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4729B1 - 승용이앙기용 햇빛 가리개 - Google Patents

승용이앙기용 햇빛 가리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4729B1
KR101614729B1 KR1020140043665A KR20140043665A KR101614729B1 KR 101614729 B1 KR101614729 B1 KR 101614729B1 KR 1020140043665 A KR1020140043665 A KR 1020140043665A KR 20140043665 A KR20140043665 A KR 20140043665A KR 101614729 B1 KR101614729 B1 KR 101614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racket
passenger
roof panel
fron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8253A (ko
Inventor
천원기
김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세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세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세아텍
Priority to KR1020140043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4729B1/ko
Publication of KR20150118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1/00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용이앙기용 햇빛 가리개에 관한 것으로, 전방브라켓(105)과, 측방브라켓(107)을 형성하여 승용이앙기의 양측에 형성된 장착부(606)에 설치되는 프런트프레임(1)과; 상부브라켓(202)과 하부브라켓(203)을 형성하여 승용이앙기의 주행차량부(6) 운전석(605) 후방에 설치되는 리어프레임(2)과; 프런트프레임(1)과 리어프레임(2)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부(301, 302, 303)를 형성하여 프런트프레임(1)과 리어프레임(2)에 의해 지지되는 루프패널(3)로 구성함으로써 승용이앙기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승용이앙기의 운전석에 그늘을 만들어줌으로써 작업자가 모 이식 작업을 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승용이앙기용 햇빛 가리개{Sunshade for passenger Rice Transplanter}
본 발명은 승용이앙기용 햇빛 가리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승용이앙기의 상부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승용이앙기의 운전석에 그늘을 만들 수 있게 한 승용이앙기용 햇빛 가리개에 관한 것이다.
이앙기(移秧機)는 모내기 기계라고도 하며, 못자리나 육묘상자에서 자란 모를 논에 옮겨 심는 농기계로서 주행장치의 형태에 따라 차륜형과 플로트형으로 구분되는데, 차륜형에는 운전자가 탑승 가능한 구조를 가진 승용이앙기가 대표적이며, 플로트형에는 작업자가 직립 보행하면서 이앙기의 이동을 견인하는 보행 이앙기가 있으나, 현재 국내에서는 보행형 이앙기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앙기의 구조는 사용하는 모의 종류에 따라 조금씩 다르기는 하나, 첨부도면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대체로 전후로 전륜(601) 및 후륜(602)이 현가되고, 전방에는 동력부인 엔진(603)이 탑재되며, 상부에는 조향핸들(604)을 구비한 운전석(605)이 설치되는 주행차량부(6)와, 주행차량부(6)의 후방에 설치되어 논에서 기계가 작용할 때, 모를 심는 깊이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받치는 기능을 하는 플로트(701)와, 모판을 탑재하는 모탑재대(702) 등을 구비하여 모탑재대(702)에 탑재된 모를 적당한 포기로 나누어 땅에 옮겨 심는 역할을 이식장치부(7)와, 주행차량부(6)의 양측에 설치되어 이식장치부(7)의 모탑재대(702)에 추가 적재할 다수의 예비모판을 적재하는 예비모적재부(8)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승용이앙기는, 작업자가 운전석(605)에 앉은 상태로 조향핸들(604)을 조작하여 전륜(601) 및 후륜(602)을 주행 구동하여 이동하는 동시에, 이식장치부(7)에 설치되어 좌우로 왕복하면서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는 모탑재대(702)에서 1포기 분의 묘(모)를 식부날을 이용해 집어내면서 연속적으로 논에 옮겨심는 이식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그리하여 이식장치부(7)의 모탑재대(702)에 탑재된 모판의 모 이식이 거의 완료될 시점에서 작업자가 수동으로 예비모적재부(8)에 적재된 예비모판을 모탑재대(702)에 추가 적재함으로써 연속적인 다량의 모 이식 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0448530호 등록특허공보 제10-0652485호
