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3065B1 - D-sub 커넥터와 그 조립 방법 및 체결 구조 - Google Patents

D-sub 커넥터와 그 조립 방법 및 체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3065B1
KR100683065B1 KR1020060006324A KR20060006324A KR100683065B1 KR 100683065 B1 KR100683065 B1 KR 100683065B1 KR 1020060006324 A KR1020060006324 A KR 1020060006324A KR 20060006324 A KR20060006324 A KR 20060006324A KR 100683065 B1 KR100683065 B1 KR 100683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ixing bolt
connector
screw
locking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6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완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주) 리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리보텍 filed Critical (주) 리보텍
Priority to KR1020060006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30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3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3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01R4/301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having means for preventing complete unscrewing of screw or n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H01R13/6215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using one or more bol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SUB 커넥터와 그 조립 방법 및 체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D-SUB 커넥터에서 고정볼트가 쉽게 빠지고 조립 공정이 비효율적이며 커넥터의 체결 구조가 안정적이지 못한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D-SUB 커넥터는 고정볼트의 구조를 개선한 것으로, 브라켓의 관통구멍에 끼워지는 끼움부와 고정나사에 삽입될 나사부 사이에 관통구멍보다 직경이 큰 걸림턱을 형성하고 고정볼트의 길이 방향으로 나사부로부터 끼움부까지 분할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의 고정볼트를 D-SUB 커넥터에 조립할 때, 나사부를 관통구멍 안에 삽입한 후 고정볼트의 머리부를 누르면 분할공간에 의하여 분할된 나사부와 걸림턱이 오므라들면서 걸림턱이 억지끼움 식으로 관통구멍을 통과하고 통과 후에는 나사부와 걸림턱이 탄성에 의하여 다시 펴지게 된다. 따라서 조립 공정이 매우 간단하고 신속하며 조립 후 고정볼트가 빠지지 않는다. 또한, 암수 커넥터의 체결시에도 고정볼트/너트 체결 전에 완전 밀착이 되기 때문에 고정볼트/너트 체결 작업이 용이하고 효율적이다. 또한, 고정볼트가 커넥터에서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해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일체형으로 제작됨에 따라 원가 절감의 효과도 있다.
D-SUB 커넥터, 고정볼트, 고정너트, 브라켓, 관통구멍, 걸림턱, 분할공간

Description

D-SUB 커넥터와 그 조립 방법 및 체결 구조{D-SUB connector, assembling method and connection structure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SUB 커넥터 체결 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SUB 커넥터 고정볼트의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SUB 커넥터의 조립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SUB 커넥터의 체결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명칭>
100: D-SUB 커넥터 체결 구조 100a, 100b: 커넥터
10a, 10b: 케이블 통과부 12a, 12b: 브라켓
14: 관통구멍 20: 고정볼트
21: 나사부 22: 걸림턱
23: 끼움부 24: 멈춤부
25: 분할공간 26: 머리부
30: 고정너트 32: 나사구멍
200: 핸드 프레스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컴퓨터나 통신기기 및 주변기기 등의 접속에 사용되는 D-SUB 커넥터와 그 조립 방법 및 체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서비스의 이용과 통신망 및 기기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통신기기를 연결하는 대표적 연결매체인 D-SUB 커넥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D-SUB 커넥터는 종류도 여러 가지이고 형태도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암수 한 쌍의 커넥터가 브라켓에 형성된 볼트와 너트로 체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고정볼트가 형성된 쪽의 커넥터를 제1 커넥터라 하고, 고정너트가 형성된 쪽의 커넥터를 제2 커넥터라 한다.
