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5808B1 - 동력에너지를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 - Google Patents

동력에너지를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5808B1
KR101785808B1 KR1020150178516A KR20150178516A KR101785808B1 KR 101785808 B1 KR101785808 B1 KR 101785808B1 KR 1020150178516 A KR1020150178516 A KR 1020150178516A KR 20150178516 A KR20150178516 A KR 20150178516A KR 101785808 B1 KR101785808 B1 KR 101785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front frame
power
gear portion
pe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8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0690A (ko
Inventor
김장석
이샘
Original Assignee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78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5808B1/ko
Publication of KR20170070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0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62K15/008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foldable about 2 or more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1/0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2Handlebars; Handlebar 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8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23/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other elements; Other transmissions
    • B62M23/02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other elements; Other 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wo or more dissimilar sources of power, e.g. transmissions for hybrid motor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4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80Accessories, e.g. power sources; Arrangements thereof
    • B62M6/90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 B62M9/06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using a single chain, belt, or the like
    • B62J2099/00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력에너지를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보관 및 이동성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페달의 동력 전달을 통해 동력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동력에너지를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동력에너지를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FOLDING BIKE WITH POWER ENERGY}
본 발명은 동력에너지를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보관 및 이동성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페달의 동력 전달을 통해 동력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동력에너지를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친환경적인 이동수단의 하나로써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운동 또는 취미용으로 널리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자전거는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자전거의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접이식 구조로 이루어진 자전거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접는 방식이 불편하고 접은 후의 크기가 크고 이동 및 휴대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자전거는 페달의 동력을 전달하여 사용하고 있어 오르막길, 장기간 사용시 탑승자의 힘이 많이 들어가 편의를 위해 동력을 통해 구동되는 자전거가 제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 제시된 기술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73836호 "접이식 자전거"가 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종래에 제시된 기술은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접이 되나, 접은 후에 앞바퀴와 뒷바퀴의 회전각이 상이하여 용이하게 이동할 수 없으며, 페달을 통해 전기적으로 작동하여 구동계통에 문제가 발생시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펼쳐진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주행이 가능하며, 자전거를 편리하게 접이 하여 접이 된 상태에서의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한 동력에너지를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 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바퀴의 이동방향으로 이동하여 편리하게 접이 가능하며, 손잡이 및 안장 등의 불필요하게 돌출된 부분을 용이하게 정리하여,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동력에너지를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페달을 통해 전달되는 동력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저장하여 전기자건거로 사용하며, 에너지의 충전량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동력에너지를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앞바퀴와 핸들부가 장착되는 프런트 프레임; 페달 및 상기 페달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뒷바퀴와 안장이 장착되며, 일측 상단에 형성된 힌지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프런트 프레임과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되, 내측에는 상기 프런트 프레임의 일부가 삽입되는 절개부가 형성된 리어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리어 프레임에는 상기 페달의 회전시 발생하는 동력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의 전기 에너지를 통해 동작하는 동력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어 프레임은 상기 페달과 같이 회전하는 제 1기어부와, 상기 제 1기어부와 제 1연동수단을 통해 이동방향에 맞게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뒷바퀴(210)를 회전시키는 제 1주동기어와, 상기 제 1주동기어와 같이 회전하는 제 1중동기어로 이루어진 제 2기어부와, 상기 제 2기어부에서 동력을 전달받는 제 2주동기어와 상기 제 2주동기어와 같이 회전하는 제 2중동기어로 이루어진 제 3기어부 및, 상기 제 3기어부와 제 2연동수단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 4기어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전기 및 상기 동력부는 상기 제 4기어부에 형성된 회전축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 4기어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핸들부(130)는 상기 프런트 프레임(100)의 내부로 삽입되는 핸들바(131)와, 휴대기기를 고정할 수 있는 거치대(132a)가 형성된 핸들(132)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프런트 프레임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에너지를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에 따르면, 펼쳐진 상태에서 프런트 프레임과 리어 프레임은 바퀴는 힌지 플레이트를 중심으로 이동하여 프런트 프레임이 상기 리어 프레임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편리하게 접이 가능하고 접이 된 상태에서 프런트 프레임을 이동하여 용이하게 펼칠 수 있으며, 핸들바 및 안장을 개별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이 된 상태에서 바퀴를 통해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프런트 프레임이 리어 프레임 내부로 삽입되어 깔끔하게 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프런트 프레임과 리어 프레임이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도록 힌지 플레이트의 측면에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접이 된 상태 및 펼처진 상태에서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이루어진 배터리를 외부충전 및 페달을 통해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저장하여 저장된 에너지를 이용해 전기자전거로 사용할 수 있으며, 핸들바에 전기를 공급 및 공급받아 휴대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에너지를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 플레이트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박판의 변형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 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동력부의 구동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에너지를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에너지를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 플레이트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박판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 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동력부의 구동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동력에너지를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보관 및 이동성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페달의 동력 전달을 통해 동력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동력에너지를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자전거를 조향할 수 있는 앞바퀴 및 핸들이 장착되어 접이 되는 프런트 프레임(100)과, 상기 프런트 프레임(100)을 회동시키는 힌지 플레이트에 의해 내측으로 삽입되는 리어 프레임(2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런트 프레임(100)은 상기 앞바퀴(120)와 상기 핸들부(130)가 장착되며, 상기 힌지 플레이트(220)에 결합된다.
