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7007B1 - 소재 절단설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소재 절단설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7007B1
KR101607007B1 KR1020140111077A KR20140111077A KR101607007B1 KR 101607007 B1 KR101607007 B1 KR 101607007B1 KR 1020140111077 A KR1020140111077 A KR 1020140111077A KR 20140111077 A KR20140111077 A KR 20140111077A KR 101607007 B1 KR101607007 B1 KR 101607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moving
grinder
unit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1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4431A (ko
Inventor
나두현
서정모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1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007B1/ko
Publication of KR20160024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4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6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u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소재 절단설 제거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소재 절단설 제거장치는: 소재에 형성된 절단설을 감지하는 소재감지부와, 소재감지부에서 감지된 절단설을 소재로부터 제거하는 그라인더부와, 그라인더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그라인더부가 소재의 표면과 접하여 이동되면서 절단설을 제거하도록 소재감지부에서 감지된 절단설의 형상과 위치에 따라 이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재 절단설 제거장치{CUTTING CHIP REMOVAL APPARATUS OF MATERIAL}
본 발명은 소재 절단설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재 절단설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재의 절단부에 형성된 절단설을 자동으로 제거하기 위한 소재 절단설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재 절단설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강제조는 용선을 생산하는 제선공정, 용선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강공정, 액체상태의 철이 고체가 되는 연주공정, 철을 강판이나 선재로 만드는 압연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압연 공정은 연주 공정에서 생산된 슬래브, 블룸 등의 중간 소재를 회전하는 여러 개의 롤러 사이를 통과시켜 연속적인 힘을 가하여 늘리거나 얇게 만드는 과정을 말하며 크게 열간 압연과 냉간 압연으로 나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784349호(2007.12.04. 등록, 발명의 명칭: 절단설 제거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재의 절단부에 형성된 절단설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소재 절단설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재 절단설 제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절단설 제거장치는: 소재에 형성된 절단설을 감지하는 소재감지부; 상기 소재감지부에서 감지된 절단설을 상기 소재로부터 제거하는 그라인더부; 상기 그라인더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그라인더부가 상기 소재의 표면과 접하여 이동되면서 절단설을 제거하도록 상기 소재감지부에서 감지된 절단설의 형상과 위치에 따라 상기 이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라인더부는, 상기 소재의 전면부와 접하여 이동되면서 상기 소재의 전면부에 형성된 절단설을 제거하는 제1그라인더부; 및 상기 제1그라인더부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소재의 후면부에 형성된 절단설을 제거하는 제2그라인더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그라인더부는, 상기 소재에 접한 상태로 회전 구동되며 상기 소재로부터 절단설을 제거하는 회전날부; 상기 회전날부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가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상기 그라인더부를 상기 소재의 두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이동부; 및 상기 수직이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그라인더부를 상기 소재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상기 그라인더부를 상기 소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간격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절단설 제거장치는, 상기 소재가 안착가능한 안착면을 형성하고, 상기 소재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소재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절단설 제거장치.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절단설 제거방법은: 소재의 절단부에 형성된 절단설을 감지하는 소재감지단계; 절단설이 형성된 상기 소재의 절단부를 그라인더부와 일직선상에 위치시키는 위치셋팅단계; 및 상기 그라인더부를 상기 소재의 폭방향 또는 두께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소재로부터 절단설을 제거하는 그라인더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셋팅단계와 상기 그라인더단계는, 상기 소재의 전면부와 후면부 중 적어도 일측에 대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절단설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재 절단설 제거방법에 의하면, 소재감지부에서 감지된 절단설의 형상과 위치에 따라 이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면서 그라인더부를 이용해 자동으로 절단설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절단설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재 절단설 제거방법에 의하면, 그라인더부가 소재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와 접하여 이동되면서 소재와 절단설간의 경계부를 절단하는 것에 의해 신속하게 절단설 제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절단설 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절단설 제거장치를 이용해 소재의 전면부에 형성된 절단설을 제거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절단설 제거장치를 이용해 소재의 후면부에 형성된 절단설을 제거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절단설 제거장치를 이용해 소재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형성된 절단설을 동시에 제거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절단설 제거장치를 이용해 소재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형성된 절단설을 제거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절단설 제거장치를 이용해 소재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형성된 절단설을 동시에 제거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절단설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재 절단설 제거방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절단설 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절단설 제거장치를 이용해 소재의 전면부에 형성된 절단설을 제거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절단설 제거장치를 이용해 소재의 후면부에 형성된 절단설을 제거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절단설 제거장치를 이용해 소재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형성된 절단설을 동시에 제거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절단설 제거장치를 이용해 소재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형성된 절단설을 제거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절단설 제거장치를 이용해 소재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형성된 절단설을 동시에 제거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절단설 제거장치(5)는 소재안착부(57), 소재감지부(51), 그라인더부(52A, 52B), 이동부(53A, 53B), 제어부(58)를 포함한다.
