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4078B1 - 스플래쉬 쉴드와 커넥터의 프리 락킹 구조 - Google Patents

스플래쉬 쉴드와 커넥터의 프리 락킹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4078B1
KR101014078B1 KR1020080109156A KR20080109156A KR101014078B1 KR 101014078 B1 KR101014078 B1 KR 101014078B1 KR 1020080109156 A KR1020080109156 A KR 1020080109156A KR 20080109156 A KR20080109156 A KR 20080109156A KR 101014078 B1 KR101014078 B1 KR 101014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lower housing
splash shield
housing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9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0054A (ko
Inventor
백광식
박해수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9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4078B1/ko
Publication of KR20100050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0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4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4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적 신호 제어 모듈에 갖추어진 하우징의 안쪽에 전기 단자와 맞물릴 수 있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을 보다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한 스플래쉬 쉴드와 커넥터의 프리 락킹 구조에 관한 것으로, 전기 부품이 장착될 수 있으면서, 상부면이 커버에 의해 열리고 닫힐 수 있는 상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과 결합될 수 있으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을 통과한 전기 부품의 전기 단자가 관통될 수 있는 하부 하우징, 및 상기 하부 하우징과 결합 될 수 있으면서, 상기 하부 하우징으로부터 뻗어나온 전기 단자가 결합 될 수 있도록 커넥터가 가조립되고, 상기 커넥터로부터 연장된 케이블이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케이블 배출구를 갖춘 스플래쉬 쉴드로 이루어진 전기적 신호 제어 모듈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에는 상기 커넥터와 연결될 수 있는 볼트 구멍이 갖추어지고, 상기 볼트 구멍의 둘레 바깥쪽으로는 상기 전기 단자가 커넥터와 연결될 수 있도록 전기 단자 구멍이 갖추어진다.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에는 상기 볼트 구멍과 전기 단자 구멍의 바깥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하방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된 돌기가 갖추어진다. 또, 상기 스플래쉬 쉴드에는 상기 스플래쉬 쉴드의 상방향으로 뻗어나온 걸림턱이 2개 이상 갖추어져, 상기 커넥터의 측면에 형성된 2개 이상의 돌출턱과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하부 하우징을 관통한 볼트가 결합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의 볼트 구멍이 구비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스플래쉬 쉴드와 커넥터의 프리 락킹 구조는 상기 하부 하우징에 상기 커넥터가 가조립된 스플래쉬 쉴드를 결합한 다음, 상기 하부 하우징과 커넥터의 볼트 구멍에 볼트를 조여 넣기만 하면, 상기 하부 하우징에 갖추어진 돌기에 의해 상기 스플래쉬 쉴드의 걸림턱이 벌어지게 되면서 상기 커넥터가 하부 하우징의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게 장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플래쉬 쉴드와 커넥터의 프리 락킹 구조는 커넥터로부터 연장된 케이블을 상기 스플래쉬 쉴드에 갖추어진 케이블 배출구에 장착시킬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상기 케이블이 케이블 배출구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커넥터를 스플래쉬 쉴드로부터 하부 하우징에 장착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하부 하우징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전기 단자가 상기 커넥터와 정확하게 맞물릴 수 있도록 한다.
프리 락킹, 커넥터, 스플래쉬 쉴드, 전기적 신호 제어 모듈, 가조립, 하우징

Description

스플래쉬 쉴드와 커넥터의 프리 락킹 구조{A STRUCTURE FOR PRE-LOCKING OF SPLASH SHIELD AND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적 신호 제어 모듈에 갖추어진 하우징의 안쪽에 전기 단자와 맞물릴 수 있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을 보다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한 스플래쉬 쉴드와 커넥터의 프리 락킹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부 하우징에 커넥터가 가조립된 스플래쉬 쉴드를 결합한 다음, 상기 하부 하우징과 커넥터에 볼트를 조여 넣기만 하면, 상기 커넥터에 연장된 케이블이 상기 스플래쉬 쉴드의 케이블 배출구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만 스플래쉬 쉴드로부터 하부 하우징으로 떨어져 나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스플래쉬 쉴드와 커넥터의 프리 락킹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시판되고 있는 자동차에는 자동차 안에 장착된 전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전기적 신호 제어 모듈이 갖추어지는바, 상기 전기적 신호 제어 모듈에는 대부분 전기 단자와 맞물릴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 로부터 연장된 2개 이상의 케이블이 갖추어지고, 상기 커넥터와 케이블은 각각 하우징의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게 장착되어 진다.
