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163B1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163B1
KR101616163B1 KR1020130044769A KR20130044769A KR101616163B1 KR 101616163 B1 KR101616163 B1 KR 101616163B1 KR 1020130044769 A KR1020130044769 A KR 1020130044769A KR 20130044769 A KR20130044769 A KR 20130044769A KR 101616163 B1 KR101616163 B1 KR 101616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 bearing
bearing member
laser power
pot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4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9877A (ko
Inventor
다카요시 기하라
모토키 아다치
히데아키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19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9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03G15/026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char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with means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or expo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with mean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distinct portions of the charge pattern on the recording material, e.g. for contrast enhancement or discharging non-image areas
    • G03G15/04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with mean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distinct portions of the charge pattern on the recording material, e.g. for contrast enhancement or discharging non-image areas for discharging non-image are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1Details of unit for expo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Exposure Or Original Feed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는 복수의 현상제 담지 부재를 이용하여 복수의 컬러의 화상을 형성하는 컬러 모드와 복수의 현상제 담지 부재 중 하나의 현상제 담지 부재를 이용하여 단색의 화상을 형성하는 단색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컬러 모드가 실행될 때, 복수의 화상 담지 부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대전 바이어스와 각 화상 담지 부재에 대한 제1 레이저 파워와 제2 레이저 파워를 결정한다. 제어 유닛은, 단색 모드가 실행될 때, 단색 모드용의 화상 담지 부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대전 바이어스와 단색 모드용의 화상 담지 부재에 대한 제1 레이저 파워와 제2 레이저 파워를 결정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낮은 오존과 저전력 등의 장점을 가진 소위 접촉 대전 프로세스를 채용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가 실용화되었다. 접촉 대전 프로세스는 화상 담지 부재로서의 감광 부재에 접촉하는 대전 부재로서의 대전 롤러에 전압을 인가하여 감광 부재의 표면을 대전한다. 또한, 최근에는, 저가이며 공간 절약의 관점에서, 직류(DC) 전압만 인가되는 대전 롤러를 이용한 DC 대전 프로세스가 채용되고 있다.
DC 대전 프로세스에서는 대전의 균일성이 불충분하다는 문제가 있다. 접촉 대전 프로세스에서는 감광 부재의 빈번한 사용에 따라 감광 부재 표면의 막 두께가 감소할 때 감광 부재의 표면 전위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감광 부재의 표면 전위를 일단 화상 형성에 필요한 전위 이상으로 과대전시킨 후, 감광 부재 표면에서 화상 형성이 실시되지 않는 비화상부에 대해 약하게 발광시킨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전위를 강하시키는 노광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 방법을 소위 "백그라운드 노광"이라 한다(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8-171260호 참조). 또한,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2002-296853호는 감광 부재의 막 두께를 산출하여 레이저 광의 레이저 파워를 제어함으로써 감광 부재의 표면 전위를 목표 전위가 되도록 형성하는 제어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제어를 실시함으로써, 화상 농도, 라인 폭 및 계조성(階調性)을 안정적으로 재현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컬러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프로세스로서, 소위 탠덤 방식이라 하는 컬러 화상 형성 프로세스가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탠덤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의 각 컬러의 토너 화상이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탠덤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각 컬러의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감광 부재 각각에 대전 장치와 현상 장치 등의 각 프로세스 유닛이 개별적으로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복수의 컬러의 화상 형성이 가능한 탠덤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소형화 및 비용 절감의 관점에서 각각의 대전 유닛과 현상 유닛에 대한 전원을 최대한 공유화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전원이 공유화된 DC 대전 프로세스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모든 감광 부재에 항상 소정의 대전 전위가 형성되며, 감광 부재의 광 피로로 인해 어떤 경우에는 광 감도가 악화될 수 있다. 따라서, 감광 부재의 광 피로로 인한 광 감도의 악화를 줄이기 위한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백그라운드 노광을 실시하기 위해, 소정의 레이저 파워로 감광 부재의 표면을 원하는 전위로 변화시킬 필요가 있으며, 노광 유닛으로서의 광원이 소모되기 쉽기 때문에, 서비스 수명 연장의 관점에서 개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노광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레이저 파워를 저감하여 화상 담지 부재의 열화를 억제하는 것을 대상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양태에 따르면, 기록재(記錄材)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는, 복수의 화상 담지 부재; 상호 공유하는 제1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동일한 대전 바이어스에 의해 대응하는 화상 담지 부재를 대전하여 그 화상 담지 부재의 표면에 소정의 대전 전위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대전 장치; 상기 화상 담지 부재의 표면 중 현상제 담지 부재로부터 현상제가 공급되지 않는 비화상부를 제1 레이저 파워로 노광하여 비화상부 전위를 발생시키고, 상기 현상제 담지 부재로부터 현상제가 공급되는 화상부를 제1 레이저 파워보다 큰 제2 레이저 파워로 노광하여 화상부 전위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노광 장치; 상호 공유하는 제2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동일한 현상 바이어스에 의해 표면에 소정의 현상 전위가 형성되고, 대응하는 화상 담지 부재의 화상부에 현상제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현상제 담지 부재; 상기 복수의 화상 담지 부재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 장치; 및 상기 대전 바이어스와 각 화상 담지 부재에 대한 상기 제1 레이저 파워와 상기 제2 레이저 파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복수의 현상제 담지 부재를 이용하여 복수의 컬러의 화상을 형성하는 컬러 모드와 상기 복수의 현상제 담지 부재 중 하나의 현상제 담지 부재를 이용하여 단색의 화상을 형성하는 단색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컬러 모드가 실행될 때, 상기 복수의 화상 담지 부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전 바이어스와 각 화상 담지 부재에 대한 상기 제1 레이저 파워와 상기 제2 레이저 파워를 결정한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단색 모드가 실행될 때, 단색 모드용의 화상 담지 부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전 바이어스와 단색 모드용의 화상 담지 부재에 대한 상기 제1 레이저 파워와 상기 제2 레이저 파워를 결정한다.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하기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과 양태들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 특징들 및 양태들을 도시하고 있으며,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감광 드럼의 표면 전위와 레이저 파워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화상부와 비화상부에서의 전위 설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각 전원과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접속을 나타내는 배선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1차 대전 전위와 암부(暗部) 전위 및 노광 제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레이저 파워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제2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레이저 파워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예시적 실시예들, 특징들 및 양태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일 실시예인 전자 사진 프로세스를 채용한 레이저 빔 프린터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는 프린터 제어 유닛(100)(이하, 단순히 "제어 유닛"이라 함)을 구비하고 있다. 제어 유닛(100)은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유닛이며, 인터페이스(201)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프린터 컨트롤러(200)(이하, 단순히 "컨트롤러"라 함)와 각종 전기적 정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제어 유닛(100)은 각종 프로세스 기기 또는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정보 신호의 처리, 각종 프로세스 기기에 대한 지령 신호의 처리, 소정의 초기 시퀀스 제어 및 소정의 화상 형성 시퀀스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컨트롤러(200)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전기적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화상을 기록재로서의 용지(P)에 형성하여, 화상 형성물을 출력한다. 컨트롤러(200)는 호스트 컴퓨터, 네트워크, 화상 판독기, 팩시밀리 등이다. 또한, 기록재는 용지뿐만 아니라, 오버 헤드 프로젝터(OHP) 시트, 엽서, 봉투, 라벨 등일 수 있다.
