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6655B1 - 이동식 유체 선적 및 하역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유체 선적 및 하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6655B1
KR101886655B1 KR1020160090615A KR20160090615A KR101886655B1 KR 101886655 B1 KR101886655 B1 KR 101886655B1 KR 1020160090615 A KR1020160090615 A KR 1020160090615A KR 20160090615 A KR20160090615 A KR 20160090615A KR 101886655 B1 KR101886655 B1 KR 101886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ser
pulley
arm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0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9123A (ko
Inventor
이정
박동화
김세민
Original Assignee
제일기술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기술산업(주) filed Critical 제일기술산업(주)
Priority to KR1020160090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6655B1/ko
Publication of KR20180009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9/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9/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7D9/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articulated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유체 선적 및 하역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두에 정박중인 선박의 화물창과 차량 등에 설치된 육상의 저장탱크를, 다관절 형태의 관으로 연결하여 액체상태의 화물(유체화물)을 선박에 선적하거나 육상으로 하역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차량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기 설치되어 운용중인 장치에 고장이 발생하거나, 긴급한 선적이나 하역이 요구는 등과 같은 상황에서, 작업자의 필요에 의해 원하는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하여 유체화물을 선적하거나 하역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최소한의 장치로도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요잉 브레이크 구조를 적용하여, 흔들림이나 진동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선박용 화물의 선적 및 하역 분야, 특히 액체상태의 화물을 선적하거나 하역하는 장치에 관련된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유체 선적 및 하역 장치{Mobile fluid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본 발명은 이동식 유체 선적 및 하역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두에 정박중인 선박의 화물창과 차량 등에 설치된 육상의 저장탱크를, 다관절 형태의 관으로 연결하여 액체상태의 화물(유체화물)을 선박에 선적하거나 육상으로 하역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차량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기 설치되어 운용중인 장치에 고장이 발생하거나, 긴급한 선적이나 하역이 요구는 등과 같은 상황에서, 작업자의 필요에 의해 원하는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하여 유체화물을 선적하거나 하역할 수 있는 이동식 유체 선적 및 하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유나 액화천연가스 등과 같은 유체는 특수제작된 선박, 예를 들어 원유선이나 LNG선박 등을 이용하여 수송하게 되며, 이러한 선박들은 액체상태의 화물(유체화물)를 저장하기 위하여 특별히 제작된 화물창과, 유체화물을 선적하거나 하역하기 위한 배관망이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일반적인 화물들이 컨테이너에 적재되어 크레인에 의해 선적되거나 하역되는 것과 달리, 액체상태의 화물은 선박의 배관망과 연결되는 별도의 특별한 장치를 이용하여 선박에 선적되거나 육상으로 하역된다.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0128호 '해양 로딩암의 설계방법'은, 육상에 설치되어 액체상태의 화물을 선적하거나 하역하는데 사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유체화물은 절곡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파이프 라인을 이용하여 선박에 선적하거나 육상으로 하역하게 된다.
그러나, 선행기술과 같은 장치들은 육상(부둣가)에 고정된 상태로 운용되고 있기 때문에 운용범위에 제약이 발생하게 되며, 고장이나 이상이 발생되면 유체화물의 선적이나 하역에 큰 차질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0128호 '해양 로딩암의 설계방법'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유체화물을 선적하거나 하역하는 장치를 차량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자의 필요에 의해 원하는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하여 유체화물을 선적하거나 하역할 수 있는 이동식 유체 선적 및 하역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기 설치되어 운용중인 장치에 고장이 발생하거나 긴급한 선적이나 하역이 요구는 등과 같은 상황에서, 자유로운 이동 및 작업 투입을 통하여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신속한 선적 및 하역 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유체 선적 및 하역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편, 유체화물을 선적하거나 하역하는 장치는, 부둣가라는 운용지역의 특성으로 인해 바람 등에 의한 외부환경요인에 의해 흔들림이나 진동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액체상태의 연료를 선적하거나 하역하는 과정에서 안전상의 문제점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요잉 브레이크 구조를 적용하여, 흔들림이나 진동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식 유체 선적 및 하역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유체 선적 및 하역 장치는, 베이스라이저(Base riser), 인보드암(Inboard arm), 아웃보드암(Outboard arm) 및 선박측연결관이 회동가능하도록 순차적으로 연결되며, 