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0968A - 이중사출구조의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케이블 커넥터 - Google Patents

이중사출구조의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케이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0968A
KR20190020968A KR1020170105957A KR20170105957A KR20190020968A KR 20190020968 A KR20190020968 A KR 20190020968A KR 1020170105957 A KR1020170105957 A KR 1020170105957A KR 20170105957 A KR20170105957 A KR 20170105957A KR 20190020968 A KR20190020968 A KR 20190020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able connector
insulating block
molding part
inner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4729B1 (ko
Inventor
이범희
이규선
정현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사마스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사마스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사마스전자
Priority to KR1020170105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4729B1/ko
Publication of KR20190020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방법은, 복수의 내선을 포함하는 케이블의 외피를 탈피한 후 다시 상기 복수의 내선 각각을 피복하는 내피의 일단을 탈피하는 제1 단계와, 절연블록 및 상기 절연블록 내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도전핀을 포함하는 인몰드핀을 마련하고, 상기 인몰드핀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도전핀 각각에 상기 복수의 내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절연블록, 상기 복수의 내선 및 상기 케이블의 일단을 포획하는 내부몰딩부를 형성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 후에 상기 내부몰딩부를 포획하는 외부몰딩부를 형성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내부몰딩부에는 상기 케이블의 일단에 대해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서 상기 외피를 가압하는 압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사출구조의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케이블 커넥터{METHOD FOR MANUFACTURING CABLE CONNECTOR HAVING DOUBLE INSERT MOLDING STRUCTURE, AND A CABLE CONNECTOR MANUFACTURED THEREBY}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과 같은 전자기기 및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신호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을 전자기기에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 등과 같은 각종 전자기기는 외부 전원을 공급받고 또한 외부 제어장치와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며, 특히 차량용 전자기기의 경우, 차량 내부에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되므로 원거리에 있는 전원 및 제어장치와 연결되기 위해 마련된 케이블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다양한 신호 전달을 위해 마련된 케이블은 통상 복수의 내선을 포함하므로, 작업자가 전자기기를 설치 및 수리할 때마다 케이블의 외피 및 내선의 절연 피복을 벗겨가며 전자기기와 연결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각 신호선(내선)을 잘못 연결함으로써 기기의 오동작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기기를 전기적으로 우수한 신뢰도를 유지하면서 연결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마련된 케이블 커넥터가 요구된다.
한편, 케이블에 포함된 각종 신호선들을 전자기기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는, 접속 부위에서 발생하는 노이즈가 적어야 하고 또한 각 신호선들의 단선의 위험이 없어야 한다. 또한, 복수의 내선이 포함된 케이블 내부에서 생성된 수분이 전자기기와의 접속부위에 침입함으로써 접속 부위의 부식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외부 환경의 온도 변화에 쉽게 노출될 수 있는 차량용 전자기기를 케이블에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커넥터는 전기적 접속 신뢰도 및 물리적 체결력이 우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외부의 수분 또는 케이블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분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자기기와의 전기적 및 기계적 접속 신뢰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접속 부위에 외부로부터 수분이 침투하거나 혹은 케이블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분이 침투할 수 없는 수밀 구조를 갖는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방법은, 복수의 내선을 포함하는 케이블의 외피를 탈피한 후 다시 상기 복수의 내선 각각을 피복하는 내피의 일단을 탈피하는 제1 단계와, 절연블록 및 상기 절연블록 내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도전핀을 포함하는 인몰드핀을 마련하고, 상기 인몰드핀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도전핀 각각에 상기 복수의 내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절연블록, 상기 복수의 내선 및 상기 케이블의 일단을 포획하는 내부몰딩부를 형성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 후에 상기 내부몰딩부를 포획하는 외부몰딩부를 형성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내부몰딩부에는 상기 케이블의 일단에 대해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서 상기 외피를 가압하는 압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에서 형성되는 상기 압입부는, 상기 내부몰딩부 내측에서 상기 외피를 압착하도록 돌출된 돌부; 및 상기 돌부에 대응하여 상기 내부몰딩부 외측에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복수의 도전핀 각각은, 상기 절연블록의 일주면 외부로 노출된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되 내부에 중공이 마련되고 상기 절연블록의 타주면으로 노출된 내삽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4 단계에서, 상기 외부몰딩부는 상기 절연블록 외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 내부에서 상기 절연블록 외부로 노출된 상기 복수의 도전핀 각각의 삽입부를 