또한,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가 구비하는 각 구성 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주요 구성 요소로서, 노광 유닛(노광 장치)으로서의 레이저 노광 유닛(20), 중간 전사 벨트(30), 1차 전사 롤러(31), 2차 전사 롤러(32) 및 정착 장치(6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4개의 컬러(복수의 컬러)에 대한 화상 형성이 가능한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10)가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된 소위 탠덤(tandem)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4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의 컬러가 서로 다른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클리닝 유닛과 현상 유닛(현상 장치)이 카트리지 구성으로 일체로 조립되어 있다.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대응하여 화상 형성 장치 본체(1)에 설치된 각 화상 스테이션에 착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현상 유닛에 수용된 토너가 소모된 경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개별적으로 교환함으로써 토너를 보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컬러에 제공된 각각의 구성 요소임을 나타내기 위해 참조 번호에 첨자(Y, M, C, K)를 붙여 설명하고 있으나, 그러한 구별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러한 첨자를 생략하고 설명한다.
클리닝 유닛은 제1 화상 담지 부재로서의 감광 드럼(11), 대전 유닛(대전 장치)으로서의 대전 롤러(12) 및 드럼 클리너(1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현상 유닛은 현상제 담지 부재로서의 현상 롤러(13), 현상제 블레이드(15) 및 현상제로서의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용기(16)를 구비하고 있다.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현상제로서 음의 극성으로 대전된 비자성 일성분 토너가 사용된다.
감광 드럼(11)은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원통형 기체(基體)와 그 표면을 덮고 있는 유기 광전도체(OPC)(유기 반도체) 감광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감광층은 전하 수송층과 그 아래에 있는 전하 발생층 등으로 이루어진 층이다. 감광 드럼(11)은 구동 유닛(미도시)에 의해 도 1의 화살표(R1) 방향으로 120(㎜/sec)의 표면 이동 속도로 회전 구동한다.
대전 롤러(12)는 심봉(cored bar)과 심봉 주위에 동심 일체로 형성된 도전성 탄성체층을 가지고 있으며, 감광 드럼(11)의 표면을 대전한다. 대전 롤러(12)의 심봉에는 소정의 대전 바이어스가 인가된다. 그리고, 대전 롤러(12)는 감광 드럼(11)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대전 롤러(12)는 도전성 탄성체층의 탄성에 대항하여 소정의 압압력(pressing force)으로 감광 드럼(11)에 접촉하고 있다.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소위 접촉 대전 프로세스를 채택한다. 또한, 심봉의 양 단부는 베어링(미도시)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대전 롤러(12)는 감광 드럼(11)의 회전에 종동하여 도 1의 화살표(R2) 방향으로 회전한다.
레이저 노광 유닛(20)은 시계열적 전기 디지털 화소 신호에 대응하여 변조된 레이저 광(L)(도 4 참조)을 출력하는 레이저 요소와 같은 광원(레이저 출력부), 회전 다면 미러(폴리곤 미러), f-θ 렌즈, 반사 미러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회전 폴리곤 미러의 회전에 의해, 감광 드럼(11)의 길이 방향(주주사 방향)으로 레이저 광(L)을 편향 주사함으로써, 주주사 노광이 실시된다. 주주사 노광과 감광 드럼(11)의 회전에 의한 부주사 노광에 의해, 레이저 노광 유닛(20)은 감광 드럼(11) 상에(화상 담지 부재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현상 롤러(13)는 심봉과 심봉 주위에 동심 일체로 형성된 도전성 탄성체층을 가지고 있으며, 감광 드럼(11)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현상제 블레이드(15)는 SUS로 제조된 금속 박판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현상 롤러(13)에 소정의 압압력으로 접촉함으로써, 현상 롤러(13) 상에(현상제 담지 부재 상에) 토너층을 균일화한다. 토너를 담지하여 반송하는 현상 롤러(13)는, 감광 드럼(11)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마찰에 의해 음의 극성으로 대전된 토너를 감광 드럼(11)에 공급한다.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소위 접촉 현상 프로세스를 채용하고 있으며, 현상 롤러(13)는 접촉/이격 메커니즘(미도시)에 의해 감광 드럼(11)에 대해 접촉 및 이격을 반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화상 형성 단계 중에, 현상 롤러 (13)는 감광 드럼(11)에 접촉하고, 현상 롤러(13)의 심봉에 소정의 현상 바이어스가 인가된다. 그때, 현상 롤러(13)의 표면 전위는 현상 바이어스로서 소정의 현상 전위가 된다.
무단상(endless shape)으로 형성된 제2 화상 담지 부재로서의 중간 전사 벨트(30)가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0Y 내지 10K)의 감광 드럼(11Y 내지 11K)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중간 전사 벨트(30)는, 전기 저항값이 약 1011 내지 1016(Ω㎝)이고 두께가 100 내지 200(㎛)인,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PVdf), 나일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와 같은 수지 필름으로 형성된다. 전기 저항값(체적 저항값)은 필요에 따라 적절한 저항을 제공하도록 조정될 수도 있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30)는 구동 롤러(34)와 2차 전사 대향 롤러(33)에 의해 신장되고,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롤러(34)의 회전에 의해 프로세스 속도로 순환하도록 구동된다.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1차 전사 롤러(31)는 회전축 상에 도전성 탄성체층이 마련되도록 롤러 형상으로 구성되고, 감광 드럼(11)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1차 전사 롤러(31)는 중간 전사 벨트(30)를 통해 소정의 압압력으로 감광 드럼(11)에 접촉한다. 또한, 1차 전사 롤러(31)의 회전축에는 1차 전사 바이어스 전원(701)(도 4 참조)에 의해 양의 극성의 직류(DC) 전사 바이어스가 인가됨으로써, 1차 전사 롤러(31)와 감광 드럼(11) 사이에 1차 전사 전계가 형성된다. 1차 전사 단계가 높은 전사 효율 또는 낮은 재전사율과 같은 조건을 항상 충족하고 전사 단계가 양호하게 이루어지도록, 제어 유닛(100)은 1차 전사 바이어스 전원(701)에 의해 인가되는 DC 전사 바이어스를 환경과 부품의 특성 등을 고려한 최적의 값으로 제어한다.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2차 전사 롤러(32)는 회전축 상에 도전성 탄성체층이 마련되도록 롤러 형상으로 구성되고, 중간 전사 벨트(30)를 통해 2차 전사 대향 롤러(33)에 접촉한다. 그리고, 2차 전사 롤러(32)의 회전축에는 2차 전사 대향 롤러(33)를 대향 전극으로서 이용하여 2차 전사 바이어스 전원(702)(도 4 참조)에 의해 양의 극성의 바이어스가 인가됨으로써, 2차 전사 롤러(32)와 감광 드럼(11) 사이에 2차 전사 전계가 형성된다.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0)는 저장 유닛(저장 장치)으로서 비접촉 비휘발성 메모리(17)를 구비하고 있다. 비접촉 비휘발성 메모리(17)는 정보 전달 유닛으로서 안테나(미도시)를 가지며, 화상 형성 장치 본체(1) 측의 제어 유닛(100)과 무선으로 통신하여, 정보를 읽고 쓸 수 있다. 비접촉 비휘발성 메모리(17)에는 감광 드럼(11)의 막 층과 감도에 대한 정보가 제조시에 저장된다. 그리고, 비접촉 비휘발성 메모리(17)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0)의 사용으로 인한 감광 드럼(11)의 막 두께와 감도의 변화량, 현상 롤러(13)의 회전수, 토너 소비량 등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여, 그 정보를 수시로 쓰고 읽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저장 유닛으로서, 접촉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전원을 가진 휘발성 메모리가 사용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1)에는 용지 반송 시스템으로서 용지 카세트(50), 픽업 롤러(51), 컨베이어 롤러(52 내지 57)가 배치되어 있다. 용지 카세트(50)에는 용지(P)가 수용되어 있다. 픽업 롤러(51)는 용지 카세트(50)에 수용된 용지(P)를 한 장씩 분리하여 반송한다. 컨베이어 롤러(52 내지 57)는 픽업 롤러(51)에 의해 공급되는 용지(P)를 반송한다.