하지만, 종래의 일반적인 설치 구조로는 상기 커넥터와 상기 케이블을 하우징의 지정된 위치에 동시에 고정시키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커넥터로부터 연장된 케이블을 특정 장소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상기 커넥터를 전기 단자와 정확하게 맞물리게 할 수 있는 와이어 드레스 커넥터를 이용한 프리 락킹 구조가 개발되었는데, 상기 와이어 드레스 커넥터는 도면 6과 도면 7 및 도면 8에 도시한 바 전기 부품(8)을 끼워 넣을 수 있는 상부 하우징(1)과, 상기 상부 하우징(1)과 결합 될 수 있으면서, 상기 상부 하우징(1)을 관통한 전기 부품(8)의 전기 단자(10)가 끼워질 수 있는 하부 하우징(2), 및 상기 하부 하우징(2)과 결합 될 수 있는 스플래쉬 쉴드(3)가 갖추어지고, 상기 스플래쉬 쉴드(3)에는 상기 하부 하우징(2)으로부터 뻗어나온 전기 단자(1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커넥터(4)가 가조립 되며, 상기 커넥터(4)로부터 연장된 케이블이 외부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도록 케이블 배출구(3a)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4)와 스플래쉬 쉴드(3)의 사이에는 도면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4)와 결합됨과 더불어 끼움 구멍(5)이 갖추어진 와이어 드레스 커버(6)가 구비되어, 도면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플래쉬 쉴드(3)에 돌출 형성된 끼움 돌기(7)에 상기 와이어 드레스 커버(6)에 갖추어진 끼움 구멍(5)이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드레스 커버(6)에는 상기 커넥터(4)로부터 뻗어나온 케이블을 스플래쉬 쉴드(3)의 케이블 배출구(3a)로 안내시킬 수 있도록 케이블 가이드(6a)가 장착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프리 락킹 구조는 상기 케이블이 연장된 커넥터(4)를 상기 와이어 드레스 커버(6)에 결합시키면, 상기 커넥터(4)로부터 연장된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가이드(6a)의 안내를 받아 상기 케이블 가이드(6a)의 바깥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다음, 상기 커넥터(4)와 케이블이 장착된 와이어 드레스 커버(6)를 스플래쉬 쉴드(3)에 결합한 상태로 상기 스플래쉬 쉴드(3)를 하부 하우징(2)에 결합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2)과 커넥터(4)를 볼트 고정시키게 되면, 상기 커넥터(4)가 볼트에 의해서 상기 하부 하우징(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와이어 드레스 커버(6)에 갖추어진 끼움 구멍(5)이 상기 스플래쉬 쉴드(3)의 끼움 돌기(7)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상기 커넥터(4)는 하부 하우징(2)의 전기 단자 끼움 위치에 정확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프리 락킹 구조는 상기 스플래쉬 쉴드(3)에 커넥터(4)가 장착된 와이어 드레스 커버(6)를 장착하고, 상기 스플래쉬 쉴드(3)를 하부 하우징(2)에 결합한 다음, 상기 하부 하우징(2)과 커넥터(4)에 볼트를 조여 주기만 하면, 상기 커넥터(4)를 고정하고 있던 와이어 드레스 커버(6)에 의해 상기 커넥터(4)로부터 연장된 케이블과 상기 커넥터(4)가 하부 하우징(2)의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전기적 신호 제어 모듈은 볼트의 끌어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끼움 구멍(5)이 상기 끼움 돌기(7)로부터 이탈되기 때문에, 상기 끼움 구멍(5)과 끼움 돌기(7) 간의 마찰로 인하여 상기 와이어 드레스 커버(6) 또는 스플래쉬 쉴드(3)의 일부가 파손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스플래쉬 쉴드(3)에 커넥터(4)를 가조립하는 수단으로써 별도 사출 성형된 와이어 드레스 커버(6)를 제작하여야 하므로, 상기 전기적 신호 제어 모듈의 제조 단가가 상승하거나 제조 공정이 복잡해진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스플래쉬 쉴드와 커넥터의 프리 락킹 구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제조 단가 상승의 원인이 되는 와이어 드레스 커버를 제거할 수 있으면서, 상기 와이어 드레스 커버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수단을 갖출 수 있고, 상기 하부 하우징과 스플래쉬 쉴드의 일부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커넥터와 케이블을 간단하게 하우징의 정해진 위치에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한 스플래쉬 쉴드와 커넥터의 프리 락킹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플래쉬 쉴드와 커넥터의 프리 락킹 구조는 전기 부품이 장착될 수 있으면서, 상부면이 커버에 의해 열리고 닫힐 수 있는 상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과 