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4737B1 - Fpcb 일체형 female 커넥터를 이용한 케이블 연결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연결구 - Google Patents

Fpcb 일체형 female 커넥터를 이용한 케이블 연결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4737B1
KR101614737B1 KR1020160003411A KR20160003411A KR101614737B1 KR 101614737 B1 KR101614737 B1 KR 101614737B1 KR 1020160003411 A KR1020160003411 A KR 1020160003411A KR 20160003411 A KR20160003411 A KR 20160003411A KR 101614737 B1 KR101614737 B1 KR 101614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fpcb
housing
conductive pin
l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3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동일
송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럭스콘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럭스콘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럭스콘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60003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47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1Pads for surface mounting, e.g. lay-ou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8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specially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e.g. using folded por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FPCB 일체형 FEMALE 커넥터를 이용한 케이블 연결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연결구에 있어서, 특히 FPCB의 기판에 접속용 FEMALE 커넥터를 결합하되 원통형 도전핀을 이용하여 상호 결합하고, 케이블로부터 연장되는 도선을 FEMALE 커넥터를 통해 FPCB 기판에 결합하되 납땜에 의해서 도선과 도전핀과 FPCB 기판이 상호 접속되도록함으로서 케이블과 FPCB의 전기적 접속력이 극대화되며, 아울러 케이블 외주연에 케이블 인장력 압착 가스켓 및 케이블 씰을 부가 설치하여 방수 기능을 극대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CB 일체형 FEMALE 커넥터를 이용한 케이블 연결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일측이 전기신호 제공장치와 연결되는 케이블 접속부(10)와, 상기 케이블 접속부와 커넥터 하우징(30)를 통해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카메라 모듈과 연결되는 FPCB 기판(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블 접속부(10)는, 전기신호 제공장치와 연결되는 케이블(11)과, 상기 케이블의 일측으로부터 유도되는 도선(12)과, 상기 도선의 외부를 감싸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피복(13)과, 상기 케이블 외측에 케이블 인장력 압착 가스켓(40) 및 케이블 씰(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30)는, 도선의 갯수에 상응하는 다수개의 홀을 형성한 접속용 하우징(31)과, 상기 접속용 하우징(31)의 내측에 삽입 결합하되 FPCB 기판을 동시에 결합시키며 내부홀을 통해 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제 1 전기적 결합구조를 갖는 원통형 도전핀(32)과, 상기 원통형 도전핀의 외측과 FPCB 기판을 접속하여 제 2 전기적 결합구조를 갖는 도전핀 연결용 납땜부(33)와, 상기 도선과 도전핀을 접속하여 제 3 전기적 결합구조를 갖는 도선 연결용 납땜부(34)와, 상기 도선과 FPCB 기판을 접속하여 제 4 전기적 결합구조를 갖는 FPCB 기판 연결용 납땜부(35)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FPCB 일체형 FEMALE 커넥터를 이용한 케이블 연결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연결구{Method of Manufacturing Cable Connector for Camera Module Using FPCB and the Cable Connector}