다음으로, 도 1을 참조하여,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형성 동작의 개요를 설명한다. 먼저, 대전 롤러(12)가 감광 드럼(11)의 표면을 대전하여 소정의 대전 전위를 형성한다. 그리고, 레이저 노광 유닛(20)이 레이저 광(L)을 출사하고 감광 드럼(11)의 표면을 노광하여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또한, 현상 롤러(13)가 감광 드럼(11) 상에 토너를 공급함으로써 정전 잠상을 가시화하여 토너 화상을 형성한다. 감광 드럼(11) 상에 형성된 각 컬러의 토너 화상은 감광 드럼(11)이 화살표(R1)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1차 전사 위치로 보내지고, 1차 전사 롤러(31)와 감광 드럼(11) 사이에 형성된 1차 전사 전계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30) 상에 순차적으로 1차 전사된다. 이때, 4개의 컬러의 화상이 순차적으로 중첩하여 전사되므로, 4개의 컬러의 토너 화상의 중간 전사 벨트(30) 상의 위치들이 서로 일치한다. 이때, 1차 전사 후 감광 드럼(11) 상에 남은 잔류 토너는 드럼 클리너(14)에 의해 긁어내어져 회수된다.
한편, 기록재로서의 용지(P)가, 중간 전사 벨트(30)의 회전과 동기화하여, 용지(P)를 수용하고 있는 용지 카세트(50)에서 픽업 롤러(51)로 한 장씩 분리되어 반송된다. 그리고, 용지(P)는 컨베이어 롤러(52, 53)에 의해 화상 형성 동작과 동기화하여 2차 전사 롤러(32)로 반송된다. 그리고, 중간 전사 벨트(30) 상에 형성된 4개의 컬러의 토너 화상이 2차 전사 롤러(32)와 감광 드럼(11) 사이에 형성된 2차 전사 전계에 의해 일괄적으로 용지(P) 상에 2차 전사된다. 이때, 2차 전사 후 중간 전사 벨트(30) 상에 남은 잔류 토너는 화상 형성 단계의 1차 전사 위치에서 감광 드럼(11) 측으로 전사되어 드럼 클리너(14)에 의해 긁어내어져 회수된다. 이때, 바이어스를 인가하는 대전 브러쉬(미도시)에 의해 2차 전사 후 잔류 토너에 양의 극성의 전하가 인가된다.
또한, 4개의 컬러의 토너 화상이 전사된 용지(P)는 컨베이어 롤러(54, 55)에 의해 정착 장치(60)로 반송되고, 용지(P) 상의 토너 화상은 열과 압력에 의해 정착 처리되어 용지(P)에 정착된다. 그리고, 토너 화상이 정착된 용지(P)는 배출 롤러(58)에 의해 용지 배출구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 본체(1)의 상면에 배치된 용지 배출 트레이(미도시)로 컬러 화상 형성물로서 배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일련의 화상 형성 작업이 종료된다.
다음으로,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제 기술이 되는 백그라운드(비화상부) 노광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적으로, 감광 부재의 표면을 일단 화상 형성에 필요한 전위 이상으로 과대전시킨 후, 감광 부재 표면에서 화상 형성이 실시되지 않는 비화상부에 대해 약하게 발광시킨 레이저 광(L)을 조사하여 전위를 강하시키는 노광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 방법을 소위 백그라운드 노광이라 한다. 이 백그라운드 노광은 감광 드럼의 표면 전위의 균일성을 확보하기 위해 실시된다. 이 경우,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서와 같이 감광 드럼(11)과 대전 롤러(12)가 서로 접촉하는 구성에서는 화상 형성 동작에서 감광 드럼(11)의 사용으로 인해 감광 드럼(11)의 표면이 긁어내어져 막 두께가 감소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그리고, 감광 드럼(11) 표면의 막 두께가 감소하면, 감광 드럼(11)의 표면 전위가 상승한다. 따라서, 백그라운드 노광은 감광 드럼(11) 표면의 막 두께에 기초하여 레이저 노광 유닛(20)으로부터의 레이저 광(L)의 발광 강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감광 드럼(11)의 막 두께에 대한 정보가 화상 형성 매수, 화상 형성 장치를 통과한 용지(P)의 매수, 감광 드럼(11)의 회전수, 대전 롤러(12)에 의한 감광 드럼(11)의 대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레이저 노광 유닛에 의한 잠상 설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감광 드럼(11)은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원통형 기체와 그 표면을 덮고 있는 OPC(유기 반도체) 감광층으로 구성되며, 감광 층의 초기 막 두께는 20(㎛)이다. 그리고, 화상 형성 동작이 개시되면, 대전 롤러(12)에 -1100(V)의 1차 대전 바이어스(DC 전압)가 인가되고, 감광 드럼(11)의 표면에 -500(V)의 소정의 대전 전위로서의 1차 대전 전위(Vd0)가 형성된다.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레이저 노광 유닛(20)은 감광 드럼(11)의 표면을 노광할 때 레이저 파워로서 제1 레이저 파워(E1)와 제2 레이저 파워(E2)의 2개의 수준으로 출력값을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 유닛(100)에는 감광 드럼(11)의 표면 중 화상이 형성되는 화상부와 화상이 형성되지 않는 비화상부에 대응하여 레이저 노광 유닛(20)으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 파워를 제어하는 레이저 파워 제어 유닛(미도시)이 설치되어 있다.
