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3629B1 - 접이식 전기자전거 - Google Patents

접이식 전기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3629B1
KR102383629B1 KR1020200180115A KR20200180115A KR102383629B1 KR 102383629 B1 KR102383629 B1 KR 102383629B1 KR 1020200180115 A KR1020200180115 A KR 1020200180115A KR 20200180115 A KR20200180115 A KR 20200180115A KR 102383629 B1 KR102383629 B1 KR 102383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upper frame
folding
body part
low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식
김덕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이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180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6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62K15/008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foldable about 2 or more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3/00Arrangements of batteries
    • B62J43/10Arrangements of batteries for propulsion
    • B62J43/13Arrangements of batteries for propulsion on rider-propelled cycles with additional electric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30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 B62K19/40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for attaching accessories, e.g. article carriers,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2Frames
    • B62K3/04Frames having a substantially horizontal top b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80Accessories, e.g. power sources; Arrangements thereof
    • B62M6/90Batt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3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parallel relations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전기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정적으로 폴딩이 가능한 접이식 전기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프레임(110)과,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전방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조향부(120)와, 상기 조향부(120)의 하측에 지지되는 전륜부(130)를 포함하는 제1바디부(100)와;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프레임(210)과, 상기 하부프레임(210)에 구비되는 발받침부(220)와, 상기 하부프레임(210)의 후방에 결합되는 후륜부(230)를 포함하는 제2바디부(200)와; 상기 제1바디부(100)와 상기 제2바디부(200)가 상대회전을 통해 폴딩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110)과 상기 하부프레임(210) 사이에 구비되는 폴딩회전부(300)와; 상기 상부프레임(110)을 관통하여 상기 제2바디부(200)와 간섭하여 상기 제1바디부(100)와 상기 제2바디부(200) 사이의 상대회전을 고정하는 시트부(400)를 포함하는 접이식 전기자전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접이식 전기자전거{Folding type electric bicycles}
본 발명은 접이식 전기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정적으로 폴딩이 가능한 접이식 전기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문제가 대두되면서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교통수단 대신에 오염물질을 전혀 배출하지 않는 자전거를 사용하는 움직임이 점차 확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자전거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자전거의 긍정적인 측면에도 불구하고, 급격한 도시화 및 인구집중으로 인하여 주거형태가 아파트와 같은 집단주거형태로 변화하면서 협소한 주거공간으로 인하여 자전거의 보관이 점차 어려워졌다.
또한, 지하철, 버스, 기차 등과 같은 대중교통의 거점지에서 실제 목적지까지를 수송하기 위한 목적으로의 자전거의 필요성에 따라 그 휴대성 및 운반성의 향상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차량의 트렁크, 엘리베이터 및 휴대용에 용이하게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는 접이식 전기자전거가 출시되어 자전거의 휴대성을 일부 개선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접이식 전기자전거는, 프레임을 반으로 접는 방식인 바, 부피를 축소하는데 한계가 있어 지하철, 버스, 기차 내에서 휴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접이식 전기자전거는, 폴딩된 상태에서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아 폴딩이 해제되거나, 접어진 프레임이 벌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접이식 전기자전거는, 배터리의 장착이 필수적인 요소인 바, 폴딩을 통해 부피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으며, 배터리 및 내부 배선이 안정적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폴딩이 수행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성이 강화되고 운반이 용이한 접이식 전기자전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부프레임(110)과,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전방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조향부(120)와, 상기 조향부(120)의 하측에 지지되는 전륜부(130)를 포함하는 제1바디부(100)와;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프레임(210)과, 상기 하부프레임(210)에 구비되는 발받침부(220)와, 상기 하부프레임(210)의 후방에 결합되는 후륜부(230)를 포함하는 제2바디부(200)와; 상기 제1바디부(100)와 상기 제2바디부(200)가 상대회전을 통해 폴딩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110)과 상기 하부프레임(210) 사이에 구비되는 폴딩회전부(300)와; 상기 상부프레임(110)을 관통하여 상기 제2바디부(200)와 간섭하여 상기 제1바디부(100)와 상기 제2바디부(200) 사이의 상대회전을 고정하는 시트부(400)를 포함하는 접이식 전기자전거를 개시한다.
