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433B1 - 해양 설비용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해양 설비용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433B1
KR101616433B1 KR1020140107773A KR20140107773A KR101616433B1 KR 101616433 B1 KR101616433 B1 KR 101616433B1 KR 1020140107773 A KR1020140107773 A KR 1020140107773A KR 20140107773 A KR20140107773 A KR 20140107773A KR 101616433 B1 KR101616433 B1 KR 101616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ion gear
guide rail
transfer plate
section
horizontal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7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2106A (ko
Inventor
김대환
안예지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7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433B1/ko
Publication of KR20160022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2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onveyers, e.g. of endless-belt or screw-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bstract

해양 설비용 이송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람 또는 화물을 탑재할 수 있는 이송 플레이트; 상기 이송 플레이트의 일단에 수평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동 프레임; 및 상기 이송 플레이트를 안내하도록 해양 설비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해양 설비용 이송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해양 설비용 이송 장치{APPARATUS FOR TRANSFERING FREIGHT OR PERSON IN OFFSHORE PLATFORM}
본 발명은 해양 설비용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양 설비, 예를 들어 부유식 플랫폼(floating platform)의 데크(deck)에는 사람이나 화물 수송을 위한 크레인(crane)이 설치될 수 있다. 바지선 등을 이용하여 해양 설비까지 이송된 사람이나 화물은 크레인을 이용하여 바지선에서 해양 설비의 데크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해양 설비의 데크 내에서 사람이나 화물을 이송하는데 있어서도 크레인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50839호(2014. 04. 30, 크레인을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해양 설비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사람 또는 화물을 이송할 수 있는 해양 설비용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람 또는 화물을 탑재할 수 있는 이송 플레이트; 상기 이송 플레이트의 일단에 수평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동 프레임; 및 상기 이송 플레이트를 안내하도록 해양 설비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해양 설비용 이송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해양 설비의 측면을 따라 상항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 구간; 상기 해양 설비의 데크에 상응하는 높이에서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 구간; 및 상기 수직 구간과 상기 수평 구간 사이에 형성되는 곡선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 구간은 상기 해양 설비의 데크 외곽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동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피니언 기어; 상기 회동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피니언 기어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피니언 기어;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피니언 기어에 치합하는 제1 랙 기어; 상기 가이드 레일의 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피니언 기어에 치합하는 제2 랙 기어; 및 상기 회동 프레임, 상기 제1 피니언 기어 및 상기 제2 피니언 기어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랙 기어는 상기 수평 구간 및 상기 곡선 구간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랙 기어는 상기 수평 구간 및 상기 곡선 구간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피니언 기어 및 상기 제2 피니언 기어를 구동하는 구동모터; 및 일단이 상기 이송 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회동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해양 설비에서 이송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사람 또는 화물을 하역하거나 이송함으로써, 크레인 이용에 따른 안정성 문제 및 크레인 하부에서 작업이 제한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송 플레이트는 가이드 레일의 수직 구간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사람 또는 화물을 하역할 수 있고, 가이드 레일의 수평 구간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사람 또는 화물을 데크 내에서 수평 이송할 수 있고, 가이드 레일의 곡선 구간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하역 및 수평 이송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가이드 레일의 수직 구간과 수평 구간 사이에 곡선 구간을 형성함으로써 사람 또는 화물의 이송 중에 불연속적인 방향 전환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이송시간 증가 또는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설비용 이송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설비용 이송 장치를 A 방향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가이드 레일의 수직 구간을 통과하는 이송 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가이드 레일의 곡선 구간을 통과하는 이송 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가이드 레일의 수평 구간을 통과하는 이송 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구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해양 설비용 이송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설비용 이송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설비용 이송 장치를 A 방향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설비용 이송 장치는 이송 플레이트(100) 및 가이드 레일(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 플레이트(100)의 상면에는 사람 또는 화물을 탑재할 수 있다.
