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3668B1 - 연속주조용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주조용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3668B1
KR101613668B1 KR1020150059594A KR20150059594A KR101613668B1 KR 101613668 B1 KR101613668 B1 KR 101613668B1 KR 1020150059594 A KR1020150059594 A KR 1020150059594A KR 20150059594 A KR20150059594 A KR 20150059594A KR 101613668 B1 KR101613668 B1 KR 101613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nozzle
cooling tube
tub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9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유신소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유신소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유신소재
Priority to KR1020150059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36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4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4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ooling
    • B22D11/1241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ooling by transporting the cast stock through a liquid medium bath or a fluidized b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연속주조용 냉각장치는, 도가니에 결합된 피더튜브로부터 배출되는 용융된 금속을 냉각시켜 고체 상태의 주편을 연속적으로 배출하되,
상기 피더튜브와 결합되고 용융된 금속이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노즐;
상기 노즐과 결합되고 내부에 금속 주편이 지나가는 홀이 형성되며, 냉각수가 유입 및 배출되어 노즐 및 금속 주편을 냉각시키는 냉각튜브구조체;
상기 노즐에는 제1냉각튜브에 결합되는 나사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냉각튜브구조체의 홀의 일측에는 상기 노즐과 나사결합되는 노즐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냉각튜브구조체와 노즐의 접촉면을 증가시킴으로써, 냉각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연속주조용 냉각장치의 재질 및 구조를 개선하여 냉각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주편의 생산 속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연속주조용 냉각장치{COOLER FOR CONTINUOUS CASTING}
본 발명은 연속주조용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노즐과 냉각튜브구조체의 결합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열전달 효율을 증가시키고, 장착이 용이하며 내구성이 뛰어난 연속주조용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속주조는 소성가공의 소재인 잉곳을 비교적 길게 만드는 방법으로 용해금속을 주형에 연속적으로 주입하고 응고시켜서 만드는 가공 방법이다. 보통 판, 봉, 선, 관형의 주편을 생산하게 된다.
연속주조법에는 용해금속을 쌍롤 등을 통해 수직방향으로 배출시키면서 물을 주편에 직접 뿌려 냉각하는 수직연속 주조법과, 가벼운 압출력을 가하거나 핀치 롤 구동에 의한 인발을 통하여 주형 사이를 통과한 주편을 수평으로 배출시키는 수평연속 주조법이 있다.
통상적으로 봉 형태의 주편을 생산함에 있어서는, 도가니 내부에 용해된 금속을 주형에 연속적으로 통과시키면서 냉각수의 순환을 통한 간접적인 냉각으로 주편을 냉각시키는데, 주편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가 주형의 역할을 동시에 하게 된다. 종래의 주형의 역할을 하는 수냉식 냉각장치는 주편이 지나가는 주위로 냉각수가 흘러 주편을 냉각하되, 구리 재질의 냉각장치의 내부 전체를 따라 흑연 재질의 노즐을 끼움결합하고, 노즐을 통과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냉각장치는 흑연재질의 노즐과 구리 재질의 냉각장치 간의 접촉이 긴밀하여야 열전달에 의한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어, 노즐을 냉각장치의 내부에 억지 끼움하여 사용하였는데, 이 경우 노즐의 열파손 등으로 인하여 노즐을 교체하여야 하는 경우 노즐의 교체가 어렵고, 노즐을 끼우는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노즐과 냉각장치 간의 접촉력이 달라지고 이에 따른 냉각 효율의 일관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었다.