상기 폴딩회전부(300)는,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저면 또는 상기 하부프레임(210)의 상면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폴딩회전축(310)과; 상기 상부프레임(110) 또는 상기 하부프레임(210)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폴딩회전축(310)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폴딩회전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210)은, 측면 상 중심이 개방되는 개방구(211)가 형성되며, 상기 제2바디부(200)는, 상기 개방구(211)에 설치되어 상기 전륜부(130) 또는 상기 후륜부(23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부(240)는, 상기 개방구(211) 중 적어도 일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210)에 구비되는 배터리프레임(241)과, 상기 배터리프레임(241)에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배터리(2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부(400)는, 시트(410)와, 상기 시트(410)의 하측에 구비되는 시트포스트(420)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포스트(420)는, 상기 상부프레임(110)을 관통하여 하부프레임(210)에 간섭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210)은, 상디 제2바디부(200)의 회전 전, 후의 상기 시트포스트(420)의 설치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전방관통홀(215)과 후방관통홀(2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프레임(241)은, 상기 제2바디부(200)의 회전 전, 상기 시트포스트(420)가 삽입되는 후방관통홀(216)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삽입구(2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210)은, 평면 상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끝단보다 후방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프레임(11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프레임(210)과 간섭 및 간섭 해제를 통해 상기 제2바디부(200)의 회전을 방지하고 고정하는 고정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500)는, 상기 상부프레임(110)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선형이동을 통해 상기 제2바디부(200)와 간섭 및 간섭 해제되는 삽입로드(510)와; 상기 삽입로드(510)와 상기 상부프레임(11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로드(510)가 상기 제2바디부(200)와 간섭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로드(510)는, 상기 제2바디부(200)의 회전에 따라 각각 상기 전방관통홀(215)과 상기 후방관통홀(216)에 삽입되어 간섭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부(200)는, 상기 하부프레임(210)의 전방 측에 구비되는 손잡이부(2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전기자전거는, 폴딩이 간편하면서도 용이하여 폴딩된 상태에서의 신뢰성이 강화되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전기자전거는, 폴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폴딩 이후에 휴대하거나 운반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전기자전거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폴딩이 가능하며, 폴딩된 상태에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전기자전거는, 전기자전거로서 배터리 등 부피가 증가하고 용량이 큰 요소에도 폴딩을 통해 부피를 축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전기자전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접이식 전기자전거의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접이식 전기자전거의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접이식 전기자전거 중 록킹부(600)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3에 따른 접이식 전기자전거의 록킹 전후의 모습을 보여주는 Ⅴ-Ⅴ 방향 단면도들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접이식 전기자전거 중 고정부의 간섭 전후의 모습을 보여주는 Ⅵ-Ⅵ 방향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도 1에 따른 접이식 전기자전거의 폴딩된 상태의 전륜부 및 후륜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전기자전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전기자전거는, 상부프레임(110)과,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전방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조향부(120)와, 상기 조향부(120)의 하측에 지지되는 전륜부(130)를 포함하는 제1바디부(100)와;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프레임(210)과, 상기 하부프레임(210)에 구비되는 발받침부(220)와, 상기 하부프레임(210)의 후방에 결합되는 후륜부(230)를 포함하는 제2바디부(200)와; 상기 제1바디부(100)와 상기 제2바디부(200)가 상대회전을 통해 폴딩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110)과 상기 하부프레임(210) 사이에 구비되는 폴딩회전부(300)와; 상기 상부프레임(110)을 관통하여 상기 제2바디부(200)와 간섭하여 상기 제1바디부(100)와 상기 제2바디부(200) 사이의 상대회전을 고정하는 시트부(4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전기자전거는, 상기 상부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프레임(210)과 간섭 및 간섭 해제를 통해 상기 제2바디부(200)의 회전을 방지하고 고정하는 고정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전기자전거는, 제1바디부(100) 및 제2바디부(20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폴딩회전부(300)의 