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6000B1 - 전기적 컴포넌트 - Google Patents

전기적 컴포넌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6000B1
KR101606000B1 KR1020157013747A KR20157013747A KR101606000B1 KR 101606000 B1 KR101606000 B1 KR 101606000B1 KR 1020157013747 A KR1020157013747 A KR 1020157013747A KR 20157013747 A KR20157013747 A KR 20157013747A KR 101606000 B1 KR101606000 B1 KR 101606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substrate
connection
groun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3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5911A (ko
Inventor
막시밀리언 핏시
쥬르겐 키비트
안드레아스 프렉켄스테인
Original Assignee
에프코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코스 아게 filed Critical 에프코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150065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5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023Balance-unbalance or balance-balance network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42Balance/unbalance network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46Networks for connecting several sources or loads, working on different frequencies or frequency bands, to a common load or source
    • H03H7/463Duplex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70Multiple-port networks for connecting several sources or loads, working on different frequencies or frequency bands, to a common load or sour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70Multiple-port networks for connecting several sources or loads, working on different frequencies or frequency bands, to a common load or source
    • H03H9/72Networks using surface acoustic waves
    • H03H9/725Duplex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0Circuit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for the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13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Abstract

전기적 컴포넌트, 구체적으로 다이플렉서 또는 듀플렉서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배열이 기판 저면 상의 터미널 면들에 대해 제공되고, 구체적으로 다이플렉서 또는 듀플렉서의 제 1 및 제 2 필터들에 대한 터미널 면들이 서로에 대해 최대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및 제 2 필터들은 기판 상의 하나 또는 두 개의 개별적인 컴포넌트로서 배치될 수 있으며, 하나의 필터는 다층 기판 내에 직접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적 컴포넌트{ELECTRICAL COMPONENT}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필터를 포함하는 전기적 컴포넌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공통 기판에 구현되거나 장착되는 다이플렉서(diplexer) 또는 듀플렉서(duplexer)에 관한 것이다.
유익한 풋프린트(footprint)를 포함하는 듀플렉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WO 2007/059735 A로부터 잘 알려진 기술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타입의 컴포넌트에 대한 개선된 피닝(pinning) 또는 풋프린트(footprint)를 제공하여, 컴포넌트의 전기적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컴포넌트의 추가적인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 1항의 특징을 가지는 컴포넌트에 의해 달성된다. 컴포넌트의 유익한 실시예는 다른 청구항에서 발견된다.
전기적 컴포넌트가 기술되며, 이는 공통 기판에 구현되거나 장착되는 제 1 및 제 2 필터를 포함한다. 기판은 두 필터 모두가 병렬로 연결되는 공통 신호 연결부를 기판의 저면에 구비한다. 제 1 및 제 2 필터를 위한 제 1 및 제 2 필터 연결부 또한 저면에 제공된다. 모든 신호 또는 저면의 필터 연결부는 신호를 전달하는 개별적인 터미널 면을 특징으로 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인가되는 신호가 접지에 대해 상호 간에 평형인 한 쌍의 터미널 면들로 특징을 가지며, 상기 터미널 면은 필터 또는 컴포넌트로의 각각의 연결부를 구현한다. 복수의 접지 터미널 면은 또한 저면 상에 배치된다. 접지 터미널 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코너부분에 배치되고, 필터 연결부의 터미널 면보다 신호 연결부의 터미널 면으로부터 더 멀리 이격되어 있다. 다른 말로, 신호 연결부의 터미널 면과 필터 연결부의 터미널 면 간의 거리는 코너부분의 접지 터미널 면과 신호 연결부의 터미널 면 간의 거리보다 더 작다. 대체로, 풋프린트는 기판의 가장자리 근처에 배치된 적어도 7 개의 터미널 면들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기판은 사각형 형태이고, 터미널 면은 전술한 터미널 면의 타입들 중 하나와 관련된다.
각각이 상기 연결부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터미널 면을 구비하는 세 가지 서로 다른 연결부들은 전기적 컴포넌트에 제공되고, 제공된 나머지 터미널 면들은 접지 터미널 면들이다. 컴포넌트에는, 신호 터미널 면까지의 최대 거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지 터미널 면이 존재하며, 상기 거리는 신호 연결부 임의의 필터 연결부 간의 최대 거리보다 더 크거나 같다. 이는 모든 필터 연결부들이 신호 연결부까지의 최대 거리를 포함하지는 않음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포넌트는 기판의 저면에 터미널 면들을 적어도 3 X 3의 그리드에 대응하는 배열로 포함한다. 이를 위해, 터미널 면들은 행 및/또는 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배열은 대칭적일 필요는 없다. 각각의 열(column) 및/또는 행(row)은 다른 행 및/또는 열들보다 더 많은 수의 터미널 면들을 구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터미널 면은 구체적으로 서로 다른 사이즈를 가질 수도 있다. 접지 터미널 면이 신호 및/또는 필터 터미널 면보다 더 넓은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효과적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컴포넌트는 인가되는 신호가 접지에 대해 서로 평형인 한 쌍의 전기적 터미널 면들을 포함하며, 상기 쌍의 두 터미널 면들은 서로에 대해 직접적으로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컴포넌트는 또한 인가되는 신호가 접지에 대하여 서로 평형인 둘 또는 세 쌍의 터미널 면들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각 쌍의 터미널 면들은 서로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인접하여 배치된다.