소재(2)는 연속 주조기를 이용해 연속하여 주조한 슬래브를 그 길이방향으로 설정 간격을 두고 절단하여 제작한 것이다. 이에 따라 소재(2)는 일정한 폭과, 상기 설정 간격, 즉 절단부간의 간격에 해당되는 길이를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또한, 소재(2)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절단설(3)이 존재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소재(2)의 길이방향 일단부를 전면부(21), 소재(2)의 길이방향 타단부를 후면부(22)라 한다.
소재안착부(57)는 소재(2)가 안착가능한 안착면을 제공하는 부분으로, 상부에 안착된 소재(2)를 하단지지한다. 소재(2)는 크레인 등에 의해 소재안착부(57)의 상부로 이송되어 안착된다. 소재안착부(57)는 소재(2)의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 그 구동이 개시되면서 상부에 안착된 소재(2)를 이동시킨다. 여기서 소재(2)의 위치는 소재(2)의 길이방향으로의 위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안착부(57)는 롤러부재(571), 롤러지지부(572), 롤러구동부(573)를 포함한다.
롤러부재(571)는 소재(2)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가 구비된다. 소재(2)는 복수개의 롤러부재(571)에 의해 받쳐진 상태로 안착된다. 롤러부재(571)는 상호 이격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그라인더부(52A, 52B)와 이동부(53A, 53B)는 롤러부재(571)의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을 통해 소재(2)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롤러지지부(572)는 복수개의 롤러부재(57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부분으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복수개의 롤러부재(571)는 롤러지지부(572)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소재(2)의 안착면을 형성하게 된다.
롤러구동부(573)는 복수개의 롤러부재(571)를 동시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롤러부재(571)의 상부에 안착된 소재(2)를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롤러구동부(573)는 소재(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웜(574)과, 롤러부재(571) 각각과 동축상에 연결되고, 웜(574)과 치합되는 복수개의 웜휠(575)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모터부재를 이용해 웜(574)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웜휠(575) 각각과 연결된 복수개의 롤러부재(571)가 함께 동일한 변위로 정회전되면서 소재(2)를 길이방향 일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웜(574)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웜휠(575) 각각과 연결된 복수개의 롤러부재(571)가 함께 동일한 변위로 역회전되면서 소재(2)를 길이방향 타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롤러구동부(573)는 웜(574)과 웜휠(575)를 포함하는 웜기어의 구조를 가지나, 복수개의 롤러부재(571)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다면, 복수개의 롤러부재(571)를 연결하는 벨트, 체인 등을 모터부재로 이동시키는 실시예, 롤러부재(571) 각각에 모터부재를 연결하는 실시예 등을 포함하여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소재감지부(51)는 소재(2)의 전면부(21)와 후면부(22)에 형성된 절단설(3)을 감지하는 부분이다. 소재감지부(51)로는 소재(2)의 전면부(21)와 후면부(22)의 형상을 감지할 수 있는 CCD카메라(CCD camera, Charge-Coupled Device camera) 또는 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감지부(51)는 복수개의 CCD카메라를 소재(2)의 전면부(21)와 후면부(22)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한 구조를 가진다. 소재(2)의 전면부(21)측에 설치된 CCD카메라를 이용해 전면부(21)에 형성된 절단설(3)의 위치와 형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소재(2)의 후면부(22)측에 설치된 CCD카메라를 이용해 후면부(22)에 형성된 절단설(3)의 위치와 형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소재(2)의 전면부(21)와 후면부(22)의 형상에 대해 획득한 정보를 토대로 소재(2)의 두께와 길이를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서 소재감지부(51)는 소재(2)의 전면부(21)와 후면부(22)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CCD카메라를 설치한 구조를 가지나, 소재(2)의 전면부(21)와 후면부(22)의 형상을 감지할 수 있다면 하나의 CCD카메라를 전면부(21)와 후면부(22)를 포괄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설치한 구조를 가지는 실시예, 라인레이저 센서 등의 다른 비접촉식 센서를 적용하는 실시예 등을 포함하여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라인더부(52A, 52B)는 전동력에 의해 구동되면서 소재감지부(51)에서 감지된 절단설(3)을 소재(2)로부터 제거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라인더부(52A, 52B)는 소재(2)의 전면부(21)에 형성된 절단설(3)을 제거하기 위한 제1그라인더부(52A)와, 소재(2)의 후면부(22)에 형성된 절단설(3)을 제거하기 위한 제2그라인더부(52B)를 포함한다.
