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2190B1 - 유기 el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el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2190B1
KR101612190B1 KR1020140112515A KR20140112515A KR101612190B1 KR 101612190 B1 KR101612190 B1 KR 101612190B1 KR 1020140112515 A KR1020140112515 A KR 1020140112515A KR 20140112515 A KR20140112515 A KR 20140112515A KR 101612190 B1 KR101612190 B1 KR 101612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region
electrode
organic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2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6922A (ko
Inventor
도시히로 사또
마사미쯔 후루이에
나오끼 우에따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Publication of KR20150026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2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2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3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s to the thin film transistors [TF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8Dummy elements, i.e. elements having non-functional featur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70Testing, e.g. accelerated lifetime tes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01Manufacture or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 영역과, 검사 영역을 구비하고, 표시 영역은, 화소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제1 전극과, 발광 영역에 형성된, 발광층을 포함하는 복수의 유기 재료의 층을 포함하는 발광 유기층과, 표시 영역을 덮어 형성된 제2 전극을 갖고, 검사 영역은, 검사 영역에 있어서 전기적으로 적어도 1개의 블록을 포함하는 검사용 제1 전극과, 복수의 유기 재료의 층 중 적어도 1개의 유기 재료의 층을 포함하고, 검사용 제1 전극과 접하고 있는 검사용 유기층과, 검사용 유기층과 접하여 형성되는 검사용 제2 전극을 갖는다.

Description

유기 EL 표시 장치{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기 EL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라고 불리는 자발광체를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이하, 「유기 EL(Electro-luminescent) 표시 장치」라고 함]가 실용화되어 있다. 이 유기 EL 표시 장치는,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와 비교하여, 자발광체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시인성, 응답 속도의 점에서 우수할 뿐만 아니라, 백라이트와 같은 보조 조명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한층 더 박형화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유기 EL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유기 EL 소자는, 수분을 흡수하면 열화되기 때문에, 유기 EL 패널에서는, 발광층이 형성된 TFT(Thin Film Transistor) 기판 상에 밀봉 글래스 기판을 수지로 부착하여 밀봉하는 등의 대책이 실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10-321367호 공보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 내의 화소에 있어서 전류 리크를 검출하는 평가 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TFT 기판에서는, 표면에 표시 영역 및 주변 회로 영역의 전체면을 덮도록 밀봉막이 형성되지만, 밀봉막에 결손이 있으면, 그곳으로부터 외기의 수분이 침입하여, 발광층의 열화가 발생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밀봉막의 결손은, 표시 영역 내에서 발생하고 있으면, 다크 스폿(흑색점)으로서 검사 공정에서 검출할 수 있지만, 표시 영역 외측(또한, 후술하는 수분 차단 영역 내측)에서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는, 즉시 다크 스폿으로서 검출할 수 없어, 시장에 유출되고 나서 경시적으로 표시 영역의 외측으로부터 점등 불량으로 되는, 소위 다크 엣지라고 불리는 표시 불량으로 될 포텐셜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시장에 있어서의 다크 엣지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제조 공정에 있어서, 에이징 처리를 행하고 다크 엣지의 유무를 확인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제조 비용의 상승 및 스루풋의 악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제조 비용을 억제함과 함께, 출하 후의 점등 불량의 발생을 억제한 유기 EL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는, 발광하는 발광 영역을 갖는 화소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주위에 형성된 검사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화소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제1 전극과, 상기 발광 영역에 형성된, 발광층을 포함하는 복수의 유기 재료의 층을 포함하는 발광 유기층과, 상기 표시 영역을 덮어 형성된 제2 전극을 갖고, 상기 검사 영역은, 상기 검사 영역에 있어서 전기적으로 적어도 1개의 블록을 포함하는 검사용 제1 전극과, 상기 복수의 유기 재료의 층 중 적어도 1개의 유기 재료의 층을 포함하고, 상기 검사용 제1 전극과 접하고 있는 검사용 유기층과, 상기 검사용 유기층과 접하여 형성되는 검사용 제2 전극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사용 유기층은, 상기 발광 유기층의 상기 적어도 1개의 유기 재료의 층으로부터 연속해서 형성되고, 상기 검사용 제2 전극은, 상기 제2 전극과 연속해서 형성되고, 전기적으로 일체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사용 유기층은, 비발광의 