본 발명은 FPCB 일체형 FEMALE 커넥터를 이용한 케이블 연결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FPCB의 기판에 접속용 FEMALE 커넥터를 결합하되 원통형 도전핀을 이용하여 상호 결합하고, 케이블로부터 연장되는 도선을 FEMALE 커넥터를 통해 FPCB 기판에 결합하되 납땜에 의해서 도선과 도전핀과 FPCB 기판이 상호 접속되도록함으로서 케이블과 FPCB의 전기적 접속력이 극대화되며, 아울러 케이블 외주연에 케이블 인장력 압착 가스켓 및 케이블 씰을 부가 설치하여 방수 기능을 극대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CB 일체형 FEMALE 커넥터를 이용한 케이블 연결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차량 등에 카메라가 설치되어 감시 기능 및 블랙박스 기능 등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차량 등에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과 같이, 차량 등에서 자체적으로 제공되는 전기 신호 제공 장치는 일반적으로 일정한 크기로 규격화되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이 전기 신호 제공 장치에 연결되어 외부로 나가는 케이블의 규격도 이에 맞추어 정해져 있다. 그런데 차량 등에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은 그 크기가 소형화되고 있어 카메라 모듈에 연결된 케이블의 크기도 작아 차량 등에 내장된 전기 신호 제공 장치의 케이블에 연결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차량 등에서 제공되는 크기가 굵은 케이블을 직접 소형 카메라 모듈의 커넥터에 연결하는 다양한 시도가 있었으나, 번번이 실패하여 현재로서는 차량 등의 전기 신호 제공 장치와 카메라 모듈을 하나의 케이블로 연결하지 못하고, 굵기가 상이한 두 전선을 별도의 작업으로 연결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도 1(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이 상이한 두 전선을 연결하려면 두 장치로부터 연장된 두케이블의 말단 피복을 벗기고 두 도선을 교차하여 비틀거나 단자압착 또는 납땜 방식으로 함께 연결한 후, 절연용 튜브 등으로 감싼 다음에 연결 부분을 전체로 덮도록 몰딩 처리를 수행하는 등의 후처리 작업이 이루어져야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후처리 작업에 의한 연결 부위 형성에 따른 노이즈 발생이 문제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차폐 케이블을 사용하거나 다른 부호의 신호가 흐르는 선로를 꼬아 트위스트 페어 방식으로 형성함으로써 기전력을 상쇄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등록 제 10-1276467호에서는 FPCB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용 케이블 연결구 제작 방법 및 카메라 모듈용 케이블 연결구가 안출되었는바, (a) 복수의 도선이 서로 절연된 상태로 삽입된 케이블에서 도선 말단의 피복을 벗겨 케이블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도선과 동일한 개수의 홀이 평행하게 형성된 도선 지지 부재를 준비하는 단계, (c) 상기 도선 지지 부재의 홀에 상기 도선을 삽입하는 단계, (d) 상기 도선이 삽입된 상기 도선 지지 부재가 상기 케이블에 일체로 방수 밀봉되도록 상기 도선 지지 부재의 둘레를 형상 사출하는 단계, 및 (e) 상기 도선 지지 부재 상의 도선에 카메라 모듈의 PCB기판에 연결될 FPCB(Flexible PCB)의 일단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고, 또한, 복수의 도선이 서로 절연된 상태로 삽입된 케이블; 상기 도선과 동일한 개수의 홀이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홀을 통하여 상기 도선이 삽입되어 상기 도선 말단이 외측에 노출된 도선 지지 부재; 상기 도선 지지 부재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도선 지지 부재를 상기 케이블과 일체로 방수 밀봉시키기 위한 하우징; 및 상기 도선 지지 부재의 외측에 노출된 상기 도선 말단에 도전적으로 연결된 FPCB;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 특허는 도선 지지 부재가 단순히 도선의 몸체를 지지하는데 그 역할이 그치고, 아울러 도선과 FPCB는 납땜에 의해서 1차적인 결합만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의해서 쉽게 탈착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 특허의 도선 지지부재는 그 역할이 단순히 도선의 움직임을 지지하는데 그치고, 아울러 도선과 FPCB는 단순히 납땜에 의해서 1차적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잦은 외부 진동이 가해질 경우 1차적 접속이 해제되면 도선과 FPCB의 전기적 해제가 쉽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상기 부품은 매우 작기 때문에 고장 발생시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또다른 FPCB 연결부재로서 특허 제 10-1546318를 통해 기기 연결용 커넥터 및 기기 연결용 커넥터 제조 방법이 안출되었는바, 핵심 특허내용을 살펴보면, 하나의 양태에 따른 기기(device)와 상기 기기에 신호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cable)을 연결하는 기기 연결용 커넥터로서, 상기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소켓 커넥터, 및 상기 케이블의 전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소켓 커넥터에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 커넥터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의 도전 결합을 위한 다수의 접촉 홀이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일단이 상기 케이블의 상기 전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소켓 커넥터의 상기 접촉 홀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돌출 형성된 제1 중간 연결 블록; 및 상기 제1 중간 연결 블록과 상기 케이블 사이의 연결부를 밀봉 고정하기 위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중간 