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4474B1 - The lower section of the complex way the elevator for transporting equipment - Google Patents

The lower section of the complex way the elevator for transporting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4474B1
KR101614474B1 KR1020140066418A KR20140066418A KR101614474B1 KR 101614474 B1 KR101614474 B1 KR 101614474B1 KR 1020140066418 A KR1020140066418 A KR 1020140066418A KR 20140066418 A KR20140066418 A KR 20140066418A KR 101614474 B1 KR101614474 B1 KR 101614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docking
conveying
vertica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64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39023A (en
Inventor
김진호
신승권
김형철
정호성
박종영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66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4474B1/en
Publication of KR20150139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90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4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육교나 지하도 또는 지하철이나 기차 역사 등에 형성되는 수직이송구간과 수평이송구간으로 이루어진 다구간 이송로에서 승하차 없이 원거리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상하로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이송구간과 수직이송구간의 끝단에 연결 형성되는 수평이송구간으로 이루어진 다구간 이송로; 다구간 이송로의 전구간 양측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각각의 내측면 상에 치형을 갖는 랙이 형성된 가이드 레일; 가이드 레일을 따라 다구간 이송로 내부에서 승강 및 수평 이송되는 승강기; 승강기의 상부면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이드 레일의 랙에 치결합되는 스프로킷; 승강기의 상부면에 설치되어지되 전원의 인가에 의한 정역 구동을 통해 스프로킷을 회전 구동시켜 가이드 레일의 랙을 따라 승강기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동기; 승강기의 상부면 양측에 설치되어지되 가이드 레일을 상하로 지지하여 승강기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 가이드수단; 다구간 이송로의 수직이송구간 상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상부를 통해 승강기를 탑재하여 승강되도록 하는 도킹수단; 및 도킹수단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되 정역 구동을 통해 승강기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device for multi-segment conveying of a lower composite type, and is capable of easily moving a long distance without getting on and off at a multi-segment conveying route including a vertical conveying section and a horizontal conveying section formed in an overpass, underpass, subway, The purpose of the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for this purpose comprises a multi-stage conveying path including a vertical conveying section formed vertically up and down and a horizontal conveying section connected to an end of the vertical conveying section. A guide rail formed parallel to both sides of the entire length of the multi-zone conveying path and having a rack having teeth on respective inner sides thereof; An elevator which is moved up and down and horizontally within the multi-stage conveying path along the guide rail; A sprocket rotatab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an upper surface of the elevator and coupled to the rack of the guide rail; An electric motor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elevator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sprocket through normal and reverse driving by application of electric power so that the elevator can be conveyed along the rack of the guide rail; Flow preventing guide mean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or, for preventing the elevator from flowing by vertically supporting the guide rails; A docking means installed vertically up and down on a vertical conveying section of the multi-stage conveying path, the docking means being mounted on an elevator via an upper portion to be elevated; And an elevating means for supporting the docking means so as to be able to ascend and descend, and to raise and lower the elevating apparatus up and down through forward and reverse driving.

Description

하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The lower section of the complex way the elevator for transporting equipment}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for a multi-

본 발명은 하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이송구간과 수직이송구간의 끝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이송구간의 구조로 이루어진 다구간 이송로 상에서 일반 이용객이나 장애인 및 노약자를 승강기에 탑승한 상태로 도중에 하차하지 않고 원거리의 다구간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하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ical conveying section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conveying section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vertical conveying sec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device for a multi-sectional transportation system of a lower complex type in which a general user, a disabled person and an elderly person are mounted on an elevator in a section conveying route and can easily move a long distance section without getting off the elevator.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장치는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또는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사람이나 물건을 이송하기 위한 장치로,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고층 건물뿐만 아니라 지하철이나 육교 및 지하도와 같은 다양한 고층 시설물에 설치되어 동력을 통해 탑승자나 화물을 보다 용이하게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Generally, an elevator device is a device for transporting people or goods from low to high or from high to low. Such elevator devices are installed not only in high-rise buildings but also in various high-rise facilities such as subways, overpasses and underpasses So that the passenger or cargo can be easily transferred through the power.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주로 고층 건물이나 아파트와 같은 건물에서 사람이나 화물의 이동 및 운반 수단으로 사용되던 엘리베이터 장치는 최근 들어 장애인이나 노약자의 이동 편의를 증진시키고자 하는 용도로 사용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여러 곳에서 이루어지고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elevator device, which is mainly used as a means of moving or transporting people or cargoes in a building such as a high-rise building or an apartment, has recently been making efforts to use the device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mobility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or the elderly .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장애인이나 노약자의 이동 편의를 증진시키기 위해 다수의 계단을 오르내려야 하는 육교나 지하도 등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장치는 장애인이나 노약자 및 유모차 등을 가진 보호자가 계단을 통하지 않고도 쉽게 육교 위나 지하도 아래의 수평보행 구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해준다.In particular, as described above, an elevator device installed on a pedestrian overpass or an underpass that has to climb a plurality of stairs to raise the mobility of the handicapped or the elderly can be easily installed on a pedestrian overpass or underpass without a pedestrian, This allows you to move to the lower walking zone below.

예를 들어, 현재 도로 위를 횡단하는 육교 등의 횡단 시설물에 장애인이나 노약자용으로 설치되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는 대개의 경우 육교의 양측단에서 지지기둥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승강탑, 승강탑 각각의 위쪽과 아래쪽 벽면에 설치되는 입출구 도어 및 승강탑 각각에 설치되어 상하의 수직방향으로 승강되는 승강차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For example, an elevator device installed for a disabled person or an elderly person on a transverse facility such as an overpass that transverses the present road is a pair of left and right elevation towers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supporting columns at both ends of the overpass, And an elevator car installed in each of the entrance door and the elevator tower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walls of the tower and vertically elevated and lowered vertically.

전술한 바와 같은 횡단 시설용 엘리베이터 장치는 휠체어 등의 보조장비에 의지해야 보행이 가능한 장애인 또는 노인이나 임산부 같은 노약자들도 엘리베이터를 이용함으로써 육교나 지하도와 같이 평지와 높이차를 갖는 시설물을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하다.As described above, the elevator apparatus for a transverse facility can easily pass through a facility having a height difference from a flat surface such as an overpass or an underpass by using an elevator for a disabled person or an elderly person such as an elderly person or a pregnant woman who can walk on an auxiliary equipment such as a wheelchair. It is very useful in that it does.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장애인 또는 노약자를 위한 횡단 시설용 엘리베이터 장치는 육교와 같은 시설물의 양측단에 설치된 한 쌍의 승강탑에 의해서 탑승자를 육교의 위 아래로만 이동시켜 주고 있다. 즉, 이러한 횡단 시설용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구간에서만 승강차에 탑승하여 육교나 지하도로 이동한 다음 수평구간에서는 도보로 걸어가 반대편의 승강차를 이용하는 구조이다.However, the transporter elevator apparatus for the disabled or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only allows the occupant to be moved up and down the overpass by a pair of elevating towers installed at both ends of a facility such as a bridge. That is, the transverse elevator apparatus is structured such that it is mounted on the elevator car only in the ascending / descending section, moved to the overpass or underpass, then walked on the foot in the horizontal section,

