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2743B1 - 착색 콘택트렌즈 - Google Patents

착색 콘택트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2743B1
KR101612743B1 KR1020147017799A KR20147017799A KR101612743B1 KR 101612743 B1 KR101612743 B1 KR 101612743B1 KR 1020147017799 A KR1020147017799 A KR 1020147017799A KR 20147017799 A KR20147017799 A KR 20147017799A KR 101612743 B1 KR101612743 B1 KR 101612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colored
contact lens
cente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7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7491A (ko
Inventor
토모아키 요코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메니콘네쿠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메니콘네쿠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메니콘네쿠토
Publication of KR20140097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7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2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2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6Contact lenses having an iris patter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눈동자에 자연스러운 외관을 주면서, 본래의 색이나 질감을 타각적(他覺的)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디자인을 제안하고, 콘택트렌즈 본래의 제물성(諸物性)에 악영향을 주지 않고, 제조 코스트의 증가를 억제하는 착색 콘택트렌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착색 콘택트렌즈는, 투명한 중앙 시각 영역과, 그것을 둘러싸는 착색 영역을 가지는 착색 콘택트렌즈로서, 상기 착색 영역이 기본적으로는, 바다 부분의 연속된 투명부와, 섬 부분의 불연속된 착색 불투명부로 이루어지는 해도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착색 불투명부가 비늘 모양의 형상을 가지고, 렌즈의 직경 방향에서 70~600㎛, 렌즈의 둘레 방향에서 40~300㎛의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착색 콘택트렌즈{COLORED CONTACT LENS}
본 발명은, 매우 자연스러운 외관을 부여할 수 있어, 착용자의 눈동자의 외견을 바꿀 수 있는 착색 패턴을 가지는 착색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이다.
착색 콘택트렌즈는 시력을 교정하기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오히려 멋 부리기를 즐기기 위한 것으로, 소프트 콘택트렌즈가 주류로 판매되고 있다(일부로는, 눈의 홍채(虹彩)나 각막에 외관상의 이상이 있는 환자가 미용을 목적으로 한 의안(義眼)으로서 사용되는 예도 있고, 이것은 하드(hard)계도 판매되고 있다).
종래에는, 착색 콘택트렌즈 중에서도 시력교정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약사법의 규제 대상이 아니었다. 그 때문에, 제품의 완성도나, 판매 및 사용 지도가 적절하지 않는 것 등에 기인한다고 생각되는 건강 피해의 보고가 있었던 것을 받아들여, 행정측의 대응으로서 약사법의 범위 내에서 규제를 할 방침을 확고히 하고, 2009년 11월4일 이후에는 「의료기기」로서 규제 대상으로 하였다. 멋 부리기용 착색 콘택트렌즈는 눈동자의 색 또는 질감을 타각(他覺)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다. 특히 홍채의 색이 짙은 일본인의 눈동자의 색을 바꾸기 위해서는, 렌즈를 통하여 배후(背後)의 홍채 색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까지 불투명한 착색제 등을 사용할 필요가 있어, 이러한 사정에 의해, 렌즈로부터의 착색제 용출을 유발시키거나, 혹은 착색 부분에서의 콘택트렌즈 표면의 거칠기나 렌즈 소재의 산소 투과성을 저해하는 등의 악영향을 준 것이, 건강피해 요인의 하나라고 추측된다.
콘택트렌즈의 착색 방법으로서는, 크게 나누면, 염료를 이용하여 렌즈를 균일하게 착색하는 방법과, 투명(엷게 착색된 렌즈도 포함) 렌즈의 표면 혹은 내부에 부분적으로 모양을 인쇄하는 방법이 있고, 착용자의 눈동자의 외견을 바꾸는 착색 콘택트렌즈에 관해서는, 후자의 방법이 주로 채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렌즈 성형 금형 표면의 홍채 부분을 형성하는 부위에 착색 모노머 성분을 피복하여 필름을 형성한 후, 렌즈용 모노머 성분을 충전·중합하여 금형으로부터 꺼냈을 때에는 착색 콘택트렌즈가 형성되어 있는 방법(특허문헌 1), 착색 부분이 렌즈 소재의 내부에 매립된 콘택트렌즈(특허문헌 2) 등이 있다. 이들은 착색제의 용출을 억제하여 렌즈 표면의 평활성을 담보한다는 점에서, 착색 콘택트렌즈의 제조 방법으로서 유력한 것이다.
이들의 제조방법 이외에, 시각적으로 효과를 생각한 디자인면에서의 제안도 많았다. 예를 들면, 형 표면(型 表面)에 적어도 2개의 다른 디자인을 설치하고, 콘택트렌즈의 성형 및 경화 중에 형 표면과 접촉하는 렌즈 표면에 전사되는 것(특허문헌 3), 두 개의 착색 부분이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져, 깔끔한 경계 영역을 가지고 접하는 패턴을 가지는 것(특허문헌 4), 음영비(陰影比)가 다른 두 개의 서브 패턴과, 주관적 서브 패턴이 일련으로 된 방사 형상의 단속적인 선모양으로 이루어지는 패턴을 가지는 것(특허문헌 5), 세 개의 부분으로부터 이루어지는 홍채 섹션을 가지고, 각 섹션의 범위를 적당히 설정하는 것으로 복수의 부위에 오버랩 영역이 생겨, 매우 자연스러운 외관을 나타내는 것(특허문헌 6), 각막 가장자리 링과 섬유 형상 도트 패턴을 가져 사용자의 홍채의 선명도를 강조하는 것(특허문헌 7), 착색 영역이, 원형, 타원형, 삼각형, 선형 등의 형을 가지는 조합으로 구성되어, 반경 방향으로 서서히 변화되는 색을 가지는 것(특허문헌 8) 등이다.
자연적으로 보이는 홍채의 구조는, 일본인과 같이 농색(濃色)이어도 단일색은 아니고, 많은 색이나 다른 형상의 모양을 포함하고 있다. 이런 자연스러운 외관을 나타내는 것이 사용자에게 선호되는 것은 당연하기 때문에, 상기 각종 디자인이 연구되어 온 것이다. 상기 디자인을 형상이란 점에서 고찰하면, 기본적으로는 일정한(사용자의 홍채 영역을 커버하게끔) 넓이를 가지는 평면, 연속적 또는 단속적인 선, 원·타원·삼각형 등의 형을 가지는 도트(점)의 3종류로 크게 구별된다. 평면 디자인은 착용자의 눈동자의 외견을 바꾸는 기능의 면에서 우수하지만, 렌즈 소재의 소위 산소 투과성을 저해하는 우려가 높기 때문에 반드시 바람직하다고는 말할 수 없고, 선 또는 도트는 농색 눈동자의 외견상의 색을 바꾸는 점에서 곤란하다.
