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5610B1 - 주차 차량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주차 차량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5610B1
KR101305610B1 KR1020120032565A KR20120032565A KR101305610B1 KR 101305610 B1 KR101305610 B1 KR 101305610B1 KR 1020120032565 A KR1020120032565 A KR 1020120032565A KR 20120032565 A KR20120032565 A KR 20120032565A KR 101305610 B1 KR101305610 B1 KR 101305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vehicle
coupled
latch gea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수
Original Assignee
김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수 filed Critical 김상수
Priority to KR1020120032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56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1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both lifting and manoeuvring
    • B60S9/16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both lifting and manoeuvring for operating only on one end of vehicle
    • B60S9/18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both lifting and manoeuvring for operating only on one end of vehicle mecha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9/00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된 차량을 가로 막고 있는 차량을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차된 차량의 자동차바퀴와 접촉하는 양측의 구동기어를 구비하고 구동기어들의 중앙을 관통하여 결합 고정되고 양측부가 지지대에 회전용이토록 결합되는 구동축에 의해 구동기어들을 지지시키며 구동축 길이 방향의 가운데로 래치기어를 결합하여 고정시킨 다음 래치기어의 외주면으로 구동체를 회전용이토록 결합시키고 래치기어의 이빨들 사이 요소요소에 다수개의 작동볼들을 결합하여 구동체의 회전에 의해 래치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고 구동체의 역회전시에는 래치기어의 역회전을 허락하지 않토록 하며 구동체의 일측부로 연결부재를 부착하여 구동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주차 차량 이동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주차 차량 이동장치{APPARATUS FOR TRANSFERRING PARKED VEHICLE}
본 발명은 주차된 차량을 가로 막고 있는 차량을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차된 차량의 자동차바퀴와 접촉하는 양측의 구동기어를 구비하고 구동기어들의 중앙을 관통하여 결합 고정되고 양측부가 지지대에 회전용이토록 결합되는 구동축에 의해 구동기어들을 지지시키며 구동축 길이 방향의 가운데로 래치기어를 결합하여 고정시킨 다음 래치기어의 외주면으로 구동체를 회전용이토록 결합시키고 래치기어의 이빨들 사이 요소요소에 다수개의 작동볼들을 결합하여 구동체의 회전에 의해 래치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고 구동체의 역회전시에는 래치기어의 역회전을 허락하지 않토록 하며 구동체의 일측부로 연결부재를 부착하여 구동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주차구획선 내에 주차된 차량을 가로 막고 있는 차량을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신속하고 손쉽게 주차구획선을 빠져올 수 있고 어떠한 차량이든(기어를 중립에 위치시킨 차량) 구동기어를 자동차 바퀴와 접촉시킨 다음 연결부를 상,하 방향으로 재치는 동작에 의해 구동기어들을 회전시킴으로서 큰 힘을 안들이고 차량을 이동시킬 수 있어 남,여 또는 힘이 없는 노인들도 수월하게 주차구획선을 빠져올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에 의해 고장의 우려가 적은 장점을 갖는 동시에 적은 부피로 인해 차량에 휴대가 용이하여 어느 장소를 불문하고 유용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는 주차 차량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주차 차량 이동장치는 선 출원되어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 20-0439733 호 " 주차 차량 이동장치 " 가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은, 좌,우 보조 바퀴를 가진 발 디딤판이 하부 일측단에 일체로 조립 연설된 기대의 내부에 상부 기어와 하부기어를 장착하여 이를 체인으로 연결하여 연동되게 하고, 상부 기어의 회전축 돌출 선단에는 레버를 연결하여 상부 기어의 수동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하며, 하부 기어의 회전축 돌출선단에는 구동 횡축을 연결 장착하되 발 디딤판의 일측단 저부에 하향 조립시킨 내외 축지지판에