또한, 냉각장치를 제작하는 소재는 열전달 효율이 높은 구리를 사용하였는데, 구리의 경도가 낮아 자주 변형되거나 파손되어 재사용이 어려운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소규모 작업장에 사용되는 소형 연속주조 냉각장치에 관하여는 기술 개발이 미미하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19628호 등과 같이 대형 연속주조 냉각장치에 대한 기술이 주류를 이루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1962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504976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종래의 연속주조용 냉각장치의 재질 및 구조를 개선하여 냉각효율을 향상시킨 연속주조용 냉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냉각장치에 노즐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작업자의 숙련도와 관계없이 쉽고 간편하게 노즐을 교체할 수 있는 연속주조용 냉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3개의 냉각튜브를 서로 삽입시켜 냉각튜브구조체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고, 냉각효율이 상승됨으로써 주편이 지나가는 가장 내부의 냉각튜브의 재질을 인청동으로 교체함으로써, 보다 내구성이 향상된 연속주조용 냉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주조용 냉각장치는, 도가니에 결합된 피더튜브로부터 배출되는 용융된 금속을 냉각시켜 고체 상태의 주편을 연속적으로 배출하되,
상기 피더튜브와 결합되고 용융된 금속이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노즐;
상기 노즐과 결합되고 내부에 금속 주편이 지나가는 홀이 형성되며, 냉각수가 유입 및 배출되어 노즐 및 금속 주편을 냉각시키는 냉각튜브구조체;
상기 노즐에는 제1냉각튜브에 결합되는 나사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냉각튜브구조체의 홀의 일측에는 상기 노즐과 나사결합되는 노즐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냉각튜브구조체와 노즐의 접촉면을 증가시킴으로써, 냉각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냉각튜브 구조체는,
내부에 금속 주편이 지나가는 홀이 형성되되, 홀의 일측에는 노즐의 일부가 나사결합되는 노즐결합부가 형성되는 관형의 제1냉각튜브;
상기 제1냉각튜브의 제1단부에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된 제2튜브결합부에 결합되고, 제1냉각튜브를 일정 간극을 두고 수용하는 제2냉각튜브;
상기 제1냉각튜브의 제2단부에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된 제3튜브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냉각튜브를 일정 간극을 두고 수용하는 제3냉각튜브;
상기 제2냉각튜브에 결합되어 상기 제1냉각튜브와 제2냉각튜브 사이의 간극(냉각유로)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유입관; 및
상기 제3냉각튜브에 결합되어 상기 제2냉각튜브와 제3냉각튜브 사이의 간극(배출유로)으로 흐르는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유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의 나사결합부와 상기 노즐이 상기 피더튜브와 결합되는 결합단부 상이에는 상기 냉각튜브구조체와 인접하고 노즐의 외면에 결합되는 제1보온링과, 상기 피더튜브에 접촉하고 상기 노즐의 외면에 결합되는 제2보온링 및 상기 제1보온링 및 제2보온링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노즐의 외면에 결합되는 카본링을 포함하여, 금속 주편이 겔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완충구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튜브는 구리에 비해 강도가 높은 인청동으로 제작되고, 제2튜브 및 제3튜브는 열전도가 높은 구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튜브의 전단부에는 배출 플러그가 결합되고, 상기 배출 플러그에는 상기 플러그에 형성된 단턱을 밀어 상기 노즐이 상기 피더 튜브에 고정되도록 가압하는 고정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연속주조용 냉각장치의 재질 및 구조를 개선하여 냉각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주편의 생산 속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냉각장치에 노즐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작업자의 숙련도와 관계없이 쉽고 간편하게 노즐을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3개의 냉각튜브를 서로 삽입시켜 냉각튜브구조체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고, 냉각효율이 상승됨으로써 주편이 지나가는 가장 내부의 냉각튜브의 재질을 인청동으로 교체함으로써,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주조용 냉각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주조용 냉각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주조용 냉각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냉각튜브조립체(180)의 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주조용 냉각장치가 설치된 연속주조기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노면 결빙 방지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주조용 냉각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주조용 냉각장치(100)의 분리사시도 이며,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주조용 냉각장치(100)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속주조용 냉각장치(100)는 냉각튜브조립체(180) 및 노즐(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정한 굵기와 길이를 가지는 주편(5)을 생산하기 위하여 도가니(10) 속에 특정 금속을 넣어 열을 가하여 융해한다. 융해된 금속은 피더튜브(20)를 통과하여 피더튜브(20)와 연결된 노즐(16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노즐(160)은 냉각튜브조립체(180)에 전방부가 결합되어 노즐(160)을 통과하는 동안 냉각된다. 노즐(160)을 통과한 후에 냉각튜브조립체(180) 내부에 형성된 홀(113)을 지나가면서 완전히 고체로 냉각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주조용 냉각장치(100)는 '냉각장치'로 표현하였으나, 냉각장치로의 역할과 동시에 주편을 일정한 굵기로 고체화 시켜 배출하는 주형의 역할도 동시에 하게 된다.
