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316B1 - 선박용 에어스포일러 - Google Patents

선박용 에어스포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316B1
KR101616316B1 KR1020130135357A KR20130135357A KR101616316B1 KR 101616316 B1 KR101616316 B1 KR 101616316B1 KR 1020130135357 A KR1020130135357 A KR 1020130135357A KR 20130135357 A KR20130135357 A KR 20130135357A KR 101616316 B1 KR101616316 B1 KR 101616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rame
ship
core
air sp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5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3430A (ko
Inventor
이재광
전상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5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316B1/ko
Publication of KR20150053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3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2001/005Deflectors for spray, e.g. for guiding spray generated at the bow of a planing vessel underneath the hu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17/0045Caps, hoods, or the like devices for protective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02Metallic materials
    • B63B2231/04Irons, steels or ferrous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32Vegetable materials or material comprising predominately vegetable material
    • B63B2231/34Wood or woo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231/52Fibre reinforced plastics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강도가 향상되고 표면의 오염이 적게 일어나며 내구성이 우수한 패널이 구비된 선박용 에어스포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의 선수부 갑판상에 구비되며, 선수측으로부터 선미측으로 갈수록 폭과 높이가 확장되도록 복수개의 부재들이 이격되어 배열되거나 교차되게 배치되어 상기 부재들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공간에 삽입되어 테두리가 상기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공간을 폐쇄하며, 테두리보다 중앙부가 돌출되도록 만곡되는 패널을 포함하고, 갑판 상부의 화물창에 적재된 화물 또는 선박의 구조물 전면으로 불어오는 공기의 흐름을 상기 화물 또는 구조물의 상단부 혹은 측부를 향하도록 안내하여 공기저항을 감소시키는 선박용 에어스포일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선박용 에어스포일러{Air Spoiler for Ship}
본 출원은 강도가 향상되고 표면의 오염이 적게 일어나며 내구성이 우수한 패널이 구비된 선박용 에어스포일러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컨테이너선을 이용한 물동량이 급증함에 따라, 컨테이너선의 대형화 및 고속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대형화 경향은 괄목할 만하다. 1972년 처음 3,000 TEU(Twenty Equivalent Units)급 컨테이너선이 등장한 이래 최근에는 화물의 대량 수송 및 영업이익 극대화를 위해 12,000 TEU(Twenty Equivalent Units)급 컨테이너선이 선보이고 있다.
한편, 컨테이너선의 선체 구조를 살펴보면 크게 선수, 선미, 기관실, 선실 및 화물창(Cargo part)으로 구분되며, 컨테이너는 화물창에 적재된다. 이때 화물창은 갑판을 기준으로 갑판 상부의 화물창과 갑판 하부의 화물창으로 구분된다.
상기 화물창에는 컨테이너가 여러 층으로 높이 쌓이는데, 컨테이너 특성상 선박 갑판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쌓이게 된다.
한편 갑판 상부의 화물창에 컨테이너를 적재한 상태에서 컨테이너선이 운항할 경우, 갑판 상부 화물창에 적재된 컨테이너에 의해 공기저항이 발생되므로, 컨테이너선의 경제적인 운항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국등록특허 10-1217702호에서는 선박(10)의 선수부에 에어스포일러(20)를 구비하여 선수의 바람을 가르도록 이루어져 공기저항을 감소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안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에어스포일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기상상황에 따라 선박의 선수에는 바람뿐만 아니라 파도 등에 의해 해수도 들이치는데, 파고가 높을 때 들이치는 압력이 매우 크며 그에 따라 에어스포일러의 면을 이루는 부재들도 파도의 압력에 의해 파손되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일반적인 에어스포일러는 철제 강판으로 용접을 통해 결합되는데, 에어스포일러가 모두 철제 강판으로 이루어질 경우, 그 무게가 상당하여 선박의 선수부 중량이 커지게 되어 선박 전체의 밸런스를 흐트러트릴 수 있으며, 오히려 선박의 연비를 저해하는 요인이 되고, 에어스포일러의 무게만큼 선박의 화물적재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에어스포일러를 이루는 면들이 용접을 통해 결합되므로, 충돌이나 파도의 압력에 의해 에어스포일러가 파손될 경우 해상에서 수리하기가 매울 어려우며 파손된 상태로 조선소까지 운행해야 하며, 그로 인해 예정된 항로에서 벗어나게 되어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최근에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에어스포일러가 철제가 아닌 합성수지나 복합재로 에어스포일러를 제작하려는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나, 폭풍우 상황에서 낙뢰가 에어스포일러에 떨어질 경우 피뢰대책이 없어 에어스포일러가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넷째, 겨울이나 혹한지에서 에어스포일러에 해수나 물방울이 얼어붙을 경우 에어스포일러 및 선수부에 가해지는 중량이 상당하며, 에어스포일러를 이루는 부품의 결합부위에 수분이 침투하여 얼어붙을 경우 얼음이 팽창하면서 결합부위를 파손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217702호
