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7223B1 -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 Google Patents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7223B1
KR101607223B1 KR1020130124324A KR20130124324A KR101607223B1 KR 101607223 B1 KR101607223 B1 KR 101607223B1 KR 1020130124324 A KR1020130124324 A KR 1020130124324A KR 20130124324 A KR20130124324 A KR 20130124324A KR 101607223 B1 KR101607223 B1 KR 101607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server
route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4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5091A (ko
Inventor
최정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30124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223B1/ko
Publication of KR20150045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5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Abstract

본 발명은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에 관한 것이다. 서버에서 수행하는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 1 단말의 초기 위치에 대한 초기 위치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초기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추천 경로에 대한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한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 따른 상기 제 1 단말의 현재 위치와 상기 추천 경로 간의 최단 거리를 기준 거리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최단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보다 큰 경우, 제 2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A METHOD AND A SERVER FOR TRANSMITTING A COURSE DEVIATION ALRAM MESSAGE}
본 발명은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네비게이션의 경로 안내와 같은 기능을 이용하여 어린이 등 취약 계층의 제 1 단말을 통해 제 2 단말로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보호자가 제 1 단말의 카메라를 원격에서 제어하여 피보호자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도록 하여 위기 상황에 긴급 대처 할 수 있도록 경로 이탈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고, 도착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전자, 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다양한 무선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서비스에는 가장 기본적인 무선 음성 통화 서비스 외에도 자료 검색 및 전송이 이루어지는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자가 운전자의 증가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도로상황, 공사 또는 사고현황, 목적지까지의 운전 경로 등을 안내해주는 위치 정보 서비스도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 정보 서비스는 차량, 선박, 항공기 등의 이동체가 자동적으로 자기의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위치 정보 시스템(ALS: Automatic Locating System Supervisor)에 의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자동 위치 정보 시스템에는 차량 위치 자동 표시 시스템(AVM: Automatic Vehicle Monitoring System), 미해군 위성 측위 시스템(NNSS: Navy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 GlobalPositioning System) 등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이동 통신 기술의 혁신적인 발달로 인해 네비게이션 기능과 이동 통신 기술이 통합된 형태의 모듈이 많이 개발되고 이다. 그리고 네비게이션 기능이 내장된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네비게이션 장치와의 연동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이 네비게이션 기능과 통합된 이동 단말기가 등장함에 따라, 네비게이션 기능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에서 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필요성을 충족시키고자,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일정 시간이 되면, 경로 탐색 기능을 이용하여 피보호자의 추천 경로를 탐색하고 피보호자가 추천 경로로부터 일정 범위 이상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보호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를 제공한다.
또한, 피보호자가 추천 경로로부터 일정 범위 이상 벗어나는 경우, 보호자에게 피보호자 단말의 카메라로 촬영한 피보호자 주변 환경에 대한 동영상 또는 사진을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를 제공한다.
또한, 피보호자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로서, 이동 경로 정보, 추천 경로 정보, 피보호자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보호자에게 전송하여 보호자가 만일의 사고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피보호자에게 전송하여 피보호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를 서버를 제공한다.
피보호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도착 예정 시각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를 제공한다.
또한, 피보호자가 목적지에 도착한 경우에, 보호자에게 도착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를 제공한다.
일정 시간이 되거나, 사용자의 요청을 받아, 서버로 초기 위치 정보 또는 현재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을 제공한다.
서버의 요청을 받아, 카메라로 주변 환경을 촬영한 동영상 또는 사진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을 제공한다.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에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백그라운드 환경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 서버에서 수행하는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 전송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단말의 초기 위치에 대한 초기 위치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초기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추천 경로에 대한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한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 따른 상기 제 1 단말의 현재 위치와 상기 추천 경로 간의 최단 거리를 기준 거리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최단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보다 큰 경우, 제 2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으로,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 전송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가 제공되며, 상기 서버는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 모듈 및 상기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단말의 초기 위치에 대한 초기 위치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초기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추천 경로에 대한 경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한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 따른 상기 제 1 단말의 현재 위치와 상기 추천 경로 간의 최단 거리를 기준 거리와 비교하며, 상기 최단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보다 큰 경우, 상기 제 2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으로, 단말에서 수행하는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 수신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단말의 목적지에 대한 목적지 정보, 제 2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제 1 단말의 초기 위치에 대한 초기 위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한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 따른 상기 제 1 단말의 현재 위치와 상기 추천 경로 간의 최단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보다 큰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경고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으로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 수신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이 제공되며, 상기 단말은 서버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 모듈 및 상기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단말의 목적지에 대한 목적지 정보, 제 2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제 1 단말의 초기 위치에 대한 초기 위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 1 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한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 따른 상기 제 1 단말의 현재 위치와 상기 추천 경로 간의 최단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보다 큰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경고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으로,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에 기록된 컴퓨터 해독 가능 기록 매체가 제공되며, 상기 컴퓨터 해독 가능 기록 매체는 제 1 단말의 초기 위치에 대한 초기 위치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초기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추천 경로에 대한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한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 따른 상기 제 1 단말의 현재 위치와 상기 추천 경로 간의 최단 거리를 기준 거리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최단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보다 큰 경우, 제 2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으로,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에 기록된 컴퓨터 해독 가능 기록 매체가 제공되며, 상기 컴퓨터 해독 가능 기록 매체는, 상기 제1 단말의 목적지에 대한 목적지 정보, 제 2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제 1 단말의 초기 위치에 대한 초기 위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한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 따른 상기 제 1 단말의 현재 위치와 상기 추천 경로 간의 최단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보다 큰 경우, 경고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해 피보호자가 어린이 등 취약 계층인 경우, 미리 입력한 일정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설정하여, 보호자는 피보호자에 대한 경로 이탈 알림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피보호자가 학생 또는 직장인 등 귀가길에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자동 동작 하도록 설정하거나, 직접 서비스를 요청하여, 보호자에게 피보호자에 대한 경로 이탈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피보호자가 추천 경로 정보에서 일정 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보호자에게 알림이 전송되므로 보호자는 피보호자의 위험 여부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고, 만일의 사태에 대비할 수 있다.
또한, 피보호자가 추천 경로 정보에서 일정 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피보호자의 카메라로 촬영된 동영상 및 사진이 전송되어, 보호자가 피보호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긴급 상황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보호자 또는 피보호자는 도착 예정 시각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보호자 또는 피보호자는 도착 알림 메시지를 통해 피보호자가 무사히 도착하였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또한, 피보호자가 다른 프로그램을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백그라운드 환경에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일반 운전자가 운전하는 경우에는 경로 안내 서비스, 도착 알림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로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된 제 1 단말의 일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된 제 1 단말의 다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된 제 2 단말의 일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된 제 2 단말의 다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단말 및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장점, 목적 및 특징들의 일부는 아래 서술되는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되며, 다른 일부는 본 발명의 실시로부터 습득될 수 있거나, 아래 기술되는 내용에 의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들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 전송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 전송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은 제 1 단말(110), 서버(120) 및 제 2 단말(130)을 포함한다.