이송 플레이트(100)는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가이드 레일(2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200)은 해양 설비(offshore plant)(10)에 설치될 수 있다.
해양 설비(10)는 해상에 부유하는 부유식 플랫폼(floating platform), 예를 들어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또는 LNG - FPSO(Liquefied Natural Gas -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타 다른 부유식 플랫폼, 고정식 플랫폼(fixed platform) 또는 선박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해양 설비(10)에는 가이드 레일(200)을 고정할 수 있는 브래킷이 설치될 수도 있다.
가이드 레일(200)은 수직 구간(201), 곡선 구간(203) 및 수평 구간(205)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 구간(201), 곡선 구간(203) 및 수평 구간(205)은 도 1에서 점선으로 구분되도록 표시되어 있다.
수직 구간(201)은 해양 설비(10)의 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송 플레이트(100)는 수직 구간(201)을 통해 이동함으로써 사람 또는 화물을 해양 설비(10)의 하부에 접안하는 선박에서 데크(11)로 하역할 수 있다.
곡선 구간(203)은 수직 구간(201)과 수평 구간(205) 사이에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평 구간(205)은 해양 설비(10)의 데크(11)에 상응하는 높이에서 수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 구간(205)은 수평 구간(205)을 통해 이동하는 이송 플레이트(100)의 상면이 데크(11)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도록 해양 설비(10)의 데크(11)에 상응하는 높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수평 구간(205)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해양 설비(10)의 데크(11) 외곽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이송 플레이트(205)는 해양 설비(10)의 데크(11) 외곽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데크(11) 상면에서 수행하는 다른 작업을 방해하지 않고 사람 또는 화물을 데크(11) 내에서 수평 이송할 수 있다.
수직 구간(201)과 수평 구간(205) 사이에 형성된 곡선 구간(203)은 사람 또는 화물의 하역과 수평 이송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수직 구간(201)과 수평 구간(205) 사이에서 불연속적인 방향 전환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이송시간 증가 또는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가이드 레일의 수직 구간을 통과하는 이송 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가이드 레일의 곡선 구간을 통과하는 이송 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가이드 레일의 수평 구간을 통과하는 이송 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구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설비용 이송 장치는 회동 프레임(300), 제1 피니언 기어(310), 제2 피니언 기어(320), 제1 랙 기어(210), 제2 랙 기어(220) 및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동 프레임(300)은 이송 플레이트(100)의 일단, 예를 들어 해양 설비(10)에 인접한 일단에 수평의 회전축(30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회동 프레임(300)은 구동부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회동 프레임(300)은 원형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축(301)은 원형 플레이트의 중심축과 일치할 수 있다.
제1 피니언 기어(310) 및 제2 피니언 기어(320)는 회동 프레임(30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1 피니언 기어(310) 및 제2 피니언 기어(320)는 회동 프레임(300)의 회전축(301)을 중심으로 상호간에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회동 프레임(300)이 원형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경우, 제1 피니언 기어(310) 및 제2 피니언 기어(320)는 회동 프레임(300)의 일면, 예를 들어 해양 설비(10)에 인접한 일면에 회동 프레임(300)의 회전축(301)을 중심으로 상호간에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1 피니언 기어(310) 및 제2 피니언 기어(320)의 회전축은 회동 프레임(300)의 회전축(301)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피니언 기어(310) 및 제2 피니언 기어(320)는 동일한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피니언 기어(310) 및 제2 피니언 기어(320) 사이에는 가이드 레일(20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피니언 기어(310) 및 제2 피니언 기어(320)는 구동부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제1 랙 기어(210)는 가이드 레일(20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랙 기어(210)는 가이드 레일(200)의 곡선 구간(203) 및 수평 구간(205)에서는 가이드 레일(2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랙 기어(210)에는 제1 피니언 기어(310)가 치합됨으로써, 제1 피니언 기어(310)가 회전하면 제1 피니언 기어(310)는 제1 랙 기어(21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제1 피니언 기어(310)가 설치된 회동 프레임(300) 및 회동 프레임(300)이 설치된 이송 플레이트(100)는 가이드 레일(2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제2 랙 