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6973B1 - 평면 가공을 위한 연삭기 - Google Patents

평면 가공을 위한 연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6973B1
KR101606973B1 KR1020140014685A KR20140014685A KR101606973B1 KR 101606973 B1 KR101606973 B1 KR 101606973B1 KR 1020140014685 A KR1020140014685 A KR 1020140014685A KR 20140014685 A KR20140014685 A KR 20140014685A KR 101606973 B1 KR101606973 B1 KR 101606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stone
grinding
grinding machine
volum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4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4804A (ko
Inventor
장홍섭
서은아
Original Assignee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4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6973B1/ko
Publication of KR20150094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5/00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nly by their periphery;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연삭액에 의한 부식 및 피연삭체 칩의 충격에 강하면서 무게가 가벼운 숫돌대가 장착된 평면 가공을 위한 연삭기를 제시한다. 그 연삭기는 평면 연삭을 위한 연삭숫돌 및 연삭숫돌이 일측에 장착되며 부식 및 충격에 강한 중량 금속의 내부에 중공을 가지거나 또는 경량 금속에 중량 금속이 부착된 숫돌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평면 가공을 위한 연삭기{Grinder for machining flat surface}
본 발명은 평면 가공을 위한 연삭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삭숫돌을 고정하는 숫돌대의 부식 및 충격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고 무게를 줄이는 연삭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브레이크 디스크와 같이 편평한 면을 가진 피연삭체를 연삭하는 연삭기는 복수개의 연삭숫돌을 원형으로 배열하고, 이를 회전시켜 피연삭체를 가공한다. 이때, 많게는 50개 정도의 연삭숫돌은 각각 숫돌대에 부착되어 있으며, 피연삭체와 접촉하는 면은 그 면에 부응하여 편평하게 제작된다. 특히, 값이 비싸고 내충격성이 부족한 연삭숫돌은 피연삭체를 가공하는 동안에 전체적 균일하게 마모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연삭숫돌은 견고하게 고정하고 연삭과정에서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강도의 숫돌대에 부착된다. 이러한 숫돌대는 주로 강도가 뛰어난 강철 또는 경량화된 금속을 사용한다.
한편, 평면 가공을 위한 연삭기는 일본공개특허 제2001-079770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평면 가공을 위한 연삭기는, 연삭숫돌을 고정하는 숫돌대의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 등과 같은 경량 금속을 사용한다. 경량 금속으로 이루어진 숫돌대는 무게는 가볍기는 하지만, 연삭액에 의한 부식 또는 연삭과정에서 발생하는 칩의 충격에 취약하다. 부식 및 충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식저항이 크고 및 충격에 강한 금속을 숫돌대에 적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상기 숫돌대는 무게가 커서, 이를 설치 및 교체하는 작업이 어렵고, 무게로 인하여 가동 전력의 소모가 크다. 이에 따라, 연삭기는 부식 및 충격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무게가 가벼운 숫돌대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연삭액에 의한 부식 및 피연삭체 칩의 충격에 강하면서 무게가 가벼운 숫돌대가 장착된 평면 가공을 위한 연삭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평면 가공을 위한 연삭기는 평면 연삭을 위한 연삭숫돌 및 상기 연삭숫돌이 일측에 장착되며 부식 및 충격에 강한 중량 금속의 내부에 중공을 가지거나 또는 경량 금속에 상기 중량 금속이 부착된 숫돌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연삭기에 있어서, 상기 숫돌대는 드럼에 장착되고, 상기 드럼 반대방향의 상기 숫돌대의 면은 평탄하거나 일부가 패인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숫돌대는 중량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량 금속은 강철, 스테인레스 강, 구리 합금 또는 아연 합금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스테인레스 강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연삭기에 있어서, 상기 숫돌대는 중량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숫돌대 