D-SUB 커넥터를 서로 체결하려면 먼저 제1 커넥터의 관통구멍에 고정볼트를 삽입하여 조립한 후, 제1 커넥터의 고정볼트와 제2 커넥터의 고정너트가 맞물리도록 고정볼트를 돌려 접속시킨다. 이러한 방식은 제1 커넥터의 관통구멍에 삽입한 고정볼트가 쉽게 관통구멍에서 빠지기 때문에 분실 가능성이 크고 이로 인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D-SUB 커넥터의 조립 방법을 개선한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이에 따르면, 고정볼트를 제1 커넥터의 관통구멍에 삽입한 후, 치공구를 이용하여 고정볼트의 나사부와 손잡이 사이의 홈 부분에 스프링 와셔 (spring washer)를 밀어 넣는다. 이러한 조립 방법은 고정볼트가 관통구멍에서 빠지는 것을 스프링 와셔가 막아주기 때문에 진일보한 방식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작은 크기의 스프링 와셔를 치공구에 삽입하는 공정이 매우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비효율적이며, 스프링 와셔로 고정하기 전에 고정볼트가 이탈할 수 있는 가능성은 여전히 상존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D-SUB 커넥터의 체결 구조를 보면,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서로 밀착시킨 후, 제1 커넥터의 양쪽 고정볼트를 돌려 제2 커넥터의 고정너트에 체결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종래의 체결 구조는 스프링 와셔를 사용함에 따라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완전히 밀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스프링 와셔와 같은 별도 부품이 필요하고 또한 스프링 와셔의 두께에 해당되는 만큼 볼트 나사부가 더 길어져야 하기 때문에 제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볼트가 관통구멍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해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고정볼트의 구조 자체를 개선한 D-SUB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볼트를 관통구멍에 삽입하는 공정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D-SUB 커넥터의 조립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암수 커넥터의 체결시 고정볼트와 고정너트의 체결 작업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D-SUB 커넥터의 체결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D-SUB 커넥터는, 중심부에 형성된 케이블 통과부와, 상기 케이블 통과부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면서 외부로 돌출되고 소정의 위치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관통구멍 안에 삽입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볼트는, 나사산과 나사골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에 인접하여 상기 나사산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에 인접하여 상기 나사부의 반대편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보다 직경이 작은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보다 직경이 큰 머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나사부와 상기 걸림턱과 상기 끼움부는 상기 고정볼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분할영역에 의하여 적어도 두 부분 이상으로 분할된다.
또한, 본 발명의 D-SUB 커넥터는, 중심부에 형성된 케이블 통과부와, 상기 케이블 통과부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면서 외부로 돌출되고 소정의 위치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관통구멍 안에 삽입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볼트는, 상기 관통구멍보다 직경이 작으며 상기 관통구멍 안에 끼워지는 끼움부와, 상기 관통구멍보다 직경이 크며 상기 끼움부의 한 쪽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걸림턱과, 상기 관통구멍보다 직경이 크며 상기 끼움부의 다른 한 쪽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멈춤부와, 상기 걸림턱에 인접하여 상기 끼움부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나사부와, 상기 멈춤부에 인접하여 상기 끼움부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머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나사부와 상기 걸림턱과 상기 끼움부는 상기 고정볼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분할영역에 의하여 적어도 두 부분 이상으로 분할된다.
