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107B1 - 내부 스크롤 활성화 및 커서 장식 - Google Patents

내부 스크롤 활성화 및 커서 장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8107B1
KR101608107B1 KR1020117003946A KR20117003946A KR101608107B1 KR 101608107 B1 KR101608107 B1 KR 101608107B1 KR 1020117003946 A KR1020117003946 A KR 1020117003946A KR 20117003946 A KR20117003946 A KR 20117003946A KR 101608107 B1 KR101608107 B1 KR 101608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ollable
viewer
displayed
scroll
sc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3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8045A (ko
Inventor
스테펜 엠. 댄튼
플로리안 보스
어웬 이. 폰드
제임스 알. 플린
로렌트 몰리콘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filed Critical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10048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8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06F3/04855Interaction with scrollba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뷰어를 스크롤할 수 있게 해주는 메커니즘. 뷰어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동안 사용자 입력이 검출될 때, 사용자 입력이 스크롤 제스처인 것으로 식별된다. 그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된 뷰어의 내부 부분에서 스크롤 컨트롤이 활성화된다. 그에 부가하여, 사용자가 커서를 스크롤가능 디스플레이 내로 이동시킬 때, 커서가 그 뷰어에 이용가능한 스크롤 옵션을 나타내는 스크롤 컨텍스트 엠블럼으로 장식된다.

Description

내부 스크롤 활성화 및 커서 장식{INTERNAL SCROLL ACTIVATION AND CURSOR ADORNMENT}
콘텐츠가 종종 컴퓨팅 시스템에서 창 또는 뷰어 내에 디스플레이된다. 그 뷰어가 콘텐츠보다 작을 때, 하나 이상의 스크롤 막대가 뷰어의 측면을 따라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의 높이가 뷰어보다 큰 경우, 수직 스크롤 막대가 뷰어의 오른쪽 또는 왼쪽에 나타남으로써 사용자가 콘텐츠를 위아래로 스크롤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대안으로서 또는 그에 부가하여, 콘텐츠의 폭이 뷰어보다 큰 경우, 수평 스크롤 막대가 뷰어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 나타남으로써 사용자가 콘텐츠를 좌우로 스크롤할 수 있을 것이다.
스크롤 막대는 통상적으로 4개의 본질적인 구성요소, 즉 2개의 화살표 컨트롤, 트랙(track) 및 위치 조정 컨트롤(thumb)을 포함한다. 수직 스크롤 막대의 경우, 스크롤 막대의 상단에 위쪽 화살표가 있고 스크롤 막대의 하단에 아래쪽 화살표가 있다. 수평 스크롤 막대의 경우, 스크롤 막대의 좌측에 왼쪽 화살표가 있고 스크롤 막대의 우측에 오른쪽 화살표가 있다. 트랙은 2개의 화살표 컨트롤 사이에 뻗어 있다. 트랙의 길이는 스크롤 막대에 의해 제공되는 스크롤가능 방향에서 콘텐츠의 전체 범위를 나타낸다. 위치 조정 컨트롤은 스크롤 막대에 의해 제공되는 스크롤가능 방향으로 콘텐츠를 이동시키기 위해 트랙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는 직사각형 컨트롤이고, 트랙의 전체 길이에 비례하는 트랙의 방향에서의 위치 조정 컨트롤의 길이는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의 그 비율을 나타낸다. 트랙 내에서의 위치 조정 컨트롤의 위치는 스크롤 막대에 의해 제공되는 스크롤가능 방향에서의 콘텐츠의 전체 범위에 대한 콘텐츠의 현재 보여지는 부분의 상대 위치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가 뷰어 공간보다 큰 경우, 이러한 스크롤 막대는 통상적으로 뷰어에 항상 존재하고 뷰어 공간을 차지한다. 게다가, 몇개의 중첩된 뷰어 층이 있는 경우, 마찬가지로 중첩된 스크롤 막대가 있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각각의 뷰어가 하나 이상의 스크롤 막대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해당 뷰어 내에서 스크롤하기 위해, 사용자는 다수의 중첩된 스크롤 막대 중에서 해당 스크롤 막대를 찾아내야만 한다.
스크롤 막대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는 커서를 커서가 있는 곳으로부터 해당 스크롤 막대 내의 해당 탐색 컨트롤로 이동시킨다. 사용자가 수행될 스크롤의 유형을 변경하려고 하는 경우, 추가의 커서 이동이 필요할지도 모른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아래쪽 화살표를 사용하여 아래로 스크롤하고 있다가 이제 위로 스크롤하려고 하는 경우, 사용자는 커서를 아래쪽 화살표 컨트롤로부터 위로 이동시켜 위쪽 화살표 컨트롤을 선택하거나, 스크롤 막대에서 위치 조정 컨트롤이 디스플레이되는 곳 위쪽을 클릭한다. 스크롤 휠은, 스크롤 막대를 작동시키기 위해 마우스가 스크롤 막대의 영역 내에 있어야 할 것을 요구하지 않음으로써, 추가적인 효율성을 제공하는 한가지 진보이다. 그렇지만, 스크롤 휠은 스크롤 및 줌 등의 다수의 목적으로 종종 사용되며, 그에 따라 때때로 스크롤 휠이 주어진 상황에서 무엇을 하는지가 사용자에게 불분명하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뷰어를 스크롤할 수 있게 해주는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뷰어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동안 사용자 입력이 검출될 때, 사용자 입력이 스크롤 제스처인 것으로 식별된다. 그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된 뷰어의 내부 부분에서 스크롤 컨트롤이 활성화된다. 일 실시예에서, 스크롤 컨트롤은 대략적으로 사용자 입력 제스처가 검출될 때 커서가 위치했던 뷰어의 부분에 디스플레이된다. 스크롤 컨트롤에 의해 사용자는 뷰어의 스크롤가능 방향으로 뷰어를 스크롤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 제스처는 끌기 동작이고, 스크롤 컨트롤의 활성화를 가져오는 끌기 동작은 계속하여 스크롤 컨트롤을 조작하는 데 사용되는 끌기 동작으로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커서를 스크롤가능 디스플레이 내로 이동시킬 때, 커서가 그 뷰어에 이용가능한 스크롤 옵션을 나타내는 스크롤 컨텍스트 엠블럼(scrolling context emblem)으로 장식된다. 일 실시예에서, 스크롤 컨텍스트 엠블럼은 또한 콘텐츠의 현재 디스플레이된 부분이 전체 콘텐츠에 대해 어디에 있는지도 나타낼 수 있다.
