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025B1 -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025B1
KR101609025B1 KR1020130008032A KR20130008032A KR101609025B1 KR 101609025 B1 KR101609025 B1 KR 101609025B1 KR 1020130008032 A KR1020130008032 A KR 1020130008032A KR 20130008032 A KR20130008032 A KR 20130008032A KR 101609025 B1 KR101609025 B1 KR 101609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
point
image
fundus
arbitrary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8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6567A (ko
Inventor
야스히로 나카하라
시게아키 오노
유키오 사카가와
히로키 우치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86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6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0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which protect the occupants against personal attack from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26Rigid partitions inside vehicles, e.g. between passengers and load compart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06T7/73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using feature-based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021/0206Self-supporting restraint systems, e.g. restraining arms, plates or the like
    • B60R2021/022Self-supporting restraint systems, e.g. restraining arms, plates or the like mounted on sea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72Tomographic images
    • G06T2207/10101Optical tomography;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41Eye; Retina; Ophthalm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피검안의 안저상 및 단층상의 관심 부위를 대응 방식으로 확실하게 표시하기 위해, 피검안의 화상을 처리하는 장치는 피검안의 안저상을 취득하는 유닛; 상기 안저상에 임의의 점을 지정하는 유닛; 상기 피검안의 단층상을 취득하는 유닛; 상기 임의의 점에 대응하는 상기 단층상의 점을 산출하는 유닛; 및 상기 임의의 점 및 상기 대응하는 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단층상과 상기 안저상을 서로 연관시켜 표시하는 좌표계를 변환하는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저장 매체{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안부(eye)의 화상들에 대한 화상 처리를 지원하는 화상 처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부의 단층상(tomographic image)을 이용하여 화상 처리를 수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광 간섭계(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장치와 같은 안부 단층상 촬상(ophthalmic tomographic image photographing) 장치는 망막(retina)의 내부 상태를 3차원으로 관찰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안부 단층상 촬상 장치는 질병을 적절히 진단하는 능력 때문에 주목받고 있다. OCT 단층 정보량은 방대하므로, 단층 정보를 하나씩 확인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의사의 OCT 기반 진단의 부담을 경감시켜 주기 위해, 컴퓨터 보조 진단(CAD) 기술의 확립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1-110158호에는 안저상(fundus image)의 특징량을 그의 두 점에서 검출하고, 그 두 점을 기초로 하여 투영 화상(projection image)의 기준 좌표계(coordinate system)를 결정하며, 그 기준 좌표계를 표시 좌표계로 변환하여 표시 좌표계에 대응하는 투영 화상을 표시하는 것에 대해 기술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1-110158호에는 표시 좌표계에 따라 OCT 분석 결과를 표시하는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1-110158호에는 안저상과 단층상을 표시할 때 수행되는 처리가 기술되어 있지 않다. 일반적으로, 단층상은 전개(expanded)되어 2차원으로 표시된다. 그러므로, 단층상과 안저상이 단일 대응점을 기준으로 하여 표시되는 경우, 단층상과 안저상은 기준 좌표계의 원점에서 서로 일치하지만, 기준 좌표계의 원점과의 거리가 길수록, 편차량(deviation amount)이 커진다. 이러한 현상은 도 16의 (a) 내지 도 16의 (c)의 모식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6의 (a)는 안저상을 예시한다. 임의의 점(1401)은 안저상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하고 안저상의 중심을 거의 지나는 선에 놓인다. 임의의 점(1402)은 상기 선에 존재하는 황반부(macula)에 놓인다. 임의의 점(1403)은 상기 선에 존재하는 유두부(papilla)의 점이다. 거리(1404) 및 거리(1405)는 각각 임의의 점(1402)에서 임의의 점(1401)까지와 임의의 점(1402)에서 임의의 점(1403)까지의 수직 거리이다. 도 16의 (b)는 안저의 점들(1401, 1402, 1403)을 포함하는 선에 대응하는 눈의 단면을 예시한다. 도 16의 (c)는 동일한 수직선의 OCT 기반 측정에 의해 얻은 단층상을 예시한다. OCT 단층상은 통상 전개되어 임의의 점(1402)을 기준점, 즉, 원점으로 하여 2차원으로 표시된다. 거리(1406)는 안저상의 임의의 점(1401)과 단층상의 실제 임의의 점(1401) 간의 편차량을 나타낸다. 거리(1407)는 안저상의 임의의 점(1403)과 단층상의 실제 임의의 점(1403) 간의 편차량을 나타낸다. 표시 기준점과의 거리(1404 및 1405)가 길어질수록, 안저상과 단층상 간의 편차는 더 커진다.
따라서, 관심 점(예컨대, 병변(lesion) 의심 점)이 기준점이 아닌 경우, 검사자는 단층상과 안저상이 서로 일치하지 않은 화면을 참조하여 진단을 수행하게 된다. 이는 다양한 질병의 진단을 지원하기 어렵고 신속한 진단을 방해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 처리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피검안(eye to be inspected)의 안저상을 취득하는 유닛; 상기 안저상에 두 개의 임의의 점을 지정하는 유닛; 상기 두 개의 임의의 점 간에 형성된 벡터를 산출하는 유닛; 상기 벡터를 일 축(axis)으로 설정하고 상기 두 개의 임의의 점 중 하나를 원점으로 설정한 좌표계를 산출하는 유닛; 상기 피검안의 단층상(tomographic image)을 취득하는 유닛; 상기 좌표계의 원점을 상기 원점에 대응하는 상기 단층상의 임의의 점과 일치시키는 유닛; 상기 안저상의 상기 두 개의 임의의 점 중에서 일치하지 않는 하나의 점의 위치와 상기 단층상의 대응하는 임의의 점의 위치 간의 편차량을 산출하는 유닛; 및 상기 편차량에 기초하여 상기 안저상의 상기 두 개의 임의의 점이 상기 두 개의 임의의 점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단층상의 점들과 일치하도록 상기 단층상을 변환하는 유닛을 포함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 처리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화상 처리 방법은 피검안의 안저상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안저상에 임의의 점을 지정하는 단계; 상기 피검안의 단층상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임의의 점에 대응하는 상기 단층상의 점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임의의 점과 상기 대응하는 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단층상과 상기 안저상을 서로 연관시켜 표시하는 좌표계를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 처리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화상 처리 방법은 피검안의 안저상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안저상에 두 개의 임의의 점을 지정하는 단계; 상기 두 개의 임의의 점 간에 형성된 벡터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벡터를 일 축으로 설정하고 상기 두 개의 임의의 점 중 하나를 원점으로 설정한 좌표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피검안의 단층상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좌표계의 원점을 상기 원점에 대응하는 상기 단층상의 임의의 점과 일치시키는 단계; 상기 안저상의 상기 두 개의 임의의 점 중에서 일치하지 않는 하나의 점의 위치와 상기 단층상의 대응하는 임의의 점의 위치 간의 편차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편차량에 기초하여 상기 안저상의 상기 두 개의 임의의 점이 상기 두 개의 임의의 점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단층상의 점들과 일치하도록 상기 단층상을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요망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의 실행을 통해, 단층상과 안저상을 서로 일치시키는 기준점을 관심(예를 들어, 병변 의심) 부위에 따라 변경할 수 있어 다양한 질병을 신속하게 진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의 프로그램 흐름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의 (a), 도 3의 (b) 및 도 3의 (c)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시 수행되는 망막상 분석 및 망막 좌표의 산출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의 (a), 도 4의 (b) 및 도 4의 (c)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시 수행되는 망막 좌표 산출 및 표시 기준 설정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의 (a) 및 도 5의 (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상에 표시되는 화상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의 (a) 및 도 6의 (b)는 피검안을 표시할 때 정상 눈을 피검안과 병치(juxtaposed)하여 표시하는 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의 (a) 및 도 7의 (b)는 도 6의 (a) 및 도 6의 (b)의 방식으로 표시된 화상을 미러 반전(mirror-reversed)하는 경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의 프로그램 흐름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의 (a), 도 9의 (b) 및 도 9의 (c)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시 수행되는 망막상 분석 및 망막 좌표의 산출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 (a), 도 10의 (b) 및 도 10의 (c)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시 수행되는 망막 좌표 산출 및 표시 기준 설정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의 (a) 및 도 11의 (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상에 표시되는 화상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의 프로그램 흐름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의 (a), 도 13의 (b) 및 도 13의 (c)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시 수행되는 망막상 분석 및 망막 좌표의 산출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4의 (a), 도 14의 (b) 및 도 14의 (c)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시 수행되는 망막 좌표 산출 및 표시 기준 설정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5의 (a) 및 도 15의 (b)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상에 표시되는 화상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의 (a), 도 16의 (b) 및 도 16의 (c)는 종래 기술에 따라 취득된 안저상과 망막 단층상 간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좌우 눈을 동시에 표시한 경우의 모니터 화면의 일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에 예시된 표시에서 단층 표시의 지정 위치를 이동한 경우의 표시 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및 프로그램의 구성에 대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실제로 화상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저/단층상 촬상 장치(101)는 안저상 및 안부(eye)의 단층상을 촬영한다. 안저상은 전하 결합 소자 이미지 센서(CCD)(미도시됨)와 같은 고체 촬상 소자, 또는 주사 레이저 검안경(SLO) 등의 구조에 의해 촬영된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안부의 단층상은, 예를 들어, 시간 영역 OCT 장치 또는 푸리에(Fourier) 영역 OCT 장치에 의해 취득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피검안의 광 경로(미도시됨)는 하프 미러(half mirror) 등에 의해 분할되어 안저상과 안부의 단층상을 동시에 관찰 및 분석하고, 안저상, 단층상, 및 분석 결과를 데이터로 형성할 수 있다.