선박에 적재된 유체를 육상으로 하역하는 유체하역장치에 있어서, 운송차량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대차에 설치된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라이저를 회동시키는 라이저회동모듈; 상기 베이스라이저의 상부에 구성되어 상기 인보드암을 평면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팬앤틸팅(Pan and Tilting)모듈; 및 상기 팬앤틸팅모듈에 구성되어 상기 아웃보드암을 회동시키는 암회동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팬앤틸팅모듈은, 상기 베이스라이저와 평면상에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 슬루윙프레임(Slewing frame); 및 일측은 상기 베이스라이저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슬루윙프레임에 연결되며 피스톤로드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슬루윙프레임을 평면상에서 회동시키는 팬(Pan)용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앤틸팅모듈은, 상기 슬루윙프레임이 상기 인보드암과 수직면상에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일측은 슬루윙프레임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인보드암에 연결되며, 피스톤로드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인보드암을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틸트(Tilt)용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회동모듈은, 상기 인보드암과 아웃보드암의 회동축에 축결합되는 제1 활차; 상기 베이스라이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활차의 반대측에 구성되는 제2 활차; 및 상기 제1 활차 및 제2 활차와 와이어로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활차 및 제2 활차를 회전시키는 양로드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회동모듈은, 상기 제2 활차에 고정설치되며, 아웃보드암의 회동에 따른 무게중심의 이동을 보정하는 카운터웨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이저회동모듈은, 상기 베이스라이저가 고정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와 베이스프레임 사이에 구성되는 베어링; 및 상기 플랜지를 회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이저회동모듈은, 상기 플랜지의 고정상태를 지지하는 요잉브레이크(Yawing brak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잉브레이크는, 링형상의 브레이크 디스크; 및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동작되는 브레이크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공형의 몸체; 상기 몸체에 슬라이드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라이저에 구성된 육상측연결관과 연결되는 유입관; 및 상기 몸체에 구성되어,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된 유체를 육상측으로 공급하는 유출관;을 포함하는 연결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유입관과 연결되는 연결부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수평형 가이드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부두에 정박중인 선박의 화물창과 차량 등에 설치된 육상의 저장탱크를, 다관절 형태의 관으로 연결하여 액체상태의 화물(유체화물)을 선박에 선적하거나 육상으로 하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차량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자의 필요에 의해 원하는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하여 유체화물을 선적하거나 하역할 수 있으므로, 넓은 지역에서 자유롭게 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기 설치되어 운용중인 장치에 고장이 발생하거나, 긴급한 선적이나 하역이 요구는 등과 같은 상황에서, 추가 장치를 긴급투입하여 선적 및 하역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최소한의 장치로도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신속한 선적 및 하역 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요잉 브레이크 구조를 적용하여, 흔들림이나 진동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바람 등의 외부환경요인에 의한 흔들림이나 진동에 대한 적항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장치 자체의 구조적 안전성은 물론 액체상태의 연료를 선적하거나 하역하는 과정에서 안전상의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선박용 화물의 선적 및 하역 분야, 특히 액체상태의 화물을 선적하거나 하역하는 장치에 관련된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유체 선적 및 하역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팬앤틸팅모듈의 팬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팬앤틸팅모듈의 틸트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난 암회동모듈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난 라이저회동모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난 요잉(Yaw)브레이크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육상측연결관과 연결되는 연결모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유체 선적 및 하역 장치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유체 선적 및 하역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식 유체 선적 및 하역 장치(A)는 베이스프레임(100), 라이저회동모듈(200), 팬앤틸팅모듈(Pan and tilting module, 300) 및 암회동모듈(400)을 포함한다.
베이스프레임(100)은 운송차량에 의해 이동가능하도록 설계된 이동대차(40)에 고정설치되며, 아웃보드암(30)의 종단부에 설치되어 대상 선박의 배관망에 연결되는 선박측연결관(31)을 고정시키는 거치관(110)과, 아웃보드암(Outboard arm, 30)과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 인보드암(Inboard arm, 2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50)이 거치되는 거치대(120)가 고정설치될 수 있다.
