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4680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14680A KR20220114680A KR1020210017981A KR20210017981A KR20220114680A KR 20220114680 A KR20220114680 A KR 20220114680A KR 1020210017981 A KR1020210017981 A KR 1020210017981A KR 20210017981 A KR20210017981 A KR 20210017981A KR 20220114680 A KR20220114680 A KR 2022011468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osed
- fpcb
- fastening
- terminal
- electrical connec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1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crew or screw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5—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ons to contact elem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8—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specially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e.g. using folded portion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디; 상기 바디에 배치되는 단자부;및 상기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FPCB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단자부가 배치되는 제1 파트와, 상하방향으로 상기 제1 파트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 파트와, 상기 제1 파트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파트와 결합하는 제3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FPCB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서 연장되며 상기 단자부와 연결되는 접점을 포함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전후방향으로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제3 파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파트에 고정되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시예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FPCB의 일부영역이 밴딩되어 연결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커넥터는 외부 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하거나 전원을 공급하는데 사용하는 장치이다. 암 커넥터(Female connector) 형태의 전기 커넥터는 소켓 형태의 복수 개의 단자가 배치된 단자부를 포함한다. 단자부는 전기 커넥터의 바디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단자는 수 커넥터(Male connector)의 핀이 삽입되는 방향인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단자는 F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FPCB는 바디에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FPCB는 상하방향으로 바디와 오버랩되도록 바디에 적층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통해 바디에 고정될 수 있다. 때문에, 바디에는 이러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공간이 전후방향으로 충분히 확보되어야 한다. 또한, 바디가 단자부를 둘러싸는 여러 개의 파트로 구성된 경우, 파트들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재들이 삽입되는 공간도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전체적으로 바디의 크기가 증가하여, 전기 커넥터의 크기와 무게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단자가 FPCB에 수직하게 연결되기 위해서는, FPCB에 연결되는 단자의 단부가 FPCB를 향하여 밴딩되어야 한다. 때문에, 단자의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전후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에 단자가 쉽게 손상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크기와 무게를 줄이고, 단자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배치되는 단자부와, 상기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FPCB 및 상기 바디는 상기 단자부가 배치되는 제1 파트와, 상하방향으로 상기 제1 파트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 파트와, 상기 제1 파트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파트와 결합하는 제1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FPCB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서 연장되며 상기 단자부와 연결되는 접점을 포함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전후방향으로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제3 파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파트에 고정되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후방향으로 상기 바디를 관통하며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는, 전후방향으로, 상기 제1 파트, 상기 FPCB의 제2 영역 및 상기 제3 파트의 오버랩 영역을 관통하여 배치되되, 나사산이 배치된 영역이 상기 제1 파트의 전방에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하방향으로 상기 제2 파트와 상기 제3 파트를 체결시키는 제2 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파트는 제1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파트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부에 의해 상기 제2 파트와 상기 제3 파트가 체결됨에 따라,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은 상하방향으로 상기 제1 파트를 가압하여 상기 제1 파트를 상기 제2 파트 및 상기 제3 파트에 고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파트는 제1 홀을 포함하고, 상기 FPCB의 제2 영역은 상기 제1 홀과 정렬되는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을 관통하여 상기 FPCB를 상기 제1 파트에 고정하는 중공형 부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중공형 부품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자부는 상기 제1 파트에 배치되는 절연체와, 상기 절연체에 배치되며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일자형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FPCB의 제2 영역은 상기 단자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파트는 상기 제2 면을 포함하는 제2 베이스와, 상기 제2 베이스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 파트와 전후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제2 후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전후방향으로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제2 후벽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후벽부는 외면에서 오목하게 배치되는 제1 