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021B1 - 주차차량의 자동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주차차량의 자동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021B1
KR101933021B1 KR1020180056362A KR20180056362A KR101933021B1 KR 101933021 B1 KR101933021 B1 KR 101933021B1 KR 1020180056362 A KR1020180056362 A KR 1020180056362A KR 20180056362 A KR20180056362 A KR 20180056362A KR 101933021 B1 KR101933021 B1 KR 101933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driving
battery
vehicle
w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6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용
Original Assignee
박영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용 filed Critical 박영용
Priority to KR1020180056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0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1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both lifting and manoeuvring
    • B60S9/16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both lifting and manoeuvring for operating only on one end of vehicle
    • B60S9/18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both lifting and manoeuvring for operating only on one end of vehicle mecha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9/00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주차된 차량을 전기의 힘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주차차량의 자동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주차차량의 자동 이동장치는, 배터리(B)와; 상기 배터리(B)의 일측에 구비되며, 배터리(B)의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생성하는 구동수단(100)과; 상기 구동수단(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구동수단(100)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여 지면 위를 구르는 전진바퀴(200)와; 상기 전진바퀴(2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수단(100)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여 차량바퀴(T)를 회전시키는 작동바퀴(210)와;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3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B)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수단(100)에 제공하는 작동버튼(310)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이중주차된 차량을 힘들이지 않고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주차차량의 자동 이동장치{Apparatus for moving parked vehicle automatically}
본 발명은 주차차량의 자동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중 주차된 차량을 전기의 힘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주차차량의 자동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차량의 보급 증가로 인하여 한 가정에 2대 이상의 차량을 보유한 가정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아파트나 주택가가 밀집한 지역에서는 주차 공간이 부족하여 이중주차를 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중주차는 주차공간이 한정된 곳에서 다수의 차량을 주차하고자 하는 경우에 기존 주차된 차량에 대하여 주로 가로방향으로 주차하는 경우를 일컫는다. 즉, 평행하게 배열된 다수의 주차 차량 앞쪽에 차량의 브레이크를 해제한 상태에서 가로방향으로 차량을 주차하는 것을 말하는데, '가로주차'라 부르기도 한다.]
이와 같은 이중주차는 정식으로 주차된 차량의 앞을 가로막고 있기 때문에, 정식 주차 차량이 빠져나가기 위해서는 출입로를 막고 있는 평행주차(이중주차)된 차량을 좌우로 이동시켜 출입로를 확보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운전자는 주차 브라이크가 해제된 이중주차 차량을 직접 밀어 와우로 옮기게 된다.
그러나, 최근 차량 운전자가 노령이거나 여성인 경우가 증가하고 있으며, 차량도 스포츠유틸리티와 같은 무게가 무거운 차량이 증가하고 있어 차량 이동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일반인이 차량을 밀어 옮기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2-0134409호 및 한국 특허번호 제10-1305610호에서와 같은 주차 이동장치가 고안되고 있으나, 이러한 이동장치도 여전히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적정 이상의 힘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사용자는 여전히 힘을 가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이러한 고안들이 기존에 비해서는 편리하기는 하나 여전히 노약자나 여성이 사용하기에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2-0134409호 한국 등록특허 제10-1305610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터리에 의해 회전력을 생성하는 하나의 구동수단에 의해 한 쌍의 바퀴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이중주차된 차량이 자동으로 일측으로 밀려나게 되는 주차차량의 자동 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주차차량의 자동 이동장치는, 배터리(B)와; 상기 배터리(B)의 일측에 구비되며, 배터리(B)의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생성하는 구동수단(100)과; 상기 구동수단(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구동수단(100)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여 지면 위를 구르는 전진바퀴(200)와; 상기 전진바퀴(2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수단(100)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여 차량바퀴(T)를 회전시키는 작동바퀴(210)와;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3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B)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수단(100)에 제공하는 작동버튼(3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수단(100)은, 상기 배터리(B)의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생성하는 구동모터(110)와; 상기 구동모터(1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모터(110)의 모터축(112)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전진바퀴(200)와 