종래의 승용이앙기는 모를 심는 과정에서 이식장치부(7)의 모탑재대(702)에 탑재된 모판의 모 이식이 거의 완료될 시점이 되면, 작업자가 수동으로 예비모적재부(8)에 적재된 예비모판을 모탑재대(702)에 추가 적재해야 하는데, 이식장치부(7)는 주행차량부(6)의 후방에 위치하며, 예비모적재부(8)는 주행차량부(6)의 좌우 양측에 위치함으로써 작업자가 예비모적재부(8)에 적재된 예비모판을 이식장치부(7)의 모탑재대(702)로 옮기기 위해서는 운전석(605)에 일어서서 주행차량부(6) 상부에서 예비모적재부(8)로 이동한 후, 예비모적재부(8)에 적재된 예비모판을 꺼내어 주행차량부(6)의 후방으로 이동한 후, 이식장치부(7)의 모탑재대(702)에 예비모판을 적재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예비모판을 이식장치부(7)를 옮기는 과정에서 좁은 면적의 주행차량부(6)의 상부에서 이동해야 하는 작업 특성상, 주행차량부(6)의 상부에는 작업자의 이동을 방해하는 기둥과 같은 구조물을 세울 수 없기 때문에 모든 승용이앙기는 지붕구조물이 설치되지 않음으로써 승용이앙기를 이용해 모 이식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는 직사광선이 강한 한낮에는 강한 직사광선에 장시간 노출되는 경우가 많고, 그로 인해 일사병이 발생하거나, 강한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전방브라켓(105)과, 측방브라켓(107)을 형성하여 승용이앙기의 양측에 형성된 장착부(606)에 설치되는 프런트프레임(1)과; 상부브라켓(202)과 하부브라켓(203)을 형성하여 승용이앙기의 주행차량부(6) 운전석(605) 후방에 설치되는 리어프레임(2)과; 프런트프레임(1)과 리어프레임(2)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부(301, 302, 303)를 형성하여 프런트프레임(1)과 리어프레임(2)에 의해 지지되는 루프패널(3)로 구성함으로써 승용이앙기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승용이앙기의 운전석(605)에 그늘을 만들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승용이앙기 상부에서 모판을 운반하는 등의 작업을 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승용이앙기의 상부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승용이앙기의 운전석에 그늘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승용이앙기를 운용하는 작업자를 직사광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이동 경로를 고려한 프레임의 배치로 인해 작업자가 주행차량부 상부에서 모판을 운반하는 등의 작업을 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 예시도
도 5는 종래의 일반적인 승용이앙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방브라켓(105)과, 측방브라켓(107)을 형성하여 승용이앙기의 양측에 형성된 장착부(606)에 설치되는 프런트프레임(1)과; 상부브라켓(202)과 하부브라켓(203)을 형성하여 승용이앙기의 주행차량부(6) 운전석(605) 후방에 설치되는 리어프레임(2)과; 프런트프레임(1)과 리어프레임(2)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부(301, 302, 303)를 형성하여 프런트프레임(1)과 리어프레임(2)에 의해 지지되는 루프패널(3)로 구성된다.
상기 프런트프레임(1)은 프런트프레임(1)은 금속제로 형성하며, 예비모적재대(801)가 설치되는 설치공(101a)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한 세로봉(101, 101')을 전후 한 쌍으로 구성하여 좌우 대칭으로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세로봉(101, 101')은 일반적인 승용이앙기의 예비모적재부(8)를 설치하기 위하여 주행차량부(6)의 양측 하부에서 돌출 형성된 장착부(606)에 끼워서 결합하게 된다.
상기 앞뒤 세로봉(101, 101') 간에는 연결봉(102)을 연결 형성하고, 상기 연결봉(102) 간에 전방가로봉(103)을 형성하여, 전방에 위치한 좌우 한 쌍의 세로봉(101)과 연결봉(102)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후방에 위치한 세로봉(101') 간에는 후방가로봉(104)을 형성하여, 후방에 위치한 좌우 한 쌍의 세로봉(101')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후방가로봉(104)의 가운데에는 전방브라켓(105)을 일체로 형성하여 전방브라켓(105)에 루프패널(3)의 결합부(301)를 결합하게 된다.
상기 후방에 위치한 양 세로봉(101')에서 각각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측면봉(106) 상단부에는 다수의 체결공(107a)을 구비한 측방브라켓(107)을 형성하여 측방브라켓(107)에 루프패널(3)의 또 다른 결합부(302)를 결합하게 된다.
상기 측면봉(106)은 루프패널(3)의 설치 각도를 고려하여 절곡 형성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절곡 형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세로봉(101')과 일단부가 이어지게 형성되는 측면봉(106)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세로봉(101')과 측면봉(106) 간에는 보강리브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리어프레임(2)은 금속제로 형성하며, 다수의 체결공(202a, 203a)을 형성한 상부브라켓(202)과 하부브라켓(203)을 지주봉(201)의 상하 양단부에 지주봉(201)과 직각 방향으로 형성하되, 상부브라켓(202)에는 루프패널(3)이 결합되며, 하부브라켓(203)은 승용이앙기의 주행차량부(6) 운전석(605) 후방 바디프레임 상부에 결합된다.