모든 신호 및 필터 터미널 면들이 기판의 저면 상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효과적이다. 그리고 나서, 적어도 하나의 접지 터미널 면은 중앙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터미널 면은 적어도 3 X 3 사이즈인 터미널 면들의 어레이에서 외측을 지향하는 행 및/또는 열 중 하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터미널 면은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된 것으로 간주된다. 그리고 나서, 기판의 외측 경계가 이어지며, 다시 말해, 신호 연결부와 각각의 필터 연결부 사이, 그리고 제 1 필터 연결부와 제 2 필터 연결부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접지 터미널 면이 가장자리 영역에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접지 터미널 면의 표면적은 바람직하게 신호 또는 필터 터미널 면의 표면적을 초과하여, 그 결과 개선된 접지 연결부가 보다 큰 금속화에 의해 단독으로 제공된다.
보다 적은 면적의 필터 연결부는 상기 면적과 관련된 더 낮은 커패시턴스를 야기하여, 상기 터미널 면은 보다 낮은 용량성 결합(capacive coupling)을 유발할 수 있다.
일 변화에 따르면, 신호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의 터미널 면은 기판 가장자리 중 하나의 중앙에 배치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신호 연결부가 배치된 터미널 면들의 행은 신호 연결부의 양측에 적어도 두 개의 접지 터미널 면을 포함하고, 따라서, 적어도 총 세 개의 터미널 면들을 포함한다.
컴포넌트는 바람직하게 다이플렉스 또는 듀플렉스로서 형성된다. 이 경우, 신호 연결부는 안테나 연결부에 연결되거나, 그 자체로 안테나 연결부를 구현한다. 따라서, 두 개의 필터 연결부들은 필터 입력부 및/또는 필터 출력부를 형성한다.
접지 연결부를 개선하기 위해, 각각의 접지 연결부 또는 각각의 접지 터미널 면은 복수의 경로에 의해 두 개의 필터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둘 모두의 필터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접지 연결부들의 유도성(inductivity)은 또한 최소화된다. 반면, 신호 및 필터 연결부의 터미널 면들은 각각 오직 하나만에 의해 대응하는 필터에 효과적으로 연결된다.
일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는 인가되는 신호가 접지에 대하여 상호 간에 평형인 한 쌍의 터미널 면들을 포함하고, 신호 연결부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신호 연결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상기 한 쌍의 터미널 면은 다른 쌍의 터미널 면보다 더 작은 표면적을 포함한다. 이는 보다 짧은 거리에서 보다 커지는 경향이 있는 서로 다른 터미널 면들 간의 용량성 결합(capacitive coupling)이 작은 면적에 의해 또 다시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연결부 쌍의 터미널 면들 둘 모두는 신호 연결부 또는 신호 터미널 면에 대해 대략 동일한 결합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접지를 개선하기 위해, 접지 터미널 면들 중 적어도 두 개는 기판의 저면에서 상호 간에 직접 전기적 전도성을 가지면서 연결된다. 이는 저면에 적용된 전도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지는 "확대되고(enlarged)" 접지 연결부의 퀄리티에 대해 발생가능한 임의의 차이점은 전기적 연결부에 의해 레벨이 조절되고 따라서 그에 따라 보상된다.
컴포넌트의 연결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판을 통해 통과하는 경로에 의해 대응하는 필터에 연결된다. 각각의 필터 연결부에 대해, 상기 필터 연결부에 연결된 경로는 동일한 필터의 접지 연결부에 연결된 경로에 인접하여 직접적으로 경로가 설정되며, 필터 연결부로 향하는 경로의 거리는 다른 경로로의 경로의 거리보다 더 크다. 이러한 방식으로, 신호 경로 및 접지 경로에 의해 형성된 전류 루프는 최소의 단면적을 포함하고, 따라서, 최소의 유도성 결합이 발생된다.
