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7971B1 -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에서 커넥터 빠짐에 의한 에러를 방지하는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에서 커넥터 빠짐에 의한 에러를 방지하는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7971B1
KR102337971B1 KR1020210099319A KR20210099319A KR102337971B1 KR 102337971 B1 KR102337971 B1 KR 102337971B1 KR 1020210099319 A KR1020210099319 A KR 1020210099319A KR 20210099319 A KR20210099319 A KR 20210099319A KR 102337971 B1 KR102337971 B1 KR 102337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display
transparent film
connector
film led
auxiliar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9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필수
Original Assignee
(주)코리아 싸인
주식회사 네오엘이디하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리아 싸인, 주식회사 네오엘이디하우스 filed Critical (주)코리아 싸인
Priority to KR1020210099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9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들은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에서 커넥터 빠짐에 의한 에러를 방지하는 보조장치를 제공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는, 일 단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 단자를 포함하고, 일 단부에서 접속 단자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영역이 마련되는 인쇄회로기판, 접속 단자와 개별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를 포함하고, 외부 모듈과의 연결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유닛. 및 접속 단자에 대한 커넥터 빠짐이 방지되도록, 체결 영역에 대해 커넥터 유닛을 체결하도록 구성되는 보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에서 커넥터 빠짐에 의한 에러를 방지하는 보조장치{Preventative auxiliary device for loose connectors on transparent film LED display}
다양한 실시예들은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에서 커넥터 빠짐에 의한 에러를 방지하는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시스템은 대중에게 영상 광고를 비롯한 각종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최근에,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은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건물 외부 또는 내부에 설치되어 뉴스, 기상 정보, 스포츠, 공익 광고, 시설 안내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콘텐츠를 전달하고 있다.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는 엘이디들이 배열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인쇄회로기판과 결합되는 커넥터 모듈을 포함한다. 이 때,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 모듈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이에 따라, 커넥터 모듈이 인쇄회로기판에 대해 외부 연결을 제공한다. 그런데,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가 사용되는 중에,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 모듈 간 전기적 접속이 해제됨에 따라,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가 동작하는 데 에러가 발생된다. 이는,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진동이나 커넥터 모듈의 무게로 인해, 초래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 내에서 전기적 접속을 유지하기 위한 보조장치를 제공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에서 커넥터 빠짐에 의한 에러를 방지하는 보조장치를 제공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는, 일 단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일 단부에서 상기 접속 단자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영역이 마련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접속 단자와 개별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를 포함하고, 외부 모듈과의 연결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유닛, 및 상기 접속 단자에 대한 상기 커넥터 빠짐이 방지되도록, 상기 체결 영역에 대해 상기 커넥터 유닛을 체결하도록 구성되는 보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에서, 인쇄회로기판에 대한 커넥터 유닛의 커넥터 빠짐에 의한 에러가 방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장치가 인쇄회로기판에 대해 커넥터 유닛을 체결함으로써,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의 사용 중에, 인쇄회로기판의 접속 단자에 대한 커넥터 빠짐이 방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에서, 인쇄회로기판의 접속 단자와 커넥터 간 전기적 접속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가 동작하는 데 있어서, 커넥터 빠짐에 의한 에러가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투명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를 조립하여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투명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투명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110), 및 외부 모듈(120, 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외부 모듈(120, 130)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모듈(120), 또는 외부 기기(1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110)는 접을 수 있을 정도로 휘어지면서 투명한 디스플레이이다. 이러한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110)는 투명한 인쇄회로기판과 투명한 엘이디들을 포함하여, 투명한 구성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110)는 건물 외부 또는 내부의 벽에 부착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110)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110)는 사용자의 터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 모듈(120)은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110)와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모듈(120)은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11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모듈(120)은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1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제어 모듈(120)은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110)와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120)은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모듈(120)은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110)에 영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영상 신호는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영상을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엘이디들을 개별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11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 모듈(120)은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110)로부터의 사용자의 터치 