결합 될 수 있으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을 통과한 전기 부품의 전기 단자가 관통될 수 있는 하부 하우징, 및 상기 하부 하우징과 결합 될 수 있으면서, 상기 하부 하우징으로부터 뻗어나온 전기 단자가 결합 될 수 있도록 커넥터가 가조립되고, 상기 커넥터로부터 연장된 케이블이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케이블 배출구를 갖춘 스플래쉬 쉴드로 이루어진 전기적 신호 제어 모듈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에는 상기 커넥터와 연결될 수 있는 볼트 구멍이 갖추어지고, 상기 볼트 구멍의 둘레 바깥쪽으로는 상기 전기 단자가 커넥터와 연결될 수 있도록 전기 단자 구멍이 갖추어진다.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 에는 상기 볼트 구멍과 전기 단자 구멍의 바깥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하방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된 돌기가 갖추어진다. 또, 상기 스플래쉬 쉴드에는 상기 스플래쉬 쉴드의 상방향으로 뻗어나온 걸림턱이 2개 이상 갖추어져, 상기 커넥터의 측면에 형성된 2개 이상의 돌출턱과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하부 하우징을 관통한 볼트가 결합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의 볼트 구멍이 구비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스플래쉬 쉴드와 커넥터의 프리 락킹 구조는 상기 하부 하우징에 상기 커넥터가 가조립된 스플래쉬 쉴드를 결합한 다음, 상기 하부 하우징과 커넥터의 볼트 구멍에 볼트를 넣기만 하면, 상기 하부 하우징에 갖추어진 돌기에 의해 상기 스플래쉬 쉴드의 걸림턱이 벌어지게 되면서 상기 커넥터가 하부 하우징의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게 장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플래쉬 쉴드와 커넥터의 프리 락킹 구조는 커넥터로부터 연장된 케이블을 상기 스플래쉬 쉴드에 갖추어진 케이블 배출구에 장착시킬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상기 케이블이 케이블 배출구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커넥터를 스플래쉬 쉴드로부터 하부 하우징에 장착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하부 하우징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전기 단자가 상기 커넥터와 정확하게 맞물릴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스플래쉬 쉴드와 커넥터의 프리 락킹 구조는 상기 하부 하우징에 상기 커넥터가 가조립된 스플래쉬 쉴드를 결합한 다음, 상기 하부 하우징의 볼트 구멍과 상기 커넥터의 볼트 구멍에 볼트를 조여 넣기만 하면, 상기 하부 하우징에 갖추어진 돌기에 의해 상기 스플래쉬 쉴드의 걸림턱이 벌어지게 되면서, 상기 커넥터가 하부 하우징의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플래쉬 쉴드와 커넥터의 프리 락킹 구조는 케이블이 연결된 커넥터를 스플래쉬 쉴드에 가조립하고, 상기 커넥터가 가조립된 스플래쉬 쉴드를 하부 하우징에 장착시킨 다음, 상기 하부 하우징과 커넥터를 나사 조임하기만 하면, 상기 케이블이 장착된 커넥터가 상기 스플래쉬 쉴드의 가조립으로부터 벗어나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게 부착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상기 케이블이 하우징의 정해진 위치에 정확히 장착되므로, 커넥터에 연장된 케이블을 상기 스플래쉬 쉴드에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차후 상기 하부 하우징에 전기 부품을 끼워 넣었을 때, 상기 전기 부품에 갖추어진 전기 단자가 상기 커넥터와 정확하게 맞물릴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하부 하우징과 커넥터 사이의 볼트가 조여짐에 따라 하부 하우징에 장착된 돌기에 의해서 커넥터에 장착된 스플래쉬 쉴드의 걸림턱이 이탈되므로, 커넥터와 스플래쉬 쉴드의 걸림턱 사이의 마찰로 인하여 커넥터 또는 스플래쉬 쉴드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며, 커넥터와 스플래쉬 쉴드 사이에 별도로 사출 성형된 와이어 드레스 커버를 제조하지 않아도 되어 제조 단가 및 제조 공정을 줄임과 동시에 품질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고안의 스플래쉬 쉴드와 커넥터의 프리 락킹 구조를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면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플래쉬 쉴드와 커넥터의 프리 락킹 구조의 상태도이고, 도면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플래쉬 쉴드와 커넥터의 프리 락킹 구조의 종단면도이며, 도면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플래쉬 쉴드와 커넥터의 프리 락킹 구조에 갖추어진 하부 하우징의 상태도이다.