본 발명에 따른 D-SUB 커넥터 조립 방법은 위에 기재된 고정볼트를 D-SUB 커넥터에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나사부를 상기 관통구멍 안에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분할공간에 의하여 분할된 상기 나사부와 상기 걸림턱이 오므라들면서 상기 걸림턱이 상기 관통구멍을 통과하도록 상기 머리부를 누르는 단계와, 상기 걸림턱이 상기 관통구멍을 통과한 후 상기 나사부와 상기 걸림턱이 탄성에 의하여 다시 펴지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D-SUB 커넥터 조립 방법은 핸드 프레스를 이용하여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D-SUB 커넥터 체결 구조는 고정볼트를 가지는 제1 커넥터와 고정너트를 가지는 제2 커넥터가 서로 체결되는 구조로서,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각각은 중심부에 형성된 케이블 통과부와, 상기 케이블 통과부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면서 외부로 돌출되고 소정의 위치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볼트는 위에 기재된 구성을 가지고, 상기 고정너트는 나사구멍을 가지며, 상기 고정볼트의 나사부는 상기 고정너트의 나사구멍 안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를 고정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SUB 커넥터 체결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D-SUB 커넥터의 체결 구조(100)는 고정볼트(20)를 가지는 제1 커넥터(100a)와 고정너트(30)를 가지는 제2 커넥터(100b)로 구성된다. 제1 커넥터(100a)와 제2 커넥터(100b)의 각각은 공지의 구성인 케이블 통과부(10a, 10b)와 브라켓(12a, 12b)을 포함한다. 케이블 통과부(10a, 10b)는 각 커넥터(100a, 100b)의 중심부에 형성되며, 브라켓(12a, 12b)은 케이블 통과부(10a, 10b)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면서 외부로 돌출된 형태를 가진다. 케이블 통과부(10a, 10b)와 브라켓(12a, 12b)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으며 도면에 예시된 특정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커넥터(100a)는 고정볼트(20)를 포함하며, 이에 대응하여 제2 커넥터(100b)는 고정너트(30)를 포함한다. 제1 커넥터(100a)의 브라켓(12a)에는 고정볼트(20)가 삽입되는 관통구멍(14)이 형성되며, 마찬가지로 제2 커넥터(100b)의 브라켓(12b)에도 고정너트(30)가 삽입되는 관통구멍(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특히 제1 커넥터(100a)의 고정볼트(20)에 있다. 이하, 고정볼트(20)의 개선된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SUB 커넥터 고정볼트의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제1 커넥터(100a)의 고정볼트(20)는 나사부(21), 걸림턱(22), 끼움부(23), 멈춤부(24), 머리부(26)로 구성된다. 나사부(21)에는 그 표면에 나사산과 나사골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나사부(21)와 인접한 걸림턱(22)은 나사산에 비하여 약간 더 돌출되어 형성된다. 끼움부(23)는 걸림턱(22)에 인접하여 나사부(21)의 반대편에 형성되며 걸림턱(22)에 비하여 약간 움푹 들어가 있다. 멈춤부(24)는 끼움부(23)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끼움부(23)에 비하여 약간 돌출되어 있다. 머리부(26)는 손잡이부로서, 멈춤부(24)와 마찬가지로 끼움부(23)에 비하여 직경이 크다. 이러한 고정볼트(20)의 각 구성은 모두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1 커넥터(100a)의 고정볼트(20)에서 나사부(21)는 제2 커넥터(100b)의 고정너트(30)와 체결될 부위이다. 제1 커넥터(100a)와 제2 커넥터(100b)의 체결 과정은 후술한다. 머리부(26)는 드라이버 또는 손으로 고정볼트(20)를 돌릴 수 있도록 일자형 또는 십자형의 드라이버 홈을 가지거나 미끄럼 방지용 표면을 가질 수 있다.
고정볼트(20)의 끼움부(23)는 고정볼트(20)가 제1 커넥터(100a)에 조립될 때 브라켓(12a)의 관통구멍(14) 안에 끼워지는 부위이다. 걸림턱(22)과 멈춤부(24) 사이에 위치한 끼움부(23)는 브라켓(12a)의 관통구멍(14)에 비하여 직경이 약간 작다. 반면에, 끼움부(23) 양쪽의 걸림턱(22)과 멈춤부(24)는 브라켓(12a)의 관통구멍(14)에 비하여 직경이 약간 크다. 따라서 고정볼트(20)가 일단 관통구멍(14) 안에 끼워지면 걸림턱(22)과 멈춤부(24)가 관통구멍(14)의 양쪽에 위치하므로 고정볼트(20)가 빠지지 않게 된다.
한편, 제1 커넥터(100a)의 고정볼트(20)는 분할공간(25)을 더 포함한다. 분할공간(25)은 도 1과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부(21), 걸림턱(22), 끼움부(23)를 두 부분으로 분할하면서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분할공간(25)은 도 1에서 보듯이 나사부로부터 끼움부까지만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도 2와 같이 나사부(21)로부터 멈춤부(24)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도면은 분할공간(25)에 의하여 나사부(21) 등이 두 부분으로 분할된 예를 보여주고 있지만, 나사부(21) 등이 네 부분으로 분할되도록 분할공간(25)이 형성될 수도 있다.
분할공간(25)의 역할은 고정볼트(20)가 제1 커넥터(100a)에 조립될 때 걸림턱(22)이 쉽게 관통구멍(14)을 통과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여 이하에서는 제1 커넥터(100a)에 고정볼트(20)를 조립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SUB 커넥터의 조립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넥터(100a)를 핸드 프레스(200, hand press)에 장착한 다음, 고정볼트(20)의 나사부(21)를 브라켓(12a)의 관통구멍(14) 안에 삽입한다. 이때, 고정볼트(20)의 걸림턱(22)이 관통구멍(14)에 걸려 더 이상 삽입되지 않는다.