홈과, 상기 제1 홈에 배치되는 제3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3 홀,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파트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체결부의 헤드는 상기 제1 홈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제1 면을 포함하는 제1 베이스와, 상기 제1 베이스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 파트와 전후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제1 후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후벽부는 제3 면과 제4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후벽부는 상하방향으로 상기 제3 면과 접촉하는 제5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면은 상하방향으로 상기 제3 면과 단차지게 배치되어, 상기 제5 면과 사이에 상기 제1 영역이 관통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제1 면을 포함하는 제1 베이스와, 상기 제1 베이스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 파트와 전후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제1 후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후벽부는 상기 제1 파트의 후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1 파트가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제1 면에서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제1 면과 접촉하는 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 홈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가 상기 제2 홈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파트를 전후방향으로 구속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단자와 연결되는 접점을 포함하는 FPCB의 일부영역을 밴딩하여 전방에 위치한 바디의 제3 파트의 후면과 마주보도록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함으로써, 전후방향으로 전기 커넥터의 크기를 크게 줄이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단자의 형상을 일자형으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단자의 제조가 간단하고, 전후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에도 단자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체결부가, FPCB와 제3 파트를 고정시키는 중공형 부품의 내측을 관통하여 공간을 공유함으로써, 체결구성들이 차지하는 공간을 크게 줄여 전기 커넥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전기 커넥터의 분해도,
도 3은 제1 파트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제2 파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도시한 도 4의 C-C를 기준으로 하는 제2 파트의 단면도,
도 6은 도 4에서 도시한 도 4의 D-D를 기준으로 하는 제2 파트의 단면도,
도 7은 도 4에서 도시한 도 4의 E-E를 기준으로 하는 제2 파트의 단면도,
도 8은 제3 파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도시한 도 8의 F-F를 기준으로 하는 제3 파트의 단면도,
도 10은 도 8에서 도시한 도 8의 G-G를 기준으로 하는 제3 파트의 단면도,
도 11은 FPCB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바디의 후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 13은 도 1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의 측단면도,
도 14는 제1 체결부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1의 B-B를 기준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의 측단면도,
도 16은 도 1에서 도시한 전기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전기 커넥터의 분해도,
도 3은 제1 파트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제2 파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도시한 도 4의 C-C를 기준으로 하는 제2 파트의 단면도,
도 6은 도 4에서 도시한 도 4의 D-D를 기준으로 하는 제2 파트의 단면도,
도 7은 도 4에서 도시한 도 4의 E-E를 기준으로 하는 제2 파트의 단면도,
도 8은 제3 파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도시한 도 8의 F-F를 기준으로 하는 제3 파트의 단면도,
도 10은 도 8에서 도시한 도 8의 G-G를 기준으로 하는 제3 파트의 단면도,
도 11은 FPCB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바디의 후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 13은 도 1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의 측단면도,
도 14는 제1 체결부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1의 B-B를 기준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의 측단면도,
도 16은 도 1에서 도시한 전기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후" 방향은 도면에서와 같이, 전기 커넥터의 결합방향을 나타낸다. 이하, 도면에서, x축은 전기 커넥터의 좌우방향을 나타내며, y축은 전기 커넥터의 전후방향을 나타내며, z축은 전기 커넥터의 상하방향을 나타낸다. 그리고 본 발명에 기재된 "수평"은 x-y평면과 평행한 방향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기 커넥터는 바디(100)와, 단자부(200)와, FPCB(300)와, 제1 체결부(400)와, 제2 체결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00)의 내측에는 단자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바디(100)는 좌우방향(x)으로 길이가 긴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디(100)의 전방으로 단자부(200)의 입구가 노출되어 배치되고, FPCB(300)는 단자부(2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바디(100)는 제1 파트(110)와 제2 파트(120)와 제3 파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파트(120)와 제3 파트(130)는 상하방향(z)으로 나열되며, 제1 파트(11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제1 파트(110)가 수용되는 공간은 전방이 개방된 형상을 갖는다. 제1 파트(110)는 전면에 노출되도록 제2 파트(120)와 제3 파트(130)가 형성하는 공간에 수용된다. 제1 파트(110)는 내측에 단자부(200)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단자부(200)는 제1 파트(110)의 내측에 수용된다. 단자부(200)는 좌우방향(x)으로 길게 배치된다.
FPCB(300)는 단자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단자부(2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체결부(400)는 바디(10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바디(100)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제1 체결부(400)는 나사산이 형성된 영역이 바디(100)의 전방보다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제1 체결부(400)는 바디(10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1 체결부(400)는 좌우방향(x)으로 단자부(200)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체결부(400)는 수 커넥너와 같은 상대 커넥터와 체결을 위한 것이다.