또한, 선 또는 도트의 경우에는, 렌즈가 눈에 착용되었을 때, 착용자의 홍채와의 관계(겹침)에 의해 보이는 쪽의 예측이 어렵다는 사정도 있고, 원하는 디자인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시행 착오가 필요하여, 착색 콘택트렌즈의 최적(最適)의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평 2-134612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 평 3-15020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공개특허 평 4-265710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공개특허 특표 평 4-505972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공개특허 2000-66147호 공보 [특허문헌 6] 일본공개특허 특표 2002-507001호 공보 [특허문헌 7] 일본공개특허 특표 2007-537492호 공보 [특허문헌 8] 일본공개특허 특표 2004-533629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눈동자에 자연스러운 외관을 주면서, 착용자의 눈동자의 색이나 질감을 타각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디자인을 제안하는 것이고, 콘택트렌즈 본래의 여러 물성(物性)에 악영향을 주지 않고, 제조 코스트의 증가가 억제된 착색 콘택트렌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투명한 중앙 시각 영역과, 그것을 둘러 싸는 착색 영역을 가지는 착색 콘택트렌즈로서, 상기 착색 영역이 기본적으로는, 바다 부분의 연속된 투명부와, 섬 부분의 불연속인 착색 불투명부로 이루어지는 해도(海島)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착색 불투명부가 비늘 모양의 형상을 가지고, 렌즈 직경 방향에서 70~600㎛, 렌즈의 둘레 방향에서 40~300㎛의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착색 불투명부에 의해 렌즈 착용자 본래의 눈동자 색이나 모양이, 관찰자가 보면 변한 것 같이 보이는 것이다. 더욱이, 각 비늘 모양을 렌즈 착용자 본래의 눈동자보다 넓게 배치하면, 홍채 부분을 더욱 돋보이게 하고, 눈동자를 크게 보이게 하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면, 눈동자의 외경이 12mm인 착용자가, 착색 불투명부의 외경이 13mm인 착색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면, 눈동자가 크게 보일 뿐만 아니라, 눈이 시원스럽다고 생각되는 미안(美顔)으로 보일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함수성(含水性)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착색 콘택트렌즈로 제조할 때에, 제조시와 사용시의 렌즈 사이즈가 함수에 의해 팽윤(膨潤)되어 커질 경우에도, 본 발명의 착색 영역은, 해도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팽윤에 따르는 변형 등의 우려가 없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소위 드라이 몰드법에 의해 렌즈를 제조하면, 제조시와 사용시(함수시)에는 렌즈 사이즈가 크게 다르다. 통상적으로, 착색 불투명부에는 함수하지 않는 성분 등이 포함되기 때문에, 투명부와 불투명부의 함수율은 반드시 일치하지 않고, 그 영향으로 변형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평균 함수율을 일치시켰다 하여도, 색이 짙은 부분과 옅은 부분에서는 부분적으로 함수율이 다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그러한 상황에도 대응할 수 있는 디자인이다.
상기 착색 불투명부의 비늘 형상의 형상은, 렌즈 중심을 향하여 배열되어 있는 동시에, 렌즈의 외주방향보다도 렌즈 중심방향에 있어서 큰 곡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늘 형상은 후술하는, 이등변 삼각형의 각각의 각을 둥글게 하고, 각 변을 적당히 만곡시킨듯한 형상이며, 그 저변측이 렌즈의 외주방향을 향하여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이등변 부분으로 형성되는 만곡(이하 「선단측」이라고도 칭함)이 렌즈의 중심을 향할 수 있고, 저변측에 형성된 만곡(직선 형상도 포함한다. 이하 「후단측」이라고도 칭함)보다도 큰 곡률을 가지고 있다. 착색 불투명부를 이러한 배열 및 형상으로 하는 것으로, 홍채 모양을 보다 자연스러운 외관으로 표현할 수 있다.
상기 착색 영역은, 완전한 해도 구조를 형성하고 있을 경우도 있지만, 섬 부분의 착색 불투명부가, 일부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착색 영역의 주연으로부터 렌즈 중심 방향으로 향하여 폭이 1~3.5mm인 환상(環狀)범위 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1.5~3.0mm의 환상범위 내에 있어서, 복수의 비늘 모양의 섬 부분이, 렌즈 중심 방향과 렌즈 외주 방향에서 서로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착색 불투명부를 보다 많이 배치하여, 렌즈의 배후에 있는 강막 부분을 적당하게 차폐시키고, 착색 영역에 의해 눈동자의 색이나 모양을 바꾸고, 또한 눈동자를 크게 보일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한편, 섬 부분의 착색 불투명부의 사이즈를 크게 함으로써, 섬 부분을 접속하지 않아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착색 불투명부는, 렌즈의 중심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그 크기가 작아지거나, 그 수가 적어지게끔 디자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색 불투명부의 크기나 수는 쌍방이 독립하여 변경될 수 있고, 엄밀하게 렌즈의 중심측이 외주측에 비하여 사이즈가 작거나 수가 적게끔 착색할 필요는 없다. 어디까지나 디자인의 경향으로 이해하면 되고, 적당히 조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홍채를 콘택트렌즈의 곡면 위(上)에 의해 자연스러운 외관으로 표현할 수 있다. 종래의 도트 패턴에서는 수가 적어지도록 밀도구배(密度勾配)를 가지는 것에 대해서는 제안되어(예를 들면 특허문헌 7 등 참조) 있지만, 도트 자체의 크기를 작게 하는 제안은 나타나지 않았다. 본 발명에서는, 자연스러운 홍채가 각막과 수정체 사이에 있는 얇은 막 형상인 것을 고려하고, 이것을 렌즈의 곡면으로 디자인하여 홍채부분을 더 돋보이도록 하기 위해서는, 원근감(3D효과)을 갖게 하는 쪽이 바람직하다는 사상에 의한 것이다.
또한 중앙 시각 영역은 직경이 7~11mm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투명부에 의해 시야가 방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더욱이, 환상 착색 영역의 외경은 11~14mm이고, 바람직하게는 12~13.8m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5~13.5mm이다. 착색 불투명부는 홍채 또는 홍채보다 조금 넓은 영역을 커버하면 좋기 때문에, 그 외측에 투명한 부분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특히 소프트 콘택트렌즈는, 각막으로부터 강막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즈를 가지고 있어, 필요 이상으로 광범위한 착색 영역을 작성하지 않아도 좋고, 눈동자가 지나치게 크게 보이면 외견상으로도 바람직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착색 콘택트렌즈는, 비늘 모양으로 형성된 착색 불투명부를 가지기 때문에, 종래의 평면, 선, 도트의 어느 디자인과도 다르고, 농색의 눈동자여도 관찰자에게 원래의 눈동자의 색과는 다른 감각을 효과적으로 줄 수 있다. 게다가, 지극히 자연스러운 눈동자에 가깝게 보이기 때문에, 위화감(違和感)을 주지 않는다. 더욱이, 비늘 형상을 눈동자의 직경보다 크게 배치하면, 눈동자를 크게 보이게 할 수 있다.
