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4015B1 -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4015B1
KR101614015B1 KR1020130148893A KR20130148893A KR101614015B1 KR 101614015 B1 KR101614015 B1 KR 101614015B1 KR 1020130148893 A KR1020130148893 A KR 1020130148893A KR 20130148893 A KR20130148893 A KR 20130148893A KR 101614015 B1 KR101614015 B1 KR 101614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sphate
active material
cathode active
lithium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8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4320A (ko
Inventor
김유정
고형신
이재안
한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이에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이에스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이에스엠
Priority to KR1020130148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4015B1/ko
Publication of KR20150064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4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표면에 인산염을 포함하는 피막을 구비하는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은 종래 철강 등이 표면에 방청성, 내식성, 내고온 산화성 등의 화학적 성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행되는 인산염 피막을 구비함으로써 열안정성이 높아 고온에서 전지의 충방전시 전해액과 스피넬계 리튬망간계산화물 간의 반응에 의한 망간 이온의 용출을 방지하고, 망간 이온의 용출에 따른 유기 전해질의 분해반응을 방지하여 전지 또는 전극의 고온 수명 특성 및 용량 감소를 개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CATH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RECHARGEABLE BATTERIE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표면에 인산염을 포함하는 피막을 구비하는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차전지의 활용범위가 소형 전자기기에서 전기자동차 및 전력저장용으로 확대되면서 고안전성, 장수명, 고에너지 밀도 및 고출력 특성의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양극 활물질로는 리튬 코발트 산화물, 리튬 망간 산화물, 리튬 복합 산화물 등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스피넬형 리튬 망간 산화물은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코발트와 같은 유해한 중금속 소재를 사용하지 않아 환경 친화적이며 안전성이 높은 특성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친환경적인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동력원 및 전력저장용 등으로 사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스피넬형 리튬 망간 산화물은 고온에서 망간 이온의 용출에 의한 전해질의 분해 반응으로 인하여 고온에서 장기 사용 시 수명이 급격하게 저하되고, 잔존 용량 등이 급격하게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44936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스피넬형 리튬 망간 산화물의 고율 특성 및 수명 특성을 개선 시키기 위한 용량 및 고율 특성의 저하 없이 고온에서 안정적인 싸이클 특성을 갖는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리튬 금속 산화물; 및
상기 리튬 금속 산화물 표면에 인산염을 포함하는 피막;을 구비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에 있어서, 상기 리튬 금속 산화물은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Li1 + xMn2 -x- yMyO4 +d
(상기 화학식 1의 식에서, M은 Ti, V, Cr, Co, Ni, Mg, Zr, Fe, Gd, 및 G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고, x는 0 내지 0.12의 실수이고, y는 0 내지 0.5의 실수이고, d는 0 내지 0.04의 실수임)
본 발명에 의한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은 종래 철강 등이 표면에 방청성, 내식성, 내고온 산화성 등의 화학적 성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행되는 인산염을 포함하는 피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은 상기 리튬 금속 산화물에 포함되는 O2 -와 HPO4 2 - 의 음이온 치환 반응 후, 아래와 같은 인산염 결정이 상기 리튬 금속 산화물 표면에 침전되면서 리튬 금속 산화물을 피복하는 피막을 형성한다.
LiMn2O4 + 4HPO4 2 - -> LiMn2(HPO4)4 + 4O2 -
LiMn2(HPO4)4 -> LiMn2(PO4)3 + HPO4 2 - + 2H+ + 1/2H2
상기와 같은 피막 형성 과정을 통해 LiMn2O4의 Mn3 + 가 Mn4 + 로 변환됨으로써 인산염을 포함하는 피막은 Mn3 +의 scavenger로 기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LiMn2O4의 Mn 평균 산화수가 3.5 이하로 떨어질 때 Jahn-Teller 뒤틀림(distortion) 현상이 일어나고 이로 인해 상변이가 유도되어 전극의 성능이 저하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인산염 피막 형성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인산염 피막 형성 용액과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리튬 금속 산화물을 혼합하는 단계;
에너지를 인가하면서 교반하는 단계;
100 내지 150 ℃ 에서 건조시키는 단계; 및