회전을 제한하는 록킹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부(100)는, 접이식 전기자전거의 일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후술하는 제2바디부(200)와 상대회전을 통해 폴딩 및 폴딩해제가 가능한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바디부(100)는, 상부프레임(110)과, 상부프레임(110)의 전방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조향부(120)와, 조향부(120)의 하측에 지지되는 전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향부(120)는, 상부프레임(110)의 전방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조향부(120)는, 상부프레임(110)의 전방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전방프레임(122)과, 전방프레임(122)의 상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종을 통해 방향을 결정하는 핸들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향부(120)는, 핸들부(121)에 구비되어 각종 운동정보 및 배터리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방프레임(122)에 설치되는 조명 및 전방프레임(122)의 상측으로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레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륜부(130)는, 조향부(120)의 하측에 지지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전륜부(130)는, 상부프레임(110)을 관통하는 전방프레임(122)의 하측에서 상부프레임(110)과 결합하는 전륜프레임(132)과, 전륜프레임(132)에 결합하는 전륜(13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륜부(130)는, 전륜(131)을 회전하는 전륜축에 후술하는 후륜부(230)와 결합하기 위한 전륜자석(1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륜프레임(132)은, 상부프레임(110)을 관통하는 전방프레임(122)의 하측에서 상부프레임(110)과 결합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륜프레임(13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륜(131)을 기준으로 일측에서 일단이 전륜축에 결합하고 타단이 전방프레임(122)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110)은, 전방에 조향부(120) 및 전륜부(130)가 설치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프레임(110)은, 수평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시트부(400)가 관통하여 설치되도록 시트삽입홀이 후방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110)은, 후술하는 고정부(500)가 설치되기 위한 고정부설치홀(111)이 전방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프레임(110)은, 시트부(400)가 관통하여 설치되기 위한 시트삽입홀과 고정부(500)가 설치되기 위한 고정부설치홀(111)이 전술한 폴딩회전부(300)를 중심으로 점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110)은, 외측면에 후술하는 록킹부(600)가 고정되기 위한 측면홈(113)과, 고정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프레임(110)은, 후술하는 록킹부(600)의 개수 및 위치에 대응되어 측면홈(113)과 고정홈(114)이 각각 전방 및 후방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양방향 외측면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부(200)는, 제1바디부(100)에 대하여 하측 및 후방측에 구비되어, 접이식 전기자전거를 이루는 일부분으로서, 전술한 제1바디부(100)와의 상대회전을 통해 폴딩 및 폴딩 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바디부(200)는, 상부프레임(110)의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프레임(210)과, 하부프레임(210)에 구비되는 발받침부(220)와, 하부프레임(210)의 후방에 결합되는 후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바디부(200)는, 상기 하부프레임(210)에 설치되어 전륜부(130) 또는 후륜부(23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바디부(200)는, 하부프레임(210)의 전방 측에 구비되는 손잡이부(2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받침부(220)는, 하부프레임(210)에 구비되며, 후륜부(230)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페달회전을 후륜부(230)에 전달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상기 발받침부(220)는, 별도의 구동원을 통해 구동하는 후륜부(230) 및 전륜부(130)에 따라 단순히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후륜부(230)는, 하부프레임(210)의 후방에 결합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후륜부(230)는, 하부프레임(210) 중 후술하는 하부경사프레임(213)과 하부하측수평프레임(214)의 결합지점인 모서리에서 후륜축이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륜부(230)는, 회전가능한 후륜(231)과 후륜회전축에 구비되는 후륜자석(232)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후륜부(230)는, 후륜(231)을 기준으로 일측에서 하부프레임(210)과 결합하는 바, 폴딩 시에 전륜(131)과 후륜(231)이 인접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전륜자석(133)과 후륜자석(232)이 자기력을 이용해 접합하여 전륜(131) 및 후륜(231)을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후륜부(230)는, 하부프레임(210)과 일측에서 결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륜프레임(132)이 전방프레임(122)에 결합되는 방향과 동일한 일측에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250)는, 후술하는 하부프레임(210)의 전방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폴딩 시에 제2바디부(2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손잡이부(250)는, 