본 시스템의 네트워크는 WCDMA, WiFi, WiBro 등 이동 통신망이거나, 이들과 통합된 인터넷망을 포함하고, 또는 이들과 통합된 유선 전화망, 사내 전용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단말(110)은 어린이, 노약자, 장애인 등 취약 계층인 피보호자가 사용하는 단말로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이 탑재되어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스마트 단말을 포함한다. 또는 학생, 직장인 등 귀가길에 피보호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단말로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이 탑재되어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스마트 단말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 1 단말(110)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자동 또는 선택적으로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제 1 단말(110)은 일정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도 있고, 피보호자의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실행할 수도 있다. 또한, 피보호자(110)의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서버(120) 또는 제 2 단말(13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로부터 현재 피보호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위치 정보는 이동 단말기에 내장된 GPS 기능으로부터 수집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단말 등의 이동 단말기의 외부에 연결된 위치정보 수집수단을 통해 수집되어 단말기로 전송되는 위치정보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는 GPS 좌표, 시간, 속도,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 1 단말(110)은 서버(120)로부터 최소 정보만을 수신하여 내장된 네비게이션 기능을 이용하여 스스로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피보호자로부터 선택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주기적으로 서버(120) 또는 제 2 단말(130)에 도착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1 단말(110)에서 수행되는 서비스는, 백그라운드에서 수행될 수 있다. 대기화면에서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수신하여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서, 동시에 경고 이탈 알림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background)에서 실행할 수 있다.
서버(120)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되거나 피보호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서비스를 작동 한다. 서버(120)는 목적지에 대한 목적지 정보, 제 2 단말의 식별 정보 등의 소정 정보를 미리 제 1 단말(110) 또는 제 2 단말(13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서버(120)는 위도, 경도, 고도 등의 GPS 위치 데이터 등의 위치 정보를 제 1 단말(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는, 제 1 단말(110)의 초기 위치, 현재 위치이며, 해당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제 1 단말(110)의 추천 경로 정보, 도착 예정 시각 정보, 제 1 단말(110)의 이동 경로 정보 등을 생성 및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소정 정보, 예를 들어, 목적지 정보 등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 1 단말(110)의 추천 경로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설정된 범위를 제 1 단말(110)이 벗어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 1 단말(110)이 상기 추천 경로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서버는(120) 제 1 단말(110) 또는 제 2 단말(130)로 알림음(또는 알림메시지)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1 단말(110)이 추천 경로 정보로부터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 1 단말(110)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또는 제 2 단말(130)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에, 제 1 단말(110)의 카메라로부터 사진 또는 동영상을 수신하여, 제 2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제 2 단말(130)은 지정된 보호자가 사용하는 단말로서, 무선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피보호자의 이동 경로 정보, 예상 도착 시각 정보, 추천 경로 정보 등의 경로 정보를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보호자가 피보호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 2 단말(130)을 통해 자동 실행 설정, 목적지 정보, 제 1 단말(110)의 식별 정보, 제 2 단말(130)의 식별 정보 등의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제 1 단말(110) 또는 서버(120)에는 서비스의 수행을 위한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서비스 실행 설정시, 필요한 정보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 저장한 정보를 제 1 단말(11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거나, 서버(120)에 저장된 정보를 전송받아서 이용할 수 있다.
제 1 단말(110) 또는 서버(120)에는 미리 보호자가 지정하는 소정의 보호자 목록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목록에 저장하는 보호자는 피보호자 또는 보호자가 직접 지정하는 부모, 집, 친구 등으로 복수인일 수 있다. 피보호자가 직접 보호자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보호자가 직접 보호자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하나의 보호자에는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130)이 맵핑된다. 이때, 제 2 단말(130)의 식별정보가 저장되는데, 제 2 단말(130)에게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 도착 알림 메시지를 전송해야 하므로, 전화번호나 IP 주소 등을 식별정보로서 저장한다. 도 4는 제 1 단말(110)에서, 보호자에 맵핑되는 제 2 단말(130)을 선택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보호자 리스트의 일예로서 "즐겨찾기"라는 제목으로 표시하되, 여기서 보호자는 엄마 또는 아빠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보호자 리스트는 독립적으로 지정할 수도 있고, 후술할 바와 같이 목적지에 맵핑하여 지정할 수도 있다. 제 1 단말(110)은 서버(130)에 저장된 보호자 리스트를 전송하여 서버(120)에 저장할 수 있으며, 필요 시 서버(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보호자에 대응하는 제 2 단말(130)의 정보는 상기 제 2 단말(130)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제 2 단말(130)을 통해 입력된 경우에도, 제 2 단말(130) 또는 상기 서버(120)에 해당 정보가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제 2 단말(130)을 통해 입력하는 경우에는, 제 1 단말(110)의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제 1 단말(110)의 식별 정보는 제 2 단말(130) 또는 서버(120)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단말(110)과의 인증 절차가 요구될 수 있다.