고정 및 밀봉하는 실링재를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술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접속 신뢰성 및 기계적 체결강도가 우수하고, 전기적 접속 부위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우수한 수밀성을 가진 케이블 커넥터,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를 위해 케이블을 준비하는 단계를 설명한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된 인몰드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절개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채택한 내부몰딩부의 형성 과정을 설명하는 개요적인 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단일 몰딩 구조의 경우 발생되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내부몰딩부의 단부에 형성된 압입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외부몰딩부가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방법은, 복수의 내선을 포함하는 케이블의 외피를 탈피한 후 다시 상기 복수의 내선 각각을 피복하는 내피의 일단을 탈피하는 제1 단계와, 절연블록 및 상기 절연블록 내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도전핀을 포함하는 인몰드핀을 마련하고, 상기 인몰드핀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도전핀 각각에 상기 복수의 내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절연블록, 상기 복수의 내선 및 상기 케이블의 일단을 포획하는 내부몰딩부를 형성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 후에 상기 내부몰딩부를 포획하는 외부몰딩부를 형성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내부몰딩부에는 상기 케이블의 일단에 대해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서 상기 외피를 가압하는 압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에서 보듯이, 커넥터를 형성할 케이블을 준비한다. 여기서, 케이블(100)은 그 내부에 복수의 내선(110)을 포함한다. 각각의 내선(110)은 내피(120)에 의해 절연 피복되어 있으며, 외피(130)는 내피(120)로 피복된 복수의 내선(110) 전체를 피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를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케이블(100) 일단의 외피(130)를 탈피한 후, 다시 복수의 내선(110) 각각을 피복하는 내피(120)의 일단을 탈피한다. 이렇게 하여, 복수의 내선(110)의 단부를 노출시킨다. 추가적으로, 노출된 내선(110)의 단부를 디핑 솔더링함으로써, 이하에서 설명할 도전핀의 내삽부에 내선(110)의 단부를 삽입할 때 체결력 및 전기접속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에서 보듯이, 절연블록(210) 내에 복수의 도전핀(220)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인몰드핀(200)을 준비한다. 여기서, 도전핀(220)은, 절연블록(210)의 일주면 외부로 노출된 삽입부(221)와, 이 삽입부(22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이 마련된 내삽부(222)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내삽부(222)에 마련된 중공은 케이블(100)의 내선(110)의 단부가 억지끼움 될 수 있는 정도의 치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내삽부(222) 내부에는, 내선(110)의 단부가 끼워질 때 탄성적으로 변위 가능한 판스프링부(223)가 설치될 수 있다. 판스프링부(223)에는 다수의 편부(224)가 마련되어, 내삽부(222))에 끼워진 내선(110)의 일단과 탄성적으로 밀착됨으로써 전기적 및 기계적 접속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전핀(220)은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금속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인몰드핀(200)에 마련된 복수의 도전핀(220)에 케이블(100)의 내선(110)의 일단을 모두 체결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그 후, 도 4에서 보듯이, 인몰드핀(200)의 절연블록(210), 복수의 내선(110) 및 케이블(100)의 일단에서 외피(130)의 일부를 포획하는 내부몰딩부(300)를 형성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 4에는 내부몰딩부(300)를 투명하게 표시하였다. 여기서, 내부몰딩부(300)는, 예컨대 인서트 사출로 형성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직선 또는 곡선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할 것이나, 내부몰딩부(300)를 형성한 다음, 다시 외부몰딩부(400)를 형성하는데, 본 발명에서 내부몰딩부(300) 및 외부몰딩부(400)와 같이 이중 구조로 형성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케이블 커넥터를 제조하기 위해 통상 인서트 몰딩을 이용하여 커넥터 몸체를 형성하는데, 도 5a 및 도 5b에서 보듯이, 몰딩부의 외부가 벗겨지는 불량(영역 A 및 B)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그 내부의 내선이 노출되는 문제가 야기된다. 이렇게 커넥터 몸체에 몰딩 불량이 발생하면, 커넥터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거나 내선(110)이 이탈되는 등 케이블 커넥터의 전기적 신뢰성이 저하된다. 이러한 문제는, 커넥터 몸체와 케이블이 직선 구조로 된 형태에서도 야기되지만, 특히 커넥터 몸체와 케이블이 각진 구조로 된 경우에 더욱 빈번하게 야기된다. 이러한 불량을 외관 검사를 통해 미리 확인할 수도 있으나, 몸체에 미세한 균열이 있는 경우에는 외관 검사로 판별해 내기 어렵고, 이 경우 실제 사용시 수분침투로 인한 부식 등의 문제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고자, 내부몰딩부(300) 및 외부몰딩부(400)의 이중 몰딩 구조를 채택하였다. 또한, 내부몰딩부(300)를 형성함에 있어서, 도 6에서 보듯이, 케이블(100)의 외피(130)로부터 침투되는 수분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 커넥터 몸체와 케이블의 인장력을 향상시키고자, 내부몰딩부(300)를 인서트 사출에 의해 형성할 때, 케이블(100)의 일단에 대해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서 외피(130)를 가압하는 압입부(310)를 형성한다. 압입부(310)는 인서트 사출 공정 중에 지그를 이용하여 내부몰딩부(300)의 단부를 압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압입부(310)는, 내부몰딩부(300) 내측에서 외피(130)를 압착하도록 돌출된 돌부(311)가 형성되고, 또한 돌부(311)에 대응하여 내부몰딩부(300)의 외측에 홈부(312)가 형성된다.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돌부(311)는 외피(130)를 압착함으로써 커넥터 몸체와 케이블의 인장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홈부(312)는 후속 공정에서 형성되는 외부몰딩부(400)와의 결속력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외부몰딩부(400)에 의해 형성되는 수밀구조를 더욱 견고하게 한다.