작동바퀴(21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구동웜(12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진바퀴(200)와 작동바퀴(210)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중앙부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중앙홈(220)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홈(220)에는 상기 구동웜(120)과 대응되는 구동웜기어(230)가 성형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진바퀴(200)와 작동바퀴(210)의 표면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외측으로 돌출된 엠보싱(embossing)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모터(110)의 외측에는 구동모터(110)를 감싸는 케이스(400)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400)의 일측에는 상기 전진바퀴(200)와 작동바퀴(21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고정브라켓(410)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400)와 상기 손잡이(300) 사이에는 제어봉(42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주차차량의 자동 이동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가 구비되고 사용자가 선 상태에서 손잡이의 작동버튼을 누르는 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차량이 움직이게 되므로 노약자나 여성의 경우에도 전혀 힘을 들이지 않고 이중주차된 차량을 손쉽게 이송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구동웜과 웜기어를 웜과 웜 기어(worm and worm gear) 타입의 전동장치(傳動裝置)로 구성하여 별도의 감속비 없이 큰 감속비(減速比)를 얻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무게에 관계없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주차차량의 자동 이동장치를 경량화할 수 있으므로 보관과 이송이 편리한 이점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구동수단에 의해 전진바퀴와 작동바퀴가 동시에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부품의 간소화로 인하여 무게가 줄어드는 장점이 있으며, 뿐만 아니라 전진바퀴와 작동바퀴의 외경이 동일하도록 구성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동장치의 전진속도와 차량의 전진속도가 동일하여 지속적으로 차량을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주차차량의 자동 이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주차차량의 자동 이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주차차량의 자동 이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진바퀴와 작동바퀴의 상세 구성을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진바퀴와 작동바퀴의 상세 구성을 보인 좌측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가 차량의 바퀴를 회전시키는 상태를 보인 작동 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주차차량의 자동 이동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주차차량의 자동 이동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주차차량의 자동 이동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주차차량의 자동 이동장치의 정면도와 평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진바퀴와 작동바퀴의 상세 구성을 보인 단면도와 좌측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주차차량의 자동 이동장치는, 배터리(B)와, 상기 배터리(B)의 일측에 구비되며 배터리(B)의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생성하는 구동수단(100)과, 상기 구동수단(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구동수단(100)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여 지면 위를 구르는 전진바퀴(200)와, 상기 전진바퀴(2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수단(100)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여 차량바퀴(T)를 회전시키는 작동바퀴(210)와,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3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B)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수단(100)에 제공하는 작동버튼(31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B)는 화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기구이다. 즉, 통상 축전지(storage battery, 蓄電池)라 일컫는 전기 저장장치로, 양과 음의 전극판과 전해액으로 구성되어 있어 화학작용에 의해 직류기전력을 생기게 하여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치이며, 화학에너지와 전기에너지 사이의 전환이 여러 번 가능하도록 구성된 2차전지이다. 이러한 배터리(battery)의 구성과 기능은 이미 알려진 것이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의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구동수단(100)은, 상기 배터리(B)의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생성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상기 구동수단(100)은, 상기 배터리(B)의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생성하는 구동모터(110)와, 상기 구동모터(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구동웜(12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모터(110)는, 상기 배터리(B)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기계에너지로 바꾸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통상의 전동기(electric motor, 電動機)와 그 구성과 기능이 대동소이하므로 여기서는 구성과 기능의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구동웜(120)은, 통상의 웜과 웜 기어(worm and worm gear) 타입으로 이루어지는 기어 전동장치(傳動裝置)에서 웜(worm) 기능을 하는 것이다. 즉, 웜과 웜 기어(worm and worm gear)로 이루어지는 기어 전동장치(傳動裝置)는 2축이 서로 직교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기어로, 한 줄 또는 여러 줄의 나사선으로 되어 있는 웜과 이(齒) 홈의 중앙이 오목하게 되어 있어 웜과 맞물리는 웜휠과의 한 쌍을 말하는데, 상기 구동웜(120)은 웜(worm) 기능을 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구동모터(110)의 좌측단 중앙부에는 좌측으로 모터축(112)이 돌출되어 구동모터(110)의 회전력이 외부로 공급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모터축(112)에 상기 구동웜(120)이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구동웜(120)은 웜(worm)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는 한 줄 또는 그 이상의 잇수를 가진 나사 모양의 기어가 성형된다.