상기 제 1 단말(110) 또는 상기 서버(120)에는 미리 피보호자의 출발지에 대한 출발지 정보, 목적지에 대한 목적지 정보가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보호자 중 일부는 제 1 단말(110)의 입력단을 통에 출발지, 목적지를 입력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가 매일 같은 경로를 이용하는 경우, 경로의 목적지로 집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발지가 유치원인 경우에는 출발지로 유치원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출발지, 목적지 정보에는 각 주소 정보가 저장된다. 서비스 시작시, 수신한 GPS 위치 정보를 출발지로 이용할 수 있다. 복수의 출발지, 목적지 리스트를 "즐겨 찾기"라는 제목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출발지, 목적지 정보는 상기 제 2 단말(130)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제 2 단말(130)을 통해 입력된 경우에도, 제 2 단말(130) 또는 상기 서버(120)에 해당 정보가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지에는 하나 이상의 보호자 또는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130)이 맵핑될 수도 있다. 이때, 제 2 단말(130)의 식별정보가 저장되는데, 제 2 단말(130)에게 도착 알림 메시지를 전송해야 되므로, 전화번호나 IP 주소 등을 식별정보로서 저장한다. 예를 들어, 목적지는 "우리집" 또는 "회사" 가 될 수 있다. 목적지 우측에는 해당 목적지에 맵핑된 지정 단말의 개수가 표시될 수 있다. 우리집에 (2)라고 표시되어 있으면, 우리집에는 두 개의 지정 단말이 맵핑되어 저장된 것을 의미한다. 목적지 "우리집"에 관계된 단말의 식별 정보로서 "아빠" 및 "엄마" 의 전화번호 등을 저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삭제할 수 있으며, 다른 연락처를 추가할 수도 있다. 제 1 단말(110)은 상기 목적지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서버(120)에 저장된 목적지 리스트를 전송하여 서버(120)에 저장할 수 있으며, 필요 시 서버(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출발지, 목적지 정보뿐 아니라, 피보호자의 저장 경로 정보를 검색하여 획득한 경로 중 하나를 “저장 경로”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저장 경로는 제 1 단말(110)로부터 입력 받아 상기 제 1 단말(110) 또는 상기 서버(120)에 저장될 수 있다. 피보호자가 과거 이동한 경로를 추적하여, 해당 과거 이동한 경로 정보를 저장 경로 정보로 즐겨찾기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자는 아이의 등하교 버스가 이동하는 경로 등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미리 저장된 경로로, 출발지는 유치원, 목적지는 집이며, 00년 00월 00일에 이용한 경로를 저장 경로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이는, 피보호자가 등하교 버스 등을 이용하는 경우, 네비게이션에서 제공하는 최단 거리 경로, 최단 시간 경로로 이동하지 않는 경우 효과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저장 경로 정보는 상기 제 2 단말(130)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제 2 단말(130)을 통해 입력된 경우에도, 제 2 단말(130) 또는 상기 서버(120)에 해당 정보가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제 1 단말(1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제 2 단말(13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실행될 수 있다. 제 1 단말(110)을 소지한 피보호자의 상황을 원격의 제 2 단말(130)에서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고, 위기 상황에 대한 긴급 대처가 가능하다.
어린이 등 취약 계층의 피보호자가 이용하는 경우에는, 설정한 시간이 되면 자동적으로 단말(110)의 GPS위치 추적 기능을 이용해 제 2 단말(130)로 피보호자의 위치 정보, 이동 경로 정보 또는 추천 경로 정보 등의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제 1 단말(110) 및 제 2 단말(130)에 탑재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여 긴급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어린이가 아닌 청소년 또는 직장인 등이 귀가길에 서비스를 이용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선택적으로, GPS위치 추적 기능을 이용해 제 1 단말(110) 또는 제 2 단말(130)로 피보호자의 위치 정보 및, 이동 경로 정보, 추천 경로 정보 등의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 1 단말(110) 또는 제 2 단말(130)에 탑재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여 긴급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 전송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서비스가 미리 설정한 일정 시각이 되면 동작하는 경우이다. 아동, 장애인 등 취약계층의 경우 스스로 경로 이탈 알림 서비스를 조작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많으므로, 상기와 같이 일정 시각이 되면 동작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수행하는데 있어, 적어도 제 1 단말(110)에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되어 있음이 전제된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앞서, 도 2의 실시예에서, 보호자가 제 1 단말(110)에 자동 시작을 위하여 미리 동작 시간, 목적지, 특정 저장 경로 정보 및 제 2 단말(130)의 식별 정보를 입력하여 제 1 단말(110) 또는 서버(120)에 저장되었음이 전제된다. 한편, 특정 시작 시간의 GPS 위치 정보를 출발지로 이용 할 수 있다. 이용하고자 하는 출발지를 직접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목적지 또는 특정 저장 경로 정보는 즐겨찾기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혹은, 피보호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직접 입력 받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호자 또는 피보호자는 제 1 단말(110)의 입력단을 통해 미리 정해진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서비스 제공을 수행하도록 자동 실행을 설정할 수 있다. 자동 실행을 위해 필요한 동작 시간 정보, 출발지, 목적지 정보, 보호자 정보 등과 같은 정보를 제 1 단말(110) 또는 서버(120)에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각 정보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즐겨찾기 리스트를 이용할 수도 있고, 이용하고자 하는 시점에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제 1 단말(110) 또는 서버(120)에는 미리 서비스의 동작 시간이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상기 동작 시간은 피보호자로부터 제 1 단말(110)의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받아 저장한다. 도 3은 미리 제 1 단말(110)에 서비스의 자동 동작 시간을 입력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아이가 매일 같은 경로를 이용하는 경우, 아이가 귀가하는 시간대인 일정 시간에 매일 서비스 동작을 시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아이가 특정 경로를 이용하는 경우, 미리 특정 일자, 특정 시각에 서비스가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동일 화면 또는 다른 화면을 통해 상기와 같이 미리 저장된 동작 시간에 알림 메시지 등을 전송할 제 2 단말(130) 정보, 목적지 정보(또는 저장 경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출발지 정보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자동 수행 설정을 한 경우, 단말(110)은 해당 시간이 되면 어플리케이션을 턴온 시키고, GPS 위치 정보를 서버(120)로 송신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자동 수행 시 입력한 보호자 단말인 제 2 단말(120)의 식별 정보, 목적지 정보를 서버에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식별 정보, 목적지 정보가 서버(12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위치 정보만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자동 수행 설정을 한 경우, 서버(120)가 제 2 단말(130)의 식별정보, 목적지 정보를 저장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GPS 위치 정보, 식별 정보,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여, 위치 정보와 관련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120)는 전송받은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제 2 단말(130)로 소정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120)가 제 2 단말(130)의 식별정보, 목적지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는 경우에는, GPS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미리 저장하고 있는 목적지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와 관련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미리 저장하고 있는 제 2 단말(130)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제 2 단말(130)로 소정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피보호자인 제 1 단말(110)의 사용자가 어린이 등 취약 계층인 경우에, 자동 실행 설정을 통해 해당 서비스를 자동으로 턴온(TURN-ON)하여 피보호자가 별도의 입력 절차를 실행하지 않아도 부모 등 보호자에게 피보호자의 안전 여부를 알릴 수 있다.