이 요약은 청구된 발명 대상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인 특징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청구된 발명 대상의 범위를 정하는 데 보조 수단으로 사용되기 위한 것도 아니다.
상기한 이점 및 특징과 기타 이점 및 특징이 달성될 수 있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실시예의 보다 상세한 설명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질 것이다. 이들 도면이 샘플 실시예만을 도시하고 있고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서, 첨부 도면을 사용하여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기술하고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특징을 구현할 수 있는 컴퓨팅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스크롤가능 뷰어를 스크롤할 수 있게 해주는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3은 수직 스크롤 컨트롤이 활성화되어 있는 뷰어를 보여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수직 스크롤 컨트롤이 뷰어를 아래로 스크롤하도록 조작된 도 3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수평 스크롤 컨트롤이 활성화되어 있는 뷰어를 보여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2차원 스크롤 컨트롤이 활성화되어 있는 수평 및 수직 스크롤가능 뷰어를 보여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3차원 위치 조정 컨트롤을 갖는 3차원 범위를 포함하는 3차원 스크롤 컨트롤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디스플레이된 스크롤가능 뷰어 내에서의 스크롤 옵션 및 상황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9는 수직 스크롤 컨텍스트 엠블럼으로 장식된 커서를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수평 스크롤 컨텍스트 엠블럼으로 장식된 커서를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2차원 스크롤 컨텍스트 엠블럼으로 장식된 커서를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기술된 원리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뷰어를 스크롤할 수 있게 해주는 효율적인 메커니즘과, 스크롤 동작에 관여하고 있지 않을 때에도 사용자에게 뷰어의 스크롤 상황을 제공하는 메커니즘도 제공한다. 먼저, 도 1과 관련하여 일반적인 컴퓨팅 시스템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이어서, 도 2 내지 도 11과 관련하여 스크롤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컴퓨팅 시스템(100)을 나타낸 것이다. 컴퓨팅 시스템은 이제 점점 더 다양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컴퓨팅 시스템은, 예를 들어, 핸드헬드 장치, 가전 제품, 랩톱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메인 프레임, 분산 컴퓨팅 시스템, 또는 심지어 종래에 컴퓨팅 장치를 고려하지 않았던 장치일 수 있다. 이 설명 및 특허 청구 범위에서, "컴퓨팅 시스템"이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실행가능 명령어를 가질 수 있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임의의 장치 또는 시스템(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광의적으로 정의된다. 메모리는 임의의 형태를 취할 수 있고, 컴퓨팅 시스템의 성질 및 형태에 의존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은 네트워크 환경을 통해 분산되어 있을 수 있고 다수의 구성 컴퓨팅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기본적인 구성에서, 컴퓨팅 시스템(100)은 통상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처리 장치(102) 및 메모리(104)를 포함한다. 메모리(104)는 휘발성, 비휘발성, 또는 이 둘의 어떤 조합일 수 있는 실제 시스템 메모리일 수 있다. "메모리"라는 용어는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실제 저장 매체 등의 비휘발성 대용량 저장 장치를 말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이 분산되어 있는 경우, 처리, 메모리 및/또는 저장소 기능도 역시 분산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모듈" 또는 "구성요소"라는 용어는 컴퓨팅 시스템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개체 또는 루틴을 말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서로 다른 구성요소, 모듈, 엔진 및 서비스가 컴퓨팅 시스템 상에서 (예를 들어, 개별적인 스레드로서) 실행되는 개체 또는 프로세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하나 이상의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동작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동작을 수행하는 관련 컴퓨팅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컴퓨터-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한 것에 응답하여 컴퓨팅 시스템의 동작을 지시한다. 이러한 동작의 일례는 데이터의 조작을 포함한다. 컴퓨터-실행가능 명령어(및 조작된 데이터)는 컴퓨팅 시스템(100)의 메모리(104)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의 다른 일례는 디스플레이(112) 상에 정보 및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또한 컴퓨팅 시스템(100)이, 예를 들어, 네트워크(110)(어쩌면 인터넷 등)를 통해 다른 메시지 프로세서와 통신할 수 있게 해주는 통신 채널(108)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채널(108)은 통신 매체의 일례이다. 통신 매체는 통상적으로 컴퓨터-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를 반송파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 등의 피변조 데이터 신호(modulated data signal)에 구현하고 모든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제한이 아닌 일례로서, 통신 매체는 유선 네트워크 및 직접 배선 연결(direct-wired connection) 등의 유선 매체(wired media)와, 음향, 무선(radio), 적외선 및 기타 무선 매체 등의 무선 매체(wireless media)를 포함한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 둘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실행가능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를 전달 또는 저장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범용 또는 전용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이용가능한 매체라면 어느 것이라도 될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일례로서,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실행가능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 형태의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전달 또는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범용 또는 전용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 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 장치, 또는 임의의 다른 매체 등의 실제 저장 및/또는 메모리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가 네트워크 또는 다른 통신 연결(유선, 무선 또는 유선과 무선의 조합)을 통해 컴퓨터로 전송 또는 제공될 때, 컴퓨터는 적절하게도 이 연결을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 본다. 따라서, 이러한 어떤 연결도 적절하게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라고 한다. 상기한 것들의 조합도 역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어,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또는 전용 처리 장치로 하여금 어떤 기능 또는 어떤 일군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 및 데이터를 포함한다. 발명 대상이 구조적 특징 및/또는 방법적 동작과 관련하여 기술되어 있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정의된 발명 대상이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의 특징 또는 동작으로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오히려,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의 특징 및 동작은 청구항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형태로서 개시되어 있다.
