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909B1 - 녹화장치 - Google Patents

녹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8909B1
KR101608909B1 KR1020150145292A KR20150145292A KR101608909B1 KR 101608909 B1 KR101608909 B1 KR 101608909B1 KR 1020150145292 A KR1020150145292 A KR 1020150145292A KR 20150145292 A KR20150145292 A KR 20150145292A KR 101608909 B1 KR101608909 B1 KR 101608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ecording apparatus
side member
upper member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5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준화
김성환
Original Assignee
(주)우연산림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연산림산업 filed Critical (주)우연산림산업
Priority to KR1020150145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9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01G1/00
    • A01G9/1086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양(예를 들면, 농업용 토지, 건설용 토지, 화분, 식생토낭 등)에 씨앗을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빗물, 지하수 등과 같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이용하여 비료도 공급함으로써 공급된 씨앗의 발아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녹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녹화장치는, 비료가 내장되는 내부공간과,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길이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복수의 제1관통홀을 가지는 메인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녹화장치{GREENING APPARATUS}
본 발명은 녹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양(예를 들면, 농업용 토지, 건설용 토지, 화분, 식생토낭 등)에 씨앗을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빗물, 지하수 등과 같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이용하여 비료도 공급함으로써 공급된 씨앗의 발아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녹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나 철도의 비탈을 지지하고 방음벽을 지지하기 위해서 옹벽이 사용된다. 특히, 환경성을 강조하여 시멘트 및 철근 콘크리트 같은 환경에 유해한 요소를 사용하지 않고 식생토낭을 이용한 옹벽이 주로 사용된다.
최근에는 식생토낭을 녹화(Greening)하기 위해서, 식생토낭의 내부에 토양과 씨앗를 섞어 채우는 방법과 식생토낭의 외부에 씨앗를 살포하고 물을 뿌려주는 방법이 사용된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 잔디 등과 같은 외떡잎식물이 아닌 쌍떡잎식물은 싹이 쌍잎으로 자라기 때문에 식생토낭의 외피를 뚫고 나오지 못하여 식물의 발아율이 극히 미진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후자의 경우, 씨앗을 식생토낭의 외부에 살포하기 때문에 씨앗이 식생토낭의 표면으로부터 쉽게 이탈하여 식물의 발아율이 극히 미진하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58272호(2009.06.09.)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잔디 등과 같은 외떡잎식물뿐만 아니라 쌍떡잎식물의 발아율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녹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식생토낭의 토양에 비료를 용이하게 주입시킬 수 있는 녹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녹화장치는, 비료가 내장되는 내부공간과,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길이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복수의 제1관통홀을 가지는 메인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녹화장치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어 하단부가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단부에 연결되며, 씨앗이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을 가지고, 측면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2관통홀을 가지는 보조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녹화장치는,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씨앗이 채워지며, 수용성 재질로 이루어진 주머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머니에는 코코피트가 채워질 수 있다.
상기 보조프레임은, 중공형의 상부부재; 그리고 상기 상부부재의 하단부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단부를 연결하며, 서로 이격배치어 상기 제2관통홀을 형성하는 복수의 연결부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부재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나사홈이 함몰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프레임은, 상기 상부부재의 둘레에 연결되며, 상기 상부부재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면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측면부재의 하면에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프레임은, 하단부가 상기 측면부재에 연결되고, 상단부의 높이가 상기 측면부재의 상단보다 높으며, 상기 측면부재의 둘레방향으로 폐곡면을 형성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부재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나사홈이 함몰형성되되, 상기 나사홈은 상기 측면부재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단부는, 하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녹화장치는, 상기 상부부재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 가능한 커버프레임; 그리고 일단이 상기 커버프레임의 하단부에 연결되며,타단이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커버프레임의 이동을 제한하는 하부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녹화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잔디 등과 같은 외떡잎식물뿐만 아니라 쌍떡잎식물의 발아율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빗물, 지하수 등과 같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이용하여 토양에 자연적으로 비료를 공급함으로써 토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씨앗 살포작업을 생략함으로써, 작업공정을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른 인건비나 건설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화장치가 식생토낭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화장치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화장치가 식생토낭에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녹화장치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녹화장치가 식생토낭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녹화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화장치가 식생토낭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화장치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녹화장치(1)는 식생토낭(50)을 녹화(greening)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프레임(10), 보조프레임(20) 및 커버프레임(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식생토낭(50)은 배추, 호박, 오이 등을 멀칭 재배시 지표면에 덮는 비닐 등 플라스틱 필름일 수도 있다.