전술한 바와 같이 지금까지 개발된 장애인 등을 위한 횡단 시설용 엘리베이터 장치는 도로를 횡단하고자 하는 경우 육교나 지하도 한 쪽의 승강탑에서 승차 및 하차를 하고 휠체어나 도보로 육교를 건넌 다음, 다시 타측의 승강탑에서 승차 및 하차를 하여야 하므로 주사용자가 장애인이나 노약자임을 고려할 때 신속하고 안전하게 횡단 시설물을 이용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ransverse elevator apparatus for the disabled, which has been developed so far, is intended to cross the road. When the user wishes to traverse the road, he / she can get on and off the elevator tower on one side of the overpass or underpass, cross over the overpass in a wheelchair or on foo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quickly and safely use the transit facility when considering that the main user is a disabled person or an elderly person.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횡단 시설용 엘리베이터 장치는 육교나 지하도 양측단에 2대의 엘리베이터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시설 비용이 많이 들고, 승강차의 전면 및 후면에 승하차용 도어를 설치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도 지니고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levator apparatus for transverse facilities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to install two elevators on both sides of the overpass or underpass, it is expensive and requires a door for getting on and off the front and rear of the elevator car .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0362호(2011.01.25.자 공고)1.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010362 (issued on January 25, 2011)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0893호(2002.10.04.자 공고)2.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90893 of the Republic of Korea (Notice of April 4, 2002) 3. 미국 등록특허 제5836423호(1998.11.17.자 등록)3. United States Patent No. 5836423 (Registered on Nov. 17, 1998)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육교나 지하도 또는 지하철이나 기차 역사 등에 형성되는 수직이송구간과 수평이송구간으로 이루어진 다구간 이송로에서 승하차 없이 원거리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하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all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section conveying route including a vertical conveying section and a horizontal conveying section formed in an overpass, underpass, subwa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vator device for a multi-sectional transportation system of a lower complex typ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수직이송구간과 수평이송구간으로 이루어진 다구간 이송로에서 승하차 없이 원거리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애인이나 노약자 등이 일반 보행자의 보행로 상에 혼재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easily move a remote area without getting in and out of a multi-zone transport path including a vertical transporting section and a horizontal transporting section, thereby preventing a disabled person or an elderly person from being mixed on a general walker's walking path So that safe movement can be achieved.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수직이송구간과 수평이송구간으로 이루어진 다구간 이송로에서 승하차 없이 원거리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반 보행자의 보행로 상에 휠체어를 통한 이동이 불가피한 장애인이나 노약자 등이 함께 혼재되어 이동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상호 불편함으로 인하여 혼잡이 가중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easily move a remote place without getting on and off in a multi-zone transfer route composed of a vertical transfer section and a horizontal transfer section, a disabled person or a senior citizen who is inevitably moved through a wheelchair on a general pedestrian's path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 that congestion may be increased due to mutual inconvenience that may occur due to the combined movement.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수직이송구간과 수평이송구간으로 이루어진 다구간 이송로에서 승하차 없이 원거리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시설 비용면에서 절감이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Furthermore, the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by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move the remote area without getting in and out of the multi-zone transporting route including the vertical transporting section and the horizontal transporting section, The purpose of th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는 상하로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이송구간과 수직이송구간의 끝단에 연결 형성되는 수평이송구간으로 이루어진 다구간 이송로; 다구간 이송로의 전구간 양측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각각의 내측면 상에 치형을 갖는 랙이 형성된 가이드 레일; 가이드 레일을 따라 다구간 이송로 내부에서 승강 및 수평 이송되는 승강기; 승강기의 상부면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이드 레일의 랙에 치결합되는 스프로킷; 승강기의 상부면에 설치되어지되 전원의 인가에 의한 정역 구동을 통해 스프로킷을 회전 구동시켜 가이드 레일의 랙을 따라 승강기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동기; 승강기의 상부면 양측에 설치되어지되 가이드 레일을 상하로 지지하여 승강기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 가이드수단; 다구간 이송로의 수직이송구간 상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상부를 통해 승강기를 탑재하여 승강되도록 하는 도킹수단; 및 도킹수단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되 정역 구동을 통해 승강기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is as follows. That is, the elevator apparatus for conveying a multi-sectional convey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rtical conveying section formed vertically up and down, and a horizontal conveying section connected to an end of the vertical conveying section. A guide rail formed parallel to both sides of the entire length of the multi-zone conveying path and having a rack having teeth on respective inner sides thereof; An elevator which is moved up and down and horizontally within the multi-stage conveying path along the guide rail; A sprocket rotatab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an upper surface of the elevator and coupled to the rack of the guide rail; An electric motor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elevator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sprocket through normal and reverse driving by application of electric power so that the elevator can be conveyed along the rack of the guide rail; Flow preventing guide mean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or, for preventing the elevator from flowing by vertically supporting the guide rails; A docking means installed vertically up and down on a vertical conveying section of the multi-stage conveying path, the docking means being mounted on an elevator via an upper portion to be elevated; And an elevating means for supporting the docking means so as to be able to ascend and descend, and to raise and lower the elevating apparatus up and down through forward and reverse driving.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다구간 이송로의 전구간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은 수평이송구간과 수직이송구간의 교차 부분이 원호 형태의 곡선으로 이루어짐이 보다 양호하다. 이때, 다구간 이송로를 구성하는 수직이송구간과 수평이송구간의 교차 부분 역시 가이드 레일의 교차 부분과 같은 원호 형태의 곡선으로 이루어짐이 보다 양호하다.In the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ing portion of the horizontal transfer section and the vertical transfer section of the guide rail provided between the whole sections of the multi-sectional transfer path is formed as an arc-shaped curv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section portion of the vertical transporting section and the horizontal transporting section constituting the multi-sectional transporting route is also formed of a curved arc of the same shape as the crossing portion of the guide rail.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승강기는 전후로 도어가 형성됨이 보다 양호하다.In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elevator is formed with front and rear doors.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승강기는 수평이송시에는 전동기의 구동에 의한 동력을 통해 수평이송되고, 승강기는 수직이송시에는 승강수단의 구동에 의한 동력을 통해 수직이송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in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elevator is horizontally conveyed through power by driving the motor at the time of horizontally conveying, and the elevator is vertically conveyed at the vertically conveying by the power by the elevation means Lt; / RTI >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승강수단에 의한 승강기의 수직이송시 전동기의 구동에 의한 스프로킷의 회전은 승강수단의 회전속도에 대응하는 속도로 회전되어 승강기의 수직이송을 보조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In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rotation of the sprocket by the driving of the electric motor at the time of vertically conveying the elevator by the elevating means is rotated at a speed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elevating means to assist vertical conveyance of the elevator .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유동방지 가이드수단은 승강기의 상부면 양측 각각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판; 베이스판 각각의 외측면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이드 레일의 상부측 레일면에 구름 설치되는 상부측 구름롤러; 베이스판 각각의 외측면 하부 전후에 일정 범위 회전 가능하게 설치 설치된 지지링크; 지지링크 각각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이드 레일의 하부측 레일면에 구름 설치되는 하부측 구름롤러; 및 베이스판 각각의 외측면 전후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어지되 타단은 지지링크 각각에 고정되어 상부측 구름롤러와 하부측 구름롤러 사이의 거리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탄성스프링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 the flow prevention guide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late fixedly installed on each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or; An upper side rolling roller that is rotatably installed on an outer side surface of each of the base plates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rail surface of the guide rail in a rolling manner; A support link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a predetermined range before and behind the outer surface of each of the base plates; A lower side rolling roller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at an end of each of the support links and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rail surface of the guide rail in a rolling manner; And one end of the elastic spring is fixed to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each of the support links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side rolling roller and the lower side rolling roller can be compensated.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도킹수단은 골조의 연결을 통해 승강기의 하면에 대응하는 사각 형태로 구성된 도킹 프레임; 도킹 프레임의 상부면 모서리 각각에 설치되어 승강기의 하부면이 도킹시 충격을 완화시켜 도킹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쇽업소버; 쇽업소버 각각의 상단에 모서리 각각의 하부면이 지지 고정되는 평판의 받침 프레임; 받침 프레임 상부면과 승강기 하부면 사이에서 받침 프레임의 상부면에 탑재되는 승강기를 받침 프레임에 일체로 고정시키는 승강기 고정수단; 및 쇽업소버 사이의 도킹 프레임 상부면 중심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지되 받침 프레임의 상부면으로 승강기의 탑재에 따른 쇽업소버의 수축이 이루어져 받침 프레임 하부면의 접촉시 도킹 완료 상태를 감지하는 도킹 감지센서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docking means includes a rectangular shaped docking frame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rface of the elevator through the connection of the frame; A shock absorber installed at each of the upper surface corners of the docking frame to dock the lower surface of the elevator to mitigate shocks when docked; A support frame of a flat plate on which the lower surface of each of the corners is secured to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shock absorbers; An elevator fixing means integrally fixing the elevator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fram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fram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elevating frame to the supporting frame; And a shock absorber. The docking sensor detects the completion of the docking whe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ing frame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frame, As shown in FIG.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승강기 고정수단은 받침 프레임의 상부면 전후의 양측 각각에 설치 고정되는 고정핀이 포함한 솔레노이드; 및 솔레노이드 각각에 대응하여 승강기의 하부면 전후의 양측 각각에 설치 고정되어지되 각각에는 고정핀이 삽입되어 승강기를 도킹수단에 고정시키는 고정홈이 관통 형성된 고정편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elevator fixing means includes a solenoid including a fixing pin fixedly installed on each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frame. And the fixing bolt is fixed to each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elevator in correspondence with the respective solenoids, and each fixing pin is inserted into the fixing bolt and the fixing groove for fixing the elevator to the docking means is inserted.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승강수단은 도킹 프레임의 하부면 전후의 양측 각각에 동일 수평선 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원주면 중심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 롤러; 가이드 롤러의 가이드홈 상에 안착되어지되 도킹 프레임의 좌우 양측을 통해 수직이송구간의 최상단으로 연장 구성되어 도킹 프레임을 승강 지지하는 승강 케이블; 수직이송구간의 최상단으로 연장 구성된 승강 케이블 각각의 일측을 걸어 가이드 하는 지지 가이드 롤러; 수직이송구간의 최상단으로 연장 구성된 승강 케이블 각각의 타측을 걸어 감거나 풀어지도록 정역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케이블 드럼; 케이블 드럼을 정역 구동시켜 도킹 프레임의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구동모터; 및 지지 가이드 롤러에 의해 걸어 지지되는 승강 케이블의 일측단 각각에 결합되어 도킹수단과 승강기 전체 하중의 밸런스를 맞추는 웨이트 밸런스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ing means includes guide roller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docking frame so as to be rotatable on the same horizontal line, with guide groove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lifting cable mounted on a guide groove of the guide roller and extending to the uppermost end of the vertical conveying section through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ocking frame to lift and support the docking frame; A support guide roller for guiding and guiding one side of each of the lift cables extended to the uppermost end of the vertical transfer section; A cable drum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a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so as to hang or unwind the other side of each of the elevating cables extended to the uppermost end of the vertical conveying section; A cable drive motor for driving the cable drum in a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docking frame can be lifted and lowered; And a weight balance, which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lifting cable supported by the supporting guide roller, for balancing the total load of the elevator and the docking means.