도 2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스크롤가능 뷰어를 스크롤할 수 있게 해주는 방법(200)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낸 것이다. 방법(200)을 사용하여 조작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 3 내지 도 7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하여 방법(200)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따라서, 도 3 내지 도 7을 자주 참조하면서 방법(200)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방법(200)은 스크롤가능 뷰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동작 201)를 포함한다. 이 설명에서, "뷰어"는 가시 경계를 포함하는 임의의 구성요소이며, 이 뷰어 내에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뷰어는 직사각형 경계를 가질 수 있지만, 또한 다른 형상도 가질 수 있다. 뷰어 내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가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스크롤될 수 있는 경우, 뷰어는 "스크롤가능"이다. 예를 들어, 콘텐츠는 수직으로 스크롤되거나, 수평으로 스크롤되거나, 어떤 다른 방향으로 스크롤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가 뷰어의 현재 크기보다 클 경우에, 스크롤이 가장 유익할 수 있다. 그렇지만, 콘텐츠가 이미 스크롤가능 방향의 차원을 따라 뷰어 내에 들어가는 경우에도 스크롤이 또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스크롤가능 뷰어가 일련의 하나 이상의 스크롤가능 방향을 갖는 경우, 그 뷰어가 크기 조정되면, 일련의 스크롤가능 방향이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뷰어가 특정의 방향으로 확대되는 경우, 뷰어는 그 방향에서 스크롤가능성(scrollability)을 상실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그 차원에서의 뷰어가 그 방향에서의 콘텐츠의 크기보다 더 크게 되기 때문이다. 뷰어가 특정의 방향에서 더 작게 되는 경우, 뷰어는 그 방향에서 스크롤가능성을 획득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그 차원에서의 뷰어가 그 방향에서의 콘텐츠의 크기보다 더 작게 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본 명세서에 기술된 원리는 뷰어가 크기 조정될 수 있는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으며 고정 크기의 뷰어에도 적용된다.
도 3은 스크롤가능 뷰어(300)를 보여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 전체에 걸쳐, 뷰어의 스크롤가능 콘텐츠가 삼각형, 원, 타원, 직사각형 등을 비롯한 다양한 도형을 사용하여 추상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 콘텐츠는 단지 임의적인 콘텐츠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된 것에 불과하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원리는 뷰어가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어떤 콘텐츠에도 적용된다. 일례로서, 콘텐츠는 스프레드시트, 워드 프로세싱 문서, 그래픽 편집기, 확장가능 캔버스, 그림, 조직 차트 등(이들로 제한되지 않음)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뷰어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동안, 사용자 입력이 검출된다(동작 202). 이 사용자 입력은 스크롤을 시작하려는 사용자 의도를 암시하는 스크롤 제스처를 나타낸다. 스크롤을 시작하려는 사용자 의도를 암시하는 사용자 입력의 유형은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마우스가 사용되는 일례에서, 사용자가 선택 마우스 단추를 활성화시키고 선택 단추가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적어도 몇개의 수직 픽셀 길이(예를 들어, 4개 정도)에 걸쳐 마우스를 끌기함으로써 수직 스크롤 의도 제스처가 행해진다. 사용자가 선택 단추를 활성화시키고 몇개의 픽셀에 걸쳐 마우스를 수평으로 끌기함으로써 수평 스크롤 의도 제스처가 행해진다. 수평 및 수직 스크롤가능 뷰어의 경우, 어느 제스처라도 스크롤 의도를 나타낼 수 있다.
그렇지만, 이것은 스크롤 활성화 제스처의 하나의 구체적인 일례에 불과하다. 다른 제스처가, 예를 들어, 마우스, 키보드 또는 기타 입력 장치 상의 특수 선택 단추의 활성화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활성화 메커니즘은 마우스 또는 기타 입력 장치 상의 다수의 선택 단추의 선택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제스처의 유형에 정말로 제한이 없다. 끌기 유형의 스크롤 활성화 제스처는 사용자가 스크롤 컨트롤을 활성화시키고 또한 한번의 간단한 연속적인 끌기 움직임으로 스크롤 자체를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서 몇몇 이점이 있다.
스크롤 컨트롤의 활성화 이전의 임의의 시점에서, 뷰어의 일련의 하나 이상의 스크롤가능 방향이 식별된다(동작 203). 일 실시예에서, 이 식별은 콘텐츠의 차원은 물론 뷰어의 차원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단지 일례로서, 콘텐츠 및 뷰어가 2차원으로 직사각형일 때, 콘텐츠의 높이가 뷰어의 디스플레이가능 공간보다 큰 경우, 뷰어가 수직 방향으로 스크롤가능할 수 있다. 콘텐츠의 폭이 뷰어의 디스플레이가능 공간보다 큰 경우, 뷰어가 수평 방향으로 스크롤가능할 수 있다. 그렇지만, 2차원 공간에서, 다양한 형태의 대각 스크롤이 또한 이용될 수 있다. 뷰어의 어떤 다른 구성을 크기 조정하거나 변경함으로써, 일련의 스크롤가능 방향이 변할 수 있다. 그에 부가하여, 뷰어의 콘텐츠에 대한 뷰어의 크기에 따라, 스크롤가능 방향이 뷰어마다 다를 수 있다.