본 출원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출원은 해상에서도 보다 용이하게 수리가 가능하고, 무게가 경감되며 강도가 향상된 선박용 에어스포일러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또한, 본 출원은 에어스포일러에 낙뢰가 내리칠 경우에도 대비할 수 있는 피뢰대책이 구비된 에어스포일러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또한, 본 출원은 에어스포일러에 얼음이 결빙되는 것을 빙지할 수 있는 에어스포일러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본 출원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의 선수부 갑판상에 구비되며, 선수측으로부터 선미측으로 갈수록 폭과 높이가 확장되도록 복수개의 부재들이 이격되어 배열되거나 교차되게 배치되어 상기 부재들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공간에 삽입되어 테두리가 상기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공간을 폐쇄하며, 테두리보다 중앙부가 돌출되도록 만곡되는 패널을 포함하고, 갑판 상부의 화물창에 적재된 화물 또는 선박의 구조물 전면으로 불어오는 공기의 흐름을 상기 화물 또는 구조물의 상단부 혹은 측부를 향하도록 안내하여 공기저항을 감소시키는 선박용 에어스포일러가 제공된다.
상기 패널은, 목재 재질의 코어 및 상기 코어의 상하면으로부터 상기 코어의 외측까지 연장되며, 상기 코어의 상하면에서 복수층 적층되어 상호 부착되어 경화되는 복수층의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은 전체적으로 일정한 곡률을 유지하도록 만곡될 수 있다.
상기 패널은 상기 프레임의 부재와 결합되는 테두리는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의 내측은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전기가 통하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널은 선체 외측을 향하는 표면에 금속 스트립이 배열되며, 상기 금속 스트립은 상기 패널이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프레임과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지되도록 상기 패널의 테두리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패널은, 상기 패널의 선체 외측을 향하는 면에 쌓인 눈 또는 결빙된 얼음을 제거하기 위해 가열되는 열선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널은, 상기 복수층의 레이어 사이에 배열되며, 상기 패널의 선체 외측을 향하는 면에 쌓인 눈 또는 결빙된 얼음을 제거하기 위해 가열되는 열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열선의 단부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과 접속되기 위해 상기 레이어의 어느 일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선박용 에어스포일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모든 부위가 강재로 형성되지 아니하고,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이 아닌 패널은 무게가 비교적 가벼운 복합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어 전체 무게를 경감할 수 있으므로, 선박의 밸런스를 보다 쉽게 유지할 수 있고 가벼워진 만큼 선박에 화물을 더 실을 수 있다.
둘째, 에어스포일러가 프레임에 교체 가능한 패널로 이루어지므로, 항해중 패널에 파손이 발생한 경우 바로 수리할 수 있어 수리를 위해 조선소에 정박할 필요가 없으므로 항로를 벗어날 필요가 없다.
셋째, 패널이 볼록하게 만곡되므로, 파도나 바람 등에 의해 상기 패널에 외력이 가해져도 힘이 분산되므로 패널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보다 경량의 패널의 사용이 가능하여 무게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패널이 볼록하게 만곡되어 경사를 형성하므로 이물질이 흘러내릴 수 있어 덜 오염될 수 있다.
넷째, 낙뢰에 피격시 피뢰경로를 형성하는 금속 스트립이 구비되어 낙뢰상황에서도 안전할 수 있다.
다섯째, 패널에 열선이 구비되므로, 눈이 내려 패널에 쌓인 눈을 녹여내릴 수 있으며 해수나 물방울등이 들러붙어 결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도 1은 종래의 에어스포일러가 구비된 선박의 선수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출원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에어스포일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출원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에어스포일러의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본 출원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에어스포일러의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단면도;
도 7은 본 출원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에어스포일러의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패널이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출원의 제5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에어스포일러의 패널을 도시한 단면도 이다.