이어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볼트(20)의 머리부(26)를 핸드 프레스(200)로 누른다. 이때, 분할공간(25)에 의하여 분할된 나사부(21)와 걸림턱(22) 등이 오므라들면서 고정볼트(20)의 걸림턱(22)이 억지끼움 식으로 관통구멍(14)을 통과하게 된다. 걸림턱(22)이 관통구멍(14)을 통과한 후에는 나사부(21)와 걸림턱 (22)이 탄성에 의하여 다시 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분할공간(25)으로 인하여 걸림턱(22)이 쉽게 관통구멍(14)을 통과하면서 고정볼트(20)가 제1 커넥터(100a)에 조립된다. 또한, 고정볼트(20)가 일단 관통구멍(14) 안에 끼워지고 나면, 걸림턱(22)과 멈춤부(24)가 관통구멍(14)의 양쪽에 위치하므로 고정볼트(20)가 빠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고정볼트(20)를 이용한 D-SUB 커넥터 조립 방법은 스프링 워셔를 이용하는 종래의 조립 방법에 비하여 작업 과정이 매우 간단하고 조립 시간과 효율성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 실제로 종래의 조립 방법은 제1 커넥터 한 세트를 조립하는데 약 25초의 시간이 소요되지만, 본 발명의 고정볼트(20)를 이용하면 제1 커넥터 한 세트의 조립 시간이 약 10초로 대폭 줄어든다.
이어서,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체결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SUB 커넥터의 체결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넥터(100a)에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볼트(20)는 나사부(21)와 걸림턱(22)이 브라켓(12a)의 관통구멍(14)을 통과한 상태이고 끼움부(23)가 관통구멍(14) 안에 위치한 상태이다. 이에 대응하여 제2 커넥터(100b)의 브라켓(12b)에는 고정너트(30)가 조립된 상태이고 고정너트(30)에는 고정볼트(20)의 나사부(21)가 삽입될 나사구멍(32)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볼트(20)를 돌리면, 고정볼트(20)의 나사부(21)가 고정너트(30)의 나사구멍(32) 안으로 삽입되면서 두 커넥터(100a, 100b)가 밀착 고정된다. 이때, 종래의 체결 구조와 달리 별도의 스프링 와셔를 사 용하지 않으므로 두 커넥터(100a, 100b)가 완전히 밀착하여 안정적인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와셔와 같은 별도의 부품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스프링 와셔의 두께만큼 나사부(21)의 길이를 길게 만들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예를 들어, 고정볼트의 구성을 이루는 나사부, 걸림턱, 끼움부, 멈춤부, 머리부, 분할영역 등의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명명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의미로 사용된 것이 아니다. 또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고정볼트의 구성은 부분적으로 변형할 수 있는데, 예컨대 멈춤부를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 머리부가 멈춤부를 대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D-SUB 커넥터는 고정볼트를 관통구멍에 끼워 조립하는 공정이 매우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아도 고정볼트가 관통구멍으로부터 빠지지 않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암수 커넥터의 체결시에도 고정볼트와 고정너트의 체결 전에 완전 밀착이 되므로 고정볼트와 고정너트의 체결 작업이 용이하고 효율적이며 안정적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스프링 와셔와 같이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고정볼트의 각 구성이 일체형으로 제작되며 나사부의 길이를 길게 만들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중심부에 형성된 케이블 통과부와, 상기 케이블 통과부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면서 외부로 돌출되고 소정의 위치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관통구멍 안에 삽입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D-SUB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는, 나사산과 나사골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에 인접하여 상기 나사산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에 인접하여 상기 나사부의 반대편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보다 직경이 작은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보다 직경이 큰 머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나사부와 상기 걸림턱과 상기 끼움부는 상기 고정볼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분할영역에 의하여 적어도 두 부분 이상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UB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는 상기 끼움부와 상기 머리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보다 직경이 큰 멈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UB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부는 상기 분할영역에 의하여 적어도 두 부분 이상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UB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와 상기 걸림턱과 상기 끼움부는 상기 분할영역에 의하여 네 부분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UB 커넥터.
  5. 중심부에 형성된 케이블 통과부와, 상기 케이블 통과부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면서 외부로 돌출되고 소정의 위치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관통구멍 안에 삽입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D-SUB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는, 상기 관통구멍보다 직경이 작으며 상기 관통구멍 안에 끼워지는 끼움부와, 상기 관통구멍보다 직경이 크며 상기 끼움부의 한 쪽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걸림턱과, 상기 관통구멍보다 직경이 크며 상기 끼움부의 다른 한 쪽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멈춤부와, 상기 걸림턱에 인접하여 상기 끼움부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나사부와, 상기 멈춤부에 인접하여 상기 끼움부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머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나사부와 상기 걸림턱과 상기 끼움부는 상기 고정볼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분할영역에 의하여 적어도 두 부분 이상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UB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부는 상기 분할영역에 의하여 적어도 두 부분 이상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UB 커넥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정볼트를 D-SUB 커넥터에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나사부를 상기 관통구멍 안에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분할공간에 의하여 분할된 상기 나사부와 상기 걸림턱이 오므라들면서 상기 걸림턱이 상기 관통구멍을 통과하도록 상기 머리부를 누르는 단계와, 상기 걸림턱이 상기 관통구멍을 통과한 후 상기 나사부와 상기 걸림턱이 탄성에 의하여 다시 펴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D-SUB 커넥터의 조립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를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D-SUB 커넥터를 핸드 프레스에 장착한 상태에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UB 커넥터의 조립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를 누르는 단계는 상기 핸드 프레스에 의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UB 커넥터의 조립 방법.