녹화장치(1)는 외력(손, 발, 롤러장치 등)에 의해 식생토낭(50)에 삽입 설치된다. 녹화장치(1)는 식생토낭(50) 내부에 채워진 토양(흙, 모래 등)(T)에 비료(6)를 공급한다. 이렇게 공급된 비료(6)는 녹화장치(1)의 내부에 위치한 씨앗의 발아를 도와서 식생토낭(50)의 외피가 잔디, 초화류 등과 같은 식물에 의해서 녹화(Greening)되도록 한다.
메인프레임(10)의 상단은 보조프레임(20)의 하단에 연결되며, 식생토낭(50)에 삽입 설치된다. 메인프레임(10)은 식생토낭(50)의 토양(T)에 비료(6)를 공급하여 토양(T)을 비옥하게 한다. 메인프레임(10)은 원통형으로 내부공간(C)을 가지며, 메인프레임(10)의 측면에는 복수의 제1관통홀(11)이 반경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메인프레임(10)의 내부공간(C)에는 비료(6)가 채워지며, 이렇게 채워진 비료(6)는 공급수(빗물, 지하수 등 외부에서 공급된 물)에 의해서 제1관통홀(11)을 따라 식생토낭(50)의 토양(T)으로 스며들게 되는 것이다.
메인프레임(10)의 하단부는 하(下)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하는 형상을 가지므로 식생토낭(50)의 내부로 삽입이 용이하며, 특히 메인프레임(10)의 하단부는 원뿔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프레임(20)은 원통형으로 메인프레임(10)의 상부에 배치되며, 하단부가 메인프레임(10)의 상단부에 연결된다. 보조프레임(20)은 수용공간(S)을 가지며, 보조프레임(20)의 측면에는 복수의 제2관통홀(29)이 반경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보조프레임(20)의 수용공간(C)에는 수용성 부직포 등과 같은 수분에 녹는 수용성 재질로 이루어진 주머니(3)가 위치할 수 있다. 씨앗은 이러한 주머니(3)에 담겨 져서 산소에 의한 산화 등과 같은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주머니(3)에는 씨앗(2), 비료(6)와 함께 코코피트(4)가 담겨 질 수 있는데, 코코피트(4)는 수분의 흡수력이 좋기 때문에 씨앗(2)에 다량의 수분을 공급하여 씨앗(2)의 발아율을 높일 수 있다. 코코피트(3)는 통기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수분 흡수력이 좋아 수용성 재질인 주머니(3)가 빨리 녹기 때문에 씨앗(3)은 식생토낭(50)의 토양(T)으로부터 자양분을 더 빨리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코코피트(3)는 탈취효과가 있어서 식생토낭(50)에서 생길 수 있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조프레임(20)은 상부부재(22) 및 연결부재(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부재(22)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으로 메인프레임(10)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부부재(22)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서 주머니(3)가 수용공간(S)에 놓이게 된다. 상부부재(22)는 원통형 또는 다각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부재(22)의 외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서 나사홈(23)이 함몰 형성된다. 녹화장치(1)를 식생토낭(50)에 삽입시 나사홈(23)에는 식생토낭(50)의 외피가 걸리게 되므로, 녹화장치(1)가 식생토낭(5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복수의 연결부재(24)는 상부부재(22)의 하단부와 메인프레임(10)의 상단부를 연결하며, 서로 상부부재(22)의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제2관통홀(129)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2관통홀(129)을 통해서 식물(49)의 뿌리(48)는 식생토낭(50)의 토양(T)으로부터 자양분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즉, 식물(49)의 뿌리(48)는 메인프레임(10)의 비료(6)에 의해 비옥해진 토양(T)으로부터 자양분을 흡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연결부재(24)는 식물(49)의 뿌리(48)가 중력방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10)의 중앙부를 향해 하향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커버프레임(30)은 상부부재(22)의 상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부부재(22)의 상단부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작업자는 상부부재(22)와 커버프레임(30)이 서로 결합한 상태에서 커버프레임(30)의 상면에 외력(손, 발, 롤러장치 등)을 가함으로써 녹화장치(1)를 용이하게 식생토낭(50)에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커버프레임(30)의 하단부에는 하부프레임(40)이 돌출 형성된다.
하부프레임(40)은 수용공간(S)의 횡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하부프레임(40)의 일단은 커버프레임(30)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타단은 수용공간(S)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하부프레임(40)은 커버프레임(30)에 외력이 가해질 때, 커버프레임(30)이 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프레임(30) 및 하부프레임은 녹화장치(1)가 식생토낭(50)의 내부로 삽입되면, 상부부재(22)로부터 분리되어 상부부재(22)의 상부는 개방된 상태가 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화장치가 식생토낭에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녹화장치(1)가 식생토낭(50)에 설치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녹화장치(1)의 내부공간(C)에는 비료(6)가 채워지고, 수용공간(S)에는 씨앗(7) 및 야자섬유(코코넛섬유)(8)가 채워진다. 이때, 씨앗(2) 및 코코피트(4)가 채워진 수용성 부직포 주머니가 수용공간(S)에 채워질 수도 있다. 이후, 커버프레임(30)이 상부부재(22)의 상부에 결합된다. 이로써 녹화장치(1)가 식생토낭(50)의 내부로 설치될 준비가 완료된 것이다.