스크롤 컨트롤의 유형이 식별된 스크롤가능 방향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뷰어가 수직 방향으로 스크롤가능한 경우, 스크롤 제스처에 응답하여 수직 스크롤 컨트롤이 활성화될 수 있다. 뷰어가 다른 방향으로도(예를 들어, 수평으로) 스크롤가능한 경우, 아마도 수직 스크롤 컨트롤 및 다른(예를 들어, 수평) 방향에 대한 스크롤 컨트롤의 활성화를 야기하는 사용자 입력 제스처의 유형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아마도 스크롤 컨트롤은 동시에 2차원 스크롤하는 것을 허용하며, 이 경우에 단지 하나의 2차원 스크롤 컨트롤이 관찰 평면(viewing plane)에서의 모든 방향으로의 스크롤에 대응할 수 있다.
활성화 제스처의 검출 시에(동작 203), 디스플레이된 뷰어의 내부 부분에서 스크롤 컨트롤이 활성화된다(동작 204). 이것은 몇가지 중요한 점에서 종래의 스크롤 막대와 대조된다. 예를 들어, 스크롤 컨트롤이 활성화 제스처에 의해 활성화될 때에만 나타나게 되어 있었다. 스크롤 막대가 뷰어의 스크롤가능성이 식별되는 바로 그 때로부터 나타나는 경향이 있으며, 그로써 스크롤이 행해지지 않을 때에도 뷰어 내의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그에 부가하여,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되는 바와 같이, 스크롤 컨트롤은 뷰어의 내부 부분에서 활성화되는 반면, 스크롤 막대는 통상적으로 뷰어의 가장자리에 있다. 따라서, 스크롤 컨트롤을 조작하는 데 커서의 움직임이 덜 필요하다.
일 실시예에서, 스크롤 컨트롤이 스크롤 컨트롤 활성화 시에 커서가 있었던 위치에서 또는 그 근방에서 활성화되며, 그로써 스크롤 컨트롤과 인터페이스하기 위해 커서를 거의 움직일 필요가 없다. 실제로, 일부 실시예에서, 스크롤 컨트롤을 활성화시키는 데 사용되는 제스처는, 한번의 연속적인 움직임으로, 스크롤 컨트롤을 실제로 조작하여 스크롤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어느 경우든지, 스크롤 컨트롤이 활성화되면(동작 204), 그 스크롤 컨트롤이 어떤 형태를 갖든 간에, 스크롤 컨트롤이 뷰어의 스크롤을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동작 205).
도 3은 뷰어(300)가 수직 방향으로 스크롤가능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해당 사용자 제스처를 검출할 시에, 수직 스크롤 컨트롤(310)이 활성화된다. 이 경우에, 수직 스크롤 컨트롤은 디스플레이된 콘텐츠의 수직 영역 전체를 나타내는 수직 범위(311)를 포함한다. 위치 조정 컨트롤(312)은 콘텐츠의 수직 영역 전체 내에서의 디스플레이된 콘텐츠의 위치를 나타낸다. 범위(311)의 길이와 비교할 때의 위치 조정 컨트롤(312)의 길이는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의 수직 영역의 상대 비율을 나타낼 수 있다. 디스플레이된 콘텐츠가 위아래로 스크롤될 수 있게 해주기 위해 위치 조정 컨트롤(312)이 범위(311) 내에서 위아래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위치 조정 컨트롤(312)이 커서(301) 바로 아래에 나타나도록 하는 위치에 수직 스크롤 컨트롤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활성화 제스처가 1) 마우스의 선택 단추를 활성화하는 것, 및 2) 선택 단추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특정의 수직 거리만큼 마우스를 끄는 것으로 가정하자. 그 경우에, 스크롤 컨트롤이 활성화될 때, 선택 단추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끌기 제스처를 계속하는 경우, 사용자는 위치 조정 컨트롤(312)의 이동을 제어하는 데 사용된 커서(301)를 이용하여 실제의 수직 스크롤 동작 자체로 매끄럽게 진행할 수 있다. 이것은, 때때로 사용자 입력의 조합을 사용하여 스크롤을 수행하는 많은 형태의 종래의 스크롤과 대조된다.
도 4는 수직 스크롤 컨트롤이 뷰어를 아래로 스크롤하도록 조작된 도 3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것이다. 유의할 점은, 수직 스크롤 컨트롤(310)에서, 커서(301)가 위치 조정 컨트롤(312)의 위치를, 도 3에서의 위치와 비교하여, 범위(311)의 아래로 이동시켰으며, 그 결과 뷰어(400)의 콘텐츠가 아래로 이동되었다는 것이다.
도 5는 수평 스크롤 컨트롤이 활성화되어 있는 뷰어(500)를 보여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이 경우에, 뷰어(500)는 적어도 수평 방향으로 스크롤가능할 수 있다. 다수의 방향으로 스크롤가능한 경우, 서로 다른 활성화 제스처가 서로 다른 스크롤 컨트롤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렇지만, 도 6과 관련하여 기술될 일 실시예에서, 뷰어가 다수의 방향으로 스크롤가능한 경우에, 그 대신에 2차원 스크롤 컨트롤이 이용될 수 있다.
