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7979A - 비방수 조인트 커넥터 - Google Patents

비방수 조인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7979A
KR20220127979A KR1020210032443A KR20210032443A KR20220127979A KR 20220127979 A KR20220127979 A KR 20220127979A KR 1020210032443 A KR1020210032443 A KR 1020210032443A KR 20210032443 A KR20210032443 A KR 20210032443A KR 20220127979 A KR20220127979 A KR 20220127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ear cover
tpa member
coupled
join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2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5898B1 (ko
Inventor
빈옥인
김도현
Original Assignee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2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5898B1/ko
Publication of KR20220127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7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방수 조인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차량 등에서 전장 부품 사이에 전기적으로 공통되는 신호를 제공하거나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으며, 비방수 조인트 커넥터의 리어 커버는 티피에이 부재가 잠금 위치에 미체결 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으며, 리어 커버는 티피에이 부재가 완전 체결되는 경우에 한해 하우징에 조립 체결될 수 있는 바, 커넥터의 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비방수 조인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방수 조인트 커넥터{NON-WATERPROOF TYPE JOINT CONNECTOR}
본 발명은 차량 등에서 전장 부품 사이에 전기적으로 공통되는 신호를 제공하거나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는 비방수 조인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차량의 전원부와 서로 다른 전장 부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용도를 갖는다. 이를 위해, 커넥터는 대개 암, 수 커넥터로 구성되며, 각 커넥터의 하우징에는 와이어링 서브가 연결되거나 또는 예를 들어, 탭 터미널 등이 배치될 수 있다.
그 다음, 암, 수 커넥터를 서로 끼움 결합시키면 와이어링 서브는 탭 터미널을 중간 매개체로 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커넥터를 종래와 같이 암, 수 커넥터로 분리하여 생산 조립하는 것은 부품 수의 증가로 유지 관리 비용과 전체적인 생산 단가를 증가시킨다. 또한, 암, 수 커넥터를 조립 체결하는 공정이 추가되어 불량률이 더 발생하게 되고, 동시에 생산성을 저하시킨다.
차량 등에 사용되는 커넥터에서 일부 전장 부품에 대한 전기적 연결 상태가 의도하지 않게 해제되면 안전에 심각한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 그래서, 품질 관리가 특별히 더 중요하다. 이를 위해, 커넥터에는 와이어링 서브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예를 들어 이탈 방지 부재 등이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 이탈 방지 부재는 작업자가 수작업을 해야 체결 가능하여, 특히 미성숙한 작업자에 의해 덜 체결되는 등의 체결 불량이 발생하곤 하였다.
또한, 체결 작업이 완료된 경우에도 작업자는 불량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일일이 육안으로 검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이탈 방지 부재는 커넥터에 완벽하게 체결된 경우라도 외력이 가해지면 커넥터에서 분리 이탈될 수 있어 품질 신뢰성에 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88888호 (2020년03월13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조인트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3695호(2016년04월19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커넥터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88888호 (2020년03월13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3695호(2016년04월19일)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커넥터 하우징을 단일 개로 형성하여 부품의 수를 감소시키고, 생산 원가를 절감하며, 조립 공정의 수를 줄일 수 있는 비방수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티피에이 부재와 리어 커버의 견고한 고정을 통해 터미널이 커넥터에서 분리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즉 터미널이 커넥터의 진동이나 낙하 등의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전기적 접속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비방수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방수 조인트 커넥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도전성 탭 터미널; 상기 탭 터미널과 직교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며, 터미널부를 고정시키는 티피에이 부재; 및 상기 탭 터미널이 노출되는 부분이 덮이도록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서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결합 고정되는 리어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리어 커버가 결합 시 상기 티피에이 부재는 상기 리어 커버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대한 체결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티피에이 부재는 양측면에 형성되는 걸림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걸림 돌기에 대응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티피에이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결합 