레이저 파워 제어 유닛은 비화상부에 대해서는 비화상부 전위로서의 암부(暗部) 전위(Vd)용 레이저 파워로서 제1 레이저 파워(E1)를 선택하고, 화상부 전위로서의 명부(明部) 전위(Vl)용 레이저 파워로서 제2 레이저 파워(E2)를 선택한다.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단계에서 레이저 요소로서의 레이저 다이오드에 소정의 바이어스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레이저를 약하게 발광시키고, 이를 제1 레이저 파워(E1)로서 설정한다. 그리고, 화상부에서는, 전류값을 더 추가한 전류를 흘림으로써, 제2 레이저 파워(E2)를 설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레이저 요소로서의 레이저 다이오드 등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변화시킴으로써 레이저 파워(E1, E2)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요소에는 레이저 다이오드뿐만 아니라 발광 다이오드(LED)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감광 드럼의 표면 전위와 레이저 파워의 관계를 설명한다. 도 2는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감광 드럼 전위와 레이저 파워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의 그래프에서, 세로축은 감광 드럼(11)의 표면 전위(-V)를 나타내고, 가로축은 감광 드럼(11)의 표면이 받는 노광의 레이저 파워(E) (μJ/㎠)를 나타낸다. 이 그래프에서, 감광 드럼(11)의 막 두께는 사용 초기의 막 두께인 20(㎛)이다.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감광 드럼(11)의 화상부에 대해 레이저 노광 유닛(20)이 제2 레이저 파워(E2)(μJ/㎠)로 노광하여 약 -150(V)의 명부 전위(Vl)를 형성한다. 이와 동시에, 비화상부(백그라운드)에 대해 제2 레이저 파워(E2)보다 작은 제1 레이저 파워(E1)(μJ/㎠)로 노광하여 약 -450(V)의 암부 전위(Vd)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화상부와 비화상부에서의 전위 설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화상부와 비화상부에서의 전위 설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비화상부에 대해 약하게 발광함으로써(소위 "백그라운드 노광"이라 함), 감광 드럼(11) 표면의 대전 불균일을 억제하는 안정적인 암부 전위(Vd)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현상 롤러(13)에 약 -300(V)의 DC 바이어스가 인가되고, 현상 롤러(13)의 표면에 현상 전위로서의 현상 바이어스 전위(Vdc)가 형성된다. 이러한 이유로, 감광 드럼(11) 상의 명부 전위(Vl)와 현상 바이어스 전위(Vdc) 간의 전위차(현상 콘트라스트 전위)(Vc)에 의해 음의 극성으로 대전된 토너가 현상 롤러(13)에서 감광 드럼(11) 상으로 공급될 것이다. 그리고, 감광 드럼(11)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이 가시화됨에 따라, 감광 드럼(11) 상에 토너 화상이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대전 롤러(12)에 의한 감광 드럼(11)의 대전이 음의 전하로 실시되며, 현상은 음의 극성으로 대전된 토너에 의해 실시되는, 반전 현상 프로세스가 이루어진다.
명부 전위(Vl)와 현상 바이어스 전위(Vdc) 간의 전위차인 현상 콘트라스트 전위(Vc)는 화상부의 화상 농도와 계조를 설정하는 요인이다. 즉, 현상 콘트라스트 전위(Vc)가 작아지면, 충분한 화상 농도와 계조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현상 콘트라스트 전위(Vc)는 소정 값 이상을 확보한 원하는 값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현상 바이어스 전위(Vdc)와 암부 전위(Vd) 간의 전위차(블랭크 부분 콘트라스트 전위)(Vb)는 용지(P)의 블랭크 부분에서 소위 포깅(fogging)(백그라운드 얼룩(soiling)) 양을 결정하는 요인이다. 블랭크 부분 콘트라스트 전위(Vb)가 소정 값을 초과하여 커지면, 반대로 대전된 토너, 즉 양의 극성으로 대전된 토너가 용지(P)의 블랭크 부분에 포깅으로서 부착하여 화상 얼룩이나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오염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한편, 블랭크 부분 콘트라스트 전위(Vb)가 소정 값을 초과하여 작아지면, 정상적으로 대전된 토너, 즉 음의 극성으로 대전된 토너를 블랭크 부분에서 제거하기 어렵게 되며, 그 결과, 포깅이 발생한다. 따라서, 블랭크 부분 콘트라스트 전위(Vb)는 소정의 범위 내로 설정되어야 한다.
먼저, 감광 드럼(11)을 1차 대전하는 대전 롤러(12)에 의해, 감광 드럼(11)의 표면상에 1차 대전 전위(Vd0)가 형성된다. 그리고, 화상부에서는, 감광 드럼(11)의 표면 전위와 현상 바이어스 전위(Vdc) 간의 전위차가 현상 롤러(13)에서 감광 드럼(11)으로의 화상 형성에 충분한 토너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원하는 전위차가 되도록, 레이저 노광 유닛(20)이 노광을 실시한다.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레이저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된 레이저 노광 유닛(20)이, 감광 드럼(11)의 화상부에서의 전위가 명부 전위(Vl)가 되도록, 감광 드럼(11)의 대전 전위의 절대값을 강하(변화)시키는 레이저 파워(E2)로 노광을 실시한다. 비화상부에서는, 감광 드럼(11)의 표면 전위와 현상 바이어스 전위(Vdc) 간의 전위차(Vb)가 현상 롤러(13)에서 감광 드럼(11)으로 토너가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원하는 전위차가 되도록, 레이저 노광 유닛(20)이 노광을 실시한다.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레이저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된 레이저 노광 유닛(20)이, 감광 드럼(11)의 비화상부에서의 전위가 암부 전위(Vd)가 되도록, 감광 드럼(11)의 대전 전위의 절대값을 강하(변화)시키는 레이저 파워(E1)로 노광을 실시한다.