도 5의 경우에, 수평 스크롤 컨트롤(510)은 해당 활성화 제스처의 검출을 통해 활성화되었다. 수평 스크롤 컨트롤(510)은 콘텐츠의 수평으로 스크롤가능한 영역을 나타내는 수평으로 배향된 범위(511), 및 수평 스크롤 동작을 조작하는 위치 조정 컨트롤(512)을 포함한다. 커서(501)를 사용하여 위치 조정 컨트롤(512)을 왼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콘텐츠가 왼쪽으로 스크롤된다. 위치 조정 컨트롤(513)을 오른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콘텐츠가 오른쪽으로 스크롤된다.
도 6은 2차원 스크롤 컨트롤(610)이 활성화되어 있는 수평 및 수직 스크롤가능 뷰어(600)를 보여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스크롤 컨트롤(610)은 뷰어가 2차원 평면에서 다수의 방향으로(예를 들어, 관찰 평면에서 수평으로 또 수직으로) 스크롤할 때 나타날 수 있다. 사용자는, 커서(601)를 사용하여 2차원 범위(611) 내에서 2차원 위치 조정 컨트롤(612)을 끌기함으로써, 그 2차원 평면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스크롤할 수 있다. 따라서,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스크롤이 하나의 컨트롤을 사용하여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 2차원 스크롤 컨트롤(610)이 또한 본 명세서에서 스크롤 맵(scroll map)이라고도 할 수 있지만, 도 4 및 도 5의 수직 및 수평 스크롤 컨트롤도 1차원 스크롤 맵으로 간주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들이 1 차원에서의 위치 상황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원리는 3차원 디스플레이로도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3차원 디스플레이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는 물론, 콘텐츠가 3차원으로 보이게 되어 있는 2차원 디스플레이도 포함할 수 있다. 3차원 뷰어 및 3차원 콘텐츠가 여기에 예시되어 있지 않다. 그렇지만, 도 7은 스크롤 제스처가 검출될 때 3차원 콘텐츠 내에 또는 그와 연관되어 나타나게 될 수 있는 3차원 스크롤 컨트롤(700)을 나타내고 있다. 3차원 스크롤 컨트롤(700)은 디스플레이된 콘텐츠의 3차원 영역 전체를 나타낼 수 있는 3차원 범위(711)를 포함한다. 3차원 위치 조정 컨트롤(712)이 범위(711) 내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3차원 콘텐츠의 어느 부분이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일 실시예에서, 3차원 콘텐츠에서의 현재 위치의 2차원 단면만을 디스플레이하면서 3차원 콘텐츠가 탐색될 수 있다. 그 경우에, 2차원 위치 조정 컨트롤이 3차원 영역에 나타날 수 있다. 게다가, 2차원 위치 조정 컨트롤이 위로, 아래로, 왼쪽으로, 오른쪽으로, 안쪽으로 또한 바깥쪽으로 이동되게 조작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하는 단면 뷰를 얻기 위해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뷰어 내에서 사용자에게 친숙한 스크롤을 가능하게 해주는 메커니즘을 설명하였다. 이것은 뷰어 자체의 스크롤성에 따라 사용자가 이용가능한 스크롤 옵션의 수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디스플레이된 스크롤가능 뷰어 내에서의 스크롤 옵션 및 상황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방법(800)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낸 것이다. 이 방법을 통해, 사용자는 뷰어에서의 스크롤가능성의 방향은 물론, 콘텐츠의 전체 영역 내에서의 상대적 현재 위치도 훨씬 더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것은 스크롤 상황을 나타내는 엠블럼으로 커서를 장식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그 엠블럼은 커서와 함께 이동될 수 있고, 스크롤 상황이 변할 때(즉, 스크롤된 위치가 변할 때 또는 스크롤가능 방향이 변할 때) 변할 수 있다.
방법(800)은 스크롤가능 뷰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동작 801)를 포함한다. 뷰어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동안의 어떤 시점에서, 커서가 스크롤가능 뷰어 내에 있는 것이 검출된다(동작 802). 이 커서가 장식되기 전의 어떤 시점에서, 뷰어의 일련의 하나 이상의 스크롤가능 방향이 식별된다(동작 803). 일련의 스크롤가능 방향에 기초하여 스크롤 상황에 맞는 해당 엠블럼이 선택된다(동작 804). 마지막으로, 커서가 선택된 엠블럼으로 장식된다(동작 805). 일 실시예에서, 장식은 스크롤 방향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뷰어의 전체적인 스크롤가능 상황 내에서의 뷰어의 현재 보여지는 부분의 위치도 나타낸다. 장식은 커서와 함께 이동하고, 본질적으로 커서의 일부로 된다.