이하 본 출원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출원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에어스포일러(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패널(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은 선박의 선수부 갑판상에 구비되고, 복수개의 부재(116)들이 이격되게 배열되거나 교차되게 배열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프레임(110)은 선수측으로부터 선미측으로 갈수록 폭과 높이가 확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10) 부재(116)들은 상호 이격되거나 교차되어 그 사이에 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120)은 평판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무게를 고려하여 복합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110)의 공간(S)에 삽입되어 그 테두리가 상기 프레임(110)의 부재(116)와 결합되어 상기 공간(S)을 폐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패널(120)이 복합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합성수지 및 FRP등의 유리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전체가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에 대비하여 무게가 경감될 수 있고 선박 운행중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파손된 해당 패널(120)만 교체할 수 있어 수리가 용이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은 선박의 선수부 갑판상에 구비되며, 상기 패널(120)은 상기 프레임(110)에 볼트(미도시) 및 너트(미도시) 등으로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패널(120) 상기 프레임(110)의 선체 외측을 향하는 면에 볼트 등으로 고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제2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스포일러는 프레임(110)과 패널(22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110)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프레임(110)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패널(220)은 상기 프레임(110)의 공간(S)에 삽입되며, 테두리가 상기 프레임(110)의 공간(S)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110)의 공간(S)을 폐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2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가 일정한 곡률을 가지도록 만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패널(220)은 중앙부가 선체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프레임(1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2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222)와 레이어(2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222)는 패널(220)의 내부중심을 형성하며 강도 및 무게를 고려하여 발사우드(Balsa Wood)재질의 목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코어(222)의 재질은 발사우드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재질의 목재 또는 목재가 아닌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코어(222)는 상기 패널(220)의 곡률에 따라 같이 만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이어(224)는 상기 코어(222)의 상하면에 복수층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이어(224)는 상기 코어(222)의 상하면을 모두 덮으며, 상기 코어(222)의 외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적층된 각 층의 레이어(224)는 접착제에 의해 상호 접합되거나 또는 열에 의해 상호 융착되어 일체화될 수 있으며, 적층이 완료된 후에는 경화되어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레이어(224)의 코어(222) 외측에 해당하는 부분은 상기 프레임(110)의 부재(116)에 결합되는 테두리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강철 재질의 판재에 비하여 무게가 가벼우며 발사우드재질의 코어(222)가 형성되어 있어 강도 및 탄성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220)이 만곡되므로, 상기 패널(222)에 파도 및 바람에 의해 작용되는 외력(F)이 패널의 만곡을 따라 분산될 수 있어 패널(220)의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220)이 만곡되어 선체 외측을 향하는 면이 항상 경사를 이루게 되므로 해수 또는 이물질 등이 표면에 달라붙지 않고 흘러내릴 수 있어 덜 오염될 수 있다.
이하, 본 출원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에어스포일러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스포일러는 프레임(110)과 패널(32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110)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프레임(110)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패널(320)은 전술한 제2실시예의 패널(220)과 유사하게 상기 프레임(110)의 공간(S)에 삽입되며, 테두리가 상기 프레임(110)의 부재(116)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110)의 공간(S)을 폐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제2실시예의 패널(220)은 전체가 일정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패널(32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0)의 부재(116)와 결합되는 테두리가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의 내측은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패널(320)은 중앙부가 선체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프레임(1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3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322)와 레이어(3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322)와 전술한 제2실시예의 코어(222)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레이어(324) 또한 전술한 제2실시예의 레이어(224)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나, 전술한 제2실시예의 레이어(224)는 테두리부까지 만곡되어 전체적으로 곡률이 일정하게 유지되나, 본 실시예의 레이어(324)는 테두리부가 평평하게 형성되어 패널(320)의 내측 중앙부의 곡률과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패널(320)은 프레임(110)과 결합되는 테두리부가 평평하므로, 전술한 제2실시예의 패널에 비해서, 패널(320)과 결합되는 프레임(110)의 설계 및 제작 및 패널(320)과 프레임(110)의 결합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이하, 본 출원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에어스포일러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스포일러는 프레임(110)과 패널(42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110)은 전기가 통하는 스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의 프레임(110)과 구조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420)은 코어(422)와 레이어(424) 및 금속 스트립(426)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어(422)와 레이어(424)는 전술한 제3실시예의 패널(320)의 코어(322) 및 레이어(324)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의 패널구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금속 스트립(426)은 전기가 통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패널(420)의 선체 외측을 향하는 표면에 배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금속 스트립(426)은 낙뢰에 피격시 피뢰경로를 형성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7에 형성된 바와 같이 십자형상으로 교차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금속 스트립(426)의 배열형태는 십자 형상으로 교차되는 형태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일자형태이거나 또는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금속 스트립(426)은 상기 패널(420)의 프레임(110)과 연접되는 테두리까지 연장되어 상기 패널(420)이 상기 프레임(110)에 결합될 때 자연스럽게 상기 프레임(110)과 전기적으로 연통되어 접지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420)이 상기 프레임(110)의 외측면에 얹혀져 결합되는 구조에서는 상기 패널(420)의 테두리의 하측면이 상기 프레임(110)의 부재(116)와 연접되므로, 상기 금속 스트립(426)이 상기 패널(420)의 테두리의 배면까지 연장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스포일러는 상기 에어스포일러가 낙뢰에 피격되었을 때에도 전기가 상기 패널(420)의 금속 스트립(426)을 통해 프레임(110)으로 흘러 피뢰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출원의 제5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에어스포일러를 설명하기로 한다.