또한, 제 2 단말(130)의 입력단을 통해 보호자 또는 피보호자는 미리 정해진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서비스 제공을 수행하도록 자동 실행을 설정할 수 있다. 제 2 단말(130)의 입력단을 통해 미리 자동 실행을 설정하는 경우에는, 제 2 단말과 제 1 단말의 연동 절차로서 미리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자동 실행을 위해 필요한 동작 시간 정보, 출발지, 목적지 정보, 보호자 정보, 경로 정보로서 저장 경로 정보 등을 제 2 단말(130) 또는 서버(120)에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미리 정해진 소정의 시간이 되면 제 2 단말(130)은 서버(120)로 서비스 수행을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서버는 일정 시간이 되면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 수행을 요청 받아 서비스를 수행하거나, 서버에서 일정 시간이 되면 서비스를 수행하는 경우, 서버(120)는 제 1 단말(110)로 초기 위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각 입력 절차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 2 단말(130)의 입력단을 통하여 정보 입력 및 자동 실행 설정, 서비스 수행 요청 등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 2 단말(130)은 제 1 단말(110)의 입력부를 통해 정보 등의 입력을 하지 않아도, 제 1 단말(110)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피보호자의 일정이 기존에 입력한 시각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보호자는 보다 편리하게 경로 이탈 알림 서비스와 관련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보호자는 피보호자의 갑작스런 스케줄 변화에 대처할 수 있다. 다만 개인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것이므로, 인증 절차가 요구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S212에서, 미리 저장한 시간이 되면, 제 1 단말(110)은 어플리케이션을 턴온 시키고,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시작한다. 이 경우, 제 1 단말(110)에서는 상기 서비스가 시작되었음을 나타내는 표시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자가 아이의 하교 시간인 월요일 내지 금요일, 오후 3시로 서비스 시간을 설정해 둔 경우, 월요일 내지 금요일 오후 3시가 되면 상기 서비스를 턴온(turn-on)시킨다. “아이 지킴이 서비스가 시작되었습니다”라는 문자 및 음성의 형태로 서비스의 시작을 알린다.
단계 S214에서, 해당 시간에 서버(120)는 제 1 단말(110)의 GPS 위치 정보로서 초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반대로, 해당 시간에 제 1 단말(110)은 GPS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송하는 GPS 위치 정보는 제 1 단말(110)의 초기 위치 정보이다. 초기 위치 정보를 전송한 후 주기적으로 제 1 단말(110)의 해당 시각의 위치 정보인 현재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목적지 정보, 제 2 단말(130)의 식별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서버(12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제 2 단말(130)의 식별 정보, 목적지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반대로, 해당 시간에 제 1 단말(110)은 목적지 정보, 제 2 단말(130)의 식별 정보 등 필요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216에서, 상기 서버(120)는 초기 위치 정보를 수신한 후, 제 1 단말(110)의 위치 정보와 관련된 절차를 수행한다. 또한 계속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한 후, 제 1 단말(110)의 위치 정보와 관련된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절차를 통해, GPS 위치 정보, 미리 설정한 목적지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목적지 정보에 기반하여 제 1 단말(또는 피보호자)의 추천 경로 정보를 생성한다. 제 1 단말(110)의 GPS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초기 위치로부터 위치 정보 수신 시각의 위치까지의 이동 경로 정보를 생성한다. 현재 위치 정보와 추천 경로 정보에 기반하여 도착 예정 시각을 생성한다. 추천 경로 정보는, 최단 거리 경로, 최단 시간 경로 또는 미리 설정한 이동 경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1 단말(110)의 현재 위치, 속도, 시간 방향 등을 포함하는 현재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와 관련된 절차를 통해, 추천 경로 정보로부터 일정한 범위를 설정한다.
상기 일정한 범위는 추천 경로로부터의 기준 거리를 설정한 커버리지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준 거리는 최단 거리 경로, 최단 시간 경로, 또는 미리 설정한 특정 경로로부터 1km, 2km 거리로 설정한 커버리지 일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상기 일정한 범위는 추천 경로 정보를 중심으로 일정 반경 내의 범위로 설정한 커버리지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최단 거리 경로, 최단 시간 경로, 또는 미리 설정한 특정 경로 각각의 각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각 경로를 따라 1km, 2km 등의 반경으로 설정한 커버리지일 수 있다.
단계 S218에서, 단계 S216에서 생성한 추천 경로 정보, 이동 경로 정보 등 상기 정보들을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제 1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정보들을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제 2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단말(110)은 도 5와 같이 지도 형식으로 상기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고, 예상 도착 시각, 소요 시간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 제 2 단말(130)도 마찬가지로 도 5와 같이 지도 형식으로 상기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고, 예상 도착 시각, 소요 시간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제 1 단말(110) 또는 제 2 단말(130)에서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단말에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수신한 피보호자의 위치, 예상 도착 시각, 피보호자의 이동 경로 정보, 추천 경로 정보 등을 표시한다. 피보호자의 이동 경로 정보를 점선으로 표시하고, 피보호자의 추천 경로 정보를 실선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 1 단말(110) 또는 제 2 단말(130)은 제 1 단말(110)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사용자 이름, ID, 전화 번호)를 함께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2 단말(130)에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정보를 전송하여야 하므로, 상기 제 2 단말(130)은 어플리케이션을 작동 시키지 않고, 상기 정보를 해당 내용을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로 전송 받을 수도 있다. 한편, 추천 경로 정보를 수신한 제 1 단말(110)은 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서버(120)로 현재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 따라서 제 2 단말(130)은 제 1 단말(110)의 실시간 위치 변화에 따른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제 1 단말(110)에 긴급한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재빠르게 상황을 파악하여 대처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 1 단말(110)의 사용자인 피보호자도 자신의 위치 및 상태에 대한 파악을 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서버(120)는, 상기 추천 경로 정보 및 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수신한 현재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제 1 단말(110)이 소정 범위를 이탈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서버(120)는 실시간으로, 제 1 단말(110)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추천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단말(110)(또는 피보호자)이 소정 범위를 이탈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재 위치 정보와 제 1 단말(110)의 현재 위치 정보와 추천 경로 간의 최단 거리를 기준 거리와 비교한다. 상기 최단 거리와 기준 거리를 비교하여, 최단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보다 큰 경우, 소정 범위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는, 현재 위치 정보와 추천 경로 정보를 비교하여 피보호자가 일정 반경 내에 있는 경우에는, 피보호자가 소정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현재 위치 정보와 추천 경로 정보를 비교하여 피보호자가 일정 반경 밖으로 벗어난 경우에는, 피보호자가 소정 범위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한다.