도 9는 뷰어(900)가 수정된 커서(901)를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것이다. 수정된 커서는 수직 스크롤 컨텍스트 엠블럼으로 장식된 원래의 커서(910)를 포함한다. 수직 스크롤 컨텍스트 엠블럼은 스크롤이 수직 방향으로 가능하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직 스크롤 활성화 제스처를 수행하여 수직 스크롤을 시작할 수 있다. 수직 스크롤 컨텍스트 엠블럼 자체가 스크롤 컨트롤을 포함하고 있지 않지만, 범위(911) 및 위치 조정 컨트롤(912)을 보여주며, 그로써 현재 디스플레이된 콘텐츠가 콘텐츠의 전체 영역 내에서 수직으로 어디에 있는지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도 10은 뷰어(1000)가 수평 스크롤 컨텍스트 엠블럼으로 장식된 원래의 커서(1010)를 포함하는 수정된 커서(1001)를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것이다. 수평 스크롤 컨텍스트 엠블럼은 스크롤이 수평 방향으로 가능하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평 스크롤 활성화 제스처를 수행하여 수평 스크롤을 시작할 수 있다. 수평 스크롤 컨텍스트 엠블럼 자체가 스크롤 컨트롤을 포함하고 있지 않지만, 수평 범위(1011) 및 위치 조정 컨트롤(1012)을 보여주며, 그로써 현재 디스플레이된 콘텐츠가 콘텐츠의 전체 영역 내에서 수평으로 어디에 있는지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도 11은 뷰어(1100)가 2차원 스크롤 컨텍스트 엠블럼으로 장식된 원래의 커서(1010)를 포함하는 수정된 커서(1101)를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것이다. 2차원 스크롤 컨텍스트 엠블럼은 스크롤이 이제 2차원으로 가능하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크롤 활성화 제스처를 수행하여 2차원의 동시적인 수평 및 수직 스크롤을 시작할 수 있다. 2차원 스크롤 상황은 2차원 범위(1111) 및 2차원 위치 조정 컨트롤(1112)을 보여주며, 그로써 현재 디스플레이된 콘텐츠가 콘텐츠의 전체 영역 내에서 어디에 있는지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기술된 원리가 3차원 디스플레이로도 확장될 수 있다. 그 경우에, 탐색이 3차원 모두에서 가능한 경우, 커서는 3차원으로 보이게 되어 있는 엠블럼으로, 어쩌면 3차원 위치 조정 컨트롤로 장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엠블럼이 도 7 및 부속 설명과 관련하여 도시되고 기술된 것과 아주 비슷하게 보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원리는 사용자가 뷰어 전체에 걸쳐 스크롤하는 효율적이고 직관적인 방법을 제공하고 또한 스크롤하지 않을 때에도 어느 스크롤 옵션이 있는지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메커니즘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그의 정신 또는 본질적인 특성들을 벗어나지 않고 다른 특정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기술된 실시예들이 모든 점에서 제한적이 아니라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상의 설명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특허청구범위의 등가성의 의미 및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변경들이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Claims (19)

  1. 컴퓨팅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팅 시스템으로 하여금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스크롤가능 뷰어를 스크롤할 수 있게 해주는 방법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가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스크롤가능 뷰어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 및
    트리거링 이벤트에 응답하여, 스크롤링 컨트롤을 활성화시키는 동작
    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롤링 컨트롤은 상기 디스플레이된 스크롤가능 뷰어와 중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스크롤가능 뷰어 내에 디스플레이된 스크롤가능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 위에 놓이며, 상기 스크롤링 컨트롤은 상기 스크롤가능 콘텐츠의 3개의 스크롤가능 영역(three scrollable ranges)을 나타내는 3차원 범위(extent)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롤링 컨트롤은 또한 사용자 입력 표시자를 이용하여 상기 3차원 범위 내에서 3차원으로 드래그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된 3차원 스크롤링 표시자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롤링 컨트롤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입력 표시자를 이용하여 상기 스크롤가능 뷰어의 적어도 3개의 스크롤가능 방향으로 상기 뷰어를 스크롤할 수 있도록 해주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물리적 메모리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스크롤가능 뷰어와의 상기 스크롤링 컨트롤의 중첩은 상기 스크롤링 컨트롤과 상기 디스플레이된 스크롤가능 뷰어 모두가 상기 중첩이 발생하는 곳에서 보일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링 컨트롤은 상기 디스플레이된 스크롤가능 뷰어의 내부에 시각적으로 표시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스크롤가능 뷰어의 경계 에지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된 스크롤가능 뷰어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5. 컴퓨팅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팅 시스템으로 하여금 디스플레이된 스크롤가능 뷰어 내에서의 스크롤링 옵션 및 컨텍스트(context)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방법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가 저장된 하나 이상의 물리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트리거링 이벤트에 응답하여, 스크롤가능 뷰어의 전체 스크롤가능 컨텍스트 내에서의 상기 스크롤가능 뷰어의 현재 보이는 부분의 위치를 나타내는 스크롤 컨텍스트 엠블럼(scroll context emblem)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롤 컨텍스트 엠블럼은 상기 스크롤가능 뷰어와 중첩되고, 사용자 입력 표시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스크롤가능 뷰어 내에 디스플레이된 스크롤가능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 위에 놓이고, 상기 스크롤 컨텍스트 엠블럼은 적어도 3개의 스크롤가능 방향을 나타내고, 상기 스크롤 컨텍스트 엠블럼은 상기 스크롤가능 뷰어의 3차원 영역 전체를 나타내는 3차원 범위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롤 컨텍스트 엠블럼은 자신의 내부에 배치된 스크롤링 표시자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롤링 표시자는 상기 스크롤가능 뷰어의 전체 영역 내에서 상기 스크롤가능 뷰어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스크롤가능 콘텐츠의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부분의 해당 위치를 나타내고, 상기 스크롤가능 콘텐츠를 스크롤링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입력 표시자를 사용하여 상기 3차원 범위 내에서 3차원으로 드래그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스크롤가능 뷰어의 크기가 변경되었음을 검출하는 동작,
    상기 스크롤가능 뷰어의 크기가 변경되었음을 검출하는 동작에 후속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 표시자가 상기 변경된 크기를 갖는 상기 스크롤가능 뷰어 내로 내비게이팅되었음을 검출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입력 표시자가 상기 변경된 크기를 갖는 상기 스크롤가능 뷰어 내로 내비게이팅되었음을 검출하는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변경된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 표시자가 내부에 있게 되는 상기 스크롤가능 뷰어에 대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스크롤가능 방향을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식별된 하나 이상의 스크롤가능 방향에 따라 복수의 가능한 스크롤 컨텍스트 엠블럼 유형 중 상기 사용자 입력 표시자를 장식할 하나의 유형을 선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는 동작은 수평의 스크롤가능 방향만을 식별하고,
    상기 선택된 엠블럼은 수평으로 배향된 범위(extent)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엠블럼은 상기 스크롤가능 뷰어의 전체 영역 내에서 상기 스크롤가능 뷰어의 현재 디스플레이된 부분의 위치를 나타내는, 자신의 내부에 배치된 스크롤링 표시자를 구비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는 동작은 수직의 스크롤가능 방향만을 식별하고,