데이터 서버(102)는 피검안의 안저상 및 단층상에 대한 데이터와, 피검안의 화상 특징을 보유한다. 즉, 데이터 서버(102)는 안저/단층상 촬상 장치(101)로부터 출력된 피검안의 안저상 및 단층상, 화상 처리부(103)로부터 출력된 분석 결과, 및 안저 및 망막 기준 좌표계를 저장한다. 데이터 서버(102)는 화상 처리부(103)의 요청에 따라 피검안에 대한 이전 데이터 및 정상 안부에 대한 데이터를 화상 처리부(103)로 전송한다.
화상 처리부(103)는 데이터 입/출력부(105), 안저상 취득부(107), 망막상 취득부(108), 망막 좌표 산출부(109), 메모리부(106), 망막상 분석부(110), 표시 제어부(111) 및 명령 취득부(112)를 포함한다. 화상 처리부(103)는 근거리 네트워크(LAN)(104)를 통해 데이터 서버(102) 및 안저/단층상 촬상 장치(101)에 연결된다. 화상 처리부(103)는 USB, 또는 IEEE 1394 등을 매개로 하여 데이터 서버(102) 및 안저/단층상 촬상 장치(101)에 연결될 수 있다.
망막상 분석부(110)는 도 3b의 3차원 단층상에서의 안구(eyeball)의 반경 r 및 중심점 0의 좌표를 결정한다. 원점(302)은 안구의 중심 0과 정렬된다. 다음에, 지정점(301)의 3차원 단층상의 좌표(x, y, z)는 도 3a의 망막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특징점에 대응하는 지정점(301)의 x 및 y 좌표값(안저의 지정점)으로부터 산출된다. 데이터 입/출력부(105)는 화상 처리부(103)와 데이터 서버(102) 또는 안저/단층상 촬상 장치(101) 간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부로서 기능한다. 안저상 취득부(107)는 안저/단층상 촬상 장치(101)로부터 LAN(104)을 통해 데이터 입/출력부(105)로 전송된 안저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다음에, 안저상 취득부(107)는 안저의 특징점을 분석하고 그 좌표를 표시 좌표계로 변환하여, 취득한 결과 데이터를 메모리부(106)로 송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저상을 취득하는 안저/단층상 촬상 장치(101), 안저상 취득부(107) 등은 피검안의 안저상을 취득하기 위한 수단 또는 유닛에 대응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층상을 취득하는 안저/단층상 촬상 장치(101), 망막상 취득부(108) 등은 피검안의 단층상을 취득하기 위한 수단 또는 유닛에 대응한다.
조작부(113)는 (후술하는) 모니터(114) 상에 표시된 안저상의 병변부(lesion)일 수 있는 임의의 점을 가리키는 데 사용가능한 포인팅 장치이다. 즉, 조작부(113)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저상의 하나의 임의의 점 또는 두 개의 임의의 점을 지정하는 데 사용되는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조작부(113)의 예는 모니터(114) 상에 설치된 터치 패널 또는 마우스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조작부(113)는 모니터(114) 상의 안저상의 임의의 위치 또는 임의의 점을 지정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라도 될 수 있다. 조작부(113)에서 안저에 임의의 점을 입력하면, 명령 취득부(112)는 모니터(114) 상에 입력된 임의의 점을 안저상의 좌표로 변환하고, 좌표 데이터를 메모리부(106)로 송신한다.
안저/단층상 촬상 장치(101)에 의해 취득된 안저상 및 단층상과, 화상 처리부(103)에 의해 분석된 화상 정보는 모니터(114) 상에 표시되는 표시 좌표계로 변환된다. 망막상 취득부(108)는 안저/단층상 촬상 장치(101)로부터 LAN(104)을 통해 데이터 입/출력부(105)로 전송된 피검안의 단층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망막 좌표 산출부(109)는 망막상 취득부(108)에 의해 취득된 단층상 데이터로부터 진단 대상 특징점 또는 임의의 점의 3차원 데이터, 눈의 반경 정보 등을 산출하고, 산출된 정보를 표시 좌표계로 변환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표시 좌표계로 변환된 단층상 데이터는 메모리부(106)로 전달된다.
메모리부(106)는 또한 안저상의 좌표를 단층상의 좌표와 연관시키는 처리부로서 기능한다. 메모리부(106)는 임의의 점에 대응하는 안저상의 지정된 임의의 점과 단층상의 위치를 모니터(114) 상에서 서로 연관시켜 표시하도록 한다.
도 2는 화상 처리부(103) 및 전술한 어떤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흐름을 예시한다. 단계(S201)는 화상 처리 프로그램 흐름의 시작이다. 단계(S202)에서, 안저/단층상 촬상 장치(101)는 피검안의 안저상을 취득한다. 다음에, 도 3a 내지 도 3c의 황반(macula)부(302)를 원점으로 하는 2차원 XY 좌표계가 산출되고, 2차원 XY 좌표계는 원점을 기준 좌표의 원점으로 하여 메모리부(106)로 송신된다. 이러한 처리는 안저상 취득부(107)에 의해 실행된다.
또한, 단계(S203)에서, 안저/단층상 촬상 장치(101)는 피검안의 단층상을 취득한다. 단계(S204)에서, 안저상에 진단이 필요한 부위의 좌표를 임의의 점으로서 지정한다. 이러한 동작은 전술한 조작부(113)에 의한 임의의 점의 지정 등으로 실행된다.