상기 구동웜(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진바퀴(200)와 작동바퀴(21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전진바퀴(200)의 상면과 상기 작동바퀴(210)의 하면에 각각 접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웜(120)이 상기 구동모터(110)의 모터축(112)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전진바퀴(200)와 작동바퀴(21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전진바퀴(200)와 작동바퀴(210)가 상기 구동웜(120)에 의해 회전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전진바퀴(200)와 작동바퀴(210)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구동웜기어(230)가 각각 구비된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110)의 외측에는 구동모터(110)를 감싸는 케이스(400)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4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며, 육면이 차폐되도록 구성되거나 상하가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케이스(400)의 하단 우측에는 상기 배터리(B)가 고정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400)의 좌측에는 고정브라켓(410)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브라켓(4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도 3과 같이 상방에서 볼 경우)으로 이루어져, 내부에는 상기 전진바퀴(200)와 작동바퀴(21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고정브라켓(410)은 상기 전진바퀴(200)와 작동바퀴(210)의 전후를 차폐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브라켓(410)의 상반부에는 상기 전진바퀴(200)가 설치되고, 하반부에는 상기 작동바퀴(21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진바퀴(200)와 작동바퀴(210)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전진바퀴(200)의 회전 중심이 되는 전진축(202)과 상기 작동바퀴(210)의 회전 중심이 되는 작동축(212)의 양단은 각각 상기 고정브라켓(41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전진축(202)과 작동축(212)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전진바퀴(200)와 작동바퀴(210)는 상기 구동웜(120)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케이스(400)와 상기 손잡이(300) 사이에는 제어봉(420)이 구비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봉(420)은 가는 환봉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좌측단에는 상기 케이스(400)의 우측면이 연결되며, 우측단에는 손잡이(300)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300)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손잡이(300)는 사용자가 선(직립) 상태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부분이며, 여기에는 작동버튼(31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작동버튼(310)은 상기 배터리(B)의 전원이 상기 구동수단(100)을 구성하는 구동모터(110)로 제공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작동버튼(310)은 상기 배터리(B)의 전원이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모터(110)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300)를 잡은 상태에서 엄지 등으로 상기 작동버튼(310)을 누르면 상기 구동모터(110)가 작동하게 된다.
상기 작동버튼(310)은 사용자가 누르고 있는 상태 동안만 배터리(B)의 전원이 상기 구동모터(110)로 공급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어봉(420)의 내부 또는 외주면으로 따라 전원선이 연결되어 상기 작동버튼(310)을 누를때 상기 배터리(B)의 전원이 상기 구동모터(110)에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수단(100)의 좌측에는 전진바퀴(200)가 구비되며, 이러한 전진바퀴(20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라켓(41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전진바퀴(200)와 작동바퀴(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형태와 크기를 가지도록 쌍으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소정 외경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전진바퀴(200)와 작동바퀴(210)의 표면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외측으로 돌출된 엠보싱(embossing)이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전진바퀴(200)와 작동바퀴(210)은 고무 재질과 같은 탄성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상기 전진바퀴(200)와 작동바퀴(210)의 표면만이라도 탄성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는 지면이나 차량의 바퀴와 접하는 전진바퀴(200)와 작동바퀴(210)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전진바퀴(200)와 작동바퀴(210)의 중앙부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중앙홈(220)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홈(220)에는 상기 구동웜(120)과 대응되는 구동웜기어(230)가 성형된다.