손잡이본체(251)와, 손잡이본체(251)의 측면 상 형성되는 개구(252)를 통해 손잡이를 구성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손잡이부(250)는, 폴딩으로 전륜(131)과 후륜(231)이 맞닿은 상태에서 손잡이부(250)를 잡고 끌어 전륜(131) 및 후륜(231)을 회전시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일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상기 제2바디부(200)는, 타측방향으로 회전하여 폴딩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210)은, 상부프레임(110)의 하측에 구비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하부프레임(210)은, 측면 상 중심이 개방되는 개방구(211)가 형성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수평의 상부프레임(110)의 하측에 평행하게 인접하여 구비되는 하부상측수평프레임(211)과, 하부상측수평프레임(211)의 후방에서 수직으로 구비되는 하부수직프레임(212)과, 하부상측수평프레임(211)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하부수직프레임(212)의 끝단에서 수평으로 구비되는 하부하측수평프레임(214)과, 하부상측수평프레임(211)의 전방에서 일단이 하부상측수평프레임(211)에 연결되고 타단이 하부하측수평프레임(214)에 연결되며 상하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는 하부경사프레임(2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상측수평프레임(211), 하부하측수평프레임(214) 및 하부경사프레임(213)은, 평면상 상부프레임(110)의 후방영역에서 후륜(231)을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결합가능하도록 굴곡지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상측수평프레임(211) 및 하부하측수평프레임(214)은, 상부프레임(110)의 하측에서 상부프레임(110)에 평행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평면 상 상부프레임(110)의 후방 측에서 일방향으로 굴곡져 후륜축이 후륜(231)을 기준으로 일방향에서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륜(231), 상부프레임(110), 전륜(131)은 평면 상 일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하부상측수평프레임(211) 및 하부하측수평프레임(214)은 일직선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부프레임(110)의 후방 측에서 굴곡되어 후륜(231)의 일측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상측수평프레임(211)은, 평면 상 상부프레임(110)의 끝단보다 후방 측으로 연장되어 상부프레임(11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상측수평프레임(211)은, 제2바디부(200)의 회전 전, 후의 시트포스트(420)의 설치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전방관통홀(215)과, 후방관통홀(216)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상측수평프레임(211)은, 폴딩 전, 후의 시트포스트(420)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시트포스트(420)가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전방관통홀(215)과 후방관통홀(21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하부상측수평프레임(211)은, 후술하는 시트포스트(420)가 상부프레임(110)을 관통하여 삽입 또는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이로써 제2바디부(200)와 제1바디부(100) 사이의 상대회전을 방지하고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부(240)는, 하부프레임(210)에 설치되어 전륜부(130) 및 후륜부(23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원을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배터리부(240)는, 하부프레임(210)에 구비되는 배터리프레임(241)과, 배터리프레임(241)에 탈착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배터리(2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프레임(241)은, 하부프레임(210)에 형성되는 개방구(211) 중 적어도 일부를 폐쇄하도록 하부프레임(210)에 구비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배터리프레임(241)은, 하부프레임(210)에 형성되는 개방구(211) 중 폴딩 전 전방 측인 하부경사프레임(213)에 인접하여 개방구(211) 중 적어도 일부를 폐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프레임(241)은, 전방 측으로부터 평면 상 상부프레임(110)의 끝단 측까지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평면 상 상부프레임(110)의 끝단 후방 측은 개방구(211)가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터리프레임(241)은, 하부프레이(210)과 같이 측면 상 중심이 개방되어 배터리(242)가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배터리(242)의 안정적인 장착을 위하여 배터리(242)와의 사이에 시건을 위한 시건부가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프레임(241)은, 폴딩 전 시트포스트(420)의 설치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삽입구(24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배터리프레임(241)은, 전술한 하부프레임(210)에 형성되는 후방관통홀(216)에 대응되며 연장되도록 삽입구(243)가 형성되어, 폴딩 전 시트포스트(420)가 각각 상부프레임(110), 하부프레임(210)의 후방관통홀(216)을 관통하고 배터리프레임(241)의 삽입구(243)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터리프레임(241) 중 폴딩 전 후방관통홀(216)에 대응되는 부분은 폴딩을 위한 회전에 따라 전술한 하부경사프레임(214)의 경사각도와 대응되도록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포스트(420)의 삽입각도가 경사진 각도이므로, 이에 대응되어 상부프레임(110)에 형성되는 시트포스트(420) 관통구와 하부프레임(210)의 후방관통홀(216) 및 배터리프레임(241)의 삽입구(243)는 동일한 각도로 경사져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폴딩 