여기서 프런트 프레임(100)을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핸들부(130)를 통해 앞바퀴(120)를 장착되는 이동부(110)와, 일측이 상기 이동부(110)와 좌/우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타측이 상기 힌지 플레이트(220)에 결합되는 힌지결합부(150)가 형성된 고정부(140)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이동부(110)의 일측은 상기 앞바퀴(12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고정부(1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핸들부(130)를 좌/우 조작하여 자전거의 조향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부(130)는 상기 프런트 프레임(100)의 내부로 삽입되는 핸들바(131)와, 거치대(132a)가 형성된 핸들(132)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런트 프레임(100)임 또는 상기 핸들바(130)에는 상기 핸들바(131)의 삽입 및 고정을 조작할 수 있는 고정스위치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고정버튼을 통해 상기 핸들바(131)를 상기 프런트 프레임(100)의 내부로 삽입 또는 사용자의 높이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거치대(132a)에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기기를 거치할 수 있다.
상기 리어 프레임(200)은 상기 페달(211)과, 상기 페달(211)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뒷바퀴(210) 및 안장(230)이 장착되며, 상기 프런트 프레임(10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 플레이트(220)와 상기 프런트 프레임(100)이 일부가 삽입되는 절개부(240)가 형성된다.
즉, 상기 리어 프레임(200)의 일측에 상기 힌지 플레이트(220)가 형성되고 타측에 뒷바퀴(210)가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안장(230)이 장착되며 내측으로 상기 힌지 플레이트(220)를 통해 접이 되는 상기 프런트 프레임(100)의 일부가 삽입되는 절개부(240)가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힌지 플레이트(220)에는 상기 힌지결합부(150)가 결합되어 상기 프런프 프레임(100)을 상기 절개부(240)로 삽입되도록 회동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리어 프레임(200)의 양측에 상기 뒷바퀴(210)의 회전을 전달하는 상기 페달(211)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리어 프레임(200)은 상기 페달(211)과 같이 회전하는 제 1기어부(212)와, 상기 제 1기어부(212)와 제 1연동수단(212a)을 통해 이동방향에 맞게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뒷바퀴(210)를 회전시키는 제 1주동기어(213a)와, 상기 제 1주동기어(213a)와 같이 회전하는 제 1중동기어(213b)로 이루어진 제 2기어부(213)와, 상기 제 2기어부(213)에서 동력을 전달받는 제 2주동기어(214a)와 상기 제 2주동기어(214a)와 같이 회전하는 제 2중동기어(214b)로 이루어진 제 3기어부(214) 및, 상기 제 3기어부(214)와 제 2연동수단(216)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 4기어부(215)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 2 및 제 3기어부(213, 214)를 살펴보면, 상기 제 2 및 제 3기어부(213, 214)에는 동력을 전달받는 제 1 및 2주동기어(213a, 214a)와 상기 제 1 및 제 2주동기어(213a, 214a)를 통해 전달받은 동력을 외부로 전달하는 제 1 및 제 2중동기어(213b, 214b)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주동기어(213a, 214a)와 상기 제 1 및 제 2중동기어(213b, 214b) 동일하게 회전을 전달할 수 있도록 축 결합, 용접 등의 다양한 구성을 통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연동수단(212a, 216)은 제 1, 2, 3, 4 기어부(212, 213, 214, 215)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을 때, 체인, 기어, 벨트 등을 통해 동일하게 회전이 전달되며, 회전방향을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기어부(212, 213)는 상기 페달(211)의 회전방향에 의해 상기 뒷바퀴가 전진할 수 있도록 체인을 통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며, 이는 선택에 따라 기어, 벨트 등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4기어부(215)는 좌/우측의 상기 페달(211)을 통해 전달받은 동력을 제 2연동수단(216)을 통해 동력은 전달할 수 있도록 회전축(215a)을 통해 결합되어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는 좌/우측의 상기 페달(211)에서 각각 제 1, 2, 3 기어부(212, 213, 214)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을 상기 제 4기어부(215)에서 각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제동장치(미도시)는 일반적인 자전거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앞바퀴 