내부의 일부가 제거되어 부피(V1)를 가진 중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부피(V1)는 상기 숫돌대의 몸체의 부피(V2)에 대하여 20% 내지 80%의 부피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숫돌대는 중량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숫돌대의 내부의 일부가 홈 형태로 제거되어 부피(V3)를 가진 복수개의 중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부피(V3)는 상기 숫돌대의 몸체의 부피(V4)에 대하여 20% 내지 70%의 부피비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숫돌대는 중량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숫돌대의 내부의 일부가 홈 형태로 제거되어 부피(V5)를 가진 복수개의 중공 및 상기 복수개의 중공을 포함하여 하나의 공간을 이루면서 부피(V6)를 가진 중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부피(V5) 및 상기 부피(V6)의 합은 상기 숫돌대의 몸체의 부피(V7)에 대하여 20% 내지 75%의 부피비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부피(V5)는 상기 부피(V6)에 대하여 30% 내지 80%의 부피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연삭기에 있어서, 상기 숫돌대는 경량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경량 금속은 알루미늄, 마그네슘, 티타늄,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및 티타늄 합금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숫돌대는 경량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삭숫돌 및 상기 숫돌대에 걸쳐서 상기 중량 금속으로 이루어진 보강판이 부착될 수 있고, 상기 보강판의 길이(L1)는 상기 숫돌대의 몸체의 길이(L2)에 대하여 1/2 내지 1/10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숫돌대는 경량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삭숫돌의 고정부가 사이에 게재되도록 상기 숫돌대의 몸체의 측면에 보강판이 부착될 수 있고, 상기 보강판의 길이(L3)는 상기 숫돌대의 몸체의 길이(L4)에 대하여 1/2 내지 1/1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숫돌대는 경량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삭숫돌에 제한되어 상기 연삭숫돌 고정부 밖의 상기 숫돌대의 몸체의 측면에 보강판이 부착될 수 있고, 상기 보강판의 길이(L5)는 상기 숫돌대의 몸체의 길이(L6)에 대하여 1/2 내지 1/10일 수 있다. 상기 숫돌대는 경량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삭숫돌에 제한되어 상기 연삭숫돌 고정부 밖의 상기 숫돌대의 몸체의 둘레를 따라서 보강판이 부착될 수 있고, 상기 보강판의 길이(L7)는 상기 숫돌대의 몸체의 길이(L8)에 대하여 1/5 내지 1/15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평면 가공을 위한 연삭기에 의하면, 부식 및 충격에 강한 금속의 내부에 중공을 가진 숫돌대를 사용하거나 상기 금속으로 이루어진 보강판을 숫돌대에 부착함으로써, 연삭액에 의한 부식 및 피연삭체 칩의 충격에 강하면서 무게가 가벼운 숫돌대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을 다양한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연삭기가 사용되는 환경 및 피연삭체에 따라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보강판을 연삭기의 형태에 따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연삭기의 형태에 무관하게 숫돌대의 부식 및 충격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의한 평면 가공을 위한 제1 연삭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1B-1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평면 가공을 위한 제2 연삭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2B-2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평면 가공을 위한 제3 연삭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3B-3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평면 가공을 위한 제4 연삭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4B-4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평면 가공을 위한 제5 연삭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5B-5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의한 평면 가공을 위한 제6 연삭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6B-6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의한 평면 가공을 위한 제7 연삭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7B-7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부식 및 충격에 강한 중량 금속의 내부에 중공을 가진 숫돌대를 사용하거나 상기 중량 금속을 숫돌대에 부착함으로써, 연삭액에 의한 부식 및 피연삭체 칩의 충격에 강하면서 무게가 가벼운 숫돌대가 장착된 평면 가공을 위한 연삭기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상기 부식 및 충격에 강하면서 무게가 가벼운 숫돌대가 장착된 연삭기의 다양한 예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로 한다. 