라이저회동모듈(200)은 베이스라이저(Base riser, 10)를 회동시키기 위하여, 베이스프레임(100)에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동대차(40)가 정지된 상태에서 유체 선적 및 하역 장치(A)의 작업방향(도 1에서 좌측방향)이 대상 선박을 향하도록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라이저회동모듈(200)은 주위 상황 등에 의해 이동대차(40)의 전방(도 1에서 좌측방향)이 대상 선박을 향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작업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팬앤틸팅모듈(300)은 베이스라이저(10)의 상부에 구성되어 인보드암(20)을 평면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으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베이스라이저(10)의 내부에 구성되는 이송관(12) 및 인보드암(20)이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슬루윙프레임(Slewing frame, 310), 팬용실린더(320) 및 틸트용실린더(3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팬앤틸팅모듈(300)은 팬용실린더(320)의 동작에 의해 베이스라이저(10)가 고정된 상태에서 내부의 이송관(12)이 평면상에서 회동될 수 있으며, 틸트용실린더(330)의 동작에 의해 이송관(12)이 고정된 상태에서 인보드암(20)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때, 팬용실린더(320)는 이송관(12)의 회전각도를 미세조정하는 것으로, 라이저회동모듈(200)에 의해 작업방향이 조정된 상태에서 재조정하거나, 선적 또는 하역 작업도중에 작업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동작될 수 있으며, 라이저회동모듈(20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를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암회동모듈(400)은 팬앤틸팅모듈(300)에 구성되어 아웃보드암(30)을 회동시키는 것으로, 팬앤틸팅모듈(300)에 고정설치된 지지프레임(50)에 설치될 수 있으며,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유체 선적 및 하역 장치(A)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긴급분리모듈(500)을 더 구성할 수 있다.
긴급분리모듈(500)은 유체의 선적 및 하역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파도나 바람에 의해 대상 선박과의 작업이 불가능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선박측연결관(31)의 양측을 차단하고 중앙을 분리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유체 선적 및 하역 장치(A)와 대상 선박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동작되는 것이다.
도 1에서, 이동대차(40)에 구성된 고정레그(41)와 베이스프레임(100)에 구성된 고정레그(130)는, 운송차량에 의해 이동되는 과정에서는 피스톤로드가 실린더몸체 내부로 후퇴하여 수납되고, 작업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스톤로드가 전진하여 이동대차(40) 및 베이스프레임(100)을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하기에서, 앞서 설명된 각 구성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팬앤틸팅모듈의 팬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팬앤탤팅모듈(300)은 슬루윙프레임(Slewing frame, 310), 팬(Pan)용실린더(320), 틸트(Tilt)용실린더(330) 및 베어링(340)을 포함할 수 있다.
슬루윙프레임(301)은 베이스라이저(10)의 상부에 구성되어, 베이스라이저(10)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평면상에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베이스라이저(10)의 상부에 구성된 판형의 베어링(340)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팬용실린더(320)는 일측(도 2에서 좌측의 피스톤로드 종단부)은 베이스라이저(10)의 상부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다른 일측(도 2에서 실린더몸체)은 슬루윙프레임(310)에 연결될수 있다.
이에, 팬용실린더(320)에 구성된 피스톤로드의 움직임에 의해, 실린더몸체가 이동하면서, 슬루윙프레임(310)을 평면상에서 회동시킬 수 있다. 이때, 도 2에서는 팬용실린더(320)를 양로드형 실린더로 나타내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단로드형 실린더 또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다른 구성으로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팬앤틸팅모듈의 틸트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인보드암(20)이 슬루윙프레임(310)의 일측(도 3에서는 후방)에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베이스라이저(10)의 내부에 구성된 이송관(12)과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인보드암(20)은 슬루윙프레임(310)의 측면인 수직면상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틸트용실린더(330)는 일측(도 3에서 우측)이 슬루윙프레임(310)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도 3에서 좌측)은 인보드암(20), 특히 인보드암(2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5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틸트용실린더(330)의 피스톤로드가 움직임에 따라, 도 3의 하부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보드암(20)을 포함하는 지지프레임(50) 및 암회동모듈(400)이 상하방향으로 회동(틸트)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난 암회동모듈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암회동모듈(400)은 제1 활차(410), 제2 활차(420), 양로드형 실린더(430) 및 카운터웨이트(Counter weight, 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활차(410)는 인보드암(20)과 아웃보드암(30)의 회동축에 축결합되며, 인보드암(20)을 기준으로 아웃보드암(30)을 회동시킬 수 있다.
제2 활차(420)는 베이스라이저(10), 도 4에서는 베이스라이저(10)의 내부에 구성된 이송관(12)을 기준으로, 제1 활차(410)의 반대측에 구성될 수 있다.