제1그라인더부(52A)는 소재(2)의 전면부(21)와 접한 상태로 소재(2)의 폭방향 또는 두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소재(2)의 전면부(21)에 형성된 절단설(3)을 소재(2)로부터 분리, 제거한다. 여기서, 소재(2)의 폭방향은 소재(2)의 길이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제2그라인더부(52B)는 소재(2)의 길이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제1그라인더부(52A)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2그라인더부(52B)는 소재(2)의 후면부(22)와 접한 상태로 소재(2)의 폭방향 또는 두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소재(2)의 후면부(22)에 형성된 절단설(3)을 소재(2)로부터 분리, 제거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그라인더부(52A)와 제2그라인더부(52B)는 회전날부(521), 구동부(522), 연결부(523)를 포함한다.
회전날부(521)는 소재(2)의 표면을 연마하는 연마부재에 해당되는 부분이다. 회전날부(521)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소재(2)의 전면부(21) 또는 후면부(22)에 접한 상태로 회전 구동되며 소재(2)로부터 절단설(3)을 제거한다. 회전날부(521)가 원판 형상을 가짐에 따라, 소재(2)의 표면 중 회전날부(521)와 접촉된 부분, 즉 회전날부(521)가 지나간 부분에 절단설(3)이 잔류되는 일 없이, 소재(2)로부터 절단설(3)을 깔끔하게 제거할 수 있다.
연마부재를 회전 구동되는 브러쉬 형상 또는 원주 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 절단설(3)을 그 단부측부터 점차적으로 깍아내면서 최종적으로 소재(2)의 표면으로부터 제거하게 되므로, 절단설(3) 제거 작업에 장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절단설(3)의 연마 상태를 수차례 반복하여 확인하면서 연마부재의 구동 종료 시점을 결정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날부(521)가 절단설(3)과 소재(2)의 표면간의 경계부를 절단하게 되므로, 보다 단시간에 절단설(3) 제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회전날부(521)와 접하는 절단설(3) 부분이 제거되어야 회전날부(521)의 진행이 지속될 수 있으므로, 회전날부(521)가 지나간 지점은 명확하게 절단설(3)이 제거된 상태가 되어, 절단설(3) 제거 작업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구동부(522)는 회전날부(521)를 회전 구동시키는 부분으로, 모터부재를 적용할 수 있다. 구동부(522)를 구성하는 모터부재는 그 회전축이 회전날부(521)의 회전중심부와 연결된 상태로 회전 구동되면서 회전날부(521)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제1그라인더부(52A)에 마련되는 구동부(522)는 소재(2)와 간섭되지 않도록 회전날부(521)를 기준으로 하여 소재(2)의 전면부(21)와 반대측에 위치된다. 제2그라인더부(52B)에 마련되는 구동부(522)는 소재(2)와 간섭되지 않도록 회전날부(521)를 기준으로 하여 소재(2)의 후면부(22)와 반대측에 위치된다.
연결부(523)는 구동부(522)를 설치할 수 있는 설치면을 제공하는 부분으로, 이동부(53A, 53B)의 단부와 연결된다.
이동부(53A, 53B)는 전동력에 의해 구동되면서 그라인더부(52A, 52B)를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부(53A, 53B)는 제1그라인더부(52A)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이동부(53A)와, 제2그라인더부(52B)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이동부(53B)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이동부(53A)와 제2이동부(53B)는 수직이동부(54)와 수평이동부(55)를 포함한다.
수직이동부(54)는 전동력에 의해 제1그라인더부(52A) 또는 제2그라인더부(52B)를 소재(2)의 두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부분이다. 수평이동부(55)는 전동력에 의해 그라인더부(52A, 52B)를 소재(2)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부분으로, 수직이동부(54)와 연결된다.
