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4466B1 - 주차 차량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주차 차량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4466B1
KR101614466B1 KR1020140034991A KR20140034991A KR101614466B1 KR 101614466 B1 KR101614466 B1 KR 101614466B1 KR 1020140034991 A KR1020140034991 A KR 1020140034991A KR 20140034991 A KR20140034991 A KR 20140034991A KR 101614466 B1 KR101614466 B1 KR 101614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coupled
drive
latch
ge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1565A (ko
Inventor
김상수
Original Assignee
김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수 filed Critical 김상수
Priority to KR1020140034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4466B1/ko
Publication of KR20150111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3/00Vehicle-manoeuvring devices separate from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9/00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된 차량을 가로 막고 있는 차량을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지대 전,후 양측의 회전축 외측부에 다수개의 이동바퀴를 결합시켜 지지대를 전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지지대 전,후 양측의 회전축 내측부에 다수개의 연동기어를 결합시켜 이동바퀴들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며 전,후측의 연동기어와 좌,우측의 구동기어들을 맞물림시켜 연동기어들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다음 좌,우측의 구동기어들과 나란히 위치되는 구동로울러들을 주차된 차량의 자동차바퀴와 접촉시킬 수 있도록 하며 구동로울러 및 구동축을 구동기어들의 중앙을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동시에 구동축 좌,우측부를 지지대에 회전용이토록 결합시키고 구동축의 중앙으로 구동체를 결합시켜 구동축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며 구동체와 발판을 연결되어 구동체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된 주차 차량 이동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주차 차량 이동장치{APPARATUS FOR TRANSFERRING PARKED VEHICLE}
본 발명은 주차된 차량을 가로 막고 있는 차량을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지대 전,후 양측의 회전축 외측부에 다수개의 이동바퀴를 결합시켜 지지대를 전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지지대 전,후 양측의 회전축 내측부에 다수개의 연동기어를 결합시켜 이동바퀴들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며 전,후측의 연동기어와 좌,우측의 구동기어들을 맞물림시켜 연동기어들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다음 좌,우측의 구동기어들과 나란히 위치되는 구동로울러들을 주차된 차량의 자동차바퀴와 접촉시킬 수 있도록 하며 구동로울러 및 구동축을 구동기어들의 중앙을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동시에 구동축 좌,우측부를 지지대에 회전용이토록 결합시키고 구동축의 중앙으로 구동체를 결합시켜 구동축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며 구동체와 발판을 연결되어 구동체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차량의 구동로울러를 자동차 바퀴와 접촉시킨 다음 발판을 밟아 주면 구동체가 구동축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구동로울러에 의해 자동차바퀴를 회전시켜주게 되므로 손으로 손잡이를 잡고 허리를 굽혀가면서 차량을 이동시켰던 종래 불편함과 번거로움에서 벗어나 주차구획선 내에 주차된 차량을 가로 막고 있는 차량을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신속하고 손쉽게 주차구획선을 빠져올 수 있고 구동로울러는 자동차바퀴와 접촉을 하여 회전시킬 수 있고 구동기어는 연동기어들과 접촉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로울러와 구동기어들을 구동축상에 각각 축설시킴으로서 보다 효율적이고 적은 동력으로 차량을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주차 차량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주차 차량 이동장치는 선 출원되어 등록된 특허 제 10-1305610 호 " 주차 차량 이동장치 "(동일 출원인임)가 있다