시 잠금 위치로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티피에이 부재를 안착홈에서 하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터미널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 일측에는 상기 리어 커버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에는 상기 리어 커버의 탄성부에 돌출 형성된 걸림 돌기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 돌기의 전단에는 하우징에 결합이 용이하도록 전방으로 하향 경사진 돌기 안내면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티피에이 부재는 양측단 하측에 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리어 커버는 양측단 상측에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티피에이 부재의 돌출부의 상면에 상기 리어 커버의 돌출부가 맞물림 결합되어 고정되어 외부의 충격에도 티피이에 부재가 안착홈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티피에이 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안착홈에 정상 결합되지 않고 잠금 위치를 벗어나 일부 돌출된 상태에서 리어 커버를 결합하는 경우, 상기 티피에이 부재의 돌출부가 결합 위치가 아닌 곳에 위치하게 되므로, 리어 커버의 돌출부가 상호 충돌하여 티피에이 부재의 정상 결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우징은 종래 암, 수 하우징으로 분리되어 사용되던 방식에서 벗어나 단일 개로 형성되어 부품의 수를 감소시키고,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조립 공정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비방수 조인트 커넥터의 티피에이 부재는 결합 위치에서 하우징에 거치될 수 있고, 터미널부가 삽입되어 탭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티피에이 부재는 잠금 위치에서 터미널부를 고정시켜 터미널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비방수 조인트 커넥터의 리어 커버는 티피에이 부재가 잠금 위치에 미체결 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으며, 리어 커버는 티피에이 부재가 완전 체결되는 경우에 한해 하우징에 조립 체결될 수 있는 바, 커넥터의 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비방수 조인트 커넥터의 리어 커버는 하우징과 체결되면 탭 터미널의 노출되는 부분이 덮히도록 형성되며, 리어 커버를 통하여 터미널부가 결합된 커넥터에 진동이나 낙하 등의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탭 터미널과 티피에이 부재가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리어 커버가 하우징과 체결 시 완전 체결되었는지 체결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티피에이 부재와 상호 맞물려 체결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방수 조인트 커넥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방수 조인트 커넥터의 조립 시 검지 기능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방수 조인트 커넥터의 조립 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B-B' 방향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에 터미널부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피에이 부재가 터미널 단자를 잠금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 커버의 결합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커버의 결합 후 체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방수 조인트 커넥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방수 조인트 커넥터의 조립 시 검지 기능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방수 조인트 커넥터의 조립 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A-A' 방향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B-B' 방향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에 터미널부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피에이 부재가 터미널 단자를 잠금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 커버의 결합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커버의 결합 후 체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비방수 조인트 커넥터에는 터미널부(10), 하우징(20), 리어 커버(30), 티피에이(TPA) 부재(40) 및 탭 터미널(50)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방수 조인트 커넥터에는 터미널부(10)가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커넥터는 단일 개의 하우징(20)으로 형성되며, 리어 커버(30)가 하우징(20)의 일 측에서 삽입되어 하우징(20)에 내부에서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종래 커넥터가 암, 수 커넥터로 분리되어 사용되던 구조에서 전혀 다른 구조로 설계되어 변경되어, 그 결과 단일 커넥터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터미널부(10)는 전기적 신호 및 전류를 통전시키는 역할을 진행할 수 있다.
하우징(20)은 터미널부(10) 및 탭 터미널(50) 단자를 보호하며, 다수 회로를 한번에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리어 커버(30)는 하우징 조립체의 후단에 탭 터미널(50) 단자 삽입부를 보호하며, 티피에이(TPA) 부재(40)은 하우징(20)에 고정된 터미널부(10)를 2차 잠금 역할을 진행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탭 터미널(50)은 전기적 회로를 구성하여 전류를 통전시키는 역할을 하며 하우징 내부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하우징(20)은 그 내부에서 탭 터미널(50)과 터미널부(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며, 동시에 하우징(20)은 탭 터미널(50)과 터미널부(10)의 연결 부분을 보호한다. 이를 위해 하우징(20)은 외부의 충격에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갖는다.