여기서, 연삭액은 피연삭체의 종류에 달라지기는 하나 주로 광유 및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수용성 연삭액이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약 10wt% 이하의 물을 함유한다. 이에 따라, 연삭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숫돌대의 손상은 연삭액에 의한 부식 또는 피연삭체에서 발생한 칩에 의한 충격에 의한 것으로 대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삭기에서 숫돌대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은 드럼에 고정된다. 숫돌대와 숫돌대 사이는 지지틀과 같은 고정수단이 마련되어 있어, 숫돌대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한다. 숫돌대는 드럼 반대방향의 면이 평탄할 수도 있고, 일부가 패인 모양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틀은 숫돌대의 평탄한 면을 통하여 고정할 수도 있고, 숫돌대의 패인 곳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평면 가공을 위한 제1 연삭기(10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1B-1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의하면, 제1 연삭기(100)는 제1 탈리부(12a)를 포함한 제1 숫돌대 몸체(10a) 및 제1 숫돌대 몸체(10a)에 고정부(a)에 의해 결합된 연삭숫돌(20)을 포함한다. 연삭숫돌(20)은 연삭숫돌(20)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제1 숫돌대 몸체(10a)에 형성된 결합부(14)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14)의 형상은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이는 연삭숫돌(20)의 크기, 피연삭체의 종류 등으로 고려하여 상기 형상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결합부(14)는 제1 숫돌대 몸체(10a)와 일체를 이루거나, 별도로 제작하여 제1 숫돌대 몸체(10a)에 부착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숫돌대 몸체(10a) 및 결합부(14)를 통칭하여 제1 숫돌대(102)라고 한다. 연삭숫돌(20)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연마입자와 결합재로 이루어지며, 연마입자는 인조 다이아몬드 입자, 천연 다이아몬드 입자, 입방정붕화질소(CBN) 및 초지립입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숫돌대(102)는 강성이 크고 부식에 강한 중량 금속, 예컨대 강철, 스테인레스 강, 아연 합금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스테인레스 강이 좋다. 스테인레스 강은 연삭액에 의한 부식 및 피연삭체 칩의 충격으로 인한 손상에 강한 저항력을 가진다. 하지만, 상기 스테인레스 강은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과 같은 경량 금속에 비해 비중이 수배 이상이므로 무게가 무겁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부식 및 충격에 강하고 무게가 큰 금속을 중량 금속이라고 하고, 이에 대응하여 무게가 가벼운 금속을 경량 금속이라고 한다.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연삭기(100)는 제1 숫돌대 몸체(10a) 내부의 일부를 제거한 제1 탈리부(12a)에 의해 부피(V1)인 중공을 포함한다. 제1 탈리부(12a)가 차지하는 부피(V1)는 제1 숫돌대 몸체(10a) 전체의 부피(V2)에 비해, 20% 내지 80%가 바람직하다. V1/V2가 80%보다 크면 제1 숫돌대 몸체(10a)의 변형이 있을 수 있고, 20%보다 작으면 무게를 줄이려는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되지 않는다.