다음으로, 포깅을 억제하기 위한 전위 설정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대전 롤러(12)에 -1100(V)의 1차 대전 바이어스(DC 전압)가 인가되고, 감광 드럼(11)의 표면 상에 -500(V)의 1차 대전 전위(Vd0)가 형성된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어 유닛(100)은 원하는 암부 전위(Vd)로서 -450(V)를 얻기 위해 필요한 레이저 파워(E1)(μJ/㎠)를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 유닛(100)에 제공된 레이저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되는 레이저 노광 유닛(20)이 레이저 파워(E1)로 감광 드럼(11) 표면의 비화상부를 노광함으로써 -450(V)의 암부 전위(Vd)를 형성한다. 또한, 레이저 제어 유닛은 원하는 명부 전위(Vl)로서 -150V를 얻기 위해 필요한 레이저 파워(E2)(μJ/㎠)를 산출한다. 그리고, 레이저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되는 레이저 노광 유닛(20)이 레이저 파워(E2)로 감광 드럼(11) 표면의 화상부를 노광함으로써 -150(V)의 명부 전위(Vl)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서의 고전압 전원 회로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대전 바이어스 전원 및 현상 바이어스 전원과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와의 연결을 나타내는 배선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0Y 내지 10K)의 대전 롤러(12Y 내지 12K)에는 제1 전원으로서 대전 바이어스 전원(602)이 연결되어 있다. 즉, 대전 롤러(12Y 내지 12K)에 대전 바이어스를 인가하는 전원들은 하나의 공유화된 전원이며, 대전 롤러(12Y 내지 12K)에 동일한 값의 1차 대전 바이어스가 공급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0Y 내지 10K)의 현상 롤러(13Y 내지 13K)에는 제2 전원으로서 현상 바이어스 전원(601)이 연결되어 있다. 즉, 현상 롤러(13Y 내지 13K)에 현상 바이어스를 인가하는 전원들은 하나의 공유화된 전원이며, 현상 롤러(13Y 내지 13K)에 동일한 값의 현상 바이어스가 공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0Y 내지 10K)의 대전 롤러(12Y 내지 12K)와 현상 롤러(13Y 내지 13K)에 대한 전원을 최대한 공유화하는 구성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공유화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의 소형화 및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다.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두 가지 모드, 즉, 4개의 컬러로 화상 형성을 실시하는 제1 모드로서의 풀 컬러 화상 형성 모드(이하, "풀 컬러 모드"라 함)와, 단색으로 화상 형성을 실시하는 제2 모드(이하, "단색 모드"라 함)를 가지고 있다. 풀 컬러 모드와 단색 모드의 전환은 컨트롤러(200)에서 제어 유닛(100)으로 전송되는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단색 모드에서는 전술한 화상 형성 동작을 블랙(K)의 화상 스테이션(이하, "블랙 스테이션"이라 함)에서만 실시하기 때문에,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의 화상 형성을 실시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의 화상 스테이션의 현상 롤러(13Y, 13M, 13C)는 감광 드럼(11Y, 11M, 11C)으로부터 이격되어 회전 구동이 전달되지 않는 상태로 대기한다. 즉, 현상 롤러(13Y, 13M, 13C)가 정지 상태에 있다. 또한, 블랙(K)의 감광 드럼(11K) 이외의 감광 드럼(11Y, 11M, 11C)이 중간 전사 벨트(30)와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이 드럼들은 미끄럼 마찰로 인한 전사 메모리가 발생하지 않도록 회전 구동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각 모드에서의 1차 대전 전위와 노광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1차 대전 전위와 암부 전위 및 노광 제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5a는 풀 컬러 모드에서 1차 대전 전위와 암부 전위 및 노광 제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단색 모드에서 1차 대전 전위와 암부 전위 및 노광 제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와 같이 대전 롤러(12)에 대전 바이어스를 인가하는 전원들을 공유화한 구성에서는 모든 화상 스테이션에서 균일한 1차 대전 바이어스만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0)의 각 감광 드럼(11)의 상태는 사용 상태에 따라 균일하지 않고, 막 두께가 서로 다르다. 따라서, 1차 대전 전위는 각 감광 드럼(11)에서 서로 다르고, 각 감광 드럼(11Y 내지 11K) 상에는 각각 1차 대전 전위(Vd1, Vd2, Vd3, Vd4)가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현상 롤러(13)에 현상 바이어스를 인가하는 전원도 공유화되어 있으므로, 모든 화상 스테이션에서 균일한 현상 바이어스만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각 감광 드럼(11)에서 유사한 레이저 파워로 노광을 실시한 경우, 필연적으로 블랭크 부분 콘트라스트 전위(Vb)가 각 감광 드럼(11)마다 다르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블랭크 부분 콘트라스트 전위(Vb)가 서로 달라 부적합하게 되면, 블랭크 부분에서도 토너가 현상되는 소위 포깅 현상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풀 컬러 모드에서는 각 감광 드럼(11)의 막 두께 상태에 기초하여 백그라운드 노광을 실시함으로써, 각 1차 대전 전위(Vd1, Vd2, Vd3, Vd4)로부터 암부 전위(Vd)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풀 컬러 모드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10K)의 감광 드럼(11K)의 막 두께가 15㎛인 경우, 1차 대전 바이어스가 -1100(V)가 되고, 1차 대전 전위가 -550(V)가 되며, 암부 전위가 -450(V)가 되도록, 전위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최대한 전원들을 공용화한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항상 100(V) 범위로 전위를 변화시키는 레이저 파워로 백그라운드 노광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감광 드럼(11)은 항상 약간 강한 광량의 레이저에 노광되며, 감광 드럼(11)의 전하 수송층과 그 아래에 있는 전하 발생층이 광 피로를 겪을 수 있다. 즉, 감광 드럼(11)의 반복 사용과 연관된 전위의 변화 때문에, 감광층의 막 두께의 변화뿐만 아니라 노광으로 인한 감도의 변화(열화)가 발생한다. 이는 노광의 반복에 의해 감광층 내부에 잔류 전하가 축적되기 때문이다. 레이저 파워, 노광 시간 및 노광 면적에 따라 감도 변화의 정도가 달라지며, 노광에 의해 에너지가 더 많이 축적될수록, 잔류하는 전하량은 더 많아진다.
광 피로를 겪은 감광 드럼(11)에서는, 감도가 열화되기 때문에, 현상 콘트라스트 전위(Vc)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고 형성되는 화상의 농도가 얇아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대전된 후 감광 드럼(11)의 표면 전위가 시간에 따라 감쇠하고, 블랭크 부분 콘트라스트 전위(Vb)의 크기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어서, 블랭크 부분에서도 토너가 현상될 수 있는 소위 "포깅"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백그라운드 노광을 실시할 때 발광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레이저 요소가 열화하여 광량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 경우에도 충분한 현상 콘트라스트(Vc)를 확보할 수 없어서 농도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백그라운드 노광을 실시하기 위해, 일단 감광 드럼(11)의 표면 전위를 암부 전위(Vd)보다 마이너스 측으로 더 큰 값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1차 대전시에 평소보다 훨씬 더 많은 방전량이 필요하며, 감광 드럼(11)의 표면이 열화하여 쉽게 긁어내어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한 백그라운드 노광을 줄이기 위해, 단색 모드에서, 풀 컬러 모드에서의 제1 레이저 파워 이하인 레이저 파워로 백그라운드 노광을 실시하거나, 백그라운드 노광을 실시하지 않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단색 모드에서, 노광으로 인한 감광 드럼(11)의 광 열화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고, 감도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컬러 프린터에서도 블랙(K)의 인쇄율이 가장 높고, 단색 모드에서 인쇄 매수가 증가하고 있는 경향임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블랙 스테이션에서 감광 드럼(11K)의 서비스 수명 연장과 레이저의 서비스 수명 연장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예를 들어, 프로세스 카트리지(K)의 감광 드럼(11K)의 막 두께가 15㎛인 경우, 대전 바이어스가 -1020(V)이고, 1차 대전 바이어스가 -470(V)이며, 암부 전위가 -450(V)가 되도록 전위를 설정한다. 즉,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단색 모드에서 백그라운드 노광으로 인한 감광 드럼(11)의 표면 전위의 절대값의 강하를 약 20V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1차 대전 전위와 노광량의 크기를 최대한 억제함으로써, 감광 드럼(11)의 광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레이저 파워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레이저 파워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풀 컬러 모드에서만 각 감광 드럼(11)에 대해 강한 광량으로 백그라운드 노광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즉, 단색 모드에서는 풀 컬러 모드에서 실시하는 통상의 백그라운드 노광 제어를 실시할 필요가 없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단계(S001)에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에 구비된 제어 유닛(100)이 화상 형성을 위한 인쇄 정보(화상 정보)를 가진 인쇄 신호(화상 신호)를 컨트롤러(200)로부터 수신한다. 인쇄 정보는 형성하는 화상이 컬러 화상인지 또는 단색 화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단계(S002)에서, 제어 유닛(100)은 수신된 인쇄 정보에 기초하여 형성하는 화상이 단색 화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 유닛(100)이 단색 화상을 형성한다고 판단하는 경우(단계(S002)에서, "예"), 단계(S003)에서, 제어 유닛(100)은 단색 모드를 선택한다. 제어 유닛(100)이 단색 화상이 아닌 컬러 화상을 형성한다고 판단한다(단계(S002)에서, "아니오"). 그러면 단계(S007)에서, 제어 유닛(100)은 컬러 모드를 선택한다.