단계 S222 및 단계 S223에서, 소정 범위를 이탈하는지 판단한 결과에 기반하여 제 1 단말(110) 및 제 2 단말(130)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단계 S222에서, 현재 위치 정보와 소정 범위를 비교하여, 피보호자가 추천 경로로부터 소정 범위 밖에 있는 경우, 피보호자가 소정 범위 내에 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전송하는 메시지는 메시지이다. 상기 경고 메시지의 전송은 상기 단계 S216 및 후술한 단계 S224와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천 경로와 현재 위치 간의 최단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큰 경우, 또는 제 1 단말(110)의 현재 위치가 추천 경로로부터 미리 설정한 반경을 벗어난 경우, “추천 경로로부터 소정 범위를 벗어 났습니다.” 와 같은 경고 메시지를 상기 현재 정보, 추천 경로 정보 등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고 메시지는 경고 알림음을 울릴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경고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 2 단말(130)은 상기 경고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고, 경고 알림음을 울릴 수 있다. 제 1 단말(110)역시 상기 경고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고, 경고 알림음을 울릴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버(120)는 보호자, 피보호자의 요청이 있거나, 미리 설정한 경우, 안전 기관에 위험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223에서, 현재 위치 정보와 소정 범위를 비교하여, 피보호자가 추천 경로로부터 소정 범위 내에 있는 경우, 피보호자가 소정 범위 내에 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전송하는 메시지는 안심 메시지이다. 상기 안심 메시지 전송은 단계 S216과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천 경로와 현재 위치 간의 최단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작은 경우, 또는 제 1 단말(110)의 현재 위치가 추천 경로로부터 미리 설정한 반경을 내에 있는 경우, “추천 경로를 지나고 있습니다”와 같은 메시지를 상기 현재 위치 정보, 추천 경로 정보 등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안심 메시지는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제 2 단말(130)로부터 안심 메시지 요청이 있는 경우에도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단계 S222, S223을 통해, 제 1 단말(110) 또는 제 2 단말(130)의 사용자는 피보호자의 안전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피보호자의 위험을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으므로, 긴급 구조 요청 등을 통해 만일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단계 S224는, 서버(120)가 제 1 단말(110)이 상기 소정 범위를 이탈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진행된다. 서버(120)는 제 1 단말(110)이 촬영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요청하고, 상기 사진 또는 상기 동영상을 제 1 단말(110)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단계 S222에서 서버(120)로부터 경고 메시지를 수신한 제 1 단말(110)은 제 1 단말(110)에 결합한 카메라를 구동시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사진을 촬영할 것인지, 동영상을 촬영할 것인지 여부는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사진을 주기적으로 촬영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해당 주기는 미리 설정되거나, 초기 설정값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동영상은 실시간으로 촬영할 수 있다. 촬영한 사진 및 동영상은 해당 제 1 단말(110) 또는 서버(120)에 저장될 수 있다. 사진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특정 순간을 캡쳐(capture)한 자료이다. 단계 S224는, 단계 S222와 함께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226에서, 서버(120)는 상기 단계 S224에서 수신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제 2 단말(130)로 전송한다.
단계 S224에서 제 1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사진을 일정 주기로 제 2 단말(13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 1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동영상을 실시간 스트리밍 형식으로 제 2 단말(13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110)이 소정 범위를 이탈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제 1 단말(110)에 구비된 카메라가 촬영한 주변 환경, 피보호자의 모습 등의 사진을 제 2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따. 또한, 제 1 단말(110)에 탑재된 카메라가 구동되어 촬영한, 주변 환경의 이동 모습, 피보호자의 움직임 등이 찍힌 동영상을 수신하여 제 2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보호자는 제 2 단말(130)을 통해, 수신한 사진 또는 동영상을 확인하여, 피보호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 2 단말(130)에서 수신한 사진 또는 동영상은 도 6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진 또는 동영상은 제 2 단말(130)에서 지도화면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보호자는 피보호자의 위치를 지도 화면을 통해 확인하는 동시에, 피보호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226은 소정 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경우라도, 보호자의 요청이 있어 서버(120)에서 제 2 단말(130)로부터 사진 또는 동영상 요청을 수신한 경우에도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단말(130)로부터 조회 요청이 있거나, 제 1 단말(110) 소정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상기 제 1 단말(110)의 카메라를 구동시킬 것을 요청하기 위해, SMS(Short Message), LMS(Long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와 같은 문자 메시지 또는 USSD(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제 1 단말(110)은 상기와 같은 문자 메시지 또는 USSD 메시지에 포함된 부호, 문자, 기호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카메라 구동 명령을 위한 문자를 인식한다. 이 경우, 단말에 탑재된 카메라를 구동할 수 있다.
단계 S228 및 단계 S230 에서, 상기 제 1 단말(110)(또는 피보호자)이 목적지에 도착했다고 판단하는 경우, 서버(120)는 상기 제 2 단말(130)에 피보호자가 무사히 도착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와 함께 상기 서비스를 종료할 것인지 여부를 알리는 도착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단말(110)의 현재 위치 정보가 목적지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 2 단말(130)로 상기 제 1 단말(110)의 사용자가 무사히 도착하였음을 알리는 도착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 1 단말(110)의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현재 위치가 목적지의 일정 범위 이내에 있는 경우에, 상기 제 2 단말(130)에 “OOO가 집에 도착하였습니다”라는 내용을 표시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서비스를 종료하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232에서, 보호자가 서비스 종료를 수락하는 경우에, 상기 제 1 단말(110)의 서비스를 종료한다. 제 2 단말(130)에 대한 서비스가 동일한 어플을 실행하여 수행되는 경우, 제 2 단말(130)의 서비스를 종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계들을 수행하는 동시에 서버(120)는 추천 경로에 대한 도착 예정 시각 정보 등이 포함된 도착 시간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추천 경로가 미리 설정한 저장 경로인 경우, 해당 경로에 대한 도착 예정 시각 정보 등이 포함된 도착 시간 알림 메시지를 제 2 단말(130)에 전송한다. 또한, 제 1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보호자는 피보호자(또는 제 1 단말)의 도착 예정 시각을 자동으로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단말(110)의 사용자도 도착 예정 시각을 자동으로 인지할 수 있다.
상기 도착 시간 알림 메시지를 전송 후, 서버(120)는 도착 예정 시각을 기준으로 소정 시간 전, 상기 제 1 단말(110)의 현재 위치로부터 특정 목적지까지 소요 시간을 계산한다. 소요 시간 계산 결과, 도착 예정 시각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서버(120)는 제 2 단말(130)에 도착 시간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소요 시간 계산 결과, 도착 예상 시각을 초과하는 경우, 서버(120)는 현재 위치로부터 특정 목적지까지 도착 예상 시각이 포함된 도착 시간 알림 메시지를 제 2 단말(130)에게 전송한다.