하우징(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면에 탭 터미널(5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되는 탭 터미널(50)은 탭 터미널(50)의 단부가 하우징(20)의 타 측면을 향하도록 하우징(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0)의 타 측면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부(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균등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 분할된 개구(23)가 형성되어 있다. 즉, 하우징(20)의 일 측면 및 타 측면을 통해 각각 삽입되는 탭 터미널(50)과 터미널부(10)는 하우징(20) 내부에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0)의 상부면에는 티피에이 부재(4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안착홈(24)이 형성되어 있다. 안착홈(24)을 구성하는 하우징(20)의 내측 걸림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티피에이 부재(40)의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 돌기(42)를 통해 하우징(20)의 걸림부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0)의 하부면에는 비방수 조인트 커넥터를 소정의 설치 대상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클램프부(28)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0)은 사출 성형되어 단일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부품 관리가 용이해지고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0)의 상부면 일측에는 리어 커버(30)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걸림홈(21a,21b)이 리어 커버(30)와 결합되는 결합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21a,21b)에는 리어 커버(30)의 탄성부(32a, 32b)에 형성된 걸림 돌기(31a,31b)가 결합 후 걸림 고정될 수 있다. 걸림 돌기는 탄성부에서 상방향으로 걸림홈에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 돌기(31a, 31b)는 전단에는 하우징에 결합이 용이하도록 전방으로 하향 경사진 돌기 안내면이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부의 하측에는 탄성부(32a,32b)가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공간부(S)를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리어 커버(30)가 하우징(20)내에 결합 시 돌기 안내면과 하우징(20)의 일단면이 접촉되면서 결합 돌기가 구비된 탄성부가 하향 변형된다. 이후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되며 걸림홈(21a, 21b)에 수직하게 삽입된다.
즉, 하우징(20)에 리어 커버(30)를 결합시키는 경우, 하우징(20)의 배면에서 리어 커버(30)를 밀어 넣는 방식으로 삽입 가능하며, 안내면을 통해 쉽게 삽입시킬 수 있다.
그리고, 리어 커버의 상단이 하우징 내측에 밀착되어 결합되며, 탄성부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 돌기(31a,31b)가 걸림홈(21a,21b)에 지지된 상태로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리어커버(30)를 유동 없이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상부면에 걸림홈(21a, 21b)이 관통 형성되어, 리어 커버(30)의 걸림 돌기(31a, 31b)가 결합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리어 커버(30)와 하우징(20)의 결합 상태를 확인하여, 리어 커버(30)가 잠금 위치에 미체결 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티피에이 부재(40) 및 리어 커버(20)의 체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각 구성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커넥터의 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탭 터미널(50)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며, 하우징(20) 내에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가 하우징(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탭 터미널(50)의 단부에는 터미널부(10)가 결합되는데, 그 결과 복수 개의 터미널부(10)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즉 탭 터미널(50)은 그 개수만큼 공통된 전기적 신호를 터미널부(10)에 등에 분배할 수 있다.
탭 터미널(50)은 하우징(20)에 압입되어 고정되는 방법으로 사용되며, 탭 터미널(50)에는 단자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20)에는 이에 대응되는 탭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탭 고정부는 단자 돌기가 걸림 결합되도록 하여 탭 터미널이 하우징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탭 터미널과 터미널부와의 결합 구조는 공개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티피에이 부재(40)가 하우징(20)에 조립되면 터미널부(10)를 고정함과 동시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티피에이 부재(40)는 탭 터미널(50)과 직교 방향으로 하우징(20)에 삽입 결합된다.
티비에이 부재(40)는 양단에 후방으로 돌출된 돌출구조(45a,45b)를 가진다. 그리고, 티피에비 부재(40)는 터미널부(10)가 통과되는 삽입공(46)이 적어도 하나 이상 서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삽입공(46)은 일렬로 나열될 수 있으며, 단수 층 또는 복수 층의 터미널부(10)가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삽입공(46)에는 터미널부(10)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는 고정편(47)이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공은 기존에는 상층부와 하층부에 모두 터미널부(10)가 삽입되는 형태로 형성되었으나 본원발명의 티피에이 부재(40)의 삽입공(46)은 상층부에만 형성되고, 하층부에는 고정편(47)만 형성되어, 티피에이 부재(40)를 보다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다.