된 후에 시트포스트(420)에 삽입되기 위한 하부프레임(210)의 전방관통홀(215) 또한 이에 대응되어 각도를 가지고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전방관통홀(215) 및 후방관통홀(216), 배터리프레임(214)의 삽입구(243)는 폴딩 전, 후에 시트포스트(420)가 삽입되기 위한 구성이므로 후술하는 폴딩회전부(300)의 폴딩회전축(310)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폴딩회전축(310)으로부터 전방관통홀(215)까지의 거리 D1과 폴딩회전축(310)으로부터 후방관통홀(216)까지의 거리 D2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때, 전방관통홀(215)과 후방관통홀(216)은, 폴딩 전, 후에 각각 하나에는 시트포스트(420)가 삽입되고 다른 하나에는 후술하는 고정부(500)가 삽입되어 간섭되는 구성이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평면상 폴딩회전부(300)를 기준으로 점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방관통홀(215)과 후방관통홀(216)이 경사진 형상을 가지고, 후술하는 고정부(500)는, 수직방향으로 선형이동하여 간섭하는 바, 접이식 전기자전거의 길이방향에 대한 고정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상기 폴딩회전부(300)는, 제1바디부(100)와 제2바디부(200)가 상대회전을 통해 폴딩되도록, 상부프레임(110)과 하부프레임(210) 사이에 구비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폴딩회전부(300)는,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저면 또는 상기 하부프레임(210)의 상면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폴딩회전축(310)과;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저면 또는 상기 하부프레임(210)의 상면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폴딩회전축(310)이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는 폴딩회전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딩회전축(310)은, 상부프레임(110)의 저면 또는 하부프레임(210)의 상면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하부프레임(210)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나, 상부프레임(110)의 저면에서 돌출되는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또한 물론이다.
상기 폴딩회전구(320)는, 폴딩회전축(310)에 대응되어 상부프레임(110)의 저면 홈 또는 하부프레임(210)의 상면 홈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어 폴딩회전축(310)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딩회전부(300)는, 상부프레임(110)의 저면과 하부프레임(210)의 상면 사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충부(3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부(400)는, 상부프레임(110)을 관통하여 제2바디부(200)와 간섭하여 제1바디부(100)와 제2바디부(200) 사이의 상대회전을 고정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시트부(400)는, 사용자가 앉기 위한 시트(410)와, 시트(4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제1바디부(100) 및 제2바디부(200)와 시트(410)를 결합하기 위한 시트포스트(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트포스트(420)는, 전술한 상부프레임(110)을 관통하여 하부프레임(210)의 전방관통홀(215) 또는 후방관통홀(216)에 삽입 또는 관통할 수 있으며, 특히, 폴딩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후방관통홀(216)을 관통하여 배터리프레임(241)에 구비되는 삽입구(243)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500)는, 상부프레임(110)에 설치되어 하부프레임(210)과 간섭 및 간섭 해제를 통해 제2바디부(200)의 회전을 방지하고 고정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부(500)는, 상부프레임(110)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선형이동을 통해 제2바디부(200)와 간섭 및 간섭 해제되는 삽입로드(510)와; 삽입로드(510)와 상부프레임(110) 사이에 구비되어, 삽입로드(510)가 제2바디부(200)와 간섭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로드(510)는, 제2바디부(200)의 회전에 따라 각각 전방관통홀(212)과 후방관통홀(213) 사이에 삽입되어 간섭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삽입로드(510)는, 사용자가 삽입로드(510)에 외력을 가하기 위하여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는 확장부(511)와, 확장부(511)로부터 하부프레임(210) 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선형이동을 통해 하부프레임(210)과 간섭 및 간섭 해제되는 로드부(512)와, 로드부(512)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후술하는 탄성부(520)가 설치되기 위한 로드확장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520)는, 로드확장부(513)와 상부프레임(110)의 고정부(500)가 설치되기 위한 고정부설치홀(111)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간섭부(112) 사이에 설치되어, 로드부(512)의 선형이동에 따른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부(520)는, 고정부(500)가 하부프레임(210)의 전방관통홀(215)과 간섭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로드부(512)를 상측으로 이동하여 간섭이 해제하고 제2바디부(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2바디부(200)의 회전에 따라 후방관통홀(216)이 고정부(500)에 대응되는 위치에 도달하면 탄성부(520)의 복원력을 통해 로드부(512)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후방관통홀(216)에 간섭되도록 하여 폴딩을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삽입로드(510)는, 제2바디부(200)의 회전에 따라 각각 전방관통홀(212)과 후방관통홀(213)에 삽입되어 간섭할 수 있다.