중앙 영역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접지 터미널 면이 제공될 수 있으며, 그 면적은 다른 터미널 면들의 면적보다 더 크다. 이러한 방식으로, 개선된 차폐(shielding)가 서로 다른 필터와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된 신호 연결부들의 터미널 면 사이에 제공된다.
서로 다른 필터들에 대한 대응하는 필터 연결부가 기판의 마주보는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경우, 제 1 및 제 2 필터 또는 그 필터 터미널 면들 간의 우수한 디커플링(decoupling)이 달성된다. 그리고 나서, 신호 연결부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터미널 면은 기판의 제 3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컴포넌트는 인가되는 신호가 접지에 대해 상호 간에 평형인 하나, 둘 또는 세 개의 연결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가되는 신호가 접지에 대해 평형인 터미널 면들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그를 위해 요구되는 터미널 면들의 개수 역시 증가한다. 인가되는 신호가 접지에 대해 평형인 하나의 연결부를 구비하는 컴포넌트는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7 개의 터미널 면들을 필요로 하거나, 또는 추가적인 접지 터미널 면이 반대쪽에 제공된다고 가정하면, 실제로 8 개의 터미널 면들을 필요로 한다.
인가되는 신호가 접지에 대해 평형인 두 개의 연결부들을 구비하는 컴포넌트는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8 개의 터미널 면들을 필요로 하며, 인가되는 신호가 접지에 대해 평형인 세 개의 연결부들을 구비하는 컴포넌트는 적어도 9 개의 그러한 터미널 면들을 필요로 한다. 또한, 효과적으로 제공되고 중앙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접지 터미널 면이 제공되어, 그 결과 대응하는 전체 개수의 터미널 면들이 제공된다.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이러한 터미널 면들이 그들의 배열 또는 그리드에 대하여 서로에 대해 대칭적인 경우 효과적이며, 적어도 하나의 대칭 면이 유리하게 제공된다.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된 터미널 면들은 적어도 세 개의 행 및/또는 열로 배치되지만, 바람직하게 최대 네 개의 터미널 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면은 오로지 개략적인 것이며, 그 축척은 진정한 것이 아니므로, 그로부터 절대적인 치수뿐만 아니라 상대적인 치수를 결정할 수는 없다.
도 1a 내지 도 1c는 컴포넌트의 세 가지 서로 다른 실시예들을 개략적인 단면으로 도시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인가되는 신호가 접지에 대하여 배타적으로 불평형인 연결부들을 구비하는 컴포넌트의 터미널 면들을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인가되는 신호가 접지에 대해 평형인 연결부를 구비하는 컴포넌트의 터미널 면들의 배열을 도시한다.
도 4a 내지 도 4f는 인가되는 신호가 접지에 대해 평형인 두 개의 연결부들을 구비하는 컴포넌트의 터미널 면들의 배열을 도시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인가되는 신호가 접지에 대해 평형인 세 개의 연결부들을 구비하는 컴포넌트의 터미널 면들의 배열을 도시한다.
전기적 컴포넌트는 저면에 지시된 터미널 면들(terminal surfaces)를구비하는 공통 기판(S)을 특징으로 구비한다. 제 1 및 제 2 필터(F1, F2)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S)의 표면에 분리된 개별적인 컴포넌트로서 배치될 수 있으며, 전기 전도적으로 연결된다. 기판(S)은 적어도 하나의 유전층을 포함하며, 이는 저면에 터미널 면들을 구비하고 상면에 필터 또는 필터들을 위한 접촉면들을 구비한다. 상면 및 저면은 연결부들에 의해 전기 전도적으로 연결되고, 구체적으로 기판의 내부에 경로가 설정된 표시된 경로들(V)(도 1에서 점선으로 도시됨)에 의해 연결된다. 기판은 다수의 층들을 구비하도록 유리하게 형성되며, 회로를 구현할 수 있는 구조화된 금속피복을 구비한 금속피복면이 두 개의 유전층들 사이에 매번 배치된다. 기판은 회로 보드 물질, 폴리머, 또는 세라믹으로 제조될 수 있고, 저왜곡 LTCC(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 세라믹 또는 HTCC(High Temperature Cofired Ceramic) 세라믹으로 유리하게 형성된다.