400 내지 600 ℃ 에서 1 ~ 3 시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항의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산염 피막 형성 용액은 인산염 함유 하이드록사이드(hydroxide), 암모늄(ammonium), 설페이트(sulfate), 알콕사이드(alkoxide), 옥살레이트(oxalate), 포스페이트(phosphate), 할라이드(halide), 옥시할라이드(oxyhalide), 설파이드(sulfide), 옥사이드(oxide), 퍼옥사이드(peroxide), 아세테이트(acetate), 나이트레이트(nitrate), 카보네이트(carbonate), 시트레이트(citrate), 프탈레이트(phtalate), 퍼클로레이트(perchlorate), 아세틸아세토네이트(acetylacetonate), 아크릴레이트(acrylate), 포메이트(formate), 옥살레이트(oxalate) 및 이들의 수화물중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인산염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산염 피막 형성 용액은 인산수소암모늄((NH4)2HPO4) 수용액 또는 인산암모늄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산염 피막 형성 용액의 인산염 농도는 0.001 몰 내지 0.03 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를 인가하면서 교반하는 단계에서는 고에너지 볼 밀(high energy ball mill), 유성 밀(planetary mill), 교반 볼 밀(stirred ball mill) 또는 진동 밀(vibrating mill)을 사용하여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은 종래 철강 등이 표면에 방청성, 내식성, 내고온 산화성등의 화학적 성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행되는 인산염 피막을 구비함으로써 열안정성이 높아 고온에서 전지의 충방전시 전해액과 스피넬계 리튬망간계산화물 간의 반응에 의한 망간 이온의 용출을 방지하고, 망간 이온의 용출에 따른 유기 전해질의 분해반응을 방지하여 전지 또는 전극의 고온 수명 특성 및 용량 감소를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리튬 양극 활물질의 SEM 사진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리튬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전지의 특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비교예 > 스피넬 LiMn 2 O 4 의 제조
리튬카보네이트(Li2CO3), 망간하이드록사이드를 Li과 다른 금속의 화학당량비 1:2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Air 분위기 및 850 ℃에서 24 시간 동안 가열하여 입자 사이즈가 12 ㎛ 내외인 (D50 기준) 스피넬 구조의 LiMn2O4 의 양극 활물질을 합성하였다.
< 실시예 >
인산염 피막 형성 용액으로서 인산수소암모늄 수용액을 0.005, 0.010, 0.020 몰농도로 준비한 후, 상기 비교예에서 제조된 스피넬 구조의 LiMn2O4 양극 활물질을 혼합하고 메카노퓨전으로 에너지를 인가하면서 교반하였다. 130 ℃에서 건조시킨 후, 500 ℃에서 3 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인산염을 포함하는 피막을 구비한 LiMn2O4 의 양극 활물질을 합성하였다.
< 실험예 > SEM 사진 측정
상기 비교예 및 실시예에서 제조된 LiMn2O4 의 양극 활물질의 SEM 사진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표면에 인산염 결정이 성장된 피막을 구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제조예 > 이차전지 제조
상기 비교예 및 실시예에서 제조된 활물질과 도전재인 Denka Black, PVDF 바인더를 94:3:3(질량비)의 비율로 혼합하여 Al 호일 위에 코팅하여 전극 극판을 제작하였다. 음극으로 리튬 메탈, 전해질로 1.3 M LiPF6 EC/DMC/EC = 5:3:2 용액(질량비)을 사용하여 코인셀을 제작하였다.
< 실험예 > 전지 특성 측정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상기 비교예 및 실시예에서 제조된 활물질을 포함하는 각각의 전지에 대해 수명 특성 및 탭밀도, BET 표면적을 측정하고 아래 표 1 에 나타내었다.
수명 특성
(50 사이클 후 용량)
탭밀도(g/ml) BET 표면적
(m2/g)
비교예 96.72% 1.75 0.32
0.005 mol 98.07% 1.73 0.38
0.010 mol 97.05% 1.74 0.39
0.020 mol 95.82% 1.76 0.39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양극활물질의 BET 표면적이 비교예의 양극활물질의 표면적보다 20% 이상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 C- rate 측정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상기 비교예 및 실시예에서 제조된 활물질을 포함하는 각각의 전지에 대해 c-rate 특성 및 600 ℃에서의 고온 c-rate 특성을 각각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2 및 도 3에서 본 발명에 의한 인산염을 포함하는 피막을 포함한 실시예의 경우 비교예에 비하여 c-rate 특성 및 고온 c-rate 특성이 모두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인산염의 농도가 0.001 내지 0.03 몰농도 인 인산염 피막 형성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인산염 피막 형성 용액과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리튬 금속 산화물을 혼합하는 단계;
    [화학식 1] Li1+xMn2-x-yMyO4+d
    (상기 화학식 1의 식에서, M은 Ti, V, Cr, Co, Ni, Mg, Zr, Fe, Gd, 및 G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고, x는 0 내지 0.12의 실수이고, y는 0 내지 0.5의 실수이고, d는 0 내지 0.04의 실수임)
    에너지를 인가하면서 교반하는 단계;
    100 내지 150 ℃ 에서 건조시키는 단계; 및
    400 내지 600 ℃ 에서 1 ~ 3 시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표면에 인산염 결정이 피복된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산염 피막 형성 용액은 인산염 함유 하이드록사이드(hydroxide), 암모늄(ammonium), 설페이트(sulfate), 알콕사이드(alkoxide), 옥살레이트(oxalate), 포스페이트(phosphate), 할라이드(halide), 옥시할라이드(oxyhalide), 설파이드(sulfide), 옥사이드(oxide), 퍼옥사이드(peroxide), 아세테이트(acetate), 나이트레이트(nitrate), 카보네이트(carbonate), 시트레이트(citrate), 프탈레이트(phtalate), 퍼클로레이트(perchlorate), 아세틸아세토네이트(acetylacetonate), 아크릴레이트(acrylate), 포메이트(formate), 옥살레이트(oxalate) 및 이들의 수화물 중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인산염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산염 피막 형성 용액은 인산수소암모늄((NH4)2HPO4) 수용액 또는 인산암모늄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130148893A 2013-12-03 2013-12-03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14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893A KR101614015B1 (ko) 2013-12-03 2013-12-03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893A KR101614015B1 (ko) 2013-12-03 2013-12-03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320A KR20150064320A (ko) 2015-06-11