에어스포일러(100)는 선박 선수부에 구비되므로, 파도나 선수부에 부딛치쳐 비산되는 물방울 등이 항시 접촉될 수 있다. 선박이 한랭지를 운항할 경우 상기 접촉되는 해수 또는 물방울이 빙결될 수 있는데, 이러한 얼음이 쌓이다보면 그 무게가 상당히 증가되어 에어스포일러(100)가 붕괴되거나 선박의 밸런스가 무너질 수 있다.
또한, 겨울철에 눈이 내릴 경우 상기 에어스포일러(100)의 패널에 눈이 쌓이는데, 강설량이 많은 경우 쌓인 눈의 무게가 상당히 무거워 에어스포일러의 파손을 야기할 수도 있다.
또한, 눈 또는 물이 패널과 프레임의 결합부위에 침투한 뒤 결빙될 수 있는데, 물의 특성상 결빙되었을 때 팽창되어 상기 결합부위에 파손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에어스포일러는 이러한 얼음의 결빙 또는 쌓인 눈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에어스포일러는 프레임(110)과 패널(52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110)은 전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의 프레임(110)과 구조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520)은 코어(522)와 레이어(52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어(522)와 레이어(524)는 전술한 제3실시예의 패널(320)의 코어(322) 및 레이어(324)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실시예나 제2실시예 또는 제4실시예의 패널구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열선(52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선(526)은 상기 패널(520)에 쌓이거나 결빙된 눈 또는 얼음을 녹이기 위해 열을 발생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전력을 열로 변환시키는 전기열선일 수 있다. 물론, 상기 열선(526)은 면상발열체로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열을 발생시키는 구조라면 어떠한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열선(526)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520)을 이루는 레이어(524)의 사이에 배치되어 매립되거나 또는 상기 코어(522)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선(526)의 양 단부는 상기 패널(520)의 외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패널(520)의 외측까지 연장된 상기 열선(526)의 양 단부가 외부의 전력공급선(미도시)과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또는 상기 패널(520)의 표면에 외부의 전력공급선(미도시)과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단자(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열선(526)은 상기 단자(미도시)와 연결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패널(520)에 눈이 쌓이거나 얼음이 결빙될 때 상기 열선(526)을 작동시켜 상기 패널을 가열함으로써 쌓인 눈 및 결빙된 얼음을 녹여 흘러내리게 할 수 있으므로 눈 및 얼음으로 인한 문제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출원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에어스포일러 110: 프레임
116: 부재 120: 패널
220: 패널 222: 코어
224: 레이어 320: 패널
322: 코어 324: 레이어
420: 패널 422: 코어
424: 레이어 426: 금속스트립
520: 패널 522: 코어
524: 레이어 526: 열선

Claims (7)

  1. 선박의 선수부 갑판상에 구비되며, 선수측으로부터 선미측으로 갈수록 폭과 높이가 확장되도록 복수개의 부재들이 이격되어 배열되거나 교차되게 배치되어 상기 부재들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며 전기가 통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공간에 삽입되어 테두리가 상기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공간을 폐쇄하며, 상기 프레임의 부재와 결합되는 테두리는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의 내측은 만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보다 중앙부가 돌출되도록 만곡되며, 합성수지 및 FRP(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를 포함하는 복합재로 이루어진 패널; 및
    상기 패널의 선체 외측을 향하는 표면에 십자형태로 교차되도록 배열되며, 상기 패널이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프레임과 접촉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지되도록 상기 패널의 테두리부까지 연장되어 피뢰경로를 형성하는 금속 스트립; 을 포함하고,
    갑팝 상부의 화물창에 적재된 화물 또는 선박의 구조물 전면으로 불러오는 공기의 흐름을 상기 화물 또는 구조물의 상부 혹은 측부를 향하도록 안내하여 공기저항을 감소시키면서 해수나 눈은 상기 패널의 만곡면을 따라 흘러내리도록 구비되는 선박용 에어스포일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목재 재질의 코어; 및
    상기 코어의 상하면으로부터 상기 코어의 외측까지 연장되며, 상기 코어의 상하면에서 복수층 적층되어 상호 부착되어 경화되는 복수층의 레이어를 포함하는 선박용 에어스포일러.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상기 복수층의 레이어 사이에 배열되며, 상기 패널의 선체 외측을 향하는 면에 가열되는 열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열선의 단부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과 접속되기 위해 상기 레이어의 어느 일면으로 노출되는 선박용 에어스포일러.