양로드형 실린더(430)는 제1 활차(410) 및 제2 활차(420)를 회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양측의 피스톤로드에는 제1 활차(410) 및 제2 활차(420)를 순환하는 와이어(431)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양로드형 실린더(430)가 동작되면 와이어(431)가 이동되면서, 제1 활차(410) 및 제2 활차(420)를 회전시키게 된다.
카운터웨이트(440)는 아웃보드암(30)의 회동에 따라 변화되는 무게중심을 보정하기 위한 것으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 활차(420)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무게중심은 베이스라이저(10)의 상부에 위치하는 구성들인 팬앤틸팅모듈(300), 암회동모듈(400), 아웃보드암(30) 및 선박측연결관(31) 전체의 무게중심을 말하는 것으로, 무게중심의 위치는 베이스라이저(10)의 중심축 위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카운터웨이트(440)는 아웃보드암(30)과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아웃보드암(30)이 회동되면서 이동되는 무게중심을, 원래의 위치(베이스라이저의 중심축)로 보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난 라이저회동모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라이저회동모듈(200)은 플랜지(210), 베어링(220), 구동모터(230) 및 요잉(Yawing)브레이크(24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210)는 베이스라이저(10)가 고정될 수 있고, 베어링(220)은 플랜지(210)와 베이스프레임(100) 사이에 구성될 수 있으며, 구동모터(230)는 기어(미부호)를 통해 플랜지(210)를 회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라이저회동모듈(200)에 의해 본 발명의 이동식 유체 선적 및 하역 장치(A)의 작업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라이저회동모듈(200)에 의해 암회동모듈(400)의 제1 활차(410)가 향하는 방향이 작업방향을 향하도록 고정된 이후에, 팬앤틸팅모듈(300) 및 암회동모듈(400)이 동작되면, 해당 동작에 대한 영향으로 플랜지(210)가 회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랜지(210)의 움직임이 누적되면, 작업방향이 변경되면서 해당 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하거나, 심한 경우 긴급분리모듈(500)이 동작되어 작업이 중단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라이저회동모듈(200)은, 한번 정해진 작업방향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랜지(210)의 고정상태를 지지하기 위한 요잉브레이크(Yawing brake, 240)가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난 요잉(Yaw)브레이크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요잉브레이크(240)는 링형상의 브레이크 디스크(241)와 브레이크 디스크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동작되는 브레이크 패드(24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5에 나타난 플랜지(210)의 하부에 고정설치되거나, 플랜지(21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서, 브레이크 디스크(241)의 가장자리에는, 구동모터(230)와 기어결합되는 기어날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기어날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플랜지(210)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구동모터(230)는 플랜지(210)와 기어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브레이크 패드(242)는 브레이크 디스크(241)의 내측에 형성된 경사면에 밀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브레이크 패드(242)가 브레이크 디스크(241)의 상부 또는 하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패드(242)의 원활한 동작을 위하여, 도 6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패드(242)는 복수 개로 분할된 형태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요잉브레이크(240)는 도 2에 나타난 팬앤틸팅모듈(300)에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베이스라이저(10)의 이송관(12)과 연결된 육상측연결관(11)은, 베이스라이저(10)의 회동에 따라 회동하게 되므로, 육상의 탱크와 직접연결할 경우 회동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물론, 육상측연결관과 탱크를 플랙시블관으로 연결할 수 있으나, 유체의 종류(특히, 저온의 액화천연가스)에 따라 그 사용이 매우 제한적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회동되는 육상측연결관(11)과 위치가 고정된 육상의 탱크를 연결할 수 있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육상측연결관과 연결되는 연결모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연결모듈(600)은 몸체(610), 유입관(620), 유출관(630) 및 수평형 가이드링(640)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610)는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베이스라이저(10)가 회전하더라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별도의 고정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베이스프레임(10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몸체(610)의 하부면은 도 7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출관(630)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유체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유입관(620)은 베이스라이저(10)에 구성된 육상측연결관(11)과 연결되며, 하기에 설명될 수평형 가이드링(640)에 의해, 몸체(610)의 상부에 슬라이드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유입관(620)은 베이스라이저(10)의 회동에 따라 회동되면서, 고정된 몸체(610)의 내부로 유체화물을 공급할 수 있다.