기판(S)의 다층 설계는 또한 금속피복면에 금속 면과 전도체를 대응하도록 구조화함으로써 기판에 수동 소자 기능들을 집적할 수 있다. 따라서, 다층 기판이 저항 뿐만 아니라 커패시턴스 및 인덕턴스를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동 소자는 또한 적절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어, 상호연결은 컴포넌트 기능을 구비하는 추가적인 회로를 구현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적된 LC 엘리먼트(인덕터 및 커패시터)를 사용하여 단순한 필터 회로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두 개의 필터들 중 어느 하나(F2)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S)에 집적되어 LC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그러한 컴포넌트를 제외하고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다른 필터(F1)는 바람직하게 기판의 표면에 장착된 개별적인 필터 컴포넌트로서 구현된다. 도 1b는 기판에 직접된 제 2 필터(F2)를 구비하는 그러한 배열을 도시하고, 제 1 필터(F1)는 기판 상에 장착된다.
또한, 두 개의 필터들이 공통 압전 필터 기판(FS)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S)의 표면 상에 장착된다.
모든 실시예에 대해, 필터와 터미널 면 상호 간을 연결하는 경로는 바람직하게 직선 라인으로 기판(S)을 통해 경로가 설정된다. 그러나, 필터와 터미널 면 간의 연결은 적어도 두 개의 부분적인 경로들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으며, 각각은 다층 기판의 층들의 일부만을 관통하고, 금속피복면 내에 배치된 횡행 세그먼트(transverse segment)에 의해 서로 간에 연결된다. 따라서, 부분 경로들은 서로에 대해 횡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오프셋될 수 있다.
도 2는 인가되는 신호가 접지에 대해 불평형인 배타적인 연결부들을 구비하는 컴포넌트에 대한 기판 저면 상의 터미널 면들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의 모든 실시예들에서, 3 X 3의 터미널 면들의 배열이 도시된다. 그러나, 더 많은 수의 터미널 면들이 제공될 수도 있지만, 이는 터미널 면의 사이즈가 줄어들거나 및/또는 저면에 요구되는 영역을 더 차지할 수 있다.
도 2a에 따른 실시예에서, 신호 연결부에 할당된 터미널 면(SA)은 상부 도면에 도시된 기판 가장자리의 중앙에 배치된다. 제 1 및 제 2 필터 각각은 필터 연결부(FA1, FA2)를 구비하고, 이는 기판 저면의 양측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 그 중앙에 배치된다. 중앙에 배치된 모든 터미널 면들은 가장자리를 따라 양측에서 접지 터미널 면들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 터미널 면(MA)은 또한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다시 말해, 가장자리에 인접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b는 대체적인 배열을 도시하며, 이는 제 1 및 제 2 필터들에 대한 각각의 터미널 면(FA1, FA2)은 기판 저면의 마주보는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필터 연결부(FA1)는 중앙에 배치되고, 반대로, 상기 제 2 필터 연결부(FA2)는 우하단 코너부에 배치된다. 신호 연결부에 할당된 터미널 면(SA)은 제 3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그 중앙에 배치된다. 3 X 3 그리드 중 빠진 지점에, 접지 터미널 면(MA)이 제공되며, 도 2b 및 도 2c에서는 더 이상 특별히 나타나지 않는다. 비록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된 모든 터미널 면들이 여기에서 동일한 사이즈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들은 사이즈가 서로 다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 연결부(SA)에 더 인접하여 배치된 제 1 필터에 대한 터미널 면은 신호 터미널 면(SA)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배치된 제 2 필터(F2)의 터미널 면(FA2)보다 더 작은 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도 2c에 따른 배열에서, 제 1 및 제 2 필터의 터미널 면들에 대한 위치는 교환되었으며, 상기 배열은 거울 이미지이다.