연결 블록은: 길이를 갖는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말단 개구부로부터 상기 돌기부를 향하여 중공이 길게 형성된 돌기수용부로 구성된 도전 핀; 및 상기 도전 핀을 상기 접촉 홀의 배치에 대응하여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도전 핀의 상기 돌기수용부의 외면을 감싸도록 사출 형성된 절연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 핀의 상기 돌기수용부의 상기 중공에 상기 케이블의 상기 전선이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캡형 도전핀을 구비하여 도선을 미리 삽입 설치하고, 상기 도전핀의 외측을 이용하여 FPCB에 결합하는 것인바, 도전핀과 도선이 물리적으로 접속시킨 상태이기 때문에 외부 진동 충격시 도선이 도전핀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으며, 아울러 도전핀과 FPCB가 단순히 1차적인 결합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해제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등록특허 제 10-1580361호에는 FPCB와 케이블을 연결하는 카메라 모듈이 안출되었는바, 핵심 특허내용을 살펴보면 렌즈 유닛; 상기 렌즈 유닛과 결합하는 하우징; 케이블의 전선이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렌즈 유닛의 가요성 기판과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접속단자가 형성되는 연결 터미널; 및 상기 연결 터미널을 상기 가요성 기판에 고정시키는 고정 몰드;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고정 몰드의 위치를 고정하는 댐 구조물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 역시 케이블의 전선과 FPCB에 해당하는 가요성 기판이 단지 1차적인 접촉 구조에 의해서 결합되고 있어서 잦은 진동에 의해서 결합력이 약화될 경우 전기적 결합력이 쉽게 해제되는 문제가 있고, 또한 댐 구조물이 단순한 실링 구조여서 방수력에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FPCB의 기판에 접속용 FEMALE 커넥터를 결합하되 원통형 도전핀을 이용하여 상호 결합하여 1차 결합구조를 갖고, 케이블로부터 연장되는 도선을 FEMALE 커넥터를 통해 FPCB 기판에 결합하되 납땜에 의해서 도선과 도전핀이 결합되는 2차 결합구조를 갖고, 납땜에 의해서 도전핀과 FPCB 기판이 상호 결합되는 3차 결합구조를 갖고, 납땜에 의해서 도선과 FPCB 기판이 상호 결합되는 4차 결합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서 케이블과 FPCB의 전기적 접속력이 극대화되며, 아울러 케이블 외주연에 케이블 인장력 압착 가스켓 및 케이블 씰을 부가 설치하여 방수 기능을 극대화시키도록 구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일측이 전기신호 제공장치와 연결되는 케이블 접속부(10)와, 상기 케이블 접속부와 커넥터 하우징(30)를 통해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FPCB 몸체(20a)를 통해 카메라 모듈과 연결되는 FPCB 기판(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블 접속부(10)는, 전기신호 제공장치와 연결되는 케이블(11)과, 상기 케이블의 일측으로부터 유도되는 도선(12)과, 상기 도선의 외부를 감싸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피복(13)과, 상기 케이블 외측에 케이블 인장력 압착 가스켓(40) 및 케이블 씰(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30)는, 도선의 갯수에 상응하는 다수개의 홀을 형성한 접속용 하우징(31)과, 상기 접속용 하우징(31)의 내측에 삽입 결합하되 FPCB 기판을 동시에 결합시키며 내부홀을 통해 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제 1 전기적 결합구조를 갖는 원통형 도전핀(32)과, 상기 원통형 도전핀의 외측과 FPCB 기판을 접속하여 제 2 전기적 결합구조를 갖는 도전핀 연결용 납땜부(33)와, 상기 도선과 도전핀을 접속하여 제 3 전기적 결합구조를 갖는 도선 연결용 납땜부(34)와, 상기 도선과 FPCB 기판을 접속하여 제 4 전기적 결합구조를 갖는 FPCB 기판 연결용 납땜부(35)를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케이블의 외측에 장착되는 케이블 인장력 압착 가스켓(40) 및 케이블 씰(50)과; 상기 케이블 인장력 압착 가스켓(40) 및 케이블 씰(50) 주변에 장착되는 하우징(60)과; 상기 하우징(60) 내부를 체우는 에폭시(70)와; 상기 하우징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타장치와 결합시 수밀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실리콘 오링(8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도전핀 연결용 납땜부(33)와, 도선 연결용 납땜부(34)와, FPCB 기판 연결용 납땜부(35)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1) 케이블 접속부(10)와, FPCB 기판(20)과, 커넥터 하우징(30)를 구비하되, 커넥터 하우징(30)와 FPCB 기판(20)을 원통형 도전핀(32)으로 동시에 결합시키는 단계와; (2) 케이블 접속부(10)의 일측을 절단하여 케이블 피복(13)이 외부로 들어나도록하고, 아울러 케이블 피복(13)을 벗겨내어 도선(12)이 외부로 들어나도록 하는 단계와; (3) 하우징 결합을 위한 전초 작업으로서 케이블 인장력 압착 가스켓(40) 및 케이블 씰(50)을 