정 등이 행하여진다. 세정 공정에서는 물을 세정조(31)에 공급하고나서 세제 탱크(46)내의 세제를 가하여 세정액을 작성한다. 이 세정액을 세정조(31)내에서 순환시키면서 세정액을 내시경(10)의 외면에 분사하고, 또한 각 채널(15∼17)내에 세정액을 흘려보낸다. 세정이 소정 시간 행하여지면 세정조(31)로부터 세정액이 배출되어 폐기 처분된다.
세정 공정후에 세정조(31)에 물을 공급하여 내시경(10)에 부착되어 있는 세정액을 흘려보내 떨어뜨린다. 이 헹굼 공정이 종료되면 세정조(31)내의 헹굼물이 폐기된다.
헹굼 공정후에 소독 공정이 개시된다. 이 소독 공정에서는 CPU(122)가 WP(88)를 구동시켜서 소독액 탱크(87)내의 소독액(86)을 흡인하고, 세정조(31)에 소정량의 소독액(86)을 공급한다. 소독액(86)은 러버 히터(71)에 의해 가열된다. 소독액(86)은 세정조(31) 및 내시경(10)의 각 채널(15∼17)내를 순환하고, 세정 공정에서 세정되지 않은 병원균이나 바이러스를 제거, 또는 병원성을 소실시킨다. 소독 공정의 종료후에 소독액(86)은 폐액로(94, 96)를 통과하여 소독액 탱크(87)내로 리턴되어 소독 효과가 유지되어 있는 사이에는 재이용된다.
소독 공정 후에 내시경(10)에 부착되어 있는 소독액(86)을 흘려 떨어뜨리는 헹굼 공정이 행하여진다. 이 헹굼 공정 후에 건조 공정이 행하여진다. 이 건조 공정에서는 우선 내시경(10)의 각 채널(15∼17)내를 송기하고, 이어서 알코올을 흘려보낸다. 건조 공정후에 탑 커버(49)를 개방하여 세정조(31)로부터 내시경(10)이 인출된다.
보틀 세정 노즐(112)은 보틀 개폐부(110)내에 설치되고, 또한 절곡된 폐쇄부(39c)에 보틀 세정액이 충돌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 1 보틀(39)의 내부를 확실히 세정할 수 있다. 또한, 보틀 세정 노즐(112)은 보틀 세정액의 복귀액(136)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서 제 1 보틀(39)내부를 세정하면서 부드럽게 복귀액(136)을 소독액 탱크(87)내로 리턴시킬 수 있다. 또한, 보틀 세정 노즐(112)은 입구부(39b)내에 압입되기 때문에 보틀 세정액의 압력이 높아져서 세정 효과가 크다.
분출량이 소정 범위내가 되도록 WP(80)의 구동을 제어하므로 복귀액(136)의 수위를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것은 보틀 세정액이 복귀액(136)에 충돌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한다.
또한, 세정액 유로(113)는 희석액 유로(117)로부터 분기되어 있고, 전동 삼방 밸브(114)는 보틀 세정액의 분출량이 소정량이 되었을 때에 세정액 유로(113)로부터 희석액 유로(117)로 유로를 스위칭하므로 보틀 세정시와 희석시에 물의 공급량을 변경하여 섬세하고 치밀한 제어를 간단히 행할 수 있다. 또한, 희석액 유로(117) 중에서 세정액 유로(113)로의 분기점의 앞에 WP(80)를 배치했기 때문에 1개의 WP에서 보틀 세정액과 희석액의 양쪽을 급송(給送)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농축액 주입로(109)의 릴리징부(110d)를 10시 30분 위치에 배치하고, 또한 보틀 세정 노즐(112)을 농축액 주입로(109)의 3시 위치에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연결 부분(39e)의 중심(10시 30분 위치)은 입구부(39b)의 직경 방향 단면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에 대하여 -45°가 되는 직선상에 있고, 보틀 세정 노즐(112)의 중심(3시 위치)은 입구부(39b)의 직경 방향 단면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에 대하여 +90°가 되는 직선상에 있다. 그러나, 릴리징부(110d)와 보틀 세정 노즐(112)의 배치는 보틀 세정 노즐(112)의 연장선이 보틀 세정액의 복귀액(136) 및 절곡 상태의 폐쇄부(39c)와 교차하지 않으면 임의의 배치라도 좋다.