상기 구동웜기어(230)는 표면이 중앙으로 갈수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구동웜(120)의 외면에 형성된 기어와 대응되는 이(齒)가 형성된다. 즉,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웜(120)과 구동웜기어(230)는 구동웜(120)의 회전 중심축과 구동웜기어(230)의 회전 중심이 되는 전진축(202) 및 작동축(212)이 서로 직교하는 기어 전동장치(傳動裝置) 역할을 하므로, 상기 구동웜기어(230)는 이(齒) 홈의 중앙이 오목하게 되어 상기 구동웜(120)과 맞물리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구동웜(120)과 구동웜기어(23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웜과 웜 기어(worm and worm gear) 타입으로 이루어져 전동장치(傳動裝置) 기능을 하게 되므로, 큰 감속비(減速比)를 얻을 수 있게 되고 역전(逆轉)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110)에서 생성된 회전력이 큰 감속비로 감속되는 감속기 역할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큰 힘을 얻게 되어 손쉽게 차량의 바퀴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전진바퀴(200)는 상대적으로 상기 작동바퀴(210)보다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수단(100)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여 지면 위를 구르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전진바퀴(200)의 하단은 지면과 접하여 회전함으로써 전진(좌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작동바퀴(210)는 상기 전진바퀴(200)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수단(100)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여 아래에서 설명할 차량바퀴(T)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작동바퀴(210)는 차량의 차량바퀴(T)와 접하여 차량이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강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주차차량의 자동 이동장치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가 차량의 바퀴를 회전시키는 상태를 보인 작동 상태도이다.
먼저 도 6과 같이 이중주차된 차량의 차량바퀴(T)에 본 발명에 의한 주차차량의 자동 이동장치를 근접시킨다. 이때 상기 차량바퀴(T)는 자동차의 앞바퀴나 뒷바퀴 중 어느 바퀴라도 무관하며, 차량을 전방으로 전진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뒷바퀴를 구동시키고, 반대로 차량을 후진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차량의 앞바퀴를 구동시키도록 근접시키면 된다.
도 6과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손잡이(300)를 잡은 상태에서 본 발명에 의한 주차차량의 자동 이동장치를 근접시키면, 상기 전진바퀴(200)는 지면에 닿게 되고, 상기 작동바퀴(210)는 차량의 차량바퀴(T)에 닿게 된다.
다음으로는, 사용자는 엄지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상기 작동버튼(310)을 누른다. 이렇게 되면, 상기 배터리(B)의 전원이 상기 구동수단(100)을 구성하는 구동모터(110)에 전달되고, 구동모터(110)에서 생성된 회전력은 상기 모터축(112)을 통해 상기 구동웜(120)에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웜(120)은 상기 전진바퀴(200)와 작동바퀴(210)에 형성된 구동웜기어(230)에 맞물려 있으므로 구동웜(1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전진바퀴(200)와 작동바퀴(210)가 동시에 회전한다.
물론 이때 상기 전진바퀴(200)와 작동바퀴(210)는 서로 회전방향이 반대가 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진바퀴(20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반면, 상기 작동바퀴(21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바퀴(210)와 접하는 차량바퀴(T)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주차차량의 자동 이동장치는 좌측으로 계속 이동하게 되고, 차량도 차량바퀴(T)의 회전에 따라 좌측으로 계속 이동하게 된다.