단계(S205)에서, 안저상에서의 해당 임의의 점의 좌표의 입력 여부를 판단한다. 해당 좌표의 입력이 없으면, 흐름은 단계(S204)로 되돌아가서 해당 좌표의 입력을 대기한다. 해당 좌표가 입력되면, 흐름은 다음 단계(S206)로 진행한다. 단계(S206)에서, 안저상의 분석 동안 단층상의 망막 상에서 이전에 결정된 원점에 대해 후술하는 3차원 좌표를 산출한다. 이러한 처리는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3b에 예시된 단면도에서 안구의 반경 r 및 안구 내의 중심점 O를 결정하고, 단층상에 대해 설정된 3차원 좌표계에서 전술한 원점과 중심점을 대응시킨다. 또한, 안저상에 설정된 XY 좌표와 일치시킨 기준 좌표(x, y, z)를 산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저상의 임의의 점에 대응하는 단층상의 점을 산출하는 전술한 처리는 대응하는 점을 산출하기 위한 수단 또는 유닛을 구성하는 망막상 분석부(110) 및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실행된다. 중심점 O는 단층상의 곡률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단계(S207)에서, 도 3b에 예시된 단층상의 임의의 점(301)의 3차원 좌표를 안저 상의 산출된 기준 좌표로부터 산출한다. 다음에, 3차원 기준 좌표(x, y, z)의 단층상에서의 원점(302)에서 임의의 점(301)까지의 전개(expansion) 거리(rθ)가 결정된다. 그 후, 결정된 전개 거리와 임의의 점(302)의 안저상에 설정된 XY 좌표계의 Y축 방향의 원점(302)으로부터 임의의 점(301)까지의 거리 간의 차가 산출된다. 결정된 차는 안저상의 임의의 점을 그 임의의 점에 대응하는 단층상의 임의의 점과 연관시켜 표시한 때의 편차량(303)을 나타낸다.
단계(S208)에서, 이러한 편차량(303)을 고려하여, 안저상의 지정된 임의의 점(301)의 좌표가 단층상의 대응하는 점의 좌표와 일치하는 방식으로 3차원 좌표계의 좌표를 표시 좌표계로 변환한다. 이것은 단층상의 원점과 일치하는 안저상의 원점의 좌표를 대신한다. 그 결과, 도 4a 내지 도 4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안저상의 임의의 점(301)이 단층상의 임의의 점(301)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전술한 3차원 좌표계의 좌표는 표시 좌표계로 변환된다. 이 방향에서, 단층상의 편차는 안저상의 원점 0과 황반(302)의 중심 사이이며, 이는 도 4의 (c)에서 303으로 표기된다. 이러한 좌표 변환은 본 발명에 따라 임의의 점과 그 임의의 점에 대응하는 점의 위치에 기초하여 단층상 및 안저상을 서로 연관시켜 표시하는 좌표계를 변환하는 유닛으로서 기능하는 표시 제어부(111) 및 어떤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실행된다.
단계(S209)에서, 단계(S208)에서 산출된 표시 좌표계를 이용하여 단층상으로서 얻은 데이터를 표시한다. 단계(S209)에서, 안저상과 단층상을, 예를 들어, 도 5a 및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은 표시부(미도시됨)에 표시한다. 전술한 흐름에서 두 눈이 검사 대상인 경우, 도 5a 및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두 눈을 서로 연관시키고, 안저상에 지정된 임의의 점 또는 특징점을 단층상의 동등한 점과 연관하도록 표시된다.
도 3a 내지 도 3c 및 도 4a 내지 도 4c는 노인성 황반 변성(degenerative) 안저상 및 단층상의 예를 예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층상과 안저상을 일치시키는 기준점이 관심(예컨대, 병변 의심) 부위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질병의 진단이 지원될 수 있고, 신속한 진단이 내려질 수 있다. 황반 주변의 망막의 두께가 본 발명에 따라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기 때문에, 고정밀(high-definition) 두께 맵(map)을 준비함으로써 안저상에서의 편차가 감소된다. 도 5a 및 도 5b는, 예를 들어, 도 3a 내지 도 3c에 예시된 노인성 황반 변성 질환이 있는 피검자의 두 눈의 안저상과 단층상을 모니터(114) 상에 표시한 예를 예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의 (a) 및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에 예시된 프로그램 흐름에 의해 취득된 두 눈의 화상에 대하여, 좌우 눈의 황반부(302 및 402) 및 임의의 점(301 및 401)이 일직선으로 정렬되어 대칭적으로 표시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표시와 관련된 두 눈의 화상의 배치와 같은 동작은 표시 제어부(111)에 의해 수행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두 눈을 표시할 때에도, 망막의 두께를 분석할 때 지정점과 단층상을 서로 연관시키고 좌우 눈의 특징점을 서로 연관시켜 화상을 표시하여, 안부의 용이한 비교와 신속한 진단을 내릴 수 있다.
안저상과 단층상을 표시할 때, 예를 들어, 피검안의 여러 화상과 비교 대상 정상 눈의 여러 화상이 정렬되어 표시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검사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피검안의 화상과 정상 눈의 화상 중 어느 하나가 반전되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화상을 미러 반전(mirror-reversed)하여 표시하는 경우에 대해 도 6의 (a) 및 도 6의 (b)와 도 7의 (a) 및 도 7의 (b)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7의 (a)는 도 6의 (a)의 안저상과 단층상을 미러 반전 화상으로서 표시한 예를 예시한다. 도 6의 (a)는 정상적인 오른쪽 눈의 안저상 및 단층상을 예시한다. 이와 같이 표시된 데이터는 녹내장(glaucoma)의 진단을 위해 도 1의 데이터 서버(102)에 저장된 정상 눈의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6의 (b) 및 도 7의 (b)는 녹내장이 의심되고 도 6의 (a)의 사람과는 다른 동일 사람의 왼쪽 눈을 예시한다. 도 6의 (a) 및 도 6의 (b)의 표시는 좌우 눈으로 서로 비교하여, 안부에서 같은 것끼리 비교하는 데 이상적이지 않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상 눈의 표시를 미러 반전하려는 명령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미도시됨)를 통해 출력되면, 도 7의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도 6의 (a)의 표시는 미러 반전된다. 제시된 도 7의 (a) 및 도 7의 (b)의 표시에 따라, 마치 안저상과 단층상이 동일 측에 표시된 것처럼 화상이 비교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녹내장 의심을 보이는 안저상과 단층상을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효율적인 진단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단지 한쪽 정상 눈에 대한 데이터만으로도 정상 눈의 데이터로서 충분하므로(즉, 미러 반전될 때 한쪽 눈이 양쪽 눈과 비교될 수 있으므로, 왼쪽 및 오른쪽의 정상적인 눈의 양쪽이 저장될 필요가 없음), 도 1의 데이터 서버(102)의 용량이 절약될 수 있다. 실제 동작은 조작부(113)로부터 표시 제어부(111)로 출력된 표시 미러 반전 명령에 따라 수행되며, 표시 제어부(111)는 그 명령에 따라 정상 눈의 표시를 전자적으로 반전한다. 비록 본 실시예에 따라 정상 눈이 반전되지만, 피검안이 반전될 수 있다. 또한, 한쪽의 여러 눈(피검안)이 표시되고, 그 한쪽의 눈에 각각 대응하는 정상 눈의 화상이 병치 방식으로 동시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 제어부(111)는 본 발명에 따라 한쪽의 여러 눈을 비교를 위해 미러 반전 방식으로 표시하기 위한 수단 또는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제2 실시예)
다음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두 개의 임의의 점이 단층상과 안저상 사이의 대응을 예시하도록 지정된다. 본 장치의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생략된다.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는 화상 처리 프로그램의 흐름에서 제1 실시예와 다르다. 이하, 프로그램 흐름이 설명된다.
단계(S601)는 화상 처리 프로그램의 흐름의 시작이다. 단계(S602)에서, 안저/단층상 촬상 장치(101)는 피검안의 단층상을 취득한다. 다음에, 도 9의 (a) 및 도 9의 (b)의 황반부(703)를 원점 0으로 한 2차원 XY 좌표계가 산출되고, 2차원 XY 좌표계는 이 원점을 기준 좌표의 원점으로서 메모리부(106)로 송신된다. 이러한 처리는 안저상 취득부(107)에 의해 실행된다.
단계(S603)에서, 안저/단층상 촬상 장치(101)는 피검안의 단층상을 취득한다. 단계(S602 및 S603)에서 실행되는 동작은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단계(S202 및 S203)에서 실행되는 동작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다음 단계(S605)에서, 카운터 변수 N에 대한 값으로서 0을 대입한다. 단계(S606)에서, 안저상에 진단 대상 부위의 특징점의 좌표를 임의의 점으로 지정한다. 단계(S607)에서, 이러한 임의의 점의 좌표의 입력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S606 및 S607)에서 실행되는 처리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단계(S204 및 S205)에서 실행되는 처리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생략된다.