전술한 바와 같은 승강수단의 구성에서 지지 가이드 롤러는 정역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하나의 회전 지지축 양단에 설치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of the elevating means, the support guide rollers can be installed at both ends of one rotation support shaft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both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육교나 지하도 또는 지하철이나 기차 역사 등에 형성되는 수직이송구간과 수평이송구간으로 이루어진 다구간 이송로에서 승하차 없이 원거리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현된다.The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move a remote area without getting on and off in a multi-zone transfer route including a vertical transfer zone and a horizontal transfer zone formed in an overpass, underpass, subway or train histor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수직이송구간과 수평이송구간으로 이루어진 다구간 이송로에서 승하차 없이 원거리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애인이나 노약자 등이 일반 보행자의 보행로 상에 혼재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현된다.In addition, the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easily move a remote area without getting on and off in a multi-zone transportation route including a vertical transportation section and a horizontal transportation section, thereby preventing a disabled person or an elderly person from being mixed on a walking path of a general pedestrian, An effect is obtained that can be achieved.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수직이송구간과 수평이송구간으로 이루어진 다구간 이송로에서 승하차 없이 원거리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반 보행자의 보행로 상에 휠체어를 통한 이동이 불가피한 장애인이나 노약자 등이 함께 혼재되어 이동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상호 불편함으로 인한 혼잡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easily move a remote place without getting on and off in a multi-zone transfer route composed of a vertical transfer section and a horizontal transfer section, a disabled person or a senior citizen who is inevitably moved through a wheelchair on a general pedestrian's path Congestion due to mutual inconveniences that may occur as they are moved together can be prevented.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수직이송구간과 수평이송구간으로 이루어진 다구간 이송로에서 승하차 없이 원거리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시설 비용면에서 절감이 있다.Furthermore, the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by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move a remote place without getting on and off in a multi-zone conveying route including a vertical conveying section and a horizontal conveying section, .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a 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도킹수단을 보인 측면 구성도.
도 2b 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승강기 고정수단을 보인 평면 구성도.
도 3a 내지 도 3d 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승강기와 도킹수단의 도킹과정을 보인 측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랙 앤 피니언을 통한 승강기의 이송을 보인 개략도.
도 5a 내지 도 5c 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승강기의 수평이송으로부터 수직이송의 작동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6a 및 도 6b 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승강기의 수평이송에 따른 구동수단과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수단을 보인 구성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vator device for a multi-segment convey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A is a side view showing a docking means in an elevator apparatus for multi-segment convey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B is a plan view showing elevator fixing means in a lower composite type elevator for elevator convey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3A to 3D are side elevation views showing a docking process of an elevator and a docking means in a multi-segment elevator for conveying a lower complex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veyance of the elevator through the rack-and-pinion in the multi-zone elevator for conveying the lower composite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c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vertical conveying operation from a horizontal conveyance of an elevator in a multi-stage conveying elevator apparatus of a lower complex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views showing a driving means according to the horizontal conveyance of the elevator and a guide means for preventing the elevation of the elevator from movin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elevator for multi-segment transpor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a 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도킹수단을 보인 측면 구성도, 도 2b 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승강기 고정수단을 보인 평면 구성도, 도 3a 내지 도 3d 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승강기와 도킹수단의 도킹과정을 보인 측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랙 앤 피니언을 통한 승강기의 이송을 보인 개략도, 도 5a 내지 도 5c 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승강기의 수평이송으로부터 수직이송의 작동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6a 및 도 6b 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승강기의 수평이송에 따른 구동수단과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수단을 보인 구성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for a multi-segment convey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 is a side elevational view showing a docking means in an elevator apparatus for conveying a multi- FIG. 3A is a plan view showing the elevator fixing means in the multi-stage conveying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veyance of the elevator through the rack and pinion in the multi-section elevator for conveying the lower part of the composit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5A to 5C are views Fig. 6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vertical conveyance from the horizontal conveyance of the elevator in the elevator apparatus for conveying the multi-zone conveying system of the lower composite type, Figure 6b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guiding means for preventing the drive means and the flow of the horizontal transfer of the elevator in the elevator apparatus for the transfer section of the lower composit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100)는 상하로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이송구간(112)과 수직이송구간(112)의 끝단에 연결 형성되는 수평이송구간(114)으로 이루어진 다구간 이송로(110), 다구간 이송로(110)의 전구간 양측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각각의 내측면 상에 치형을 갖는 랙(122)이 형성된 가이드 레일(120), 가이드 레일(120)을 따라 다구간 이송로(110) 내부에서 승강 및 수평 이송되는 승강기(130), 승강기(130)의 상부면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이드 레일(120)의 랙(122)에 치결합되는 스프로킷(140), 승강기(130)의 상부면에 설치되어지되 전원의 인가에 의한 정역 구동을 통해 스프로킷(140)을 회전 구동시켜 가이드 레일(120)의 랙(122)을 따라 승강기(130)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동기(150), 승강기(130)의 상부면 양측에 설치되어지되 가이드 레일(120)을 상하로 지지하여 승강기(130)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 가이드수단(160), 다구간 이송로(110)의 수직이송구간(112) 상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상부를 통해 승강기(130)를 탑재하여 승강되도록 하는 도킹수단(170) 및 도킹수단(170)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되 정역 구동을 통해 승강기(130)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수단(180)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to 6, the multi-sectional elevator apparatus 100 for conveying a lower part of a composit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rtically moving section 112 formed vertically vertically and a vertically moving section 112 connected to an end of the vertical moving section 112 And a horizontal conveying section 114. The guide rails 110 are formed parallel to both sides of the conveying path of the multi-part conveying path 110, and have racks 122 having teeth on the inner sides of the multi- An elevator 130 rotatab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or 130 to be elevated and lowered in the multi-stage conveying path 110 along the guide rail 120, The sprocket 14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or 130 and rotates and drives the sprocket 140 through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by the application of power to the rack 122 of the guide rail 120. [ So that the conveyance of the elevator 130 can be performed An electric motor 150 and a flow preventive guide means 160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or 130 for supporting the guide rail 120 up and down to prevent the elevator 130 from flowing, The docking means 170 and the docking means 170 are vertically movably mounted on the vertical conveying section 112 of the vertical conveying section 112 so that the docking means 170 and the docking means 170 are vertically movable And an elevating means 180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elevator 130 up and down through the elevating means.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100)는 다구간 이송로(110)의 수평이송구간(114)에서는 전동기(150)의 정역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스프로킷(140)이 가이드 레일(120)의 랙(122)과 치결합된 상태로 이동을 통해 승강기(130)의 수평이송이 이루어지는 반면, 수직이송구간(112)에서는 도킹수단(170)을 통해 승강기를 도킹시킨 상태에서 승강수단(180)의 구동을 통해 상하로 수직이송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In the elevator device 100 for multi-segment convey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n the horizontal conveying section 114 of the multi-section conveying path 110, the sprockets rotated by the forward and reverse motors of the motor 150 The elevator 130 is moved horizontally through the docking means 170 while the elevator 130 is horizontally moved through the elevator 130 while being moved in a state where the elevator 140 is coupled with the rack 122 of the guide rail 120, And is vertically fed vertically through driving of the elevating means 180 in a docked state.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100)는 승강기(130)를 수평이송구간(114)과 수직이송구간(112)에서 이송시키는 동력원이 별도로 구성되어 수평이송구간(114)에서의 수평이송시에는 승강기(130) 상부에 설치된 전동기(150)와 스프로킷(140) 및 가이드 레일(120)의 랙(122)을 통해 수평이송시키고, 수직이송구간(112)에서와 수직이송시에는 승강기(130)를 도킹수단(170)에 탑재하여 도킹시킨 상태로 승강수단(180)의 구동력을 통해 수직이송시키게 된다.In other words, the elevator device 100 for multi-segment convey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eparate power source for conveying the elevator 130 from the horizontal conveying section 114 to the vertical conveying section 112, The sprocket 140 and the rack 122 of the guide rail 120 installed on the elevator 130 at the time of horizontal conveyance in the vertical conveying section 114, The elevator 130 is mounted on the docking means 170 and vertically conveyed through the driving force of the elevating means 180 while being docked.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100)는 다구간 이송로(110)의 전구간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120)은 수평이송구간(114)과 수직이송구간(112)의 교차 부분이 원호 형태의 곡선으로 이루어져 승강기(130)의 수평 및 수직 이송시 멈추지 않은 상태로 수평이송구간(114)에서 수직이송구간(112)으로 또는 수직이송구간(112)에서 수평이송구간(114)으로 방향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다.Meanwhile, in the elevator device 100 for multi-segment convey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guide rail 120 installed between the front and the back of the multi-sectional conveying path 110 is vertically conveyed to the horizontal conveying section 114, The intersection portion of the section 112 is formed of a curved line of an arc shape and is conveyed from the horizontal conveyance section 114 to the vertical conveyance section 112 or from the vertical conveyance section 112 without being stopped when the elevator 130 is horizontally and vertically conveyed And the horizontal transfer section 114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switching the direction.