다음으로, 도 3에서와 같이, 커버프레임(30)에 외력(손이나 발로 누르거나 또는 망치로 가격하는 등)을 가하면, 도 4에서와 같이 녹화장치(1)는 식생토낭(50)의 외피(부직포)를 뚫고 식생토낭(50)의 토양(T)으로 삽입된다.
다음으로, 도 5에서와 같이, 커버프레임(30)을 상부부재(22)로부터 분리시킨 후, 도 6에서와 같이, 상부부재(22)의 개방된 상부에 토사(9)를 공급하면 씨앗(7) 및 야자섬유(8)는 토사(9)로 뒤덮이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씨앗(7)은 수용공간(S)의 토사(9)로부터 자양분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녹화장치의 세부 구성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녹화장치가 식생토낭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녹화장치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의 녹화장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녹화장치(1)의 보조프레임(20)은 측면부재(26) 및 지지프레임(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측면부재(26)는 상부부재(22)의 둘레에 배치되어 상부부재(22)의 측면에 연결되며, 상부부재(22)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측면부재(26)는 환형으로 측면부재(26)의 내주면은 상부부재(22)의 외주면에 연결된다. 이때, 식생토낭(50)의 외피(부직포)가 나사홈(23)에 걸릴 수 있도록 측면부재(26)의 하단은 나사홈(23)보다 높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측면부재(26)의 하면에는 고정돌기(28)가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이러한 고정돌기(28)는 식생토낭(50)의 외피에 형성된 틈에 삽입되어 녹화장치(1)가 식생토낭(5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지지프레임(21)은 상부부재(22)의 둘레 방향으로 폐곡면(예를 들면, 환형)을 이루며, 지지프레임의 하단부는 상부부재(22)의 둘레 또는 상면에 연결된다. 지지프레임(21)의 상단부는 상부부재(22)의 상단보다 높게 배치되기 때문에, 측면부재(26)의 상면으로 흐르는 액체(빗물 또는 지하수)가 측면부재(26)의 외측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일종의 저수조와 같은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녹화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의 녹화장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녹화장치(1)는 복수의 녹화장치(1) 및 결합프레임(6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의 녹화장치(1)는 도 7의 식생토낭 녹화용기(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결합프레임(60)은 복수 개의 결속고리(62)와, 각각의 결속고리(62)를 연결하는 연결바(64)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프레임(60)은 실리콘 등과 같은 연성재질의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결속고리(62)는 환형으로 결속고리(62)에는 식생토낭 녹화용기(1)가 삽입된다. 이때, 식생토낭 녹화용기(1)가 결속고리(62)에 걸릴 수 있도록, 결속고리(62)의 내주면의 지름은 상부부재(22)의 외주면의 지름보다 크고 측면부재(26)의 외주면의 지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바(64)는 직선형으로 결속고리들(62) 사이에 배치되어 결속고리들(62)을 연결한다. 이렇게 결합프레임(60)을 이용함으로써 복수의 식생토낭 녹화용기(1)를 동시에 식생토낭(50)에 삽입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녹화장치는 외떡잎식물뿐만 아니라 쌍떡잎식물의 발아율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빗물, 지하수 등과 같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이용하여 토양에 자연적으로 비료를 공급함으로써 토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녹화장치는 식생토낭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농업용 토지, 건설용 토지, 화분등과 같이 씨앗이 발아될 수 있는 모든 분야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녹화장치는 배추, 호박, 오이 등을 비닐멀칭(mulching) 재배할 때 밭고랑이나 비닐을 뚫고 토양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므로, 상기 녹화장치를 통해 토양에 거름 및 비료를 용이하게 공급(영양분과 수분 공급)하여 토질을 비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녹화장치를 통해서 비닐을 토양에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용성 부직포 주머니에 원하는 작물의 씨앗과 함께 코코피트를 넣어서 상기 씨앗에 영양분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꽃씨 및 영양분(코코피트 등)이 내재된 수용성 부직포 주머니가 내장된 녹화장치를 화분 안의 흙에 꽂아주기만 함으로써 도구(모종삽 등)를 이용하지 않고 꽃씨를 용이하게 화분에 심을 수 있다.