상기의 종래 배경기술은, 주차된 차량의 자동차바퀴와 접촉하는 양측의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들을 지지하기 위해 구동기어들의 중앙을 관통하여 결합 고정되고 양측부가 지지대에 회전용이토록 결합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 길이 방향의 가운데로 결합되어 고정되는 래치기어와, 상기 래치기어의 외주면으로 회전용이토록 결합되는 구동체와, 상기 구동체의 회전에 의해 래치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고 구동체의 역회전시에는 래치기어의 역회전을 허락하지 않도록 래치기어의 이빨들 사이 요소요소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작동볼과, 상기 구동체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체의 일측부로 부착되는 연결부재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의 종래 기술은, 구동체의 연결부재 또는 연결부재로 결합되는 연결봉등을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는바, 상기 구동체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구동축이 회전되어지고 구동체를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에는 구동체가 공회전을 하기 때문에 구동축은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구동기어 및 래치기어가 일 방향으로 지속적인 회전을 함으로서 자동차바퀴를 지속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자동차를 다른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기술은, 사용자가 구동체와 연결된 연결부재 또는 연결봉등을 손으로 잡고 허리를 굽혀가면서 상,하 방향으로 연속해서 회동시켜야 비로소 차량을 이동시킬 수 있었기 때문에 여간 번거롭고 불편하지 아니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의 종래 기술은, 구동축상에 축설된 양측의 구동기어들이 자동차바퀴와 접촉을 하여 자동차바퀴를 미는 작용과 동시에 지지대의 회전축에 결합된 회전기어들과도 맞물림되어 회전시켜주고 때문에 구동기어의 회전력이 분산되어 자동차바퀴를 미는 힘이 약해질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상기 자동차를 미는 구동기어의 힘이 약해짐으로서 자동차바퀴를 한번 이동시키는 거리가 짧아지게 되므로 사용자는 많은 횟수의 연결부재 또는 연결봉등을 회동시켜 줘야하는 힘든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구동로울러를 자동차 바퀴와 접촉시킨 다음 발판을 밟아 주면 구동체가 구동축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구동로울러에 의해 자동차바퀴를 회전시켜 주게 되므로 손으로 손잡이를 잡고 허리를 굽혀가면서 차량을 이동시켰던 종래 불편함과 번거로움에서 벗어나 주차구획선 내에 주차된 차량을 가로 막고 있는 차량을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신속하고 손쉽게 주차구획선을 빠져올 수 있고 구동로울러는 자동차바퀴와 접촉을 하여 회전시킬 수 있고 구동기어는 연동기어들과 접촉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로울러와 구동기어들을 구동축상에 각각 축설시킴으로서 보다 효율적이고 적은 동력으로 차량을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지대 전,후 양측의 회전축 외측부에 다수개의 이동바퀴를 결합시켜 지지대를 전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지지대 전,후 양측의 회전축 내측부에 다수개의 연동기어를 결합시켜 이동바퀴들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며 전,후측의 연동기어와 좌,우측의 구동기어들을 맞물림시켜 연동기어들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다음 좌,우측의 구동기어들과 나란히 위치되는 구동로울러들을 주차된 차량의 자동차바퀴와 접촉시킬 수 있도록 하며 구동로울러 및 구동축을 구동기어들의 중앙을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동시에 구동축 좌,우측부를 지지대에 회전용이토록 결합시키고 구동축의 중앙으로 구동체를 결합시켜 구동축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며 구동체와 발판을 연결되어 구동체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차량의 구동로울러를 자동차 바퀴와 접촉시킨 다음 발판을 밟아 주면 구동체가 구동축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구동로울러에 의해 자동차바퀴를 회전시켜주게 되므로 손으로 손잡이를 잡고 허리를 굽혀가면서 차량을 이동시켰던 종래 불편함과 번거로움에서 벗어나 주차구획선 내에 주차된 차량을 가로 막고 있는 차량을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신속하고 손쉽게 주차구획선을 빠져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구동로울러는 자동차바퀴와 접촉을 하여 회전시킬 수 있고 구동기어는 연동기어들과 접촉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로울러와 구동기어들을 구동축상에 각각 축설시킴으로서 보다 효율적이고 적은 동력으로 차량을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 주차 차량 이동장치의 구성과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주차 차량 이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주차 차량 이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작용도