냉각튜브조립체(18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냉각튜브(110), 제2냉각튜브(120) 및 제3냉각튜브(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냉각튜브(110)는 냉각튜브조립체(180)의 가장 내부에 위치하는 냉각튜브로 중심에 주편이 지나가는 홀이 형성되며, 노즐(160)이 결합되는 노즐결합부(115)가 형성된다. 종래에는 노즐(160)이 냉각튜브 내부 전체에 걸쳐 끼움결합되고 노즐(160)과 냉각튜브와의 면접촉을 통해 열전달이 이루어졌다. 이 경우 열전달 효율을 위해 노즐(160)을 냉각튜브에 억지끼움 형태로 결합하게 되는데,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노즐(160)과 냉각튜브 내부면 사이에 불규칙한 접촉이 발생하여 냉각속도가 저하되고 결과적으로 주편의 생산속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제1냉각튜브(110)의 내부 일측에 노즐(160)의 전방부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고, 노즐(160)을 회전시켜 제1냉각튜브(110)와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하였다. 나사결합의 장점은 제1냉각튜브(110)와 노즐(160)이 결합되는 면적을 넓혀줌으로써, 냉각효율이 증가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되고, 노즐(160)과 제1냉각튜브(110)의 결합길이를 종래보다 짧게 하여도 종래와 같은 냉각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냉각튜브(110)의 재질을 종래의 구리 재질보다 열전달률이 낮고 강도가 높은 인청동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냉각장치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제1냉각튜브(110)의 양 단부에는 제2튜브결합부(111) 및 제3튜브결합부(113)가 형성된다. 제1단부에는 제2튜브결합구(111)가 형성되고 제2단부에는 제3튜브결합부(112)가 형성된다. 제2튜브결합부(111) 및 제3튜브결합부(112)는 제1냉각튜브(110)의 외면 둘레를 따라 돌출되는 링형태로 제작된다. 제2냉각튜브(120)결합부의 외측면은 제2냉각튜브(120)의 내면과 접촉하여 결합된다. 제2튜브결합부와 제2냉각튜브(120)는 용접으로 결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제1냉각튜브(110)와 제2냉각튜브(120)의 사이에는 일정한 간극이 형성되는데 이 간극(냉각유로, 51)에 유입관(125)을부터 유입된 냉각수가 흘러가면서 제1냉각튜브(110) 내부로 지나가는 주편을 냉각시키게 된다.
제3냉각튜브(130)는 제3튜브결합부(112)에 결합되되, 제3튜브결합부(112)는 제2튜브결합부(111) 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3냉각튜브(112)의 내부에 일정 간극을 두고 제2냉각튜브(120)를 수용하도록 배치된다. 이 간극(배출유로, 52)을 통해 열전달을 마친 냉각수가 유출관(13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제2냉각튜브(120)와 제3냉각튜브(130)는 열전도도가 높고 제작이 용이한 구리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즐(160)의 나사결합부(161)와 상기 노즐(160)이 상기 피더튜브(20)와 결합되는 결합단부 사이에는 상기 냉각튜브구조체(180)와 인접하고 노즐(160)의 외면에 결합되는 제1보온링(141)과, 상기 피더튜브(20)에 접촉하고 상기 노즐(160)의 외면에 결합되는 제2보온링(143) 및 상기 제1보온링(141) 및 제2보온링(143)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노즐(160)의 외면에 결합되는 카본링(142)을 포함하여, 금속 주편이 겔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온되는 완충구간을 형성한다. 도가니(10) 내부 또는 피더튜브(20) 내부에는 금속이 용융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냉각장치(100)를 통과하면서 냉각이되는데 상기 제1및 제2보온링과 카본링이 설치된 완충구간을 거치면서 서서히 온도가 낮아지면서 겔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겔상태의 금속은 냉각된 주편과 용융된 금속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원활하고 신속하게 주편을 인발할 수 있도록 한다.
제1냉각튜브(110)의 전단부에는 배출 플러그(150)가 결합된다. 배출 플러그(150)는 냉각된 주편(5)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배출 플러그(150)에는 고정수단(201)이 결합되는데, 고정수단(20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볼트(202) 및 고정너트(203)에 의해 배출 플러그(150)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고정된다. 고정너트(203)를 조이면 고정수단(201)이 배출 플러그(150)의 단턱(151)에 걸려 배출플러그(150)를 도가니(10)의 방향으로 밀게 되고, 결과적으로 냉각장치(100)를 도가니(10)에 견고하게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주조용 냉각장치를 제작 및 장착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냉각튜브조립체(180)를 구성하는 제1냉각튜브(110), 제2냉각튜브(120) 및 제3냉각튜브(130)를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형상으로 제작한다. 이 때 제1냉각튜브(110) 및 제2냉각튜브(120)는 구리재질로, 제3냉각튜브(130)는 인청동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냉각튜브(110)의 일측 내부에는 노즐(160)이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가공을 시행한다.