유출관(630)은 몸체(610)의 하부에 구성되어, 유입관(620)으로 유입된 유체를 육상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
수평형 가이드링(640)은 몸체(610)의 상부면에 슬라이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몸체(610)의 일부를 대체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몸체(610)의 상부는 수평형 가이드링(640)이 결합되는 부분을 제거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평형 가이드링(640)에는, 유입관(62)과 연결되는 연결부(641)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라이저(10)의 회동에 의해 육상측연결관(11)이 회동되더라도, 유체화물을 육상의 탱크에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도 7의 (b)에 나타난 수평형 가이드링(640)을 수직형태로 변형한 수직형 가이드링(650)을 몸체(610)의 상부 내측 벽면에 구성할 수 있으며, 수직형 가이드링(650)에 형성된 연결부(651)를 유입관(620)에 연결할 수 있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몸체(610)를 상부몸체(611)와 하부몸체(612)로 분할하여 구성하고, 상부몸체(611)와 하부몸체(612)가 슬라이드 회동하도록 구성하며, 유입관(620)은 상부몸체(611)에 고정설치하고, 유출관(630)은 하부몸체(612)에 고정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6에 나타난 요잉브레이크(240)에 의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함과 동시에, 도 7 및 도 8에 나타난 연결모듈(600)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유체화물을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유체 선적 및 하역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A : 이동식 유체 선적 및 하역 장치
10 : 베이스라이저(Base riser) 11 : 육상측연결관
20 : 인보드암(Inboard arm)
30 : 아웃보드암(Outboard arm) 31 : 선박측연결관
100 : 베이스프레임
200 : 라이저회동모듈
210 : 플랜지(Flange) 220 : 베어링
230 : 구동모터 240 : 요잉(Yawing)브레이크
241 : 브레이크디스크 242 : 브레이크패드
300 : 팬앤틸팅모듈(Pan and tilting module)
310 : 슬루윙프레임(Slewing frame)
320 : 팬용실린더 330 : 틸트용실린더
400 : 암(Arm)회동모듈
410 : 제1 활차 420 : 제2 활차
430 : 양로드형실린더 440 : 카운터웨이트(Counter weight)
600 : 연결모듈
610 : 몸체
620 : 유입관 630 : 유출관
640 : 수평형 가이드링 641 : 연결부
650 : 수직형 가이드링

Claims (10)

  1. 베이스라이저(Base riser), 인보드암(Inboard arm), 아웃보드암(Outboard arm) 및 선박측연결관이 회동가능하도록 순차적으로 연결되며, 선박에 적재된 유체를 육상으로 하역하는 유체하역장치에 있어서,
    운송차량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대차에 설치된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라이저를 회동시키는 라이저회동모듈;
    상기 베이스라이저의 상부에 구성되어 상기 인보드암을 평면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팬앤틸팅(Pan and Tilting)모듈; 및
    상기 팬앤틸팅모듈에 구성되어 상기 아웃보드암을 회동시키는 암회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라이저회동모듈은,
    상기 베이스라이저가 고정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와 베이스프레임 사이에 구성되는 베어링; 및
    상기 플랜지를 회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팬앤틸팅모듈 및 상기 암회동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에 의해 상기 플랜지가 회동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의 고정상태를 지지하는 요잉브레이크(Yawing brake);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요잉브레이크는,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기어날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모터와 기어결합되는 브레이크 디스크; 및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의 내측에 형성된 경사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의 상부 및 하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동작되는 브레이크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고정되며,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슬라이드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라이저에 구성된 육상측연결관과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라이저의 회동에 따라 회동되는 유입관;
    상기 몸체의 하부에 구성되어,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된 유체를 육상측으로 공급하는 유출관; 및
    상기 유입관과 연결되는 연결부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수평형 가이드링;을 포함하는 연결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하부면이 상기 유출관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유체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유체 선적 및 하역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팬앤틸팅모듈은,
    상기 베이스라이저와 평면상에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 슬루윙프레임(Slewing frame); 및
    일측은 상기 베이스라이저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슬루윙프레임에 연결되며 피스톤로드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슬루윙프레임을 평면상에서 회동시키는 팬(Pan)용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유체 선적 및 하역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팬앤틸팅모듈은,