물론,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100)는 다구간 이송로(110)를 구성하는 수직이송구간(112)과 수평이송구간(114)의 교차 부분 역시 가이드 레일(120)의 교차 부분과 같은 원호 형태의 곡선으로 이루어져 가이드 레일(120)의 수직 및 수평의 교차 부분에서 곡선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Of course, in the elevator device 100 for conveying the multi-zone convey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ing portion of the vertical conveying section 112 and the horizontal conveying section 114 constituting the multi- 120, so that it is easy to install curved lines at the intersections of the guide rails 120 at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다구간 이송로(110)는 후술하는 승강기(130)를 수평과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건물 내의 승강기(130)의 이송로를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다구간 이송로(110)는 도 1, 도 5a 내지 도 5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이송구간(112)과 수직이송구간(112)의 끝단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 형성되는 수평이송구간(114)으로 이루어진다.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multi-segment elevator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First, the multi-zone conveying path 110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conveying path of the elevator 130 in the building for conveying the elevator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multi-sectional conveying path 110 As shown in Figs. 1, 5A to 5C, a vertical transporting section 112 formed vertically up and down and a horizontal transporting section 114 connected horizontally at the end of the vertical transporting section 112 .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하로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이송구간(112)의 끝단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 형성되는 수평이송구간(114)으로 이루어진 다구간 이송로(110)는 승강기(130)를 수평과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키거나 수직과 수평 방향으로 이송 또는 수평 방향에서 승강기(130)를 좌우측으로 방향전환시켜 이송시키기 위한 건물 내의 승강기(130)의 이송로를 말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as described above, the multi-stage conveying path 110 including the horizontal conveying section 114 connected horizontally at the end of the vertical conveying section 112 formed vertically and vertically, Refers to a conveying path of the elevator 130 in the building for convey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conveying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or for transferring the elevator 130 to the right and lef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하로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이송구간(112)과 수직이송구간(112)의 끝단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 형성되는 수평이송구간(114)으로 이루어진 다구간 이송로(110)는 도 1 에서와 같이 수직이송구간(112)과 수평이송구간(114)의 교차 부분을 원호 형태의 곡선으로 구성하여 가이드 레일(120)의 설치시 수평과 수직의 교차 부분을 곡선 형태로 하여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였다.As described above, the multi-stage conveying path 110, which is composed of the vertical conveying section 112 formed vertically up and down and the horizontal conveying section 114 connected horizontally at the end of the vertical conveying section 112, 1, the intersection portion of the vertical conveyance section 112 and the horizontal conveyance section 114 is formed as an arc-shaped curve, so that the intersection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ections at the time of installing the guide rail 120 is curved, Respectively.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가이드 레일(120)은 승강기(130)를 수평 및 수직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안내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가이드 레일(120)은 도 1, 도 4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구간 이송로(110)의 전구간 양측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각각의 내측면 상에 치형을 갖는 랙(122)이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Next, the guide rails 120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serve to guide the elevator 130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nd the guide rails 120 are arranged in a manner as shown in Figs. 1, 4 to 6 And a rack 122 having a tooth shape formed on both inner sides of the multi-stage conveying path 110 in parallel to both sides of the entire length of the multi-stage conveying path 110.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다구간 이송로(110)의 전구간 양측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승강기(130)를 수평 및 수직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120)은 후술하는 스프로킷(140)이 치결합되는 랙(122)이 가이드 레일(120) 각각의 내측면 상에 형성되고, 랙(122)의 외측면 상에 구성되는 레일면(124)의 상하면으로는 후술하는 가이드 수단(160)이 면접촉을 통해 설치되어 전동기(150)의 정역 구동에 따른 승강기(130)의 수평이송시 레일면(124)을 구르면서 승강기(130)의 좌우 유동일 방지되도록 한다.In other words, as described above, the guide rails 120, which are formed parallel to both sides of the entire length of the multi-zone conveying path 110 and guide the elevator 130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 guide unit 16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each of the guide rails 120 and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rail surface 124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ack 122 So as to prevent the left and right floats of the elevator 130 while rolling the rail surface 124 when the elevator 130 is horizontally moved.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다구간 이송로(110)의 전구간 양측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승강기(130)를 수평 및 수직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120)은 수평이송구간(114)과 수직이송구간(112)의 교차 부분이 원호 형태의 곡선으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수평이송구간(114)과 수직이송구간(112)의 교차 부분을 원호 형태의 곡선으로 형성하는 것은 승강기(130)가 수평에서 수직으로 또는 수직에서 수평으로 이송시 멈춤이 없이 곡선 구간을 연속하여 이송되도록 하기 위함이다.As described above, the guide rails 120, which are formed parallel to both sides of the full length of the multi-zone conveying path 110 and guide the elevator 130 horizontally and vertically, have a horizontal conveying section 114 and a vertical conveying section 112 ) Is formed by an arc-shaped curve. The intersection of the horizontal conveying section 114 and the vertical conveying section 112 is formed as a curved line of an arcuate shape so that the elevator 130 is continuously moved from the horizontal to the vertical or from the vertical to the horizontal, To be transported.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승강기(130)는 사람이나 화물을 탑재하여 다구간 이송로(110)를 통해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승강기(130)는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120)을 따라 다구간 이송로(110) 내부에서 승강 및 수평 이송되어진다.Next, the elevator 130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loading a person or a cargo and carrying the same through the multi-zone conveying path 110. The elevator 130 includes a guide 130 as shown in FIGS. 1 to 5, And i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conveyed along the rail 120 within the multi-zone conveying path 110. [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사람이나 화물을 탑재하여 가이드 레일(120)을 따라 다구간 이송로(110) 내부에서 승강 및 수평 이송되는 승강기(130)는 전후로 도어(132)가 형성되어 탑승 도어와 하차 도어의 위치가 다르게 구성되는 것을 감안하였다. 물론, 탑승 도어와 하차 도어의 위치가 동일 방향인 경우에는 승강기(130)의 도어(132)를 양측에 형성할 필요는 없다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elevator 130, which is elevated and horizontally conveyed in the multi-sectional conveying path 110 along the guide rail 120 with the person or the cargo loaded thereon, is formed with the door 132 forward and backward, The position of the door is configured differently. Of course, when the boarding door and the getting-off door are positioned in the same direction, it is not necessary to form the door 132 of the elevator 130 on both sides.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스프로킷(140)은 후술하는 가이드 레일(120)의 랙(122)과 치합되어 랙(122) 상에서 회전됨으로써 승강기(130)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스프로킷(140)은 도 1, 도 4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130)의 상부면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이드 레일(120)의 랙(122)에 치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sprocket 140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engaged with the rack 122 of the guide rail 120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rotated on the rack 122 so that the elevator 130 can be conveyed. The guide rails 140 are rotatab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or 130 and are coupled to the rack 122 of the guide rails 120 as shown in Figs. 1, 4 to 6.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120)의 랙(122)과 치합되어 랙(122) 상에서 회전됨으로써 승강기(130)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스프로킷(140)은 도 1 및 도 6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130)의 상부면에 정역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42)의 양단 각각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전동기(150)의 정역 구동을 통해 정역 회전되는 회전축(142)의 정역 회전에 의해 정역 회전되어 승강기(130)를 좌우 양측으로 이송시키게 된다.In other words, the sprocket 140, which is engaged with the rack 122 of the guide rail 120 and rotates on the rack 122 to allow the elevator 130 to be transported as described above, The rotating shaft 142 rotatably and counterclockwise rotated by normal and reverse driving of the electric motor 150, which is installed at both ends of a rotating shaft 142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normal and reverse direction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or 130, So that the elevator 130 is transferred to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강기(130)의 상부면 양측에 구성되는 스프로킷(140)의 치(齒)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각각이 양측에 별도로 설치되어 일측 스프로킷(140)을 전동기(150)를 통해 회전 구동시킨다 해도 승강기(130)를 이송시키는데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다면, 여러 안전성을 고려할 때 스프로킷(140)은 승강기(130)의 상부면에 정역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42)의 양단 각각을 통해 설치하는 것이 보다 바랍직하다 할 것이다.Since the teeth of the sprockets 14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or 130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sprockets 140 are separate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elevator 130, There is no problem in conveying the elevator 130 even if the elevator 130 is rotationally driven through the elevator. The sprocket 140 may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otating shaft 142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or 130 so as to be rotatable in both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전동기(150)는 승강기(130)의 수평 이송에 따른 동력원으로, 이러한 전동기(150)는 도 1,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130)의 상부면에 설치되어지되 전원의 인가에 의한 정역 구동을 통해 스프로킷(140)을 회전 구동시켜 가이드 레일(120)의 랙(122)을 따라 승강기(130)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전동기(150)는 승강기(130)를 수평으로 이송시키는데 따른 수평이송 동력원이다.The electric motor 150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er source according to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elevator 130. The electric motor 15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levator 130 as shown in FIGS. 1, 5, The sprocket 140 is rotationally driven through normal and reverse driving by application of power so that the elevator 130 can be conveyed along the rack 122 of the guide rail 120. That is, the electric motor 150 is a horizontal feed power source for feeding the elevator 130 horizontally.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전동기(150)는 다구간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정역 구동되어 스프로킷(140)을 정역 회전시킴으로써 가이드 레일(120)의 수평이송구간(114)에서 승강기(130)를 좌우로 수평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electric motor 15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driven forward and backward through a power source applied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first half of the multi-zone elevator system so that the sprocket 140 is rotat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114 so that the elevator 130 can be horizontally conveyed to the left and right.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전동기(150)는 승강기(130)의 수직이송구간(112)에서도 다구간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어 승강수단(180)의 동력원을 통해 수직이송되는 승강기(130)의 수직이송을 보조하게 된다. 이때, 전동기(150)의 구동속도는 승강수단(180)의 승강속도에 일치하는 속도로 구동되어진다.The electric motor 150 as described above is also driven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ntire section of the multi-section elevator system in the vertical conveying section 112 of the elevator 130 and is vertically conveyed through the power source of the elevating means 180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elevator 130 is assisted. At this time, the driving speed of the electric motor 150 is driven at a speed corresponding to the elevating speed of the elevating means 180.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바와 같은 후술하는 승강수단(180)에 의한 승강기(130)의 수직이송시 전동기(150)의 구동에 의한 스프로킷(140)의 회전은 승강수단(180)을 구성하는 케이블 구동모터(185)의 회전속도에 대응하는 속도로 회전되어 승강기(130)의 수직이송을 보조하게 된다.In other words, the rotation of the sprocket 140 by the driving of the motor 150 during the vertical transfer of the elevator 130 by the elevating means 18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elevator 130 is assisted.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유동방지 가이드수단(160)은 승강기(130)의 수직이송 또는 수평이송시 승강기(130)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유동방지 가이드수단(160)은 도 1, 도 4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130)의 상부면 양측에 설치되어지되 가이드 레일(120)을 상하로 지지하여 승강기(130)의 수평 및 수직 이송에 따른 좌우 유동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flow preventive guide means 160 is provided for preventing vertical movement of the elevator 130 or lateral movement of the elevator 130 during horizontal transportation. As shown in FIGS. 4 to 6, the guide rails 120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or 130 so as to vertically support the guide rails 120 to prevent lateral movement of the elevator 130 .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유동방지 가이드수단(160)은 도 6a 및 도 6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130)의 상부면 양측 각각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판(161), 베이스판(161) 각각의 외측면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이드 레일(120)의 상부측 레일면(124)에 구름 설치되는 상부측 구름롤러(162), 베이스판(161) 각각의 외측면 하부 전후에 일정 범위 회전 가능하게 설치 설치된 지지링크(163), 지지링크(163) 각각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이드 레일(120)의 하부측 레일면(124)에 구름 설치되는 하부측 구름롤러(164) 및 베이스판(161) 각각의 외측면 전후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어지되 타단은 지지링크(163) 각각에 고정되어 상부측 구름롤러(162)와 하부측 구름롤러(164) 사이의 거리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탄성스프링(165)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6A and 6B, the flow preventive guide means 160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base plate 161 fixed to each of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or 130, The upper side rolling roller 162 and the base plate 161, which are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side and ar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rail surface 124 of the guide rail 120, A lower side rolling roller 164 rotatably installed at an end of each support link 163 and a support link 163 and installed on the lower side rail surface 124 of the guide rail 120,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each of the support links 163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side rolling roller 162 and the lower side rolling roller 164 can be compensated And an elastic spring (165).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유동방지 가이드수단(160)은 승강기(130) 상부면 좌우 양측 각각에 설치되는 상부측 구름롤러(162)와 하부측 구름롤러(164)를 통해 다구간 이송로(110) 상의 좌우 양측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120)의 상하 레일면(124)에 구름 접촉되어 승강기(130)의 수평 및 수직 이송시 가이드 레일(120)의 상하 레일면(124)을 따라 가이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승강기(130)의 이송에 따른 좌우 유동을 방지하여 탑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The flow preventive guide means 16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or 130 through the upper side rolling roller 162 and the lower side rolling roller 164, The upper and lower rail surfaces 124 of the guide rails 120 installed in parallel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guide rails 110 are brought into rolling contact with the upper and lower rail surfaces 124 of the guide rails 120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lateral movement due to the conveyance of the elevator 130, so that the safety of the passenger can be secured.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유동방지 가이드수단(160)의 구성에서 가이드 레일(120)의 상부측 레일면(124)에 구름 접촉되는 상부측 구름롤러(162)는 스프로킷(140)과 동일한 축 상에 연결되어 스프로킷(140)의 외측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가이드 레일(120) 각각의 내측면에 랙(122)이 구성되고, 랙(122)의 외측으로 레일면(124)이 구성되기 때문에 상부측 구름롤러(162)를 스프로킷(140)과 동일한 축 상에 연결 설치하는 것도 무방하다.The upper side rolling roller 162 that i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upper side rail surface 124 of the guide rail 120 in the structure of the flow prevention guide means 160 as described above is disposed on the same axis as the sprocket 14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sprocket 140. This is because the rack 122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each of the guide rails 120 and the rail surface 124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rack 122 so that the upper side rolling roller 162 is disposed on the same axis as the sprocket 140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it on the floor.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120)의 상부측 레일면(124)에 구름 접촉되는 상부측 구름롤러(162)를 스프로킷(140)과 동일한 축 상에 연결 설치하게 되면 전동기(150)의 구동에 따른 스프로킷(140)의 정역 회전이 이루어질 때 상부측 구름롤러(162) 역시 정역 회전에 따른 구동력이 발생되기 때문에 승강기(130)를 이송시키는데 따른 보조 구동원으로 작용할 수가 있다.If the upper side rolling roller 162 which i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upper side rail surface 124 of the guide rail 120 is connected to the same axis as the sprocket 140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side rolling roller 162 can also act as an auxiliary driving source for transferring the elevator 130 because the driving force is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s when the sprocket 140 is rotated in the normal and reverse directions.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유동방지 가이드수단(160)의 구성에서 지지링크(163)는 끝단부를 통해 하부측 구름롤러(16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지지링크(163)는 일정 범위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 구성된 하부측 구름롤러(164)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부측 구름롤러(162)와 하부측 구름롤러(164)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하여 유동방지 가이드수단(160)이 가이드 레일(120)의 곡선구간에 들어설 때 곡선에 따른 상부측 구름롤러(162)와 하부측 구름롤러(164) 사이의 거리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supporting link 163 rotatably supports the lower side rolling roller 164 through the end of the supporting link 163 in the structure of the flow preventing guide means 160 as described above.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side rolling roller 162 and the lower side rolling roller 164 can be adjusted by allowing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side rolling rollers 164 that are rotatably supported and rotatably supported to be adjustable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side rolling roller 162 and the lower side rolling roller 164 can be compensated according to the curve when the flow prevention guide means 160 enters the curved section of the guide rail 120.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유동방지 가이드수단(160)이 가이드 레일(120)의 곡선구간에 들어설 때 곡선에 따른 상부측 구름롤러(162)와 하부측 구름롤러(164) 사이의 거리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지지링크(163)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스프링(165)은 압축스프링으로 유동방지 가이드수단(160)이 가이드 레일(120)의 곡선구간을 이송시 하부측 구름롤러(164)의 구름면이 가이드 레일(120)의 하부측 레일면(124)에 상시 면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링크(163)에 탄성력을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side rolling roller 162 and the lower side rolling roller 164 can be compensated according to the curve when the flow preventing guide means 160 enters the curved section of the guide rail 120 The elastic spring 165 for resiliently supporting the support link 163 is a compression spring that prevents the flow prevention guide unit 160 from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rolling surface of the lower side rolling roller 164 when the curved section of the guide rail 120 is conveyed. And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support link 163 so that normal contact can be made to the lower side rail surface 124 of the guide rail 120.