  10. 고정볼트를 가지는 제1 커넥터와 고정너트를 가지는 제2 커넥터가 서로 체결되는 D-SUB 커넥터의 체결 구조로서,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각각은 중심부에 형성된 케이블 통과부와, 상기 케이블 통과부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면서 외부로 돌출되고 소정의 위치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볼트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성을 가지고, 상기 고정너트는 나사구멍을 가지며, 상기 고정볼트의 나사부는 상기 고정너트의 나사구멍 안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UB 커넥터의 체결 구조.
KR1020060006324A 2006-01-20 2006-01-20 D-sub 커넥터와 그 조립 방법 및 체결 구조 KR100683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6324A KR100683065B1 (ko) 2006-01-20 2006-01-20 D-sub 커넥터와 그 조립 방법 및 체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6324A KR100683065B1 (ko) 2006-01-20 2006-01-20 D-sub 커넥터와 그 조립 방법 및 체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3065B1 true KR100683065B1 (ko) 2007-02-15

Family

ID=38106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6324A KR100683065B1 (ko) 2006-01-20 2006-01-20 D-sub 커넥터와 그 조립 방법 및 체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306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4790A (ko) 2018-02-06 2019-08-14 한 성 운 커넥터
KR102337971B1 (ko) * 2021-07-28 2021-12-10 (주)코리아 싸인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에서 커넥터 빠짐에 의한 에러를 방지하는 보조장치
KR20220114680A (ko) * 2021-02-09 2022-08-17 주식회사 센서뷰 전기 커넥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4790A (ko) 2018-02-06 2019-08-14 한 성 운 커넥터
KR20220114680A (ko) * 2021-02-09 2022-08-17 주식회사 센서뷰 전기 커넥터
KR102505100B1 (ko) 2021-02-09 2023-03-02 주식회사 센서뷰 전기 커넥터
KR102337971B1 (ko) * 2021-07-28 2021-12-10 (주)코리아 싸인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에서 커넥터 빠짐에 의한 에러를 방지하는 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6594B2 (en) Slot nut for securement of channel
US20070249448A1 (en) Link plate for a chain
KR100683065B1 (ko) D-sub 커넥터와 그 조립 방법 및 체결 구조
US20090247339A1 (en) Link plate for a bicycle chain
JP2003203723A (ja) パネル取付用係止部材を備えたコネクタ及びこのコネクタのパネルへの取付方法並びに他のコネクタへの結合方法
JP2022051563A (ja) 特に板状の、少なくとも2つの要素を接続するための接続システム、そのような接続システムを備える構成
JP2002147426A (ja) ナット保持構造及びボルト保持構造
US8752234B2 (en) Wiper connector
US6106325A (en) Cable connector assembly
US20090169294A1 (en) Reinforcing Bar Connector
JP2018076912A (ja) プロファイル用コネクタ
US5618128A (en) Wiper arm connector
JP2000087461A (ja) 接続固定具
JP2003187783A (ja) 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
JP2014020504A (ja) ナット
JP2004068830A (ja) スタッド係止具
US10465738B2 (en) Lock threaded assembly
KR20080063909A (ko) 캐슬너트와 볼트의 고정부재
JP2011017383A (ja) フレーム構造のコーナー部用連結装置
KR200428109Y1 (ko) 220볼트 콘센트의 접지 단자 접속 구조
KR200380541Y1 (ko) 파이프 연결구조
JP2949071B2 (ja) 結合装置
JP2004205034A (ja) 頭部及び塑性加工工具及び締結工具
KR20100011097A (ko) 회전방지형 볼트부재
KR20100137226A (ko) 볼트 및 와셔 결합 체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