먼저 제1냉각튜브(110)의 제1단부를 제2냉각튜브(120)에 삽입시켜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하고, 제1냉각튜브(110)의 제2단부를 제3냉각튜브(130)에 삽입시켜 접촉된 상태에서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시킨다. 이 후 노즐(160)을 제1냉각튜브(110)의 내부로 회전시키면서 나사결합한 후 노즐(160)에 제1보온링, 카본링, 제2보온링의 순서로 삽입하여 결합한다.
결합된 냉각장치를 다이바디 내부로 관통시켜 피더튜브(20)에 결합한다. 냉각장치를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하여 배출 플러그(150)에 고정수단을 결합시킨 다음, 고정너트를 조여 고정하게 된다.
노즐(160)이 장시간의 열에 노출되어 파손된 경우에는 고정너트를 풀어 냉각장치를 분리하고, 노즐(160)을 교체한 후 다시 냉각장치를 결합하여 용이하게 재사용 할 수 있다.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속주조용 냉각장치는 노즐(160)과 냉각튜브조립체(180) 간의 열전달효율을 향상시켜 주편의 냉각속도를 증가시키고, 그 결과 주편의 생산속도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노즐(160)의 결합 분리, 냉각튜브조립체(180)의 제작이 용이하여 제작 및 교체 작업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5 : 주편
10 : 도가니
20 : 피더튜브
30 : 다이바디(die body)
51 : 냉각유로
52 : 배출유로
110 : 제1냉각튜브
120 : 제2냉각튜브
130 : 제3냉각튜브
125 : 유입관
135 : 유출관
141 : 제1보온링
142 : 카본링
143 : 제2보온링
150 : 배출 플러그
201 : 고정수단
201 : 고정볼트
203 : 고정너트

Claims (5)

  1. 도가니에 결합된 피더튜브와 결합되어, 용융된 금속이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과 결합되고 내부에 금속 주편이 지나가는 홀이 형성되어 냉각수가 유입 및 배출되어 노즐 및 금속 주편을 냉각시키는 냉각튜브구조체;를, 포함하여, 상기 피더튜브로부터 배출되는 용융된 금속을 냉각시켜 고체 상태의 주편을 연속적으로 배출하는 연속주조용 냉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각튜브구조체는,
    내부에 금속 주편이 지나가는 홀이 형성되되, 홀의 일측에는 나사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노즐의 일부가 나사결합되는 노즐결합부;와, 제1단부에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된 링 형태의 제2튜브결합부;와, 제2단부에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된 링 형태의 제3튜브결합부;를 포함하는, 관형의 제1냉각튜브;와,
    일단부의 내면이 상기 제1냉각튜브의 상기 제2튜브결합부에 결합되고, 제1냉각튜브를 일정 간극을 두고 수용하는 관형의 제2냉각튜브;와,
    일단부의 내면이 상기 제1냉각튜브의 상기 제3튜브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냉각튜브를 일정 간극을 두고 수용하는 관형의 제3냉각튜브;와,
    상기 제2냉각튜브에 결합되어 상기 제1냉각튜브와 제2냉각튜브 사이의 간극(냉각유로)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유입관; 및
    상기 제3냉각튜브에 결합되어 상기 제2냉각튜브와 제3냉각튜브 사이의 간극(배출유로)으로 흐르는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유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노즐의 일측에는, 상기 제1냉각튜브에 결합되는 나사선 형상의 나사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냉각튜브구조체와 상기 노즐의 접촉면을 증가시킴으로써, 냉각효율을 향상시키고,
    상기 노즐의 나사결합부와 상기 노즐이 상기 피더튜브와 결합되는 결합단부 사이에는, 상기 냉각튜브구조체와 인접하고 노즐의 외면에 결합되는 제1보온링과, 상기 피더튜브에 접촉하고 상기 노즐의 외면에 결합되는 제2보온링 및 상기 제1보온링 및 제2보온링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노즐의 외면에 결합되는 카본링을 포함하는 완충구간을 구비하여, 금속 주편이 상기 완충구간을 거치면서 서서히 냉각되어 겔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용 냉각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냉각튜브는 상기 노즐과 나사결합되는 상기 노즐결합부의 나사선의 내구성과 가공성을 고려하여 구리에 비해 강도가 높은 인청동으로 제작되고, 제2냉각튜브 및 제3냉각튜브는 열전도가 높은 구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용 냉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냉각튜브의 전단부에는 냉각된 주편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는 배출 플러그가 결합되고, 상기 배출 플러그에는 고정볼트 및 고정너트에 의해 상기 플러그에 형성된 단턱을 상기 도가니 방향으로 밀어 상기 노즐이 상기 피더 튜브에 고정되도록 가압하는 고정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용 냉각장치.