전술한 바와 같이 유동방지 가이드수단(160)이 가이드 레일(120)의 곡선구간을 이송시 하부측 구름롤러(164)의 구름면이 가이드 레일(120)의 하부측 레일면(124)에 상시 면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링크(163)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165)의 기능으로는 하부측 구름롤러(164)가 가이드 레일(120)의 하부측 레일면(124)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When the curvilinear section of the guide rail 120 is conveyed by the flow preventive guide means 160 as described above, the rolling surface of the lower side rolling roller 164 is moved to the lower side rail surface 124 of the guide rail 120, The function of the resilient spring 165 that provides the resilient force to the support link 163 so that the contact can be made is to prevent the lower side rolling roller 164 from being removed from the lower side rail surface 124 of the guide rail 120 It can be said.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도킹수단(170)은 다구간 이송로(110)의 수직이송구간(112) 상에서 승강기(130)를 상하의 수직 방향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도킹수단은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구간 이송로(110)의 수직이송구간(112) 상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상부를 통해 승강기(130)를 탑재하여 승강기(130)의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docking means 170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vertically moving the elevator 130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vertical conveying section 112 of the multi-section conveying route 110, As shown in FIG. 5, the elevator 130 is installed vertically on the vertical conveying section 112 of the multi-stage conveying path 110 so that the elevator 130 can be raised and lowered do.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도킹수단(170)의 구성을 살펴보면 골조의 연결을 통해 승강기(130)의 하면에 대응하는 사각 형태로 구성된 도킹 프레임(171), 도킹 프레임(171)의 상부면 모서리 각각에 설치되어 승강기(130)의 하부면이 도킹시 충격을 완화시켜 도킹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쇽업소버(172), 쇽업소버(172) 각각의 상단에 모서리 각각의 하부면이 지지 고정되는 평판의 받침 프레임(173), 받침 프레임(173) 상부면과 승강기(130) 하부면 사이에서 받침 프레임(173)의 상부면에 탑재되는 승강기(130)를 받침 프레임(173)에 일체로 고정시키는 승강기 고정수단(174) 및 쇽업소버(172) 사이의 도킹 프레임(171) 상부면 중심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지되 받침 프레임(173)의 상부면으로 승강기(130)의 탑재에 따른 쇽업소버(172)의 수축이 이루어져 받침 프레임(173) 하부면의 접촉시 도킹 완료 상태를 감지하는 도킹 감지센서(175)로 구성된다.A docking frame 171 having a square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rface of the elevator 130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edges of the docking frame 171 through the connection of the frame, A shock absorber 172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levator 130 to damp the impact when the dock 130 is docked and a shock absorber 172 mounted on the top of each of the shock absorbers 172, The elevator fixing means 174 that integrally fixes the elevator 130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frame 173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frame 173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elevating frame 173 to the receiving frame 173 And the shock absorber 172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73 in accordance with the mounting of the elevator 130. The shock absorber 172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ocking frame 171,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73 When it consists of a docking sensor 175 for sensing a docking completion.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킹수단(170)은 승강수단(180)에 의해 지지되어 수평이송구간(114)을 이송하여 수직이송구간(112)으로 들어서는 승강기(130)가 바침 프레임(173)의 상부측으로 탑재되기 시작하면 승강기(130)의 하중으로 인하여 쇽업소버(172)의 수축이 이루어지면서 승강기(130)의 탑재시 충격을 흡수하여 충격을 완화시키게 된다. 이처럼 쇽업소버(172)의 수축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받침 프레임(173)의 하부면이 도킹 감지센서(175)에 접촉되면 도킹 감지센서(175)는 받침 프레임(173) 상에 승강기(130)가 완전히 안착된 것으로 판단한다.The docking unit 17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supported by the elevating unit 180 and transfers the horizontal conveying unit 114 to the elevating unit 130 which enters into the vertical conveying unit 112, The shock absorber 172 is contracted due to the load of the elevator 130 to absorb the impact when the elevator 130 is mounted, thereby relieving the impact. Whe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73 contacts the docking detection sensor 175 while the shock absorber 172 is contracted, the docking detection sensor 175 detects that the elevator 130 is fully seated on the support frame 173 .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도킹 감지센서(175)에 의해 받침 프레임(173) 상에 승강기(130)가 완전히 안착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다구간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는 승강기 고정수단(174)을 작동시켜 받침 프레임(173)과 승강기(130) 하부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 다음, 승강수단(180)을 구동시켜 도킹수단(170)에 승강기(130)가 도킹된 상태로 승강되도록 한다.According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vator 130 is fully seated on the supporting frame 173 by the docking sensor 175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entirety of the multi-sectional elevator system controls the elevator fixing means 174 So that the supporting frame 173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elevator 130 can b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n the elevating means 180 is driven to move the elevator 130 in the docked state to the docking means 170 .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도킹수단(170)의 구성에서 승강기 고정수단(174)은 도킹수단(170)을 구성하는 받침 프레임(173)의 상부측으로 승강기(130)의 탑재가 이루어져 완전한 도킹 상태가 이루어진 경우 받침 프레임(173)과 승강기(130) 하부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승강기 고정수단(174)은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 프레임(173)의 상부면 전후의 양측 각각에 설치 고정되는 고정핀(174-1a)이 포함한 솔레노이드(174-1) 및 솔레노이드(174-1) 각각에 대응하여 승강기(130)의 하부면 전후의 양측 각각에 설치 고정되어지되 각각에는 고정핀(174-1a)dl 삽입되어 승강기(130)를 도킹수단(170)에 고정시키는 고정홈(174-2a)이 관통 형성된 고정편(174-2)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elevator fixing means 174 in the configuration of the docking means 170 as described above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elevating machine 130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ing frame 173 constituting the docking means 170, 2 to 4, the elevator fixing means 174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frame 173 in front of and behi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frame 173, And is fixed to each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elevator 130 corresponding to the solenoid 174-1 and the solenoid 174-1 including the fixing pin 174-1a fixed to each of the two sides, And a fixing member 174-2 having a fixing groove 174-2a through which the fixing pin 174-1a dl is inserted and fixing the elevator 130 to the docking means 170. [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승강기 고정수단(174)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킹 감지센서(175)에 의해 받침 프레임(173) 상에 승강기(130)가 완전히 안착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다구간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솔레노이드(174-1)의 작동에 의해 고정핀(174-1a)이 나오면서 승강기(130) 하부면 상에 구성된 고정편(174-2)의 고정홈(174-2a)에 삽입이 이루어져 승강기(130)는 받침 프레임(173) 상부면에 일체로 고정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vator 130 is fully seated on the supporting frame 173 by the docking detection sensor 175 as described above, the elevator fixing means 174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mounted on the first half of the multi- The fixing pin 174-1a comes out by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174-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xing member 174-2 so that the fixing groove 174-2a of the fixing piece 174-2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levator 130 So that the elevator 130 is integrally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frame 173.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승강수단(180)은 도킹수단(170) 상부면으로 탑재되어 일체로 고정된 승강기(130)를 수직이송구간(112) 상에서 상하로 승강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승강수단(180)은 도 1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킹수단(170)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되 정역 구동을 통해 승강기(130)를 상하로 승강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승강기(130)는 수직이송시에는 승강수단(180)의 구동에 의한 동력을 통해 수직이송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The elevating means 180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elevates the elevating machine 130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cking means 170 and fixed integrally up and down on the vertical conveying section 112, 180 support the docking means 170 as shown in FIGS. 1 and 5 so as to lift the elevator 130 upward and downward through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ccordingly,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elevator 130 is vertically conveyed through the power generated by the elevation means 180 during vertical conveyance.