다음으로, 도 7에서 보듯이, 내부몰딩부(300)를 포획하는 외부몰딩부(400)를 형성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 7에서는, 외부몰딩부(400)를 투명하게 표시하였다. 외부몰딩부(400)는, 외부로부터 커넥터 몸체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나아가 내부몰딩부(300)를 형성한 후 발생되는 미세 균열 혹은 내선의 노출을 최종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보다 신뢰성이 우수한 커넥터가 제조될 수 있게 한다. 추가적으로, 외부몰딩부(400)에는 전자기기의 본체와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홈(401)이 형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 도 8에서 보듯이, 외부몰딩부(400)에는 도전핀(220)의 삽입부(221)가 노출된 절연블록(210) 외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가이드부(41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가이드부(410) 내부에 실링재(420)를 도포함으로써, 절연블록(210) 외부로 노출된 복수의 도전핀 각각의 삽입부(221)들을 고정 및 밀봉함으로써, 삽입부(221) 및 절연블록(210) 사이의 미세한 틈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실링재(420)로는 에폭시 접착제, 실리콘 접착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으로 제조된 케이블 커넥터는, 수밀성이 우수하면서 동시에 케이블의 전기적 및 기계적 접속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를 이용하면 전자기기와의 접속 신뢰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a 및 도 5b에서와 같이, 커넥터 몸체를 구성하는 몰딩부에 불량이 발생함으로써 내선이 노출되거나 커넥터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커넥터와 케이블의 수밀성 및 인장력이 인서트 몰딩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몰딩부(300)에 의해 향상될 수 있으므로, 제조공정이 더욱 간편하여 비용 절감에 유리하다. 그러므로, 케이블 커넥터 제조에 있어서 수작업의 비중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고, 결과적으로 비용 절감 및 제품 단가 저감에 더욱 유리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복수의 내선을 포함하는 케이블의 외피를 탈피한 후 다시 상기 복수의 내선 각각을 피복하는 내피의 일단을 탈피하는 제1 단계와,
    절연블록 및 상기 절연블록 내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도전핀을 포함하는 인몰드핀을 마련하고, 상기 인몰드핀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도전핀 각각에 상기 복수의 내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절연블록, 상기 복수의 내선 및 상기 케이블의 일단을 포획하는 내부몰딩부를 형성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 후에 상기 내부몰딩부를 포획하는 외부몰딩부를 형성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내부몰딩부에는 상기 케이블의 일단에 대해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서 상기 외피를 가압하는 압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형성되는 상기 압입부는, 상기 내부몰딩부 내측에서 상기 외피를 압착하도록 돌출된 돌부; 및 상기 돌부에 대응하여 상기 내부몰딩부 외측에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전핀 각각은, 상기 절연블록의 일주면 외부로 노출된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되 내부에 중공이 마련되고 상기 절연블록의 타주면으로 노출된 내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서, 상기 외부몰딩부는 상기 절연블록 외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 내부에서 상기 절연블록 외부로 노출된 상기 복수의 도전핀 각각의 삽입부를 고정 및 밀봉하는 실링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케이블 커넥터.