도 3은 인가되는 신호가 접지에 대해 평형인 오직 하나의 연결부를 구비하는 컴포넌트에 대한 터미널 면들의 배열을 도시한다. 인가되는 신호가 접지에 대해 평형인 상기 하나의 연결부는 제 1 필터(F1), 제 2 필터(F2) 또는 신호 연결부에 할당될 수 있고, 그 결과 두 개의 터미널 면을 포함한다. 인가되는 신호가 접지에 대해 평형인 연결부의 두 터미널 면들 모두는 바람직하게 서로에 대해 직접적으로 인접하여 형성되고, 동일한 사이즈로 구성된다. 그러나, 동일한 연결부의 서로 다른 터미널 면들(인가되는 신호가 접지에 대해 평형인)은 서로 다른 표면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3a는 인가되는 신호가 접지에 대해 평형이 아닌 제 1 필터(F1)를 위한 연결부(FA1)를 구비하는 배열을 도시하며, 상기 연결부는 기판 가장자리의 중앙에 배치되고, 인가되는 신호가 접지에 대해 평형인 제 2 필터(F2)를 위한 연결부(FA2)는 기판의 반대쪽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신호 연결부(SA)를 위한 터미널 면은 제 3 가장자리의 중앙에 배치된다. 도 3b는 인가되는 신호가 접지에 대해 평형인 연결부가 제 1 필터에 할당된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배열은 3 X 3 그리드를 기반으로 한다. 반면, 도 3c에서, 신호 연결부는 인가되는 신호가 접지에 대해 평형으로 형성되고, 따라서 가장자리의 중앙에 배치된 두 개의 터미널 면들(SA)을 포함한다. 필터 연결부(FA1, FA2)는 제 2 및 제 3 가장자리에서 서로 간에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바람직하게 중앙에 배치되고, 접지 터미널 면들(MA)에 의해 양측에서 에워싸진다. 하나의 접지 터미널 면 또는 대칭을 위한 두 개의 접지 터미널 면들(미도시)은 신호 터미널 면들(SA)의 반대쪽 가장자리에서 제공될 수 있다. 접지 터미널 면들이 상호 간에 연결될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모든 실시예에서 직접적으로 인접한 작은 접지 터미널 면들을 하나의 큰 접지 터미널 면에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인가되는 신호가 접지에 대해 평형인 두 개의 연결부들을 구비하는 컴포넌트에 대한 기판 저면 상의 터미널 면들의 배열을 도시한다. 도 4a에서, 제 1 및 제 2 필터 연결부(FA1, FA2)는 각각 인가되는 신호가 접지에 대해 평형으로 형성되고, 양측 마주보는 기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인가되는 신호가 접지에 대해 평형인 두 터미널 면들 모두는 직접적으로 서로에 대해 인접하게 구성된다. 인가되는 신호가 접지에 대해 평형이 아닌 신호 연결부는 제 3 가장자리의 중앙에 제공된다. 제 1 및 제 2 필터 연결부(FA1, FA2)가 각각 기판 가장자리를 따라 양측에서 접지 터미널 면에 인접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간에 인접하여 배치된 터미널 면들의 개수는 네 개이며, 이들은 두 개의 마주보는 측면에 적용된다. 신호 연결부(SA)를 구비하는 기판 가장자리는 반대쪽 기판 가장자리가 그러하듯, 평행하게 배치된 세 개의 터미널 면들만을 포함한다.
도 4b에서, 신호 연결부(SA) 및 제 2 필터 연결부(FA2)는 인가되는 신호가 접지에 대해 평형으로 형성되고, 반대로, 제 1 필터 연결부(FA1)는 인가되는 신호가 접지에 대해 평형이 아니다. 동일한 구성이 도 4c에 따른 배열이 적용된다. 도 4b 및 도 4c는 도 4c에서 인가되는 신호가 접지에 대해 평형이 아닌 필터 연결부(FA1)가 도 4b에 비해 신호 연결부(SA)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는 점에서 서로 간에 상이하다. 이는 제 1 필터 연결부(FA1)가 네 개의 터미널 면들을 포함하는 열(column)에서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달성된다.
도 4d 및 도 4e에서, 신호 연결부(SA) 및 제 1 필터 연결부(FA1)는 인가되는 신호가 접지에 대해 평형으로 설계되고, 반면, 제 2 필터 연결부(FA2)는 인가되는 신호가 접지에 대해 평형이 아니다. 도 4b 및 도 4c에 따른 한 쌍의 가능한 배열들과 유사하게, 도 4d 및 도 4e에 따른 배열들은 인가되는 신호가 접지에 대해 평형이 아닌 제 2 필터 연결부(FA2)의 위치가 상이하며, 상기 제 2 필터 연결부는 도 4d에서보다 도 4e에서 신호 연결부(SA)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다.