또한, 특히 드라이 몰드에 의해 함수성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본 발명의 디자인을 적용하여도, 함수시의 렌즈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착색 콘택트렌즈의 디자인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착색 콘택트렌즈의 제조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비교예 1로서, 디자인을 도트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비교예 2로서, 디자인을 곡선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비교예 3으로서, 디자인을 굵기가 다른 선으로 조합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비교예 4로서, 디자인을 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착색 콘택트렌즈의 디자인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착색 콘택트렌즈의 디자인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착색 콘택트렌즈의 디자인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착색 콘택트렌즈의 디자인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착색 콘택트렌즈의 디자인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착색 콘택트렌즈의 디자인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착색 콘택트렌즈의 디자인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착색 콘택트렌즈의 디자인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착색 콘택트렌즈의 디자인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착색 콘택트렌즈의 디자인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의 착색 콘택트렌즈는, 특정 형상의 착색 불투명부에 의해, 농색 눈동자를 가지는 사람이어도 외관상의 변화를 느끼게 할 수 있고, 게다가 자연스러운 눈동자로 나타나기 때문에, 그것이 렌즈 착용에 기인되는 것은 제삼자가 알아차리기 어렵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착색 콘택트렌즈는, 멋 부리기를 즐기기 위한, 소위 「카라콘」이라 불리우는 렌즈 외에, 시력교정을 목적으로 한 렌즈도 포함된다. 그러한 렌즈의 재질은, 물을 포함하여 유연성을 가지는 함수성 소프트 콘택트렌즈, 실리콘 하이드로겔 소프트 콘택트렌즈, 비함수성 소프트 콘택트렌즈, 산소 투과성 하드 콘택트렌즈 중의 어느 하나여도 좋다.
본 발명의 특정 형상의 디자인은, 상기 어느 타입의 렌즈 재질에도 적용될 수 있고, 최근의 착색 콘택트렌즈 시장의 주류인 함수성 소프트 콘택트렌즈에 대하여 더욱더 적절하다. 각 렌즈 재질은 공지된 모노머의 중합체로서, 예를 들면 함수성 소프트 콘택트렌즈로서는, 히드록시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알킬렌 글리콜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알킬아미노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 (메타)아크릴 아미드, 글리세롤(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비닐 피롤리돈, (메타)아크릴산 등의 고분자 중합체, 또한 비함수성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소재는 유리 전이점이 낮은 고분자 중합체를 주는 모노머, 예를 들면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중합체를 들 수 있고, 실리콘 하이드로겔 소프트 콘택트렌즈와 산소 투과성 하드 콘택트렌즈 소재로서는, 실리콘 함유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모노머나 실리콘 함유 마크로머 등과 상기의 함수성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모노머와의 중합체를 들 수 있다.
상기한 바대로 본 발명에서는 특히 콘택트렌즈의 구성 모노머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착색 불투명부를 구성하는 소재를 선택할 때에는, 착색 성분 이외에 모노머 성분을 배합하여도 좋다. 배합되는 모노머 성분으로서는, 그 착색이 적용되는 콘택트렌즈의 구성 모노머 성분과 친화성이 높은, 예를 들면 구성 모노머와 동일한 모노머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착색 콘택트렌즈 소재로서, 히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고분자 중합체를 선택하는 것이면, 착색 불투명부를 구성하는 소재로서도 히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에 의해, 콘택트렌즈 본체에 대해 착색 성분이 보다 강고하게 결합하여, 착색제의 용출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동시에, 성형 후의 렌즈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함수성 소프트 콘택트렌즈일 경우에는 물을 포함하여 팽윤되기 때문에, 제조 방법에 따라서는 착색 불투명부와 콘택트렌즈 본체 사이의 팽윤율에 큰 간격이 존재하면 변형의 요인이 될 수 있다. 이 점에서 본 발명의 착색 패턴은, 착색 불투명부가 각각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변형의 요인을 회피하는 효과가 높고, 함수성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착색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착색 콘택트렌즈는, 기존의 컬러 콘택트렌즈와 마찬가지로, 투명한 중앙 시각 영역과, 그것을 둘러싸는 착색 영역을 가진다. 기본적으로는 착용자의 시야에 들어오지 않는 부분에 착색하고, 자신의 홍채의 색을 마스킹하게 착색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종래의 착색 영역은 상기와 같이, 평면, 선, 도트의 임의의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착색 영역이 기본적으로, 바다 부분의 연속된 투명부와, 섬 부분의 불연속된 착색 불투명부로 이루어지는 해도 구조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도트에 의한 착색의 분류에 속한다. 도트에 의해 홍채 영역을 형성할 경우의 최대 과제는, 다른 분류에 비하여 마스킹 효과가 낮은 것에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특정 디자인,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과제를 극복하고, 종래의 공지된 컬러 콘택트렌즈보다도 자연적으로 보이는 외관을 만들어 낸 것이다.
본 발명의 착색 영역에 있어서의 「바다 부분의 연속된 투명부」는, 착색 영역의 20%~70%를 차지하고, 바람직하게는 45%~6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60%이다. 따라서 잔여 부분이 「섬 부분의 불연속된 착색 불투명부」로 되지만, 이 해도 구조는, 예를 들면 섬 부분끼리 일부 연결된 상태나, 섬 부분끼리 일부 연결되고, 그 사이에 투명한 호수부(湖部)(혹은 강부(川部))가 존재하는 것을 완전히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착색 불투명부는 기본적으로는 하나하나가 독립된 섬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섬 부분의 밀도가 높은 영역에서는, 그것들이 접촉하거나 혹은 일부가 겹쳐도 좋다.
착색 불투명부가 접촉하고 있는 예로서는, 도 1, 도 8 등에 나타나 있다. 이들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색 영역의 주연으로부터 렌즈의 중심방향으로 향햐여, 폭 1~3.5mm, 바람직하게는 폭 1.5~3.0mm의 환상범위 내에 있어서, 복수의 비늘 모양의 착색 불투명부가 그 선단측과 후단측에서 서로 접속하여, 염주처럼 줄줄이 엮여 있다. 이렇게 연결된 비늘 형상의 섬 부분은 3~20개, 바람직하게는 10개 이하로 구성된다. 특히 착색 영역의 주연부에 있어서, 눈동자를 크게 보이게 하기 위하여 필요하며, 착색 불투명부는 중심을 향해 갈수록 거칠게 되기 때문에, 오히려 섬 부분으로서 독립되어 있는 쪽이 보다 자연스럽게 보이기 때문이다.
