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3695B1 - 커넥터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3695B1
KR101613695B1 KR1020090107633A KR20090107633A KR101613695B1 KR 101613695 B1 KR101613695 B1 KR 101613695B1 KR 1020090107633 A KR1020090107633 A KR 1020090107633A KR 20090107633 A KR20090107633 A KR 20090107633A KR 101613695 B1 KR101613695 B1 KR 101613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le
housing
female
connecto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7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0998A (ko
Inventor
김명훈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7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3695B1/ko
Publication of KR20110050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0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암커넥터(51)와 숫커넥터(61)로 구성된다. 상기 암커넥터(51)의 외관과 골격을 암하우징(53)이 형성하는데, 상기 암하우징(53)의 내부를 관통하여 암터미널이 안착되는 암터미널안착부(55)가 형성된다. 상기 암하우징(53)의 일측 외면에는 간섭방지공간(57)이 형성되고, 상기 간섭방지공간(57)에 해당되는 암하우징(53)의 외면에는 걸림턱(59)이 형성된다. 숫커넥터(61)의 외관과 골격을 숫하우징(63)이 형성하고, 상기 숫하우징(63)의 내부를 관통해서 숫터미널이 안착되는 숫터미널안착부(65)가 형성된다. 상기 숫하우징(63)의 선단 내부에는 상기 암하우징(53)이 삽입되는 삽입공간(67)이 형성된다. 상기 숫하우징(63)의 내외부를 관통하도록 체결레버(69)가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레버(69)의 선단인 선단체결부(73)는 상기 삽입공간(67) 내에서 상기 숫터미널이 돌출된 것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레버(69)의 후단인 조작부(77)는 상기 숫하우징(63)의 외부에 숫하우징(63)의 후단을 향해 연장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조립체의 크기가 작아지고 외관이 간소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커넥터, 조립체, 체결, 터미널, 손상

Description

커넥터조립체{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커넥터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암커넥터와 숫커넥터의 결합을 위한 구성과 숫커넥터의 터미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 일체로 된 커넥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의 일반적인 커넥터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따르면, 커넥터조립체는 암커넥터(1)의 외관과 골격을 암하우징(3)이 형성한다. 상기 암하우징(3)은 절연성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그 내부를 관통하여 암터미널안착부(5)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암터미널안착부(5)에는 각각 암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암하우징(3)의 외면 일측에는 체결레버(7)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레버(7)는 상기 암하우징(3)에 일측 또는 양측이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되는 것으로, 그 자체의 형상과 재질의 특성 때문에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체결레버(7)는 아래에서 설명될 숫하우징(13)과의 체결을 위한 것이다.
상기 암하우징(3)의 일측을 관통하여서는 간섭방지공간(9)이 형성된다. 상기 간섭방지공간(9)은 도 1에서 상기 암하우징(3)의 외면과 상기 체결레버(7)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삽입저지리브(19)가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암커넥터(1)와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숫커넥터(11)이다. 상기 숫커넥터(11)의 외관과 골격을 숫하우징(13)이 형성한다. 상기 숫하우징(13) 역시 절연성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숫하우징(13)의 내부를 관통하여서는 숫터미널안착부(15)가 형성된다. 상기 숫터미널안착부(15)에는 상기 암터미널과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숫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된다.
상기 숫하우징(13)의 선단 내부에는 상기 숫터미널안착부(15)에 안착된 숫터미널의 선단이 위치되는 삽입공간(17)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간(17)은 상기 암하우징(3)의 선단을 포함하는 일부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삽입공간(17)의 내부에는 오삽입저지리브(19)가 형성된다. 상기 오삽입저지리브(19)는 상기 삽입공간(17)의 내부에 상기 암하우징(3)이 다른 방향으로 삽입된 것을 저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암하우징(3)을 포함하는 다른 부품이 상기 삽입공간(17)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삽입공간(17)으로 돌출되어 있는 숫터미널이 소성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암하우징(3)이 정상적으로 삽입되지 않고, 삐뚤어져 삽입되거나, 상기 삽입공간(17)의 내부로 다른 부품이 임의로 삽입되는 것을 막는 것이다.