전술한 바와 같은 승강수단(180)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킹 프레임(171)의 하부면 전후의 양측 각각에 동일 수평선 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원주면 중심에 가이드홈(181-1)이 형성된 가이드 롤러(181), 가이드 롤러(181)의 가이드홈(181-1) 상에 안착되어지되 도킹 프레임(171)의 좌우 양측을 통해 수직이송구간(112)의 최상단으로 연장 구성되어 도킹 프레임(171)을 승강 지지하는 승강 케이블(182), 수직이송구간(112)의 최상단으로 연장 구성된 승강 케이블(182) 각각의 일측을 걸어 가이드 하는 지지 가이드 롤러(183), 수직이송구간(112)의 최상단으로 연장 구성된 승강 케이블(182) 각각의 타측을 걸어 감거나 풀어지도록 정역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케이블 드럼(184), 케이블 드럼(184)을 정역 구동시켜 도킹 프레임(171)의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구동모터(185) 및 지지 가이드 롤러(183)에 의해 걸어 지지되는 승강 케이블(182)의 일측단 각각에 결합되어 도킹수단(170)과 승강기(130) 전체 하중의 밸런스를 맞추는 웨이트 밸런스(186)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lifting means 180 includes a guide groove 181-1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docking frame 171 so as to be rotatable on the same horizontal line, The rollers 181 are mounted on the guide grooves 181-1 of the guide roller 181 and exten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conveying section 112 throug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ocking frame 171, A support guide roller 183 for guiding and guiding one side of each of the lift cables 182 extended to the uppermost end of the vertical conveyance section 112, a support guide roller 183 for guiding and extending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conveyance section 112, A cable drum 184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normal and reverse directions so as to hang or unwind the other side of each of the constructed lifting cables 182 and a cable 184 for driving the cable drum 184 in a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to move up and down the docking frame 171 A weight balance 186 coupled to one side of the lifting cable 182 supported by the motor 185 and the support guide roller 183 to balance the overall load of the docking means 170 with the elevator 130, .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승강수단(180)은 수평이송구간(114)으로부터 수직이송구간(112)으로 들어선 승강기(130)가 도킹수단(170)의 받침 프레임(173) 상부면으로 안착되어 탑재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승강기 고정수단(174)을 통해 일체로 고정되면 다구간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케이블 구동모터(185)의 정역 구동이 이루어져 케이블 드럼(184)의 정역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elevating means 180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frame 173 of the docking means 170 when the elevator 130 is moved from the horizontal conveying section 114 to the vertical conveying section 112, The cable drive motor 185 is driven in the normal and reverse direction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entirety of the multi-zone elevator system, so that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cable drum 184 .