KR101614015B1 true KR101614015B1 (ko) 2016-04-20

Family

ID=53502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8893A KR101614015B1 (ko) 2013-12-03 2013-12-03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40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45670B2 (en) 2017-11-27 2023-01-03 Lg Energy Solution, Ltd. Cathode additive,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cathod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05205A (zh) * 2016-12-30 2017-03-15 先雪峰 锂离子电池复合活性物质及其制备方法、锂离子电池电极浆料、正极或负极以及锂离子电池
JP7024505B2 (ja) * 2018-03-02 2022-02-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正極活物質粒子の製造方法、正極ペーストの製造方法、正極板の製造方法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製造方法
CN108695573A (zh) * 2018-05-30 2018-10-23 安徽南都华铂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失效磷酸锰锂的电化学活性修复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1196A (ja) 2006-10-02 2008-04-17 Samsung Sdi Co Ltd リチウム二次電池
JP2009176732A (ja) * 2007-12-28 2009-08-06 Toda Kogyo Corp 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マンガン酸リチウ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2010205436A (ja) 2009-02-27 2010-09-16 Sony Corp 非水電解質二次電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1196A (ja) 2006-10-02 2008-04-17 Samsung Sdi Co Ltd リチウム二次電池
JP2009176732A (ja) * 2007-12-28 2009-08-06 Toda Kogyo Corp 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マンガン酸リチウ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2010205436A (ja) 2009-02-27 2010-09-16 Sony Corp 非水電解質二次電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45670B2 (en) 2017-11-27 2023-01-03 Lg Energy Solution, Ltd. Cathode additive,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cathod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320A (ko) 2015-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5072B2 (en) Layered cathode materials for lithium ion rechargeable batteries
KR101746899B1 (ko) 리튬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92304B1 (ko) 비수전해액 이차 전지용 망간산리튬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비수전해액 이차 전지
US74354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ation of spherical metal carbonates and lithium metal oxides for lithium rechargeable batteries
JP4973825B2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の製造法、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101532807B1 (ko) 비수전해액 이차 전지용 망간산리튬 입자 분말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비수전해액 이차 전지
JP5656012B2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粒子粉末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非水電解質二次電池
CN102782911B (zh) 锂离子电池用正极活性物质、锂离子电池用正极及锂离子电池
KR101491885B1 (ko)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CN102782909B (zh) 锂离子电池用正极活性物质、锂离子电池用正极及锂离子电池
EP3444226A1 (en) Spherical or spherical-like cathode material for lithium-ion battery and lithium-ion battery
KR101977995B1 (ko) 붕소 화합물이 코팅된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25105B1 (ko)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657433B1 (ko) 비수계 전해질 이차 전지용 정극 활물질과 그의 제조 방법, 비수계 전해질 이차 전지용 정극 합재 페이스트 및 비수계 전해질 이차 전지
JP2010135285A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40119621A (ko) 리튬 과량 양극활물질 제조용 전구체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리튬 과량 양극활물질
KR102217593B1 (ko) 표면 코팅된 리튬 과량 양극활물질용 전구체의 제조 방법, 이에 의하여 제조된 표면 코팅된 리튬 과량 양극활물질용 전구체, 및 리튬 과량 양극활물질
KR100805910B1 (ko) 리튬 전지용 올리빈형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
Jeong et al. Electrochemical studies on cathode blends of LiMn2O4 and Li [Li1/15Ni1/5Co2/5Mn1/3O2]
KR101614015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90102138A (ko) 리튬 전지용 올리빈형 양극 활물질 전구체, 리튬 전지용올리빈형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리튬 전지
JP2023523209A (ja) スピネル複合固溶体酸化物を含む正極活物質、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KR101951699B1 (ko) LNO 매트릭스 내 Li-O-P 화합물이 고르게 분포된 리튬-니켈 복합 산화물
Kaddami et al. Effect of low Al3+ doping on the structural, electrochemical performances, and thermal stability of the LiNi1/3Co1/3Co1/3O2 electrode material for lithium‐ion batteries
US10305103B2 (en) Stabilized electrodes for lithium batte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