상기 오삽입저지리브(19)는 상기 암하우징(3)이 숫하우징(13)의 삽입공간(17) 내부로 삽입되었을 때, 상기 암하우징(3)의 간섭방지공간(9)에 삽입 되어 암하우징(3)이 삽입공간(17)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암커넥터(1)와 숫커넥터(11)는 상기 암하우징(3)이 숫하우징(13)의 삽입공간(17)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암하우징(3)의 체결레버(7)가 상기 숫하우징(13) 내부의 걸림턱(도시되지 않음)에 걸어짐에 의해 서로 체결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암커넥터(1)의 암하우징(3) 외면에는 간섭방지공간(9)을 확보함과 동시에 체결레버(7)가 위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암커넥터(1)의 크기가 커지고, 이에 대응되는 숫커넥터(11)의 크기도 커져 전체 커넥터조립체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암커넥터(1)에는 체결레버(7)가 구비되고, 상기 숫커넥터(11)에는 오삽입저지리브(19)가 각각 구비됨에 의해 커넥터조립체의 구성이 상대적으로 복잡해지게 되고, 이들을 만들기 위한 금형이 복잡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대적으로 소형화된 커넥터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암커넥터와 숫커넥터의 구성이 상대적으로 간소화된 커넥터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암터미널과, 상기 암터미널이 안착되는 암터미널안착부가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외면에 오목하게 들어가게 형성된 간섭방지공간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암하우징으로 구성되는 암커넥터와; 상기 암터미널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숫터미널과, 상기 숫터미널이 안착되는 숫터미널안착부가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암하우징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상기 숫터미널안착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에 걸어지는 체결레버가 내외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숫하우징으로 구성되는 숫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결레버의 선단은 상기 숫하우징의 삽입공간 내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숫터미널안착부에서 숫터미널이 안착된 정도보다 더 돌출된다.
상기 체결레버는 상기 숫하우징에서 돌출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상기 삽입공간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단체결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상기 숫하우징의 외부 후단을 향해 연장되는 조작부와, 상기 선단체결부와 조작부에 인접한 위치까지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이 위치되는 걸이슬롯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숫하우징의 외면에서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레버의 조작부를 눌렀을 때 상기 선단체결부가 걸림턱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도록 'T'자 형상으로 된다.
상기 간섭방지공간은 상기 체결레버가 위치되는 곳으로 적어도 상기 숫하우징의 선단쪽이 개방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숫하우징의 삽입공간 내부로 선단이 돌출되고 후단이 숫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 체결레버가 숫하우징과 암하우징의 체결역할을 함과 동시에 오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하고, 암하우징의 외면에는 상기 체결레버가 걸어지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레버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면 되므로 암커넥터와 숫커넥터가 상대적으로 소형화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체결레버에는 암하우징의 걸림턱이 안착되는 걸이슬롯이 형성되어 암하우징과 숫하우징이 결합되었을 때, 체결레버의 걸이슬롯에 걸림턱이 안착되므로, 체결레버와 걸림턱이 차지하는 공간이 최소화되어 암커넥터와 숫커넥터가 서로 결합되었을 때의 크기가 최소화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특히 암커넥터의 암하우징의 외관이 보다 간소하게 되므로, 커넥터조립체의 제조를 위한 금형이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되어 제조비용이 줄어드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숫커넥터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커넥터조립체를 구성하는 암커넥터(51)는 암하우징(53)과 그 내부의 암터미널(도시되지 않음)로 구성된다. 상기 암하우징(53)은 암커넥터(51)의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절연성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암하우징(53)의 외면 모서리에는 각각 가이드리브(53')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53')는 상기 암하우징(53)의 선단에서 후단까지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숫하우징(63)의 가이드채널(63')을 따라 안내되어 가이드채널(63')에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암하우징(53)의 내부를 관통해서는 상기 암터미널이 안착되는 암터미널안착부(55)가 형성된다. 상기 암터미널안착부(55)는 다수개가 형성되는데, 암터미 널의 갯수와 크기 등에 맞게 형성된다.
상기 암하우징(53)의 일측 외면에는 오목하게 간섭회피공간(57)이 형성된다. 상기 간섭회피공간(57)은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암하우징(53)의 선단에서 후단까지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상기 암하우징(53)의 선단으로는 개구되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레버(69)가 간섭회피공간(57)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간섭회피공간(57)에 해당되는 상기 암하우징(53)의 외면에는 걸림턱(59)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59)은 상기 간섭회피공간(57)에 위치되는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레버(69)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걸림턱(59)에는 상기 암하우징(53)의 선단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안내경사면(59')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경사면(59')은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레버(69)의 선단체결부(73)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숫커넥터(61)는 상기 암커넥터(51)와 결합되는 것으로, 외관과 골격을 숫하우징(63)이 형성하고, 상기 숫하우징(63)의 내부에는 숫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된다. 상기 숫하우징(63)에 설치되는 상기 숫터미널은 상기 암하우징(53)의 암터미널과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숫하우징(63)도 역시 절연성의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숫하우징(63')의 내면 모서리에는 각각 가이드채널(63')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채널(63')은 상기 가이드리브(53')가 안내되어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숫하우징(63)의 내부를 관통하여서는 상기 숫터미널이 안착되는, 숫터 미널안착부(65)가 형성된다. 상기 숫터미널안착부(65)는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숫터미널안착부(65)는 그 후단이 상기 숫하우징(63)의 후단으로 개방되고, 선단은 상기 숫하우징(63)의 선단 내부에 형성되는 삽입공간(67)과 연통된다.
