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4790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94790A KR20190094790A KR1020180014356A KR20180014356A KR20190094790A KR 20190094790 A KR20190094790 A KR 20190094790A KR 1020180014356 A KR1020180014356 A KR 1020180014356A KR 20180014356 A KR20180014356 A KR 20180014356A KR 20190094790 A KR20190094790 A KR 2019009479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bolt
- adapter
- connecting bolt
- hol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케이블이 연결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어댑터부(10)와 커넥터부(20)가 연결볼트(30)를 매개로 나사 체결되어 상호간에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연결볼트(30)를 적용함에 있어서, 고정볼트(40)가 상기 연결볼트(30)를 관통하여 전기 전자 제품측 커넥터에 체결됨으로써 기존의 고정볼트(40) 설치 구조를 변경할 필요가 없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전자 제품의 통신케이블 연결에 사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상호 간에 통신이 필요한 전기 전자 제품들은 다수의 시그널선이 한데 묶여 이루어진 통신케이블을 매개로 전기적 신호를 주고 받는다. 이러한 통신케이블의 단부에는 다수의 연결단자를 구비한 커넥터가 구비되고, 그 커넥터는 전기 전자 제품에 구비된 대응하는 형상의 커넥터에 결합된다.
통신케이블 측에 구비되는 커넥터는 어댑터부와 커넥터부를 포함한다. 어댑터부는 후단에 통신케이블이 연결되고 전단에 상기 커넥터부가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커넥터 연결 및 분리 작업을 실시하는 부분이다. 커넥터부는 통신케이블을 구성하는 다수의 시그널선들에 연결된 다수의 단자가 설치된 부분으로서 상대 전기 전자 제품에 구비된 커넥터의 커넥터부와 결합되어 단자간 접속을 이루는 부분이다.
커넥터는 상기 어댑터부와 커넥터부가 각각 제작되어 조립되는데, 양자의 사이에 별도의 결합용 클립이 장착되거나 또는 양자에 각각 후크와 걸림고리가 형성되고 이들이 서로 결합되는 구조로 조립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조립 상태가 견고하지 못하여 어댑터부와 커넥터부 사이에 유동(덜컥거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커넥터는 양측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볼트를 매개로 전기 전자 제품측 커넥터에 고정되는데, 상기 어댑터부와 커넥터부의 조립 구조를 설계할 때는 반드시 상기 고정볼트(통신케이블측 커넥터를 전기 전자 제품측 커넥터에 고정시키는 볼트)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해야만 한다. 이와 같은 제한 요소 때문에 기존의 조립 구조를 변경하여 어댑터부와 커넥터부의 조립 강도를 견고하게 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어댑터부와 커넥터부가 견고하게 조립됨으로써 양자 사이에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된 커넥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신케이블이 연결된 어댑터부와, 상기 통신케이블의 각 시그널선에 연결되는 복수의 단자들이 구비된 커넥터부와, 상기 어댑터부와 커넥터부를 나사 체결시키는 연결볼트와, 상기 연결볼트를 관통하여 전기 전자 제품측 커넥터의 너트부에 나사 체결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한다.
상기 어댑터부와 커넥터부에 각각의 폭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가 형성되고, 양측 플랜지의 대응 위치에 각각 결합홀이 형성되며, 이들 결합홀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에 상기 연결볼트가 체결된다.
상기 연결볼트에 축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고, 그 관통홀을 통해 상기 고정볼트가 삽입되어 전기 전자 제품측 커넥터의 너트부에 결합된다.
상기 연결볼트는 어댑터부쪽에서 커넥터부쪽으로 삽입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어댑터부의 결합홀 내부에 상기 연결볼트의 헤드가 걸려지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볼트는 커넥터부쪽에서 어댑터부쪽으로 삽입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커넥터부의 결합홀 내부에 상기 연결볼트의 헤드가 걸려지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볼트의 단부에 스냅링이 설치되어 고정볼트가 연결볼트로부터 빠지지 않게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어댑터부와 커넥터부가 연결볼트에 의해 나사 체결 방식으로 서로 결합됨으로써 조립 상태가 매우 견고하게 유지되며, 양자의 사이에 유동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연결볼트를 적용함에 있어서, 연결볼트에 축방향 관통홀이 형성되고, 그 관통홀을 통해 고정볼트가 삽입되어 통신케이블측 커넥터를 전기 전자 제품측 커넥터에 고정할 수 있게 되므로 기존의 고정볼트 설치 구조를 변경할 필요가 없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 상태 평면도.