상기 록킹부(600)는, 제1바디부(100) 및 제2바디부(200)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폴딩회전부(300)의 회전을 제한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록킹부(600)는, 전방관통홀(215) 및 후방관통홀(216)을 경사지도록 형성하고, 고정부(500)를 상하방향으로 수직으로 선형이동 시킴으로써, 제1바디부(100)와 제2바디부(200) 사이의 상대적인 진동 및 미세이동을 제한함과 더불어, 자전거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으로의 상대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록킹부(6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바디부(200), 예로서, 손잡이부(250) 및 하부프레임(210) 중 하부상측프레임(211)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힌지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힌지회전축(610)과, 힌지회전축(610)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록킹로드(620)와, 록킹로드(620)의 반대측 끝단에 구비되는 체결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록킹부(600)는, 체결부(640)의 상부프레임(110) 측으로의 선형이동을 위하여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는 체결손잡이(630)와, 체결부(64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체결탄성부(6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록킹부(600)는, 전술한 고정부(500)와 같이, 체결부(640)의 하측에 구비되는 체결확장부(641)와 체결손잡이(630) 사이에 체결탄성부(650)를 위치시키고 사용자의 가압에 따라 체결손잡이(630)를 당겨 제2바디부(200)와의 간섭을 해제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힌지회전축(610)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부프레임(110)에 형성되는 측면홈(113) 측으로 록킹로드(620)를 이동하고, 체결부(640)를 상부프레임(110)의 측면에 형성되는 체결홈(114)에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250)에는 체결부(640)에 대응되는 손잡이부홈(253)이 형성되어 체결부(640)와 간섭함으로써, 폴딩 시에 제1바디부(100)와 제2바디부(200) 사이의 간섭을 해제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제1바디부 200: 제2바디부
300: 폴딩회전부 400: 시트부
500: 고정부

Claims (12)

  1. 상부프레임(110)과,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전방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조향부(120)와, 상기 조향부(120)의 하측에 지지되는 전륜부(130)를 포함하는 제1바디부(100)와;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프레임(210)과, 상기 하부프레임(210)에 구비되는 발받침부(220)와, 상기 하부프레임(210)의 후방에 결합되는 후륜부(230)를 포함하는 제2바디부(200)와;
    상기 제1바디부(100)와 상기 제2바디부(200)가 상대회전을 통해 폴딩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110)과 상기 하부프레임(210) 사이에 구비되는 폴딩회전부(300)와;
    상기 상부프레임(110)을 관통하여 상기 제2바디부(200)와 간섭하여 상기 제1바디부(100)와 상기 제2바디부(200) 사이의 상대회전을 고정하는 시트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전기자전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딩회전부(300)는,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저면 또는 상기 하부프레임(210)의 상면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폴딩회전축(310)과;
    상기 상부프레임(110) 또는 상기 하부프레임(210)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폴딩회전축(310)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폴딩회전구(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전기자전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210)은,
    측면 상 중심이 개방되는 개방구(211)가 형성되며,
    상기 제2바디부(200)는,
    상기 개방구(211)에 설치되어 상기 전륜부(130) 또는 상기 후륜부(23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전기자전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부(240)는,
    상기 개방구(211) 중 적어도 일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210)에 구비되는 배터리프레임(241)과, 상기 배터리프레임(241)에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배터리(2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전기자전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400)는,
    시트(410)와, 상기 시트(410)의 하측에 구비되는 시트포스트(420)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포스트(420)는,
    상기 상부프레임(110)을 관통하여 하부프레임(210)에 간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전기자전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210)은,
    상디 제2바디부(200)의 회전 전, 후의 상기 시트포스트(420)의 설치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전방관통홀(215)과 후방관통홀(2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전기자전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프레임(241)은,
    상기 제2바디부(200)의 회전 전, 상기 시트포스트(420)가 삽입되는 후방관통홀(216)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삽입구(2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전기자전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210)은,
    평면 상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끝단보다 후방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프레임(110)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전기자전거.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프레임(210)과 간섭 및 간섭 해제를 통해 상기 제2바디부(200)의 회전을 방지하고 고정하는 고정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전기자전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500)는,
    상기 상부프레임(110)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선형이동을 통해 상기 제2바디부(200)와 간섭 및 간섭 해제되는 삽입로드(510)와;
    상기 삽입로드(510)와 상기 상부프레임(11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로드(510)가 상기 제2바디부(200)와 간섭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전기자전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삽입로드(510)는,
    상기 제2바디부(200)의 회전에 따라 각각 상기 전방관통홀(215)과 상기 후방관통홀(216)에 삽입되어 간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전기자전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부(200)는,
    상기 하부프레임(210)의 전방 측에 구비되는 손잡이부(25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전기자전거.