제2 체결부(500)는 바디(100)의 제2 파트(120)와 제3 파트(130)를 체결하기 위한 부재이다. 제2 체결부(500)는 상하방향(z)으로 제2 파트(120)를 관통하여 제3 파트(130)에 체결될 수 있다. 제2 체결부(500)는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체결부(500)는 좌우방향(x)으로 제1 체결부(4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체결부(500)는 단자부(200)와 제1 체결부(400)와 상하방향(z)으로 오버랩되지 않게 배치된다.
단자부(200)와 제1 체결부(400)와 제2 체결부(500)가 각각 바디(100)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바디(100)의 좌우방향(x) 길이를 결정한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전기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자부(200)는 절연체(210)과 복수 개의 단자(22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220)들은 절연체(210)의 내측에 배치된다. 단자(220)들은 전후방향(y)을 따라 배치된다. FPCB(300)는 단자부(200)의 후방에 전후방향(y)을 따라 배치되지만, 단자(220)와 접촉하는 FPCB(300)의 일부 영역은 밴딩되어 상하방향(z)(z)을 따라 배치된다.
FPCB(300)는 중공형 부품(600)을 통해 제1 파트(110)에 고정될 수 있다. 중공형 부품(600)은 FPCB(300)를 관통하여 제1 파트(110)에 고정된다. 제1 체결부(400)는 중공형 부품(600)을 관통하여, 제1 파트(110)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제1 파트(110)의 전면에 안착되는 고정 부품(700)이 제1 체결부(400)에 고정됨으로써, 제1 체결부(400)가 전후방향(y)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도 3은 제1 파트(1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파트(110)는 단자부(200)가 수용되는 공간 일부(SP3)를 내측에 형성한다. 제1 파트(110)는 제1 홀(H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H1)은 중공형 부품(600)과 제1 체결부(400)와 관통하는 곳이다. 제1 홀(H1)은 좌우방향(x)을 기준으로 제1 파트(110)의 양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트(110)는 제2 홈(G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홈(G2)은 제2 파트(120)의 돌기(도 4의 121a)가 삽입되는 곳이다.
제2 홈(G2)은 좌우방향(x)으로 제1 파트(11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홈(G2)은 제2 파트(110)의 제1 면(S1)과 접촉하는 제1 파트(110)의 일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파트(130)와 제3 파트(130)가 체결되는 과정에서, 돌기(121a)가 제2 홈(G2)에 삽입되면, 돌기(121a)는 제1 파트(110)를 전후방향(y) 및 상하방향(z)으로 구속하여, 제1 파트(110)가 제2 파트(120) 및 제3 파트(130)에서 전방이나 상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는 제2 파트(12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도시한 도 4의 C-C를 기준으로 하는 제2 파트(120)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서 도시한 도 4의 D-D를 기준으로 하는 제2 파트(120)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에서 도시한 도 4의 E-E를 기준으로 하는 제2 파트(120)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2 파트(120)는 좌우방향(x)을 따라 길게 형성된 부재이다. 제2 파트(120)는 제1 베이스(121)와 제1 후벽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후벽부(122)는 제1 베이스(121)에서 상하방향(z)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제2 파트(120)는 전방에 제1 파트(110)가 수용되는 공간 일부(SP1)를 형성하도록, "ㄱ"자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파트(120)는 제1 면(S1)을 포함한다. 제1 면(S1)은 제1 베이스(121)의 내면으로서, 제2 파트(120)와 제3 파트(130)가 체결될 때, 제1 파트(110)의 일측을 상하방향(z)으로 가압하는 면이다. 그리고 제2 파트(120)는 제1 면(S1)에서 상하방향(z)으로 돌출되는 돌기(121a)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121a)는 좌우방향(x)으로 제2 파트(12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돌기(121a)는 제1 면(S1)의 전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121a)는 제1 파트(110)를 전후방향(y) 및 상하방향(z)으로 구속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파트(120)는 제4 홀(H4)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홀(H4)은 제2 체결부(500)가 관통하는 곳이다. 제4 홀(H4)은 좌우방향(x)으로 제2 파트(120)의 양 단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2 파트(120)는 제3 면(S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면(S3)은 제2 파트(120)와 제3 파트(130)가 체결될 때, 제3 파트(130)와 접촉하는 면이다. 