착색 불투명부의 배치에 관해서는, 상기 도 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렬로 나열되게끔 배치하는 디자인이나,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줄의 인접하는 비늘 모양의 중간에, 뒷줄의 비늘 모양의 선단측이 위치하게끔 배치할 수 있다. 물론, 이들은 배치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며,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앞줄과 뒷줄의 위치 관계를 랜덤하게 변화시키는 것, 전후 좌우에 존재하는 다른 불투명부의 적어도 하나와 접촉시켜 배치하는 것 등, 각종 배치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투명부」란, 가시광선(380nm~750nm) 투과율이, 80%~100%이고, 무색 투명 또는 유색 투명하다. 한편, 「불투명부」의 투과율은 0%~50%이고, 홍채의 색을 바꾸는 대상자(예를 들면 일본인, 구미인(歐米人), 남녀 등)나, 표현하고 싶은 홍채의 색(예를 들면 그린, 청색)의 차이에 의해, 적절히 조정된다. 예를 들면, 홍채의 색이 짙은 일본인을 대상으로 하면, 착색 불투명부의 투과율을 거의 0~30%로 하여, 표현하고 싶은 홍채색이 보다 선명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착색 불투명부의 크기는, 직경 방향으로 70~600㎛, 바람직하게는 100~400㎛이고, 둘레(周) 방향으로 40~300㎛, 바람직하게는 70~250㎛인 크기를 가진다. 또한, 그 형상은 상기한 대로 이등변 삼각형의 각각의 각을 둥글게 하고, 각 변을 적절히 만곡시킨 것과 같은 형상이다. 그리고, 렌즈의 중심을 향하여 이등변 부분이 형성하는 곡률이 큰 원호(선단측)를 이루고, 렌즈의 외주를 향하여 저변 부분이 형성하는 곡률이 보다 작은 원호(후단측)를 이루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착색 불투명부(2)이다. 착색 콘택트렌즈(1)의 착색 불투명부(2)는 후단측의 원호(3)가 완만한 커브를 그리고 있다. 상기 원호(3)의 곡률(곡률반경의 역수)은 원호와 렌즈 중심과의 거리의 역수의 3배 이내이고, 바람직하게는 2배 이내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1.5배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5~1.2배이다. 일반적으로, 평면이나 선으로 착색 영역을 형성할 경우에는 경계선이 명확해지기 쉽고, 본 발명과 같이 도트와 비슷한 패턴을 채용할 경우에는, 경계가 불명확하게 되기 쉽다. 따라서, 이러한 원호 모양으로 형성함으로써, 각 착색 불투명부가 연결되어 있지 않아도, 경계 영역을 선명하게 하는 효과를 두드러지게 할 수 있다.
특히 최외주(最外周)(렌즈의 중심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하는 착색 불투명부는, 눈동자의 외측의 윤곽(외연(外緣)을 나타내는 선)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착색 불투명부에 대하여 상기 후단측의 형상은, 필수적인것은 아니지만 상기와 같은 원호 모양일 경우, 윤곽을 강조하는 효과를 더 높이기 때문에, 눈동자를 크게 보이게 할수 있고, 종래의 평면, 선에 의해 표현된 홍채와 동등 이상으로, 홍채의 질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과 같은 원호 이외의 형상, 예를 들면, 현(弦)(직선)(13)(도 7, 도 8을 참조)이나, 원호 위의 몇 개의 점을 직선으로 연결한 것과 같은 형상(23) 등(도 10을 참조)이어도 좋다. 이들 형상이어도, 착색 불투명부의 크기가 상기의 범위 내이면, 원호와 동등한 효과를 가지기 때문이다.
한편, 최외주 이외의 곳에 위치하는 착색 불투명부의 후단측의 형상으로서는, 도 1과 같은 원호(3)나 도 7에 나타내는 직선 모양의 형상(13) 외에, 그 착색 불투명부의 뒷줄에 존재하는 착색 불투명부의 선단측을 감싸는 것과 같은 형상(33)(도 9를 참조)이어도 좋다. 최외주에 위치하지 않는 착색 불투명부의 후단측의 형상이 홍채 윤곽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형상의 착색 불투명부가, 최외주에 위치하는 것을 반드시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착색 불투명부의 크기, 배치에 의해, 홍채 모양의 윤곽을 충분히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에 있어서, 착색 불투명부(2)의 선단측의 원호(5)는, 후단측의 원호(3)의 곡률보다도 큰 곡률(작은 곡률반경)의 커브를 그리고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종래의 단순한 원·타원·삼각형 등의 형상에 비하여, 렌즈 중심을 향하여 수속(收束)되게끔 표현하기 쉽고, 렌즈 착용자의 홍채를 보다 자연스럽게 보이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렌즈는 구면(球面)이고, 거기에 그려진 도형도 보다 입체감이 있는 것으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곡선에만 한하지 않고, 원호 위의 몇 개 점을 직선으로 연결한 것과 같은 형상(도 10을 참조)이어도 좋다. 또한, 최외주 이외의 곳에는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지는 서브 패턴(예를 들면, 방사상의 단속적인 선모양 등)을 공지된 방법에 의해 겹쳐도 좋다.
요컨대, 본 발명의 「렌즈의 중심방향이 렌즈의 외주방향보다도 큰 곡률의 비늘 모양」의 「곡률」이 의미하는 것은, 거시적(巨視的)으로 봐서 커브가 그려져 있다고 인식되면 되고, 미시적으로도 전체에 걸쳐 커브인 것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복수의 곡선」 및/또는 「복수의 직선」의 조합에 의해, 전체로서 곡선을 표현하고 있는 것을 포함한다는 의미이다.
상기 형상의 착색 불투명부는 렌즈의 중심 방향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단측이 후단측보다도 큰 곡률로 디자인되어 있기 때문에, 주변에서부터 동공에 대하여 사람의 관심을 끌게끔 표현할 수 있지만, 크기가 서서히 작아지게 하는 것에 의해 그 효과가 더 증폭된다(예를 들면 도 1, 도 7 등 참조). 또한, 렌즈의 중심을 향하면 당연히 면적이 작아지고, 작은 착색 불투명부쪽이 많이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홍채의 질감을 바꾸기 쉬운 효과도 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중앙 시각 영역으로 연속해 가기 때문에, 그 천이(遷移) 부분에서 너무 명확한 변화가 있으면 자연스러운 외관을 손상할 우려가 있고, 이러한 적당한 구배(勾配)를 가지고 착색 영역과 중앙 시각 영역이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착색 불투명부의 수가, 렌즈의 중심 방향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감소되도록 해도 좋다. 특히 각각의 착색 불투명부의 크기가 동일한 경우, 렌즈 중심을 향하는 것에 따라 면적이 작아지도록 대응할 필요가 있다(예를 들면 도 8을 참조). 이렇게 감소시키는 기술은, 상기와 같이 종래의 공지된 디자인이고, 도트 패턴의 착색 방법에서는 당연히 채용되어 온 것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착색 콘택트렌즈(1)의 중심부에는 투명한(전체적으로 엷게 착색된 투명한 것을 포함) 중앙 시각 영역(7)이 형성되어 있다. 중앙 시각 영역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착색 영역(8)의 투명부(9)와 동등 이상이고, 동공에 빛이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고, 그 크기는 직경이 7~11mm, 바람직하게는 7~10mm이다. 충분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그 중앙 시각 영역(7)을 둘러싸는 착색 영역(8)은 반경 방향의 폭이 1.0~3.5mm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5~3.0mm의 범위로, 원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눈동자를 크게 보이게 하기 위하여, 착색 영역이 렌즈 외주방향으로 더 넓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착색 영역(8)을 둘러싸게끔 투명한 주변 영역(10)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렌즈 사이즈와의 관계로 적당히 형성되는 것이다. 투명한 주변 영역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중앙 시각 영역과 동등하고, 무색 또는 유색 투명하다.
도 1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착색 콘택트렌즈는, 착색 영역(28)의 폭이 좁고, 중앙 시각 영역(27)을 향하여, 착색 불투명부의 수를 급격하게 감소시킨 예이다. 이런 디자인은 링이 돋보이게 표현되어, 착용자의 홍채 모양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눈동자를 더 크게 보이는 효과를 가진다.