상기 루프패널(3)은 중량을 고려하여 가벼운 합성수지를 이용해 사출 성형하거나, FRP 소재로 제조되며, 프런트프레임(1)과 리어프레임(2)에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통공(304)을 구비한 결합부(301, 303)는 전후방에 각각 1개소가 형성되어 전방의 결합부(301)는 프런트프레임(1)의 전방브라켓(105)과 체결볼트로 결합되고, 후방의 결합부(303)는 리어프레임(2)의 상부브라켓(202)과 체결볼트로 결합된다.
또한, 루프패널(3)의 좌우 양측에도 대칭으로 각각 결합부(302)를 형성하여 프런트프레임(1)의 측방브라켓(107)과 체결볼트로 결합된다.
상기 루프패널(3)의 제작시 소재의 특성을 고려하여 결합부(301, 302, 303)의 두께는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프런트프레임(1)에는 상기 루프패널(3)을 지지하는 루프프레임(4)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루프프레임(4)은 금속제로 된 판재를 절곡 형성하되, 가운데 부분이 완만하게 솟아오른 형태로 형성하고, 중앙부와 양단부에는 각각 체결공(401, 402)을 형성하여 중앙부 체결공(401)에는 루프패널(3)을 결합하기 위한 체결볼트가 체결되고, 양단부 체결공(402)에는 루프프레임(4)을 프런트프레임(1)의 측방브라켓(107)에 결합하기 위한 체결볼트가 체결되어 프런트프레임(1)의 양 측방브라켓(107) 간에 설치됨으로써 루프패널(3)을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승용이앙기용 햇빛 가리개의 설치와 사용에 따른 작용 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런트프레임(1)은 전후 한 쌍으로 구성되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총 4개의 세로봉(101, 101')에 의해 지지되는데, 모든 세로봉(101, 101')은 일반적인 승용이앙기의 예비모적재부(8)를 설치하기 위하여 주행차량부(6)의 양측 하부에서 돌출 형성된 장착부(606)에 끼워서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승용이앙기에도 별도의 구조 변경 없이 기존 사용하던 예비모적재부(8)와 교체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 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세로봉(101, 101')에 형성된 설치공(101a)에 예비모적재대(801)를 설치함으로써 다수의 예비모판을 적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리어프레임(2)은 하부브라켓(203)을 승용이앙기의 주행차량부(6) 운전석(605) 후방 바디프레임 상부에 결합하여 설치함으로써 리어프레임(2)의 지주봉(201)은 운전석(605) 바로 후방 가운데에 세로로 설치된다.
그리하여 프런트프레임(1)의 전방브라켓(105)과, 측방브라켓(107), 그리고 리어프레임(2)의 상부브라켓(202)에 루프패널(3)의 결합부(301, 302, 303)를 결합하여 설치함으로써 루프패널(3)에 의해 주행차량부(6)의 운전석(605)에 그늘이 생기게 되어 작업자가 승용이앙기를 타고 모 이식 작업을 하는 동안에 루프패널(3)이 직사광선을 가려주게 된다.
또한, 프런트프레임(1)은 주행차량부(6)의 양측 앞쪽으로 세로봉(101, 101')이 위치하며, 리어프레임(2)의 지주봉(201)은 운전석(605) 바로 후방 가운데에 하나만 위치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승용이앙기를 타고 내리거나, 주행차량부(6)의 예비모적재부(8)에서 예비모판을 꺼내어 주행차량부(6) 후방에 위치한 이식장치부(7)로 예비모판을 운반하는 등의 동작을 행하는 데 있어 어떠한 방해 요소도 없기 때문에 작업자가 편하게 모 이식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런트프레임(1)의 양 측방브라켓(107) 간에는 루프패널(3)을 지지하는 루프프레임(4)을 설치함으로써 루프패널(3)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루프패널(3) 상부에 작업자의 작업복과 같이 가벼운 물건 등을 적재할 수도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 프런트프레임 101, 101': 세로봉
101a: 설치공 102: 연결봉
103: 전방가로봉 104: 후방가로봉
105: 전방브라켓 106: 측면봉
107: 측방브라켓 2: 리어프레임
201: 지주봉 202: 상부브라켓
203: 하부브라켓 3: 루프패널
301, 302, 303: 결합부 304: 통공
4: 루프프레임 6: 주행차량부
601: 전륜 602: 후륜
603: 엔진 604: 조향핸들
605: 운전석 7: 이식장치부
701: 플로트 702: 모탑재대
8: 예비모적재부 801: 예비모적재대

Claims (7)

  1. 전방브라켓(105)과, 측방브라켓(107)을 형성하여 승용이앙기의 양측에 형성된 장착부(606)에 설치되는 프런트프레임(1)과;
    상부브라켓(202)과 하부브라켓(203)을 형성하여 승용이앙기의 주행차량부(6) 운전석(605) 후방에 설치되는 리어프레임(2)과;
    프런트프레임(1)과 리어프레임(2)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부(301, 302, 303)를 형성하여 프런트프레임(1)과 리어프레임(2)에 의해 지지되는 루프패널(3)로 구성하고,