신호에 응답하여,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110)에 영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 기기(130)는 제어 모듈(120)과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 기기(130)는 제어 모듈(12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기기(130)는 제어 모듈(12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외부 기기(130)는 네트워크(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제어 모듈(12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기기(130)는 제어 모듈(12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 기기(130)는 서버로서 동작하여, 제어 모듈(12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제어 모듈(120)로 하여금,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영상을 표현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11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외부 기기(130)는 제어 모듈(120)로부터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110)로부터의 사용자의 터치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제어 모듈(12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모듈(120)은 독립적으로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 모듈(120)은 외부 기기(130)에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120)은 내부 메모리 또는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 모듈(120)은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110)에 영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모듈(120)은 외부 기기(130)와의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 모듈(120)은 외부 기기(130)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120)은 외부 기기(13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 모듈(120)은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110)에 영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110)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110)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110)를 조립하여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110)는 인쇄회로기판(210), 엘이디 어레이(220), 커넥터 유닛(230),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조장치(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10)은 엘이디 어레이(220)를 지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인쇄회로기판(210)은, 구동 라인들이 배선된 투명 베이스기판(211), 및 구동 라인들의 일 단부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 단자(2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접속 단자(213)는 투명 베이스기판(211)의 일 면에서, 구동 라인들의 일 단부들에 연결될 수 있다. 접속 단자(213)는 인쇄회로기판(210)의 일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10)의 일 단부에는, 접속 단자(213)가 배치되는 단자 영역(215), 및 접속 단자(213)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영역(217)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 영역(217)은 단자 영역(215)의 적어도 일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체결 영역(217)에는, 보조장치(240)가 체결되기 위한 수용부(219)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용부(219)는 홀 구조 또는 홈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수용부(219)의 내측면에는, 나사산들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명 베이스기판(211)의 일 단부에서, 두 개의 체결 영역(217)들이 단자 영역(215)의 양 측부들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투명 베이스기판(211)의 일 단부에서, 세 개의 체결 영역(217)들이 두 개의 단자 영역(215)들의 양 측부들과 단자 영역(215)들의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엘이디 어레이(220)는 영상을 표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엘이디 어레이(220)는 인쇄회로기판(210)의 일 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엘이디 어레이(220)는 복수의 투명한 엘이디들을 포함하며, 투명한 엘이디들이 인쇄회로기판(210)의 일 면에 배열될 수 있다. 이 때, 투명한 엘이디들은 투명 베이스기판(211)의 일 면에 배열되면서, 구동 라인들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투명한 엘이디들은 인쇄회로기판(210)의 접속 단자(213)들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 유닛(230)은 인쇄회로기판(210)에 대해, 외부 모듈(120, 130)과의 연결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넥터 유닛(230)은 인쇄회로기판(210)의 일 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커넥터 유닛(230)은, 인쇄회로기판(210)의 일 단부가 삽입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 유닛(230)은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233)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233)는 접속 단자(213)와 개별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되며, 접속 단자(213)에 대해, 제어 모듈(120)과의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커넥터(233)는 제어 모듈(12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커넥터(233)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어 모듈(120)에의 삽입을 통해, 제어 모듈(120)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 유닛(230)에는, 보조장치(240)가 체결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관통부(239)가 마련될 수 있다. 관통부(239)의 위치는 인쇄회로기판(210)의 수용부(219)의 위치와 대응되며, 관통부(239)는 수용부(219)와 동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통부(239)는 홀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관통부(239)의 내측면에는, 나사산들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관통부(239)의 나사산들은 수용부(219)의 나사산들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장치(240)는 접속 단자(213)에 대한 커넥터(233)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장치(240)는 인쇄회로기판(210)의 체결 영역(217)에 대해 커넥터 유닛(230)을 체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보조장치(240)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 부재는 커넥터 유닛(230)과 체결 영역(217)을 함께 관통하면서, 체결 영역(217)에 대해 커넥터 유닛(230)을 체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체결 부재의 위치는 인쇄회로기판(210)의 수용부(219)의 위치 및 커넥터 유닛(230)의 관통부(239)의 위치와 대응되며, 이들과 동축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 부재는 관통부(239)를 통과하면서, 수용부(219)에 수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체결 부재는, 외측면에 나사산들이 형성된 볼트(bolt)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체결 부재는 회전하면서 커넥터 유닛(230)과 체결 영역(217)을 함께 관통하며, 체결 부재의 나사산들이 관통부(239)와 수용부(219)의 나사산들에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110)가 조립될 수 있다.
