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3831B1 -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커버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커버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3831B1
KR101613831B1 KR1020100059927A KR20100059927A KR101613831B1 KR 101613831 B1 KR101613831 B1 KR 101613831B1 KR 1020100059927 A KR1020100059927 A KR 1020100059927A KR 20100059927 A KR20100059927 A KR 20100059927A KR 101613831 B1 KR101613831 B1 KR 101613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ud
heat sink
cover
thread
rec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9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9855A (ko
Inventor
유재표
박은동
손형일
Original Assignee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9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3831B1/ko
Publication of KR20110139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9/00Synchronous motors or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커버 조립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본 발명의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커버 조립방법은 상기 방열판 상부 또는 하부면과 접촉되는 절연체를 제공하는 제1단계, 상기 커버 및 상기 방열판을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터드에 접속되는 나사산과 접속되는 관통홀이 생성된 상기 방열판을 제공하는 제2단계, 상기 관통홀과 접속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터드에서 셀프테핑 나사산을 제공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터드만을 이용하여 상기 커버와 상기 방열판을 조립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커버 조립 방법{Cover Assembly method of Alternater for vec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교류 발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류 발전기 후방에 위치하여 정류기 또는 전압 조정기 그리고 브러쉬 부위 등을 보호하며 냉각을 위한 공기 흐름을 가이드 하는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커버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차량용 교류 발전기는 기자력을 발생시키는 회전자 어셈블리(rotorassembly), 상기 회전자 어셈블리(rotor assembly)에 전류를 공급하는 브러시 어셈블리(brush assembly), 그리고, 상기 발생된 기자력에 의해 유도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스테이터 어셈블리(stator assembly) 및 이들 구성을 전,후면에서 고정 지지되게 하는 하우징(housing) 또한, 회전자계의 세기를 조절하는 레귤레이터(regulator) 및 출력되는 교류전류를 직류로 정류되게 하는 정류기 어셈블리(rectifier assembly) 및 외부(차량엔진)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풀리(pulley)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정류기 어셈블리의 후방에 위치하는 방열판과 후방 커버의 조립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교류발전기의 정류기 커버조립 구성(20)은 먼저 제1 스터드(예컨대, B+ 스터드; 21)와 제2 스터드(예컨대, 보조 스터드; 23)를 미리 조립한 후, 커버(24)를 덮고 너트(22)를 조여서 방열판(25)의 면에 조립되는 양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스터드들은 헤드와 몸통으로 구성되는 헤드 일체형 스터드로서 상기 헤드 일체형 스터드(21과23)의 이탈방지를 막기 위하여 절연체(미도시)로 상기 스터드 헤드 하단부분을 받쳐주어야 함으로 절연체 추가 형성 공정을 진행해야 한다.
이러한 단계들은 정류기 조립시 별도의 공정이 단계를 증가시키며, 별도의 절연체 공정단계를 추가해야 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공정 단계의 증가는 정류기 무게 증가의 원인을 유발시킨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용 교류 발전기에서 후방에 위치하여 정류기나 전압 조정기 그리고 브러쉬 부위등을 보호하며 냉각을 위한 공기 흐름을 가이드하는 차량용 커버와 정류기의 방열판과의 조립 단계를 단순화 시킬 수 있는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커버 조립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커버 조립방법은 상기 방열판 상부 또는 하부면과 접촉되는 절연체를 제공하는 제1단계, 상기 커버 및 상기 방열판을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터드에 접속되는 나사산과 접속되는 관통홀이 생성된 상기 방열판을 제공하는 제2단계, 상기 관통홀과 접속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터드에서 셀프테핑 나사산을 제공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터드만을 이용하여 상기 커버와 상기 방열판을 조립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단계의 관통홀은, 그루브(Groove) 형태로 형성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4단계의 적어도 1개 이상의 스터드는 상기 스터드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나사산과 차량 하네스 연결부 나사산 사이에 헤드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어도 1개 이상의 스터드는 상기 방열판과의 결합력을 높이도록 나사산의 길이가 방열판과 결합되는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용 정류기 조립 공정상에서 선 수행하였던 스터드 공정을 생략하는 대신 상기 스터드 헤드 부분을 지탱하기 위한 절연체 공정을 생략하고, 상기 스터드의 헤드가 제거된 셀프테핑 나사산을 구비함으로써 외부에서 직접적으로 방열판과 방열판 커버의 조립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불필요한 너트 조립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은 정류기 어셈블리의 후방에 위치하는 방열판과 후방 커버의 조립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류기 어셈블리의 후방에 위치하는 방열판과 후방 커버의 조립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의 (a)는 기존의 제1 스터드 및 제2 스터드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스터드 및 제2 스터드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의 (a)는 기존의 스터드 헤드를 지지하기 위해 교류 정류기의 외형으로 형성된 절연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의 (b)는 본 발명의 교류 정류기의 외형으로 형성된 절연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류기 어셈블리의 후방에 위치하는 방열판과 후방 커버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류기 어셈블리의 후방에 위치하는 방열판과 후방 커버의 조립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 정류기의 후방부분(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터드(예컨대, 제1 스터드;130 및 제2 스터드;110), 교류발전기의 정류기 후방 커버(이하, 후방 커버; 120), 방열판(heat sink positive; 140)을 포함할 수 있다.