단계(S607)에서 이러한 임의의 점의 좌표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흐름은 단계(S608)로 진행하여 카운터 변수 N을 "1" 증분한다. 단계(S606 내지 S609)의 일련의 처리는 단계(S609)에서 카운터 변수 N이 "2"가 될 때까지 반복된다. 카운터 변수 N이 "2"가 되면, 흐름은 단계(S610)로 진행한다.
단계(S610)에서 실행되는 처리에 대해 도 9의 (a) 내지 도 9의 (c)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9의 (a)는 피검안의 안저상을 예시하고, 도 9의 (b)는 피검안의 안구의 단면을 예시하며, 도 9의 (c)는 피검안의 단층상을 예시한다. 제1 임의의 점(701)은 안저상에 설정된 XY 좌표계에서 진단 대상의 부위를 나타내는 특징점으로서 지정된 좌표(x1, y1, z1)를 갖는다. 제2 임의의 점(702)은 제1 임의의 점(701)과 다른 특징점으로서 지정된 좌표(x2, y2, z2)를 갖는다. 황반부(703)는 XY 좌표계의 원점 또는 기준 좌표로 지정된다. 도 9의 (b)는 안저에서 그러한 제1 임의의 점(701) 및 제2 임의의 점(702)의 좌표를 망막에 투영된 점으로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예시한다. 도 9의 (c)는 안저상에 황반부(703)와 안구에 황반부(703)를 서로 연관시켜 전개한 단층상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단계(S610)에서, 도 9의 (b)에 예시된 단면도에서 안구의 반경 r 및 안구 내의 중심점 O를 결정하고, 단층상에 설정된 3차원 좌표에서 전술한 원점과 중심점을 대응시킨다. 또한, 안저상에 설정된 XY 좌표와 일치시킨 기준 좌표(x, y, z)가 산출된다. 또한, 기준 좌표에서 제1 임의의 점(701)의 좌표(x1, y1, z1) 및 제2 임의의 점(702)의 좌표(x2, y2, z2)가 산출된다.
단계(S611)에서, 안저상의 원점과 단층상의 기준 좌표의 원점 사이에 대응성이 발견되는 경우의 단층상의 제1 임의의 점(701)과 안저상의 제1 임의의 점(701) 간의 제1 편차량(704)과, 단층상의 제2 임의의 점(702)과 안저상의 제2 임의의 점(702) 간의 제2 편차량(705)을 산출한다. 제1 편차량(704)은 우선 도 9의 (c)의 단층상을 고려하고, 3차원 좌표의 원점에서 제1 지정점(x1, y1, z1)(701)까지의 거리인 "망막 전개 거리"(rθ1)를 산출한 다음, 도 9의 (a)의 안저상을 고려하고 그 망막 전개 거리 rθ1에서 XY 좌표계에서의 Y 방향의 좌표값 y1을 뺌으로써 결정된다. 마찬가지로, 제2 편차량(705)은 제2 지정점(x2, y2, z2)까지의 망막 전개 거리(rθ2)를 산출한 다음, 그 망막 전개 거리 rθ2에서 Y 방향의 좌표값 y2를 뺌으로써 구한 거리로서 결정된다.
단계(S612)에서, 단계(S611)에서 산출된 제1 및 제2 편차량(704 및 705)에 기초하여 단층상의 제1 및 제2 지정점(701 및 702)과 안저상의 제1 및 제2 임의의 점(701 및 702)이 대응하는 방식으로 단층상의 좌표를 표시 좌표계로 변환한다. 이 단계(S612)에서의 동작은 도 10의 (a) 내지 도 10의 (c)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0의 (a) 및 도 10의 (b)는 도 9의 (a) 및 도 9의 (b)에 각각 대응하고, 도 10의 (c)는 표시 좌표계에서의 단층상을 예시한다. 도 10의 (c)의 제1 점(802)은 도 9의 (c)의 제1 임의의 점(701)(x1, y1, z1)에 대응하는 위치로 표시된다. 제2 점(803)은 제2 임의의 점(702)(x2, y2, z2)에 대응하는 위치로 표시된다. 도 9의 (c)의 단층상을 표시하는 데 사용된 표시 좌표계가 도 10의 (c)의 단층상을 표시하는 데 사용된 표시 좌표계로 변경되는 경우에는, 도 9의 (b)의 단층상의 θ 좌표계에 다음의 계수를 곱하여 변환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구간 0≤y≤y1 계수: y1/rθ1
구간 y2≤y<0 계수: y2/rθ2
단계(S602)에서 단계(S612)까지의 동작은 왼쪽 눈의 화상을 취득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되었지만, 동시에 오른쪽 눈의 화상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처리가 수행된다. 단계(S613)에서, 단계(S612)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모니터(114) 상에 표시한다. 실제로는, 도 11의 (a) 및 도 11의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두 눈의 단층상과 안저상이 표시된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도 8에 예시된 프로그램 흐름에 의해 취득된 두 눈의 화상에 대하여, 왼쪽 눈의 황반부(703), 제1 임의의 점(701), 및 제2 임의의 점(702)과, 오른쪽 눈의 황반부(903), 제1 임의의 점(901), 및 제2 임의의 점(902)은 일렬로 정렬되어 대칭적으로 표시되도록 배열된다. 표시와 관련된 두 눈의 화상의 배치 등의 동작은 표시 제어부(111)에 의해 실행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단층상은 제1 실시예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핀 포인트 일치(pin-point matching)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기준점(전술한 원점)의 황반부에서 y1 또는 y2의 좌표값까지의 구간이 안저상의 각 부위에 확실하게 대응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도 11의 (a)는 안저 화상의 황반(703)과 정렬된 황반부(703)를 갖는 왼쪽 눈 아래의 단층상을 도시하며, 위치(802)는 임의의 점(701)에 대응하고, 위치(801)는 안저상의 임의의 점(702)에 대응한다. 도 11의 (b)는 안저상의 황반부(903)에 대응하는 황반부(905)를 갖는 안저상 아래의 단층상을 유사하게 도시하며, 위치(906, 904)는 안저 위치(902, 901)에 각각 대응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 임의 구간의 안저 상태 및 망막 두께를 서로 연관시킬 수 있어 황반부 및 유두부 주변의 망막의 두께의 비대칭 분석을 가능하게 하므로, 녹내장, 황반 변성 등을 진단할 때 효과적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단층상과 안저상을 일치시키는 기준점이 관심(예컨대, 병변 의심) 부위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질병의 진단이 지원될 수 있고, 신속한 진단이 내려질 수 있다.
비록 제2 실시예가 두 개의 임의의 점이 지정된 경우에 대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제2 실시예는 세 개 이상의 임의의 점을 지정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임의의 점의 좌표를 안저의 특징점으로서 추출하고, 이러한 임의의 점을 이용하여 단층상과 안저상을 대응시킨다. 본 장치의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는 제1 실시예의 도 1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생략된다. 제3 실시예는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은 프로그램 흐름에서 제1 실시예와 다르다. 이하, 프로그램 흐름이 설명된다.
단계(S1001)는 화상 처리부(103) 및 다른 관련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그램의 흐름의 시작이다. 단계(S1002)에서, 안저/단층상 촬상 장치(101)는 피검안의 단층상을 취득한다. 단계(S1003)에서는, 단계(S1002)에서 취득된 안저상으로부터 임의의 점을 추출하고, 후술하는 동작을 통해 벡터를 산출하며, 피검안의 안저상에 XY 좌표를 구축한다.