케이블(10)의 외주연에 장착하는 단계와; (4) 커넥터 하우징(30)의 도전핀(32) 내측에 케이블 접속부(10)의 도선(12)을 강제 끼움 결합시켜 제 1 전기적 결합구조를 갖도록 하는 단계와; (5) 결합이 완료된 도전핀(32)과 도선 및 FPCB 기판(20)에 납땜을 하되, 상기 원통형 도전핀(32)의 외측과 FPCB 기판(20)을 납땜으로 접속하여 납땜부(33)를 형성시킴으로서 제 2 전기적 결합구조를 갖도록하고, 상기 도선(12)과 도전핀(32)을 납땜으로 접속하여 납땜부(34)를 형성시킴으로서 제 3 전기적 결합구조를 갖도록하며, 상기 도선(12)과 FPCB 기판(20)을 납땜으로 접속하여 납땜부(35)를 형성시킴으로서 제 4 전기적 결합구조를 갖도록 하는 단계와; (6) 케이블 인장력 압착 가스켓(40) 및 케이블 씰(50) 주변에 하우징(60)을 장착하는 단계와; (7) 하우징(60) 내부를 에폭시(70) 처리하여 하우징 내부 구성을 마무리하는 단계와; (8) 하우징(60)의 외주연에는 실리콘 오링(80)을 부가하여 타장치와 결합시에 수밀이 극대화되도록 구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FPCB의 기판에 접속용 FEMALE 커넥터를 결합하되 원통형 도전핀을 이용하여 상호 결합하여 1차 결합구조를 갖고, 케이블로부터 연장되는 도선을 FEMALE 커넥터를 통해 FPCB 기판에 결합하되 납땜에 의해서 도선과 도전핀이 결합되는 2차 결합구조를 갖고, 납땜에 의해서 도전핀과 FPCB 기판이 상호 결합되는 3차 결합구조를 갖고, 납땜에 의해서 도선과 FPCB 기판이 상호 결합되는 4차 결합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서 케이블과 FPCB의 전기적 접속력이 극대화되며, 아울러 케이블 외주연에 케이블 인장력 압착 가스켓 및 케이블 씰을 부가 설치하여 방수 기능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카메라 모듈과 케이블의 연결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케이블 연결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케이블 연결부에 케이블 인장력 압착 가스켓을 설치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케이블 연결부에 케이블 인장력 압착 가스켓 및 케이블 씰을 설치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FPCB 기판에 커넥터 하우징을 연결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FPCB 기판에 커넥터 하우징을 연결하되 도전핀에 의해서 FPCB 기판 및 커넥터 하우징이 결합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케이블 연결부의 도선으로 FPCB 기판에 강제 결합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FPCB 기판과 도선 및 도전핀을 납땜으로 결합시킨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FPCB 기판과 도선과 도전핀과 커넥터 하우징 및 납땜부의 결합 단면도.
도 9a는 도 9의 요부 확대도.
도 9b는 도 9의 요부 단면도로서 원통형 도전핀의 외측과 FPCB 기판을 접속하여 제 2 전기적 결합구조를 갖는 도전핀 연결용 납땜부 도면.
도 9c는 도 9의 요부 단면도로서 도선과 도전핀을 접속하여 제 3 전기적 결합구조를 갖는 도선 연결용 납땜부 도면.
도 9d는 도 9의 요부 단면도로서 도선과 FPCB 기판을 접속하여 제 4 전기적 결합구조를 갖는 FPCB 기판 연결용 납땜부 도면.
도 9e는 도 9의 요부 단면도로서 제 2 전기적 결합구조 내지 제 4 전기적 결합구조를 완성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케이블 연결부에 하우징을 결합한 상태도.
도 10a는 도 10의 요부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케이블 연결부에 에폭시 처리한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하우징 외주연에 실리콘 오링을 장착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케이블 연결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케이블 연결부에 케이블 인장력 압착 가스켓을 설치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케이블 연결부에 케이블 인장력 압착 가스켓 및 케이블 씰을 설치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FPCB 기판에 커넥터 하우징을 연결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FPCB 기판에 커넥터 하우징을 연결하되 도전핀에 의해서 FPCB 기판 및 커넥터 하우징이 결합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케이블 연결부의 도선으로 FPCB 기판에 강제 결합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FPCB 기판과 도선 및 도전핀을 납땜으로 결합시킨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FPCB 기판과 도선과 도전핀과 커넥터 하우징 및 납땜부의 결합 단면도.
도 9a는 도 9의 요부 확대도.
도 9b는 도 9의 요부 단면도로서 원통형 도전핀의 외측과 FPCB 기판을 접속하여 제 2 전기적 결합구조를 갖는 도전핀 연결용 납땜부 도면.
도 9c는 도 9의 요부 단면도로서 도선과 도전핀을 접속하여 제 3 전기적 결합구조를 갖는 도선 연결용 납땜부 도면.
도 9d는 도 9의 요부 단면도로서 도선과 FPCB 기판을 접속하여 제 4 전기적 결합구조를 갖는 FPCB 기판 연결용 납땜부 도면.
도 9e는 도 9의 요부 단면도로서 제 2 전기적 결합구조 내지 제 4 전기적 결합구조를 완성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케이블 연결부에 하우징을 결합한 상태도.