먼저, 인쇄회로기판(210)의 일 면에는, 엘이디 어레이(220)가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엘이디 어레이(220)의 투명한 엘이디들이 인쇄회로기판(210)의 일 면에 배열되면서, 구동 회로들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인쇄회로기판(210)의 접속 단자(213)가 구동 회로들의 일 단부들에 연결되면서, 인쇄회로기판(210)의 일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10)의 일 단부는, 접속 단자(213)가 배치되는 단자 영역(215), 및 단자 영역(215)의 적어도 일 측부에 각각 배치되는 체결 영역(217)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인쇄회로기판(210)의 일 단부가 커넥터 유닛(230)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인쇄회로기판(210)의 일 단부가 커넥터 유닛(23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인쇄회로기판(210)의 접속 단자(213)가 커넥터 유닛(230)의 커넥터(233)에 개별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인쇄회로기판(210)의 체결 영역(217)의 수용부(219)가 커넥터 유닛(230)의 관통부(239)와 정렬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보조장치(240)가 인쇄회로기판(210)의 체결 영역(217)에 대해 커넥터 유닛(230)을 체결할 수 있다. 이 때, 보조장치(240)는 커넥터 유닛(230)과 체결 영역(217)을 함께 관통하면서, 체결 영역(217)에 대해 커넥터 유닛(230)을 체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장치(240)는 관통부(239)를 통과하면서, 수용부(219)에 수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110)에서, 인쇄회로기판(210)에 대한 커넥터 유닛(230)의 커넥터(233) 빠짐에 의한 에러가 방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장치(240)가 인쇄회로기판(210)에 대해 커넥터 유닛(230)을 체결함으로써,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110)의 사용 중에, 인쇄회로기판(210)의 접속 단자(213)에 대한 커넥터(233) 빠짐이 방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110)에서, 인쇄회로기판(210)의 접속 단자(213)와 커넥터(233) 간 전기적 접속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110)가 동작하는 데 있어서, 커넥터(233) 빠짐에 의한 에러가 방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110)에서 커넥터(233) 빠짐에 의한 에러를 방지하는 보조장치(240)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110)는, 일 단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 단자(213)를 포함하고, 일 단부에서 접속 단자(213)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영역(217)이 마련되는 인쇄회로기판(210), 및 접속 단자(213)와 개별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233)를 포함하고, 외부 모듈(120, 130)과의 연결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유닛(23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보조장치(240)는, 접속 단자(213)에 대한 커넥터(233) 빠짐이 방지되도록, 체결 영역(217)에 대해 커넥터 유닛(230)을 체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210)의 일 단부는, 접속 단자(213)가 배치되는 단자 영역(215), 및 단자 영역(215)의 적어도 일 측부에 각각 배치되는 체결 영역(217)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보조장치(240)는, 체결 영역(217)에 대해 커넥터 유닛(230)을 체결하도록 구성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체결 부재는, 커넥터 유닛(230)과 체결 영역(217)을 함께 관통하면서, 체결 영역(217)에 대해 커넥터 유닛(230)을 체결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 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 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 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 요소에 "(물œ거으로,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 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예: 제 3 구성 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술한 구성 요소들의 각각의 구성 요소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 요소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 요소는 복수의 구성 요소들 각각의 구성 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통합 이전에 복수의 구성 요소들 중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Claims (3)

  1.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에서 커넥터 빠짐에 의한 에러를 방지하는 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는,
    엘이디 어레이;
    일 면에 상기 엘이디 어레이가 장착되고, 상기 일 면의 일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엘이디 어레이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일 단부에서 상기 접속 단자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영역이 마련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접속 단자와 개별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엘이디 어레이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외부 모듈과의 연결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장치는,
    상기 접속 단자에 대한 상기 커넥터 빠짐이 방지되도록, 상기 체결 영역에 대해 상기 커넥터 유닛을 체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일 단부는,