상기 교차를 방지하면서 어느 정도의 복귀액(136)의 유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연결 부분(39e)의 중심이 입구부(39b)의 직경 방향 단면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에 대하여 거의 ±90°를 이루는 2개의 선에 의해 둘러싸여진 범위내로 하고, 그리고 보틀 세정 노즐(112)의 중심이 입구부(39b)의 직경 방향 단면 중심과 연결 부분(39e)을 지나는 직선과 이루는 각도가 거의 ±45°가 되는 2개의 선에 의해 둘러싸여진 범위 밖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연결 부분(39e)의 중심이 입구부(39b)의 직경 방향 단면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에 대하여 거의 +90° 또는 -90°가 되는 선상에 있는 경우는 보틀 세정 노즐(112)의 중심은 연직선에 대하여 거의 -45° 및 거의 -135°의 각도가 되는 2개의 선으로 둘러싸여진 범위 밖으로 한다. 이것은 보틀 세정 노즐(112)의 중심을 연직선상에 배치해도 좋은 것을 의미한다. 또한, 연결 부분(39e)의 중심을 입구부(39b)의 직경 방향 단면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에 대하여 거의 90° 또는 -90°가 되는 선상에 있어서도 보틀 세정액의 복귀액(136)의 수위를 연결 부분(39e)의 가장자리 높이까지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충분한 유량의 보틀 세정액을 분사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연결 부분(39e)의 중심이 연직선에 대하여 거의 +45°가 되는 선상에 있을 때에는 보틀 세정 노즐(112)의 중심이 연직선에 대하여 거의 -45° 및 거의 -90°가 되는 2개의 선으로 둘러싸여진 범위내로 한다. 또한, 연결 부분(39e)의 중심이 연직선에 대하여 거의 -45°가 되는 선상에 있을 때에는 연직선에 대하여 거의 +45° 및 거의 +90°가 되는 2개의 선으로 둘러싸여진 범위내로 한 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1개의 보틀 세정 노즐(112)을 보틀 개폐부(110)의 3시 위치에 설치하고 있지만, 2개 이상의 보틀 세정 노즐을 보틀 개폐부(110)에 설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분(39e)의 중심을 0시 위치로 하여 보틀 세정 노즐(112)보다도 직경이 작은 2개의 보틀 세정 노즐(152a 및 152b)을 각각 보틀 개폐부(110)의 3시와 9시 위치에 설치한다. 즉, 0시 위치가 되는 연결 부분(39e)의 중심은 보틀 개폐부(110)의 직경 방향 단면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L1)의 상방에 있고(L1=L2), 보틀 세정 노즐(152a 및 152b)의 중심(3시 및 9시 위치)은 연직선(L1)에 대하여 +90° 및 -90°가 되는 직선상에 있다.
이 형태에 의하면, 2개의 노즐을 사용함으로써 각 노즐 직경을 작게 해도 규정량의 노즐 세정액을 분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노즐이 보틀 개폐부(110)의 직경 방향 중앙측으로 나오는 양이 작기 때문에 연결 부분(39e)을 0시 위치에 배치해도 절곡된 폐쇄부(39c)와 보틀 세정 노즐(152a 및 152b)의 연장선은 교차하지 않는다. 이 예에 의하면, 연결 부분(39e)이 0시 위치가 되도록 파단하는 종래의 보틀 개폐부에 보틀 세정 노즐(152a 및 152b)을 설치하는 것만으로 좋으므로 설계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2개의 보틀 세정 노즐을 사용함로 효율적으로 보틀을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분(39e)의 중심을 0시 위치라고 할 경우에 반드시 2개의 보틀 세정 노즐을 사용할 필요는 없고, 또한 보틀 세정 노즐의 위치도 3시 및 9시 위치가 아니어도 좋다. 단, 바람직하게는 노즐의 중심이 입구부(39b)의 직경 방향 단면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과 이루는 각이 거의 +45°과 +90°인 2개의 선의 범위내, 또는 거의 -45°과 -90°인 2개의 선의 범위내에 배치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단면 원형상의 보틀 세정 노즐을 농축액 주입로(109)에 일체적으로 설치하고 있지만, 별체로도 좋다. 또한, 보틀 세정 노즐의 단면 형상은 원이 아니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틀 개폐부(110)의 1시 30분 위치가 중심이 되도록 보틀 개폐부(110)의 직경 방향 단면 곡선에 따른 슬릿상의 분출구를 갖는 보틀 세정 노즐(162)을 설치해도 좋다. 이 예에서는 연결 부분(39e)의 중심 위치(10시 30분 위치)는 보틀 개폐부(110)의 직경 방향 단면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L1)에 대하여 -45°가 되는 직선상에 있고, 보틀 세정 노즐(112)의 중심 위치(1시 30분 위치)는 L1에 대하여 +45°가 되는 직선상에 있다.