도 10a는 도 10의 요부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케이블 연결부에 에폭시 처리한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하우징 외주연에 실리콘 오링을 장착한 상태도로서,
먼저,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크게 케이블 접속부(10)와, FPCB 몸체(20a)의 말단에 형성된 FPCB 기판(20)과, 커넥터 하우징(FEMALE 커넥터, 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블 접속부(10)는 전기신호 제공장치와 연결되는 케이블(11)과, 상기 케이블의 일측으로부터 유도되는 도선(12)과, 상기 도선의 외부를 감싸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피복(13)과, 상기 케이블 외측에 케이블 인장력 압착 가스켓(40) 및 케이블 씰(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30)은 도선의 갯수에 상응하는 다수개의 홀을 형성한 접속용 하우징(31)과, 상기 접속용 하우징(31)의 내측에 삽입 결합하되 FPCB 기판(20)을 동시에 결합시키며 내부홀을 통해 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제 1 전기적 결합구조를 갖는 원통형 도전핀(32)과, 상기 원통형 도전핀의 외측과 FPCB 기판을 접속하여 제 2 전기적 결합구조를 갖는 도전핀 연결용 납땜부(33)와, 상기 도선과 도전핀을 접속하여 제 3 전기적 결합구조를 갖는 도선 연결용 납땜부(34)와, 상기 도선과 FPCB 기판을 접속하여 제 4 전기적 결합구조를 갖는 FPCB 기판 연결용 납땜부(35)를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케이블 접속부(10)는 케이블과 도선과 피복을 주요한 구성요소로 구성하는바, 상기 케이블(11)은 일측이 전기신호 제공장치와 연결되어 외부 전기신호를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케이블(11)의 내부에 설치된 도선(12)이 전기신호 제공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주고받는 다리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도선(12)의 외측은 피복(13)에 의해 둘러쌓여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외부 먼지 등으로부터 도선을 물리적으로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원통형 도전핀(32)은 FPCB 기판(20)과 접속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블(11)의 도선(12)을 FPCB 기판(20)과 접속시켜 케이블(11)과 FPCB 기판(2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하며, 이에 따라 FPCB 기판(20)의 타단에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과 케이블 접속부(10)에 연결되는 전기신호 제공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호 신호를 주고 받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원통형 도전핀(32)에 케이블의 도선(12)이 끼움 결합되어 접속된 상태이므로 상기 도전핀(32)을 통해 FPCB 기판(20)이 1차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방법으로 도선(12)과 FPCB 기판(20)을 접속시키도록하는바, 1차적으로 원통형 도전핀(32)의 내부에 도선(12)이 삽입되면서 도전핀(32)과의 물리적인 접촉을 통해 도전핀(32) 및 FPCB 기판(20)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원통형 도전핀(32)의 외측 끝단부와 FPCB 기판(20)을 납땜으로 접속하여 납땜부(33)를 형성함으로서 제 2 전기적 결합구조를 갖도록 제작한다(도 9b).
그리고, 상기 도선(12)의 끝단부와 도전핀(32)의 끝단부를 납땜으로 접속하여 납땜부(34)를 형성함으로서 제 3 전기적 결합구조를 갖도록 제작하고(도 9c), 상기 도선(12)과 FPCB 기판(20)을 납땜으로 접속하여 납땜부(35)를 형성함으로서 제 4 전기적 결합구조를 갖도록 제작한다(도 9d).
상기와 같이 원통형 도전핀(32)을 이용하여 도선(12)과 FPCB 기판(20)을 4가지 결합방법으로 결합하게 되며, 이에 따라 도선(12)과 FPCB 기판(20)이 전기적으로 강력하게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도 9e).
만약에 제 1 전기적 결합구조가 망실되더라도 제 2 결합구조 내지 제 4 결합구조가 존재하기 때문에 도선(12)과 FPCB 기판(20)의 전기적 결합관계는 계속 유지될 수 있다.
즉, 원통형 도전핀(32)과 FPCB 기판(20)의 물리적 결합이 이루어지는 제 1 결합구조가 망실되더라도 납땜부(33, 34, 35)에 의해 연결되는 제 2 결합구조 내지 제 4 결합구조가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도선(12)과 FPCB 기판(20)의 전기적 결합관계는 계속 유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원통형 도전핀(32)의 외측 끝단부와 FPCB 기판(20)이 납땜부(33)로 접속된 제 2 결합구조가 망실되더라도 제 1 결합구조와 제 3 결합구조 및 제 4 결합구조가 존재하여 도선(12)과 FPCB 기판(20)의 전기적 결합이 유지되며, 도선(12)의 끝단부와 도전핀(32)의 끝단부를 납땜으로 접속된 제 3 전기적 결합구조가 망실되더라도 제 1 결합구조와 제 2 결합구조 및 제 4 결합구조가 존재하여 도선(12)과 FPCB 기판(20)의 전기적 결합이 유지되고, 도선(12)과 FPCB 기판(20)을 납땜으로 접속된 제 4 전기적 결합구조가 망실되더라도 제 1 결합구조 내지 제 3 결합구조가 존재하여 도선(12)과 FPCB 기판(20)의 전기적 결합이 유지된다.