또한, 식생보강토 블록 및 톤백 시공시 중간 중간에 상기 녹화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옹벽을 녹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 녹화장치 2,7: 씨앗
3: 주머니 4: 코코피트
6: 비료 8: 야자섬유
10: 메인프레임 11: 제1관통홀
20: 보조프레임 22: 상부부재
23: 나사홈 24: 연결부재
26: 측면부재 28: 고정돌기
29: 제2관통홀 30: 커버프레임
40: 하부프레임 C:내부공간
S: 수용공간 50: 식생토낭
T: 토양 60: 결합프레임
62: 결속고리 64: 연결바

Claims (10)

  1. 비료가 내장되는 내부공간과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길이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복수의 제1관통홀을 가지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어 하단부가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단부에 연결되며 수용공간을 가지고 측면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2관통홀을 가지는 보조프레임을 구비하는 녹화용기;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어 씨앗, 비료 및 코코피트가 채워지며, 수용성 재질로 이루어진 주머니;및
    상기 메인프레임 및 상기 보조프레임이 삽입 가능한 환형인 복수의 결속고리와, 상기 결속고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결속고리를 연결하는 연결바를 구비하는 결합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프레임은,
    외주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나사홈이 함몰 형성되는 중공형의 상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의 하단부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단부를 연결하고, 서로 이격배치어 상기 제2관통홀을 형성하는 복수의 연결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의 둘레에 연결되며, 상기 상부부재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면에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측면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결속고리의 내주면의 지름은 상기 상부부재의 외주면의 지름보다 크고 상기 측면부재의 외주면의 지름보다 작은, 녹화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은,
    하단부가 상기 측면부재에 연결되고, 상단부의 높이가 상기 측면부재의 상단보다 높으며, 상기 측면부재의 둘레방향으로 폐곡면을 형성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녹화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사홈은 상기 측면부재보다 낮게 배치되는, 녹화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녹화장치는,
    상기 상부부재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 가능한 커버프레임;및
    일단이 상기 커버프레임의 하단부에 연결되며,타단이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커버프레임의 이동을 제한하는 하부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녹화장치.
KR1020150145292A 2015-10-19 2015-10-19 녹화장치 KR101608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292A KR101608909B1 (ko) 2015-10-19 2015-10-19 녹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292A KR101608909B1 (ko) 2015-10-19 2015-10-19 녹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8909B1 true KR101608909B1 (ko) 2016-04-04

Family

ID=55799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5292A KR101608909B1 (ko) 2015-10-19 2015-10-19 녹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890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7507A (ja) 2001-07-12 2003-01-29 Bousai Doboku:Kk 擁壁緑化用の蔦植付け体
JP3536126B2 (ja) 2000-05-10 2004-06-07 尚行 青木 育苗具
JP4022484B2 (ja) * 2003-02-26 2007-12-19 丸和バイオケミカル株式会社 育苗ポ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6126B2 (ja) 2000-05-10 2004-06-07 尚行 青木 育苗具
JP2003027507A (ja) 2001-07-12 2003-01-29 Bousai Doboku:Kk 擁壁緑化用の蔦植付け体
JP4022484B2 (ja) * 2003-02-26 2007-12-19 丸和バイオケミカル株式会社 育苗ポッ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6548A (en) Method of planting seedlings
JP5083507B2 (ja) 浅床栽培槽による蓮根の栽培方法および栽培装置
KR101644630B1 (ko) 농사용 공기주입장치
US6185864B1 (en) Planting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of growing plants utilizing bags of growing medium
JP2000032840A (ja) 砂地等の緑地化方法と該方法に用いる構造体
JP4231542B1 (ja) 自然薯の栽培方法および栽培装置
US4231189A (en) Plant growing assembly
KR101656364B1 (ko) 세조망을 이용한 과수 우량묘목 생산방법
JP2014076039A (ja) 自然薯の生産方法
JP2004298145A (ja) 植物用支柱パイプ
KR101608909B1 (ko) 녹화장치
JP2006141375A (ja) 植物袋栽培具
KR20060035199A (ko) 이랑파종과 물관리에 따른 무제초제 벼건답직파재배법
KR101002043B1 (ko) 법면녹화 시트 및 그를 이용한 법면 녹화시공방법
JP2789460B2 (ja) 植生袋体とそれを使用する法面の植栽工法
KR101674911B1 (ko) 잡초 발생 방지용 씨드 네트
JP2003055972A (ja) 埋土種子による植物導入方法と植栽棚
AU632745B2 (en) Method and device for planting seedlings
JP5207160B1 (ja) 自然薯の栽培装置
JP2002238343A (ja) 傾斜面部への樹木苗の導入工法と樹木苗の植生ポットおよび傾斜面部への樹木苗の導入補助具
JP3421735B2 (ja) 緑化工法
KR20150011992A (ko) 육묘용 물통
KR100653928B1 (ko) 법면 녹화용 식생 백 및 이를 이용한 녹화 공법
JP2717368B2 (ja) 法面植栽工法
CN207460925U (zh) 苗木培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