도 4f는 또 다른 가능예를 도시하며, 제 1 및 제 2 필터 연결부(FA1, FA2)는 인가되는 신호가 접지에 대해 평형으로 형성되고, 반면 신호 연결부(SA)는 인가되는 신호가 접지에 대해 평형이 아니다. 모든 연결부의 타입들은 기판 가장자리를 따라 중앙에 배치되고, 제 1 및 제 2 필터 연결부는 양측의 마주보는 기판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신호 연결부(SA)에 대한 터미널 면은 제 3 기판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비록, 전술한 바와 같이, 터미널 면의 대칭성이 절대적으로 요구되지 않더라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다 적은 수의 터미널 면들은 다른 실시예들에 비해 도 4f에서 대칭성의 이유로 인해 그와 같이 도시된다. 도 4에 도시된 모든 실시예들은 기판 저면의 중앙 영역에 중앙 배치된 접지 터미널 면(MA)을 특징으로 가지며, 3 X 4 또는 4 X 4 그리드로 구성된 둘 내지 네 개의 그리드 지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인가되는 신호가 접지에 대해 평형인 세 개의 연결부들을 구비하는 컴포넌트에 대한 세 가지 서로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 5a에서, 제 1 및 제 2 필터 연결부(FA1, FA2)는 서로 간에 마주보며 배치되고, 각각 기판의 가장자리에서 중앙에 배치된다. 신호 연결부(SA) 역시 제 3 기판 가장자리의 중앙에 배치된다. 도 5b에서, 제 2 필터 연결부(FA2)의 두 개의 터미널 면들은 제 1 필터 연결부(FA1)의 터미널 면들보다 신호 연결부(SA)로부터 더 멀리 이격되어 있다. 도 5c에 따른 배열에서, 제 1 필터 연결부(FA1)의 터미널 면들은 제 2 필터 연결부(FA2)의 터미널 면들보다 신호 연결부(SA)로부터 더 멀리 이격되어 있다. 도 5b 및 도 5c에 따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경우 하나의 필터 연결부는 기판 저면의 코너부에 배치되고, 도 4 및 도 5a에 따른 모든 실시예들에서 기판 저면의 모든 코너부들은 접지 터미널 면들에 의해 점유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도시된 터미널 면들의 배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거의 모든 실시예들에서, 보다 많거나 보다 적은 수의 터미널 면들이 제공될 수 있고, 복수의 터미널 면 사이즈들이 제공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서로 다른 사이즈를 가진 적어도 두 개의 터미널 면들은 하나의 컴포넌트에서 제 1 및 제 2 필터 연결부에 대해 구현되거나 및/또는 신호 연결부에 대해 구현된다. 넓은 접지 터미널 면의 장점은 이미 기술되었으며, 그 결과 상기 장점은 대응하여 확장된 접지 터미널 면들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면의 배열을 포함하는 컴포넌트는 최대의 선택성 및 절연성을 위해 최적화될 수 있다. 여기서, 50 dB보다 큰 절연 레벨은 그에 의해 달성되며, 신호 경로를 따르고 그들 사이에 형성된 전자기적 혼선이 최소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안된 배열은 최초로 엄격한 구성으로부터 벗어난 구성이며, 구체적으로 기판 저면 상의 터미널 면들의 배열들을 규정하며, 이는 그들의 사이즈, 개수 및 배열이 혼선을 최소화하기 위해 컴포넌트 설계에서 최초로 고려되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컴포넌트를 사용하면, 3.5 mm X 3.5 mm보다 더 작은 컴포넌트 사이즈 또는 그에 따른 작은 컴포넌트 면적이 사각형의 실시예에서 달성될 수 있다. 잘 알려진 터미널 면 배열을 위한 최적화 목표와 반대로, 제 1 및 제 2 필터 연결부에 대한 연결은 서로에 대해 최대 거리로 이격되지는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로에 대해 우수하게 절연되고, 그 결과 컴포넌트는 높은 선택성과 우수한 절연성을 달성한다.
S: 기판
FS: 필터 기판
F1: 제 1 필터
F2: 제 2 필터
SU: 기판
SA: 신호 터미널 면
FA: 필터 터미널 면
MA: 접지 터미널 면
FS: 공통 필터 기판
V: 경로

Claims (13)

  1. 전기적 컴포넌트에 있어서,
    사각형 저면을 가지는 기판;
    기판내에 구현되거나 기판 상에 장착된 제 1 필터;
    기판내에 구현되거나 기판 상에 장착된 제 2 필터;
    신호 연결부로서, 상기 제 1 필터 및 제 2 필터 양자가 신호 연결부에 병렬 연결된, 신호 연결부;
    제 1 필터에서의 제 1 필터 연결부;
    제 2 필터에서의 제 2 필터 연결부;및
    기판의 저면에 배치된 복수의 접지 터미널 면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 연결부, 상기 제 1 필터 연결부 및 상기 제 2 필터 연결부는 기판의 저면에 배치되고, 각각 신호를 전달하는 개별 터미널 면 또는 인가되는 신호가 접지에 대해 서로 평형인 한 쌍의 터미널 면들이 할당되어, 각 컴포넌트의 연결부를 구현하며,
    모두 합쳐 적어도 7개의 터미널 면들이, 기판의 가장 자리로부터 간격을 가지고 기판의 가장 자리 근처에 배치되고, 적어도 7개의 터미널 면들은, 한 쌍의 터미널 면 또는 개별 터미널 면과, 복수의 접지 터미널 면을 포함하고,
    복수의 접지 터미널 면 중 적어도 하나는, 기판 저면에서 코너에 배치되고, 제 1 필터 연결부 및 제 2 필터 연결부의 터미널 면들 중 하나에서 보다 신호 연결부의 터미널 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더 멀리 떨어지고,