따라서, 다수개의 결합구조 중에서 어느 한개의 결합구조가 망실되더라도 나머지 결합관계에 의해서 도선(12)과 FPCB 기판(20)의 전기적 결합이 유지되기 때문에 수명을 길게 가져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원 발명과 같은 연결에 의해서 케이블 접속부(10)의 케이블(11)은 도선(12)과 원통형 도전핀(32)과 FPCB 기판(20)이 전기적으로 모두 연결되며, 이에 따라 케이블 접속부(10)의 타단에 연결되는 전기신호 제공장치와 FPCB 기판(20)의 타단에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호 신호 교류가 가능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제 2 결합구조 내지 제 4 결합구조는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은 케이블(10)의 도선(12)과 FPCB 기판(20)을 4가지 결합구조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하여 보다 강력한 결합이 가능하게 되며,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져도 쉽게 해체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FPCB 기판과 도선을 접속한후에 납땜(30)을 하여 전기적 결합을 완성하고, 하우징 결합을 위한 전초 작업으로서 케이블(11)의 외측에 케이블 인장력 압착 가스켓(40) 및 케이블 씰(50)을 장착하며, 상기 케이블 외주연의 케이블 인장력 압착 가스켓(40) 및 케이블 씰(50) 주변에 하우징(60)을 장착하고, 상기 하우징(60) 내부를 에폭시(70) 처리하여 마무리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60)의 외주연에는 실리콘 오링(80)을 부가하여 타장치와 결합시에 수밀이 극대화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선이 직접 접속용 하우징(31)의 내측으로 깊숙히 삽입 결합되기 때문에 하우징이 결합되는 길이(l)가 최소화된다.
즉,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케이블로부터 도선이 인출될시에 인출된 도선이 전부 접속용 하우징(31)의 내측으로 삽입 결합되기 때문에 피복으로 감싸여진 부분만 노출되므로 상기 피복을 커버링하는 하우징(60)의 전단부를 구성하는 커넥터 하우징 접속부(60a)는 길이를 짧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듈로 삽입되는 사출길이를 짧게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다시말해서 도선이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로 구성된다면 도선의 외측까지 감싸야 하므로 하우징의 길이가 길어질수 밖에 없으나, 본 발명의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선을 접속용 하우징(31) 내측에 삽입시킨 상태로 결합시키기 때문에 피복의 외측만을 감싸는 형태로 커넥터 하우징 접속부(60a)의 길이가 결정되어 짧게 형성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하우징(60)의 길이가 전반적으로 짧게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며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조순서를 살펴보면,
(1) 케이블 접속부(10)와, FPCB 기판(20)과, 커넥터 하우징(30)를 구비하되, 커넥터 하우징(30)와 FPCB 기판(20)을 원통형 도전핀(32)으로 결합시킨다. 즉, 직육면체 형상으로 커넥터 하우징(30)를 구성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30)에 도선의 갯수에 해당하는 만큼의 홀을 형성하며, 원통형 도전핀을 별도로 구비한후, 상기 원통형 도전핀을 커넥터 하우징(30)의 홀로 통과시키고 동시에 FPCB 기판의 접속홀을 통과시켜 강제 끼움 결합시킨다.
(2) 케이블 접속부(10)의 일측을 절단하여 케이블 피복(13)이 외부로 들어나도록하고, 아울러 케이블 피복(13)을 벗겨내어 도선(12)이 외부로 들어나도록 한다. 즉, 케이블 접속부(20)의 일측을 절단하되 각각의 도선(12)을 감싸는 케이블 피복(11)이 들어날 절도로 절단하며, 또한 이후 케이블 피복(13)도 벗겨내어 도선(12)에 흠집이 나지 않는 상태에서 외부로 들어나도록 한다.
(3) 하우징 결합을 위한 전초 작업으로서 케이블 인장력 압착 가스켓(40) 및 케이블 씰(50)을 케이블(10)의 외주연에 장착한다. 즉, 케이블(11)의 외측에 곧바로 하우징(60)을 장착하면 하우징(60)이 미끄러지기 때문에 케이블 인장력 압착 가스켓(40) 및 케이블 씰(50)을 장착시킨다.
(4) 커넥터 하우징(30)의 도전핀(32) 내측에 케이블 접속부(10)의 도선(12)을 강제 끼움 결합시켜 제 1 전기적 결합구조를 갖도록 한다. 즉, 커넥터 하우징(30)의 도전핀 내측으로 도선을 삽입하되 강제 삽입되어 도전핀의 내주연을 통해 도선이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제 1 전기적 결합구조를 갖도록 한다.
(5) 결합이 완료된 도전핀(32)과 도선 및 FPCB 기판(20)에 납땜을 하되, 상기 원통형 도전핀(32)의 외측과 FPCB 기판(20)을 납땜으로 접속하여 납땜부(33)를 형성시킴으로서 제 2 전기적 결합구조를 갖도록하고, 상기 도선(12)과 도전핀(32)을 납땜으로 접속하여 납땜부(34)를 형성시킴으로서 제 3 전기적 결합구조를 갖도록하며, 상기 도선(12)과 FPCB 기판(20)을 납땜으로 접속하여 납땜부(35)를 형성시킴으로서 제 4 전기적 결합구조를 갖도록 구성한다.