유기층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의 단부를 덮도록 격자 형상의 패턴으로 형성된 절연막인 화소 분리막을 더 갖고, 상기 화소 분리막은, 상기 검사 영역에 있어서도 상기 표시 영역의 상기 격자 형상의 패턴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 및 상기 검사용 제2 전극의 위에는,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검사 영역에 연속해서, 수분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제1 밀봉막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밀봉막 상의 적어도 상기 검사 영역은, 도전 재료를 포함하는 검사용 제3 전극으로 덮여 있어도 되고, 또한, 상기 검사용 제3 전극 상에는,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검사 영역에 연속해서, 수분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제2 밀봉막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밀봉막 상의 적어도 상기 검사 영역은, 도전 재료를 포함하는 검사용 제4 전극으로 덮여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는, 상기 검사 영역의 주위에 있고, 박막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회로가 배치된 주변 회로 영역과, 상기 검사 영역과 상기 주변 회로 영역과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검사 영역의 상기 검사용 제2 전극으로부터 연속해서 형성된 전극층을 갖고, 상기 전극층으로부터 기재인 절연 기판까지가 무기 재료의 층만으로 구성되는 차단 영역을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유기 EL 표시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유기 EL 패널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에 있어서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차단 내측 영역에 이물질이 혼입된 경우의 전류 리크의 발생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A로 나타내어지는 영역에 대해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상술한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유기 EL 패널의 차단 내측 영역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상술한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유기 EL 패널의 차단 내측 영역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상술한 실시 형태의 제3 변형예에 따른 유기 EL 패널의 도 5와 동일한 시야에서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다른 변형예에 대해 도 8과 동일한 시야에 의해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또는 동등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유기 EL 표시 장치(100)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 EL 표시 장치(100)는 상부 프레임(110) 및 하부 프레임(120) 사이에 끼워지도록 고정된 유기 EL 패널(200)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유기 EL 패널(200)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유기 EL 패널(200)은 TFT 기판(300)과, 투명 수지(410)(후술)에 의해 TFT 기판(300)에 접착된 밀봉 기판(400)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노드 전극(376)(후술)이 배치되고, 계조값에 기초하여 발광하는 화소(310)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표시 영역(320)과, 표시 영역(320)의 주위에 배치되고, 캐소드 전극(378)(후술)에 대해 전위를 인가하는 회로가 형성된 주변 회로 영역(350)과, 표시 영역(320)과 주변 회로 영역(350)의 사이에 형성되고, 캐소드 전극(378)으로부터 글래스 기판(371)까지 무기 재료만으로 구성됨으로써, 수분의 왕래를 차단하는 차단 영역(340)과, 표시 영역(320) 및 차단 영역(340)의 사이에 형성된 차단 내측 영역(330)을 갖고 있다.
또한, TFT 기판(300)의 밀봉 기판(400)이 겹쳐져 있지 않은 부분에는, TFT 기판(300) 상에 형성된 회로로부터 연장되어,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단자가 노출되어 있고, 후술하는 애노드 전극에 접속된 애노드 단자(362)와, 캐소드 전극(378 및 384)에 접속된 캐소드 단자(363)와, 리크 전류 검출용 단자(361)를 갖고 있다.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수분은, 유기막을 통해 진행되므로, 무기 재료만으로 구성되는 차단 영역(340)을 형성함으로써, 예를 들어 주변 회로 영역(350)에 있어서 침입한 수분이 표시 영역(320)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에 있어서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 EL 패널(200)의 TFT 기판(300)은 절연 기판인 글래스 기판(371)과, 글래스 기판(371)에, 예를 들어 LTPS(Low-Temperature Poly Silicon)에 의해 형성된 트랜지스터를 갖는 화소 회로 및 주변 회로가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층(372)과, 주로 박막 트랜지스터층(372)이 형성된 영역을 평탄화시키기 위한 유기 절연막인 유기 평탄화 막(373)과, 유기 평탄화 막(373)의 스루홀에 성막된 애노드 전극(376) 등의 도전막의 단부를 덮도록 형성된 유기 절연막인 유기 뱅크(화소 분리막)(374)와, 애노드 전극(376)의 글래스 기판(371)측에 배치되고, 발광한 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막(375)과, 발광을 담당하는 발광층 및/또는 정공 수송층이나 전자 주입층 등의 공통층을 포함하는 발광 유기층(377)과, 애노드 전극(376)에 대향하는 전극인 캐소드 전극(378)과, TFT 기판(300)의 전체면을 덮도록 성막되고, 무기막이나 무기막과 유기막과의 적층 구조 등을 포함하는 밀봉막(379)을 갖고 있다. 또한, 밀봉막(379)에 사용되는 무기막은, 수분을 투과시키지 않는 SiN나 SiO 등이 사용되고,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등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유기 절연막을 포함하는 유기 뱅크(374)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무기 절연막을 포함하는 무기 뱅크이어도 된다.