    각 접지 터미널 면은, 하우징 내의 금속 피복에 연결될 수 있고, 또는 각 접지 터미널 면이 복수의 경로들에 의해 제 1 필터 및 제 2 필터 중 하나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 단일 경로에 의해 접지 연결되는 경우의 인덕턴스보다 접지 연결의 인덕턴스가 작고,
    제 1 필터 연결부와 제 2 필터 연결부의 각 터미널 면은 하나의 단일 경로에 의해 대응하는 제 1 필터와 제 2 필터에 연결되고,
    신호 연결부의 각 터미널 면은 복수의 부분 경로를 이용하여 제 1 필터 및 제 2 필터에 연결되고, 복수의 부분 경로 각각은 복수의 유전층을 포함하는 기판의 부분을 관통하고, 복수의 부분 경로들은 기판의 복수의 유전층들 중 인접한 유전층들 사이에서 금속 피복면 내에 배치된 횡행 세그먼트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전기적 컴포넌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저면에 적어도 3 X 3의 터미널 면들의 배열을 포함하는 전기적 컴포넌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연결부 그리고 제 1 및 제 2 필터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는 인가되는 신호가 접지에 대해 서로 평형인 한 쌍의 터미널 면들을 포함하고,
    각 쌍의 두 터미널 면들은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에서 서로 간에 직접적으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전기적 컴포넌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연결부 그리고 제 1 및 제 2 필터 연결부들로부터 선택된 모든 터미널 면들은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고,
    접지 터미널 면은 서로 다른 연결부들의 터미널 면들 사이에 배치되는 전기적 컴포넌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 근처에 배치된 상기 터미널 면들은 상기 터미널 면들에 대해 근접하여 배치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접지 터미널 면을 상기 기판 저면의 중앙을 향하는 방향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전기적 컴포넌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터미널 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신호 연결부 또는 제 1 또는 제 2 필터 연결부의 터미널 면보다 더 넓은 영역을 가지는 전기적 컴포넌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연결부는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들 중 하나에서 중앙에 배치되는 전기적 컴포넌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연결부는 안테나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필터 연결부는 필터 입력부 또는 출력부로서 형성되고,
    상기 컴포넌트는 다이플렉서(diplexer) 또는 듀플렉서(duplexer)를 구현하는 전기적 컴포넌트.
  9. 제 1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필터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는 인가되는 신호가 접지에 대해 서로 평형인 한 쌍의 터미널 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 면들은 상기 신호 연결부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기판 저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신호 연결부에 보다 근접하여 배치된 터미널 면은 각각 다른 터미널 면보다 더 작은 면적을 포함하는 전기적 컴포넌트.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저면 상의 상기 접지 터미널 면들 중 적어도 둘은 서로 간에 전기가 도통하도록 연결되는 전기적 컴포넌트.
  11. 제 1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필터 연결부에 연결된 각각의 경로는 접지 연결부에 연결된 타 경로에 직접적으로 인접하여 경로가 형성되고, 제 1 필터 연결부에 연결된 경로와 제 2 필터 연결부에 연결된 경로간의 거리는, 제 1 필터 연결부 및 제 2 필터 연결부 중 일 필터 연결부에 연결된 경로와 상기 일 필터 연결부에 연결된 상기 경로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접지 연결부에 연결된 타 경로간의 거리보다 큰, 전기적 컴포넌트.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필터 연결부의 터미널 면들은 상기 기판의 마주보는 양측 가장자리들에 배치되고, 상기 신호 연결부에 할당된 하나 또는 두 개의 터미널 면은 제 3 기판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전기적 컴포넌트.
  13. 제 1항에 있어서,
    인가되는 신호가 접지에 대해 서로 평형인 둘 또는 세 개의 연결부들이 제공되는 전기적 컴포넌트.