도 3은 도 2 요부 확대도로서, 어댑터부와 커넥터부 연결 부분의 평단면이 도시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으로서, 어댑터부와 커넥터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볼트의 사시도.
도 5는 상기 연결볼트를 다른 쪽 방향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조립 상태 평면도.
도 8은 도 7의 요부 확대도로서, 어댑터부와 커넥터부 연결 부분의 평단면이 도시된 도면.
도 2는 도 1의 조립 상태 평면도.
도 3은 도 2 요부 확대도로서, 어댑터부와 커넥터부 연결 부분의 평단면이 도시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으로서, 어댑터부와 커넥터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볼트의 사시도.
도 5는 상기 연결볼트를 다른 쪽 방향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조립 상태 평면도.
도 8은 도 7의 요부 확대도로서, 어댑터부와 커넥터부 연결 부분의 평단면이 도시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어댑터부(10), 커넥터부(20), 연결볼트(30), 고정볼트(40)를 포함한다.
어댑터부(10)는 직육면체 형상의 바디(11)와, 바디(11)의 전방 단부에 바디(11)보다 넓은 폭으로 돌출 형성된 플랜지(12)와, 플랜지(12)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홀(13)과, 바디(11)의 후방 단부에 형성된 케이블연결부(14)를 포함한다.
어댑터부(10)는 통신케이블(미도시)과 커넥터부(20)를 연결해주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조작할 수 있는 부분을 제공한다.
바디(11)의 내부는 빈 공간으로서 전방의 개구홀(13)과 후방의 케이블연결부(14)는 연통되어 있다.
케이블연결부(14)에는 통신케이블이 연결되며, 통신케이블의 각 시그널선들은 바디(11) 내부의 공간을 통해 커넥터부(20)의 각 단자(24)에 연결된다.
커넥터부(20)의 바디(21)는 어댑터부(10)의 개구홀(13)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어 개구홀(13)의 내부로 삽입된다.
바디(21)의 일측에는 어댑터부(10)의 플랜지(12)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 플랜지(22)가 형성되며, 그 플랜지(22)의 전면에 단자하우징(23)이 형성되고, 단자하우징(23)의 내부에 다수의 단자(24)들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단자(24)들은 바디(21)쪽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바디(21)쪽에 위치한 단자(24)의 타측 단부에 시그널선들이 각각 연결된다.
커넥터부(20)의 바디(21)가 어댑터부(10)의 개구홀(13)에 삽입 결합되면 어댑터부(10)와 커넥터부(20)의 플랜지(12,22)는 서로 맞닿게 되고, 그 각각에 형성된 결합홀(12a,22a)들의 위치가 일치된다.
상기 결합홀(12a,22a)들의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볼트(30)는 내부에 축방향으로 관통홀(31)이 형성된 중공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일측 단부에 원형 플랜지 형태의 헤드(32)가 형성되고, 헤드(32)의 양측에는 드라이버를 삽입하여 회전 조작할 수 있도록 공구홈(32a)이 형성된다. 바디의 외주면에는 헤드(32)와 소정 거리 이격된 부분으로부터 바디의 타단부까지 수나사(33)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볼트(30)는 상기 결합홀(12a,22a)에 삽입되어 수나사(33)가 결합홀(12a,22a) 내주면의 암나사에 나사 체결됨으로써 양측 플랜지(12,22)를 서로 결합시켜 어댑터부(10)와 커넥터부(20)를 상호 고정시킨다.