상기 슬릿상의 분출구는 농축액 주입로(109)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보틀 세정 노즐(162)의 폭이 작기 때문에 단면이 원형인 보틀 세정 노즐(112)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보틀 세정 노즐(162)을 높은 위치(0시에 보다 가까운 위치)에 배치해도 절곡된 폐쇄부(39c)와 대면하지 않는다. 따라서, 농축액 주입로(109)의 직경 방향 단면에 있어서의 복귀액의 액면(수위)을 단면 원형상의 보틀 세정 노즐(112)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연결 부분(39e)의 가장자리의 높이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 이것은 보틀 세정 노즐(162)에 공급되는 보틀 세정액의 유량을 보틀 세정 노즐(112)과 비교해서 많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제 1 보틀(39)의 세정압을 높게 하고, 또한 소독액(86)을 단시간에 조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제 2 실시형태)
이어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보틀 개폐부에 액배출 통로를 형성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액배출 통로(110e)의 중심은 보틀 개폐부(110)를 보틀 유닛(38)측으로부터 보고, 보틀 개폐부(110)의 직경 방향 단면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L1)의 상방을 0시라고 했을 때에 6시 위치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보틀 개폐부(110)는 액배출 통로(110e)가 설치되어 있는 것 외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예와 마찬가지 구성이기 때문에 마찬가지 구성 부분에는 부호만을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12, 도 13은 도 5 및 도 6과 마찬가지로 보틀 세정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액배출 통로(110e)는 보틀 개폐부(110)의 외주측으로부터 농축액을 농축액 주입로(109)에 배출하기 위한 통로이며, 보틀 개폐부(110)의 내주의 단면 원형상보다도 직경 방향내측으로 돌출하도록 보틀 개폐부(110)의 둘레면을 오목하게 하고, 보틀 개폐부(110)의 외주면과 농축액 주입로(109)의 내주면 사이에 통로를 형성하고 있다. 액배출 통로(110e)는 칼날부(110a)에 의한 컷아웃을 저해하지 않도록 칼날부(110a)의 옆에 위치하고, 또한 액배출 통로(110e)의 입구가 확장면부(110b)보다도 조금 후퇴한 위치에 존재한다. 칼날부(110a)의 중심(4시 30분 위치)은 보틀 개폐부(110)의 직경 방향 단면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L1)에 대하여, +135°가 되는 직선(L2)상에 있다.
칼날부(110a)가 폐쇄부(39c)에 컷아웃을 넣으면 컷팅 부분으로부터 누설된 농축액(132)은 보틀 개폐부(110)의 직경 방향에서의 최하부(6시 위치)를 향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6시 위치에 액배출 통로(110e)가 있기 때문에 농축액(132)과 보틀 개폐부(110)의 충돌이 회피되고, 농축액(132)은 액배출 통로(110e)를 통해서 농축액 주입로(109)내에 들어간다. 보틀 개폐부(110)내에 농축액(132)이 한번에 유입되지 않으므로 보틀 개폐부(110)로부터 농축액(132)이 넘칠 우려는 없다. 또한, 농축액(132)과 보틀 개폐부(110)의 충돌에 의한 농축액(132)의 되튐이 방지되기 때문에 액류가 흐트러지지 않고, 부드럽게 농축액(132)을 소독액 탱크(87)내에 주입할 수 있다. 또한, 보틀 개폐부(110)의 두께만큼 보틀내에서의 액잔량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2 보틀(40)내의 완충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칼날부(110a)의 중심이 보틀 개폐부(110)의 4시 30분 위치에, 그리고 액배출 통로(110e)의 중심이 보틀 개폐부(110)의 6시 위치에 있다. 따라서 액배출 통로(110e)는 입구부(39b)의 직경 방향 단면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상에 있고, 칼날부(110a)는 연직선에 대하여 +135°의 각을 이루는 직선상에 있다. 단, 칼날부(110a)와 액배출 통로(110e)의 위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부(110a)의 중심을 보틀 개폐부(110)의 5시 위치[연직선(L1)에 대하여 +150°의 각을 이루는 직선상]로 하고, 액배출 통로(110e)의 중심을 보틀 개폐부(110)의 6시 반 위치[연직선(L1)에 대하여 -165°의 각을 이루는 직선상]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칼날부(110a)를 6시 위치에 가까이 할 수 있다. 연직선(L1)에 가까운 위치에 칼날부(110a)가 있는 경우에 폐쇄부(39c)를 파단했을 때에 가장 농축액(132)의 기세가 향상되는 장소는 6시 위치이다. 상기 예에서는 액배출 통로(110e)의 일부분이 보틀 개폐부(110)의 6시 위치에 있다. 이와 같이, 칼날부(110a)가 액배출 통로(110e)의 근방에 있는 한 보틀 개폐부(110)의 설계에 따라 액배출 통로(110e)의 위치는 변경 가능하다.