상기 삽입공간(67)은 상기 숫하우징(63)의 선단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암하우징(53)이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삽입공간(67)은 그 내면 형상이 상기 암하우징(53)의 외면 형상과 대응된다.
상기 숫하우징(63)에는 체결레버(69)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레버(69)는 상기 숫하우징(63)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일측이 상기 암하우징(63)의 걸림턱(59)에 걸어져 암하우징(53)과 숫하우징(63)이 서로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 체결레버(69)는 선단이 상기 삽입공간(67)의 내부로 연장되고 후단이 상기 숫하우징(63)의 후단으로 연장된다. 즉, 상기 체결레버(69)는 선단부는 상기 숫하우징(63)의 내부에 위치되고 후단부는 상기 숫하우징(63)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숫하우징(63)의 일측을 관통하여 위치된다.
상기 체결레버(69)는 상기 숫하우징(63)의 외면에서 돌출된 연결부(71)와 상기 연결부(71)에서 상기 삽입공간(67)으로 연장되는 선단체결부(73), 그리고, 상기 연결부(71)에서 숫하우징(63)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조작부(77)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71)는 상기 선단체결부(73) 및 조작부(77)의 연장방향에 대해 수직하는 방향으로 숫하우징(63)에서 돌출되는 것이 좋고, 상기 체결레버(69)는 대체로 'T'자 형상으로 되는 것이 좋다. 하지만, 반드시 체결레버(69)의 형상이 본 실시예의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조작부(77)를 누르면 상기 선단체결부(73)가 상기 걸림턱(59)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선단체결부(73)의 선단은 상기 삽입공간(67)의 내부에 위치되어야 하는데, 상기 선단체결부(73)가 상기 삽입공간(67)에서 돌출되는 정도는 최소한 상기 숫터미널이 숫터미널안착부(65)에서 돌출되는 것보다 더 돌출되어야 한다. 이는 상기 숫터미널이 상기 삽입공간(67) 내부로 삽입되는 것(예를 들어 비정상적으로 삽입되는 암하우징(53) 그리고 또 다른 숫하우징(63))에 의해 힘을 받아 소성변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체결레버(69)에는 상기 선단체결부(73)에서 상기 조작부(77)까지 연장되게 걸이슬롯(75)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슬롯(75)의 양단은 각각 상기 선단체결부(73)와 조작부(77)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상기 선단체결부(73)측의 상기 걸이슬롯(75)의 단부에는 상기 걸림턱(59)이 삽입되어 걸어진다. 상기 걸림턱(59)이 상기 걸이슬롯(75)에 걸어지면 상기 암하우징(53)과 숫하우징(63)이 서로 체결된 상태가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가 사용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암커넥터(51)와 숫커넥터(61)는 각각 암하우징(53)과 숫하우징(63)의 내부에 각각 암터미널과 숫터미널이 설치된다. 물론 각각의 터미널에는 와이어(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되거나, 터미널이 예를 들면 인쇄회로기판의 통공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실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암커넥터(51)와 숫커넥터(61)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암커넥터(51)의 암하우징(53)선단이 상기 숫커넥터(61)의 숫하우징(63)의 삽입공간(67)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리브(53')는 가이드채널(63')을 따라 안내되어 삽입위치를 안내한다.
만약, 상기 걸림턱(59)이 있는 부분이 상기 숫하우징(63)의 체결레버(69)가 있는 쪽이 아닌 반대쪽으로 삽입되면, 상기 체결레버(69)의 선단체결부(73)가 상기 암하우징(53)의 선단을 지지하여 암하우징(53)이 더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간섭회피공간(57)이 있는 쪽이 상기 체결레버(69)쪽에 위치하도록 되어 암하우징(53)이 숫하우징(63)의 삽입공간(67)으로 삽입되면, 암하우징(53)이 숫하우징(63)의 내부로 정상적으로 삽입된다.