기어(220)는 가이드 레일(200)의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랙 기어(220)는 가이드 레일(200)의 곡선 구간(203) 및 수평 구간(205)에서는 가이드 레일(200)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랙 기어(220)에는 제2 피니언 기어(320)가 치합됨으로써, 제2 피니언 기어(320)가 회전하면 제2 피니언 기어(320)는 제2 랙 기어(22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제2 피니언 기어(320)가 설치된 회동 프레임(300) 및 회동 프레임(300)이 설치된 이송 플레이트(100)는 가이드 레일(2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제1 피니언 기어(310) 및 제2 피니언 기어(320)의 회전으로 인해 이송 플레이트(100)는 가이드 레일(2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송 플레이트(100)는 제1 피니언 기어(310) 및 제2 피니언 기어(320)의 회전으로 인해 가이드 레일(200), 예를 들어 수직 구간(201)을 수평 상태로 통과한 후 수평 구간(205)에 진입하기 전, 즉 곡선 구간(203)에서는 회동 프레임(300)의 회전으로 인해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가이드 레일(2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곡선 구간(205)의 곡률로 인해 이송 플레이트(100)가 회전하게 되는 만큼 회동 플레임(300)을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이송 플레이트(100)의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구동부는 구동모터(400) 및 유압 실린더(4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400)는 제1 피니언 기어(310) 및 제2 피니언 기어(320)를 구동할 수 있다.
구동모터(400)는 수직 구간(201) 및 수평 구간(205)에서는 제1 피니언 기어(310) 및 제2 피니언 기어(320)를 동일한 속도로 회동시키는 반면, 곡선 구간(203)에서는 서로 다른 속도로 회동시킬 수 있다. 이는 곡선 구간(203)에서 가이드 레일(200)의 상면과 저면 길이가 상이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구동모터(400)는 곡선 구간(203)에서 제1 피니언 기어(310)의 회전축과 제2 피니언 기어(320)의 회전축을 잇는 선이 가이드 레일(200)의 접선과 수직을 이루도록 제1 피니언 기어(310) 및 제2 피니언 기어(320)를 서로 다른 속도로 회동시킬 수 있다.
구동모터(400)는 제1 피니언 기어(310) 및 제2 피니언 기어(320)를 경우에 따라 서로 다른 속도로 회동시키기 위하여, 1개의 모터가 제1 피니언 기어(310) 및 제2 피니언 기어(320)에 서로 다른 기어 박스를 통해 연결되거나, 2개의 모터가 제1 피니언 기어(310) 및 제2 피니언 기어(320)에 하나씩 연결될 수도 있다.
유압 실린더(410)는 회동 프레임(300)을 구동할 수 있다.
유압 실린더(410)의 일단은 이송 플레이트(10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회동 프레임(30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유압 실린더(410)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회동 프레임(300)은 이송 플레이트(10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유압 실린더(410)는 1개 또는 2개 이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구동모터(400) 및 유압 실린더(410)는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해양 설비 11: 데크
22: 데크 상면 100: 이송 플레이트
200: 가이드 레일 201: 수직 구간
203: 곡선 구간 205: 수평 구간
210: 제1 랙 기어 220: 제2 랙 기어
300: 회동 프레임 301: 회전축
310: 제1 피니언 기어 320: 제2 피니언 기어
400: 구동모터 410: 유압 실린더
500: 제어부

Claims (5)

  1. 사람 또는 화물을 탑재할 수 있는 이송 플레이트;
    상기 이송 플레이트의 일단에 수평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동 프레임;
    상기 이송 플레이트를 안내하도록 해양 설비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회동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피니언 기어;
    상기 회동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피니언 기어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피니언 기어;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피니언 기어에 치합하는 제1 랙 기어;
    상기 가이드 레일의 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피니언 기어에 치합하는 제2 랙 기어; 및
    상기 회동 프레임, 상기 제1 피니언 기어 및 상기 제2 피니언 기어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피니언 기어 및 상기 제2 피니언 기어를 구동하는 구동모터; 및
    일단이 상기 이송 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회동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해양 설비용 이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해양 설비의 측면을 따라 상항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 구간;
    상기 해양 설비의 데크에 상응하는 높이에서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 구간; 및
    상기 수직 구간과 상기 수평 구간 사이에 형성되는 곡선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 구간은 상기 해양 설비의 데크 외곽을 따라 형성되는 해양 설비용 이송 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랙 기어는 상기 수평 구간 및 상기 곡선 구간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랙 기어는 상기 수평 구간 및 상기 곡선 구간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저면에 설치되는 해양 설비용 이송 장치.