제1 탈리부(12a)에 의해 형성된 제1 숫돌대 몸체(10a)의 측벽들은 연삭숫돌(20)과 같은 공구를 장착할 때, 볼트 등으로 조여도 제1 숫돌대 몸체(10a)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을 정도의 두께를 가진다. 제1 탈리부(12a)의 형상은 제한이 없으나, 단면적으로 모서리가 라운딩된 직사각형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제1 탈리부(12a)는 도면에서와 같이 제1 숫돌대 몸체(10a)의 길이 방향으로 모서리가 라운딩된 직육면체일 수 있으나, 단면이 타원인 원통형 등과 같은 형태로도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숫돌대(102)는 다이캐스팅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연삭기(100)에서와 같이 제1 숫돌대 몸체(10a)에 중공을 형성하면, 연삭하는 작업을 하는 동안 중공에 의해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중공에는 무게가 가벼운 고분자 수지 또는 오일 등을 충진하고, 상기 중공을 덮개(도시되지 않음)로 덮을 수 있다. 이러한 덮개는 제1 숫돌대 몸체(10a)와 동일한 소재이거나 경량 금속일 수 있다. 상기 덮개의 형상은 상기 중공을 밀폐할 정도로 충분할 정도이면,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평면 가공을 위한 제2 연삭기(20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2B-2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때, 제2 연삭기(200)는 제2 숫돌대 몸체(10b)를 제외하고, 제1 연삭기(100)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a 및 도 2b에 따르면, 제2 연삭기(200)는 결합부(14) 및 복수개의 제2 탈리부(12b)가 형성된 제2 숫돌대 몸체(10b)로 이루어진 제2 숫돌대(202)를 포함한다. 제2 탈리부(12b)는 제2 숫돌대 몸체(10b)의 안쪽으로 파고들어간 홈 형태로서, 끝부분은 뾰족할 수 있다. 이때, 제2 탈리부(12b)는 바람직하게는 드릴링(drilling)에 의해 제작될 수 있고, 이에 따른 끝부분은 자연스럽게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탈리부(12b)를 다른 방법으로 제조하면, 상기 끝부분은 다른 형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제2 탈리부(12b)는 드릴링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원통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다른 방법으로 제조하면 원통 형태가 아닐 수 있다. 제2 탈리부(12b)의 개수는 제2 숫돌대 몸체(10b)의 폭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2개 내지 8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연삭기(200)는 제2 숫돌대 몸체(10b)의 내부의 일부를 제거한 복수개의 제2 탈리부(12b)에 의해 부피(V3)인 중공을 포함한다. 제2 숫돌대 몸체(10b)의 전체의 부피(V4)에서, 제2 탈리부(12b)가 차지하는 부피(V3)는 20% 내지 70%가 바람직하다. V3/V4가 70%보다 크면 제2 숫돌대 몸체(10b)이 변형될 수 있고 이를 실질적으로 구현하기 어렵다. 또한, 20%보다 작으면 무게를 줄이려는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2 연삭기(200)는 제2 탈리부(12b) 사이의 제2 숫돌대 몸체(10b)가 존재하므로, 제1 연삭기(100)에 비해 내구성이 좋다. 이에 따라, 제2 연삭기(200)는 연삭숫돌(20)을 장착하여 장시간 사용하여도, 제2 숫돌대 몸체(10b)이 변형이 상대적으로 잘 일어나지 않는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평면 가공을 위한 제3 연삭기(30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3B-3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때, 제3 연삭기(300)는 제3 숫돌대 몸체(10c)를 제외하고, 제1 연삭기(100)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에 의하면, 제3 연삭기(300)는 결합부(14) 및 제3 숫돌대 몸체(10c)로 이루어진 제3 숫돌대(302)를 포함한다. 제3 숫돌대 몸체(10c)는 안쪽에는 홈 형태의 복수개의 제3 탈리부(12c) 및 제3 탈리부(12c)를 모두 포함하여 하나의 중공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4 탈리부(12d)로 구성된다. 제3 탈리부(12c)는 제2 연삭기(200)에서와 같이 드릴링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4 탈리부(12d)는 제1 연삭기(100)에서와 같이 다이캐스팅이 유용하다. 즉, 다이캐스팅에 의해 제4 탈리부(12d)를 형성한 후, 드릴링으로 제3 탈리부(12c)를 만들 수 있다. 상기 드릴링과 다이캐스팅으로 제3 및 제4 탈리부(12c, 12d)를 형성하는 과정은 제1 및 제2 연삭기(100, 200)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3 탈리부(12c)의 개수는 제3 숫돌대 몸체(10c)의 폭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2개 내지 8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 연삭기(300)의 제3 탈리부(12c)는 부피(V5), 제4 탈리부(12d)는 부피(V6)의 중공을 가진다. 제3 숫돌대 몸체(10c) 전체의 부피(V7)에서, 제3 탈리부(12c)가 차지하는 부피(V5) 및 제4 탈리부(12d)의 합이 차지하는 부피는 20% 내지 75%가 바람직하다. (V5+V6)/V7이 75%보다 크면 제3 숫돌대 몸체(10c)가 변형될 수 있고 이를 실질적으로 구현하기 어렵다. 또한, 20%보다 작으면 무게를 줄이려는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되지 않는다. 또한, 제3 탈리부(12c)가 차지하는 부피(V5) 및 제4 탈리부(12d)가 차지하는 부피(V6)의 부피비 V5/V6는 30% 내지 80%가 좋다. 만일 V5/V6가 80%보다 크면 몸체가 변형되거나 이를 구현하기 어렵고, 30%보다 작으면 중량감소의 실효성을 얻기 힘들다.