제1실시예에서 연결볼트(30)는 어댑터부(10)쪽에서 커넥터부(20)쪽으로 삽입되는데, 어댑터부(10)의 결합홀(12a) 입구쪽에는 연결볼트(30)의 헤드(32)가 걸려지는 걸림턱(12b)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볼트(30)의 헤드(32)가 걸림턱(12b)에 밀착되었을 때 연결볼트(30)의 수나사(33)는 어댑터부(10) 결합홀(12a)의 암나사에 나사 결합됨은 물론 커넥터부(20)의 결합홀(22a)의 암나사에도 충분한 깊이로 결합된다. 따라서 연결볼트(30)에 의해 어댑터부(10)와 커넥터부(20)가 상호 유동 발생이 불가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고정볼트(40)는 원기둥형 바디(42)의 일단에 지름이 확장된 원기둥형 헤드(41)가 형성되고, 바디(42)의 타단에 단차(단차부(45))를 두어 지름이 축소된 연결부(43)가 형성되며, 연결부(43)의 단부에 볼트부(44)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헤드(41)의 단부에는 공구홈(41a)이 형성되며, 연결부(43)와 볼트부(44)의 사이에는 원주 둘레 전체에 오목한 스냅링홈(46)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볼트(40)는 연결볼트(30)의 관통홀(31)로 삽입된다. 고정볼트(40)는 어댑터부(10)쪽에서 커넥터부(20)쪽으로 삽입되며, 고정볼트(40)가 연결볼트(30)의 관통홀(31)에 삽입되었을 때 고정볼트(40)의 단차부(45)가 연결볼트(30)의 헤드(32)에 걸려지고, 연결부(43)는 관통홀(31)을 관통하며, 볼트부(44)는 커넥터부(20)의 결합홀(22a)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커넥터부(20)의 결합홀(22a)에 원판형 와셔(50)가 끼워지고, 그 이후 스냅링(60)이 삽입되어 고정볼트(40)의 스냅링홈(46)에 삽입 안착된다.
이 상태에서 와셔(50)는 결합홀(22a)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22b)에 밀착되고, 스냅링(60)의 외측 테두리 부분은 와셔(50)에 밀착된다. 따라서 스냅링(60)이 어댑터부(10)쪽으로 이동할 수 없으며, 스냅링(60)이 스냅링홈(46)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고정볼트(40)가 삽입 방향의 반대쪽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되어 고정볼트(40)가 결합홀(12a,22a)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커넥터로부터 고정볼트(40)가 분리되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상기와 같이 조립된 커넥터를 전기 전자 제품에 설치된 커넥터에 접근시켜 커넥터부(20)와 대응 커넥터의 커넥터부를 결합시킨 뒤, 상기 고정볼트(40)의 볼트부(44)를 대응 커넥터의 커넥터부에 마련된 너트부에 체결함으로써 커넥터 연결 작업을 마무리 하게 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제2실시예는 연결볼트(30)의 결합 방향에 차이가 있다.
제2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볼트(30)는 커넥터부(20)쪽에서 어댑터부(10)쪽으로 삽입되어 커넥터부(20)와 어댑터부(10)의 플랜지(22,12)를 상호 결합시킨다.
연결볼트(30)의 헤드(32)는 커넥터부(20)의 결합홀(22a) 내부에 형성된 걸림턱(22b)에 밀착되며, 연결볼트(30)의 수나사(33)는 어댑터부(10)의 결합홀(12a)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에 나사 체결된다. 따라서 연결볼트(30)에 의해 어댑터부(10)와 커넥터부(20)의 결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이러한 결합상태에서 고정볼트(40)를 연결볼트(30)의 관통홀(31)로 삽입하여 고정볼트(40)의 볼트부(44)를 커넥터부(20)의 결합홀(22a) 외측으로 돌출시킨다.
그 상태에서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와셔(50)와 스냅링(60)을 설치하여 고정볼트(40)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때 와셔(50)는 연결볼트(30)의 헤드(32)에 밀착되고, 스냅링(60)은 내주측 테두리가 고정볼트(40)의 스냅링홈(46)에 삽입되고 외주측 테두리 일측면이 와셔(50)에 밀착되는 상태이다.