방열판(heat sink positive; 140)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터드(110,130)와 접속될 수 있는 관통홀(15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150)은 역 그루브(reverse Groove)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방열판(heat sink positive; 140)은 교류발전기의 정류기로부터 발열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기능, 즉, 발열 물체와의 직간접적으로 열 접촉에 따라 열 전달을 받는 다른 물체로부터 열을 차단하고 상기 열을 흡수하여 발산하는 기능을 가진다.
후방 커버(120)는 정류기에 고정된 하우징과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또한 후방에 위치하는 내부부품을 보호하고 정류기 내의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스터드(130)는 제1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방열판(140)에 미리 형성된 관통홀(150)에 삽입되어 상기 방열판(140) 내로 접속된다. 이때, 방열판(140) 내에 삽입된 제1 스터드(130) 깊이는 소정의 깊이(L1)로 삽입되며, 상기 삽입되는 깊이는 상기 방열판(140) 내로 삽입된 제1 스터드(130)의 일단과 상기 관통홀(150) 바닥면과 소정의 거리가 남도록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스터드(130)는 헤드부분이 있는 보조 스터드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2 스터드(110)는 제2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방열판(140)에 미리 형성된 관통홀(150)을 통해 상기 방열판(140) 내로 접속된다.
이때, 방열판(140) 내에 삽입된 제2 스터드(110)의 깊이는 소정의 깊이(L1)로 삽입되며, 상기 방열판(140) 내로 삽입된 제2 스터드(110)의 일단과 상기 관통홀(150) 바닥면과의 이격 거리는 일정한 거리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2 스터드(110)는 B+ 스터드일 수 있으며, 셀프테핑(Self-tapping) 나사산을 포함하는 스터드일 수 있다. 상기 제2 스터드(110)는 방열판(140) 조립부 나사산과 차량 하네스 연결부 나사산 사이에 헤드 형상을 갖는다.
도 3의 (a)는 기존의 제1 스터드 및 제2 스터드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스터드 및 제2 스터드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의 (a),(b)를 참조하면, 종래의 스터드 구조는 스터드 헤드부분과 스터드 나사산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추가적인 너트와의 결합 공정을 필요로 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스터드 구조(b)는 스터드 헤드 부분이 제거된 스터드 나사산 만을 구비하며, 상기 스터드 나사산과 너트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나사산 부분의 길이가 짧아짐을 알 수 있다.
또한, 방열판(140)과 후방 커버(120)와의 결합시 방열판(140)에 형성된 관통홀(150) 내에 상기 나사산을 외부로 부터 직접적으로 삽입함으로써 추가적인 너트 공정을 필요에 따라 실시할 수 있어 결합 공정의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때, 제1 스터드(130)의 나사산과 제2 스터드(120)의 나사산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으나, 방열판(140)의 관통홀(150) 내에 삽입되는 깊이는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다.
도 4의 (a)는 기존의 스터드 헤드를 지지하기 위해 교류 정류기의 외형으로 형성된 절연체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4의 (b)는 본 발명의 교류 정류기의 외형으로 형성된 절연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의 (a)와(b)를 참조하면, 기존의 방열판(25)과 후방 커버(24)와의 조립공정에 앞서 선 공정으로 절연체 형성 공정을 수행한다.