전술한 동작의 구체적인 절차는 도 13의 (a) 내지 도 13의 (c)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임의의 점(1101)은 황반부를 나타내고, 제2 임의의 점(1102)은 유두부를 나타낸다. 먼저, 제2 임의의 점(유두부)(1102)에서 제1 임의의 점(황반부)(1101)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벡터(이하, "Y 방향 벡터"라고 지칭됨)가 정의된다. 다음에, 제1 특징점(1101)에서 Y 방향 벡터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방향 벡터는 "X 방향 벡터"로서 정의된다. 그 후, 제1 임의의 점(1101)을 원점으로 한 XY 기준 좌표계가 구축된다. 구축된 기준 좌표계에 대한 정보는 안저상 취득부(107)에 의해 메모리부(106)로 송신된다. 즉,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조작부(113)는 안저상의 두 개의 임의의 점을 지정하기 위한 수단 또는 유닛으로서 기능하고, 안저상 취득부(107)는 두 개의 임의의 점 사이에서 형성된 벡터를 산출하기 위한 수단 또는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안저상 취득부(107)는 벡터를 일 축으로 설정하고 두 개의 임의의 점 중 하나를 원점으로 설정한 좌표계를 산출하기 위한 수단 또는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도 13의 (a)의 안저상에, 제1 임의의 점(1101)의 좌표는 (x1, y1)로 설정되며, 제2 임의의 점(1102)의 좌표는 (x2, y2)로 설정된다. 다음 단계(S1003)에서, 안저/단층상 촬상 장치(101)는 피검안의 단층상을 취득한다. 단계(S1004)에서, 단계(S1003)에서 취득된 단층상으로부터 안구의 반경 r를 산출하고, 또한 단계(S1002)에서 산출된 제1 임의의 점(1101) 및 제2 임의의 점(1102)의 좌표로부터 도 13의 (b)에 예시된 Z 방향 좌표를 산출한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3차원 좌표계에서 황반부에 대응하는 제1 임의의 점(1101) 및 유두부에 대응하는 제2 임의의 점(1102)의 좌표가 산출된다.
단계(S1005)에서, 안저의 제2 임의의 점(1102)의 좌표와 피검안의 단면의 3차원 좌표계에서 제2 임의의 점(1102)을 단층상으로서 전개할 때의 그 위치의 좌표 간의 편차량(1103)을 산출한다. 편차량(1103)을 결정하기 위해, 3차원 좌표계에서의 제1 임의의 점(1101)의 좌표에서 3차원 좌표계에서의 제2 임의의 점(1102)의 좌표까지의 망막 전개 거리 rθ1가 산출된다. 편차량(1103)은 망막 전개 거리 (rθ1)에서 안저상의 XY 좌표계에서의 제2 임의의 점(1102)의 Y 방향 좌표값인 y2를 뺌으로써 구한 거리로서 결정된다. 전술한 동작은 좌표계의 원점과 단층상의 대응하는 임의의 점을 일치시키기 위한 수단 또는 유닛으로서 그리고 일치하지 않는 안저상의 임의의 점의 위치와, 제3 실시예에 따른 단층상의 대응하는 임의의 점의 위치 간의 편차량을 산출하기 위한 수단 또는 유닛으로서 기능하는 망막상 분석부(110) 및 어떤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실행된다.
단계(S1006)에서, 단계(S1005)에서 산출된 편차량(1103)에 기초하여 황반부 또는 제1 임의의 점이 좌표의 기준점으로 하여, 도 13의 (a)의 안저상의 제2 임의의 점(1102)과 전개된 단층상의 제2 임의의 점(1102)을 대응시키도록 단층상의 좌표를 표시 좌표계로 변환한다. 이러한 동작은 도 14의 (a) 내지 도 14의 (c)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제2 임의의 점(1102)의 좌표는 (x2, y2, z2)에 대응하는 위치를 나타내고, 제1 임의의 점(1101)의 좌표는 (x1, y1, z1)에 대응하는 위치를 나타낸다. XY 좌표계에서 그러한 대응하는 임의의 점들을 대응시키도록 표시 좌표계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도 14의 (b)에 예시된 단층상의 θ 좌표계에 다음의 계수를 곱하여 변환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구간 y2≤y≤y1 계수: y1/rθ1
전술한 동작은 편차량에 기초하여 안저상의 두 개의 임의의 점이 대응하는 단층상의 2개의 대응하는 점들과 일치하도록 단층상을 변환하기 위한 수단 또는 유닛으로서 기능하는 표시 제어부(111) 및 어떤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실행된다.
비록 단계(S1002)에서 단계(S1006)까지의 동작이 왼쪽 눈의 화상을 취득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되었지만, 동시에 오른쪽 눈의 화상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처리가 수행된다. 단계(S1007)에서, 단계(S1006)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모니터(114) 상에 표시한다. 실제로는, 도 15의 (a) 및 도 15의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두 눈의 단층상과 안저상이 표시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도 12에 예시된 프로그램 흐름에 의해 취득된 두 눈의 화상에 대하여, 왼쪽 눈의 제1 임의의 점에 대응하는 황반부(1301), 및 제2 임의의 점에 대응하는 유두부(1102)와, 오른쪽 눈의 제1 임의의 점에 대응하는 황반부(1103), 및 제2 임의의 점에 대응하는 유두부(1302)가 일직선으로 정렬되어 대칭적으로 표시되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방식의 피검안의 안저상과 단층상의 표시는 황반부(1101) 및 유두부(1102)의 망막 두께와 안저 사이의 대응성을 제공한다. 황반부(1101) 및 유두부(1102)의 망막 두께는 초기 녹내장을 진단할 때 효과적이다.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단층상과 안저상을 일치시키는 기준점은 관심(예컨대, 병변 의심) 부위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질병의 진단이 지원될 수 있고, 신속한 진단이 내려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여러 다른 형태로 변형되고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들은 피검사체가 눈인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피부 또는 다른 장기와 같이, 눈과 다른 피검사체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처럼 표시부(미도시됨)에 도 5a 및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왼쪽 눈 또는 오른쪽 눈의 안저상과 단층상이 표시된 경우, 검사자가 예를 들어 마우스와 같은 조작 유닛으로 지정점(301)을 이동하면, 표시 제어부(111)는 지정점(301)의 이동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되는 단층상을 변경한다. 구체적으로, 드래그하거나 마우스 휠을 회전시킴으로써 지정점(301)이 이동하면, 이동한 지정점(301)에 기초하여 도 2의 단계(S206 내지 S209)의 동작이 수행된다. 다시 말하면, 지정점(301)을 이동하면 표시 제어부(111)는 이동한 지정점(301)의 위치에 있는 단층 화상을 표시부에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지정점(401)을 이동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효과 이외에 단층상이 연속적으로 표시될 수 있으므로, 신속한 진단을 보장할 수 있다.
단층상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예는 좌우 눈의 안저상과 단층상을 표시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즉, 좌우 눈의 안저상과 단층상이 도 5a 및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에 표시되는 경우, 지정점(401)은 지정점(301)의 이동에 동기하여 이동할 수 있고, 지정점(301 및 401)의 위치에 대응하는 단층상은 표시 제어부(111)에 의해 표시부에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정점(301 및 401)은 안저상에서 동일 위치를 나타내고, 이러한 동일 위치에 좌우 눈의 단층상이 표시된다. "동일"이라는 단어는 정확하게 일치하는 경우 및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개념적인 단어임을 주목하자. 또한, 지정점(401)은 지정점(301)의 이동에 동기하여 이동하고, 따라서, 화상 처리부(103)는, 예를 들어, 왼쪽 눈의 안저상과 오른쪽 눈의 안저상 간의 대응을 사전에 파악할 필요가 있다. 좌우 두 눈의 단층상이 아니라, 동일 눈의 단층상이 동일 눈의 시변(time-variant) 관찰을 위해 다른 날짜 및 시간에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효과 이외에 동일 위치에서의 좌우 눈의 단층상을 확실하게 비교할 수 있어, 신속한 진단을 보장할 수 있다.