단, 폐쇄부(39c)의 파단 직후의 농축액의 기세를 액배출 통로에서 약하게 한다는 관점에서 보면 칼날부(110a)는 입구부(39b)의 직경 방향 단면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과 이루는 각이 거의 ±135°인 2개의 선으로 둘러싸여진 범위내를 최초에 파단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액배출 통로의 적어도 일부는 이 범위내의 칼날부(110a) 이외의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칼날부(110a)는 입구부(39b)의 직경 방향 단면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과 이루는 각이 거의 +135° 또는 -135°인 선상을 최초에 파단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액배출 통로의 적어도 일부는 연직선상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액배출 통로(110e)는 보틀 개폐부(110)의 외주면을 오목하게 하여 형성되어 있지만, 도 16에 도시된 액배출 통로(110f)는 보틀 개폐부(110)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파이프 두께보다도 얕은 홈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예에 의하면, 보틀 개폐부(110)의 내주면을 변형시키지 않으므로 제작이 간단해진다고 하는 메리트가 있다. 또한, 확장면부(110b)를 불연속으로 하지 않으므로 폐쇄부(39c)의 파단도 행하기 쉽다. 또한, 도 16에서는 복수의 액배출 통로(110f)를 파이프 둘레 방향으로 배열하고 있지만, 파이프 둘레 방향으로 넓은 폭을 가지는 1개의 홈으로도 좋다. 마찬가지로, 도 13에 도시된 액배출 통로(110e)의 개수는 임의이어도 좋다. 또한, 오목하게 된 액배출 통로와, 컷팅된 액배출 통로를 조합시켜서 사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전동 삼방 밸브(114)를 사용하여 희석액 유로(117)로부터 세정액 유로(113)를 분기하고, 물을 보틀 세정액으로서 보틀 세정 노즐(112)로부터 일정 시간만큼 제 1 보틀(39)내에 분사한 후, 전동 삼방 밸브(114)를 스위칭함으로써 물을 희석액으로서 희석액 유로(117)로부터 소독액 탱크(87)내로 주입하여 농축액(132)을 희석하고 있다. 이 대신에 보틀을 세정한 세정액만으로 농축액(132)을 희석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농축액(132)을 희석하는 시간[소독액(86)을 조제하는 시간]은 많이 관련되지만 전동 삼방 밸브(114)와 희석액 유로(117)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장치를 간략하게 할 수 있는 메리트가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유량계(115)에 의해 보틀 세정 노즐(112)에 공급되는 적산 유량을 계측하도록 하면 소독액 센서(119)를 생략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농축액(132)을 소독액 탱크(87)에 공급한 후에 보틀 세정 노즐(112)로부터 분사되는 보틀 세정액, 및 희석액 유로(117)로부터 주입되는 희석액으로 농축액(132)을 희석하고 있다. 이 대신에 우선 희석액을 소독액 탱크(87)에 공급하고나서 농축액(132)을 소독액 탱크(87)에 공급하고, 최후에 보틀 세정액을 소독액 탱크(87)에 공급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희석액 유로(117)로부터 일정량의 희석액을 소독액 탱크(87)에 공급하고, 그 후 새로운 보틀 유닛(38)을 장착하고, 농축액(132) 및 완충제를 소독액 탱크(87)에 공급한다. 최후에 일정량의 보틀 세정액을 보틀 세정 노즐(112)로부터 분사해서 제 1 보틀(39)을 세정함과 아울러 그 복귀액을 소독액 탱크(87)에 공급한다. 희석액, 농축액(132), 보틀 세정액의 복귀액은 소독액 탱크(87)내에 설치한 액면 검출 센서나, 유량계(115) 를 이용함으로써 용량을 계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소독액 탱크(87) 및 각 센서의 패킹에 농축액(132)이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소독액 탱크(87) 및 패킹의 열화나, 소독액 탱크(87)내에 결정이 석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액, 농축액(132), 복귀액의 순으로 공급함에 의한 교배 효과도 얻어지므로 소독액(86)의 농도 분포를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보틀이 개봉되면 농축액이나 완충제가 즉시 소독액 탱크(87)에 공급된다. 이 대신에 농축액 주입로(109) 및 완충제 주입로에 전자 밸브를 설치하고, 농축액이나 완충제의 소독액 탱크(87)로의 공급을 일시 정지시켜도 좋다. 그리고, 소독액 조제 모드시에 CPU(122)가 전자 밸브를 작동시켜서 농축액이나 완충제를 소독액 탱크(87)에 흘려 보낸다. 이와 같이 하면 보틀 유닛의 장전을 사전에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동 삼방 밸브(114)를 생략하고, 보틀 세정 노즐(112)과 소독액 탱크(87)의 양쪽에 희석액을 동시에 공급하고, 그리고 동시에 공급 정지를 해도 좋다.
폐쇄부의 개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보틀 개폐부의 칼날부를 확장면부까지 연장시키고, 확장면부를 생략해도 좋다.