(6) 케이블 인장력 압착 가스켓(40) 및 케이블 씰(50) 주변에 하우징(60)을 장착한다. 즉, 원통형 형태로 이루어진 하우징(60)을 케이블 인장력 압착 가스켓 (40) 및 케이블 씰(50) 주변에 장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7) 하우징(60) 내부를 에폭시(70) 처리하여 하우징 내부 구성을 마무리한다. 즉, 하우징 내부를 에폭시(70) 처리함으로서 하우징(60)의 내부의 공간부가 꽉차도록하여 외부 충격에 의해서 하우징(60)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8) 하우징(60)의 외주연에는 실리콘 오링(80)을 부가하여 타장치와 결합시에 수밀이 극대화되도록 구성한다. 즉, 하우징(60)을 기타 전지 장치에 결합시 상기 실리콘 오링(80)이 수밀 역할을 하기 때문에 외부 오염 물질이나 먼지가 하우징을 통해 침투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한다.
10: 케이블 접속부
11: 케이블
12: 도선
13: 피복
20: FPCB 기판
30: 커넥터 하우징
40: 케이블 인장력 압착 가스켓
50: 케이블 씰
60: 하우징
70: 에폭시
80: 실리콘 오링

Claims (5)

  1. 일측이 전기신호 제공장치와 연결되는 케이블 접속부(10)와, 상기 케이블 접속부와 커넥터 하우징(30)를 통해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FPCB 몸체(20a)를 통해 카메라 모듈과 연결되는 FPCB 기판(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블 접속부(10)는, 전기신호 제공장치와 연결되는 케이블(11)과, 상기 케이블의 일측으로부터 유도되는 도선(12)과, 상기 도선의 외부를 감싸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피복(13)과, 상기 케이블 외측에 케이블 인장력 압착 가스켓(40) 및 케이블 씰(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30)는, 도선의 갯수에 상응하는 다수개의 홀을 형성한 접속용 하우징(31)과, 상기 접속용 하우징(31)의 내측에 삽입 결합하되 FPCB 기판을 동시에 결합시키며 내부홀을 통해 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제 1 전기적 결합구조를 갖는 원통형 도전핀(32)과, 상기 원통형 도전핀의 외측과 FPCB 기판을 접속하여 제 2 전기적 결합구조를 갖는 도전핀 연결용 납땜부(33)와, 상기 도선과 도전핀을 접속하여 제 3 전기적 결합구조를 갖는 도선 연결용 납땜부(34)와, 상기 도선과 FPCB 기판을 접속하여 제 4 전기적 결합구조를 갖는 FPCB 기판 연결용 납땜부(35)를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케이블의 외측에 장착되는 케이블 인장력 압착 가스켓(40) 및 케이블 씰(50)과;
    상기 케이블 인장력 압착 가스켓(40) 및 케이블 씰(50) 주변에 장착되는 하우징(60)과;
    상기 하우징(60) 내부를 체우는 에폭시(70)와;
    상기 하우징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타장치와 결합시 수밀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실리콘 오링(8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FPCB 일체형 FEMALE 커넥터를 이용한 케이블 연결구.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핀 연결용 납땜부(33)와, 도선 연결용 납땜부(34)와, FPCB 기판 연결용 납땜부(35)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CB 일체형 FEMALE 커넥터를 이용한 케이블 연결구.
  5. (1) 케이블 접속부(10)와, FPCB 기판(20)과, 커넥터 하우징(30)를 구비하되, 커넥터 하우징(30)와 FPCB 기판(20)을 원통형 도전핀(32)으로 동시에 결합시키는 단계와;
    (2) 케이블 접속부(10)의 일측을 절단하여 케이블 피복(13)이 외부로 들어나도록하고, 아울러 케이블 피복(13)을 벗겨내어 도선(12)이 외부로 들어나도록 하는 단계와;
    (3) 하우징 결합을 위한 전초 작업으로서 케이블 인장력 압착 가스켓(40) 및 케이블 씰(50)을 케이블(10)의 외주연에 장착하는 단계와;
    (4) 커넥터 하우징(30)의 도전핀(32) 내측에 케이블 접속부(10)의 도선(12)을 강제 끼움 결합시켜 제 1 전기적 결합구조를 갖도록 하는 단계와;
    (5) 결합이 완료된 도전핀(32)과 도선 및 FPCB 기판(20)에 납땜을 하되, 상기 원통형 도전핀(32)의 외측과 FPCB 기판(20)을 납땜으로 접속하여 납땜부(33)를 형성시킴으로서 제 2 전기적 결합구조를 갖도록하고, 상기 도선(12)과 도전핀(32)을 납땜으로 접속하여 납땜부(34)를 형성시킴으로서 제 3 전기적 결합구조를 갖도록하며, 상기 도선(12)과 FPCB 기판(20)을 납땜으로 접속하여 납땜부(35)를 형성시킴으로서 제 4 전기적 결합구조를 갖도록 하는 단계와;
    (6) 케이블 인장력 압착 가스켓(40) 및 케이블 씰(50) 주변에 하우징(60)을 장착하는 단계와;
    (7) 하우징(60) 내부를 에폭시(70) 처리하여 하우징 내부 구성을 마무리하는 단계와;
    (8) 하우징(60)의 외주연에는 실리콘 오링(80)을 부가하여 타장치와 결합시에 수밀이 극대화되도록 구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FPCB 일체형 FEMALE 커넥터를 이용한 케이블 연결구 제조방법.