도 12는 착색 영역(37)이 이중 링을 형성하게 나타내고, 그 사이에 착색 불투명부가 분산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 예에서는, 착색 불투명부의 수가 중앙 시각 영역(36)을 향하여 점차 감소되면서, 중앙 시각 영역과의 경계 부분에서 다시 수가 증가하는 동시에, 링 형상으로 정연하게 배열되어 있다. 이 디자인에는, 눈동자가 또렷하게 보이는 효과가 있다.
도 13은 착색 영역(38)의 내측의 윤곽을 깔끔하게 보이게 한 디자인이고, 도 14는 착색 영역(39)에 하트형의 모양을 나타내게 한 디자인이다. 이것들은 자연스럽게 보인다는 것보다는, 소위 멋 부리기를 즐기기 위한 디자인이다.
도 15는 착색 영역(41) 내에, 예를 들면 토릭렌즈에 필요한 밸러스트축이나 원주축을 나타내는 표시(43)를 포함하는 디자인이다. 이 예에서는, 의사 등 특정자에 의해 관찰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들의 표시가 착색 영역에 잘 묻혀져, 제3자가 구별하기 어려운 효과를 가진다. 이들의 표시로부터 얻어지는 정보는 사용자나 제삼자에게는 특별히 인식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도 16은 착색 영역(48)의 착색 불투명부에 대하여, 앞줄의 서로 인접하는 비늘 형상의 중간에, 뒷줄의 비늘 형상의 선단측이 위치하게끔 배치한 예이다. 직선상으로 또한 방사상으로 배열된 예에 비하여, 랜덤으로 배열된 것의 느낌이, 제3자에게는 보다 자연스러운 디자인으로 보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착색 콘택트렌즈로서, 착색 부분이 렌즈 소재에 의해 끼워져 있는 경우의 양면 몰드에 의한 제조 방법은,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하의 공정을 포함한다.
(I) 콘택트렌즈의 한쪽 면을 형성하는 형 A와, 콘택트렌즈 제품보다도 얇은 두께로 반제품을 형성할 수 있는 형 B의 사이에, 콘택트렌즈 형성용 모노머 조성물(50)을 충전하여 중합하는 공정.
(II) 형 B를 제거하여 콘택트렌즈 반제품(51)의 노출면에 착색 불투명부를 형성하게끔 착색용 조성물(52)을 도포하여, 콘택트렌즈 반제품에 고정하는 공정.
(III) 콘택트렌즈의 다른 쪽 면을 형성하는 형 C와, 착색용 조성물이 도포된 콘택트렌즈 반제품을 가지는 형 A의 사이에, 상기 콘택트렌즈 형성용 모노머 조성물(50)을 더 충전하여 중합하는 공정.
(IV) 형 A와 형 C를 열어, 중합된 후의 착색 콘택트렌즈(61)를 꺼내는 공정.
상기 (I)의 공정에 있어서 형 A는, 콘택트렌즈의 내면측을 형성하는 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내면측은 각막에 접촉하는 쪽이고, 착색 불투명부가 확실하게 표면에 노출되지 않고, 최악일 경우에도 각막측에 노출되지 않는 것을 담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형 B와 조합시켜 형성되는 공간은 실제 콘택트렌즈 제품보다도 얇은 두께여야 한다. 착색 부분을 렌즈 소재에 끼우기 위해서이다.
형 B는 공정 (II)에서 제거되고, 중합된 후의 콘택트렌즈 반제품은 형 A에 선택적으로 잔존시킬 필요가 있다. 이 선택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형 A와 형 B를 다른 수지로 성형하거나, 형 A 또는 형 B의 어느 하나에 콘택트렌즈 반제품이 쉽게 흡착하거나 혹은 쉽게 벗겨지는 처리를 실시하는 것(예를 들면, 계면활성제를 도포하거나, 플라즈마 처리 등)이 바람직하다. 또는, 일본등록특허 제 4695797호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거나, 한쪽의 형에 열을 가하거나 차갑게 하여 형 A에 선택적으로 잔존시켜도 좋다.
공정 (II)에서는, 착색용 조성물이 도포되지만, 이 방법은 각종의 방법을 적당히 채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스크린 인쇄, 패드 인쇄, 잉크젯 인쇄 등이 있다. 어느 도포 방법을 선택할지는, 착색용 조성물의 물성이나 렌즈 소재의 물성 등을 감안(勘案)하여 정할 수 있다. 콘택트렌즈 반제품에의 고정 방법에 대해서도, 각종(가열, 건조, 전자선 조사 등) 방법이 있다. 또한, 착색용 조성물의 도포는 1회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방법에 의해, 다른 색이나 모양을 2회 이상 도포해도 좋다.
공정 (III)에서는, 착색용 조성물이 고정된 콘택트렌즈 반제품을 가지는 형 A와, 형 C와의 사이에 상기 콘택트렌즈 형성용 모노머 조성물이 충전되고, 착색용 조성물을 사이에 끼운 착색 콘택트렌즈가 중합된다. 착색 콘택트렌즈로서 함수성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콘택트렌즈 형성용 모노머 조성물 중에, 중합성 모노머 이외의 용매 등을 포함하는 경우(통상적으로 웨트 몰드라 칭함)와, 용매 등을 포함하지 않은 경우(통상적으로 드라이 몰드라 칭함)가 있다. 웨트 몰드는 상기 용매가 수화 후에 물과 치환되기 때문에, 중합 후와 수화 후의 상태에서는 사이즈 변화가 적지만, 드라이 몰드는 수화 후에 사이즈가 팽윤한 상태로 된다. 따라서, 형 A와 형 C로 형성되는 콘택트렌즈 형상의 공간은 수화 후의 사이즈를 고려한 것이어야 한다.
공정 (IV)에서는 형 A와 형 C를 열어, 중합 후의 착색 콘택트렌즈를 꺼내어, 필요에 따라 수화 처리나 표면 친수화 처리 등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착색 콘택트렌즈의 디자인에 관한 발명이기 때문에, 제조 방법은 간이적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각 공정에 있어서의 중합 온도, 시간, 각 조성물 중의 모노머의 종류·조성비, 착색제의 종류 등은 적절히 정할 수 있다.
한편, 콘택트렌즈의 규격은 내면측의 곡률반경(BC)과, 중심 두께(CT), 도수(PW), 직경(DIA), 렌즈 에지 형상 등이 있다. PW는 굴절율, BC와 외면측의 곡률반경(FC)에 의해 정해지지만, 각막의 곡률반경의 범위는 7.5~8.2mm로서 좁기 때문에 BC의 규격수는 미리 결정되어 있고, FC의 규격수보다도 적다. 특히,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BC는 1종류만인 경우도 있다. 그래서, 상기(I)의 공정에 있어서 형A를 내면측 형성용 형(形)을 이용하여, 상기 (III)의 공정에 있어서 형 C를 사용하는 대신에, 콘택트렌즈 제품보다도 두꺼운 반제품이 형성되는 형 D를 사용하여, 필요에 따라 FC측을 절삭하고, 원하는 PW 렌즈를 제조하는 편면 몰드 제조법이 있다. 이런 방법은, 각 PW마다 형 C를 미리 준비할 필요가 없고, 오더 메이드(order made)에도 대응할 수 있어 재고 관리가 쉬운 등의 이점을 가지고 있다. 착색 콘택트렌즈는 어느 쪽이냐 하면 유행에 좌우되는 듯한 요소가 있기 때문에, 생산 규모나 디자인 수에 따라 다르지만, 재고로서 상품을 다양하게 갖추는 것은 지향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편면 몰드 제조법이 적합하다고 생각될 수 있다.