본 발명의 제3 연삭기(300)는 제3 탈리부(12c)와 제4 탈리부(12d)를 조합함으로써, 공간의 확보가 유리한 제1 연삭기(100)의 장점과 내구성을 보다 높인 제2 연삭기(200)의 장점을 모두 소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연삭기(300)는 연삭숫돌(20)을 장착하여 장시간 사용하여도, 제3 숫돌대 몸체(10c)의 변형이 상대적으로 잘 일어나지 않는다. 다만, 제3 연삭기(300)는 이를 구현하는 방법이 제1 및 제2 연삭기(100, 200)에 비해 복잡하므로, 본 발명의 연삭기의 크기, 피연삭체의 종류에 따라 이를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평면 가공을 위한 제4 연삭기(40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4B-4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때, 제4 연삭기(400)에 적용되는 연삭숫돌(20)은 제1 연삭기(100)와 동일하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제4 연삭기(400)는 결합부(54) 및 제4 숫돌대 몸체(50)로 이루어진 제4 숫돌대(402)를 포함한다. 이때, 제4 숫돌대 몸체(50)는 제1 및 제3 연삭기(100, 200, 300)에서와는 달리, 중공을 포함하지 않는다. 제4 숫돌대 몸체(50)는 경량 금속이 바람직하며, 알루미늄, 마그네슘, 티타늄,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티타늄 합금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4 연삭기(400)는, 연삭액에 의한 부식 및 피연삭체 칩의 충격으로부터 제4 숫돌대 몸체(50)를 보호하기 위하여, 연삭숫돌(20)과 제4 숫돌대 몸체(50)의 측면에 걸쳐서 보강판(52)을 포함한다.
보강판(52)은 연삭액에 의한 부식 및 피연삭체 칩에 의한 충격에 강한 재질이며, 예컨대 강철, 스테인레스 강, 구리 합금 및 아연 합금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스테인레스 강이 좋다. 스테인레스 강은 연삭액에 의한 부식 및 피연삭체 칩의 충격으로 인한 손상에 강한 저항력을 가진다. 보강판(5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숫돌대 몸체(50) 밖으로 돌출되어 결합부(54)와 함께 연삭숫돌(20)이 끼워져 고정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보강판(52)은 볼트와 같은 체결부(56)에 의해 제4 숫돌대 몸체(50)에 고정되며, 이에 따라 보강판(52)의 두께는 체결부(56)로 체결하는 데 무리가 없고, 부식 및 충격을 견디면서 제4 연삭기(400)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정도이면 충분하다.