도 5 및 도 6의 제4 면(S4)은 제3 면(S3)과 상하방향(z)으로 단차지게 배치된다. 제2 파트(120)의 제1 면(S1), 제3 면(S3), 제4 면(S4)은 모두 x-y 평면과 평행한 평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제3 파트(13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도시한 도 8의 F-F를 기준으로 하는 제3 파트(130)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에서 도시한 도 8의 G-G를 기준으로 하는 제3 파트(130)의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3 파트(130)는 좌우방향(x)을 따라 길게 형성된 부재이다. 제3 파트(130)는 제2 베이스(131)와 제2 후벽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후벽부(132)는 제2 베이스(131)에서 상하방향(z)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제3 파트(130)는 전방에 제1 파트(110)가 수용되는 공간 일부(SP2)를 형성하도록, "ㄱ"자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파트(130)는 제2 면(S2)을 포함한다. 제2 면(S2)은 제2 베이스(131)의 내면으로서, 제2 파트(120)와 제3 파트(130)가 체결될 때, 제1 파트(110)의 타측을 상하방향(z)으로 가압하는 면이다. 그리고 제2 후벽부(132)는 제1 홈(G1)과 제3 홀(H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홈(G1)은 제2 후벽부(132)의 후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3 홀(H3)은 제1 홈(G1)에 형성된다, 제3 홀(H3)은 제1 파트(110)가 수용되는 공간과 연통된다. 제1 홈(G1)에는 제1 체결부(400)의 헤드(도 14의 410)가 위치한다. 제1 체결부(400)는 제3 홀(H3)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3 파트(130)는 제5 홀(H5)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홀(H5)은 제2 체결부(500)가 체결되는 곳이다. 제5 홀(H5)은 좌우방향(x)으로 제3 파트(130)의 양 단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3 파트(130)는 제5 면(S5)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면(S5)은 제2 파트(120)와 제3 파트(130)가 체결될 때, 제2 파트(120)의 제3 면(S3)과 접촉하는 면이다. 제2 면(S2) 및 제5 면(S5)은 모두 x-y 평면과 평행한 평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은 FPCB(3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FPCB(300)는 제1 영역(310)과 제2 영역(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310)은 수평하게 배치되며, 제2 영역(320)은 제1 영역(310)에서 밴딩되어 상하방향(z)을 따라 배치된다. 제2 영역(320)은 단자(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접점(CP)이 나열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영역(320)은 제2 홀(H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홀(H2)은 중공형 부품(600)이 관통하는 곳이다. 제2 홀(H2)은 좌우방향(x)으로 접점(CP)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FPCB(300)의 제2 홀(H2)과, 제3 파트(130)의 제3 홀(H3)과, 제1 파트(110)의 제1 홀(H1)은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영역(320)은 제1 파트(110)에 고정된다.
이러한 제2 영역(320)은 제1 영역(310)과 달리, 상하방향(z)을 따라 즉, 수직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단자(220)가 전후방향(y)으로 제2 영역(320)과 바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FPCB(300)와 연결을 위해, 단자(220)의 끝단을 밴딩할 필요 없이 일자형으로 단자(220)를 구성할 수 있다. 단자(220)를 일자형으로 구성하면, 단자(220)의 제조가 간단하고, 전후방향(y)으로 가해지는 충격에도 단자(220)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2는 바디(100)의 후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바디(100)의 제2 파트(120)와 제3 파트(130)가 체결되면, 제3 면(S3)과 제5 면(S5)이 접촉한다. 제2 파트(120)의 제4 면(S4)은 제3 면(S3)과 단차지게 배치되기 때문에, 제5 면(S5)과 이격되어 공간(SP4)을 형성한다. 해당 공간(SP4)으로 FPCB(300)가 관통한다. 따라서 FPCB(300)의 제1 영역(310)이 상하방향(z)으로 제4 면(S4)과 제5 면(S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의 측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바디(100)의 전후방향(y) 길이를 줄이기 위하여, FPCB(300)의 제2 영역(320)을 제1 파트(110)에 직접 고정하는 특징이 있다. FPCB(300)와 바디(100)의 결합영역을 상하방향(z) 즉, 수직하게 배치하면, FPCB(300)와 바디(100)의 결합영역을 수평하게 배치하는 것보다 바디(100)의 전후방향(y) 길이를 크게 줄일 수 있다.
