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592B1 - 고압인버터 동기절체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고압인버터 동기절체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592B1
KR101605592B1 KR1020130168392A KR20130168392A KR101605592B1 KR 101605592 B1 KR101605592 B1 KR 101605592B1 KR 1020130168392 A KR1020130168392 A KR 1020130168392A KR 20130168392 A KR20130168392 A KR 20130168392A KR 101605592 B1 KR101605592 B1 KR 101605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lamp
voltage inverter
turning
tur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8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8732A (ko
Inventor
김경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8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592B1/ko
Priority to US14/570,929 priority patent/US9331611B2/en
Priority to EP14198236.3A priority patent/EP2897281B1/en
Priority to ES14198236T priority patent/ES2861955T3/es
Priority to JP2014263237A priority patent/JP6023160B2/ja
Priority to CN201410858197.2A priority patent/CN104753405B/zh
Publication of KR20150078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8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4/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motors that can be connected to two or more different electric power suppl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20Contact mechanisms of dynam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8Electronic means for switching from one power supply to another power supply, e.g. to avoid parallel connection

Abstract

고압인버터 동기절체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스위치 동작 및 고압인버터 동작상태를 확인하여 절체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제1램프를 점등하고, 절체동작에 대한 스위치 입력이 있는 경우 절체동작이 수행중임을 알리는 제2램프를 점등하고, 절체동작이 완료된 경우 이를 알리는 제3램프를 점등한다.