또한, 착색 부분이 렌즈 표면에 나타나는 경우의 양면 몰드에 의한 제조 방법은, 예를 들면 이하의 공정을 포함한다.
(I) 콘택트렌즈의 한쪽 면을 형성하는 형 A에, 착색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형 표면에 고정하는 공정.
(II) 콘택트렌즈의 다른 쪽 면을 형성하는 형 C와, 형 A 사이에, 콘택트렌즈 형성용 모노머 조성물을 충전하여 중합하는 공정.
(III) 형 A와 형 C를 열어, 중합후의 착색 콘택트렌즈를 꺼내는 공정.
상기 방법의 이점은, 착색 부분이 렌즈 소재에 의해 끼워져 있는 경우에 비하여, 공정 개수, 형 개수가 적은 것에 있다. 따라서 코스트면에서 매우 유리하지만, 착색 부분이 들어있는 것만으로 표면에도 드러나 있기 때문에, 안전성에 있어서는 약간의 과제가 존재할 경우가 있다. 기본적으로 착색 부분의 재료도 눈에의 안전성이 확인된 화합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화학적으로는 괜찮지만, 착색 불투명부와, 투명부나 중앙 시각 영역과의 렌즈 소재의 경도에 차이가 쉽게 생기기 때문에, 물리적인 자극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착색 불투명부가 떨어져 나가버리는 리스크도 생각된다.
본 발명의 착색 콘택트렌즈는, 기본적으로 상기와 같은 몰드 중합법에 의해 제조되지만, 예를 들면, 절삭 가공법에 의해 렌즈를 제조한 후, 소정 형상의 모양으로 되게 표면을 레이저 가공 등으로 깎아낸 후, 해당 부분에 착색제 조성물을 고정하는 방법도 가능하며, 몰드 중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착색 콘택트렌즈는, 상기와 같은 함수성 소프트 콘택트렌즈 이외에도, 비함수성 소프트 콘택트렌즈나, 실리콘 하이드로겔 소프트 콘택트렌즈 및 산소 투과성 하드 콘택트렌즈 등으로 제조할 수도 있고, 반드시 렌즈 소재의 종류를 특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밝히기 위하여, 몇 개의 예를 제시한다.
도 1(실시예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디자인 패턴 이외에, 도 3(비교예 1)에 나타내는 도트(20), 도 4(비교예 2)에 나타내는 곡선(25), 도 5(비교예 3)에 나타내는 막대 형상(30), 도 6(비교예 4)에 나타내는 링 형상(35)의 각 디자인으로 착색 콘택트렌즈를 작성하여, 피험자가 한쪽 눈에 착용하고, 거울을 이용하여 나안(裸眼)인 다른 눈과 외관상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더욱이, 착용 눈을 바꿔, 동일하게 양쪽 눈을 평가하였다.
착색 콘택트렌즈는, 아래와 같이 작성하였다.
폴리프로필렌(PP)제의 암형(雌型) B에 콘택트렌즈 형성용 모노머 조성물(2-히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이하, 2-HEMA라 칭함) 59w/w%, 글리세롤 메타크릴레이트(이하, GMA라 칭함) 30w/w%,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이하, EDMA라 칭함) 0.5w/w%, 광중합 개시제(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0.5w/w%, 글리세린: 10w/w%) 23㎕를 넣고, 플라즈마로 처리된 PP제의 수형(雄型) A와 감합하여, 질소 분위기하에서, 빛(파장:365nm, 1mW/cm2)을 5분간 조사하여, 콘택트렌즈 형성용 모노머 조성물을 중합시켰다.
두 개의 형을 분리한 결과, 수형 A를 플라즈마 처리한 효과에 의해, 콘택트렌즈 반제품은 수형 A에 부착되어 있었다. 수형 A와 암형 B는 두 개의 형을 조합시킨 공간 내에, 전면 곡률반경이 6.6mm, 후면 곡률반경이 6.6mm, 중심 두께가 0.024mm, 외경이 10.92mm인 콘택트렌즈 반제품이 형성되게 되어 있다.
콘택트렌즈 반제품의 노출 표면을 도 1의 디자인 패턴으로 하기 위하여, 착색제 조성물(2-HEMA: 30w/w%, 산화철: 40w/w%, 산화 티타늄: 20w/w%, 증점제 (폴리 비닐 피롤리돈): 10w/w%)을 두께가 10㎛로 되게끔 패드 인쇄하고, 송풍기 중에서 10분간 약 25℃에서 방치하였다. 도포된 착색제 조성물의 표면은 건조한 것처럼 고정되었다.
PP제의 암형 C에 상기 콘택트렌즈 형성용 모노머 조성물 35㎕를 충전하고, 송풍기 내에서 방치하여 착색제 조성물을 고정한 콘택트렌즈 반제품이 부착된 수형 A와 감합하여, 질소 분위기하에서, 빛(파장:365nm, 3mW/cm2)을 5분간 조사하였다. 이 조사에 의해 콘택트렌즈 형성용 모노머 조성물은 중합하였다. 다음에, 암형 C와 수형 A를 분리하면, 중합물은 수형 A에 부착되어 있었다.
중합물이 부착된 수형 A를 정제수 5ml에 침지시키면, 중합물은 팽윤되어 형 A에서 이탈된다. 새로운 정제수 5ml에 팽윤된 중합물을 10분간 실온에서 침지하였다. 상기 정제수의 교환을 5회 되풀이하여, 중합물 내의 용출성 성분을 제거하였다. 다음에, 염화나트륨 0.9w/v%와 에틸렌디아민 사초산 삼나트륨 0.03w/v%를 포함하는 정제수 1ml 들어간 PP제 용기 내에 중합물을 넣어, 다층 필름으로 밀봉하여, 121℃에서 20분간 오토클레이브 멸균하였다. 냉각시킨 후, 다층 필름을 벗겨, 중합물을 검사하였다. PW: -3.00D, CT: 0.11mm, 직경: 14.2mm로 도 1의 비늘 모양이 렌즈 내부에 형성된 착색 콘택트렌즈를 얻을 수 있었다. 상기 렌즈는, 중앙 시각 영역의 직경이 8.0mm, 착색 영역은 반경 방향의 폭 2.5mm으로 원환 형상으로 형성되었다.
비교예 1~비교예 4의 디자인에 관하여서도, 상기와 동일한 제조 방법에 의해 착색 영역을 형성하였다. 이들 5종류의 각 착색 콘택트렌즈를 한쪽 눈에 착용시켜, 착용자가 거울로 자신의 눈을 관찰하여, 눈동자가 자연스럽게 크게 보이는지 나안의 다른 눈과 비교하였다. 실내에서 착용한 후 15분 후에 비교하였다. 착용 눈을 변경하여, 동일하게, 양쪽 눈을 확인하였다. 한편, 거듭하여 말할 필요는 없지만, 각 콘택트렌즈의 착용 전에는, 용출물 시험 등의 화학적 분석이나, 세포독성시험, 가토안(家兎眼) 착용 시험 등의 각종 시험을 진행하여, 충분히 안전성을 확인했다.