FPCB(300)의 제1 영역(310)은 상하방향(z)으로 제2 파트(120)와 제3 파트(130)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영역(320)은 전후방향(y)으로 제1 파트(110)와 제3 파트(130) 사이에 배치된다. 제2 영역(320)은 제1 영역(310)에서 밴딩되어 단자부(200)의 후면 및 제1 파트(110)의 후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처럼 제2 영역(320)이 상하방향(z)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전후방향(y)으로 제2 영역(320)이 차지하는 공간이 바디(100)의 내부로 한정되어,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바디(100)의 전후방향(y) 길이를 줄이는 데 유리한 구조를 갖는다.
제2 파트(120)와 제3 파트(130)가 제2 체결부(500)를 통해 체결되면, 제1 면(S1)이 제1 파트(110)의 일측을 가압하고 동시에 제2 면(S2)이 제1 파트(110)의 타측을 가압하여, 제1 파트(110)를 제2 파트(120) 및 제3 파트(130)에 고정한다. 제1 파트(110)가 제2 파트(120) 및 제3 파트(130)에 고정되면, 일자형 단자(220)는 FPCB(300)의 제2 영역(320)에 연결된다.
도 14는 제1 체결부(4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 체결부(400)는 헤드(410)와, 헤드(410)에서 연장되며 나사산이 없는 중간부(420)와, 중간부(420)에서 연장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배치되는 단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부(420)는 중공형 부품(60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단부(430)는 상대 커넥터와 회전 체결되는 곳이다. 중간부(420)와 단부(430)의 경계에는 제3 홈(G3)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홈(G3)에는 고정 부품(700)이 삽입될 수 있다. 제3 홈(G3)에 삽입된 고정 부품(700)은 제1 체결부(400)가 전후방향(y)으로 바디(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5는 도 1의 B-B를 기준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의 측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제1 체결부(400)가, FPCB(300)와 제1 파트(110)를 고정시키는 중공형 부품(600)의 내측을 관통하여 체결 공간을 공유함으로써, 체결구성들이 차지하는 공간을 크게 줄이는 이점이 있다.
중공형 부품(600)은 제1 파트(110)에 고정되어 FPCB(300)를 제1 파트(110)에 고정시키고, 동시에 제1 체결부(400)가 지나가는 통로를 확보한다. 제1 체결부(400)는 단부(430)가 제1 파트(110)의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중공형 부품(600)을 관통한다. 이때. 제1 체결부(400)의 중간부(420)는 중공형 부품(600)의 내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1 체결부(400)의 헤드(410)는 제3 파트(130)의 제1 홈(G1)에 삽입됨으로써, 제1 체결부(400)가 제3 파트(130)의 후면으로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이와 같은 전기 커넥터는, FPCB(300)가 중공형 부품(600)을 통해 제1 파트(1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2 파트(120)와 제3 파트(130)만을 제2 체결부(500)를 통해 조여 결합시키는 것만으로 조립이 완료되기 때문에, 조립 공정이 간소한 이점이 있다.