    상기 선택된 엠블럼은 수직으로 배향된 범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엠블럼은 상기 스크롤가능 뷰어의 전체 영역 내에서 상기 스크롤가능 뷰어의 현재 디스플레이된 부분의 해당 위치를 나타내는, 자신의 내부에 배치된 스크롤링 표시자를 구비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는 동작은 수직 및 수평 스크롤가능 방향 모두를 식별하고,
    상기 선택된 엠블럼은 상기 스크롤가능 뷰어의 2차원 영역 전체를 나타내는 2차원 범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엠블럼은 상기 스크롤가능 뷰어의 전체 영역 내에서 상기 스크롤가능 뷰어의 현재 디스플레이된 부분의 위치를 나타내는, 자신의 내부에 배치된 스크롤링 표시자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컨텍스트 엠블럼은 적어도 일시적으로 상기 사용자 입력 표시자와 함께 이동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스크롤가능 뷰어를 스크롤할 수 있게 해주는 방법으로서,
    상기 스크롤가능 뷰어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 및
    트리거링 이벤트에 응답하여, 스크롤링 컨트롤을 활성화시키는 동작
    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롤링 컨트롤은 상기 디스플레이된 스크롤가능 뷰어와 중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스크롤가능 뷰어 내에 디스플레이된 스크롤가능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 위에 놓이며, 상기 스크롤링 컨트롤은 상기 스크롤가능 콘텐츠의 3개의 스크롤가능 영역을 나타내는 3차원 범위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롤링 컨트롤은 또한 사용자 입력 표시자를 이용하여 상기 3차원 범위 내에서 3차원으로 드래그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된 3차원 스크롤링 표시자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롤링 컨트롤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입력 표시자를 이용하여 상기 스크롤가능 뷰어의 적어도 3개의 스크롤가능 방향으로 상기 뷰어를 스크롤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링 이벤트는 상기 스크롤가능 뷰어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 동안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된 스크롤가능 뷰어 내부에서의 사용자 입력 표시자 위치에 대응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스크롤가능 뷰어와의 상기 스크롤링 컨트롤의 중첩은 상기 스크롤링 컨트롤과 상기 디스플레이된 스크롤가능 뷰어 모두가 상기 중첩이 발생하는 곳에서 보일 수 있도록 하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링 컨트롤은 상기 디스플레이된 스크롤가능 뷰어의 내부에 시각적으로 표시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스크롤가능 뷰어의 경계 에지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된 스크롤가능 뷰어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는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표시자는 커서를 포함하는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17003946A 2008-08-29 2009-07-31 내부 스크롤 활성화 및 커서 장식 KR1016081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202,086 US8566741B2 (en) 2008-08-29 2008-08-29 Internal scroll activation and cursor adornment
US12/202,086 2008-08-29
PCT/US2009/052411 WO2010025006A2 (en) 2008-08-29 2009-07-31 Internal scroll activation and cursor adorn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045A KR20110048045A (ko) 2011-05-09
KR101608107B1 true KR101608107B1 (ko) 2016-03-31

Family

ID=41722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3946A KR101608107B1 (ko) 2008-08-29 2009-07-31 내부 스크롤 활성화 및 커서 장식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8566741B2 (ko)
EP (1) EP2338099B1 (ko)
JP (1) JP5474974B2 (ko)
KR (1) KR101608107B1 (ko)
CN (1) CN102132229B (ko)
BR (1) BRPI0916273B1 (ko)
CA (1) CA2731807C (ko)
RU (1) RU2540826C2 (ko)
WO (1) WO201002500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56522B2 (en) * 2010-03-19 2014-06-17 Blackberry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JP5832077B2 (ja) * 2010-09-24 2015-12-16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EP2455841A3 (en) * 2010-11-22 2015-07-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item using movement of object
KR101662726B1 (ko) * 2010-12-29 2016-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의 스크롤 방법 및 장치
US9134899B2 (en) 2011-03-14 2015-09-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ouch gesture indicating a scroll on a touch-sensitive display in a single direction
CN102169410A (zh) * 2011-03-15 2011-08-3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终端信息显示的方法及装置
CN102693123B (zh) 2011-03-24 2017-09-22 微软技术许可有限责任公司 提示信息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
CN103176595B (zh) * 2011-12-23 2016-01-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提示方法及系统
JP6142493B2 (ja) * 2012-10-03 2017-06-0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表示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5738494B2 (ja) * 2012-10-16 2015-06-24 三菱電機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および表示情報操作方法
KR102085309B1 (ko) 2013-01-30 2020-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스크롤 장치 및 방법
US9563331B2 (en) * 2013-06-28 2017-02-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eb-like hierarchical menu display configuration for a near-eye display
US9727636B2 (en) 2013-09-30 2017-08-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enerating excutable code from complaint and non-compliant controls
KR101610882B1 (ko) * 2014-08-08 2016-04-08 네이버 주식회사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1610880B1 (ko) * 2014-08-12 2016-04-08 네이버 주식회사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JP6548443B2 (ja) * 2015-04-22 2019-07-24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80020734A (ko) * 2016-08-19 2018-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EP3544304A1 (en) * 2016-11-15 2019-09-25 Sony Corporation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device, and reception method
EP3672420A1 (en) * 2017-08-25 2020-07-01 DSM IP Assets B.V. New formulation
US11579769B1 (en) 2021-12-14 2023-02-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raphic device for controlling displayed object movement and/or screen scroll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2215A (ja) * 2003-12-17 2005-07-07 Atex Co Ltd 作業車の走行操作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3134A (en) * 1989-10-25 1993-11-16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puter displays by using a two dimensional scroll palette