피험자에 의한 평가 기준은,
평가점 2: 검은 눈동자가 자연(착색 렌즈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스럽게 커져 있는 것으로 보인다.
평가점 1: 검은 눈동자가 조금 부자연(때로는 착색 렌즈를 착용하고 있는 상태)스럽지만, 커져 있는 것으로 보인다.
평가점 0: 검은 눈동자가 부자연(착색 렌즈를 착용하고 있는 상태)스럽거나, 또는 커져 있는 것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로 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14060470893-pct00001
표 1의 결과로부터 이하를 알 수 있다.
실시예 1에 사용된 도 1의 비늘 모양은 자연스럽게 크게 보였다.
한편, 비교예 1에 사용된 도 3의 도트 모양은, 백안과의 경계부에서 도트 모양이 짙은 흑색과 백안의 백색이 혼재된 불선명한 경계로 되어, 약간 부자연스럽게 보였다. 비교예 2에 사용된 도 4의 곡선 모양은, 백안과의 경계부는 자연스럽게 보이지만, 렌즈 중앙측의 모양이 짙은 흑색과 홍채의 흑색의 콘트라스트의 차이가 명쾌(明快)하여, 착색 콘택트렌즈를 장착하고 있는 느낌을 주고, 부자연스러웠다. 비교예 3에 사용된 도 5의 막대와 스포크 모양은, 백안과의 경계부에서 직선 형상의 막대와 스포크 모양이 짙은 흑색과 백안의 백색이 혼재된 명료한 경계가 내부 깊숙이까지 억지로 들어가, 부자연스럽게 보였다. 비교예 4에 사용된 도 6의 링 모양은, 백안과의 경계부는 자연적으로 보였지만, 렌즈 중앙측의 짙은 흑색과 홍채의 흑색의 콘트라스트의 차이가 명쾌하여, 착색 콘택트렌즈를 착용하고 있는 느낌을 주어, 부자연스러웠다.
실시예 2
도 1의 디자인 패턴을, 도 7~도 10에 나타내는 디자인으로 바꾼 다른 것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각 착색 콘택트렌즈를 작성하였다. 도 7~도 10의 디자인은 모두 착색 불투명부의 형상에 있어서, 후단측의 곡률을 여러가지로 변경한 예이고, 직선 형상(13)(도 7, 도 8), 렌즈의 중심 방향을 향하여 만곡된 것(33)(도 9), 원호의 2점을 직선으로 이은 것과 같은 형상(23)(도 10)이다. 도 7과 도 8의 상이점은, 도 7은 착색 불투명부의 크기가 렌즈의 중심 방향을 향하여 점차 작아지는 것에 대하여, 도 8에서는 크기를 바꾸지 않은 예이다. 이것들의 각 렌즈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 시험을 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14060470893-pct00002
표 2에 나타내는 본 발명에 따른 착색 콘택트렌즈는 눈동자를 크게, 게다가 자연스럽게 보이게 한다는 것을 알았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같이 PP제의 암형 C와 수형 A를 감합하여, 중합하였다. 암형 C에 상기 콘택트렌즈 형성용 모노머 조성물을 60㎕ 충전하였다. 또한, 상기 암형 C에서 형성된 중합물은 실시예 1의 렌즈보다 두껍게 설계하였다. 암형 C와 수형 A를 분리하면, 중합물은 수형 A에 부착되어 있었다. 상기 암형을 콘택트렌즈 제조용 선반의 축에 고정하여, 300RPM으로 회전시켜, 다이아몬드 칼로 중합물을 절삭하고, 콘택트렌즈 형상으로 마무리하였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콘택트렌즈 형상으로 마무리된 중합물이 부착된 수형 A를 정제수 5ml 중에 침지하여, 동일한 처리를 실시하고, 중합물을 검사했다. PW: -3.00D, CT: 0.11mm, 직경: 14.2mm로 도 1의 비늘 모양이 렌즈 내부에 형성된 착색 콘택트렌즈가 얻어졌다.
본 발명은, 매우 자연스러운 외관을 주고, 착용자의 눈동자의 외견상의 색을 바꿀 수 있는 패턴을 가지는 착색 콘택트렌즈가, 종래 기술의 연장으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설비 도입이나, 코스트 상승을 억제하고, 또한 소비자의 광범위한 요구에 응할 수 있다.
1, 61: 착색 콘택트렌즈
2: 착색 불투명부
7, 27, 36: 중앙 시각 영역
8, 28, 37, 38, 39, 41, 48: 착색 영역
10: 투명 주변 영역
50: 콘택트렌즈 형성용 모노머 조성물
51: 콘택트렌즈 반제품

Claims (7)

  1. 투명한 중앙 시각 영역과, 그것을 둘러싸는 착색 영역을 가지는 착색 콘택트렌즈로서,
    상기 착색 영역이 기본적으로는, 바다 부분의 연속된 투명부와, 섬 부분의 불연속적인 착색 불투명부로 이루어지는 해도(海島)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착색 불투명부는 이등변 삼각형의 각각의 각을 둥글게 하고, 각 변을 만곡시킨 비늘 모양의 형상을 가지고,
    최외주(렌즈의 중심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하는 착색 불투명부는, 상기 이등변 삼각형의 저변 부분으로 형성되는 만곡 형상을 렌즈의 외주방향을 향하게 하여, 원호, 직선 또는 원호 위의 몇 개의 점을 직선으로 연결한 것과 같은 형상의 어느 하나이고, 렌즈의 직경 방향에서 70~600㎛, 렌즈의 둘레 방향에서 40~300㎛인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 콘택트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 불투명부의 비늘 모양이, 이등변 삼각형의 이등변 부분으로 형성되는 만곡을 렌즈의 중심방향으로, 저변 부분으로 형성되는 만곡을 렌즈의 외주방향으로 향하게 배열하고, 렌즈의 중심을 향하여 이등변 부분이 형성되는 곡률은, 렌즈의 외주를 향하여 저변 부분이 형성되는 곡률보다 큰 원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 콘택트렌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변 부분이 형성되는 원호의 곡률이, 상기 원호와 렌즈의 중심 거리의 역수의 3배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 콘택트렌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 불투명부의 크기가, 렌즈의 중심 방향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착색 콘택트렌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 불투명부의 수가, 렌즈의 중심 방향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착색 콘택트렌즈.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 영역의 주변으로부터 렌즈의 중심 방향을 향하여 폭 1~3.5mm의 환상(環狀) 범위 내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착색 불투명부가, 렌즈의 중심 방향과 렌즈의 외주 방향에서 서로 접속되어 있는 착색 콘택트렌즈.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 영역을 둘러싸는 투명 주변 영역을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 콘택트렌즈.