도 4는 본 발명 주차 차량 이동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지지대(101)를 전진 이동시키기 위해 지지대(101) 전,후 양측의 회전축(102) 외측부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이동바퀴(104)와,
상기 이동바퀴(104)들을 회전시키기 위해 지지대(101) 전,후 양측의 회전축 (102) 내측부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연동기어(103)와,
상기 연동기어(103)들을 회전시키기 위해 전,후측의 연동기어(103)와 맞물림되는 좌,우측의 구동기어(123)와,
상기 좌,우측의 구동기어(123)들과 나란히 위치되어 주차된 차량의 자동차바퀴(141)와 접촉하는 좌,우측의 구동로울러(124)와,
상기 구동로울러(124) 및 구동기어(123)들의 중앙을 관통하여 고정시킨 다음 좌,우측부를 지지대(101)에 회전용이토록 결합되는 구동축(122)과,
상기 구동축(122)의 중앙으로 결합되어 구동축(122)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체(112)를 구비하고 있는 주차 차량 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112)가 구동축(122)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축(122)에 결합되는 외접래치기어(121)와,
상기 외접래치기어(121)의 이와 이 사이에 일단부가 위치되어 일 방향으로만 외접래치기어(121)를 밀어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체(112) 내부의 요실(113)에 제1중심핀(114)으로 회전용이토록 결합되는 외접래치(116)와,
상기 외접래치(116)의 일단부가 외접래치기어(121)의 이와 이 사이에 밀착되도록 구동체(112)의 요실(113)과 외접래치(116)사이로 탄설되는 제2탄성부재(115)와,
상기 구동체(112)와 연결되어 구동체(112)를 구동시키는 발판(111)과,
상기 발판(111)을 밟아 구동체(112)를 회전시킨 다음 구동체(112)가 자동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구동체(112)에 돌설된 브라켓(117)과 회전축(102) 사이에 탄설되는 제1탄성부재(105)를 구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이동바퀴(104)들이 넓은 면적으로 지면과 접촉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전,후측 이동바퀴(104)들의 외주면으로 결합되는 무한궤도(141)를 더 구비하였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먼저, 주차구획선 내에 주차된 차량을 가로 막고 있는 자동차 바퀴(151) 후측부에 본 발명 주차 차량 이동장치의 구동로울러(124)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착시킨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동로울러(124)가 자동차 바퀴(151)에 밀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발판(111)을 발로 밟으면 발판(111)과 연결된 구동체(112)가 구동축(122)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발판(111)은 도 1에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체(112)에 돌설된 브라켓(117)과 지지대(101) 전측부 사이로 탄설되어 있는 제1탄성부재(105)를 압축하면서 하강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체(112)의 회전에 의해 구동체(112)내부 요실(113)에 제1중심핀(114)으로 회전용이토록 결합되어 있는 외접래치(116)가 외접래치기어(121)를 회전시키게 되고 아울러 외접래치기어(121)가 결합된 구동축(122)을 회전시키게 된다.
즉, 상기 외접래치(116)는 제2탄성부재(115)가 탄력으로 누르고 있기 때문에 외접래치(116)의 일단부는 외접래치기어(121)의 이와 이 사이에 밀착된 상태에서 외접래치(116)가 구동체(112)를 따라 회전하게 되고 상기 외접래치(116)의 회전에 의해 외접래치기어(121)도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을 하면서 구동축(122)을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구동축(122)의 회전에 의해 구동축(122) 좌,우측으로 결합되어 있는 구동기어(123)들과 구동로울러(124)들이 회전을 하게 된다.
즉, 상기 구동축(122)에 결합된 구동기어(123)들의 회전에 의해 구동기어(123)들과 맞물림되어 있는 지지대(101) 전,후측의 연동기어(103)들이 회전되면서 회전축(102)들 및 이들의 외측부로 결합되어 있는 다수개의 이동바퀴(104)들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122)에 결합된 구동로울러(124)들의 회전에 의해 구동로울러(124)와 접촉하고 있는 자동차 바퀴(151)를 회전시키면서 차량을 소정의 거리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밟고 있던 발판(111)을 놓으면 구동체(112)의 브라켓(117)과 지지대(101) 전측부 사이에서 인장되어 있던 제1탄성부재(105)가 압축되면서 구동체(112) 및 발판(111)을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역회전시켜 원 위치(실선 위치)로 복귀시켜 주게 된다.