또한, TFT 기판(300)에 투명 수지(410)를 개재하여 배치되는 밀봉 기판(400)은 절연 기판인 글래스 기판(401)과, 주로 표시 영역(320)에 있어서, 각 화소(310)에 있어서 소정의 파장 영역의 광을 투과하는 R(적색) G(녹색) B(청색)의 컬러 필터(403)와, 화소(310) 사이로부터의 누설광을 방지하기 위한 차광막인 블랙 매트릭스(402)와, 컬러 필터(403) 및 블랙 매트릭스(402)를 덮는 유기 재료인 오버코트층(404)을 갖고 있다.
여기서, 표시 영역(320) 내의 박막 트랜지스터층(372)에는, 각 화소(310)의 발광을 제어하는 화소 트랜지스터가 배치되지만, 차단 내측 영역(330)에는, 화소 트랜지스터는 배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차단 내측 영역(330)은 애노드 전극(382), 발광 유기층(383) 및 캐소드 전극(384)을 갖고, 이들은, 표시 영역(320)의 화소(310)와 동일한 공정으로 적층된다. 또한, 발광 유기층(383) 및 캐소드 전극(384)은 표시 영역(320)으로부터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애노드 전극(382)은 차단 내측 영역(330)에 있어서 공통으로 전기적으로 일체로 되어 있고, 스루홀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층(372)의 배선(385)과 접속된다. 배선(385)은 도 2의 리크 전류 검출용 단자(36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발광 유기층(383) 및 캐소드 전극(384)은 표시 영역(320)으로부터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표시 영역(320)으로부터 연속적이지 않고, 각각 분할되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차단 내측 영역(330)의 발광 유기층(383)의 적층 구조와, 표시 영역(320)의 화소(310)의 발광 유기층(377)의 적층 구조와 동일한 것으로 하였지만, 표시 영역의 화소(310)의 적층 구조와 상이한 적층 구조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표시 영역(320)의 발광 유기층(377)은, 소위 탠덤 구조의 2층의 발광층을 갖고 있는 경우이어도, 발광 유기층(383)의 적층 구조는 1층만인 것으로 해도 되고, 발광층을 포함하지 않고, 정공 수송층, 전자 수송층 및 전하 발생층 등의 공통층 등의 일부의 층에 의해서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4에는, 차단 내측 영역(330)에 이물질(389)이 혼입된 경우의 전류 리크의 발생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밀봉막(379)을 형성할 때에 TFT 기판(300)에 이물질(389)이 부착된 경우에는, 밀봉 기판(400)과 접합할 때 등에 있어서, 밀봉막(379)이나 캐소드 전극(384)과 함께, 발광 유기층(383)이 파괴되는 것이 생각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애노드 전극(382)과 캐소드 전극(384)과의 사이에 전압이 가해지면 리크 전류가 발생한다. 이 전류를 계측함으로써, 이물질, 즉 발광 유기층(383) 등의 파괴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리크 전류의 계측에 있어서, 전압 인가의 방향은 발광층이 발광하는 방향이어도, 그 역방향이어도 된다.