및 상기 뒷바퀴의 각 바퀴 부분을 압박하여 제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리어 프레임(200)에는 상기 페달(211)의 회전시 발생하는 동력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기(310)와 상기 발전기(310)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300) 및 상기 배터리(300)의 전기 에너지를 통해 동작하는 동력부(3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발전기(310) 및 상기 동력부(320)는 상기 제 4기어부(215)와 상기 회전축(215a)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제 4기어부(215)가 회전할 때 발생하는 동력을 전달받거나,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동력부(320)를 on/off 하여 작동을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핸들바(131)에 작동스위치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배터리(300)는 상기 리어 프레임(200)의 내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외부에서 충전이 가능하며, 상기 힌지 플레이트(220)의 측면에 상기 배터리(300)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바(221)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배터리(300)는 상기 거치대(132a)와 연결되어 상기 거치대(132a)에 장착된 휴대기기와 연동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충전은 상기 배터리(300)의 에너지를 이용해 휴대기기를 충전한 수 있으며, 상기 휴대기기의 전력을 통해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상호 편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 플레이트(220)의 측면에는 상기 프런트 프레임(100)의 고정시키는 고정수단(250)이 더 형성된다.
상기 고정수단(250)은 상기 힌지 플레이트(220)의 내부에서 상기 힌지결합부(150)를 압박하는 압박판(251)과, 상기 압박판(251)에 연결되어 외부로 돌출된 고정축(253)과, 상기 힌지 플레이트(220)의 외부에서 상기 고정축(253)을 회전 및 고정하는 손잡이(255) 및 상기 고정축(253)의 회전에 따라 상기 힌지 플레이트(220)의 내부에서 상기 압박판(251)을 압박시키는 압박수단(254)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압박수단(254)은 상기 압박판(251)에 고정되는 제 1압박부재(254a)와 상기 고정축(253)에 고정되는 제 2압박부재(254b)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압박부재(254a) 및 상기 제 2압박부재(254b)는 상호 맞다는 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축(253)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2압박부재(254b)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 1압박부재(254a)를 압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압박수단(254)은 회전을 통해 경사면에 압력이 가해서 상호 외측으로 밀어내는 힘을 통해 상기 힌지 플레이트(220)의 내측면에서 상기 압박판(251)을 밀어내서 상기 압박판(251)이 상기 힌지결합부(150)를 압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압박판(251)은 상기 힌지결합부(150)에 접촉하여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판(252)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고무판(252)은 상기 힌지결합부(150)가 상기 압박판(251)에 압박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손잡이(255)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무판(252)은 상기 힌지결합부(150)에 압박되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돌기(252a) 또는 캠(252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힌지결합부(150)에는 상기 돌기(252a) 또는 상기 캠(252b)과 대응되도록 결합되어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무판이 형성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프런트 프레임(100)과 상기 리어 프레임(200)은 상기 힌지 플레이트(220)를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접이 되며, 상기 고정수단(250)을 통해 일정한 위치에서 고정하여 임의로 접이 및 펼쳐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힌지 플레이트(220)에 형성되어 상기 프런트 프레임(100)의 회전 각도를 제안하는 각도조절부(260)가 더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각도조절부(260)는 상기 프런트 프레임(100)이 접이 또는 펼쳐질 때 회전 하는 각도를 제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각도조절부(260)는 상기 힌지 플레이트(220)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프런트 