전술한 바와 같이 다구간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케이블 구동모터(185)의 정역 구동이 이루어져 케이블 드럼(184)의 정역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면 승강 케이블(182)이 케이블 드럼(184) 상에 감기거나 풀어져 승강기(130)의 승강이 이루어진다. 이때, 승강 케이블(182)의 일측단에 결합 구성된 웨이트 밸런스(186)는 승강기(130)와 도킹수단(170) 및 승강기(130)에 탑승한 탑승객이나 화물 전체의 하중에 대하여 무게 밸런스를 맞추어 줌으로써 케이블 구동모터(185)의 과부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able drive motor 185 is driven in the normal and reverse direction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ntirety of the multi-zone elevator system and the cable drum 184 is rotat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184 and lifting and lowering of the elevator 130 is performed. At this time, the weight balance 186 coupled to one end of the lifting cable 182 balances the weight against the loads of the passengers or the load carried on the elevator 130, the docking means 170 and the elevator 130 Thereby preventing the cable drive motor 185 from being overloaded.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강수단(180)에 의해 도킹수단(170)에 탑재된 상태로 승강기(130)의 승강이 이루어지는 가운데에서도 승강기(130)의 상부면 양측에 구성된 유동방지 가이드수단(160)이 가이드 레일(120)의 레일면(124)을 잡고 있기 때문에 스프로킷(140)은 여전히 가이드 레일(120)의 랙(122)과 치결합된 상태로 있게 되어 전동기(150)에 의한 구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스프로킷(140)은 승강기(130)의 승강시 승강기(130)의 이동속도에 따라 랙(122)에 치합된 상태로 회전만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anti-flow guide means 16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or 130 among the elevating and lowering of the elevator 130 while being mounted on the docking means 170 by the elevating means 180 The sprocket 140 is still in a state of being engaged with the rack 122 of the guide rail 120 because the rail surface 124 of the guide rail 120 is held, The sprocket 140 rotates in a state of being engaged with the rack 122 according to the moving speed of the elevator 130 when the elevator 130 is lifted or lowered.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강수단(180)을 구성하는 케이블 구동모터(185)라는 별도의 구동수단만으로 도킹수단(170)을 포함한 승강기(130)를 상하로 승강 구동시킬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승강수단(180)을 통해 승강기(130)의 승강시 전동기(150) 또는 케이블 구동모터(185)의 구동속도에 일치되도록 구동되어 케이블 구동모터(185)의 구동을 보조하게 된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elevator 130 including the docking means 170 may be vertically moved up and down only by a separate driving means, which is a cable driving motor 185 constituting the elevating means 18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driven to match the driving speed of the electric motor 150 or the cable driving motor 185 when the elevator 130 is lifted or lowered by the means 180 so as to assist the driving of the cable driving motor 185.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승강수단(180)의 구성에서 지지 가이드 롤러(183)는 정역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하나의 회전 지지축(183-1) 양단에 설치된다. 이처럼 하나의 회전 지지축(183-1) 양단에 설치되는 지지 가이드 롤러(183)는 동일 회전속도로 회전되기 때문에 승강 케이블(182)을 균등한 힘으로 지지할 수가 있게 된다.Meanwhil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elevating device 18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guide rollers 183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one rotation support shaft 183-1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Since the support guide rollers 183 provided at both ends of one rotation support shaft 183-1 are rotated at the same rotation speed, the lift cable 182 can be supported with equal forc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100)는 수평이송구간(114)에서와 수직이송구간(112)에서의 승강기(130)의 이송을 별도의 구동수단을 통해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승강기(130)를 수평 또는 수직으로 이송시키는데 따른 구동수단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segment elevator apparatus 100 for conveying the lower part of the composite material has a separate driving means for conveying the elevator 130 in the horizontal conveying section 114 and the vertical conveying section 112 It is possible to prevent overloading of the driving means for horizontally or vertically transporting the elevator 130. [005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100)는 육교나 지하도 또는 지하철이나 기차 역사 등에 형성되는 수직이송구간(112)과 수평이송구간(114)으로 이루어진 다구간 이송로(110)에서 승강기(130)의 승하차 없이 원거리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애인이나 노약자 등이 일반 보행자의 보행로 상에 혼재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multi-segment elevator apparatus 100 for conveying a lower complex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rtical conveying section 112 and a horizontal conveying section 114 formed in an overpass, an underpass, a subway, The user can easily move the remote from the elevator 110 without getting in or out of the elevator 130, thereby preventing the disabled or the elderly from being mixed on the walkway of the general pedestrian so that the safe movement can be performed.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수직이송구간(112)과 수평이송구간(114)으로 이루어진 다구간 이송로(110)에서 승강기(130)의 승하차 없이 원거리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반 보행자의 보행로 상에서 장애인이나 노약자 등이 함께 혼재되어 이동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상호 불편함으로 인한 혼잡이 가중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easily move a remote place without getting in and out of the elevator 130 in the multi-section conveying route 110 including the vertical conveying section 112 and the horizontal conveying section 114,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congestion due to the mutual inconvenience that may occur due to the movement of the disabled person or the elderly people together.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다구간 엘리베이터 장치 110. 다구간 이송로
112. 수직이송구간 114. 수평이송구간
120. 가이드 레일 122. 랙
124. 레일면 130. 승강기
132. 도어 140. 스프로킷
150. 전동기 160. 유동방지 가이드수단
161. 베이스판 162. 상부측 구름롤러
163. 지지링크 164. 하부측 구름롤러
165. 탄성스프링 170. 도킹수단
171. 도킹 프레임 172. 쇽업소버
173. 받침 프레임 174. 승강기 고정수단
174-1. 솔레노이드 174-1a. 고정핀
174-2. 고정편 174-2a. 고정홈
175. 도킹 감지센서 180. 승강수단
181. 가이드 롤러 181-1. 가이드홈
182. 승강 케이블 183. 지지 가이드 롤러
183-1. 회전 지지축 184. 케이블 드럼
185. 케이블 구동모터 186. 웨이트 밸런스
100. Multi-section elevator device 110. Multi-section conveying route
112. Vertical feed section 114. Horizontal feed section
120. Guide rail 122. Rack
124. Rail face 130. Lift
132. Door 140. Sprockets
150. Electric motor 160. Flow prevention guide means
161. Base plate 162. Upper side rolling roller
163. Support link 164. Lower rollers
165. Elastic spring 170. Docking means
171. Docking frame 172. Shock absorber
173. Support frame 174. Lift fixing means
174-1. Solenoid 174-1a. Fixing pin
174-2. Fixing piece 174-2a. Fixing groove
175. Docking detection sensor 180. Elevating means
181. Guide roller 181-1. Guide groove
182. Lift cable 183. Support guide roller
183-1. Rotary support shaft 184. Cable drum
185. Cable drive motor 186. Weight balance

Claims (12)