다음에는 왼쪽 눈 및 오른쪽 눈을 동시에 표시하는 형태 중에서, 한쪽 눈의 단층상의 지정 위치를 이동시킨 경우, 첫번째 눈의 단층상 위치의 이동에 응답하여 다른 한쪽 눈의 단층상의 지정 위치도 이동하는 형태의 예를 설명한다. 비록 다음의 본 실시예의 설명이 전술한 지정점(301 및 401) 대신에 안저상의 지정선을 이동시키는 경우에 대해 이루어지지만, 그러한 지정점 또는 지정선에 관한 형태는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7은 좌우 눈의 안저상, 및 그의 두께 맵(map) 등을 모니터(114) 상에 동시에 표시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다음에는 왼쪽 눈 및 오른쪽 눈의 양쪽의 단면을 서로 비교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단면 비교는, 신경 섬유 층(nerve fiber layer: NFL), 신경절 세포층(ganglion cell layer: GCL), 및 내망상 층(inner plexiform layer: IPL)의 총 두께의 맵을 수반한다.
도 17은 모니터(114)의 화면 표시를 예시하고 오른쪽 눈의 안저상(12), 오른쪽 눈의 유두부(34), 오른쪽 눈의 황반부(35), 왼쪽 눈의 안저상(14), 왼쪽 눈의 유두부(36), 및 왼쪽 눈의 황반부(37)를 도시한다.
맵(1)은 오른쪽 눈의 NFL, GCL, 및 IPL의 총 두께 맵을 나타낸다. NFL, GCL, 및 IPL의 총 두께 맵은 이하에서 "NFL+GCL+IPL 두께 맵"이라고 불린다. 차트(11)는 두 개의 동심원(concentric circles) 내에 원의 중심을 지나는 두 개의 선으로 사등분한 오른쪽 눈의 NFL+GCL+IPL 두께 맵 차트를 나타낸다. 이 선들은 서로 직각으로 교차한다. NFL+GCL+IPL 두께 맵 차트(11)의 원 중심은 황반부의 중심에 배열된다. 두 개의 동심원을 사등분하는 두 선 중 하나는 황반부(35) 및 유두부(34)의 중심을 지나선 선과 겹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NFL+GCL+IPL 두께 맵 차트(11)는 여덟 개의 영역(2, 5, 10, 7, 8, 9, 3, 및 6)으로 분할된다. 기준 그레이 스케일 바(38)는 NFL+GCL+IPL 두께를 그레이 스케일로 표현한다. 0㎛에서 250㎛까지의 두께는 그레이 스케일로 표현된다. NFL+GCL+IPL 두께 맵 차트(11)에서 NFL+GCL+IPL 두께는 기준 그레이 스케일 바에 의해 그레이 스케일로 표시된다. 부분(20)은 NFL+GCL+IPL 두께 맵 차트의 여덟 개의 분할된 영역들 각각의 NFL+GCL+IPL 두께의 평균값을 나타낸다. 영역(26)은 영역(2)에 해당한다. 영역(27)은 영역(5)에 해당한다. 영역(21)은 영역(10)에 해당한다. 영역(24)은 영역(7)에 해당한다. 영역(25)은 영역(6)에 해당한다. 영역(28)은 영역(3)에 해당한다. 영역(22)은 영역(9)에 해당한다. 영역(23)은 영역(8)에 해당한다.
부분(29)은 그 상측 절반에서의 영역(25, 26, 27 및 28) 및 그 하측 절반에서의 영역(21, 22, 23 및 24)의 NFL+GCL+IPL 두께의 평균값을 나타낸다. 부분(30)은 영역(25, 26, 27, 28, 21, 22, 23 및 24) 전체의 NFL+GCL+IPL 두께의 평균값을 나타낸다.
인간의 눈은 황반부의 중심과 유두부의 중심을 지나는 선으로 대칭을 이룬다. NFL+GCL+IPL 두께의 평균값을 나타내는 부분(20)의 T-N 수평선은 황반부의 중심과 유두부의 중심을 지나는 선에 해당한다. 이 맵에서 눈의 대칭을 확인함으로써 오른쪽 눈의 질병 여부의 진단이 가능하다.
화살표(13)는 안저의 오른쪽 눈의 단층상(31)의 위치를 나타내고, 전술한 지정선에 대응한다. 화살표(13)는 NFL+GCL+IPL 두께 차트에서의 화살표(4)와 같다. 화살표(13) 및 화살표(4) 각각의 위치는 포인팅 장치(미도시됨)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화살표(13 및 4) 중 하나를 포인팅 장치로 이동시키면, 다른 하나의 단면 화살표도 동일한 위치로 이동한다.
맵(16)은 왼쪽 눈의 NFL+GCL+IPL 두께 맵을 나타낸다. 차트(39)는 두 개의 동심원에서 원의 중심을 지나는 두 개의 선으로 사등분한 왼쪽 눈의 NFL+GCL+IPL 두께 맵 차트를 나타낸다. 이 선들은 서로 직각으로 교차한다. NFL+GCL+IPL 두께 맵 차트(39)의 원 중심은 황반부의 중심에 배열된다. 두 개의 동심원을 사등분하는 두 개의 선 중 하나는 황반부(37) 및 유두부(36)의 중심을 지나는 선과 겹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NFL+GCL+IPL 두께 맵 차트(39)는 여덟 개의 영역(40, 41, 42, 43, 44, 45, 46, 및 47)으로 분할된다. 기준 그레이 스케일 바(48)는 NFL+GCL+IPL 두께를 그레이 스케일로 표현한다. 0㎛에서 250㎛까지의 두께는 그레이 스케일로 표현된다. NFL+GCL+IPL 두께 맵 차트(39)에서 NFL+GCL+IPL 두께는 기준 그레이 스케일 바(48)에 의해 그레이 스케일로 표시된다. 부분(17)은 NFL+GCL+IPL 두께 맵 차트(39)의 여덟 개의 분할된 영역들 각각의 NFL+GCL+IPL 두께의 평균값을 나타낸다. 영역(49, 50, 51, 52, 53, 54, 55 및 56)은 영역(40, 41, 42, 43, 44, 45, 46 및 47)에 대응한다.
부분(19)은 그 상측 절반에서 영역(49, 50, 51 및 52) 및 그 하측 절반에서 영역(53, 54, 55 및 56)의 NFL+GCL+IPL 두께의 평균값을 나타낸다.
부분(18)은 영역(49, 50, 51, 52, 53, 54, 55 및 56) 전체의 NFL+GCL+IPL 두께의 평균값을 나타낸다.
인간의 눈은 황반부의 중심과 유두부의 중심을 지나는 선으로 대칭을 이룬다. NFL+GCL+IPL 두께의 평균값을 나타내는 부분(17)의 T-N 선은 황반부의 중심과 유두부의 중심을 지나는 선에 해당한다. 이 맵에서 대칭을 확인함으로써 왼쪽 눈의 질병 여부의 진단이 가능하다.
화살표(15)는 안저의 왼쪽 눈의 단층상(32)의 위치를 나타낸다. 화살표(15) 및 화살표(33)는 안저의 동일 위치에 위치한다. 화살표(15) 및 화살표(33) 각각의 위치는 포인팅 장치(미도시됨)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화살표(15 및 33) 중 하나를 포인팅 장치로 이동시키면, 다른 하나의 단면 화살표도 동일한 위치로 이동한다. 이상은 좌우 눈의 개별 설명이다.
인간의 두 눈은 해부학상 서로 미러 대칭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쪽 눈을 확인하여 알지 못하는 질병은 좌우 눈을 비교하여 진단될 수 있고, 따라서 좌우 눈의 미러 대칭을 이용하여 좌우 두 눈을 서로 비교하는 것이 질병을 발견하는 데 효과적이다.