단계(S003)에서, 제어 유닛(100)이 단색 모드를 선택하면, 단계(S004)에서, 제어 유닛(100)은 감광 드럼(11K)(단색 모드용 감광 드럼)의 막 두께에 기초하여 대전 롤러(12)에 인가할 원하는 대전 바이어스를 설정한다. 상기 원하는 대전 바이어스는, 백그라운드 노광을 실시할 때, 감광 드럼(11K)의 표면 전위를 암부 전위(Vd)로 변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최소 크기의 1차 대전 전위(Vd4)를 감광 드럼(11K)의 표면상에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바이어스를 의미한다. 이때, 대전 바이어스 대신, 현상 롤러(13)에 인가될 현상 바이어스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그 후, 단계(S005)에서, 제어 유닛(100)은 감광 드럼(11K)의 막 두께에 대응하여 백그라운드 노광량을 설정한다.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100)은 암부 전위(Vd)를 형성하기 위한 제1 레이저 파워(E1)의 광량을 0.02(μJ/㎠)로 설정한다. 또한, 제어 유닛(100)은 명부 전위(Vl)를 형성하기 위한 제2 레이저 파워(E2)의 광량을 0.26(μJ/㎠)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단계(S006)에서, 제어 유닛(100)은 백그라운드 노광량을 설정한 후, 블랙 스테이션에서만 화상 형성을 실시한다. 또한, 제1의 예시적 실시예의 단색 모드에서는 감광 드럼(11K)의 표면 전위와 암부 전위(Vd) 간의 차이가 소정의 크기 이하가 되고, 표면 전위와 현상 바이어스 전위(Vdc) 간의 차이가 블랭크 부분 콘트라스트 전위(Vb)와 거의 동일한 크기로 될 수 있다. 이때, 감광 드럼(11K)의 표면 전위와 현상 바이어스 전위(Vdc) 간의 차이가 화상 형성에 적합한 소정의 범위 내에 있다. 그러한 경우, 비화상부의 표면 전위가 변화되지 않는 경우에도, 감광 드럼(11) 상에 포깅이 발생하지 않고 화상 형성에 문제가 없기 때문에, 백그라운드 노광을 실시할 필요가 없다.
한편, 단계(S007)에서, 제어 유닛(100)이 컬러 모드를 선택한다. 그리고, 단계(S008)에서, 제어 유닛(100)은 각 감광 드럼(11Y 내지 11K)의 막 두께에 기초하여 백그라운드 노광량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블랙 스테이션에서, 제어 유닛(100)은 암부 전위(Vd)를 형성하기 위한 제1 레이저 파워(E1)를 0.05(μJ/㎠)로 설정하고, 명부 전위(Vl)를 형성하기 위한 제2 레이저 파워(E2)를 0.3(μJ/㎠)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단계(S009)에서, 제어 유닛(100)은 각 백그라운드 노광량을 설정한 후, 모든 화상 스테이션에서 화상 형성을 실시한다. 그리고, 화상 형성이 종료된 후, 단계(S010)에서, 제어 유닛(100)은 다음 인쇄 신호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인쇄 신호가 존재하면(단계(S010)에서, "예"), 제어 유닛(100)은 전술한 단계들을 반복한다. 인쇄 신호가 존재하지 않으면(단계(S010)에서, "아니오"), 단계(S011)에서, 화상 형성 작업이 종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제어를 실시함으로써,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컬러 화상의 품질을 유지하면서, 레이저 광의 발광량을 저감하고 감광 드럼(11)의 수광량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컬러 모드에 대한 단색 모드의 비율이 절반인 조건에서 인쇄를 실시하는 경우, 기존의 구성과 비교하면, 레이저 광의 발광량을 약 30%로 제한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광원으로서의 레이저 요소의 서비스 수명을 약 60 내지 70% 정도 연장시킬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감광 드럼(11)의 수광량도 마찬가지로 줄일 수 있으므로, 감광 드럼(11)의 감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단색 모드와 컬러 모드로 각각 2500장(총 5000장)을 인쇄하는 경우, 기존의 구성에서는 약 30(V)의 감도 저하가 발생하는 것과 비교하여,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약 10(V)의 감도 저하가 발생하였다. 대전 전위 감쇠도 감광 드럼(11)의 수광량 감소에 의해 개선되었다. 또한, 감광 드럼(11)의 표면 긁어내어짐과 관련하여, 약 20%의 개선된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단색 모드에서, 감광 드럼(11K)의 막 두께에 기초하여 1차 대전 바이어스를 설정하고, 컬러 모드에서의 1차 대전 바이어스보다 낮은 1차 대전 바이어스를 각 감광 드럼(11)에 인가한다. 따라서, 각 감광 드럼(11)의 막 두께 감소 및 감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단색 모드에서, 감광 드럼(11K)을 노광하기 위해 사용되는 레이저 파워를 저감함으로써, 감광 드럼(11K)의 감도 저하 억제 및 광원의 서비스 수명 연장을 실현할 수 있다.
제2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단색 모드에서, 제어 유닛(100)이 수신한 인쇄 정보가 문자 정보만 있는 경우, 백그라운드 노광을 실시하지 않는다. 한편, 단색 모드에서, 인쇄 정보에 문자가 아닌 그래프 또는 화상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의 예시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컬러 모드에서보다 약한 광량으로 백그라운드 노광을 실시한다. 기타 구성, 예를 들어, 감광 드럼, 전위 설정 및 고전압 전원의 구성은 제1의 예시적 실시예와 유사하다. 제1의 예시적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설명을 반복하지는 않는다.