도 16은 도 1에서 도시한 전기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FPCB(300)와 바디(100)의 결합영역이 바디(100)의 내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도 16의 P와 같이, FPCB(300)를 바디(100)에 결합시키기 위해 바디(100)의 후방영역을 확보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바디(100)의 전후방향(y)을 길이(L)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바디(100)의 크기를 줄이면, 바디(100)의 무게도 감소하기 때문에 전기 커넥터 전체의 무게도 크게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바디
110: 제1 파트
120: 제2 파트
121: 제1 베이스
122: 제1 후벽부
130: 제3 파트
131: 제2 베이스
132: 제2 후벽부
200: 단자부
210: 절연체
220: 단자
300: FPCB
310: 제1 영역
320: 제2 영역
400: 제1 체결부
500: 제2 체결부
600: 중공형 부품
700: 고정 부품
S1: 제1 면
S2: 제2 면
S3: 제3 면
S4: 제4 면
S5: 제5 면
S6: 제6 면
110: 제1 파트
120: 제2 파트
121: 제1 베이스
122: 제1 후벽부
130: 제3 파트
131: 제2 베이스
132: 제2 후벽부
200: 단자부
210: 절연체
220: 단자
300: FPCB
310: 제1 영역
320: 제2 영역
400: 제1 체결부
500: 제2 체결부
600: 중공형 부품
700: 고정 부품
S1: 제1 면
S2: 제2 면
S3: 제3 면
S4: 제4 면
S5: 제5 면
S6: 제6 면
Claims (10)
- 바디;
상기 바디에 배치되는 단자부;및
상기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FPCB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단자부가 배치되는 제1 파트와, 상하방향으로 상기 제1 파트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 파트와, 상기 제1 파트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파트와 결합하는 제3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FPCB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서 연장되며 상기 단자부와 연결되는 접점을 포함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전후방향으로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제3 파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파트에 고정되는 전기 커넥터.
- 제1 항에 있어서,
전후방향으로 상기 바디를 관통하며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는, 전후방향으로, 상기 제1 파트, 상기 FPCB의 제2 영역 및 상기 제3 파트의 오버랩 영역을 관통하여 배치되되, 나사산이 배치된 영역이 상기 제1 파트의 전방에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전기 커넥터.
- 제1 항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상기 제2 파트와 상기 제3 파트를 체결시키는 제2 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파트는 제1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파트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부에 의해 상기 제2 파트와 상기 제3 파트가 체결됨에 따라,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은 상하방향으로 상기 제1 파트를 가압하여 상기 제1 파트를 상기 제2 파트 및 상기 제3 파트에 고정하는 전기 커넥터.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는 제1 홀을 포함하고,
상기 FPCB의 제2 영역은 상기 제1 홀과 정렬되는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을 관통하여 상기 FPCB를 상기 제1 파트에 고정하는 중공형 부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중공형 부품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전기 커넥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제1 파트에 배치되는 절연체와, 상기 절연체에 배치되며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일자형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FPCB의 제2 영역은 상기 단자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전기 커넥터.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파트는 상기 제2 면을 포함하는 제2 베이스와, 상기 제2 베이스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 파트와 전후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제2 후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전후방향으로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제2 후벽부 사이에 배치되는 전기 커넥터.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벽부는 외면에서 오목하게 배치되는 제1 홈과, 상기 제1 홈에 배치되는 제3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3 홀,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파트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체결부의 헤드는 상기 제1 홈에 배치되는 전기 커넥터.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제1 면을 포함하는 제1 베이스와, 상기 제1 베이스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 파트와 전후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제1 후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후벽부는 제3 면과 제4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후벽부는 상하방향으로 상기 제3 면과 접촉하는 제5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면은 상하방향으로 상기 제3 면과 단차지게 배치되어, 상기 제5 면과 사이에 상기 제1 영역이 관통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전기 커넥터.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제1 면을 포함하는 제1 베이스와, 상기 제1 베이스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 파트와 전후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제1 후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후벽부는 상기 제1 파트의 후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1 파트가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전기 커넥터.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제1 면에서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제1 면과 접촉하는 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 홈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가 상기 제2 홈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파트를 전후방향으로 구속하는 전기 커넥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7981A KR102505100B1 (ko) | 2021-02-09 | 2021-02-09 | 전기 커넥터 |