상기 도 2에 관한 실시예를 통해 피보호자가 아동 또는 노인 등으로 취약계층인 경우에, 미리 설정한 시간에 서비스가 동작하도록 하여, 보호자로서는 피보호자의 위치, 도착 예정 시각, 이동 경로를 파악할 수 있고 안전 여부를 즉각적으로 알수 있다. 피보호자가 추천 경로의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위험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주변 환경이 찍힌 동영상 또는 사진을 전송하여, 피보호자의 안전 여부를 확인하고 만일의 위험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 또한 피보호자로서는, 스스로의 안전 여부를 파악할 수 있으며, 동시에 목적지까지의 경로 안내 서비스, 도착 예정 시각 알림 서비스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 전송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서비스가 자동으로 동작하지 않고, 피보호자의 요청을 받아 수행되는 경우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S312에서, 피보호자가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제 1 단말(110)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제 1 단말(110)에 상기 서비스가 턴온 되었음을 나타내는 표시를 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가 시작되었습니다” 라는 문자 및 음성의 형태로 서비스의 시작을 알린다.
단계 S314에서, 피보호자가 자동 시작 설정을 하지 않은 경우에, 피보호자의 요청에 따라 서버(120)는 제 1 단말(120)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 받는 창을 형성할 것을 요청한다. 또는 제 1 단말(110)은 필요한 정보를 입력 받는 창을 형성한다. 피보호자는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입력한다. 필요한 정보는 즐겨찾기에 저장된 보호자 보호자 정보, 출발지 정보, 목적지 정보, 저장 경로 정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저장되지 않은 정보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피보호자가 직접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보호자 단말(110)의 사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시점에 직접 어플리케이션을 턴온 시킬 수 있다. 위치에 관한 정보를 보내고자 하는 보호자를 미리 저장한 즐겨찾기에서 입력 장치를 통해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직접 이용하고 하는 시점에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착하고자 하는 목적지 정보를 즐겨찾기에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이용하고자 하는 시점에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목적지 정보를 선택하는 대신 과거에 이동한 경로를 저장한 “저장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한 “저장 경로”를 추천 경로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저장 경로의 이용은, 사용자가 매일 고정된 경로를 이용하는 경우로서, 예를 들어, 동일한 버스를 이용하는 경우, 등과 같이 최단 거리 경로, 또는 최단 시간 경로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 효과적이다.
또한 자동으로 서비스 제공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도, 보호자는 제 2 단말(130)을 입력단을 통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시점에 출발지, 목적지 정보, 보호자 정보, 피보호자 정보, 경로 정보로서 저장 경로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다만, 미리 서버(120)에 목적지 정보, 제 2 단말의 식별 정보, 또는 특정 저장 경로를 저장한 경우에는 서비스의 수행만 요청할 수도 있다.
상기 입력이 완료되는 경우, 또는 서버(12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로서 서비스 수행 요청이 있는 경우, 피보호자 단말(110)은 GPS 위치 정보와 함께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서버(120)로 전송한다. 서버(120)에 기 설정된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피보호자 단말(110)은 GPS 위치 정보만 전송한다. 이 경우, GPS 위치 정보는 제 1 단말(110)의 초기 위치에 대한 초기 위치 정보이다. 상기 초기 위치 정보를 전송한 피보호자 단말(110)은 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제 1 단말(110)의 현재 위치 정보에 대한 현재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정보를 수신한 서버(120)는 위치 안내를 시작한다.
단계 S316에서, 상기 입력된 정보를 수신한 서버(120)는 선택된 보호자에 대응하는 제 2 단말(130)의 서비스를 턴온 시키고,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다. 한편 제 2 단말(130)은 예를 들어, “OOO의 경로 이탈 알림 서비스를 시작합니다.”라는 문자 또는 음성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OOO는 피보호자의 이름 또는 휴대 전화 번호로 표시될 수 있다. 제 2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는 해당 단계는 생략되거나, 간단한 메시지 형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318에서, 상기 서버(120)는 상기 정보를 수신한 후, 제 1 단말(110)의 위치 정보와 관련된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절차를 통해, GPS 위치 정보 및 상기 미리 설정한 출발지, 목적지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목적지 정보에 기반하여 제 1 단말(또는 피보호자)의 추천 경로 정보를 생성한다. 제 1 단말(110)의 GPS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위치 정보 수신 시각까지의 이동 경로 정보를 생성한다. 현재 위치 정보와 추천 경로 정보에 기반하여 도착 예정 시각을 생성한다. 추천 경로 정보는, 최단 거리 경로, 최단 시간 경로 또는 미리 설정한 저장 경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1 단말(110)의 현재 위치, 속도, 시간 방향 등을 포함하는 현재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와 관련된 절차를 통해, 추천 경로 정보로부터 일정한 범위를 설정한다.
상기 일정한 범위는 추천 경로로부터 기준 거리를 설정한 커버리지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준 거리는 최단 거리 경로, 최단 시간 경로, 또는 미리 설정한 특정 경로로부터 1km, 2km 등의 거리로 설정한 커버리지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정한 범위는 추천 경로 정보를 중심으로 일정 반경 내의 범위로 설정한 커버리지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최단 거리 경로, 최단 시간 경로, 또는 미리 설정한 특정 경로 각각의 각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각 경로를 따라 1km, 2km 등의 반경으로 설정한 커버리지일 수 있다.
단계 S318에서, 상기 위치 정보와 관련된 절차를 수행하여 생성한 각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제 1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 2 단말(13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정보를 수신한 제 1 단말(110)은 도 5와 같이 지도 형식으로 상기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고, 예상 도착 시각, 소요 시간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 제 2 단말(130)도 마찬가지로 도 5와 같이 지도 형식으로 상기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고, 예상 도착 시각, 소요 시간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 도 5는 상기 제 1 단말(110)에서 수신한 정보를 단말에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수신한 피보호자의 위치, 예상 도착 시각, 피보호자의 이동 경로 정보, 추천 경로 정보 등을 표시한다. 피보호자의 이동 경로 정보를 점선으로 표시하고, 피보호자의 추천 경로 정보를 실선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단말(130) 및 제 1 단말(110)은 제 1 단말(110)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사용자 이름, ID, 전화 번호)를 함께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2 단말(130)은 어플리케이션을 작동 시키지 않고, 상기 정보를 문자 메시지로 전송 받을 수도 있다. 상기 제 2 단말(130)에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문자 메시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S320 내지 단계 S332 는 상기 도 2에 관한 설명인 단계 S218 내지 단계 S230의 절차를 반복한다.
단계 S334에서, 보호자가 서비스 종료를 수락하거나, 프로그램을 종료시키는 경우에, 서버(120)은 제 1 단말(110) 및 제 2 단말(130)의 서비스를 종료한다. 한편 목적지 도착 전이라도 피보호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서비스를 종료할 수 있다.