    상기 슬루윙프레임이 상기 인보드암과 수직면상에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일측은 슬루윙프레임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인보드암에 연결되며, 피스톤로드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인보드암을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틸트(Tilt)용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유체 선적 및 하역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회동모듈은,
    상기 인보드암과 아웃보드암의 회동축에 축결합되는 제1 활차;
    상기 베이스라이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활차의 반대측에 구성되는 제2 활차; 및
    상기 제1 활차 및 제2 활차와 와이어로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활차 및 제2 활차를 회전시키는 양로드형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유체 선적 및 하역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암회동모듈은,
    상기 제2 활차에 고정설치되며, 아웃보드암의 회동에 따른 무게중심의 이동을 보정하는 카운터웨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유체 선적 및 하역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60090615A 2016-07-18 2016-07-18 이동식 유체 선적 및 하역 장치 KR101886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615A KR101886655B1 (ko) 2016-07-18 2016-07-18 이동식 유체 선적 및 하역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615A KR101886655B1 (ko) 2016-07-18 2016-07-18 이동식 유체 선적 및 하역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123A KR20180009123A (ko) 2018-01-26
KR101886655B1 true KR101886655B1 (ko) 2018-08-08

Family

ID=61025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615A KR101886655B1 (ko) 2016-07-18 2016-07-18 이동식 유체 선적 및 하역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66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5180A (ko) * 2020-12-15 2022-06-22 현대제철 주식회사 유체 선적 및 하역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624B1 (ko) * 2000-09-14 2008-01-11 에프엠씨 테크놀로지스 에스.아. 제품하역조립체
JP2014043261A (ja) * 2012-08-27 2014-03-13 Niigata Loading Systems Ltd 流体荷役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0960B2 (ja) * 1991-10-28 1996-09-04 東海空圧機器株式会社 ワ―ク用テ―ブル装置
FR2964093B1 (fr) * 2010-09-01 2012-12-07 Fmc Technologies Sa Bras de chargement sans embase
FR3003855B1 (fr) * 2013-03-29 2016-01-29 Fmc Technologies Sa Bras de transfert d'un produit fluide de navire a navire
KR20150100128A (ko) 2014-02-24 2015-09-02 제일기술산업(주) 해양 로딩암의 설계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624B1 (ko) * 2000-09-14 2008-01-11 에프엠씨 테크놀로지스 에스.아. 제품하역조립체
JP2014043261A (ja) * 2012-08-27 2014-03-13 Niigata Loading Systems Ltd 流体荷役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5180A (ko) * 2020-12-15 2022-06-22 현대제철 주식회사 유체 선적 및 하역 장치
KR102483008B1 (ko) * 2020-12-15 2022-12-29 현대제철 주식회사 유체 선적 및 하역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123A (ko) 2018-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9709B2 (en) Mooring system for a vessel
NL2011819B1 (en) Transfer system, ship and method for transferring persons and/or goods to and/or from a floating ship.
US20110170988A1 (en) Cargo transfer system
CN103189297B (zh) 起伏补偿起重机
WO2017135821A1 (en) Height adjustable marine telescopic access bridge, ship provided therewith and method there for
CN101357738A (zh) 集装箱卸货装置
KR102110802B1 (ko) 사람 및/또는 화물을 선박으로 전달하거나 또는 그로부터 전달받기 위한 장치
US9290241B2 (en) Vessel comprising a crane
KR101886655B1 (ko) 이동식 유체 선적 및 하역 장치
US5028194A (en) Marine crane improvement
EP3601141B1 (en) A lifting device
CN102101624B (zh) 起重机及搭载它的船舶
KR20110073273A (ko) 모바일 하버 리프팅 시스템을 위한 댐핑 조인트 장치
WO2014175824A1 (en) Adjustable size bulk container handling assembly and container rotating mechanism with levelling device
NL2016444B1 (en) Disturbance compensating telescopic knuckle boom crane, ship provided therewith and method therefor
KR101933969B1 (ko) 액체화물 이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액화 천연가스 운반선
KR101477033B1 (ko) 해저 케이블 하역장치
JP4934359B2 (ja) 洋上オフローディング装置
KR101132621B1 (ko) 양현 하역 선박
KR20190104096A (ko) 로딩 암 승강장치
NL2016412B1 (en) Height adjustable marine telescopic access bridge, ship provided therewith and method there for.
JP2006015910A (ja) 洋上オフローディング装置
KR20200031840A (ko) 하역 장치
KR102483008B1 (ko) 유체 선적 및 하역 장치
KR101623100B1 (ko) 로딩암이 구비된 lng 운반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