이후, 고정볼트(40)의 볼트부(44)를 전기 전자 제품측 커넥터의 커넥터부에 구비된 너트부에 체결함으로써 통신케이블측 커넥터와 전기 전자 제품측 커넥터의 연결 작업을 종료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연결볼트(30)의 수나사(33)가 어댑터부(10)의 결합홀(12a)에 형성된 암나사에만 체결되어도 연결볼트(30)에 의한 어댑터부(10)와 커넥터부(20)의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커넥터부(20)의 결합홀(22a)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될 필요가 없다(도 8 참조). 단, 커넥터부(20)의 결합홀(22a) 내주면에는 연결볼트(30)의 헤드(32)를 지지하는 걸림턱(22b)은 반드시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그래야만 연결볼트(30)의 수나사(33)가 어댑터부(10) 결합홀(12a)의 암나사에 나사 체결될 때 결합 진행 방향에 대응하여 연결볼트(30)의 헤드(32)를 지지함으로써 어댑터부(10)와 커넥터부(20)의 양측 플랜지(12,22)를 상호 밀착 상태로 유지하여 어댑터부(10)와 커넥터부(20)의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상기 커넥터부(20)의 결합홀(22a) 내주면에 암나사(22c)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 암나사(22c)는 연결볼트(30) 조립 상태에서 대응하는 수나사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어댑터부(10)와 커넥터부(20)의 결합에는 관여하지 않으나, 부품 납품 시나 재 분해 조립 시에 연결볼트(30)의 수나사(33)를 커넥터부(20)의 결합홀(22a)에 형성된 암나사(22c)에 체결하여 둠으로써 연결볼트(30)의 분실을 방지하고 조립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케이블이 연결되는 커넥터의 어댑터부(10)와 커넥터부(20)가 연결볼트(30)에 의해 나사 체결 방식으로 조립됨으로써 조립 상태가 매우 견고하여 조립 완료 상태에서 어댑터부(10)와 커넥터부(20)의 사이에 유동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어댑터부(10)와 커넥터부(20)의 일체화가 확실하게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어댑터부(10)의 바디(11)를 손으로 잡고 전기 전자 제품측 커넥터와의 연결작업을 실시할 때 안정감이 느껴지고 제품(커넥터) 품질에 대한 신뢰성을 느낄 수 있으며, 조립 작업 또한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볼트(30)는 내부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홀(31)이 형성된 중공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 관통홀(31)을 통해서 고정볼트(40)가 삽입되어 통신케이블측 커넥터와 전기 전자 제품측 커넥터의 결합 및 고정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기존 고정볼트(40)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도, 고정볼트(40)와 동일한 위치에 또 다른 볼트(연결볼트(30))를 설치하여 어댑터부(10)와 커넥터부(20)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새로운 결합구조를 적용하기 어려운(면적 협소함) 조건의 커넥터에 있어서, 기존의 조립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도 결합 강도 향상을 위한 새로운 조립 구조를 부가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어댑터부 11 : 바디
12 : 플랜지 12a : 결합홀
12b : 걸림턱 13 : 개구홀
14 : 케이블연결부 20 : 커넥터부
21 : 바디 22 : 플랜지
22a : 결합홀 22b : 걸림턱
22c : 암나사 23 : 단자하우징
24 : 단자 30 : 연결볼트
31 : 관통홀 32 : 헤드
32a : 공구홈 33 : 수나사
40 : 고정볼트 41 : 헤드
41a : 공구홈 42 : 바디
43 : 연결부 44 : 볼트부
45 : 단차부 46 : 스냅링홈
50 : 와셔 60 : 스냅링
12 : 플랜지 12a : 결합홀
12b : 걸림턱 13 : 개구홀
14 : 케이블연결부 20 : 커넥터부
21 : 바디 22 : 플랜지
22a : 결합홀 22b : 걸림턱
22c : 암나사 23 : 단자하우징
24 : 단자 30 : 연결볼트
31 : 관통홀 32 : 헤드
32a : 공구홈 33 : 수나사
40 : 고정볼트 41 : 헤드
41a : 공구홈 42 : 바디
43 : 연결부 44 : 볼트부
45 : 단차부 46 : 스냅링홈
50 : 와셔 60 : 스냅링
Claims (8)
- 통신케이블이 연결된 어댑터부와,
상기 통신케이블의 각 시그널선에 연결되는 복수의 단자들이 구비된 커넥터부와,
상기 어댑터부와 커넥터부를 나사 체결시키는 연결볼트와,
상기 연결볼트를 관통하여 전기 전자 제품측 커넥터의 너트부에 나사 체결되는 고정볼트