수직이동부(54)와 수평이동부(55)는 제1그라인더부(52A)와 제2그라인더부(52B)를 수직 방향,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면 리니어가이드, 랙기어, 실린더부재 등을 적용하는 실시예를 포함하여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 기술을 따르는 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이동부(53A) 또는 제2이동부(53B)에, 제1그라인더부(52A) 또는 제2그라인더부(52B)를 소재(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간격조정부(56)를 추가로 구비하면, 제1그라인더부(52A)와 제2그라인더부(52B)간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간격조정부(56)는 제2이동부(53B)에 구비된다.
간격조정부(56) 또한 제1그라인더부(52A) 또는 제2그라인더부(52B)를 수직 방향,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면 리니어가이드, 랙기어, 실린더부재 등을 적용하는 실시예를 포함하여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 기술을 따르는 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부(58)는 소재감지부(51)에서 감지된 절단설(3)의 형상과 위치에 따라 소재안착부(57)와 이동부(53A, 53B)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부(58)는 그라인더부(52A, 52B)가 소재(2)의 전면부(21) 또는 후면부(22)와 접하여 이동되면서 절단설(3)을 제거하도록, 소재안착부(57)와 이동부(53A, 53B)의 구동을 제어한다.
소재안착부(57)는 제어부(58)에 의해 그 구동이 제어되어 소재(2)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동부(53A, 53B)는 제어부(58)에 의해 그 구동이 제어되어 그라인더부(52A, 52B)를 소재(2)의 폭방향, 두께방향,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절단설 제거장치(5)를 이용하여 소재(2)의 전면부(21)와 후면부(22)에 형성된 절단설(3)을 제거하는 본 발명에 따른 따른 소재 절단설 제거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절단설 제거방법은 소재감지단계(S1), 위치셋팅단계(S2), 그라인더단계(S3)를 순차적으로 거친다.
소재감지단계(S1)에서는 소재감지부(51)를 이용해 소재(2)의 전면부(21) 또는 후면부(22)에 형성된 절단설(3)을 감지한다. 소재감지단계(S1)에서는 소재감지부(51)를 이용해 소재(2)의 전면부(21)와 후면부(22)의 형상과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절단설(3)의 위치와 형상, 소재(2)의 두께와 길이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위치셋팅단계(S2)에서는 절단설(3)이 형성된 소재(2)의 전면부(21) 또는 후면부(22)를 그라인더부(52A, 52B)와 일직선상에 위치시킨다. 위치셋팅단계(S2)는 소재안착부(57)를 구동시켜 소재(2)를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동부(53A, 53B)에 구비된 간격조정부(56)를 구동시켜 그라인더부(52A, 52B)를 소재(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소재(2)의 전면부(21) 또는 후면부(22)가 그라인더부(52A, 52B)와 일직선상에 위치되었는지 여부는 소재감지부(51)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58)는 상기와 같이 소재감지부(51)에서 획득한 정보를 토대로 소재안착부(57)와 이동부(53A, 53B)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그라인더단계(S3)에서는 그라인더부(52A, 52B)를 소재(2)의 폭방향 또는 두께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소재(2)로부터 절단설(3)을 제거한다. 그라인더단계(S3)는 소재감지부(51)에서 감지된 절단설(3)의 위치, 형상에 따라 수직이동부(54)와 수평이동부(55)를 선택적, 복합적으로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수직이동부(54), 수평이동부(55)의 구동은 제어부(58)에 의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절단설(3)이 소재(2)의 두께방향 하부에만 형성되는 경우, 수평이동부(55)를 구동시켜 그라인더부(52A, 52B)를 소재(2)의 폭방향으로 한차례 이동시키는 과정을 거쳐 소재(2)로부터 절단설(3)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절단설(3)이 소재(2)의 두께방향 하부에서 중간부에 걸쳐 형성되는 경우, 수직이동부(54)를 구동시켜 그라인더부(52A, 52B)를 소재(2)의 두께방향 하부에 대응되게 위치시킨 후, 수평이동부(55)를 구동시켜 그라인더부(52A, 52B)를 소재(2)의 폭방향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과정과, 수직이동부(54)를 구동시켜 그라인더부(52A, 52B)를 소재(2)의 두께방향 중간부에 대응되게 위치시킨 후, 수평이동부(55)를 구동시켜 그라인더부(52A, 52B)를 소재(2)의 폭방향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쳐 소재(2)로부터 절단설(3)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절단설(3)이 소재(2)의 두께방향 하부에서 중간부에 걸쳐 형성되는 경우, 수직이동부(54)와 수평이동부(55)를 동시에 구동시켜, 소재(2)의 두께방향 중간부와 하부간의 거리에 대응되는 높이차만큼 그라인더부(52A, 52B)를 수직방향으로 왕복, 진동시키면서 소재(2)의 폭방향으로 한차례 이동시키는 과정을 거쳐 소재(2)로부터 절단설(3)을 제거할 수도 있다.