도면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플래쉬 쉴드와 커넥터의 프리 락킹 구조에 갖추어진 스플래쉬 쉴드에 커넥터가 가조립된 상태도이고, 도면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플래쉬 쉴드와 커넥터의 프리 락킹 구조에 갖추어진 커넥터가 볼트와 돌기에 의해 스플래쉬 쉴드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하부 하우징과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플래쉬 쉴드와 커넥터의 프리 락킹 구조는 전기 부품(8)이 장착될 수 있으면서, 상부면이 커버(9)에 의해 열리고 닫힐 수 있는 상부 하우징(1)과, 상기 상부 하우징(1)과 결합 될 수 있으면 서, 상기 상부 하우징(1)을 통과한 전기 부품(8)의 전기 단자(10)가 관통될 수 있는 하부 하우징(2), 및 상기 하부 하우징(2)과 결합 될 수 있으면서, 상기 하부 하우징(2)으로부터 뻗어나온 전기 단자(10)가 결합 될 수 있도록 커넥터(4)가 가조립 되고, 상기 커넥터(4)로부터 연장된 케이블이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케이블 배출구(3a)를 갖춘 스플래쉬 쉴드(3)로 이루어진 전기적 신호 제어 모듈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2)에는 도면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하우징(2)에 볼트를 관통시켜 상기 커넥터(4)와 연결될 수 있도록 볼트 구멍(11)이 갖추어지고, 상기 볼트 구멍(11)의 바깥 방향으로는 전기 단자 구멍(12)이 갖추어져 상기 전기 부품(8)의 하방으로 뻗어나온 전기 단자(10)가 상기 전기 단자 구멍(12)을 관통한 다음, 상기 커넥터(4)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2)에는 상기 볼트 구멍(11)과 전기 단자 구멍(12)의 바깥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면서, 상기 하부 하우징(2)의 하방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된 돌기(13)가 갖추어진다.
상기 스플래쉬 쉴드(3)에는 도면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플래쉬 쉴드(3)의 상단면에 상기 스플래쉬 쉴드(3)의 상방향으로 뻗어 나온 걸림턱(14)이 2개 이상 갖추어져 상기 커넥터(4)의 측면에 형성된 2개 이상의 돌출턱(15)과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커넥터(4)에는 상기 하부 하우징(2)을 관통한 볼트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커넥터(4)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볼트 구멍(16)이 갖추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상기 하부 하우징(2)에 상기 커넥터(4)가 장착된 스플래쉬 쉴드(3)가 장착되는 과정을 도면 4와 도면 5를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 한다.
먼저, 도면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이 연결된 커넥터(4)의 돌출턱(15)을 스플래쉬 쉴드(3)의 걸림턱(14)에 끼워 넣게 되면, 상기 커넥터(4)로부터 연장된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배출구(3a)를 통해 외부로 뻗어나옴과 동시에 상기 커넥터(4)가 스플래쉬 쉴드(3)의 걸림턱(14)에 단단히 고정되게 된다.