JP2619547B2 (ja) 1990-03-16 1997-06-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図形の表示方法
JPH0827700B2 (ja) 1990-12-31 1996-03-21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コンピュータ表示制御システム
EP0514576A1 (fr) * 1991-05-24 1992-11-25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Mélange antioxydant liposoluble
JPH07129360A (ja) * 1993-11-05 1995-05-19 Fujitsu Ltd 表示制御装置
US5734805A (en) * 1994-06-17 1998-03-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navigation in 3-D space
EP0715731B1 (en) 1994-06-24 2000-08-30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crolling through data
US5568603A (en) * 1994-08-11 1996-10-22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system for transparent mode switching between two different interfaces
US5900872A (en) 1995-05-05 1999-05-04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tracking of movable control elements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5655094A (en) 1995-09-29 1997-08-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p up scroll bar
US5874956A (en) * 1995-11-13 1999-02-23 Platinum Technology Apparatus and method for three dimensional manipulation of point of view and object
JPH09152856A (ja) 1995-11-28 1997-06-10 Fuji Facom Corp 画面スクロール制御装置
US5805161A (en) * 1996-09-26 1998-09-08 Logitech, Inc. System and method for data processing enhanced ergonomic scrolling
US6069626A (en) * 1997-02-27 2000-05-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scrolling functionality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utilizing a transparent scroll bar icon
JP3624626B2 (ja) 1997-05-28 2005-03-0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H1165811A (ja) * 1997-08-11 1999-03-09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マウス・カーソルを表示する情報処理装置、マウス・カーソル、及びマウス・カーソルを表示する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2000010693A (ja) 1998-06-25 2000-01-14 Sfd Kk 3次元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方法
JP3415076B2 (ja) * 1999-09-27 2003-06-09 日清オイリオ株式会社 飼料用レシチンオイル
JP2002155018A (ja) * 2000-11-22 2002-05-28 Yamasa Shoyu Co Ltd 醤油油から得られた石鹸臭の少ない脂肪酸カルシウム及びそれを含む家畜用飼料
US6657639B2 (en) 2001-09-20 2003-12-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ed scrolling
US7958455B2 (en) * 2002-08-01 2011-06-07 Apple Inc. Mode activated scrolling
US6836723B2 (en) 2002-11-29 2004-12-28 Alpine Electronics, Inc Navigation method and system
JP4111885B2 (ja) 2003-07-23 2008-07-02 アルパイン株式会社 地図検索表示方法及び装置
JP2005182125A (ja) * 2003-12-16 2005-07-07 Casio Comput Co Ltd グラフ表示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5267630A (ja) 2004-03-18 2005-09-29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グラフィカル・ディスプレイ・ウィンドウにおいて2次元スクロールを行う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7328411B2 (en) 2004-03-19 2008-02-05 Lexmark International, Inc. Scrollbar enhancement for browsing data
US7865301B2 (en) * 2004-03-23 2011-01-04 Google Inc. Secondary map in digital mapping system
JP2006085210A (ja) * 2004-09-14 2006-03-30 Sharp Corp コンテンツ表示制御装置、コンテンツ表示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4015149B2 (ja) * 2004-11-22 2007-11-28 明治飼糧株式会社 飼料組成物
JP4611819B2 (ja) * 2005-07-04 2011-01-12 シャープ株式会社 楽曲管理装置および情報表示方法
RU2316806C1 (ru) * 2006-03-24 2008-02-10 Виталий Васильевич Мережкин Устройство ввода информации в электронные приборы
US20080155462A1 (en) * 2006-12-22 2008-06-2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Independent scrolling of tabular dat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2215A (ja) * 2003-12-17 2005-07-07 Atex Co Ltd 作業車の走行操作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25006A2 (en) 2010-03-04
JP5474974B2 (ja) 2014-04-16
CA2731807C (en) 2016-09-27
WO2010025006A3 (en) 2010-05-14
CN102132229B (zh) 2014-12-31
RU2011107185A (ru) 2012-08-27
JP2012501496A (ja) 2012-01-19
US8566741B2 (en) 2013-10-22
KR20110048045A (ko) 2011-05-09
CN102132229A (zh) 2011-07-20
RU2540826C2 (ru) 2015-02-10
EP2338099A2 (en) 2011-06-29
CA2731807A1 (en) 2010-03-04
BRPI0916273B1 (pt) 2019-12-03
US20110039003A1 (en) 2011-02-17
EP2338099A4 (en) 2013-12-25
BRPI0916273A2 (pt) 2015-11-03
EP2338099B1 (en) 2017-07-19
US20100058227A1 (en) 201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8107B1 (ko) 내부 스크롤 활성화 및 커서 장식
US7665033B2 (en) Using a zooming effect to provide additional display space for managing applications
EP2715499B1 (en) Invisible control
US8286096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8239765B2 (en) Displaying stacked bar charts in a limited display area
US9122367B2 (en) Navigation system for a 3D virtual scene
US9146660B2 (en) Multi-function affine tool for computer-aided design
EP2791760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hanging screen mode using the same
US5303388A (en) Method to display and rotate a three-dimensional icon with multiple faces
US10504285B2 (en) Navigation system for a 3D virtual scene
US200301792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non-uniform graphical objects
US20130328913A1 (en) Methods for viewing and navigating between perspectives of a data set
CN105339931A (zh) 用于处理数据容器的方法和设备
US11385785B2 (en) Interface for multiple simultaneous interactive views
US11132104B1 (en) Managing user interface items in a visual user interface (VUI)
EP4287006A2 (en) Interface for multiple simultaneous interactive view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