KR1020170105957A 2017-08-22 2017-08-22 이중사출구조의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케이블 커넥터 KR101984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957A KR101984729B1 (ko) 2017-08-22 2017-08-22 이중사출구조의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케이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957A KR101984729B1 (ko) 2017-08-22 2017-08-22 이중사출구조의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케이블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968A true KR20190020968A (ko) 2019-03-05
KR101984729B1 KR101984729B1 (ko) 2019-05-31

Family

ID=65760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957A KR101984729B1 (ko) 2017-08-22 2017-08-22 이중사출구조의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케이블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472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993B1 (ko) 2019-04-05 2020-05-26 유한회사 대구특수금속 방수성 및 내구 신뢰성을 갖는 접속단자 일체형 인몰드 전자회로 성형물
KR20200117609A (ko) 2019-04-05 2020-10-14 유한회사 대구특수금속 커넥터단자부 일체형 인몰드 전자회로 성형물의 제조방법
KR102168997B1 (ko) * 2020-09-21 2020-10-22 주식회사 사마스전자 핀헤더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
KR20200134666A (ko) * 2019-05-23 2020-12-02 주식회사 사마스전자 무본딩 케이블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및 케이블 접속구조
KR20200134659A (ko) * 2019-05-23 2020-12-02 주식회사 사마스전자 무본딩 케이블 커넥터
KR20210094238A (ko) * 2020-01-21 2021-07-29 한국프레틀(주) 핫멜트를 적용한 카메라용 케이블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WO2022220319A1 (ko) * 2021-04-15 2022-10-20 주식회사 세코닉스 카메라용 케이블 어셈블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4260A (ja) * 2009-06-30 2011-01-20 Yazaki Corp コネクタの一体成形方法
JP2015135761A (ja) * 2014-01-17 2015-07-2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ワイヤーハーネス
KR101546318B1 (ko) * 2015-03-04 2015-08-24 주식회사 엘포스텍 기기 연결용 커넥터 및 기기 연결용 커넥터 제조 방법
KR20160029836A (ko) * 2013-07-11 2016-03-15 로젠버거 호흐프리쿠벤츠테흐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플러그 커넥터
KR101614737B1 (ko) * 2016-01-11 2016-04-22 주식회사 럭스콘테크놀로지 Fpcb 일체형 female 커넥터를 이용한 케이블 연결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연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4260A (ja) * 2009-06-30 2011-01-20 Yazaki Corp コネクタの一体成形方法
KR20160029836A (ko) * 2013-07-11 2016-03-15 로젠버거 호흐프리쿠벤츠테흐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플러그 커넥터
JP2015135761A (ja) * 2014-01-17 2015-07-2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ワイヤーハーネス
KR101546318B1 (ko) * 2015-03-04 2015-08-24 주식회사 엘포스텍 기기 연결용 커넥터 및 기기 연결용 커넥터 제조 방법
KR101614737B1 (ko) * 2016-01-11 2016-04-22 주식회사 럭스콘테크놀로지 Fpcb 일체형 female 커넥터를 이용한 케이블 연결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연결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993B1 (ko) 2019-04-05 2020-05-26 유한회사 대구특수금속 방수성 및 내구 신뢰성을 갖는 접속단자 일체형 인몰드 전자회로 성형물
KR20200117609A (ko) 2019-04-05 2020-10-14 유한회사 대구특수금속 커넥터단자부 일체형 인몰드 전자회로 성형물의 제조방법
KR20200134666A (ko) * 2019-05-23 2020-12-02 주식회사 사마스전자 무본딩 케이블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및 케이블 접속구조
KR20200134659A (ko) * 2019-05-23 2020-12-02 주식회사 사마스전자 무본딩 케이블 커넥터
KR20210094238A (ko) * 2020-01-21 2021-07-29 한국프레틀(주) 핫멜트를 적용한 카메라용 케이블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KR102168997B1 (ko) * 2020-09-21 2020-10-22 주식회사 사마스전자 핀헤더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
WO2022220319A1 (ko) * 2021-04-15 2022-10-20 주식회사 세코닉스 카메라용 케이블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4729B1 (ko) 201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4729B1 (ko) 이중사출구조의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케이블 커넥터
KR101920454B1 (ko) 스프링 구조를 가진 도전핀을 이용한 전자기기 및 케이블 접속구조
JP2006156052A (ja) 高圧電線の接続構造及び高圧電線の接続方法
US20130129289A1 (en) Case assembly having wicking barrier
US5711685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removable seal at cable entry end
HUE029075T2 (en) Connector plug for moisture-protected electrical plug connector
KR101276467B1 (ko) Fpcb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용 케이블 연결구 제작 방법 및 카메라 모듈용 케이블 연결구
JP6053920B2 (ja) コネクタの防水構造
JP2008021646A (ja) ケーブルコネクタ
JP2008021646A6 (ja) ケーブルコネクタ
KR101521386B1 (ko) 케이블 접속 방법
KR102237411B1 (ko) 무본딩 케이블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및 케이블 접속구조
JP4864340B2 (ja) 同軸ケーブルの電気コネクタ
JP2007234490A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19200898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3770460B2 (ja) ドレイン線を含む多芯線型シールドケーブルの接続構造
KR102205347B1 (ko) 무본딩 케이블 커넥터
WO2010119905A1 (ja) コネクタ
JP6202055B2 (ja) シールド線のドレン線止水構造
KR101975935B1 (ko) 다중 조인트 연결 장치
JP2003077593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US7985104B2 (en) Shield sleeve for a plug connector
JP5670667B2 (ja) 端子及び端子のコネクタ装着方法
US9590322B2 (en) Connector
KR101000253B1 (ko) 다선식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