프레임(100)이 회전을 억제할 수 있도록 걸림판(26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힌지 플레이트(220) 내부에 돌출부(262)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결합부(150)에는 상기 돌출부(262)가 삽입되어 일정각도에서 회동할 수 있는 장홈(26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262) 및 상기 장홈(263)은 서로 대응하는 구성으로 선택에 따라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장홈(263)의 회전반경 안에서 상기 돌출부(262)가 이동하여 회전을 제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프런트 프레임(100)의 임의로 펼쳐 저도 일정 각도를 유지하여 자전거를 사용할 수 있어 자전거가 임의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 방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 플레이트(220)의 측면의 상기 고정수단(250)을 조작하여 상기 힌지 플레이트(220)가 회동 가능하게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 프레임(100)을 상기 리어 프레임(200)의 상기 절개부(240) 내부로 회동하여 삽입시킨 후 상기 고정수단(250)을 조작하여 상기 프런트 프레임(100)이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핸들부(130) 및 상기 안장(230)을 내측으로 삽입시켜 깔끔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렇게 접이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수단(250)을 조작하여 상기 힌지 플레이트(220)의 회동을 통해 펼쳐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이된 상태에서 핸들바(131)를 통해 이동이 용이하며, 안장 및 핸들바를 내측으로 삽입시켜 보관이 용이하도록 외형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시에는 간편한 동작으로 통해 자전거로 변경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상기 안장(230) 및 상기 핸드바(131)는 사용자의 신체에 맞춰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페달(211)을 통해 발생한 에너지를 저장하여 전동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 제 4기어부(215)를 통해 동력을 전달하며, 상기 페달(211)을 통해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를 상기 제 4기어부(215)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300)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배터리(300)는 외부에서 충전이 가능하며, 상기 핸들바(131)와 연결되어 휴대기기 등을 충전하거나 충전 받을 수 있으며, 충전된 상기 배터리(300)는 상기 표시바(221)를 통해 자전거의 측면에서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충전된 상기 배터리(300)는 상기 동력부(320)에 에너지를 공급하며, 공급된 에너지를 통해 상기 동력부(320)의 on/off를 상기 작동스위치를 통해 조작하여 사용한다.
아울러 전원스위치는 탑승 중 사용이 용이한 핸들바(131)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프런트 프레임 110: 이동부 120: 앞바퀴
130: 핸들부 131: 핸들바
132: 핸들 132a: 거치대
140: 고정부 150: 힌지결합부
200: 리어 프레임 210: 뒷바퀴 211: 페달
212: 제 1기어부 212a: 제 1연동수단
213: 제 2기어부 213a: 제 1주동기어
213b: 제 1중동기어 214: 제 3기어부
214a: 제 2주동기어 214a: 제 2중동기어
215: 제 4기어부 215a: 회전축
216: 제 2연동수단 220: 힌지 플레이트
221: 표시바 230: 안장
240: 절개부 250: 고정수단
251: 압박판 252: 고무판
252a: 돌기 252b: 캠
253: 고정축 254: 압박수단
254a: 제 1압박부재 254b: 제 2압박부재
255: 손잡이 260: 각도조절부
261: 걸림판 262: 돌출부
263: 장홈
300: 배터리 310: 발전기 320: 동력부

Claims (5)

  1. 앞바퀴(120)와 핸들부(130)가 장착되는 프런트 프레임(100);
    페달(211) 및 상기 페달(211)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뒷바퀴(210)와 안장(230)이 장착되며, 일측 상단에 형성된 힌지 플레이트(220)를 통해 상기 프런트 프레임(100)과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되, 내측에는 상기 프런트 프레임(100)의 일부가 삽입되는 절개부(240)가 형성된 리어 프레임(200);으로 이루어지 되,
    상기 리어 프레임(200)은 상기 페달(211)의 회전시 발생하는 동력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기(310)와 상기 발전기(310)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300) 및 상기 배터리(300)의 전기 에너지를 통해 동작하는 동력부(320)로 이루어지며,