의해 정확한 수평이 유지되게 하고, 상기 내외 축 지지판을 관통하는 구동 횡축에 고무재질의 구동 롤을 장착하며, 이 구동 롤에 밀접되는 고무 롤을 장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배경기술은, 손잡이를 회전시킴으로서 체인의 전동에 의해 고무 롤을 회전시켜 바퀴를 회전시키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체인을 전동 매체로 사용을 함으로서 높이가 높아지게 되고 발 디딤팜이 구성되어 가로 넓이가 넓어지게 되므로 가로 세로의 부피가 커지는 만큼 휴대가 용이치 못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손잡이를 회전시켜 상부 기어와 체인 그리고 하부 기어와 구동횡축 또한 구동 롤과 고무 롤을 회전시켜서 자동차 바퀴를 회전시키게 되어 있다
그러나, 자동차 바퀴에는 약 40-50kg의 반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왠만한 팔 힘으로는 손잡이를 회전시킬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건장한 남자들은 문제가 없겠지만 힘이 약한 여자들이나 노인들은 상기 종래의 주차 차량 이동장치를 이용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차구획선 내에 주차된 차량을 가로 막고 있는 차량을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신속하고 손쉽게 주차구획선을 빠져올 수 있고 어떠한 차량이든(기어를 중립에 위치시킨 차량) 구동기어를 자동차 바퀴와 접촉시킨 다음 연결부를 상,하 방향으로 재치는 동작에 의해 구동기어들을 회전시킴으로서 큰 힘을 안들이고 차량을 이동시킬 수 있어 남,여 또는 힘이 없는 노인들도 수월하게 주차구획선을 빠져올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에 의해 고장의 우려가 적은 장점을 갖는 동시에 적은 부피로 인해 차량에 휴대가 용이하여 어느 장소를 불문하고 유용하게 사용 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차된 차량의 자동차바퀴와 접촉하는 양측의 구동기어를 구비하고 구동기어들의 중앙을 관통하여 결합 고정되고 양측부가 지지대에 회전용이토록 결합되는 구동축에 의해 구동기어들을 지지시키며 구동축 길이 방향의 가운데로 래치기어를 결합하여 고정시킨 다음 래치기어의 외주면으로 구동체를 회전용이토록 결합시키고 래치기어의 이빨들 사이 요소요소에 다수개의 작동볼들을 결합하여 구동체의 회전에 의해 래치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고 구동체의 역회전시에는 래치기어의 역회전을 허락하지 않토록 하며 구동체의 일측부로 연결부재를 부착하여 구동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주차구획선 내에 주차된 차량을 가로 막고 있는 차량을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신속하고 손쉽게 주차구획선을 빠져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어떠한 차량이든(기어를 중립에 위치시킨 차량) 구동기어를 자동차 바퀴와 접촉시킨 다음 연결부를 상,하 방향으로 재치는 동작에 의해 구동기어들을 회전시킴으로서 큰 힘을 안들이고 차량을 이동시킬 수 있어 남,여 또는 힘이 없는 노인들도 수월하게 주차구획선을 빠져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고장의 우려가 적은 장점을 갖는 동시에 적은 부피로 인해 차량에 휴대가 용이하여 어느 장소를 불문하고 유용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 이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이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일 실시예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이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이동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작용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이동장치중 래치기어와 작동볼의 상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주차된 차량의 자동차바퀴(141)와 접촉하는 양측의 구동기어(115)와,
상기 구동기어(115)들을 지지하기 위해 구동기어(115)들의 중앙을 관통하여 결합 고정되고 양측부가 지지대(101)에 회전용이토록 결합되는 구동축(111)과,
상기 구동축(111) 길이 방향의 가운데로 결합되어 고정되는 래치기어(112)와,
상기 래치기어(112)의 외주면으로 회전용이토록 결합되는 구동체(114)와,
상기 구동체(114)의 회전에 의해 래치기어(112)를 회전시킬 수 있고 구동체 (114)의 역회전시에는 래치기어(112)의 역회전을 허락하지 않도록 래치기어(112)의 이빨들 사이 요소요소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작동볼(113)과,
상기 구동체(114)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체(114)의 일측부로 부착되는 연결부재(121)를 구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115)들을 주차된 차량의 좌측이나 우측의 자동차바퀴(141)에 접촉시킨 다음 구동체(114)를 연결부재(121)에 의해 원할하게 회전을 시킬 수 있도록 연결부재(121)의 양측부에 형성되는 나사공(122)과,
상기 나사공(122)으로 나사부(132)를 결합시켜 자동차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서 구동체(114)를 회전시킬 수 있는 연결봉(131)을 더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연결봉(131)의 작동 범위를 넓혀서 여러 각도에서 구동체(114)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연결봉(131)과 나사부(132) 사이에 형성되는 힌지부(133)를 더 구비하였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이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연결부재(121) 양측에 형성된 나사공(122)에는 이동을 시키고자 하는 자동차의 왼쪽 바퀴(141)나 오른쪽 바퀴(141)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결봉(131)을 결합시키게 된다.