KR1020157013747A 2007-09-28 2008-09-26 전기적 컴포넌트 KR1016060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46728.3 2007-09-28
DE102007046728A DE102007046728B4 (de) 2007-09-28 2007-09-28 Elektrisches Bauelement
PCT/EP2008/062971 WO2009043825A1 (de) 2007-09-28 2008-09-26 Elektrisches bauelemen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8828A Division KR101598639B1 (ko) 2007-09-28 2008-09-26 전기적 컴포넌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911A KR20150065911A (ko) 2015-06-15
KR101606000B1 true KR101606000B1 (ko) 2016-03-23

Family

ID=4027902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8828A KR101598639B1 (ko) 2007-09-28 2008-09-26 전기적 컴포넌트
KR1020157013747A KR101606000B1 (ko) 2007-09-28 2008-09-26 전기적 컴포넌트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8828A KR101598639B1 (ko) 2007-09-28 2008-09-26 전기적 컴포넌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019038B2 (ko)
JP (1) JP5350387B2 (ko)
KR (2) KR101598639B1 (ko)
DE (1) DE102007046728B4 (ko)
WO (1) WO20090438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21920B2 (ja) * 2011-04-22 2014-11-1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回路モジュール
JP6597541B2 (ja) 2016-09-26 2019-10-3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9860B1 (en) 2000-05-29 2002-12-03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Surface acoustic wave duplexer with first and second package ground patterns
US20070018754A1 (en) 2005-07-22 2007-01-25 Tdk Corporation High frequency electronic component
US20070222540A1 (en) 2006-03-24 2007-09-27 Kabushiki Kaisha Toshiba Antenna sharing device and portable telephon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82876B2 (ja) * 1997-06-30 2007-09-2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弾性表面波装置
US6294966B1 (en) * 1999-12-31 2001-09-25 Hei, Inc. Interconnection device
TW591978B (en) * 2000-03-15 2004-06-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Laminated electronic components
US6617716B2 (en) * 2000-12-14 2003-09-09 Denso Corporation Rotary electric machine having stator coolant passage means
JP3791333B2 (ja) * 2000-12-28 2006-06-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高周波スイッチ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実装した高周波機器
JP4000960B2 (ja) 2001-10-19 2007-10-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分波器、通信装置
JP3818896B2 (ja) 2001-11-26 2006-09-06 富士通メディアデバイス株式会社 分波器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装置
ATE362674T1 (de) 2002-05-16 2007-06-15 Tdk Corp Antennenweiche
WO2006016544A1 (ja) * 2004-08-11 2006-02-16 Murata Manufacturing Co., Ltd. デュプレクサ及び通信装置
DE102005056340A1 (de) 2005-11-25 2007-05-31 Epcos Ag Mit akustischen Wellen arbeitendes Bauele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9860B1 (en) 2000-05-29 2002-12-03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Surface acoustic wave duplexer with first and second package ground patterns
US20070018754A1 (en) 2005-07-22 2007-01-25 Tdk Corporation High frequency electronic component
US20070222540A1 (en) 2006-03-24 2007-09-27 Kabushiki Kaisha Toshiba Antenna sharing device and portable tele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07704A1 (en) 2010-08-19
JP2010541358A (ja) 2010-12-24
DE102007046728A1 (de) 2009-04-09
WO2009043825A1 (de) 2009-04-09
KR20150065911A (ko) 2015-06-15
KR20100076985A (ko) 2010-07-06
US9019038B2 (en) 2015-04-28
US20150048900A1 (en) 2015-02-19
KR101598639B1 (ko) 2016-02-29
US9641150B2 (en) 2017-05-02
JP5350387B2 (ja) 2013-11-27
DE102007046728B4 (de) 201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25582B2 (ja) 高周波モジュール
JP5784265B2 (ja) 周期的な電磁バンドギャップ構造を使用する改良されたフリップチップmmcボード上性能
US7423500B2 (en) Low-pass filter capable of preventing unnecessary electromagnetic coupling
KR100880800B1 (ko) 고주파 모듈
JP4539422B2 (ja) チップ型多段フィルタ装置
KR20070088598A (ko) 적층 필터 및 전자부품
EP1698033A2 (en) Internally shielded energy conditioner
EP2785155B1 (en) Circuit board and electronic device
US7369018B2 (en) Dielectric filter
KR20130037691A (ko) 전기 이중 필터 구조 및 이의 다층 구현
CN107404300B (zh) 层叠型电子部件
US8860531B2 (en) Filter having electrical circuit arrangement with concentrated elements in multi-layer substrates
KR101606000B1 (ko) 전기적 컴포넌트
JP3955138B2 (ja) 多層回路基板
US11496106B2 (en) Filter module
US7782157B2 (en) Resonant circuit, filter circuit, and multilayered substrate
US6359532B1 (en) Energy trapping type piezoelectric filter with a shielding conductive member on a bottom insulating base plate upper surface
JP5545363B2 (ja) 複合部品
US20050062557A1 (en) Laminated ceramic coupler
JP5084669B2 (ja) バンドパスフィルタ、これを用いた無線通信モジュール及び通信機器装置
US8872601B2 (en) Circuit module including a duplexer mounted on a circuit substrate having a specified second ground path
JP2004282175A (ja) ダイプレクサ内蔵配線基板
JP6406438B2 (ja) 回路基板
JP2023147842A (ja) 積層型フィルタ装置
JP6340801B2 (ja) ローパス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