KR1020150059594A 2015-04-28 2015-04-28 연속주조용 냉각장치 KR101613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594A KR101613668B1 (ko) 2015-04-28 2015-04-28 연속주조용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594A KR101613668B1 (ko) 2015-04-28 2015-04-28 연속주조용 냉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3668B1 true KR101613668B1 (ko) 2016-04-29

Family

ID=55915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9594A KR101613668B1 (ko) 2015-04-28 2015-04-28 연속주조용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36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427A (ko) 2019-08-02 2021-02-10 권상철 연속 주조용 냉각튜브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 주조용 냉각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7098A (ja) * 1998-06-17 2000-01-11 Watanabe:Kk 飲料用ディスペンサー
KR100419628B1 (ko) 1999-12-15 2004-02-25 주식회사 포스코 쌍롤형 박판주조기의 주편 냉각장치
KR20050109626A (ko) * 2003-04-16 2005-11-21 콘카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연속 주조용 관형상 주형
JP2010082684A (ja) * 2008-10-02 2010-04-15 Nissan Motor Co Ltd 鋳造方法及び鋳造装置
KR101504976B1 (ko) 2012-12-26 2015-03-23 주식회사 포스코 냉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연속주조기용 세그먼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7098A (ja) * 1998-06-17 2000-01-11 Watanabe:Kk 飲料用ディスペンサー
KR100419628B1 (ko) 1999-12-15 2004-02-25 주식회사 포스코 쌍롤형 박판주조기의 주편 냉각장치
KR20050109626A (ko) * 2003-04-16 2005-11-21 콘카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연속 주조용 관형상 주형
JP2010082684A (ja) * 2008-10-02 2010-04-15 Nissan Motor Co Ltd 鋳造方法及び鋳造装置
KR101504976B1 (ko) 2012-12-26 2015-03-23 주식회사 포스코 냉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연속주조기용 세그먼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427A (ko) 2019-08-02 2021-02-10 권상철 연속 주조용 냉각튜브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 주조용 냉각 장치
KR102222896B1 (ko) * 2019-08-02 2021-03-03 권상철 연속 주조용 냉각튜브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 주조용 냉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50067B2 (ja) 金型冷却構造の製造方法
KR101377090B1 (ko) 쌍롤식 주조기와 그 작동장치 및 방법
KR101613668B1 (ko) 연속주조용 냉각장치
JP2007152425A (ja) 金型の冷却構造および冷却方法
CN108620551A (zh) 一种压铸压射冲头结构
CN106735010B (zh) 一种适用于非晶宽带制备的冷却辊
KR102222896B1 (ko) 연속 주조용 냉각튜브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 주조용 냉각 장치
US3592259A (en) Cooling means for a continuous casting mold assembly
CN208033609U (zh) 一种用于连铸结晶器的冷却结构
CN206536008U (zh) 改进的低压铸造车轮模具边模
CN217858726U (zh) 适用于压铸模具的流道冷却结构
JPS6143136B2 (ko)
CN101988134A (zh) 高炉风口中套和高炉风口装置
CN105346063A (zh) 一体式加热冷却钢塑复合管管端封口机构
CN103341598A (zh) 铜包铝复合材料铸造用结晶器
CN103008582A (zh) 一种内壁具有直翅片的铜管的连续铸造装置及方法
CN204892890U (zh) 一种铜合金线材熔炼用高效热交换装置
CN210996360U (zh) 一种多孔水平连铸结晶器
CN209062099U (zh) 一种开式冷却结构的拉矫机拉矫辊
CN208712817U (zh) 一种压铸压射冲头结构
JP3709988B2 (ja) 射出装置の加熱筒冷却装置
US2769218A (en) Continuous casting mold
KR102562789B1 (ko) 다이캐스팅 금형용 코어핀 냉각성능 향상 냉각장치
CN202591561U (zh) 新型钢锭水冷浇注模
CN206286536U (zh) 改进的车轮模具分流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