다음, 도면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하우징(2)과 커넥터(4)가 장착된 스플래쉬 쉴드(3)를 결합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2)과 상기 커넥터(4)의 볼트 구멍(11,16)에 볼트를 체결시키게 되면, 상기 볼트의 나사산에 의해서 상기 스플래쉬 쉴드(3)에 고정된 커넥터(4)가 상기 하부 하우징(2) 방향으로 당겨지게 됨과 동시에 상기 하부 하우징(2)에 갖추어진 돌기(13)가 상기 커넥터(4)와 결합되어 있는 걸림턱(14)의 상부면을 압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하부 하우징(2)과 커넥터(4)의 볼트 구멍(11,16)을 완전하게 조이게 되면, 상기 커넥터(4)는 상기 돌기(13)와 걸림턱(14) 및 볼트의 안내를 받아 상기 하부 하우징(2)의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게 밀착 고정되고, 상기 커넥터(4)를 고정하고 있던, 상기 걸림턱(14)은 상기 하부 하우징(2)에 갖추어진 돌기(13)의 압박에 의해 상기 커넥터(4)의 돌출턱(15)으로부터 완전하게 벗어나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스플래쉬 쉴드(3)와 커넥터(4)의 프리 락킹 구조는 상기 하부 하우징(2)에 케이블이 장착된 커넥터(4)가 가조립된 스플래쉬 쉴드(3)를 결합한 다음, 상기 하부 하우징(2)과 커넥터(4)를 통하여 볼트를 조여 넣기만 하면, 상기 스플래쉬 쉴드(3)에 가조립된 커넥터(4)가 상기 스플래쉬 쉴드(3)로부터 안전하게 이탈하게 되면서, 상기 하부 하우징(2)의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게 결합 될 수 있고, 동시에 상기 커넥터로부터 연장된 케이블이 스플래쉬 쉴드(3)의 케이블 배출구(3a)에 정확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플래쉬 쉴드(3)와 커넥터(4)의 프리 락킹 구조는 커넥터(4)에 연장된 케이블을 상기 스플래쉬 쉴드(3)에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상기 케이블이 연결된 커넥터(4)가 하부 하우징(2)에 끼워지는 전기 단자(10)와 정확히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상기에 기술한 스플래쉬 쉴드와 커넥터의 프리 락킹 구조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상기 스플래쉬 쉴드와 커넥터의 프리 락킹 구조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갖는 구조라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상기 스플래쉬 쉴드와 커넥터의 프리 락킹 구조의 외관 형태를 변형 및 변경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면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플래쉬 쉴드와 커넥터의 프리 락킹 구조의 상태도이고,
도면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플래쉬 쉴드와 커넥터의 프리 락킹 구조의 종단면도,
도면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플래쉬 쉴드와 커넥터의 프리 락킹 구조에 갖추어진 하부 하우징의 상태도,
도면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플래쉬 쉴드와 커넥터의 프리 락킹 구조에 갖추어진 스플래쉬 쉴드에 커넥터가 가조립된 상태도,
도면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플래쉬 쉴드와 커넥터의 프리 락킹 구조에 갖추어진 커넥터가 볼트와 돌기에 의해 스플래쉬 쉴드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하부 하우징과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
도면 6은 종래의 스플래쉬 쉴드와 커넥터의 프리 락킹 구조의 측면도,
도면 7은 종래의 스플래쉬 쉴드와 커넥터의 프리 락킹 구조에 갖추어진 와이어 드레스 커버에 커넥터가 장착된 배면도,
도면 8은 종래의 스플래쉬 쉴드와 커넥터의 프리 락킹 구조에서 커넥터와 스플래쉬 쉴드 사이에 와이어 드레스 커버가 결합된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상부 하우징 2. 하부 하우징
3. 스플래쉬 쉴드 3a. 케이블 배출구
4. 커넥터 5. 끼움 구멍
6. 와이어 드레스 커버 6a. 케이블 가이드
7. 끼움 돌기 8. 전기 부품
9. 커버 10. 전기 단자
11. 볼트 구멍 12. 전기 단자 구멍
13. 돌기 13. 돌기
14. 걸림턱 15. 돌출턱
16. 볼트 구멍

Claims (1)

  1. 전기 부품(8)이 장착될 수 있으면서, 상부면이 커버(9)에 의해 열리고 닫힐 수 있는 상부 하우징(1)과, 상기 상부 하우징(1)과 결합 될 수 있으면서, 상기 상부 하우징(1)을 통과한 전기 부품(8)의 전기 단자(10)가 관통될 수 있는 하부 하우징(2), 및 상기 하부 하우징(2)과 결합 될 수 있으면서, 상기 하부 하우징(2)으로부터 뻗어나온 전기 단자(10)가 결합 될 수 있도록 커넥터(4)가 가조립되고, 상기 커넥터(4)로부터 연장된 케이블이 외부로 빠져 나올 수 있도록 케이블 배출구(3a)를 갖춘 스플래쉬 쉴드(3)로 이루어진 전기적 신호 제어 모듈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2)에는 볼트를 관통시켜 상기 커넥터(4)와 연결될 수 있도록 볼트 구멍(11)이 갖추어지고, 상기 볼트 구멍(11)의 바깥 방향으로는 상기 전기 부품(8)의 하방으로 뻗어나온 전기 단자(10)가 상기 하부 하우징(2)을 관통한 다음, 커넥터(4)와 연결될 수 있도록 전기 단자 구멍(12)이 갖추어지며, 상기 전기 단자 구멍(12)의 바깥 방향으로는 상기 하부 하우징(2)의 하방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된 돌기(13)가 갖추어지며,
    상기 스플래쉬 쉴드(3)에는 상기 스플래쉬 쉴드(3)의 상방향으로 뻗어나온 걸림턱(14)이 2개 이상 갖추어져 상기 커넥터(4)의 측면에 형성된 2개 이상의 돌출턱(15)과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커넥터(4)에는 상기 하부 하우징(2)을 관통한 볼트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커넥터(4)의 수직 방향으로 볼트 구멍(16)이 갖추어져,
    상기 하부 하우징(2)에 상기 커넥터(4)가 장착된 스플래쉬 쉴드(3)를 결합한 다음, 상기 하부 하우징(2)과 커넥터(4)에 갖추어진 볼트 구멍(11,16)에 볼트를 조여 넣을 때, 상기 볼트에 의해 상기 커넥터(4)가 하부 하우징(2)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면서, 상기 걸림턱(14)은 하부 하우징(2)의 돌기(13)에 의해 상기 커넥터(4)로부터 이탈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래쉬 쉴드와 커넥터의 프리 락킹 구조.