티피에이 부재(40)의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 돌기(42)를 통해 티피에이 부재(40)가 안착홈(24)에 걸림 결합되도록 하며, 이때 걸림 돌기(42)는 티피에이 부재(40)가 하우징(20)에 결합될 때 잠금 위치로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것에 의해 터미널부(10)는 잠금 위치에서 티피에이 부재(40)에 걸림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터미널부(10)는 티피에이 부재(40)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편(47)에 의해 걸림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티피에이 부재(40) 및 리어 커버의 결합만으로도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는 터미널부(10)와 탭 터미널(50)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맞추어 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 비방수 조인트 커넥터에 예를 들어, 낙하 등에 의한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티피에이 부재(40)가 잠금 위치에서 이탈되어 하우징(2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티피에이 부재(40)에 양측단 하측에 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45a,45b)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는 리어 커버(30)의 양측단 상측에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35a,35b)와 맞물림 결합되어 고정되어 외부의 충격에도 티피이에 부재(40)가 안착홈(24)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즉, 티피에이 부재(40)의 하측 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45a,45b)가 리어커버(30)의 상측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35a,35b)가 맞물려 티피에이 부재(40)가 충격에 의해 안착홈을 이탈하려고 하는 경우, 리어커버의 돌출부(35a,35b)로 인하여 티피에이 부재의 돌출부(45a,45b)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고 있어, 견고하게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리어 커버(30)는 하우징(20)에 각각 삽입되어 있는 탭 터미널(50)이 노출되는 부분이 덮히도록 하우징에 체결되어 탭 터미널(50)이 하우징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리어커버(30)를 통하여 탭 터미널(50)과 티피에이 부재(40)가 하우징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각 구성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여, 리어 커버를 통하여 터미널부가 결합된 커넥터에 진동이나 낙하 등의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탭 터미널과 티피에이 부재가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도 8(a)는 티피에이 부재(40)의 결합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b)는 티피에이 부재(40)의 잠금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9는 티피에이 부재(40)가 결합된 상태에서 리어 커버(30)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 10은 하우징(20)에 리어 커버(30)의 결합 후 체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우징(20) 안착홈(24)에 티피에이 부재(40)를 삽입시키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홈(24)에 위치하여 안착된 상태로 결합되며, 이때 티피에이 부재(40)를 가압하여 눌러주면 걸림 돌기를 통해 하우징의 걸림부에 걸려 걸림 위치에 도 8(b)와 같이 티피에이 부재가 완전히 삽입되어 체결된 상태로 잠금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리어 커버(30)는 티피에이 부재(40)가 잠금 위치에서 조립 미숙이나 불량 등으로 안착홈의 외측으로 일부 돌출되는 경우, 티피에이 부재(40)의 돌출부(45a,45b)가 결합 위치가 아닌 곳에 위치하게 되므로, 리어 커버(30)의 결합 시 리어 커버(30)의 돌출부(35a,35b)가 상호 충돌하여 하우징에 완전하게 체결되지 않는다.
즉, 리어 커버(30)는 피티에이 부재(40)가 잠금 위치에서 미체결 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여, 티피에이 부재(40)가 완전 체결되는 경우에 한해 리어 커버(30)는 하우징(20)에 조립 체결될 수 있는 바, 그로 인해 커넥터의 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조립 체결 시 티피에이 부재(40)의 돌출부(45a)에 형성된 경사면(45c)가 리어커버(30)에 형성된 안착면(36c)에 상호 맞닿아 안착되고, 리어커버(30)의 돌출부(35a)에 형성된 경사면(34c)가 티피에이 부재(40)에 형성된 안착면(46c)에 상호 맞닿아 안착되어 고정된다.