    상기 접속 단자가 배치되는 단자 영역, 및 상기 단자 영역의 적어도 일 측부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체결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보조장치는,
    상기 체결 영역에 대해 상기 커넥터 유닛을 체결하도록 구성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커넥터 유닛과 상기 체결 영역을 함께 관통하면서, 상기 체결 영역에 대해 상기 커넥터 유닛을 체결하는,
    보조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10099319A 2021-07-28 2021-07-28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에서 커넥터 빠짐에 의한 에러를 방지하는 보조장치 KR102337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319A KR102337971B1 (ko) 2021-07-28 2021-07-28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에서 커넥터 빠짐에 의한 에러를 방지하는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319A KR102337971B1 (ko) 2021-07-28 2021-07-28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에서 커넥터 빠짐에 의한 에러를 방지하는 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7971B1 true KR102337971B1 (ko) 2021-12-10

Family

ID=78865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319A KR102337971B1 (ko) 2021-07-28 2021-07-28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에서 커넥터 빠짐에 의한 에러를 방지하는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797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065B1 (ko) * 2006-01-20 2007-02-15 (주) 리보텍 D-sub 커넥터와 그 조립 방법 및 체결 구조
KR20080069724A (ko) * 2007-01-24 2008-07-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100018161A (ko) * 2008-08-06 2010-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
KR20150006193A (ko) * 2013-07-08 2015-01-16 주식회사 코런 전원부와 컨트롤러부가 설치되는 전광판프레임 결합 박스를 갖는 분리형 칩엘이디 전광판 시스템
KR20160130110A (ko) * 2015-05-01 2016-11-10 이우규 전원 일체형 옥외용 조립식 엘이디 광고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065B1 (ko) * 2006-01-20 2007-02-15 (주) 리보텍 D-sub 커넥터와 그 조립 방법 및 체결 구조
KR20080069724A (ko) * 2007-01-24 2008-07-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100018161A (ko) * 2008-08-06 2010-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
KR20150006193A (ko) * 2013-07-08 2015-01-16 주식회사 코런 전원부와 컨트롤러부가 설치되는 전광판프레임 결합 박스를 갖는 분리형 칩엘이디 전광판 시스템
KR20160130110A (ko) * 2015-05-01 2016-11-10 이우규 전원 일체형 옥외용 조립식 엘이디 광고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4635B2 (en) Removable visual indication structure for a printed circuit board
US10665646B2 (en) Splicing screen,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20060009048A1 (en) Expansible interface for modularized printed circuit boards
US20060154530A1 (en) Connector system
US8514585B2 (en) Electronic device
JP2005147119A (ja) ホット・スワップ・ファンとその接続装置
EP2228873B1 (en) Signal transfer apparatus
JP4332557B2 (ja) モジュラープラットホーム応用のためのインタフェース拡張
WO2020189883A1 (ko) 정전기 유도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337971B1 (ko) 투명필름 엘이디 디스플레이에서 커넥터 빠짐에 의한 에러를 방지하는 보조장치
US7438483B2 (en) Bus system with optical fibers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US20060080484A1 (en) System having a module adapted to be included in the system in place of a processor
CN213211655U (zh) 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US20220284144A1 (en) Interactive information system with modular structure
US731657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tecting an electrical component from impact or repeated mechanical stress
US9204082B2 (en) Set back box
KR100952485B1 (ko) 카메라 모듈 제조 방법
US20090079826A1 (en) Assembly module having a video transmission element
US20040233319A1 (en) Image sensing module
EP3663892B1 (en) Memory module with screen and motherboard module
US20230113066A1 (en) Assembly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 protecting casing and interfacing structure with magnetic connectors
KR20210049050A (ko) 카메라 모듈
US9532457B2 (en) Audio and video reproduction apparatus having main board on which surface mount type connectors are mounted
KR20140095363A (ko) 카메라 모듈
CN112530280A (zh) 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