제1의 예시적 실시예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감광 드럼(11) 상에 백그라운드 노광을 실시하는 것은 대전의 균일성 또는 안정성의 관점에서 효과적이다. 또한, 블랙 스테이션에서 감광 드럼(11K)의 서비스 수명 연장과 레이저의 서비스 수명 연장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이러한 이유로, 단색 모드에서, 컬러 모드에서보다 약한 노광량으로 백그라운드 노광을 실시하거나 백그라운드 노광을 실시하지 않는 것은 상술한 문제에 대한 매우 효과적인 수단이 된다.
감광 드럼(11)의 서비스 수명 연장, 광원의 서비스 수명 연장, 대전의 균일 성, 안정성의 균형을 감안하면, 단색 모드에서 화상 정보를 기초하여 백그라운드 노광 제어를 전환하는 것도 효과적인 수단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정보에 문자 정보만 있는 경우, 화상 면에서 문제가 없기 때문에 백그라운드 노광을 실시할 필요가 없다. 한편, 그래프 또는 중간 색조 화상과 같은 화상 정보의 경우, 백그라운드 노광을 실시하는 것이 대전의 균일성, 안정성의 관점에서 더 좋은 경우가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제2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레이저 파워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제2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레이저 파워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S101)에서, 화상 형성 장치에 구비된 제어 유닛(100)이 화상 형성을 위한 인쇄 정보(화상 정보)를 가진 인쇄 신호(화상 신호)를 컨트롤러(200)로부터 수신한다. 인쇄 정보는 형성하는 화상이 컬러 화상인지 또는 단색 화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와, 형성하는 화상이 문자만 갖고 있는지 또는 문자 이외의 화상을 갖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단계(S102)에서, 제어 유닛(100)은 수신된 인쇄 정보에 기초하여 형성하는 화상이 단색 화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 유닛이 단색 화상을 형성한다고 판단하는 경우(단계(S102)에서, "예"), 단계(S103)에서, 제어 유닛(100)은 단색 모드를 선택한다. 제어 유닛이 컬러 화상을 형성한다고 판단하는 경우(단계(S102)에서, "아니오"), 단계(S107)에서, 제어 유닛(100)은 단색 화상이 아닌 컬러 모드를 선택한다.
단계(S103)에서, 단색 모드가 선택되면, 그와 동시에, 제어 유닛(100)은 인쇄 정보가 문자 정보만을 포함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문자 정보만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단계(S103)에서, "예"), 단계(S104)에서, 제어 유닛(100)은 백그라운드 노광 제어를 턴 오프하고, 대전 롤러(12)에 인가되어 명부 전위(Vl)를 형성하기 위한 원하는 대전 바이어스를 설정한다. 이때, 제어 유닛(100)은 대전 바이어스 대신, 현상 롤러(13)에 인가될 현상 바이어스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명부 전위(Vl)를 형성하기 위한 제2 레이저 파워(E2)를 0.26(μJ/㎠)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백그라운드 노광량을 설정한 후, 단계(S105)에서, 제어 유닛(100)은 블랙 스테이션에서만 화상 형성을 실시한다.
한편, 단색 모드가 선택된 경우, 그리고 화상 정보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단계(S103)에서, "아니오"), 단계(S106)에서, 제어 유닛(100)은 감광 드럼(11K)의 막 두께에 기초하여 원하는 대전 바이어스를 설정한다. 상기 원하는 대전 바이어스는, 백그라운드 노광을 실시할 때, 감광 드럼(11K)의 표면 전위를 암부 전위(Vd)로 변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최소 크기의 1차 대전 전위(Vd4)를 감광 드럼(11K)의 표면상에 형성할 수 있는 대전 바이어스를 의미한다. 이때, 대전 바이어스 대신, 현상 롤러(13)에 인가될 현상 바이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단계(S106)에서, 제어 유닛(100)은 백그라운드 노광량을 설정한다. 제2의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암부 전위(Vd)를 형성하기 위한 제1 레이저 파워(E1)를 0.02(μJ/㎠)로 설정하였다. 명부 전위(Vl)를 형성하기 위한 제2 레이저 파워(E2)를 0.28(μJ/㎠)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백그라운드 노광량을 설정한 후, 단계(S105)에서, 제어 유닛(100)은 블랙 스테이션에서만 화상 형성을 실시한다.
단계(S107)에서, 제어 유닛(100)이 컬러 모드를 선택하면, 단계(S108)에서, 제어 유닛(100)은 각 감광 드럼(11Y 내지 11K)의 막 두께에 기초하여 백그라운드 노광량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블랙 스테이션에서, 암부 전위(Vd)를 형성하기 위한 제1 레이저 파워(E1)를 0.05(μJ/㎠)로 설정하고, 명부 전위(Vl)를 형성하기 위한 제2 레이저 파워(E2)를 0.3(μJ/㎠)으로 설정한다. 모든 화상 스테이션에서 각 백그라운드 노광량을 설정한 후, 단계(S109)에서, 제어 유닛(100)은 모든 화상 스테이션에서 화상 형성을 실시한다. 화상 형성이 종료된 후, 단계(S110)에서, 제어 유닛(100)은 다음 인쇄 신호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인쇄 신호가 존재하면(단계(S110)에서, "예"), 제어 유닛(100)은 전술한 단계들을 반복한다. 인쇄 신호가 존재하지 않으면(단계(S110)에서, "아니오"), 단계(S111)에서, 화상 형성 작업이 종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제어를 실시함으로써, 제2의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컬러 화상의 품질을 유지하면서, 레이저 광의 발광량을 저감하고 감광 드럼(11)의 수광량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컬러 모드에 대한 단색 모드의 비율이 절반이고, 단색 모드에서 화상 정보를 포함한 경우에 대한 문자 정보만을 포함한 경우의 비율이 절반인 조건에서 인쇄를 실시하는 경우, 기존의 구성과 비교하면, 레이저 광의 발광량을 약 40%로 줄일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레이저 요소의 서비스 수명을 약 50 내지 60% 정도 연장시킬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감광 드럼(11)의 수광량도 마찬가지로 줄일 수 있으므로, 감광 드럼(11)의 감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단색 모드와 컬러 모드로 각각 2500장(총 5000장)을 인쇄하는 경우, 기존의 구성에서는 약 30(V)의 감도 저하가 발생하는 것과 비교하여, 제2의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약 15(V)의 감도 저하가 발생하였다. 대전 전위 감쇠도 감광 드럼(11)의 수광량 감소에 의해 개선되었다. 또한, 감광 드럼(11)의 표면 긁어내어짐과 관련하여, 약 15%의 개선된 경향을 확인되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2의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단색 모드에서, 감광 드럼(11K)의 막 두께에 기초하여 1차 대전 바이어스를 설정하고, 컬러 모드에서의 1차 대전 바이어스보다 낮은 1차 대전 바이어스를 각 감광 드럼(11)에 인가한다. 따라서, 각 감광 드럼(11)의 막 두께 감소 및 감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의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단색 모드에서, 감광 드럼(11K)을 노광하기 위해 사용되는 레이저 파워를 저감함으로써, 감광 드럼(11K)의 감도 저하 억제 및 광원의 서비스 수명 연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2의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단색 모드에서, 인쇄 정보에 문자 정보만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백그라운드 노광을 실시하지 않기 때문에, 감광 드럼(11K)의 감도 저하 억제 및 광원의 서비스 수명 연장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담지 부재로서의 기능을 하는 감광 부재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으며, 노광 유닛의 레이저 파워를 줄일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음을 또한 이해할 것이다. 하기된 특허청구범위는 모든 변형들, 등가의 구조들 및 기능들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기록재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복수의 화상 담지 부재;
    상호 공유하는 제1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동일한 대전 바이어스에 의해 대응하는 화상 담지 부재를 대전하여 그 화상 담지 부재의 표면에 미리 정해진 대전 전위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대전 장치;
    상기 화상 담지 부재의 표면 중 현상제 담지 부재로부터 현상제가 공급되지 않는 비화상부를 제1 레이저 파워로 노광하여 비화상부 전위를 발생시키고, 상기 현상제 담지 부재로부터 현상제가 공급되는 화상부를 상기 제1 레이저 파워보다 큰 제2 레이저 파워로 노광하여 화상부 전위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노광 장치;
    상호 공유하는 제2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동일한 현상 바이어스에 의해 표면에 미리 정해진 현상 전위가 형성되고, 대응하는 화상 담지 부재의 화상부에 현상제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현상제 담지 부재;
    상기 복수의 화상 담지 부재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 장치; 및