즉, 상기 외접래치기어(121)의 이와 이 사이에 밀착되어 있던 외접래치(116)의 일단부가 구동체(112)의 역회전에 의해 제2탄성부재(115)의 탄력을 극복하면서 제1중심핀(114)을 중심으로 회전 이탈되어지고 급기야 외접래치기어(121)의 이 들을 타고 넘어가 구동체(112)를 따라 역회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외접래치(116)는 외접래치기어(121)의 이 들을 타고 넘어가 구동체(112)와 같이 역회전 되지만 외접래치기어(121)는 회전되지 않고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발판(111)이 제1탄성부재(105)에 의해 원 위치로 복귀하는 작용은 다음번 외접래치기어(121) 및 구동축(122)을 회전시키기 위해 공회전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발판(111)을 연속적으로 밟아줌으로 인해 외접래치기어(121) 및 구동축(112)에 결합된 구동로울러(124)가 일 방향으로 회전을 함으로서 자동차바퀴(141)를 지속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자동차를 다른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좌,우측 구동기어(123)하측부와 맞물려 있는 지지대(101)전,후측의 연동기어(103)들도 회전을 하면서 회전축(102)을 회전시키게 되는바, 상기 회전축(102) 외측부에 결합된 이동바퀴(104)의 외주면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한궤도(141)가 결합되어 있어 보다 넓은 면적으로 지면과 접촉하면서 이동을 하게 되므로 구동로울러(124)와 자동차 바퀴(151)간의 밀착력을 유지시켜 주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01)의 후측부에 지지핀(105)으로 회전용이토록 결합되는 래치(106)는 발판(111) 및 구동체(112)의 역회전시 구동로울러(124)가 자동차바퀴(151)에 밀려 후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였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 주차 차량 이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실시예는 구동체(112) 내부에 내접래치기어(135)를 형성시키고 이 내접래치기어(135)와 접촉하는 내접래치(133)를 구동축(122)상에 형성되는 작동판(131)에 설치한 것이 다를 뿐이다.
즉, 상기 발판(111)을 밟아 주는 동작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체(112)내부에 형성된 내접래치기어(135)가 회전하게 되고 내접래치기어(135)와 일단부를 접촉하고 있는 내접래치(133)가 제2중심핀(132)을 통해 작동판(131)으로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므로 구동축(122)을 회전시키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내접래치(133)는 제3탄성부재(134)의 탄력에 의해 내접래치 (133)의 타단부를 밀어서 작동판(131)에 밀착시키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내접래치(133)의 일단부는 내접래치기어(135)의 이와 이 사이에 밀착된 상태에서 내접래치(133)가 구동체(112)의 내접래치기어(135)를 따라 회전하게 되고 상기 내접래치(133)의 회전에 따라 내접래치(133)에 제2중심핀(132)으로 연결된 작동판(131)도 회전을 하면서 구동축(122)을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밟고 있던 발판(111)을 놓으면 구동체(112)의 브라켓(117)과 지지대(101) 전측부 사이에서 인장되어 있던 제1탄성부재(105)가 압축되면서 구동체(112) 및 발판(111)을 도 3의 가상선 위치에서 실선으로 표시한 위치로 복귀시켜 주게 된다.
즉, 상기 내접래치기어(135)의 이와 이 사이에 밀착되어 있던 내접래치(133)의 일단부가 구동체(112)의 역회전에 의해 제3탄성부재(134)의 탄력을 극복하면서 제2중심핀(132)을 중심으로 회전 이탈되어지고 급기야 내접래치기어(135)가 내접래치(133)의 일단부를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허용을 해 주기 때문에 구동체(112) 및 내접래치기어(135)가 역회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내접래치기어(135)는 내접래치(133)를 타고 넘어가 구동체(112)와 같이 역회전 되지만 작동판(131)은 회전되지 않고 정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발판(111)이 제1탄성부재(105)에 의해 원 위치로 복귀하는 작용은 다음번 작동판(131) 및 구동축(122)을 회전시키기 위해 공회전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발판(111)을 연속적으로 밟아줌으로 인해 작동판(131) 및 구동축(112)에 결합된 구동로울러(124)가 일방향으로 회전을 함으로서 자동차바퀴(141)를 지속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자동차를 다른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101-지지대 102-회전축
103-연동기어 104-이동바퀴
105-제1탄성부재 106-래치
111-발판 112-구동체
113-요실 114-제1중심핀
115-제2탄성부재 116-외접래치
117-브라켓 121-외접래치기어
122-구동축 123-구동기어
124-구동로울러 131-작동판
132-제2중심핀 133-내접래치
134-제3탄성부재 135-내접래치기어
141-무한궤도 151-자동차 바퀴

Claims (5)

  1. 지지대(101)를 전진 이동시키기 위해 지지대(101) 전,후 양측의 회전축(102) 외측부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이동바퀴(104)와,
    상기 이동바퀴(104)들을 회전시키기 위해 지지대(101) 전,후 양측의 회전축(102) 내측부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연동기어(103)와,
    상기 연동기어(103)들을 회전시키기 위해 전,후측의 연동기어(103)와 맞물림되는 좌,우측의 구동기어(123)와,