그러나 티피에이 부재(40)가 하우징(20)의 안착홈(24)에 정상 체결되지 않고 하우징의 상부로 일부 돌출된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티피에이 부재(40)의 돌출부(45a)의 경사면(45c)와 리어커버(30)의 돌출부(35a)의 경사면(35c)가 상호 간섭하여 정상 결합되지 않는다.
이로 인하여, 티피에이 부재(40)의 정상 결합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티피에이 부재(40)가 정상 결합 시에만 리어 커버(30)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티피에이 부재(40) 및 리어 커버(30)에 형성된 경사면은 정상 결합되지 않고 상호 간섭 발생 시 반복하여 진행되는 경우 돌출부의 파손이 발생될 수 있어 경사면을 통하여 파손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경사면을 통해 티피에이 부재(40)가 정상 결합을 위해 하향으로 이동 시 리어 커버(30)를 후방으로 밀어내어 티피에이 부재(40)의 미체결 여부를 안내할 수 있으며, 티피에이 부재(40) 체결 후 리어 커버(30)가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리어커버(30)에는 하우징(20)과 결합 시 탭 터미널(50)을 보호하며 결합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부(38)가 후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탭 터미널(50)에 접촉되어 탭 터미널(50)의 미세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지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리어 커버(30)는 사출 성형 등으로 일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리어커버는(30)는 탭 터미널(50)이 삽입되는 하우징(20)의 일측면이 덮이도록 결합되어 고정되어 탭 터미널을 보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방수 조인트 커넉터에 터미널부(10)가 삽입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면, 잠금 위치에서 터미널부(10)는 티피에이 부재(40)에 형성된 고정편(47)에 의해 걸림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티피에이 부재(40)는 잠금 위치에서 리어 커버(30)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되므로 리어 커버(30)의 결합을 해제하지 않는 이상 안착홈(24) 내에서 안정적으로 그 결합 상태를 지속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방수 조인트 커넥터의 하우징은 종래 암, 수 하우징으로 분리되어 사용되던 방식에서 벗어나 단일 개로 형성되어 부품의 수를 감소시키고,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조립 공정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비방수 조인트 커넥터의 티피에이 부재는 결합 위치에서 하우징에 거치될 수 있고, 터미널부가 삽입되어 탭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티피에이 부재는 잠금 위치에서 터미널부를 고정시켜 터미널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비방수 조인트 커넥터의 리어 커버는 티피에이 부재가 잠금 위치에 미체결 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으며, 리어 커버는 티피에이 부재가 완전 체결되는 경우에 한해 하우징에 조립 체결될 수 있는 바, 커넥터의 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비방수 조인트 커넥터의 리어 커버는 하우징과 체결되면 탭 터미널의 노출되는 부분이 덮히도록 형성되며, 리어 커버를 통하여 터미널부가 결합된 커넥터에 진동이나 낙하 등의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탭 터미널과 티피에이 부재가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리어 커버가 하우징과 체결 시 완전 체결되었는지 체결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티피에이 부재와 상호 맞물려 체결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비방수 조인트 커넥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가지 실시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설명 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터미널부(Female Terminal)
20: 하우징(Housing)
30: 리어 커버(Rear cover)
40: 티피에이(TPA) 부재
50: 탭 터미널(Tab Terminal)

Claims (7)

  1. 비방수 조인트 커넥터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도전성 탭 터미널;
    상기 탭 터미널과 직교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며, 터미널부를 고정시키는 티피에이 부재; 및
    상기 탭 터미널이 노출되는 부분이 덮이도록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서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결합 고정되는 리어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리어 커버가 결합 시 상기 티피에이 부재는 상기 리어 커버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대한 체결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방수 조인트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티피에이 부재는 양측면에 형성되는 걸림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걸림 돌기에 대응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티피에이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결합 시 잠금 위치로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방수 조인트 커넥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티피에이 부재를 안착홈에서 하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터미널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방수 조인트 커넥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 일측에는 상기 리어 커버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에는 상기 리어 커버의 탄성부에 돌출 형성된 걸림 돌기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방수 조인트 커넥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기의 전단에는 하우징에 결합이 용이하도록 전방으로 하향 경사진 돌기 안내면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방수 조인트 커넥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티피에이 부재는 양측단 하측에 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리어 커버는 양측단 상측에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티피에이 부재의 돌출부의 상면에 상기 리어 커버의 돌출부가 맞물림 결합되어 고정되어 외부의 충격에도 티피이에 부재가 안착홈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방수 조인트 커넥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티피에이 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안착홈에 정상 결합되지 않고 잠금 위치를 벗어나 일부 돌출된 상태에서 리어 커버를 결합하는 경우, 상기 티피에이 부재의 돌출부가 결합 위치가 아닌 곳에 위치하게 되므로, 리어 커버의 돌출부가 상호 충돌하여 티피에이 부재의 정상 결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방수 조인트 커넥터.