KR1020147017799A 2012-02-20 2013-02-18 착색 콘택트렌즈 KR1016127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33475 2012-02-20
JPJP-P-2012-033475 2012-02-20
PCT/JP2013/053773 WO2013125470A1 (ja) 2012-02-20 2013-02-18 着色コンタクトレンズ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7491A KR20140097491A (ko) 2014-08-06
KR101612743B1 true KR101612743B1 (ko) 2016-04-15

Family

ID=49005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7799A KR101612743B1 (ko) 2012-02-20 2013-02-18 착색 콘택트렌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369273B1 (ko)
KR (1) KR101612743B1 (ko)
CN (1) CN104246580B (ko)
WO (1) WO20131254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90133B2 (ja) * 2013-03-25 2017-08-30 Hoya株式会社 眼用レンズの設計方法および眼用レンズの製造方法
SG2013035662A (en) * 2013-05-08 2014-12-30 Menicon Singapore Pte Ltd Systems and methods for printing on a contact lens
JPWO2016024431A1 (ja) * 2014-08-11 2017-04-27 株式会社メニコンネクト 着色コンタクトレンズ
CN105487256B (zh) * 2016-02-16 2018-11-13 三门新贤科技有限公司 有源美瞳眼镜
CN105467616A (zh) * 2016-02-16 2016-04-06 侯绪华 美瞳隐形眼镜
CN106127830A (zh) * 2016-09-06 2016-11-16 成都通甲优博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虚拟美瞳瞳片的制作和显示方法
CN110720074A (zh) * 2017-06-14 2020-01-21 株式会社目立康 美容用隐形眼镜
TWI790754B (zh) * 2020-03-06 2023-01-21 摩爾應材有限公司 可撓性薄膜、眼睛鏡片、眼睛鏡片收納器、及其操作方法
TWI771661B (zh) * 2020-03-06 2022-07-21 摩爾應材有限公司 可撓性薄膜、眼睛鏡片、眼睛鏡片收納器、及其操作方法
CN114690441A (zh) * 2022-03-30 2022-07-01 金陵科技学院 一种胶体晶体嵌入防蓝光隐形眼镜及其制备方法
TWI837011B (zh) * 2023-06-05 2024-03-21 開眼光學研發股份有限公司 隱形眼鏡有色圖案成形方法及其總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6147A (ja) 1998-08-12 2000-03-03 Innova Inc 自然な外観の着色コンタクトレンズ
JP2002006267A (ja) 2000-06-07 2002-01-09 Wesley Jessen Corp 見本標示レンズ
JP2002507001A (ja) 1998-03-12 2002-03-05 ウェズリー ジェッセン コーポレイション より自然な外観の着色コンタクトレンズ
JP2002512704A (ja) 1997-03-31 2002-04-23 ウェズリー ジェッセン コーポレイション 色変更用コンタクトレンズの改良パターン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2402A (en) * 1984-04-16 1986-04-15 Schering Corporation Color-imparting contact lenses
US5260727A (en) * 1990-10-22 1993-11-09 Oksman Henry C Wide depth of focus intraocular and contact lenses
EP0982617A1 (en) * 1998-08-28 2000-03-01 INNOVA, Inc Colored contact lens with a natural appearance
AU1803800A (en) * 1999-03-08 2000-09-28 Rainbow Optical Laboratory Co., Ltd. Colored contact lens and method for using it
US6196683B1 (en) * 1999-04-23 2001-03-06 Wesley Jessen Corporation Pearlescent contact lens
FI106987B (fi) * 1999-10-28 2001-05-15 Cl Tinters Oy Menetelmä kontaktilinssin värjäyksessä käytettävän rasteripinnan valmistamiseksi
KR20020064982A (ko) * 2000-01-03 2002-08-10 웨슬리 제슨 코포레이션 청록색 착색제로 착색된 콘택트렌즈
AR029671A1 (es) * 2000-06-12 2003-07-10 Novartis Ag Lente de contacto de color con aspecto mas natural y metodo para fabricarla
WO2002023254A1 (en) * 2000-09-15 2002-03-21 Cygen Industries, Llc Method for ornamenting contact lenses
US6513930B2 (en) * 2001-06-13 2003-02-04 Chung Wei Hsu Contact lens capable of letting eyeball seem larger
US20030117576A1 (en) * 2001-12-05 2003-06-26 Ocular Sciences, Inc. Colored contact lenses
US7641336B2 (en) * 2004-05-12 2010-01-05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Tinted contact lenses with combined limbal ring and iris patterns
US20060050230A1 (en) * 2004-08-19 2006-03-09 Bowers Jack W Tinted contact lenses with hatch patterns
US20070296917A1 (en) * 2006-06-23 2007-12-27 Bowers Jackie W Tinted contact lenses having iris patterns with enhanced depth
JP2010104772A (ja) * 2008-09-30 2010-05-13 Yoichi Mikawa 眼内レンズ
US8328352B2 (en) * 2009-07-11 2012-12-11 Streibig Daniel G Colored contact lens
JP6338856B2 (ja) * 2010-07-29 2018-06-06 ノバルティス アーゲー 着色コンタクトレンズ及びそれを製造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12704A (ja) 1997-03-31 2002-04-23 ウェズリー ジェッセン コーポレイション 色変更用コンタクトレンズの改良パターン
JP2002507001A (ja) 1998-03-12 2002-03-05 ウェズリー ジェッセン コーポレイション より自然な外観の着色コンタクトレンズ
JP2000066147A (ja) 1998-08-12 2000-03-03 Innova Inc 自然な外観の着色コンタクトレンズ
JP2002006267A (ja) 2000-06-07 2002-01-09 Wesley Jessen Corp 見本標示レン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46580A (zh) 2014-12-24
JP5369273B1 (ja) 2013-12-18
KR20140097491A (ko) 2014-08-06
WO2013125470A1 (ja) 2013-08-29
CN104246580B (zh) 2016-08-17
JPWO2013125470A1 (ja) 2015-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2743B1 (ko) 착색 콘택트렌즈
JP6689567B2 (ja) 改善された酸素透過を有するコンタクトレンズ
JP7432692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の上方部分にレンチキュラを備えるコンタクトレンズ
CN103364966B (zh) 用于散光矫正的软性接触镜片中的增加硬度的中心视区
JP6797536B2 (ja) 美容用コンタクトレンズ内の環形状クリア層
KR102413779B1 (ko) 개선된 다중 및 통합 효과를 갖는 콘택트 렌즈
JP6444588B2 (ja) 反復する波模様を有する眼科用レンズ
JP2009008848A (ja) コンタクトレンズとその製造方法
KR20090038436A (ko) 심도가 향상된 홍채 패턴을 갖는 착색 콘택트 렌즈
JP6755693B2 (ja) 多層パターンを持つコンタクトレンズ
JP5816882B2 (ja) 着色コンタクトレンズ
TW201818122A (zh) 利用瞳孔切趾法而具有改良的視覺效能及最小化光暈之隱形眼鏡
WO2012102332A1 (ja) 老眼矯正体及び老眼矯正方法
WO2016024431A1 (ja) 着色コンタクトレンズ
JP6526443B2 (ja) 見かけ上の動き及び他の光学的効果を有するコンタクトレンズ
JP2023542768A (ja) リバーシブル効果を有する美容用コンタクトレンズ
JP2013011846A (ja) 老眼矯正体及び老眼矯正方法
JP2012155295A (ja) 老眼矯正体及び老眼矯正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