보강판(52)은 제4 숫돌대 몸체(50)의 일부가 제거된 곳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길이(L1)을 가질 수 있다. 보강판(52)을 연삭숫돌(20)과 접하는 부분에 형성하는 이유는 피연삭체로부터 튕겨져 나오는 칩이나 연삭액의 대부분이 연삭숫돌(20)과 제4 숫돌대 몸체(50)가 연결된 부분을 향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보강판(52)은 제4 숫돌대 몸체(50)의 전체 길이(L2)에 걸쳐 형성되지 않아도 좋다. 제4 숫돌대 몸체(50)의 부식과 충격에 영향을 주는 상기 칩과 연삭액이 비산되는 거동을 고려할 때, 보강판(52)의 길이(L1)은 전체 길이(L2)의 1/2 내지 1/10이 바람직하다. 이때, 보강판(52)의 길이(L1) 및 전체 길이(L2)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a)를 기준으로 산정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평면 가공을 위한 제5 연삭기(50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5B-5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때, 제5 연삭기(500)는 연삭숫돌을 결합하는 방식이 제4 연삭기(400)와 다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제5 연삭기(500)는 제4 연삭기(400)와 같은 결합부(54)가 없이 제5 숫돌대 몸체가 제5 숫돌대(502)를 이룬다. 즉, 제5 숫돌대(502)는 제5 숫돌대 몸체 자체이다. 이때, 보강판(60)은 그 사이에 고정부(a)가 게재되도록 연삭숫돌(22)에 삽입되고, 보강판(60)의 길이(L3)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a)를 기준으로 산정한다. 보강판(60)은 체결부(62)에 의해 제5 숫돌대 몸체(502)에 결합되며, 보강판(60)의 재질 및 두께는 제4 연삭기(400)에서와 동일하다. 이때, 제5 숫돌대 몸체(502)의 부식과 충격에 영향을 주는 상기 칩과 연삭액이 비산되는 거동을 고려할 때, 보강판(60)의 길이(L3)은 전체 길이(L4)의 1/2 내지 1/10이 바람직하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평면 가공을 위한 제6 연삭기(60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6B-6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때, 제6 연삭기(600)는 연삭숫돌을 결합하는 방식이 제5 연삭기(500)와 다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제6 연삭기(600)는 제4 연삭기(400)와 같은 결합부(54)가 없이 제6 숫돌대 몸체가 제6 숫돌대(602)를 이룬다. 즉, 제6 숫돌대(602)는 제6 숫돌대 몸체 자체이다. 보강판(70)의 길이(L5)는 제6 숫돌대 몸체(602)에 한정되며, 연삭숫돌(24)에 의해 제한된다. 다시 말해, 보강판(70)은 고정부(a)를 배제하도록 고정부(a) 밖에 부착될 수 있다. 보강판(70)은 체결부(72)에 의해 제6 숫돌대 몸체(602)의 측면에 결합되며, 보강판(70)의 재질 및 두께는 제4 연삭기(400)에서와 동일하다. 이때, 제6 숫돌대 몸체(602)의 부식과 충격에 영향을 주는 상기 칩과 연삭액이 비산되는 거동을 고려할 때, 보강판(70)의 길이(L5)은 전체 길이(L6)의 1/2 내지 1/10이 바람직하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평면 가공을 위한 제7 연삭기(70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7B-7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때, 제7 연삭기(700)는 보강판(80)이 결합되는 방식이 제6 연삭기(600)와 다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제7 연삭기(700)는 제4 연삭기(400)와 같은 결합부(54)가 없이 제7 숫돌대 몸체가 제7 숫돌대(702)를 이룬다. 즉, 제7 숫돌대(702)는 제7 숫돌대 몸체 자체이다. 보강판(80)의 길이(L7)는 제7 숫돌대 몸체(702)에 한정되며, 연삭숫돌(24)에 의해 제한된다. 다시 말해, 보강판(70)은 고정부(a)를 배제하도록 고정부(a) 밖에 부착될 수 있다. 보강판(80)은 체결부(82)에 의해 제7 숫돌대 몸체(702)를 둘러싸면서 결합되며, 보강판(80)의 재질 및 두께는 제4 연삭기(400)에서와 동일하다.