좌우 눈의 개별 설명에서는, 안저의 단층상의 단면 위치를 나타내는 화살표(13, 4, 15, 및 33)에 대해 설명되었다. 포인팅 장치(미도시됨)로 각각의 화살표를 이동시킨 경우, 다른 쪽 눈의 단면 화살표도 전술한 미러 대칭 위치로 이동한다. 도 18은 지정선으로서 기능하는 화살표를 포인팅 장치로 이동시킨 후의 모니터(114) 상의 표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1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오른쪽 눈의 단면 위치를 나타내는 화살표(4)를 포인팅 장치로 황반부에 대해 왼쪽으로 이동시킨 경우, 왼쪽 눈에 대한 화살표(15 및 33)도 오른쪽 눈에 대해 미러 대칭 위치로 이동한다. 그 결과, 미러 대칭 위치에서 좌우 눈의 안저 단면을 서로 비교할 수 있다.
다음에, 왼쪽 눈의 NFL+GCL+IPL 두께 맵 차트와 오른쪽 눈의 NFL+GCL+IPL 두께 맵 차트의 비교에 대해 설명된다. 좌우 눈의 미러 대칭으로 인해, 오른쪽 눈의 NFL+GCL+IPL 두께 맵 차트(11)와 왼쪽 눈의 FL+GCL+IPL 두께 맵 차트(39)는 다음과 같이 서로 대응한다.
영역(27, 26, 28 및 25)은 영역(52, 49, 51 및 50)에 각각 대응한다. 영역(24, 21, 23 및 22)은 영역(53, 56, 54 및 55)에 각각 대응한다. 부분(29)의 상측 및 하측 부분은 부분(19)의 상측 및 하측 부분에 각각 대응한다. 부분(30)은 부분(18)에 대응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두 눈의 동일 위치에서의 단층상을 서로 비교하거나 또는 두 눈의 NFL+GCL+IPL 두께 맵 차트를 서로 비교하여 눈의 질병 여부의 진단이 가능하다.
좌우 눈을 동시에 표시하는 예시된 경우 외에, 안저상의 동일 위치에서 좌우 눈의 단층상을 비교하여, 일치도(coincidence)가 기설정된 임계값 이하이면, 지정점(301 또는 401)의 이동과 상관없이 표시 제어부(111)에 의해 일치도가 기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단층상은 표시된 채로 유지될 수 있다. 단층상의 비교와 관련하여, 단층상 전체가 서로 비교될 수 있거나, 또는 지정점(301 및 401)에 대응하는 위치 주변의 단층상만 서로 비교될 수 있다. 표시 제어부(111)는 검사자가 좌우 눈의 단층상에서 서로 다른 부위를 식별할 수 있도록 일치도가 기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단층상 부위에 마킹(marking)하는 것처럼 표시부에 강조할 수 있다. 또한, 좌우 눈의 비교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동일 눈의 시변 관찰을 위해 동일 눈의 단층상 간의 비교도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검사자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효과 이외에 좌우 눈의 동일 위치에서의 단층상 간의 상이함을 용이하게 파악하여, 신속한 진단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지정점(301 및 401)에 대응하는 위치 부근의 단층상만 비교하면 화상 처리부(103)에 미치는 처리 부하를 억제할 수 있어, 화상 처리부(103)는 비교 결과를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다. 지정점 부근의 위치에서의 단층상을 비교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검사자가 비교하고자 하는 단층상의 부위도 비교 대상에 포함되어 있어, 진단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비록 지정점(301)이 마우스와 같은 조작부로 이동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지정점(301)은 기설정된 궤적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정점(301)의 이동은, 예를 들어, 이동 시작 버튼을 누를 때 시작한다. 이는 지정점(401)이 이동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전술한 제2 및 제3 실시예는 안저상에 여러 점이 지정되는 단층상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스템 또는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다양한 종류의 저장 매체를 통해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기능을 성취하는 소프트웨어(프로그램)를 구비하고, 이러한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 또는 MPU 등)가 그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일 것이다.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는 그러한 변형 및 등가의 구조를 모두 망라하도록 가장 폭넓은 해석을 따를 것이다.

Claims (9)

  1. 화상 처리 장치로서,
    피검안(eye to be inspected)의 안저상(fundus image)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안저상 취득 유닛;
    상기 안저상에 두 개 이상의 임의의 점을 지정하도록 구성된 지정 유닛;
    상기 두 개 이상의 임의의 점 중 제1 임의의 점과 제2 임의의 점간에 형성된 벡터를 산출하도록 구성된 벡터 산출 유닛;
    상기 벡터를 일 축(axis)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임의의 점을 원점으로 설정한 좌표계(coordinate system)를 산출하도록 구성된 좌표 산출 유닛;
    상기 피검안의 단층상(tomographic image)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단층상 취득 유닛;
    상기 안저상의 상기 제1 임의의 점에 대응하는, 상기 단층상의 점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
    상기 안저상의 상기 제2 임의의 점의 위치와 상기 단층상의 대응하는 점의 위치 간의 편차량(deviation amount)을 산출하도록 구성된 편차량 산출 유닛; 및
    상기 안저상의 상기 제1 임의의 점 및 상기 제2 임의의 점이 상기 단층상의 대응하는 점들과 일치하도록 상기 편차량에 기초하여 상기 단층상을 변환하도록 구성된 변환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왼쪽 눈과 오른쪽 눈의 각각의 방향에 대하여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상의 위치에서 상기 왼쪽 눈의 단층상 및 안저상과 상기 오른쪽 눈의 단층상 및 안저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 유닛을 더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눈의 미러 반전(mirror-reversed)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 유닛을 더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왼쪽 눈 또는 오른쪽 눈의 화상과 나란히 왼쪽 눈 또는 오른쪽 눈의 미러 반전 화상을 각각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 유닛을 더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왼쪽 눈과 오른쪽 눈의 NFL+GCL+IPL 두께 차트와, 그 위에 중첩하여 각 단층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커를 적어도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왼쪽 눈 또는 오른쪽 눈 중 제1 눈의 마커가 NFL+GCL+IPL 두께 차트에서 이동될 때, 상기 표시 유닛이 왼쪽 눈 또는 오른쪽 눈 중 제2 눈의 마커를 상기 제2 눈의 대응하는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화상 처리 장치.
  6. 화상 처리 방법으로서,
    피검안의 안저상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안저상에 임의의 점을 지정하는 단계;
    상기 피검안의 단층상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임의의 점에 대응하는 상기 단층상의 점을 산출하고, 상기 임의의 점과 상기 단층상의 점 사이의 편차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임의의 점이 상기 단층상의 점에 대응하도록, 상기 편차에 기초하여 상기 단층상을 표시하기 위한 좌표계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 방법.
  7. 화상 처리 방법으로서,
    피검안의 안저상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안저상에 두 개 이상의 임의의 점을 지정하는 단계;
    상기 두 개 이상의 임의의 점 중 제1 임의의 점과 제2 임의의 점 간에 형성된 벡터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벡터를 일 축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임의의 점을 원점으로 설정한 좌표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피검안의 단층상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안저상의 원점에 대응하는 상기 단층상의 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안저상의 상기 제2 임의의 점의 위치와 상기 단층상의 대응하는 점의 위치 간의 편차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안저상의 상기 제1 및 제2 임의의 점이 상기 단층상의 각각의 대응하는 점들과 일치하도록 상기 편차량에 기초하여 상기 단층상을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 방법.
  8.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는 경우에, 컴퓨터에 제6항에 기술된 화상 처리 방법의 각각의 단계들을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저장 매체.