상기 도 7에 관한 설명을 통해, 피보호자가 직장인 또는 학생 등인 경우에, 피보호자는 원하는 경우에, 자신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원하는 보호자에게 전송하여, 보호자에게 안전 여부를 즉각적으로 알릴 수 있다. 보호자로서는 피보호자의 위치, 도착 예정 시각, 이동 경로를 파악할 수 있고 안전 여부를 즉각적으로 알수 있다. 피보호자가 추천 경로의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위험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주변 환경이 찍힌 동영상 또는 사진을 전송하여, 피보호자의 안전 여부를 확인하고 만일의 위험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 또한 피보호자로서는, 스스로의 안전 여부를 파악할 수 있으며, 동시에 목적지까지의 경로 안내 서비스, 도착 예정 시각 알림 서비스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제 2 단말(130)에서 서비스 수행 요청을 하는 경우 또는 제 2 단말(130)에서 자동 실행을 설정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아동 등 취약 계층인 피보호자가 직접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고정 스케줄을 이용하는 취약 계층이라도, 피보호자의 스케줄이 급작스럽게 변동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단말(130)에서의 서비스 수행 요청 또는 자동 실행 설정이 허용되므로 제 2 단말(130)의 사용자인 보호자는 피보호자의 스케줄 변동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급작스러운 스케줄 변화가 있더라도, 피보호자의 위치 정보 및 안전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피보호자가 학생 또는 직장인 등은 직접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만일의 상황에 대비하여 보호자가 서비스 수행 요청을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보호자로서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제 2 단말(130)에서 자동 실행을 설정한 경우, 미리 저장한 시간이 되면, 제 2 단말(110)은 어플리케이션을 턴온 시키고, 서버(110)로 서비스 수행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10)는 제 1 단말(110)로 초기 위치 정보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제 1 단말(110)로부터 초기 위치 정보를 전송받은 서버(120)는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제 2 단말(130)로부터 전송받은 목적지 정보, 또는 특정 저장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추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후속 하는 단계는 도 2에 관한 설명에서 본 바와 같다. 한편 보호자가 해당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해, 목적지 정보 또는 특정 저장 경로 정보, 제 2 단말(130)을 통해 제 1 단말(110)의 식별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제 2 단말(130)에서 상기 정보를 전송하고, 서버(120)로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마찬가지로, 서버(120)는 상기 제 1 단말(110)로 초기 위치 정보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제 1 단말(110)로부터 초기 위치 정보를 전송받은 서버(120)는 상기 제 2 단말(130)로부터 전송받은 목적지 정보, 또는 특정 저장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추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후속하는 단계는 도 2에 관한 설명에서 본 바와 같다. 상기 설명과 같이 제 2 단말(130)을 통해 입력이 가능하여, 보호자로서는 원하는 시각에 자녀 등 피보호자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피보호자의 안전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도 2 및 도 7에 관한 설명에서 예시된 실시예는 백그라운드 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되는 경우에,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인 제 1 어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경우,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멀티태스킹 하여, 제 1 단말(110)과 서버(120)간에 위치 정보의 교환이 제공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제 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대기화면 등의 진입을 통해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먼저 실행중인 제 1 어플리케이션은 백그라운드(Background) 실행한 후에 제 2 어플리케이션을 포어그라운드(foreground) 실행한다. 한편, 제 1 단말(110)은 제 1 어플리케이션이 계속 실행 중임을 알리기 위해, 화면 상단 등에 제 1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할 수 있다. 추가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더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수행하는 제 1 어플리케이션은 백그라운드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피보호자가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동안에도, 제 1 어플리케이션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120)는 피보호자 단말(110)에서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상관 없이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위치 정보, 사진 정보 또는 동영상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피보호자 단말(110)과 교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중에 대기화면 또는 상단 바 등을 통하여 제 2 어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 실행 중임을 파악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바이스 및 서버를 예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바이스(810)는 프로세서(812)와 메모리(814)와 송수신 모듈(816)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서버(820)는 프로세서(822)와 메모리(824)와 송수신 모듈(826)을 포함한다.
메모리들(814, 824)은 프로세서(812)와 연결되고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들뿐만 아니라 프로세서(812, 822)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812, 822)은 메모리들(814, 824) 및 송수신 모듈들(816, 826)과 연결되고 이들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들(812, 822)은 각각 메모리들(814, 824)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방법들을 실행한다. 그리고 프로세서들(812, 822)은 송수신 모듈들(816, 826)을 통해 전술한 신호들을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전술된 실시예들 및 변형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명령어 및/또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은 스크립트(script), 배치(batch), 또는 다른 실행가능한 파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은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기계 판독가능한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저장 매체들은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광학 디스크, DVD, CD-ROM, 마이크로드라이브, 광자기 디스크(magneto-optical disk)를 포함하는 임의의 유형의 디스크, ROM, RAM, EPROM, EEPROM, DRAM, VRAM, 플래쉬 메모리 디바이스, 자기적 또는 광학적 카드, 나노시스템(nanosystem)(분자 메모리 IC를 포함), 또는 명령어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적합한 임의의 유형의 매체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웨어나 하드웨어 모듈들을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저장 디바이스는 또한 반도체 기반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영구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또는 원격으로 마이크로 프로세서/메모리 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듈들은 모듈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 컴퓨터 시스템 메모리 내에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새롭고 다양한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가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모듈들을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기능들을 모듈들로 분리하는 것이 예시를 위한 목적이라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대체가능한 실시예들은 다중 모듈들의 기능들을 단일 모듈로 병합할 수 있고, 또는 모듈들의 기능들을 대체가능하게 성분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모듈들을 호출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모듈들은 각-서브 모듈이 그것의 기능을 수행하고 제어를 직접적으로 다른 서브-모듈로 넘겨주도록 성분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이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경우, 프로세서(예를 들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서버 또는 컴퓨터가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코드들 또는 명령어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 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34)

  1. 서버가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단말의 초기 위치에 대한 초기 위치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추천 경로에 대한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한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추천 경로에 대한 경로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 또는 제 2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 따른 상기 제 1 단말의 현재 위치와 상기 추천 경로 간의 최단 거리를 기준 거리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최단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보다 큰 경우, 상기 제 2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말의 초기 위치에 대한 초기 위치 정보는 상기 제 1 단말에서 소정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 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의 목적지에 대한 목적지 정보 및 상기 제 2 단말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 1 단말 또는 상기 제 2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 전송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경로에 기반하여 산출된 상기 제 1 단말의 상기 목적지까지의 도착 예정 시각 정보를 상기 제 2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 전송 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메시지를 상기 제 1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 전송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단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2 단말로 안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안심 메시지는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 전송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단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보다 큰 경우, 상기 제 1 단말로 사진 정보 또는 동영상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사진 정보 및 상기 동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진 정보 및 상기 동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 2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 전송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 정보 및 상기 동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 전송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 정보와 상기 현재 위치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 2 단말로 도착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 전송 방법.