그러다가, 차량의 이동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작동버튼(310)으로부터 손가락을 제거한다. 이렇게 되면, 자동으로 상기 구동수단(100)으로 제공되는 배터리(B)의 전원이 차단되므로 차량의 이동이 정지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에에서는 상기 배터리(B)가 상기 케이스(400)의 하단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배터리(B)의 위치는 다른 장소에 구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100. 구동수단 110. 구동모터
120. 구동웜 200. 전진바퀴
210. 작동바퀴 220. 중앙홈
230. 구동웜기어 300. 손잡이
310. 작동버튼 400. 케이스
410. 고정브라켓 B. 배터리
T. 차량바퀴

Claims (5)

  1. 배터리(B)와, 상기 배터리(B)의 일측에 구비되며 배터리(B)의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생성하는 구동수단(100)과, 상기 구동수단(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구동수단(100)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여 지면 위를 구르는 전진바퀴(200)와, 상기 전진바퀴(2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수단(100)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여 차량바퀴(T)를 회전시키는 작동바퀴(210)와,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3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B)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수단(100)에 제공하는 작동버튼(310)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수단(100)은,
    상기 배터리(B)의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생성하는 구동모터(110)와, 상기 구동모터(1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모터(110)의 모터축(112)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전진바퀴(200)와 작동바퀴(21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구동웜(12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상기 전진바퀴(200)와 작동바퀴(210)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중앙부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중앙홈(220)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홈(220)에는 상기 구동웜(120)과 대응되는 구동웜기어(230)가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차량의 자동 이동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진바퀴(200)와 작동바퀴(210)의 표면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외측으로 돌출된 엠보싱(embossing)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차량의 자동 이동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110)의 외측에는 구동모터(110)를 감싸는 케이스(400)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400)의 일측에는 상기 전진바퀴(200)와 작동바퀴(21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고정브라켓(410)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400)와 상기 손잡이(300) 사이에는 제어봉(42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차량의 자동 이동장치.
KR1020180056362A 2018-05-17 2018-05-17 주차차량의 자동 이동장치 KR101933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362A KR101933021B1 (ko) 2018-05-17 2018-05-17 주차차량의 자동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362A KR101933021B1 (ko) 2018-05-17 2018-05-17 주차차량의 자동 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3021B1 true KR101933021B1 (ko) 2018-12-28

Family

ID=65008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362A KR101933021B1 (ko) 2018-05-17 2018-05-17 주차차량의 자동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0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203B1 (ko) * 2021-03-23 2021-07-26 이호섭 주차 차량용 전동식 무버
KR102442703B1 (ko) * 2021-03-15 2022-09-08 박준규 주차차량 이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2703B1 (ko) * 2021-03-15 2022-09-08 박준규 주차차량 이동장치
KR102282203B1 (ko) * 2021-03-23 2021-07-26 이호섭 주차 차량용 전동식 무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3021B1 (ko) 주차차량의 자동 이동장치
JP5266237B2 (ja) 可動家具部の駆動装置
US9989113B2 (en) Electronic parking brake
KR101055971B1 (ko) 전기 주차브레이크
US20130299288A1 (en) Electronic disc brake
CN104981633A (zh) 交通工具变速范围转换装置
BRPI1101093A2 (pt) ferramenta elétrica
JP4568447B2 (ja) シフト変速装置
KR101203054B1 (ko) 휴대용 자동차 강제 이동장치
US2943418A (en) Reversing mechanism for toy cars
KR20140145786A (ko) 주차 차량 이동장치
JP6249339B2 (ja) ゼンマイ式走行玩具
JP3198069U (ja) 電気自動車の双方向スライド装置
KR102166793B1 (ko) 차동 잠금 장치를 구비한 농업용 전기차
KR101456679B1 (ko) 이중주차 차량용 이동장치
KR101540593B1 (ko) 주차 차량 이동장치
CN201301937Y (zh) 一种车辆变速机构
KR101606137B1 (ko) 주차 차량 이동장치
KR101785808B1 (ko) 동력에너지를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
KR101760689B1 (ko) 휴대용 차량 강제 이송장치
KR100312914B1 (ko) 자동차의 최소 회전반경 작동장치
JPS6039961B2 (ja) 手動電動兼用巻尺装置
KR101399164B1 (ko) 허브 내장형 변속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휠체어 바퀴
JP3131093U (ja) 改良された巻尺
KR102401770B1 (ko) 전자기계식 브레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