KR1020130135357A 2013-11-08 2013-11-08 선박용 에어스포일러 KR101616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357A KR101616316B1 (ko) 2013-11-08 2013-11-08 선박용 에어스포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357A KR101616316B1 (ko) 2013-11-08 2013-11-08 선박용 에어스포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430A KR20150053430A (ko) 2015-05-18
KR101616316B1 true KR101616316B1 (ko) 2016-04-28

Family

ID=53390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5357A KR101616316B1 (ko) 2013-11-08 2013-11-08 선박용 에어스포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63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4711A (ko) 2015-09-21 2017-03-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유체 스포일러를 구비한 선박
KR20170035136A (ko) 2015-09-22 2017-03-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에어스포일러
CN105480384A (zh) * 2016-01-04 2016-04-13 哈尔滨工程大学 一种船艏节能减阻导流罩
KR101954277B1 (ko) * 2016-09-07 2019-03-05 화신이엘티 주식회사 벌크 화물 운반용 컨테이너
CN114394195B (zh) * 2022-01-18 2022-09-30 中山大学 一种用于集装箱船的伸缩导流罩及其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335B1 (ko) 2007-01-29 2007-12-14 홍성산업 주식회사 샌드위치 패널
JP4542507B2 (ja) 2003-12-12 2010-09-15 香織 竹嶋 断熱パネル及びそれを利用した断熱構造体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0463A (ja) * 1985-08-30 1987-03-05 Hitachi Ltd 連続スパツタ装置
JPH06104073A (ja) * 1992-09-21 1994-04-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面状発熱体
KR101217702B1 (ko) 2010-11-19 2013-01-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선의 커버 시스템
KR20130066015A (ko) * 2011-12-12 2013-06-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선의 공기저항 감소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2507B2 (ja) 2003-12-12 2010-09-15 香織 竹嶋 断熱パネル及びそれを利用した断熱構造体
KR100786335B1 (ko) 2007-01-29 2007-12-14 홍성산업 주식회사 샌드위치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430A (ko) 2015-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6316B1 (ko) 선박용 에어스포일러
CN105143033B (zh) 用于船舶的推进系统
PL189127B1 (pl) Konstrukcyjna płyta kompozytowa i sposób wytwarzania konstrukcyjnej płyty kompozytowej
CN102535329A (zh) 筒状复合材料桥梁防撞装置
KR101137816B1 (ko) 선박용 방향타
CN103118937A (zh) 马格努斯转子
US20110174211A1 (en) Structural component for producing ship hulls, ship hulls contain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02989863U (zh) 一种整体呈曲面形的桥墩防撞浮式套箱
KR20160009174A (ko) 선박 및 해양구조물의 선체구조
CA2869772C (en) Marine hull and marine vessel
KR20160084684A (ko) 선박용 복합재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549584B1 (ko) 멤브레인 에어스포일러
CN210063290U (zh) 一种分体式充气复合艇
KR101556922B1 (ko) 선박 에어 스포일러
US20190344866A1 (en) Swing dock
KR20160009187A (ko) 선박 및 해양구조물의 선체구조
KR101644318B1 (ko) 선박 에어 스포일러
CN105109641B (zh) 一种玻璃钢渔船
KR200449226Y1 (ko) 모터보트
CN207956013U (zh) 一种单发航空螺旋桨空气船船体
CN220721312U (zh) 一种三体船
US20070266924A1 (en) Ship Hul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Hull
KR20170035136A (ko) 선박의 에어스포일러
CN110466699B (zh) 一种船舶破冰装置及包含该种破冰装置的船舶
KR101616307B1 (ko) 선박 에어 스포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