  5. 삭제
KR1020140107773A 2014-08-19 2014-08-19 해양 설비용 이송 장치 KR101616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773A KR101616433B1 (ko) 2014-08-19 2014-08-19 해양 설비용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773A KR101616433B1 (ko) 2014-08-19 2014-08-19 해양 설비용 이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106A KR20160022106A (ko) 2016-02-29
KR101616433B1 true KR101616433B1 (ko) 2016-04-28

Family

ID=55448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7773A KR101616433B1 (ko) 2014-08-19 2014-08-19 해양 설비용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643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1183B2 (ja) * 1990-10-11 1998-12-02 マグレガー−ナビレ (フィンランド) オサケ ユキチュア 船舶用ホイスト装置
JP5497277B2 (ja) * 2008-07-11 2014-05-21 株式会社嘉穂製作所 斜面昇降機の水平維持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1183B2 (ja) * 1990-10-11 1998-12-02 マグレガー−ナビレ (フィンランド) オサケ ユキチュア 船舶用ホイスト装置
JP5497277B2 (ja) * 2008-07-11 2014-05-21 株式会社嘉穂製作所 斜面昇降機の水平維持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106A (ko) 2016-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3693B1 (ko) 펜더 대빗 장치
RU264200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грузки на судно или выгрузки с него людей и/или грузов
KR101616433B1 (ko) 해양 설비용 이송 장치
CN110525675A (zh) 舰载无人机存储、运送与释放回收平台
CN103787096A (zh) 船舶大舱货物装卸装置
KR101644344B1 (ko) 해양구조물용 난간
US1207423A (en) Crane or derrick.
CN109850076A (zh) 混联式船舶靠帮补给装置
KR20150009269A (ko) 크루즈선의 화물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01627U (ko) 반잠수식 자항 수송선용 부력탱크 가동장치
KR101580977B1 (ko) 래싱 브리지
CN112074475B (zh) 用于集装箱的收纳和转移装置
CN103517868A (zh) 运送件货和/或散货的设备和方法
KR101203636B1 (ko) 연속식 코일 선적기
KR101167908B1 (ko) 선체간 연결 슬라이더 및 이를 장착한 부유체
KR20170043330A (ko) 리프팅 지그
KR101886655B1 (ko) 이동식 유체 선적 및 하역 장치
JP4713095B2 (ja) 洋上オフローディングシステム
JP4934359B2 (ja) 洋上オフローディング装置
KR19980025011A (ko) 특히 선박용으로서, 단위 하중의 연속적인 적하 및 하역용 디바이스
KR101984910B1 (ko) 롤링 저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672009B1 (ko) 휠 타입 보트랜딩 구조체
KR101162927B1 (ko) 선체간 고정 슬라이더 및 이를 장착한 부유체
KR101173566B1 (ko) 크레인 자세 안정화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크레인과 크레인을 탑재한 부유체 및 구조물 자세 제어 장치
JP2023072987A (ja) 船舶用アンロー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