KR1020200180115A 2020-12-21 2020-12-21 접이식 전기자전거 KR102383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115A KR102383629B1 (ko) 2020-12-21 2020-12-21 접이식 전기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115A KR102383629B1 (ko) 2020-12-21 2020-12-21 접이식 전기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3629B1 true KR102383629B1 (ko) 2022-04-08

Family

ID=81183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115A KR102383629B1 (ko) 2020-12-21 2020-12-21 접이식 전기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362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8482A (ja) * 1998-12-28 2000-07-18 Tsutomu Shinozuka 折り畳み自転車
KR200343359Y1 (ko) * 2003-11-10 2004-03-04 삼천리자전거공업 주식회사 접는 자전거용 프레임
KR20120010487A (ko) * 2010-07-26 2012-02-03 김미나 배터리 및 페달 구동용 접이식 자전거
US20150060176A1 (en) * 2013-08-27 2015-03-05 In Ha PAICK Foldable electric bicy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070690A (ko) * 2015-12-14 2017-06-2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동력에너지를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
KR101764699B1 (ko) * 2012-08-08 2017-08-03 카르슈텐 베틴 자전거
KR20180057799A (ko) * 2016-11-22 2018-05-3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이식 자전거
KR20180128751A (ko) * 2017-05-24 2018-12-04 주식회사 만도 접이식 자전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8482A (ja) * 1998-12-28 2000-07-18 Tsutomu Shinozuka 折り畳み自転車
KR200343359Y1 (ko) * 2003-11-10 2004-03-04 삼천리자전거공업 주식회사 접는 자전거용 프레임
KR20120010487A (ko) * 2010-07-26 2012-02-03 김미나 배터리 및 페달 구동용 접이식 자전거
KR101764699B1 (ko) * 2012-08-08 2017-08-03 카르슈텐 베틴 자전거
US20150060176A1 (en) * 2013-08-27 2015-03-05 In Ha PAICK Foldable electric bicy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070690A (ko) * 2015-12-14 2017-06-2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동력에너지를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
KR20180057799A (ko) * 2016-11-22 2018-05-3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이식 자전거
KR20180128751A (ko) * 2017-05-24 2018-12-04 주식회사 만도 접이식 자전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92668U (ja) 折畳み式キーボード
US9809273B2 (en) Foldable vehicle
WO2012118096A1 (ja) 座席用テーブルの支持構造
WO2011036930A1 (ja) 車両玩具
US20080216408A1 (en) Security gate
KR102383629B1 (ko) 접이식 전기자전거
KR102414631B1 (ko) 접이식 전기자전거
JP2009001089A (ja) 組立て式キャリーバッグ兼用自転車
JP2005119474A (ja) センターコンソール
KR20230148606A (ko) 접이식 전기자전거
US11827300B1 (en) Butterfly folding seat mechanism for personal transport device
JP2012065743A (ja) 歩行走行運動装置
JP4188678B2 (ja) 椅子
CN209600709U (zh) 一种折叠平衡车
JP2010136995A (ja) 折り畳みテーブル
KR101144341B1 (ko) 접이식 자전거
JP2002178764A (ja) バックドア用のヒンジ構造
CN207225558U (zh) 一种电动车的折叠机构
JP2008044611A (ja) 自動二輪車のシート取付構造
JP4643814B2 (ja) 折り畳みテーブル
KR102532808B1 (ko) 폴딩도어의 상부레일과 개별도어 연결구조
KR20240054688A (ko) 슬라이딩 홈 접이 구조를 갖는 라스트마일 모빌리티
JPS6324026Y2 (ko)
JP5220940B2 (ja) 車両玩具
JPS6411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