도 5에는, 도 2의 A로 나타내어지는 영역에 대해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설명을 위해, 애노드 전극(376, 382) 및 유기 뱅크(374)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을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320)에는, 화소(310)의 배치에 맞추어, 애노드 전극(376)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고, 각 애노드 전극(376)의 주위는, 유기 뱅크(374)가 형성되어 있다. 표시 영역(320)의 주위의 차단 내측 영역(330)에는, 애노드 전극(382)이 일체화되어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애노드 전극(382)은 콘택트부(388)에 있어서 배선(385)과 접속되고, 외부에 접속되는 리크 전류 검출용 단자(36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발광 유기층(383)이 결손되어 있는 경우 발생하는 애노드 전극(382)과 캐소드 전극(384)과의 사이의 전류 리크를 검출하는 것으로 하였기 때문에, 차단 내측 영역(330)의 표시 영역(320)의 외측에서 발생한 불량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품 출하 후의 다크 엣지에 기인하는 점등 불량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출하 제품의 내용 기간을 보다 길게 하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출하 전의 검사에 있어서의 장기의 에이징 처리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제조 비용을 저감시켜,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상술한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관한 유기 EL 패널의 차단 내측 영역(330)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제1 변형예에 있어서의 상술한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은, 밀봉막(379) 상에 전극층(421)을 더 갖는 점이다. 전극층(421)은 애노드 전극(382)과 마찬가지로 스루홀을 통해 리크 전류 검출용 단자에 접속되고, 캐소드 전극(384)과 전극층(421)과의 사이의 리크 전류를 검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발광 유기층(383)의 결손뿐만 아니라, 밀봉막(379)에 결손이 있는 경우의 리크 전류에 대해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전극층(421)은 방열의 효과, 또는 전자파 방지의 효과도 있다.
도 7은 상술한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유기 EL 패널의 차단 내측 영역(330)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제2 변형예에서는, 도 6의 제1 변형예의 차단 내측 영역(330)에 또한 밀봉막(422) 및 전극층(423)이 순서대로 겹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또한, 밀봉막(422)에 결손이 있는 경우의 리크 전류에 대해 검사할 수 있다.
도 8은 상술한 실시 형태의 제3 변형예에 따른 유기 EL 패널의 도 5와 동일한 시야에서의 확대도이다. 도 5와 마찬가지로, 애노드 전극(376, 382) 및 유기 뱅크(374)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을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320)에는, 화소(310)의 배치에 맞추어, 애노드 전극(376)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고, 각 애노드 전극(376)의 주위는, 유기 뱅크(37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차단 내측 영역(330)에 있어서도, 표시 영역(320)과 마찬가지로, 유기 뱅크(374)가 동일한 크기, 동일한 피치로 형성되고, 차단 내측 영역(330)을 다 메우도록 형성되어 있다. 차단 내측 영역(330)에 있어서의 애노드 전극(382)은 표시 영역(320)과 동일한 크기로 배치하여, 전기적으로 일체로서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함으로써, 표시 영역(320)의 화소(310)와 동일한 표면 요철의 환경이, 차단 내측 영역(330)에 형성되어, 이물질 등의 검사를 높은 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반도체 제조 프로세스에 의해 형성할 수 있으므로, 프로세스의 안정성을 높이고,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실시 형태의 다른 변형예이다. 차단 내측 영역(330)의 애노드 전극(382)의 사이즈를 복수의 화소에 걸쳐 연속된 형상으로 하고, 차단 내측 영역(330)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된 애노드 전극(382a, 382b, 382c) 등으로 한 것이다. 이 구조에서는, 유기 EL 패널 내의 각종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복수로 분할된 각 애노드 전극(382)은 전기적으로 일체로 되도록 배선해도, 블록마다 다른 단자에 배선해도 된다. 블록마다 다른 배선으로 한 경우에는, 리크 전류가 검출된 블록 위치에 기초하여, 이상(異常)으로 되는 발생 개소의 특정이 용이하게 되고, 프로세스의 개선 등에의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애노드 전극(376)과 캐소드 전극(378)의 전기적인 관계는, 바뀌어 있어도,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 여겨지는 것을 기술해 왔지만,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첨부된 청구항은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와 범위 안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사항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100 : 유기 EL 표시 장치
110 : 상부 프레임
120 : 하부 프레임
200 : 유기 EL 패널
300 : TFT 기판
310 : 화소
320 : 표시 영역
330 : 차단 내측 영역
340 : 차단 영역
350 : 주변 회로 영역
361 : 리크 전류 검출용 단자
362 : 애노드 단자
363 : 캐소드 단자
371 : 글래스 기판
372 : 박막 트랜지스터층
373 : 유기 평탄화 막
374 : 유기 뱅크
375 : 반사막
376 : 애노드 전극
377 : 발광 유기층
378 : 캐소드 전극
379 : 밀봉막
382 : 애노드 전극
383 : 발광 유기층
384 : 캐소드 전극
385 : 배선
388 : 콘택트부
389 : 이물질
400 : 밀봉 기판
401 : 글래스 기판
402 : 블랙 매트릭스
403 : 컬러 필터
404 : 오버코트층
410 : 투명 수지
421 : 전극층
422 : 밀봉막
423 : 전극층

Claims (7)