    상기 대전 바이어스와 각 화상 담지 부재에 대한 상기 제1 레이저 파워와 상기 제2 레이저 파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복수의 현상제 담지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화상 담지 부재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컬러 모드와, 상기 복수의 현상제 담지 부재 중 하나의 현상제 담지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화상 담지 부재 중 하나의 화상 담지 부재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단색 모드(mono-mode)를 실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컬러 모드가 실행될 때, 상기 복수의 화상 담지 부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전 바이어스와 각 화상 담지 부재에 대한 상기 제1 레이저 파워와 상기 제2 레이저 파워를 결정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단색 모드가 실행될 때, 단색 모드용의 상기 하나의 화상 담지 부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전 바이어스와 상기 하나의 화상 담지 부재에 대한 상기 제1 레이저 파워와 상기 제2 레이저 파워를 결정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컬러 모드를 실행할 때, 상기 하나의 화상 담지 부재에 대해 이용되는 상기 제1 레이저 파워의 값을 제1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단색 모드를 실행할 때, 상기 하나의 화상 담지 부재에 대해 이용되는 상기 제1 레이저 파워의 값을 상기 제1 값보다 작은 제2 값으로 설정하거나, 상기 하나의 화상 담지 부재의 비화상부를 노광하지 않도록 상기 제1 레이저 파워를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색 모드를 실행할 때, 상기 대전 바이어스의 절대값은 상기 컬러 모드를 실행할 때의 대전 바이어스의 절대값보다 작은, 화상 형성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담지 부재에 대한 정보는 상기 화상 담지 부재의 막 두께에 대한 정보인, 화상 형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모드를 실행할 때, 상기 제어 유닛은, 화상 담지 부재의 막 두께가 얇을수록 상기 화상 담지 부재에 대한 제1 레이저 파워를 더 크게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담지 부재의 막 두께에 대한 정보는 화상 형성 매수,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통과한 기록재의 매수,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화상 담지 부재의 회전수 및 상기 대전 장치에 의한 상기 화상 담지 부재의 대전 시간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상 담지 부재가 각각 카트리지 구성으로 조립되고,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색 모드에서 화상 형성을 실시하는 경우, 상기 하나의 화상 담지 부재의 표면에 형성된 대전 전위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을 때, 상기 노광 장치는 상기 하나의 화상 담지 부재의 비화상부에 대해 노광을 실시하지 않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색 모드에서 문자의 화상 형성만을 실시하는 경우, 상기 하나의 화상 담지 부재의 비화상부에 대해 노광을 실시하지 않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30044769A 2012-04-24 2013-04-23 화상 형성 장치 KR1016161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98871 2012-04-24
JP2012098871A JP5683524B2 (ja) 2012-04-24 2012-04-24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877A KR20130119877A (ko) 2013-11-01
KR101616163B1 true KR101616163B1 (ko) 2016-04-27

Family

ID=49380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4769A KR101616163B1 (ko) 2012-04-24 2013-04-23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34643B2 (ko)
JP (1) JP5683524B2 (ko)
KR (1) KR101616163B1 (ko)
CN (1) CN10337670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11891B2 (ja) * 2012-05-17 2014-06-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4048390A (ja) * 2012-08-30 2014-03-1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9116456B2 (en) * 2012-10-26 2015-08-2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5777687B2 (ja) * 2012-11-28 2015-09-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541370B2 (ja) * 2015-02-27 2019-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6679253B2 (ja) * 2015-09-16 2020-04-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313855B2 (ja) * 2019-03-25 2023-07-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6853A (ja) * 2001-03-30 2002-10-0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4151612A (ja) * 2002-11-01 2004-05-27 Seiko Epson Corp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12037662A (ja) * 2010-08-05 2012-02-23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2435A (ja) 1992-12-09 1994-07-22 Mitsubishi Petrochem Co Ltd 電子写真方法及び電子写真複写装置
JPH08171260A (ja) * 1994-12-15 1996-07-02 Canon Inc 電子写真装置
JP2004062016A (ja) * 2002-07-31 2004-02-26 Minolta Co Ltd タンデム式フル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6145903A (ja) * 2004-11-19 2006-06-0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6181883A (ja) * 2004-12-28 2006-07-13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7304523A (ja) * 2006-05-15 2007-11-2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8134287A (ja) * 2006-11-27 2008-06-12 Fuji Xerox Co Ltd 感光体の膜厚変動検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ユニット、並びに画像形成装置
US20090300009A1 (en) * 2008-05-30 2009-12-03 Netseer, Inc. Behavioral Targeting For Tracking, Aggregating, And Predicting Online Behavior
JP5511244B2 (ja) * 2008-08-18 2014-06-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1081122A (ja) * 2009-10-06 2011-04-21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JP5875237B2 (ja) * 2011-03-11 2016-03-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6853A (ja) * 2001-03-30 2002-10-0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4151612A (ja) * 2002-11-01 2004-05-27 Seiko Epson Corp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12037662A (ja) * 2010-08-05 2012-02-23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877A (ko) 2013-11-01
CN103376701B (zh) 2015-11-25
CN103376701A (zh) 2013-10-30
US20130279927A1 (en) 2013-10-24
US9134643B2 (en) 2015-09-15
JP5683524B2 (ja) 2015-03-11
JP2013228463A (ja) 201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6163B1 (ko) 화상 형성 장치
US920755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934197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9052670B2 (e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US1019793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control that compensates for changing humidity
JP6029455B2 (ja) 画像形成装置
JP5568958B2 (ja) 露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10413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ontrol of charging voltage of photosensitive member
US2013014151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6176906B2 (ja) 画像形成装置
US2008015237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322215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235103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US945955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9186733A (ja) 転写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64587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6293161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JP2015210505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