본 발명은 소독 기능만을 구비하고, 세정 기능을 가지지 않는 내시경 소독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내시경에 사용되는 처치구나, 카테터 등의 의료 기구 등의 소독 장치에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해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내시경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내시경 세정 소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세정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내시경 세정 소독 장치의 배관도이다.
도 5는 보틀 개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보틀 세정중의 보틀 개폐부 및 폐쇄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은 내시경 세정 소독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소독액 조제 모드의 공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소독액 조제 모드의 공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0은 2개의 보틀 세정 노즐을 구비한 보틀 개폐부 및 폐쇄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1은 슬릿상의 분출구를 가진 보틀 세정 노즐 및 폐쇄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2는 액배출 통로를 설치한 보틀 개폐부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보틀 세정중의 보틀 개폐부 및 폐쇄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보틀 개폐부에 의한 폐쇄부의 파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액배출 통로의 위치를 변경한 예를 나타낸 도 13과 마찬가지의 설명도이다.
도 16은 액배출 통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Claims (28)

  1. 소독액의 농축액을 수용한 보틀이 장착 가능한 소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틀의 입구부를 폐쇄하고 있는 폐쇄부에 컷아웃을 넣는 칼날부를 갖고, 상기 컷아웃을 기점으로 해서 그 상방의 일부가 연결 부분으로서 남도록 파단함과 아울러 상기 연결 부분으로부터 상기 폐쇄부를 상기 보틀 내에 절곡시켜 상기 농축액의 유출구를 형성하는 보틀 개폐부와;
    상기 보틀 개폐부에 연결되고, 상기 유출구를 통과하여 상기 보틀로부터 유출된 상기 농축액을 인도하기 위한 농축액 주입로와;
    상기 칼날부의 근방에서 상기 보틀 개폐부에 설치되고, 상기 칼날부에서 상기 폐쇄부에 상기 컷아웃을 넣은 직후에 상기 컷아웃으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농축액을 상기 농축액 주입로로 인도하기 위한 액배출 통로와;
    상기 농축액 주입로에 접속된 소독액 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액배출 통로는 상기 보틀 개폐부의 외면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홈이나, 상기 보틀 개폐부의 둘레면에 형성된 슬릿상의 홈 중의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는 상기 입구부의 직경 방향 단면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과 이루는 각이 ±135°인 2개의 선으로 둘러싸여진 각도 범위 내로부터 컷팅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액배출 통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각도 범위 내에서, 그리고 칼날부와 중첩되지 않는 각도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는 입구부의 직경 방향 단면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과 이루는 각이 +135° 또는 -135°인 선 상을 최초에 컷팅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액배출 통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연직선 상에서 상기 보틀 개폐부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배출 통로는 상기 칼날부보다 인입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배출 통로는 상기 보틀 개폐부의 둘레면을 컷팅한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KR1020090065283A 2008-08-27 2009-07-17 소독 장치 KR1016168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17617A JP5093769B2 (ja) 2008-08-27 2008-08-27 消毒装置
JPJP-P-2008-217618 2008-08-27
JPJP-P-2008-217617 2008-08-27