를 포함하는 커넥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부와 커넥터부에 각각의 폭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가 형성되고, 양측 플랜지의 대응 위치에 각각 결합홀이 형성되며, 이들 결합홀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에 상기 연결볼트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볼트에 축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고, 그 관통홀을 통해 상기 고정볼트가 삽입되어 전기 전자 제품측 커넥터의 너트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연결볼트는 어댑터부쪽에서 커넥터부쪽으로 삽입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부의 결합홀 내부에 상기 연결볼트의 헤드가 걸려지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볼트는 커넥터부쪽에서 어댑터부쪽으로 삽입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의 결합홀 내부에 상기 연결볼트의 헤드가 걸려지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의 단부에 스냅링이 설치되어 고정볼트가 연결볼트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4356A KR20190094790A (ko) | 2018-02-06 | 2018-02-06 | 커넥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4356A KR20190094790A (ko) | 2018-02-06 | 2018-02-06 | 커넥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94790A true KR20190094790A (ko) | 2019-08-14 |
Family
ID=67622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14356A KR20190094790A (ko) | 2018-02-06 | 2018-02-06 | 커넥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94790A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3065B1 (ko) | 2006-01-20 | 2007-02-15 | (주) 리보텍 | D-sub 커넥터와 그 조립 방법 및 체결 구조 |
KR101014078B1 (ko) | 2008-11-05 | 2011-02-14 |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 스플래쉬 쉴드와 커넥터의 프리 락킹 구조 |
-
2018
- 2018-02-06 KR KR1020180014356A patent/KR2019009479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3065B1 (ko) | 2006-01-20 | 2007-02-15 | (주) 리보텍 | D-sub 커넥터와 그 조립 방법 및 체결 구조 |
KR101014078B1 (ko) | 2008-11-05 | 2011-02-14 |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 스플래쉬 쉴드와 커넥터의 프리 락킹 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825445B2 (en) | Strain/vibration relieving cable housing device | |
US7682188B1 (en) | Fastening structure of signal connector | |
US8777660B2 (en) | Electric connector with a cable clamping portion | |
US5637006A (en) | Electrofluidic mixed connector | |
EP1589619B1 (en) | Connector | |
US7955125B1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one end threadably connected to a junction box and other end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mating electrical connector | |
US10348003B2 (en) | Method for assembling an angled plug connector | |
US9065203B2 (en) |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ecuring a connection of an 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 |
JP5910832B2 (ja) | ケーブル保持装置 | |
US8215847B2 (en) | Communications connector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 |
JPH01309277A (ja) | 電気機器用特に列設されたマグネットバルブ用コネクタ | |
CN106122201B (zh) | 一种多旋翼无人机机臂的连接结构 | |
KR20190094790A (ko) | 커넥터 | |
US20050191896A1 (en) | Cable connector | |
US10236621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duit adapter | |
JP6043995B2 (ja) | 防水コネクタ | |
US11539155B2 (en) | Contact assembly for a connector housing, connector housing as well as connector assembly and modular connector set with such a connector housing | |
KR102117071B1 (ko) | 전선 접속장치 | |
US7001226B2 (en) | Connecting cable | |
CN106763017B (zh) | 一种用于互联波导法兰的快速连接器及方法 | |
US11837813B2 (en) | Multi-pole electrical plug-in connector | |
WO2015071907A1 (en) | Branching-off pipe coupler | |
CN220368223U (zh) | 一种旋扣式互锁结构 | |
KR102121967B1 (ko) | 사운드콘 타입의 튜브 삽입위치 확인음 발생장치를 갖는 유압튜브 커넥터 | |
CN208452868U (zh) | 一种平板自卸车快换接头防插错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