KR1020080109156A 2008-11-05 2008-11-05 스플래쉬 쉴드와 커넥터의 프리 락킹 구조 KR101014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156A KR101014078B1 (ko) 2008-11-05 2008-11-05 스플래쉬 쉴드와 커넥터의 프리 락킹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156A KR101014078B1 (ko) 2008-11-05 2008-11-05 스플래쉬 쉴드와 커넥터의 프리 락킹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054A KR20100050054A (ko) 2010-05-13
KR101014078B1 true KR101014078B1 (ko) 2011-02-14

Family

ID=42276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9156A KR101014078B1 (ko) 2008-11-05 2008-11-05 스플래쉬 쉴드와 커넥터의 프리 락킹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40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4790A (ko) 2018-02-06 2019-08-14 한 성 운 커넥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53472B2 (en) * 2002-06-10 2004-06-22 Sumitomo Wiring Systems, Ltd. Joining Structure for junction box and electrical component connector block
KR20050031761A (ko) * 2003-09-30 2005-04-06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차량용 정션박스
JP2006333654A (ja) * 2005-05-27 2006-12-07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
JP2006352980A (ja) * 2005-06-14 2006-12-28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53472B2 (en) * 2002-06-10 2004-06-22 Sumitomo Wiring Systems, Ltd. Joining Structure for junction box and electrical component connector block
KR20050031761A (ko) * 2003-09-30 2005-04-06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차량용 정션박스
JP2006333654A (ja) * 2005-05-27 2006-12-07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
JP2006352980A (ja) * 2005-06-14 2006-12-28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4790A (ko) 2018-02-06 2019-08-14 한 성 운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054A (ko) 201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40414B2 (ja) コルゲートクランプ
US5975933A (en) Connector attachment structure
US7893364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JP3877972B2 (ja) 機器用シールドコネクタ
JP6434939B2 (ja) コネクタ
US5823807A (en) Connector assembly with mechanism for confirmation of fitting of connector housing and method of attaching connector housing
US7338316B2 (en) Connector for joining cable conductors with an antenna
KR101637721B1 (ko) 하우징 및 이를 사용한 도어 커넥터
JP6634420B2 (ja) 機器直付用シールドコネクタ
JP5521469B2 (ja) 端子接続構造
KR101510044B1 (ko) 차량용 도어 커넥터
KR101014078B1 (ko) 스플래쉬 쉴드와 커넥터의 프리 락킹 구조
CA2885948A1 (en) Integral grounding hub
KR100799883B1 (ko) 암단자 조립체
GB2270592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double-lock contacts and bolt securing arrangement
KR102627672B1 (ko) 고전압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고전압 전력용 접속장치
KR101371864B1 (ko) 자동차의 카메라 모듈
KR200444213Y1 (ko) 배터리용 퓨즈박스의 결합구조
JP2002373737A (ja) 機器用シールドコネクタ
KR20090132362A (ko) 커넥터 어셈블리
CN104350654A (zh) 包括接线盒的马达离心泵
JP4170040B2 (ja) 電気接続箱
KR100632301B1 (ko)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구조
KR101520926B1 (ko) 커넥터조립체
KR200436538Y1 (ko) 퓨즈박스의 버스바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