JP2008217618A JP5179294B2 (ja) 2008-08-27 2008-08-27 消毒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491A Division KR101587070B1 (ko) 2008-08-27 2015-11-16 소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466A KR20100025466A (ko) 2010-03-09
KR101616803B1 true KR101616803B1 (ko) 2016-04-29

Family

ID=4217700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5283A KR101616803B1 (ko) 2008-08-27 2009-07-17 소독 장치
KR1020150160491A KR101587070B1 (ko) 2008-08-27 2015-11-16 소독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491A KR101587070B1 (ko) 2008-08-27 2015-11-16 소독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1616803B1 (ko)
CN (1) CN10343260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99331A (zh) * 2021-10-15 2022-03-01 李苗 一种自处理式疫苗玻璃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5200A (ja) 1998-06-18 2000-01-11 Morita Mfg Co Ltd 給水管路の消毒洗浄機能を備えた医療機器
JP3537370B2 (ja) 1999-02-05 2004-06-1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洗滌消毒装置
JP2006230493A (ja) * 2005-02-22 2006-09-07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内視鏡洗滌消毒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7506A (ja) * 1997-11-07 1999-05-25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洗滌消毒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5200A (ja) 1998-06-18 2000-01-11 Morita Mfg Co Ltd 給水管路の消毒洗浄機能を備えた医療機器
JP3537370B2 (ja) 1999-02-05 2004-06-1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洗滌消毒装置
JP2006230493A (ja) * 2005-02-22 2006-09-07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内視鏡洗滌消毒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041A (ko) 2015-12-08
CN103432609A (zh) 2013-12-11
KR101587070B1 (ko) 2016-01-20
KR20100025466A (ko) 2010-03-09
CN103432609B (zh) 2015-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86620B1 (en) Apparatus for washing and disinfecting-sterilizing endoscope
JP5165479B2 (ja) 内視鏡洗浄消毒装置
EP2147656B9 (en) Endoscope washing and disinfecting apparatus and method of washing endoscope using the endoscope washing apparatus
JP6001215B2 (ja) 挿入機器の洗浄具
JP2004202248A (ja) 内視鏡のチャネルを通る適正な流量を検出する方法
JP2004202247A (ja) 内視鏡のチャネルへの固定具の適正な結合を検出する方法
KR20080096422A (ko) 희석 약품을 사용함으로써 내시경을 세정 및 소독하는 장치
KR101587282B1 (ko) 내시경 세정 소독 장치 및 내시경 세정 소독 장치의 소독액 조제 방법
JP2009261683A (ja) 内視鏡洗浄消毒装置及び内視鏡洗浄消毒装置の消毒液調製方法
KR101587070B1 (ko) 소독 장치
WO2019216246A1 (ja) 洗浄システム、洗浄ユニット及び洗浄方法
JP5093769B2 (ja) 消毒装置
EP2952133A1 (en) Cleaning and sterilizing method using endoscope cleaning and sterilizing device
JPH11137506A (ja) 内視鏡洗滌消毒装置
JP5179294B2 (ja) 消毒装置
EP2633800B1 (en) Chemical bottle for endoscope cleaning/disinfecting apparatus and endoscope cleaning/disinfecting apparatus
JPH11276435A (ja) 内視鏡洗滌消毒装置
JP4789561B2 (ja) 内視鏡用洗浄消毒装置
JP2009225811A (ja) 内視鏡洗浄消毒装置
JP2012071017A (ja) 内視鏡洗浄消毒装置及び内視鏡洗浄消毒方法
KR20090113192A (ko) 내시경 세정 소독 장치 및 내시경 세정 소독 장치의 소독액 조제 방법
JP2009225813A (ja) 内視鏡洗浄消毒装置
JP2009225812A (ja) 内視鏡洗浄消毒装置
JP2009189414A (ja) 内視鏡洗浄消毒装置
JP2009189415A (ja) 内視鏡洗浄消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