상하로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이송구간과 상기 수직이송구간의 끝단에 연결 형성되는 수평이송구간으로 이루어진 다구간 이송로;
상기 다구간 이송로의 전구간 양측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각각의 내측면 상에 치형을 갖는 랙이 형성된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다구간 이송로 내부에서 승강 및 수평 이송되는 승강기;
상기 승강기의 상부면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의 랙에 치결합되는 스프로킷;
상기 승강기의 상부면에 설치되어지되 전원의 인가에 의한 정역 구동을 통해 상기 스프로킷을 회전 구동시켜 상기 가이드 레일의 랙을 따라 상기 승강기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동기;
상기 승강기의 상부면 양측에 설치되어지되 상기 가이드 레일을 상하로 지지하여 상기 승강기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 가이드수단;
상기 다구간 이송로의 수직이송구간 상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상부를 통해 상기 승강기를 탑재하여 승강되도록 하는 도킹수단; 및
상기 도킹수단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되 정역 구동을 통해 상기 승강기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승강기는 수평이송시에는 상기 전동기의 구동에 의한 동력을 통해 수평이송되는 반면, 수직이송시에는 상기 승강수단의 구동에 의한 동력을 통해 수직이송되어지되 상기 승강수단에 의한 승강기의 수직이송시 상기 전동기의 구동에 의한 상기 스프로킷의 회전은 상기 승강수단의 회전속도에 대응하는 속도로 회전되어 승강기의 수직이송을 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
A vertical transporting section formed vertically up and down and a horizontal transporting section connected to an end of the vertical transporting section;
A guide rail formed parallel to both sides of the entire length of the multi-zone conveying path and having a rack having teeth on respective inner sides thereof;
An elevator that is moved up and down and horizontally within the multi-stage conveying path along the guide rails;
A sprocket rotatab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an upper surface of the elevator and coupled to a rack of the guide rail;
An electric motor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elevator for rotating and driving the sprocket through normal and reverse driving by application of power to enable the elevator to be conveyed along a rack of the guide rail;
Flow preventing guide mean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or and supporting the guide rail up and down to prevent the elevator from flowing;
A docking means installed vertically up and down on a vertical conveying section of the multi-stage conveying path,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elevating machine mounted thereon through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nd elevating means for supporting the docking means so that the docking means can be lifted up and down and vertically moving the elevator up and down,
The elevator is horizontally conveyed through power driven by the motor during horizontal conveying, while vertically conveyed through power by driving the elevator during vertical conveying. When the elevator is vertically conveyed by the elevator, Wherein rotation of the sprocket by the driving of the motor is rotated at a speed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speed of the elevating means to assist vertical conveyance of the eleva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구간 이송로의 전구간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은 수평이송구간과 수직이송구간의 교차 부분이 원호 형태의 곡선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2] The elevator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guide rail installed between the front and the rear of the multi-stage conveying path is formed by a curved line having an arc shape at the intersection of the horizontal conveying section and the vertical conveying sec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구간 이송로를 구성하는 상기 수직이송구간과 수평이송구간의 교차 부분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교차 부분과 같은 원호 형태의 곡선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3]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2, wherein the intersection of the vertical transporting section and the horizontal transporting section constituting the multi-sectional transporting path comprises a curved arc having the same arc shape as the intersection of the guide rails. Elevator for convey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는 전후로 도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2. The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vator is formed with front and rear door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 가이드수단은 상기 승강기의 상부면 양측 각각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 각각의 외측면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부측 레일면에 구름 설치되는 상부측 구름롤러;
상기 베이스판 각각의 외측면 하부 전후에 일정 범위 회전 가능하게 설치 설치된 지지링크;
상기 지지링크 각각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의 하부측 레일면에 구름 설치되는 하부측 구름롤러; 및
상기 베이스판 각각의 외측면 전후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어지되 타단은 상기 지지링크 각각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측 구름롤러와 상기 하부측 구름롤러 사이의 거리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탄성스프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
The elev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ow prevention guide means comprises: a base plate fixedly installed on each of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elevator;
An upper side rolling roller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on an outer side surface of each of the base plates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rail surface of the guide rail in a rolling manner;
A support link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a predetermined range before and behind the outer side surface of each of the base plates;
A lower side rolling roller that is rotatably installed at an end of each of the support links and is installed on a lower side rail surface of the guide rail; And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each of the base plates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fixed to each of the support links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side rolling roller and the lower side rolling roller can be compensated Wherein the elevator carries the eleva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수단은 골조의 연결을 통해 상기 승강기의 하면에 대응하는 사각 형태로 구성된 도킹 프레임;
상기 도킹 프레임의 상부면 모서리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기의 하부면이 도킹시 충격을 완화시켜 도킹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쇽업소버;
상기 쇽업소버 각각의 상단에 모서리 각각의 하부면이 지지 고정되는 평판의 받침 프레임;
상기 받침 프레임 상부면과 상기 승강기 하부면 사이에서 받침 프레임의 상부면에 탑재되는 승강기를 받침 프레임에 일체로 고정시키는 승강기 고정수단; 및
상기 쇽업소버 사이의 상기 도킹 프레임 상부면 중심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지되 상기 받침 프레임의 상부면으로 상기 승강기의 탑재에 따른 쇽업소버의 수축이 이루어져 받침 프레임 하부면의 접촉시 도킹 완료 상태를 감지하는 도킹 감지센서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
The elev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ocking means comprises: a docking frame having a square shape corresponding to a lower surface of the elevator through connection of a frame;
A shock absorber installed at each of the upper surface corners of the docking frame to dock the lower surface of the elevator to mitigate shocks during docking;
A support frame of a flat plate on which the lower surface of each of the corners is supported and fixed on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shock absorbers;
An elevator fixing means for integrally fixing an elevator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frame to the receiving fram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fram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elevator; And
A shock absorber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to shrink the shock absorber to sense a completion of docking whe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And a docking detection sensor. The elevator system for the multi-segment transportation of the lower hybrid system.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고정수단은 상기 받침 프레임의 상부면 전후의 양측 각각에 설치 고정되는 고정핀이 포함한 솔레노이드; 및
상기 솔레노이드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승강기의 하부면 전후의 양측 각각에 설치 고정되어지되 각각에는 상기 고정핀이 삽입되어 승강기를 상기 도킹수단에 고정시키는 고정홈이 관통 형성된 고정편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
[12] The apparatus of claim 9, wherein the elevator fixing means includes: a solenoid including a fixing pin fixed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ing frame; And
Wherein the fixing member is fixed to each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elevator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f the solenoids, and each fixing hole is formed with a fixing groove through which a fixing groove for fixing the elevator to the docking means is inserted. The elevator device for the multi-segment conveying of the lower complex typ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도킹 프레임의 하부면 전후의 양측 각각에 동일 수평선 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원주면 중심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 롤러;
상기 가이드 롤러의 가이드홈 상에 안착되어지되 상기 도킹 프레임의 좌우 양측을 통해 상기 수직이송구간의 최상단으로 연장 구성되어 상기 도킹 프레임을 승강 지지하는 승강 케이블;
상기 수직이송구간의 최상단으로 연장 구성된 상기 승강 케이블 각각의 일측을 걸어 가이드 하는 지지 가이드 롤러;
상기 수직이송구간의 최상단으로 연장 구성된 상기 승강 케이블 각각의 타측을 걸어 감거나 풀어지도록 정역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케이블 드럼;
상기 케이블 드럼을 정역 구동시켜 상기 도킹 프레임의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구동모터; 및
상기 지지 가이드 롤러에 의해 걸어 지지되는 상기 승강 케이블의 일측단 각각에 결합되어 상기 도킹수단과 승강기 전체 하중의 밸런스를 맞추는 웨이트 밸런스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
[12] The apparatus of claim 9, wherein the elevating means comprises guide rollers rotatably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docking frame on the same horizontal line,
A lifting cable mounted on a guide groove of the guide roller and extend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transfer section through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ocking frame to lift and support the docking frame;
A support guide roller for guiding and guiding one side of each of the lift cables extended to the uppermost end of the vertical conveyance section;
A cable drum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a forward / reverse direction so as to hang or unwind the other side of each of the elevating cables extended to the uppermost end of the vertical conveying section;
A cable driving motor for driving the cable drum in a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docking frame can be lifted and lowered; And
And a weight balance which is coupled to one side end of the lifting cable supported by the support guide roller to balance the load of the elevator with the docking means.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가이드 롤러는 정역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하나의 회전 지지축 양단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12. The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support guide rollers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one rotation support shaft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KR1020140066418A 2014-05-30 2014-05-30 The lower section of the complex way the elevator for transporting equipment KR1016144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418A KR101614474B1 (en) 2014-05-30 2014-05-30 The lower section of the complex way the elevator for transporting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418A KR101614474B1 (en) 2014-05-30 2014-05-30 The lower section of the complex way the elevator for transporting equip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023A KR20150139023A (en) 2015-12-11
KR101614474B1 true KR101614474B1 (en) 2016-04-22

Family

ID=55020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6418A KR101614474B1 (en) 2014-05-30 2014-05-30 The lower section of the complex way the elevator for transporting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447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6707A (en) * 2016-08-05 2018-02-1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Elevator curve traveling device
CN110293979B (en) * 2019-07-30 2024-04-30 黄韩华 Road crossing vehicle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2359A (en) * 1998-09-01 2000-03-07 Toshiba Corp Elevator device
KR200290893Y1 (en) * 2002-06-25 2002-10-04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U-shaped shuttle type elevator
KR101010362B1 (en) * 2010-06-18 2011-01-25 새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Elevator having horizontally moving se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2359A (en) * 1998-09-01 2000-03-07 Toshiba Corp Elevator device
KR200290893Y1 (en) * 2002-06-25 2002-10-04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U-shaped shuttle type elevator
KR101010362B1 (en) * 2010-06-18 2011-01-25 새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Elevator having horizontally moving s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023A (en) 2015-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0782B1 (en) Stair combined use strait type lift device and the operating method
US10399822B2 (en) Hydraulic elevating platform having no guide rails and elevating method
EP3587332B1 (en) A lift for telescopic passenger stairs for boarding passengers in wheelchairs on a plane
KR102153477B1 (en) a lift device for the handicapped people
KR101372262B1 (en) Motorized lifting device for wheelchair
KR100936020B1 (en) Low floor wheel chair lift
KR101614474B1 (en) The lower section of the complex way the elevator for transporting equipment
KR20100089675A (en) Wheel chair lift for bus
US8104600B2 (en) Escalator
CN216737034U (en) Bearing detection device for elevator detection
US20200299106A1 (en) Escalator which can be connected to a lift
KR101583706B1 (en) Elevator system for multisection transportation
US20020074188A1 (en) Installation for transporting people, in particular those with reduced mobility, and fitting of this installation from notably an escalator
JP6095410B2 (en) Barrier-free boarding facility
CN207932873U (en) A kind of vehicle-mounted elevator of boarding with luggage transmission device
KR20130038568A (en) Light-rail station
KR101583708B1 (en) Elevator system for upper combined type multisection transportation
RU213311U1 (en) Passenger lift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JPS597630B2 (en) stair lift device
KR101433746B1 (en) an Escalator vihicle of a wheelchair for a handicapped person
US7484595B2 (en) Step-shaped staircase lift for personal use and transport of goods
KR100454007B1 (en) Lift apparatus for wheel chair
RU210246U1 (en) Inclined lift NPM
RU2509711C2 (en) Lifter for straight stair flights
RU2563076C1 (en) Hoist unit (vers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