  9. 화상 처리 장치로서,
    피검안의 안저상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안저상 취득 유닛;
    상기 안저상에 하나 이상의 임의의 점을 지정하도록 구성된 지정 유닛;
    상기 피검안의 단층상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단층상 취득 유닛;
    상기 안저상의 상기 임의의 점의 위치와 상기 단층상의 대응하는 점의 위치 간의 편차량을 산출하도록 구성된 편차량 산출 유닛; 및
    상기 안저상의 상기 임의의 점이 상기 단층상의 대응하는 점과 일치하도록 상기 편차량에 기초하여 상기 단층상을 변환하도록 구성된 변환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KR1020130008032A 2012-01-25 2013-01-24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저장 매체 KR1016090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13251 2012-01-25
JP2012013251 2012-01-25
JP2012190603A JP6188297B2 (ja) 2012-01-25 2012-08-30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JP-P-2012-190603 2012-08-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6567A KR20130086567A (ko) 2013-08-02
KR101609025B1 true KR101609025B1 (ko) 2016-04-20

Family

ID=47561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032A KR101609025B1 (ko) 2012-01-25 2013-01-24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566002B2 (ko)
EP (1) EP2620910A3 (ko)
JP (1) JP6188297B2 (ko)
KR (1) KR101609025B1 (ko)
CN (1) CN10322284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0449A1 (ko) * 2018-12-18 2020-06-25 주식회사 루트로닉 안과용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12102564B2 (en) 2018-12-18 2024-10-01 Lutronic Corporation Ophthalmic therapeut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466B1 (ko) 2012-08-30 2016-08-0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JP6481250B2 (ja) 2013-10-29 2019-03-13 株式会社ニデック 眼底解析装置及び眼底解析プログラム
US9552517B2 (en) * 2013-12-06 2017-01-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racking eye recovery
JP6598466B2 (ja) * 2015-01-30 2019-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断層撮像装置、断層撮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5982638B (zh) * 2015-02-03 2019-05-31 广东福地新视野光电技术有限公司 多功能oct系统图像扫描范围定位方法
CN105989587B (zh) * 2015-02-03 2020-05-19 重庆贝奥新视野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多功能oct系统的自动定标方法
JP6758825B2 (ja) * 2015-04-15 2020-09-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作動方法
US10002446B2 (en) * 2015-04-15 2018-06-1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of the same
JP6594033B2 (ja) * 2015-05-14 2019-10-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27342B2 (ja) * 2015-09-04 2020-01-08 株式会社ニデック Octモーションコントラストデータ解析装置、octモーションコントラストデータ解析プログラム。
JP2018057828A (ja) * 2016-10-05 2018-04-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CN107423571B (zh) * 2017-05-04 2018-07-06 深圳硅基仿生科技有限公司 基于眼底图像的糖尿病视网膜病变识别系统
CN111225597A (zh) * 2017-08-18 2020-06-02 通用医疗公司 用于布里渊光谱学和组织的成像的系统和方法
DE112019003022T5 (de) 2018-06-15 2021-03-18 Canon Kabushiki Kaisha Medizinische Bildverarbeitungsvorrichtung, medizinisches Bildverarbeitungsverfahren und Programm
JP7305401B2 (ja) 2018-09-06 2023-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作動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822973A (zh) 2018-10-10 2021-05-18 佳能株式会社 医学图像处理装置、医学图像处理方法和程序
JP7341874B2 (ja) 2018-12-26 2023-09-1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388244B2 (ja) * 2020-03-04 2023-11-29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観察装置、および眼科観察プログラム
JP7468163B2 (ja) * 2020-06-03 2024-04-16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眼科画像処理装置
CN113476014B (zh) * 2021-06-02 2023-11-14 北京鹰瞳科技发展股份有限公司 双坐标系对应关系建立系统及方法
CN116309391B (zh) * 2023-02-20 2023-09-05 依未科技(北京)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9666A (ja) * 2002-05-30 2003-12-02 Hitachi Medical Corp 医用画像撮像装置
US20070177103A1 (en) * 2004-02-04 2007-08-02 Migliaccio Americo A Method and apparatus for three-dimensional video-oculography
JP2010240068A (ja) * 2009-04-02 2010-10-28 Topcon Corp 眼科観察装置
JP2011110158A (ja) * 2009-11-25 2011-06-09 Canon Inc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16779B2 (ja) 2005-09-29 2012-04-18 株式会社トプコン 眼底観察装置
JP4869757B2 (ja) 2006-03-24 2012-02-08 株式会社トプコン 眼底観察装置
JP4869756B2 (ja) 2006-03-24 2012-02-08 株式会社トプコン 眼底観察装置
JP4864515B2 (ja) 2006-04-07 2012-02-01 株式会社トプコン 眼底観察装置
JP5007114B2 (ja) 2006-12-22 2012-08-22 株式会社トプコン 眼底観察装置、眼底画像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996917B2 (ja) 2006-12-26 2012-08-08 株式会社トプコン 光画像計測装置及び光画像計測装置を制御するプログラム
WO2009073970A1 (en) 2007-12-10 2009-06-18 Oti Ophthalmic Technologies Inc. A method for performing micro-perimetry exams based on a retinal volume image and a well registered fundus image
US8194936B2 (en) * 2008-04-25 2012-06-05 University Of Iowa Research Foundation Optimal registration of multiple deformed images using a physical model of the imaging distortion
JP2010142428A (ja) * 2008-12-18 2010-07-01 Canon Inc 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5478103B2 (ja) * 2009-04-15 2014-04-23 興和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
JP5054072B2 (ja) 2009-07-28 2012-10-24 キヤノン株式会社 光断層画像撮像装置
JP5698465B2 (ja) * 2010-04-22 2015-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601613B2 (ja) * 2010-07-05 2014-10-08 株式会社ニデック 眼底撮影装置
US8801187B1 (en) * 2010-12-23 2014-08-12 Carl Zeiss Meditec, Inc. Methods to reduce variance in OCT analysis of the macula
JP5690193B2 (ja) * 2011-04-18 2015-03-25 株式会社ニデック 光断層像撮影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9666A (ja) * 2002-05-30 2003-12-02 Hitachi Medical Corp 医用画像撮像装置
US20070177103A1 (en) * 2004-02-04 2007-08-02 Migliaccio Americo A Method and apparatus for three-dimensional video-oculography
JP2010240068A (ja) * 2009-04-02 2010-10-28 Topcon Corp 眼科観察装置
JP2011110158A (ja) * 2009-11-25 2011-06-09 Canon Inc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0449A1 (ko) * 2018-12-18 2020-06-25 주식회사 루트로닉 안과용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00075255A (ko) * 2018-12-18 2020-06-26 주식회사 루트로닉 안과용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191631B1 (ko) 2018-12-18 2020-12-16 주식회사 루트로닉 안과용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12102564B2 (en) 2018-12-18 2024-10-01 Lutronic Corporation Ophthalmic therapeut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88141A1 (en) 2013-07-25
JP6188297B2 (ja) 2017-08-30
US9566002B2 (en) 2017-02-14
EP2620910A3 (en) 2017-04-12
EP2620910A2 (en) 2013-07-31
CN103222848A (zh) 2013-07-31
JP2013172941A (ja) 2013-09-05
KR20130086567A (ko) 2013-08-02
CN103222848B (zh) 201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9025B1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저장 매체
KR101373935B1 (ko) 안과 장치, 안과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US10360673B2 (en) Image analysis
JP5688491B2 (ja) 視力検査を行う方法
JP4466968B2 (ja) 画像処理装置、画象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6702764B2 (ja) 光干渉断層データの処理方法、該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及び処理装置
JP5767014B2 (ja) 眼科観察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方法
JP5723093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208145B2 (ja) 断層像撮影装置、断層像撮影方法法、プログラム、及び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12030054A (ja) 眼科装置、眼科システム及び記憶媒体
JP2018046958A (ja) 眼科撮影装置及び眼科画像処理装置
JP2014014727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474011B2 (ja) 眼科システム、眼科装置、断層像取得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714083B2 (ja) 眼科装置、眼科用処理装置、眼科システム、断層画像取得方法、眼科用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206519A5 (ko)
JP7157221B2 (ja) 眼科情報処理装置及び眼科撮影装置
JP6307141B2 (ja) 眼科装置、眼科システム、眼科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033478B2 (ja) 眼科装置、層厚比較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9193883A (ja) 眼科装置、眼科システム、眼科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017491B2 (ja) 眼科装置
JP6041920B2 (ja) 眼科システム、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223527B2 (ja) 眼科装置、層厚比較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Ravier et al. Analysis of morphological changes of lamina cribrosa under acute intraocular pressure change
JP2018110895A (ja) 眼科装置、眼科システム、眼科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