KR1020210032443A 2021-03-12 2021-03-12 비방수 조인트 커넥터 KR102525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443A KR102525898B1 (ko) 2021-03-12 2021-03-12 비방수 조인트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443A KR102525898B1 (ko) 2021-03-12 2021-03-12 비방수 조인트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7979A true KR20220127979A (ko) 2022-09-20
KR102525898B1 KR102525898B1 (ko) 2023-04-26

Family

ID=83446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2443A KR102525898B1 (ko) 2021-03-12 2021-03-12 비방수 조인트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589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6645A (ja) * 1997-03-26 1998-12-08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KR20060104271A (ko) * 2005-03-30 2006-10-09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조인트 커넥터
KR101613695B1 (ko) 2009-11-09 2016-04-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조립체
KR101783862B1 (ko) * 2016-06-16 2017-10-1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일체형 조인트 커넥터
KR101982806B1 (ko) * 2017-12-28 2019-09-03 주식회사 유라 피메일 방수 조인트 하우징
KR102088888B1 (ko) 2018-12-26 2020-03-13 주식회사 경신 조인트 커넥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6645A (ja) * 1997-03-26 1998-12-08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KR20060104271A (ko) * 2005-03-30 2006-10-09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조인트 커넥터
KR101613695B1 (ko) 2009-11-09 2016-04-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조립체
KR101783862B1 (ko) * 2016-06-16 2017-10-1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일체형 조인트 커넥터
KR101982806B1 (ko) * 2017-12-28 2019-09-03 주식회사 유라 피메일 방수 조인트 하우징
KR102088888B1 (ko) 2018-12-26 2020-03-13 주식회사 경신 조인트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5898B1 (ko) 202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0271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uel injector and terminals therefor
EP1710872B1 (en) Connector
JP4827971B2 (ja)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の固定構造
JP3985570B2 (ja) 電気接続箱
US20130171857A1 (en) Electrical Connector
US9917401B2 (en) Wire-to-board connector assembly
US11509088B2 (en) Dual row low profile high voltage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ying thereof
US6159047A (en) Electrical connector
CN107482369B (zh) 连接器和连接器组件
KR101105537B1 (ko) 분할형 커넥터
US20060116017A1 (e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11495897B2 (en) Electric connection part
KR20220127979A (ko) 비방수 조인트 커넥터
JPH08213109A (ja) ネジ締め型コネクタの接続構造
US7048583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chanism
KR100952811B1 (ko) 차폐용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차폐용 커넥터 세트
US6386923B2 (en) Assembling structure of electronic unit to electrical connecting box
US6817884B1 (en) Multi-I/O-port-41-channel connector
US20240106149A1 (en) Connector
KR102385903B1 (ko) 커넥터
US10044142B1 (en) Connector locking holder
KR101404637B1 (ko) 차량용 컨벤셔널 박스
JP5071732B2 (ja) 電線カバー付きコネクタ
KR20230132284A (ko) 차량용 커넥터
US7044766B2 (en) Automotive electrical connection box and method of assembl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