    상기 프런트프레임(1)은 예비모적재대(801)가 설치되는 설치공(101a)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한 세로봉(101, 101')을 전후 한 쌍으로 구성하여 좌우 대칭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이앙기용 햇빛 가리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봉(101, 101') 간에는 연결봉(102)을 연결 형성하여, 상기 연결봉(102) 간에 전방가로봉(103)을 형성하며, 상기 좌우 세로봉(101') 간에는 후방가로봉(104)을 형성하여, 후방가로봉(104)의 가운데에 전방브라켓(105)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이앙기용 햇빛 가리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에 위치한 양 세로봉(101')에는 각각 후방으로 측면봉(106)을 돌출 형성하여 상기 측면봉(106) 상단부에 다수의 체결공(107a)을 구비한 측방브라켓(107)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이앙기용 햇빛 가리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프레임(2)은 지주봉(201)의 상하 양단부에 다수의 체결공(202a, 302a)를 형성한 상부브라켓(202)과 하부브라켓(203)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이앙기용 햇빛 가리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프레임(1)에는 상기 루프패널(3)을 지지하는 루프프레임(4)을 설치하되, 상기 루프프레임(4)은 가운데 부분이 완만하게 솟아오른 형태로 형성하고, 중앙부와 양단부에는 각각 체결공을 형성하여 중앙부에는 루프패널(3)이 결합되고, 양단부에는 상기 프런트프레임(1)의 측방브라켓(107)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이앙기용 햇빛 가리개.
  6. 삭제
  7. 삭제
KR1020140043665A 2014-04-11 2014-04-11 승용이앙기용 햇빛 가리개 KR101614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665A KR101614729B1 (ko) 2014-04-11 2014-04-11 승용이앙기용 햇빛 가리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665A KR101614729B1 (ko) 2014-04-11 2014-04-11 승용이앙기용 햇빛 가리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253A KR20150118253A (ko) 2015-10-22
KR101614729B1 true KR101614729B1 (ko) 2016-04-25

Family

ID=54426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665A KR101614729B1 (ko) 2014-04-11 2014-04-11 승용이앙기용 햇빛 가리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47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608B1 (ko) 2020-09-18 2021-05-14 장홍석 이앙기용 차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58614B2 (ja) * 2019-01-15 2022-04-22 株式会社クボタ 圃場作業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587Y1 (ko) 1999-04-28 2000-05-15 임연홍 농업기계용 차양장치
JP2001000018A (ja) 1999-06-18 2001-01-09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移植機における補助苗載せ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587Y1 (ko) 1999-04-28 2000-05-15 임연홍 농업기계용 차양장치
JP2001000018A (ja) 1999-06-18 2001-01-09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移植機における補助苗載せ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608B1 (ko) 2020-09-18 2021-05-14 장홍석 이앙기용 차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253A (ko) 2015-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3978B2 (en) Vertically adjustable and removable headache rack system
IT201700009893A1 (it) "Modulo porta-contenitori per l’approvvigionamento di pezzi a stazioni di assemblaggio in impianti di produzione"
KR101598436B1 (ko) 비닐하우스용 작물 관리 및 운반장치
CN106794803A (zh) 车辆用车顶行李箱安装装置
KR101614729B1 (ko) 승용이앙기용 햇빛 가리개
US20210339804A1 (en) Supporting structure for a front-end module of a motor vehicle and front-end module comprising said supporting structure
US201800159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front end module
JP2011130756A (ja) ビニールハウス内運搬器具。
JP5722741B2 (ja) 乗用田植機の予備苗載置構造
CN106804168B (zh) 载秧台
JP6321606B2 (ja) 荷台用幌張枠装置
CN201099200Y (zh) 车辆运输半挂车
JP2010094061A (ja) 移植機
CN206766067U (zh) 一种物品转运车
KR100683203B1 (ko)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용 대차
JP2017065655A (ja) 荷台用幌張枠装置
CN110979727A (zh) 一种飞机尾锥运输托架
JP4196633B2 (ja) 物品搬送具
US20230001995A1 (en) Transport system
KR101701995B1 (ko) 소형 자동차의 모듈 프레임
WO2016076141A1 (ja) 多目的車両
JP6323855B2 (ja) 多目的車両
CN207497532U (zh) 物料运输车
KR101849915B1 (ko) 상용차용 경량 적재함
DE102017119626A1 (de) Fahrradanhänger oder Kinderwagen mit Schutzelement sowie Schutzelement für einen Fahrradanhänger oder Kinderwag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