이때, 제7 숫돌대 몸체(702)의 부식과 충격에 영향을 주는 상기 칩과 연삭액이 비산되는 거동을 고려할 때, 보강판(80)의 길이(L7)은 전체 길이(L8)의 1/5 내지 1/15이 바람직하다. 만일, L7/L8이 1/5보다 크면 중량감소의 실효성이 떨어지고, 1/15보다 작으면 보강판(8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으며 제작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경우에 따라, 제7 숫돌대 몸체(702)의 측면의 보강판(80)은 연삭숫돌(24) 방향, 연삭숫돌(24)의 반대 방향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a, 10b, 10c, 50, 502, 602, 702; 제1 내지 제7 숫돌대 몸체
12a, 12b, 12c, 12d; 제1 내지 제4 탈리부
14, 54; 결합부
20, 22, 24; 연삭숫돌
50, 60, 70, 80; 보강판
52, 62, 72, 82; 체결부
100, 200, 300, 400, 500, 600, 700; 제1 내지 제7 연삭기
102, 202, 302, 402, 502, 602, 702; 제1 내지 제7 숫돌대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평면 연삭을 위한 연삭숫돌; 및
    상기 연삭숫돌이 일측에 장착되며, 강철, 스테인레스 강, 구리 합금 또는 아연 합금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의 중량 금속으로 이루어진 숫돌대를 포함하고,
    상기 숫돌대는 내부의 일부가 홈 형태로 제거되어 복수개의 중공을 이루며 상기 복수개의 중공은 부피(V5)를 가지며, 상기 복수개의 중공과 연통되고 자체적으로 하나의 공간을 이루면서 부피(V6)를 가진 중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가공을 위한 연삭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피(V5) 및 상기 부피(V6)의 합은 상기 숫돌대의 몸체의 부피(V7)에 대하여 20% 내지 75%의 부피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가공을 위한 연삭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피(V5)는 상기 부피(V6)에 대하여 30% 내지 80%의 부피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가공을 위한 연삭기.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40014685A 2014-02-10 2014-02-10 평면 가공을 위한 연삭기 KR101606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685A KR101606973B1 (ko) 2014-02-10 2014-02-10 평면 가공을 위한 연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685A KR101606973B1 (ko) 2014-02-10 2014-02-10 평면 가공을 위한 연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804A KR20150094804A (ko) 2015-08-20
KR101606973B1 true KR101606973B1 (ko) 2016-03-29

Family

ID=54058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4685A KR101606973B1 (ko) 2014-02-10 2014-02-10 평면 가공을 위한 연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69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526A (ko) 2016-12-08 2018-06-18 주식회사 크로바 성형 연삭기용 회전 테이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5026B2 (ja) * 2003-06-24 2006-09-20 大昌精機株式会社 研削盤の研削工具取付構造
KR100853547B1 (ko) * 2007-05-28 2008-08-21 새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다이아몬드 연마구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5026B2 (ja) * 2003-06-24 2006-09-20 大昌精機株式会社 研削盤の研削工具取付構造
KR100853547B1 (ko) * 2007-05-28 2008-08-21 새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다이아몬드 연마구의 결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526A (ko) 2016-12-08 2018-06-18 주식회사 크로바 성형 연삭기용 회전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804A (ko) 2015-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3194B1 (ko) 편마모방지용 세그먼트를 갖는 연마휠
KR101606973B1 (ko) 평면 가공을 위한 연삭기
JP2005111626A (ja) 研削砥石
KR100973566B1 (ko) 비철금속용 호닝툴 및 그 제조 방법
CN101195209A (zh) 一种防打滑和断裂的齿形同步带式精细砂带
CN205630351U (zh) 多磨粒砂带
CN105751091A (zh) 多磨粒砂带
JP4545100B2 (ja) 複合工具
JP2007185753A (ja) 研削研磨砥石
CN204868582U (zh) 既能打磨又能切割的超硬角磨片
CN207823140U (zh) 矿磨衬板
CN205630350U (zh) 新型磨削砂带
CN204868457U (zh) 超硬角磨片和角磨机配套的减震部件
KR200418534Y1 (ko) 표면 연마용 휠
CN206717681U (zh) 一种加工汽车发动机曲轴专用砂轮
CN205630346U (zh) 复合防滑砂带
JP2750552B2 (ja) ホーニング砥石とホーニング方法
CN205630349U (zh) 防滑强化砂带
CN216098421U (zh) 一种重负荷砂轮
JP3113612U (ja) ワイパーブレード羽先保守研磨具。
CN102837255B (zh) 一种新型石材磨光机的磨头
KR100490152B1 (ko) 온라인 롤 연삭용 연삭숫돌
CN213411678U (zh) 一种用于齿轮修整的金刚石滚轮
CN214869717U (zh) 一种超精密研磨金刚石砂轮
CN205630348U (zh) 复合砂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