이때, 제1 및 제2 스터드(21,23)가 조립되는 위치의 절연체 부분(A와 B)는 스터드 헤드부분을 지탱하기 위한 역할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형성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셀프테이핑 나사산만을 이용기 때문에 헤드 부분에 형성될 절연체의 면적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이는 절연체 형성 공정의 비용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또한, 절연체 공정을 단순화 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류기 어셈블리의 후방에 위치하는 방열판과 후방 커버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커버 조립방법은 방열판 상부 또는 하부면과 접촉되는 절연체를 제공하는 제1단계(S20), 상기 커버 및 상기 방열판을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터드에 접속되는 나사산과 접속되는 관통홀이 생성된 상기 방열판을 제공하는 단계(S30) 및 상기 관통홀과 접속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터드에서 셀프테핑 나사산을 제공하는 제3단계(S40)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방열판 외형에 따라 형성된 절연체 공정 단계, 방열판과 후방 커버와의 조립공정 단계에 선 발생되었던 스터드 조립공정을 생략 또는 단순화 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조립 공정시 소모되는 비용 절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제2 스터드 120: 후방 커버
120: 제1 스터드 140: 방열판
150: 관통홀

Claims (4)

  1.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후방에 위치하는 커버 및 방열판을 고정함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 상부 또는 하부면과 접촉되는 절연체를 제공하는 제1단계;
    상기 커버 및 상기 방열판을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헤드가 제거된 스터드에 접속되는 나사산과 접속되는 관통홀이 생성된 상기 방열판을 제공하는 제2단계;
    상기 관통홀과 접속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터드에 셀프테핑 나사산을 제공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3단계에서 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터드만을 이용하여 상기 커버와 상기 방열판을 조립하되, 상기 스터드는 관통홀 바닥면과 소정의 거리가 남도록 삽입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커버 조립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의 관통홀은,
    역 그루브(Groove)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커버 조립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의 적어도 1개 이상의 스터드는,
    상기 스터드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나사산과 차량 하네스 연결부 나사산 사이에 헤드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커버 조립방법.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 이상의 스터드는, 상기 방열판과의 결합력을 높이도록 방열판과 조립되는 나사산의 길이가 방열판과 결합되는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커버 조립방법.
KR1020100059927A 2010-06-24 2010-06-24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커버 조립 방법 KR101613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927A KR101613831B1 (ko) 2010-06-24 2010-06-24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커버 조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927A KR101613831B1 (ko) 2010-06-24 2010-06-24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커버 조립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855A KR20110139855A (ko) 2011-12-30
KR101613831B1 true KR101613831B1 (ko) 2016-04-29

Family

ID=45505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9927A KR101613831B1 (ko) 2010-06-24 2010-06-24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커버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383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9297A (ja) * 2007-04-04 2008-10-23 Denso Corp 車両用交流発電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1886U (ko) * 1996-11-27 1998-08-17 김욱한 자동차압축기의 장착볼트어셈블리
KR100440879B1 (ko) * 2001-04-25 2004-07-19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 교류 발전기용 스터드 볼트
KR20070028702A (ko) * 2005-08-30 2007-03-13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용 교류발전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9297A (ja) * 2007-04-04 2008-10-23 Denso Corp 車両用交流発電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855A (ko) 201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04112B2 (ja) 車両用交流発電機
US6809443B2 (en) Alternator for an automotive vehicle
US8933599B2 (en) Cooling system of electric rotating machine for vehicles
JP4506820B2 (ja) 車両用交流発電機の整流装置
JP2008061293A (ja) 車両用交流発電機
JPH0564450A (ja) 車両用交流発電機の整流装置
US7741742B2 (en) Alternator
US7855480B2 (en) Rectifier device for automotive alternator
JPH1056762A (ja) 車両用交流発電機
JP3975974B2 (ja) 車両用交流発電機
JP4496957B2 (ja) 車両用交流発電機の整流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交流発電機
KR101613831B1 (ko)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커버 조립 방법
JP5602786B2 (ja) 回転電機
JP3543876B2 (ja) 交流発電機
JP4710810B2 (ja) 車両用交流発電機の電圧制御装置
JP2005237137A (ja) 車両用発電機
KR101894506B1 (ko)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인슐레이터
US7839032B2 (en) Automotive alternator having rectifier device
JP4710800B2 (ja) 車両用交流発電機
KR101163569B1 (ko) 차량용 교류 발전기
JP3982406B2 (ja) 車両用交流発電機
KR100342572B1 (ko)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정류장치
KR200321845Y1 (ko) 차량용 교류발전기
KR20140029861A (ko) 차량용 알터네이터의 정류기 어셈블리
KR20180073341A (ko)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히트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