이와 같이 암하우징(53)이 숫하우징(63)의 내부로 어느 정도 삽입되면, 상기 걸림턱(59)의 선단, 즉 안내경사면(59')의 선단에 상기 체결레버(69)의 선단체결부(73)가 위치하게 된다. 계속하여 암하우징(53)이 삽입되면, 상기 체결레버(69)의 선단체결부(73)가 상기 안내경사면(59')을 따라 안내되어 체결레버(69)의 선단체결부(73)가 암하우징(53)의 외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상기 암하우징(53)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체결레버(69)의 선단체결부(73)가 상기 안내경사면(59')을 통과하면서, 걸이슬롯(75)에 상기 걸림턱(59)이 안착되고 상기 체결레버(69)는 원형으로 복원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상기 암하우징(53)과 숫하우징(63)은 서로 체결상태가 된다. 물론, 상기 암하우징(53)과 숫하우징(63)의 터미널들도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암하우징(53)과 숫하우징(63) 사이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체결레버(69)의 조작부(77)를 눌러주면 된다. 즉, 상기 조작부(77)를 눌러주면 상기 체결레버(69)의 선단체결부(73)가 들어올려지면서 상기 걸림턱(59)이 상기 걸이슬롯(75)에서 빠져, 상기 암하우징(53)과 숫하우징(63)이 분리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체결레버(69)의 조작부(77)를 누르면서 암하우징(53)과 숫하우징(63)이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당겨주면 이들이 분리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일반적인 커넥터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숫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1: 암커넥터 53: 암하우징
55: 암터미널안착부 57: 간섭방지공간
59: 걸림턱 61: 숫커넥터
63: 숫하우징 65: 숫터미널안착부
67: 삽입공간 69: 체결레버
71: 연결부 73: 선단체결부
75: 걸이슬롯 77: 조작부

Claims (5)

  1. 암터미널과, 상기 암터미널이 안착되는 암터미널안착부가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외면에 오목하게 들어가게 형성된 간섭방지공간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암하우징으로 구성되는 암커넥터와;
    상기 암터미널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숫터미널과, 상기 숫터미널이 안착되는 숫터미널안착부가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암하우징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상기 숫터미널안착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에 걸어지는 체결레버가 내외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숫하우징으로 구성되는 숫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결레버의 선단은 상기 숫하우징의 삽입공간 내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숫터미널안착부에서 숫터미널이 안착된 정도보다 더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레버는 상기 숫하우징에서 돌출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삽입공간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단체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숫하우징의 외부 후단을 향해 연장되는 조작부와, 상기 선단체결부와 조작부에 인접한 위치까지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이 위치되는 걸이슬롯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조립체.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숫하우징의 외면에서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레버의 조작부를 눌렀을 때 상기 선단체결부가 걸림턱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도록 'T'자 형상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방지공간은 상기 체결레버가 위치되는 곳으로 적어도 상기 숫하우징의 선단쪽이 개방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조립체.
KR1020090107633A 2009-11-09 2009-11-09 커넥터조립체 KR101613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633A KR101613695B1 (ko) 2009-11-09 2009-11-09 커넥터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633A KR101613695B1 (ko) 2009-11-09 2009-11-09 커넥터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998A KR20110050998A (ko) 2011-05-17
KR101613695B1 true KR101613695B1 (ko) 2016-04-19

Family

ID=44361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7633A KR101613695B1 (ko) 2009-11-09 2009-11-09 커넥터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36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7979A (ko) 2021-03-12 2022-09-20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비방수 조인트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117B1 (ko) * 2012-09-04 2014-07-25 주식회사 연호전자 커넥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0362A (ja) 2006-02-14 2007-08-30 Jst Mfg Co Ltd 電気コネクタ,それを含む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およびそれに含まれるロック解除阻止部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0362A (ja) 2006-02-14 2007-08-30 Jst Mfg Co Ltd 電気コネクタ,それを含む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およびそれに含まれるロック解除阻止部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7979A (ko) 2021-03-12 2022-09-20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비방수 조인트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998A (ko) 2011-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9233B2 (en) Female terminal having an outwardly bulging lance locking portion on a folded U-shaped plate
US7252556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locking claw
KR101329952B1 (ko) 전기 커넥터
KR100811574B1 (ko) 로크 기구 부착 커넥터 어셈블리
JP6001642B2 (ja) エアバッグコネクターシステム
JP5258001B2 (ja) 付加的な端子ロック機能を備えるコネクタ
US6280262B1 (en) Connector
KR101998077B1 (ko)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
US7462070B2 (en) Connector having lock mechanism
US20100055961A1 (en)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for electrical connector
CN113437576A (zh) 第一连接器、第二连接器及电连接器组合
JP2013526764A (ja) プラグイン・コネクタおよびプラグイン・モジュールシステム
EP1548894B1 (en) A connector
US6116914A (en) Connector for a circuit board
US6659794B2 (en) Connector for connecting FFC
KR101613695B1 (ko) 커넥터조립체
US11557856B2 (en) Connector lock structure
US5066253A (en) Electric connector with a terminal locking mechanism
JP2004362973A (ja) 端子金具
JP2009054518A (ja) ロック機能付電気コネクタ
US5498171A (en) Connector locking and unlocking configuration
KR200476338Y1 (ko) 커넥터
US6488547B2 (en) Connector with longitudinally spaced locks for retaining terminal fittings
KR101578128B1 (ko) 커넥터 조립체
TWI433402B (zh) Joint connec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