즉, 상기 연결봉(131)에 형성된 나사부(132)를 연결부재(121) 양측의 선택된 나사공(122)으로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결합시키면 된다.
그리고, 이동시키고자 하는 자동차의 차체가 바퀴(141)보다 더 외측으로 넓게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연결봉(131)과 나사부(132) 사이에 힌지부(133)가 형성된 연결봉(131)을 연결시키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부재(121)를 작동시킬 범위(각도)가 더 커지게 되므로 수월하게 구동체(114)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연결부재(121)에 연결봉(131)이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이동시키고자 하는 자동차의 바퀴(141) 후측부에 구동기어(115)를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착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동기어(115)가 자동차 바퀴(141)에 밀착된 상태에서 연결봉 (131)을 상,하방향으로 연속해서 회동시키면 연결부재(121)와 이와 연결된 구동체 (114)가 반복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체(114)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구동체(114)의 내면과 래치기어(112)의 이빨들 사이에 결합되어 있는 작동볼(113)들이 구동체(114)의 내면과 래치기어(112) 이빨의 경사면 사이에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끼이면서 구동체(114)의 회전력이 래치기어(112)로 전달되어지고 급기야 래치기어(112)가 회전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래치기어(112)의 회전에 의해 래치기어(112)가 고정되어 있는 구동축(111)도 회전을 하면서 양측에 결합된 구동기어(115)들을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기어(115)들과 접촉되어 있는 자동차바퀴(141)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되면서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체(114)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구동체(114)의 내면과 래치기어(112)의 이빨들 사이에 결합되어 있는 작동볼(113)들이 래치기어 (112) 이빨 사이의 공간부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되면서 구동체(114)의 역회전력이 래치기어(112)로 미치지 못하게 되어 구동체(114)만 공회전을 하게 되고 래치기어(112)는 정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기어(115) 및 래치기어(112)가 일방향으로 지속적인 회전을 함으로서 자동차바퀴(141)를 지속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자동차를 다른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양측 구동기어(115)하측부와 맞물려 있는 양측의 회전기어(103)들도 회전을 하면서 회전축(102)을 회전시키게 되어 상기 회전축(102) 양단부에 고정된 이동바퀴(104)들이 자동차 이동 방향으로 이동를 하면서 구동기어(115)와 자동차바퀴(141)간의 밀착력을 유지시켜 주는 것이다.
101-지지대 102-회전축
103-회전기어 104-이동바퀴
111-구동축 112-래치기어
113-작동볼 114-구동체
115-구동기어 121-연결부재
122-나사공 131-연결봉
132-나사부 133-힌지부
141-자동차바퀴

Claims (3)

  1. 주차된 차량의 자동차바퀴(141)와 접촉하는 양측의 구동기어(115)와,
    상기 구동기어(115)들을 지지하기 위해 구동기어(115)들의 중앙을 관통하여 결합 고정되고 양측부가 지지대(101)에 회전용이토록 결합되는 구동축(111)과,
    상기 구동축(111) 길이 방향의 가운데로 결합되어 고정되는 래치기어(112)와,
    상기 래치기어(112)의 외주면으로 회전용이토록 결합되는 구동체(114)와,
    상기 구동체(114)의 회전에 의해 래치기어(112)를 회전시킬 수 있고 구동체 (114)의 역회전시에는 래치기어(112)의 역회전을 허락하지 않도록 래치기어(112)의 이빨들 사이 요소요소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작동볼(113)과,
    상기 구동체(114)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체(114)의 일측부로 부착되는 연결부재(12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차량 이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115)들을 주차된 차량의 좌측이나 우측의 자동차바퀴(141)에 접촉시킨 다음 구동체(114)를 연결부재(121)에 의해 원할하게 회전을 시킬 수 있도록 연결부재(121)의 양측부에 형성되는 나사공(122)과,
    상기 나사공(122)으로 나사부(132)를 결합시켜 자동차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서 구동체(114)를 회전시킬 수 있는 연결봉(131)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차량 이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131)의 작동 범위를 넓혀서 여러 각도에서 구동체(114)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연결봉(131)과 나사부(132) 사이에 형성되는 힌지부(133)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차량 이동장치.