KR1020160003411A 2016-01-11 2016-01-11 Fpcb 일체형 female 커넥터를 이용한 케이블 연결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연결구 KR101614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411A KR101614737B1 (ko) 2016-01-11 2016-01-11 Fpcb 일체형 female 커넥터를 이용한 케이블 연결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411A KR101614737B1 (ko) 2016-01-11 2016-01-11 Fpcb 일체형 female 커넥터를 이용한 케이블 연결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4737B1 true KR101614737B1 (ko) 2016-04-22

Family

ID=55918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411A KR101614737B1 (ko) 2016-01-11 2016-01-11 Fpcb 일체형 female 커넥터를 이용한 케이블 연결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473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08294A (zh) * 2018-06-21 2018-11-13 迈格仪表(成都)有限公司 一种防松脱冗余插头
KR101920457B1 (ko) * 2017-05-24 2018-11-20 주식회사 사마스전자 연성회로기판을 이용한 케이블 커넥터
KR20190020968A (ko) * 2017-08-22 2019-03-05 주식회사 사마스전자 이중사출구조의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케이블 커넥터
KR20220114680A (ko) * 2021-02-09 2022-08-17 주식회사 센서뷰 전기 커넥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467B1 (ko) 2013-03-08 2013-06-19 주식회사 엘포스텍 Fpcb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용 케이블 연결구 제작 방법 및 카메라 모듈용 케이블 연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467B1 (ko) 2013-03-08 2013-06-19 주식회사 엘포스텍 Fpcb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용 케이블 연결구 제작 방법 및 카메라 모듈용 케이블 연결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0457B1 (ko) * 2017-05-24 2018-11-20 주식회사 사마스전자 연성회로기판을 이용한 케이블 커넥터
KR20190020968A (ko) * 2017-08-22 2019-03-05 주식회사 사마스전자 이중사출구조의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케이블 커넥터
KR101984729B1 (ko) * 2017-08-22 2019-05-31 주식회사 사마스전자 이중사출구조의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케이블 커넥터
CN108808294A (zh) * 2018-06-21 2018-11-13 迈格仪表(成都)有限公司 一种防松脱冗余插头
CN108808294B (zh) * 2018-06-21 2024-03-15 迈格仪表(成都)有限公司 一种防松脱冗余插头
KR20220114680A (ko) * 2021-02-09 2022-08-17 주식회사 센서뷰 전기 커넥터
KR102505100B1 (ko) * 2021-02-09 2023-03-02 주식회사 센서뷰 전기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4737B1 (ko) Fpcb 일체형 female 커넥터를 이용한 케이블 연결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연결구
CN110710064B (zh) 连接器组件
EP2916394B1 (en) Connector
KR101546318B1 (ko) 기기 연결용 커넥터 및 기기 연결용 커넥터 제조 방법
JP4601485B2 (ja) 電気機器
KR101984729B1 (ko) 이중사출구조의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케이블 커넥터
US9590321B2 (en) Cable connection structure of camera module for vehicle
WO2006117892A1 (ja) 電気機器
JP2012143130A (ja) 部分的にコンパウンドで満たされた電源ユニ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403995B2 (en) Electrical connector, electronic component, and assembly method
KR101276467B1 (ko) Fpcb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용 케이블 연결구 제작 방법 및 카메라 모듈용 케이블 연결구
JP2010094014A (ja) 電気モータインタフェース、そのための電気プラグ部品、電気モータ端子、及び電気モータ
US20130050956A1 (en) Photovoltaic Junction Module
US20150035552A1 (en) Protective cover structure
JP2004119294A (ja) シール材の固定構造
JP2005310531A (ja) 電気機器
KR101626371B1 (ko)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 및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작방법
KR100770998B1 (ko) 커넥터
KR101000253B1 (ko) 다선식 커넥터
KR100752714B1 (ko) 교육용 리드선의 연결장치
KR101283616B1 (ko) 방수 커넥터
JP4218852B2 (ja) 回路ユニット
KR100568073B1 (ko)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
KR100591827B1 (ko)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
KR200404084Y1 (ko) 교육용 리드선의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