또한, 절단설(3)이 소재(2)의 두께방향 하부 일측에만 편중되게 형성되는 경우, 그라인더부(52A, 52B)를 소재(2)의 폭에 해당되는 거리만큼 이동시키지 않고, 그라인더부(52A, 52B)가 절단설(3)이 형성된 위치까지만 이동되도록 수평이동부(55)를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절단설(3) 제거 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 도 5를 참조하면, 소재(2)의 전면부(21)에만 절단설(3)이 감지되는 경우(소재감지단계(S1)), 소재안착부(57)의 구동에 의해 소재(2)의 전면부(21)를 제1그라인더부(52A)와 일직선상에 위치시킨 후(위치셋팅단계(S2)), 제1이동부(53A)의 구동에 의해 제1그라인더부(52A)를 소재(2)의 전면부(21)를 따라 수직방향,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그라인더단계(S3))만을 거쳐, 즉 소재(2)의 후면부(22)에 대한 작업을 생략하여 절단설(3) 제거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3, 도 5를 참조하면, 소재(2)의 후면부(22)에만 절단설(3)이 감지되는 경우(소재감지단계(S1)), 소재안착부(57) 또는 간격조정부(56)의 구동에 의해 소재(2)의 후면부(22)를 제2그라인더부(52B)와 일직선상에 위치시킨 후(위치셋팅단계(S2)), 제2이동부(53B)의 구동에 의해 제2그라인더부(52B)를 소재(2)의 후면부(22)를 따라 수직방향,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그라인더단계(S3))만을 거쳐, 즉 소재(2)의 전면부(21)에 대한 작업을 생략하여 절단설(3) 제거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소재(2)의 전면부(21)와 후면부(22) 모두에 절단설(3)이 감지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2)의 전면부(21)에 형성된 절단설(3)을 제거하는 과정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2)의 후면부(22)에 형성된 절단설(3)을 제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쳐 절단설(3) 제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 도 6을 참조하면, 소재(2)의 전면부(21)와 후면부(22) 모두에 절단설(3)이 감지되는 경우(소재감지단계(S1)), 소재안착부(57) 또는 간격조정부(56)의 구동에 의해 소재(2)의 전면부(21)와 후면부(22)를 제1그라인더부(52A), 제2그라인더부(52B)와 각각 일직선상에 위치시킨 후(위치셋팅단계(S2)), 제1이동부(53A)와 제2이동부(53B)를 동시에 구동시키면서 소재(2)의 전면부(21)와 후면부(22)에 형성된 절단설(3)을 동시에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절단설 제거장치(5) 및 이를 이용한 소재 절단설 제거방법에 의하면, 소재감지부(51)에서 감지된 절단설(3)의 형상과 위치에 따라 이동부(53A, 53B)의 구동을 제어하면서 그라인더부(52A, 52B)를 이용해 자동으로 절단설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그라인더부(52A, 52B)가 소재(2)의 전면부(21) 또는 후면부(22)와 접하여 이동되면서 소재(2)와 절단설(3)간의 경계부를 절단하는 것에 의해 신속하게 절단설(3) 제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 : 소재
3 : 절단설 5 : 소재 절단설 제거장치
21 : 전면부 22 : 후면부
51 : 소재감지부 52A : 제1그라인더부
52B : 제2그라인더부 53A : 제1이동부
53B : 제2이동부 54 : 수직이동부
55 : 수평이동부 56 : 간격조정부
57 : 소재안착부 58 : 제어부
521 : 회전날부 522 : 구동부
523 : 연결부 571 : 롤러부재
572 : 롤러지지부 533 : 롤러구동부
574 : 웜 575 : 웜휠

Claims (8)

  1. 복수개의 롤러부재가 소재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소재가 안착가능한 안착면을 형성하고, 상기 소재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소재안착부;
    상기 소재에 형성된 절단설을 감지하는 소재감지부;
    상기 소재안착부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롤러부재의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을 통해 상기 소재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소재감지부에서 감지된 절단설을 상기 소재로부터 제거하는 그라인더부;
    상기 소재안착부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롤러부재의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을 통해 상기 소재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그라인더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그라인더부가 상기 소재의 표면과 접하여 이동되면서 절단설을 제거하도록 상기 소재감지부에서 감지된 절단설의 형상과 위치에 따라 상기 이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라인더부는,
    상기 소재의 전면부와 접하여 이동되면서 상기 소재의 전면부에 형성된 절단설을 제거하는 제1그라인더부; 및
    상기 제1그라인더부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소재의 후면부에 형성된 절단설을 제거하는 제2그라인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소재의 전면부와 접하도록 상기 제1그라인더부를 이동시키되,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소재의 전면부에 형성된 절단설의 형상과 위치에 따라 상기 제1그라인더부를 상기 소재의 폭방향, 두께방향,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이동부; 및