KR1020120032565A 2012-03-29 2012-03-29 주차 차량 이동장치 KR101305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565A KR101305610B1 (ko) 2012-03-29 2012-03-29 주차 차량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565A KR101305610B1 (ko) 2012-03-29 2012-03-29 주차 차량 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5610B1 true KR101305610B1 (ko) 2013-09-09

Family

ID=49455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565A KR101305610B1 (ko) 2012-03-29 2012-03-29 주차 차량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561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593B1 (ko) * 2014-03-26 2015-07-30 김상수 주차 차량 이동장치
KR101606137B1 (ko) * 2014-03-26 2016-03-24 김상수 주차 차량 이동장치
KR101614466B1 (ko) * 2014-03-26 2016-04-21 김상수 주차 차량 이동장치
KR101760689B1 (ko) 2016-03-22 2017-07-24 정규영 휴대용 차량 강제 이송장치
KR101975242B1 (ko) 2018-11-09 2019-05-07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침대용 테이블
KR102442703B1 (ko) * 2021-03-15 2022-09-08 박준규 주차차량 이동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753Y1 (ko) 2001-04-03 2001-10-10 정태섭 지렛대형 주차보조장치
KR200293785Y1 (ko) 2002-07-30 2002-10-31 임원윤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
KR200407725Y1 (ko) 2005-10-31 2006-02-02 안동근 보조장치와 역회전방지 장치를 개선한 자동차용반원기어방식 잭,
KR200439733Y1 (ko) 2007-02-26 2008-05-02 김성태 주차 차량 이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753Y1 (ko) 2001-04-03 2001-10-10 정태섭 지렛대형 주차보조장치
KR200293785Y1 (ko) 2002-07-30 2002-10-31 임원윤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
KR200407725Y1 (ko) 2005-10-31 2006-02-02 안동근 보조장치와 역회전방지 장치를 개선한 자동차용반원기어방식 잭,
KR200439733Y1 (ko) 2007-02-26 2008-05-02 김성태 주차 차량 이동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593B1 (ko) * 2014-03-26 2015-07-30 김상수 주차 차량 이동장치
KR101606137B1 (ko) * 2014-03-26 2016-03-24 김상수 주차 차량 이동장치
KR101614466B1 (ko) * 2014-03-26 2016-04-21 김상수 주차 차량 이동장치
KR101760689B1 (ko) 2016-03-22 2017-07-24 정규영 휴대용 차량 강제 이송장치
KR101975242B1 (ko) 2018-11-09 2019-05-07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침대용 테이블
KR102442703B1 (ko) * 2021-03-15 2022-09-08 박준규 주차차량 이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5610B1 (ko) 주차 차량 이동장치
JP4887380B2 (ja) 補助車ユニット
TWI534032B (zh) 折疊式電動自行車及其控制方法
US7537093B2 (en) Brake device for pushcart
CN109758051B (zh) 一种可多向清洗的手推式洗地机
KR102003386B1 (ko) 접이식 전동퀵보드
US9162662B2 (en) Vehicle brake transmission
US7392995B2 (en) Driving device for wheels
KR101566579B1 (ko) 무체인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KR200439733Y1 (ko) 주차 차량 이동장치
KR101203054B1 (ko) 휴대용 자동차 강제 이동장치
TWI679135B (zh) 腳輪裝置
CA2877773A1 (en) Wheelchair
JP3081197U (ja) 2種効果キックボードの機動構造
KR101437681B1 (ko) 물구나무서기 운동용 헬스기구
JP2007044358A (ja) 自走式スケートボード
KR101355619B1 (ko) 차량용 사이드 스텝 장치
TW201408276A (zh) 輪椅
KR101606137B1 (ko) 주차 차량 이동장치
KR101614466B1 (ko) 주차 차량 이동장치
WO2018032401A1 (zh) 一种电动平衡车
JP2007037700A (ja) 車椅子および制動装置
CN213157114U (zh) 一种轮椅辅助驱动装置
CN103286718A (zh) 一种棘轮手柄
JP2019107206A (ja) 電動移動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