  1. 발광하는 발광 영역을 갖는 화소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주위에 형성된 검사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화소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제1 전극과,
    상기 발광 영역에 형성된, 발광층을 포함하는 복수의 유기 재료의 층을 포함하는 발광 유기층과,
    상기 표시 영역을 덮어 형성된 제2 전극을 갖고,
    상기 검사 영역은,
    상기 검사 영역에 있어서 전기적으로 적어도 1개의 블록을 포함하는 검사용 제1 전극과,
    상기 복수의 유기 재료의 층 중 적어도 1개의 유기 재료의 층을 포함하고, 상기 검사용 제1 전극과 접하고 있는 검사용 유기층과,
    상기 검사용 유기층과 접하여 형성되는 검사용 제2 전극을 갖고,
    상기 제2 전극 및 상기 검사용 제2 전극에 직접 접하고, 상기 표시 영역으로부터 상기 검사 영역까지, 연속하여 위치하는 제1 밀봉막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밀봉막 상의 적어도 상기 검사 영역은, 상기 제1 밀봉막에 직접 접하고 있고, 상기 제1 밀봉막의 상기 검사용 제2 전극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는, 도전 재료를 포함하는 검사용 제3 전극으로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용 유기층은, 상기 발광 유기층의 상기 적어도 1개의 유기 재료의 층으로부터 연속해서 형성되고,
    상기 검사용 제2 전극은, 상기 제2 전극과 연속해서 형성되고, 전기적으로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용 유기층은, 비발광의 유기층만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의 단부를 덮도록 격자 형상의 패턴으로 형성된 절연막인 화소 분리막을 더 갖고,
    상기 화소 분리막은, 상기 검사 영역에 있어서도 상기 표시 영역의 상기 격자 형상의 패턴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용 제3 전극 상에는,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검사 영역에 연속해서, 수분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제2 밀봉막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밀봉막 상의 적어도 상기 검사 영역은, 도전 재료를 포함하는 검사용 제4 전극으로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영역의 주위에 있고, 박막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회로가 배치된 주변 회로 영역과,
    상기 검사 영역과 상기 주변 회로 영역과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검사 영역의 상기 검사용 제2 전극으로부터 연속해서 형성된 전극층을 갖고, 상기 전극층으로부터 기재인 절연 기판까지가 무기 재료의 층만으로 구성되는 차단 영역을 더 구비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
  7. 삭제
KR1020140112515A 2013-08-30 2014-08-27 유기 el 표시 장치 KR1016121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79268A JP2015049972A (ja) 2013-08-30 2013-08-30 有機el表示装置
JPJP-P-2013-179268 2013-08-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922A KR20150026922A (ko) 2015-03-11
KR101612190B1 true KR101612190B1 (ko) 2016-04-12

Family

ID=52581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2515A KR101612190B1 (ko) 2013-08-30 2014-08-27 유기 el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472761B2 (ko)
JP (1) JP2015049972A (ko)
KR (1) KR101612190B1 (ko)
CN (1) CN104425559B (ko)
TW (1) TWI5433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66930B (zh) * 2015-04-17 2017-07-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Oled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KR102446857B1 (ko) 2015-05-26 2022-09-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17033879A1 (ja) * 2015-08-27 2017-03-02 シャープ株式会社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
JP6684589B2 (ja) * 2015-12-25 2020-04-2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6634290B2 (ja) * 2016-01-04 2020-01-2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有機el表示装置
CN105632959B (zh) * 2016-01-05 2019-01-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及其制备方法和显示装置
JP6676998B2 (ja) * 2016-02-10 2020-04-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7157406A (ja) * 2016-03-01 2017-09-0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有機el表示装置
JP2017168308A (ja) * 2016-03-16 2017-09-21 株式会社Joled 表示装置
CN109792818B (zh) * 2016-09-30 2021-06-11 夏普株式会社 有机el显示装置和有机el显示装置的制造方法
US11309512B2 (en) 2017-03-30 2022-04-19 Sharp Kabushiki Kaisha Organic E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EL display device
WO2019187101A1 (ja) * 2018-03-30 2019-10-03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665221B1 (ko) * 2018-12-17 2024-05-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7373103B2 (ja) * 2019-01-17 2023-11-02 JDI Design and Development 合同会社 表示パネルおよび電子機器
US20220093703A1 (en) * 2019-02-04 2022-03-24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CN111490083A (zh) * 2020-04-20 2020-08-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边缘裂纹检测方法、显示装置