    상기 소재의 후면부와 접하도록 상기 제2그라인더부를 이동시키되,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소재의 후면부에 형성된 절단설의 형상과 위치에 따라 상기 제2그라인더부를 상기 소재의 폭방향, 두께방향,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1이동부와 독립되게 구동되는 제2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재감지부에서 상기 소재의 전면부와 후면부 모두에 절단설이 감지되면, 상기 제1이동부와 상기 제2이동부를 동시에 구동시키면서 상기 소재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형성된 절단설을 동시에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절단설 제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인더부는,
    상기 소재에 접한 상태로 회전 구동되며 상기 소재로부터 절단설을 제거하는 회전날부;
    상기 회전날부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가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절단설 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그라인더부를 상기 소재의 두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이동부; 및
    상기 수직이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그라인더부를 상기 소재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절단설 제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그라인더부를 상기 소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간격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절단설 제거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40111077A 2014-08-25 2014-08-25 소재 절단설 제거장치 KR101607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077A KR101607007B1 (ko) 2014-08-25 2014-08-25 소재 절단설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077A KR101607007B1 (ko) 2014-08-25 2014-08-25 소재 절단설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431A KR20160024431A (ko) 2016-03-07
KR101607007B1 true KR101607007B1 (ko) 2016-03-28

Family

ID=55539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1077A KR101607007B1 (ko) 2014-08-25 2014-08-25 소재 절단설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0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600B1 (ko) * 2017-10-26 2019-03-12 현대제철 주식회사 스카핑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181Y1 (ko) * 1996-12-24 2001-11-22 이구택 후강판의가스절단설자동제거장치
KR200311064Y1 (ko) * 1998-05-15 2003-12-31 주식회사 포스코 스라브의절단설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431A (ko) 2016-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83879B1 (en) Multiaxial tool machine for working stone slabs and/or blocks
US20190202085A1 (en) Automatic Tile Cutter
KR20010007448A (ko) 유리, 석재류 재료 등의 플레이트 에지를 기계 가공하는양면 자동 기계
EP3172013B1 (en) Method for smoothing and/or polishing slabs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KR20130080532A (ko) 절단 정반 슬래그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그 제거방법
KR20140041177A (ko) 소재 절단장치
KR101607007B1 (ko) 소재 절단설 제거장치
KR101291550B1 (ko) 소재 표면 연마장치
KR101537746B1 (ko) 주물제품 자동연삭장치
US20200206976A1 (en) Combined cutting and bevelling machine for slabs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WO2015159270A1 (en) Machining apparatus for stone or stone-like slabs, and related working method
JP2006082158A (ja) ワ−クの研削方法および研削装置
JP2017131974A (ja) 設置機械のきさげ加工装置、および、設置機械のきさげ加工方法
KR101435037B1 (ko) 압연기용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65952B1 (ko) 러그 잔재물 제거장치
KR101330544B1 (ko) 소재 형상 측정장치
KR101702446B1 (ko) 금속 소재의 절단부 절삭 장치
JPH0740063U (ja) スラブ用自動研削装置
JP2001047353A (ja) スラブの研削装置及び研削方法、該研削装置を備えたfms
JP2001121292A (ja) 鉄骨ボックス柱の自動ダボ除去方法および装置
KR100806595B1 (ko) 철강 공시재의 절단설 제거장치
JP2010260118A (ja) 鋳片の研削方法
JP6964684B2 (ja) 研磨装置
KR101491664B1 (ko) 자동 가우징 장치
KR101110866B1 (ko) 몰드 동판 가공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