    상기 좌,우측의 구동기어(123)들과 나란히 위치되어 주차된 차량의 자동차바퀴(141)와 접촉하는 좌,우측의 구동로울러(124)와,
    상기 구동로울러(124) 및 구동기어(123)들의 중앙을 관통하여 고정시킨 다음 좌,우측부를 지지대(101)에 회전용이토록 결합되는 구동축(122)과,
    상기 구동축(122)의 중앙으로 결합되어 구동축(122)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체(112)를 구비하고 있는 주차 차량 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112)가 구동축(122)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축(122)에 결합되는 외접래치기어(121)와,
    상기 외접래치기어(121)의 이와 이 사이에 일단부가 위치되어 일 방향으로만 외접래치기어(121)를 밀어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체(112) 내부의 요실(113)에 제1중심핀(114)으로 회전용이토록 결합되는 외접래치(116)와,
    상기 외접래치(116)의 일단부가 외접래치기어(121)의 이와 이 사이에 밀착되도록 구동체(112)의 요실(113)과 외접래치(116)사이로 탄설되는 제2탄성부재(115)와,
    상기 구동체(112)와 연결되어 구동체(112)를 구동시키는 발판(111)과,
    상기 발판(111)을 밟아 구동체(112)를 회전시킨 다음 구동체(112)가 자동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구동체(112)에 돌설된 브라켓(117)과 회전축(102) 사이에 탄설되는 제1탄성부재(105)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차량 이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바퀴(104)들이 넓은 면적으로 지면과 접촉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전,후측 이동바퀴(104)들의 외주면으로 결합되는 무한궤도(141)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차량 이동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034991A 2014-03-26 2014-03-26 주차 차량 이동장치 KR101614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991A KR101614466B1 (ko) 2014-03-26 2014-03-26 주차 차량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991A KR101614466B1 (ko) 2014-03-26 2014-03-26 주차 차량 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565A KR20150111565A (ko) 2015-10-06
KR101614466B1 true KR101614466B1 (ko) 2016-04-21

Family

ID=54344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991A KR101614466B1 (ko) 2014-03-26 2014-03-26 주차 차량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446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541Y1 (ko) * 2004-09-21 2004-12-14 서영환 차량 이동기구
KR200439733Y1 (ko) 2007-02-26 2008-05-02 김성태 주차 차량 이동장치
KR101305610B1 (ko) * 2012-03-29 2013-09-09 김상수 주차 차량 이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541Y1 (ko) * 2004-09-21 2004-12-14 서영환 차량 이동기구
KR200439733Y1 (ko) 2007-02-26 2008-05-02 김성태 주차 차량 이동장치
KR101305610B1 (ko) * 2012-03-29 2013-09-09 김상수 주차 차량 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565A (ko) 2015-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8786B2 (en) Multifunctional castor
KR20120053236A (ko) 평지 및 계단 주행이 가능한 변형 바퀴, 바퀴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로봇
KR101305610B1 (ko) 주차 차량 이동장치
KR101614466B1 (ko) 주차 차량 이동장치
KR101606137B1 (ko) 주차 차량 이동장치
US7878520B2 (en) Overdrive system for four-wheel bicycle
KR101540593B1 (ko) 주차 차량 이동장치
KR101918403B1 (ko) 단차 장애물 극복 주행을 위한 이동체용 트랙 시스템
TW201700080A (zh) 具有復健功能之輪椅及其傳動裝置
KR101933021B1 (ko) 주차차량의 자동 이동장치
JP2018057496A (ja) 走行玩具用軌道および走行玩具セット
JP2008208856A (ja) 動力伝達切換機構
US9360060B2 (en) Ratchet wrench with a direction switching device
CN107176221B (zh) 一种机械式换向的单向行驶机构
JP2009196572A (ja) 駆動切換装置を備えた自転車
JP2012008514A5 (ja) 画像形成装置
CN209621902U (zh) 离合机构
JP6027385B2 (ja) 簡易移動装置
WO2013159269A1 (zh) 组合于转动轴的传动力切换装置
SU1736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вода стрелок с движущегос вагона
JP2004242727A (ja) 遊戯車
JP6719044B2 (ja) 自転車
GB2490489A (en) Wheelchair anti-roll back device having ratchet mechanism and brake
TWI588039B (zh) Omnidirectional composite drive omnidirectional wheel
US1730634A (en) Wheeled to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