KR20220075071A (ko) * 2020-11-27 2022-06-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불량 검사 방법
KR20220094808A (ko) * 2020-12-29 2022-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42043A1 (en) 2001-12-06 2003-07-31 Seiko Epson Corporation Electro-optical device and an electronic apparatus
US20050225708A1 (en) 2004-04-09 2005-10-13 Hitachi Displays,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38138B1 (en) * 1990-01-17 1995-03-15 Kabushiki Kaisha Toshiba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of active matrix type
KR960014823B1 (ko) * 1991-03-15 1996-10-21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구쇼 액정표시장치
JPH10321367A (ja) 1997-05-23 1998-12-04 Tdk Corp 有機elディスプレイの評価装置および評価方法
JP2001223074A (ja) 2000-02-07 2001-08-17 Futaba Corp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その駆動方法
SG114529A1 (en) * 2001-02-23 2005-09-28 Semiconductor Energy Lab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N1848450A (zh) * 2001-12-06 2006-10-18 精工爱普生株式会社 电光学装置及其电子仪器
KR100925455B1 (ko) * 2002-08-19 2009-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JP2004192925A (ja) * 2002-12-10 2004-07-08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有機el表示パネル及びその検査方法
JP4285158B2 (ja) * 2003-08-29 2009-06-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054111A (ja) * 2004-08-12 2006-02-23 Sony Corp 表示装置
KR100698689B1 (ko) * 2004-08-30 2007-03-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JP3944652B2 (ja) * 2005-04-18 2007-07-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712214B1 (ko) * 2005-07-14 2007-04-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소자
JP2007287354A (ja) * 2006-04-12 2007-11-01 Hitachi Displays Ltd 有機el表示装置
JP4927462B2 (ja) * 2006-07-07 2012-05-09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有機el表示装置
US20080121901A1 (en) * 2006-11-23 2008-05-29 Haksu Kim Light emitting device
US20080284690A1 (en) * 2007-05-18 2008-11-20 Sam Min Ko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JP2009110865A (ja) * 2007-10-31 2009-05-21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表示装置
JP5396905B2 (ja) * 2008-04-01 2014-01-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9277549A (ja) * 2008-05-15 2009-11-26 Toshiba Mobile Display Co Ltd 有機elパネル、及び有機elパネルの欠陥検出方法
JP2013084619A (ja) 2013-01-07 2013-05-09 Sony Corp 表示装置
JP6102543B2 (ja) * 2013-06-17 2017-03-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の駆動方法、液晶装置、電子機器
JP6114664B2 (ja) * 2013-08-29 2017-04-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有機el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42043A1 (en) 2001-12-06 2003-07-31 Seiko Epson Corporation Electro-optical device and an electronic apparatus
US20050225708A1 (en) 2004-04-09 2005-10-13 Hitachi Displays,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65666B2 (en) 2018-01-09
TW201508913A (zh) 2015-03-01
CN104425559B (zh) 2017-05-17
US20150060819A1 (en) 2015-03-05
KR20150026922A (ko) 2015-03-11
TWI543359B (zh) 2016-07-21
US9472761B2 (en) 2016-10-18
CN104425559A (zh) 2015-03-18
JP2015049972A (ja) 2015-03-16
US20160365399A1 (en) 2016-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2190B1 (ko) 유기 el 표시 장치
JP6114664B2 (ja) 有機el表示装置
TWI617216B (zh) Display device
JP6454673B2 (ja) 表示装置とその検査方法
US9276051B2 (en) Light-emitting element display device
KR101883542B1 (ko) 표시장치
US907089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9246130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US11222931B2 (en) Display device
JP6830011B2 (ja) 有機el表示装置
US7834544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having a moisture-proof film
JP2017071842A (ja) 成膜用マスク及びそれを用いた成膜方法
US10345943B2 (en) Display device
US9678378B2 (en) Display device
JP4927462B2 (ja) 有機el表示装置
US9685639B2 (en) Organic E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52025B1 (ko) 표시 장치
US20180287101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KR102244722B1 (ko) 점등 패드부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US20240130213A1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