US17/410,417 US11437743B2 (en) | 2021-02-09 | 2021-08-24 | Electrical conn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7981A KR102505100B1 (ko) | 2021-02-09 | 2021-02-09 | 전기 커넥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14680A true KR20220114680A (ko) | 2022-08-17 |
KR102505100B1 KR102505100B1 (ko) | 2023-03-02 |
Family
ID=82704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17981A KR102505100B1 (ko) | 2021-02-09 | 2021-02-09 | 전기 커넥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1437743B2 (ko) |
KR (1) | KR102505100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03358A (ko) * | 1995-06-28 | 1997-01-28 | 배순훈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텔레비젼용 수평 위치 조정 장치 |
KR100683065B1 (ko) * | 2006-01-20 | 2007-02-15 | (주) 리보텍 | D-sub 커넥터와 그 조립 방법 및 체결 구조 |
CN205104633U (zh) * | 2015-11-09 | 2016-03-23 | 昆山国技电子有限公司 | 一种d-sub180度连接器 |
KR101614737B1 (ko) * | 2016-01-11 | 2016-04-22 | 주식회사 럭스콘테크놀로지 | Fpcb 일체형 female 커넥터를 이용한 케이블 연결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연결구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466175A (en) * | 1992-02-27 | 1995-11-14 | Yazaki Corporation | Shield connector connecting shield cables |
US5315679A (en) * | 1992-04-27 | 1994-05-24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Optical fibers duplex connector assembly |
JP2002324621A (ja) * | 2001-04-24 | 2002-11-08 | Yazaki Corp | コネクタ |
NL1026451C2 (nl) * | 2004-06-18 | 2005-12-20 | Framatome Connectors Int | Kabelconnector en werkwijze voor het assembleren van een kabel en een dergelijke kabelconnector. |
NL1026842C2 (nl) * | 2004-08-13 | 2006-02-14 | Framatome Connectors Int | Kabelconnector. |
US7503776B1 (en) * | 2007-12-07 | 2009-03-17 | Lear Corporation | Grounding connector for a shielded cable |
-
2021
- 2021-02-09 KR KR1020210017981A patent/KR10250510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08-24 US US17/410,417 patent/US11437743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03358A (ko) * | 1995-06-28 | 1997-01-28 | 배순훈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텔레비젼용 수평 위치 조정 장치 |
KR100683065B1 (ko) * | 2006-01-20 | 2007-02-15 | (주) 리보텍 | D-sub 커넥터와 그 조립 방법 및 체결 구조 |
CN205104633U (zh) * | 2015-11-09 | 2016-03-23 | 昆山国技电子有限公司 | 一种d-sub180度连接器 |
KR101614737B1 (ko) * | 2016-01-11 | 2016-04-22 | 주식회사 럭스콘테크놀로지 | Fpcb 일체형 female 커넥터를 이용한 케이블 연결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연결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05100B1 (ko) | 2023-03-02 |
US11437743B2 (en) | 2022-09-06 |
US20220255251A1 (en) | 2022-08-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12085282U (zh) | 端子总成以及电连接器 | |
CN101640333B (zh) | 连接器 | |
US20060141849A1 (en) | Electrical connector and backshell | |
US10243305B1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US20210376510A1 (en) | Floating connector | |
TWI783315B (zh) | 電連接器組合 | |
US11108193B2 (en) |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 |
TWI713271B (zh) | 連接器及其製造方法 | |
US8851928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20040023528A1 (en) | Module connector | |
US20120099823A1 (en) | Cable assembly with improved transmission rate | |
JP5315912B2 (ja) | 多連装電気コネクタ | |
US10355422B2 (en) | Electrical connector equipped with signal terminal and ground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device using thereof | |
US11901662B2 (en) | Connector housing, a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 |
JP2017084775A (ja) | ケーブルコネクタ | |
US20180131126A1 (en) | Cable connector | |
US11489296B2 (en) | Power supply | |
KR20220114680A (ko) | 전기 커넥터 | |
TWI831388B (zh) | 電連接器、製造方法以及連接器組件 | |
JP2021068579A (ja) | 分岐用コネクタ | |
US20220376420A1 (en) | Electrical wire connector and wire-to-board connector | |
JP5342299B2 (ja) |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 |
JP7541050B2 (ja) | 電子部品モジュール | |
US20230035520A1 (en) | Connector | |
US20230268687A1 (en) | Electrical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