    상기 리어 프레임(200)은 상기 페달(211)과 같이 회전하는 제 1기어부(212)와, 상기 제 1기어부(212)와 제 1연동수단(212a)을 통해 이동방향에 맞게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뒷바퀴(210)를 회전시키는 제 1주동기어(213a)와, 상기 제 1주동기어(213a)와 같이 회전하는 제 1중동기어(213b)로 이루어진 제 2기어부(213)와, 상기 제 2기어부(213)에서 동력을 전달받는 제 2주동기어(214a)와 상기 제 2주동기어(214a)와 같이 회전하는 제 2중동기어(214b)로 이루어진 제 3기어부(214) 및, 상기 제 3기어부(214)와 제 2연동수단(216)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 4기어부(215)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전기(310) 및 상기 동력부(320)는 상기 제 4기어부(215)에 형성된 회전축(215a)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 4기어부(215)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에너지를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130)는 상기 프런트 프레임(100)의 내부로 삽입되는 핸들바(131)와, 휴대기기를 고정할 수 있는 거치대(132a)가 형성된 핸들(13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에너지를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플레이트(220)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프런트 프레임(100)을 고정하는 고정수단(25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에너지를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

KR1020150178516A 2015-12-14 2015-12-14 동력에너지를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 KR101785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516A KR101785808B1 (ko) 2015-12-14 2015-12-14 동력에너지를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516A KR101785808B1 (ko) 2015-12-14 2015-12-14 동력에너지를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0690A KR20170070690A (ko) 2017-06-22
KR101785808B1 true KR101785808B1 (ko) 2017-10-17

Family

ID=59282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8516A KR101785808B1 (ko) 2015-12-14 2015-12-14 동력에너지를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58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629B1 (ko) * 2020-12-21 2022-04-08 주식회사 이엠이코리아 접이식 전기자전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0985A (ja) * 2002-04-30 2003-11-11 Konno Yuki 自転車
JP2010018173A (ja) * 2008-07-11 2010-01-28 Atsushi Kajikawa X型フレームの三輪折りたたみ自転車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0985A (ja) * 2002-04-30 2003-11-11 Konno Yuki 自転車
JP2010018173A (ja) * 2008-07-11 2010-01-28 Atsushi Kajikawa X型フレームの三輪折りたたみ自転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0690A (ko) 2017-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43553B (zh) 电动滑板车
US20140014385A1 (en) Power tool
KR101715293B1 (ko) 휠체어 구동보조장치
CN104859770A (zh) 可变形的自平衡电动两轮车
EP2759465A1 (en) Battery assembly and human-powered vehicle having the same
KR20110103521A (ko) 조향과 동시에 틸팅되는 역삼륜 자전거
KR101785808B1 (ko) 동력에너지를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
JP2009083774A (ja) 電動歩行カート
CN101837196B (zh) 惯性行走的玩具车及其用于发射玩具车的发射器
KR101658802B1 (ko) 접이식 적재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동 캐리어
KR101779257B1 (ko) 자가발전형 구동륜
KR101176476B1 (ko) 전기자전거 키트
KR100919591B1 (ko) 복합 자전거
KR101207770B1 (ko) 자전거용 충전장치
KR100942912B1 (ko) 손잡이부의 전후이동에 의해 조향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노젓기식 삼륜 자전거
KR101933021B1 (ko) 주차차량의 자동 이동장치
KR101643912B1 (ko) 가속기를 구비한 자가발전 무체인 자전거
CN201849598U (zh) 可折迭的轻巧电动车
CN101934828B (zh) 一种以人体步动力与电动力结合的健身储能车
KR101583158B1 (ko) 전동 휠체어 겸용 보행 보조기의 구동장치
KR101080749B1 (ko) 하이브리드 자전거
JP2016203689A (ja) カモフラージュ外装処理を施したバッテリー装置並びにこれを具えた電動アシスト自転車
JP2021102425A (ja) 電動自転車動力装置
KR102279636B1 (ko) 크랭크 암의 길이 연장 기능을 하는 페달 및 이를 포함하는 주행장치
CN110125987A (zh) 电剪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