  10.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로서,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 모듈; 및
    상기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단말의 초기 위치에 대한 초기 위치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초기 위치 정보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추천 경로에 대한 경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추천 경로에 대한 경로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 또는 상기 제 2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한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 따른 상기 제 1 단말의 현재 위치와 상기 추천 경로 간의 최단 거리를 기준 거리와 비교하고, 상기 최단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보다 큰 경우, 상기 제 2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단말의 초기 위치에 대한 초기 위치 정보는 상기 제 1 단말에서 소정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단말의 목적지에 대한 목적지 정보 및 상기 제 2 단말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 1 단말 또는 상기 제 2 단말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서버.
  12. 삭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추천 경로에 기반하여 산출된 상기 제 1 단말의 상기 목적지까지의 도착 예정 시각 정보를 상기 제 2 단말로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 모듈을 제어하는,
    서버.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경고 메시지를 상기 제 1 단말로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 모듈을 제어하는,
    서버.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최단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2 단말로 안심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안심 메시지는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최단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보다 큰 경우, 상기 제 1 단말로 사진 정보 또는 동영상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사진 정보 및 상기 동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며, 상기 사진 정보 및 동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 2 단말로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 모듈을 제어하는,
    서버.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 정보 및 상기 동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목적지 정보와 상기 현재 위치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 2 단말로 도착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 모듈을 제어하는,
    서버.
  19. 제 1 단말이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 시간이 되면 제 1 단말의 초기 위치에 대한 초기 위치 정보를 자동으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한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 따른 상기 제 1 단말의 현재 위치와 추천 경로 간의 최단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큰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경고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최단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보다 큰 경우, 상기 서버로 사진 정보 및 동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추천 경로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초기 위치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통해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 수신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의 입력단을 통해 상기 제 1 단말의 목적지에 대한 목적지 정보, 제 2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목적지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 수신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의 입력단을 통해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시점에, 상기 초기 위치 정보가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 수신 방법.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추천 경로에 대한 경로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 수신 방법.
  23. 삭제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 정보 및 상기 동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 수신 방법.
  25.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위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경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경고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 1 단말의 백그라운드(background)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 수신 방법.
  26.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제 1 단말로서,
    서버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 모듈; 및
    상기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소정 시간이 되면 제 1 단말의 초기 위치에 대한 초기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로 자동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 1 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한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 따른 상기 제 1 단말의 현재 위치와 추천 경로 간의 최단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큰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경고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추천 경로에 대한 경로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최단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보다 큰 경우, 상기 서버로 사진 정보 및 동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추천 경로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초기 위치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통해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7. 제 26 항에 있어서,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단말의 입력단을 통해 상기 제 1 단말의 목적지에 대한 목적지 정보, 제 2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목적지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 모듈을 제어하는,
    단말.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초기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의 입력단을 통해 획득하고,
    상기 단계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시점에, 상기 초기 위치 정보가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초기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추천 경로에 대한 경로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0. 삭제
  31.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 정보 및 상기 동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2.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위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경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경고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 1 단말의 백그라운드(background)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3.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해독 가능 기록 매체로서,
    제 1 단말의 초기 위치에 대한 초기 위치 정보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초기 위치 정보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추천 경로에 대한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추천 경로에 대한 경로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 또는 제 2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한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 따른 상기 제 1 단말의 현재 위치와 상기 추천 경로 간의 최단 거리를 기준 거리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최단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보다 큰 경우, 상기 제 2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제 1 단말의 초기 위치에 대한 초기 위치 정보는 상기 제 1 단말에서 소정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해독 가능 기록 매체.
  34.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해독 가능 기록 매체로서,
    소정 시간이 되면 제 1 단말의 초기 위치에 대한 초기 위치 정보를 서버로 자동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한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 따른 상기 제 1 단말의 현재 위치와 추천 경로 간의 최단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큰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경고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최단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보다 큰 경우, 상기 서버로 사진 정보 및 동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추천 경로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초기 위치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통해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해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130124324A 2013-10-18 2013-10-18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KR101607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324A KR101607223B1 (ko) 2013-10-18 2013-10-18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324A KR101607223B1 (ko) 2013-10-18 2013-10-18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091A KR20150045091A (ko) 2015-04-28
KR101607223B1 true KR101607223B1 (ko) 2016-04-11

Family

ID=53037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4324A KR101607223B1 (ko) 2013-10-18 2013-10-18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2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92395B (zh) * 2016-03-15 2019-09-2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导航方法及装置、终端、服务器、系统
CN109697906B (zh) * 2017-10-20 2020-12-04 深圳市鹰硕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互联网教学平台的跟随教学方法
KR102257438B1 (ko) * 2019-11-12 2021-05-27 송봉규 러닝용 주행경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11127281B1 (en) * 2020-03-19 2021-09-21 Roald Mathias Hesse Security method and application software
KR102547152B1 (ko) * 2021-01-29 2023-06-26 목포대학교 산학협력단 Gps 위치기반 안전경로 길안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091A (ko) 2015-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8410B2 (en) Pickup and drop off zones for autonomous vehicles
CN110462341B (zh) 用于交通工具导航辅助的移动应用接口装置
US8115625B2 (en) Parental alert and child tracking device which determines if a child has deviated from a predicated travel route
US11417209B2 (en)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displaying trip strategy based on public transportation
US88861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mobile device to provide emergency notification
KR101607223B1 (ko)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WO2017181905A1 (zh) 路况预警方法、设备、服务器、控制设备及操作系统
US853292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vailable providers
US90576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hicle tracking
US20160343249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processing traffic data
KR101814601B1 (ko) 택시 안전 귀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10539424B2 (en) Navigating an indoor transit system using a mobile device
JP6305650B2 (ja) 自動運転装置及び自動運転方法
CN111736584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程序
US9747780B2 (en) Method and system of a vehicle for sending an emergency call signal
JP2016173348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
JP2013185859A (ja)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
US20190274009A1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device and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JP2013135388A (ja) 通信システム、サーバ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2004117027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1698521B1 (ko) 운전불가시간(curfew) 위반 알림 장치 및 방법
JP2014020895A (ja) 道路標識情報通知装置および道路標識情報通知方法
JP2019204301A (ja) 監視システム
KR101069481B1 (ko) 위치와 시간을 기반으로 하는 이동일정 관리 시스템 및 그방법
KR101602339B1 (ko)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다중 위치 정보 및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