Description

고압인버터 동기절체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SYNCHRONOUS SWITCH CHANGE IN MEDIUM VOLTAGE INVERTER}
본 발명은 고압인버터 동기절체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압인버터 시스템에서, 인버터 출력전원과 상용전원간 절체동작 중에는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한 전기적 충격이 모터와 인버터 및 상용전원에 가해지게 된다.
전기적인 충격은 절체동작 중 상용전원 스위치와 인버터 스위치가 모두 오픈되는 구간일 경우 나타나는 순간단속 구간에 의해 발생한다. 모터에 입력되는 전압이 인버터 출력에서 상용전원으로 바뀌는 동안에 발생하는 전압에 의한 전기적 충격을 감소시키려면 인버터 출력과 상용전원의 크기와 위상을 동일하게 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 고압인버터의 동기절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종래 고압인버터 시스템에서, 리액터 후단에서 출력전압을 측정하고, 리액터에 의해 발생하는 전압의 위상지연을 고압인버터(100)가 보상한다. 이와 같이 상용전원과 인버터 출력전압이 동기화된 후 절체동작이 이루어지면, 전압차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적 충격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그러나, 도 1과 같은 종래의 고압인버터 동기절체는, 고압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므로, 스위치 동작이 잘못되면 고압 전원사고로 이어지기 쉽다.
또한, 고압인버터가 모터를 운전하는 도중 상용전원의 스위치가 온된 상태로 유지되면, 두 전원이 리액터 양단에 인가되는 상황이 일어나고 두 전원의 전압 차이에 의한 전류가 발생하여 고압인버터와 상용전원에 사고를 유발하게 되며, 전압 차이가 커 큰 전류가 흐르는 상황에서는 상용전원의 과전류 차단, 고압인버터의 과전류 고장 등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공개특허 제10-2013-0087840호(2013. 08. 0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고압인버터의 동기절체 동작상황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키기 위한 표시등을 제공하고, 이에 의해 고압인버터의 동기절체를 안전하게 제어하는 고압인버터 동기절체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압인버터에 연결된 제1스위치를 상용전원에 연결된 제2스위치로 절체하여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시스템을 제어하는,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제1스위치가 온이고, 상기 제2스위치가 오프인 것을 확인하고, 상기 고압인버터가 정상동작중인지 확인하여, 절체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제1램프를 점등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바이패스 모드로의 전환(상기 제1스위치를 상기 제2스위치로 절체)을 알리는 제3스위치의 입력과 절체시작을 요청하는 제4스위치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절체동작이 수행중임을 알리는 제2램프를 점등하는 단계; 상기 고압인버터 전류와 상기 모터의 전류를 동기화하는 단계; 상기 제2스위치를 온하고, 상기 제1스위치를 오프하는 단계; 및 절체동작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제3램프를 점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3램프의 점등과 함께 상기 고압인버터의 동작을 정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제어방법은, 절체를 오프하는 상기 제3스위치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3램프를 소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2램프의 점등과 함께 상기 제1램프를 소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3램프의 점등과 함께 상기 제2램프를 소등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용전원에 연결된 제1스위치를 고압인버터에 연결된 제2스위치로 절체하여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시스템을 제어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방법은, 상기 제1스위치가 온이고, 상기 제2스위치가 오프인 것을 확인하고, 상기 고압인버터가 정상동작중인지 확인하여, 절체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제1램프를 점등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인버터 모드로의 전환(상기 제1스위치를 상기 제2스위치로 절체)을 알리는 제3스위치의 입력과 절체시작을 요청하는 제4스위치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절체동작이 수행중임을 알리는 제2램프를 점등하는 단계; 상기 고압인버터 전류와 상기 모터의 전류를 동기화하는 단계; 상기 제2스위치를 온하고, 상기 제1스위치를 오프하는 단계; 및 절체동작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제3램프를 점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제어방법은, 절체를 오프하는 상기 제3스위치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3램프를 소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2램프의 점등과 함께 상기 제1램프를 소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3램프의 점등과 함께 상기 제2램프를 소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동기절체 준비완료, 진행 및 종료상황을 표시함으로써, 동기절체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하고, 동기절체를 안전하게 제어하게 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고압인버터의 동기절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고압인버터 동기절체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일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고압인버터 외부에 배치되는 동기절체 상태를 알리는 램프와 조작 스위치의 일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동기절체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 간략 흐름도이다.
도 5와 도 6은 동기절체 제어를 설명하는 타임차트를 나타내는 일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고압인버터 동기절체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일예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0)는 K2 스위치가 온이고, K3 스위치가 오프인 경우에는 인버터 모드로서, 고압인버터(20)로부터 전원을 입력받고, K2 스위치가 오프이고 K3 스위치가 온인 경우 바이패스(bypass) 모드로서, 상용전원을 입력받게 된다. 본 발명의 제어부(1)는, 조작스위치(40)로부터 사용자의 스위치 선택에 따른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인버터 모드와 바이패스 모드간 동기절체를 제어하고, 동시에 램프(30)의 점등을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동기절체 동작 상황을 열람가능하게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의 동작에 대해서는 추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제어부(1)가 고압인버터(20)의 외부 제어부인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제어부(1)는 고압인버터(20)의 내부에 마련되는 것이다. 또한, 램프(30) 및 스위치(40)도 고압인버터(20)의 외부 케이스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고압인버터 외부에 배치되는 동기절체 상태를 알리는 램프와 조작 스위치의 일예시도로서, 도 2의 램프(30)와 조작스위치(40)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동기절체 상태를 알리는 램프(30)는, 절체준비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제1램프(31), 절체중임을 알리는 제2램프(32) 및 절체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제3램프(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램프(31, 32, 33)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점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램프(31)는 노란색, 제2램프(32)는 빨간색, 제3램프(33)는 녹색으로 점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동기절체 제어방법은, 동기절체 동작 시퀀스를 정의함으로써 동기절체와 관련한 오작동을 방지하여 사고를 막고, 사용자가 동기절체의 동작상황을 쉽게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어방법의 동작 시퀀스는 바이패스 모드 절체 및 인버터 모드 절체로 정의되며, 각 시퀀스의 동작은 램프(30)를 통해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동작 시퀀스는 동기절체 기능이 동작하고 사용자의 명령을 기다리는 'READY' 상태에서 사용자가 기능동작 명령을 입력한 후 'RUN'상태로 전환된다. RUN 상태에서 동기절체(바이패스 모드와 인버터 모드의 절체)가 수행된다. 그리고, 동기절체가 완료되어 스위치의 동작이 완료되면 'END' 상태로 전환되고 동기절체 기능이 완료될 수 있다. 이때, READY 동작은 제1램프(31)에 의해, RUN 동작은 제2램프(32)에 의해, END 동작은 제3램프(33)에 의해 사용자가 인식가능하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동기절체 조작 스위치(40)는, 바이패스 모드 또는 인버터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제1동작스위치(41) 및 절체동작 시작을 선택하기 위한 제2동작스위치(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동작스위치(41)는, 바이패스 모드(BYPASS), 오프(OFF), 인버터 모드(INV)의 세가지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제2동작스위치(42)는 푸쉬 버튼 방식의 동기절체 시작 스위치로서, 바이패스 모드 또는 인버터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만 입력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및 제2스위치 방식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즉, 제2동작스위치(42)가 푸쉬 버튼 방식이 아닌 터치버튼 방식으로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스위치가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램프(30)와 조작 스위치(40)는 하나의 패널에 동시에 구성되어, 인버터(20) 또는 모터(10) 등의 외부에 부착될 수도 있겠지만, 별도의 패널에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동기절체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 간략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어부(1)는, 우선 동기절체와 관련하여, 다음의 사전점검을 수행한다(S10).
(1) 제어부(1)는, 고압인버터의 설정에서 동기절체 사용이 허가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2) 모터(10)에 인가되고 있는 전원의 종류를 확인하여, 스위치의 온 또는 오프상태를 확인하여 동기절체 모드를 판단한다. 이때, K2 스위치가 온이고, K3 스위치가 오프이면 동기절체는 바이패스 모드로 가능하고, 그 반대로 K2 스위치가 오프이고 K3 스위치가 온이면 인버터 모드로 가능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3) 제어부(1)는 고압인버터(20)가 정상운전중이며, 동기절체를 수행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
제어부(1)는, 위 (1) 내지 (3)을 만족하는 경우, 제1램프(31)를 점등하고, 사용자는 모드선택을 위한 제1동작스위치(41)의 전환과 동기절체 스타트를 위한 제2동작스위치(42)를 선택함으로써 동기절체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S15), 이때 제어부(1)는 동기절체를 시작할 수 있다(S20). 만약, 위 (1) 내지 (3) 중 어느 하나라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입력은 무시되며 동기절체 사전점검(S10)으로 유지된다.
동기절체가 시작되면(S20), 제어부(1)는 동기화를 수행하고 제2램프(32)를 점등한다.
즉, 동기절체 시작(S20)에서, 상용전원과 고압인버터(20) 출력전압을 동기화하고, K2 및 K3 스위치를 동작시킨다. S10에서 K2 스위치가 온, K3 스위치가 오프이고 고압인버터(20)가 정상운전중일 때 사용자가 제1동작스위치(41)를 바이패스 모드로 변경하고 제2동작스위치(42)를 누르면, 고압인버터(20)는 바이패스 모드로 동기절체를 수행하고, K2 스위치가 오프, K3 스위치가 온이고 고압인버터(20)가 정상운전중일 때 사용자가 제1동작스위치(41)를 인버터 모드로 변경하고 제2동작스위치(42)를 누르면 고압인버터(20)는 인버터 모드로 동기절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는 동기화가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10초) 이상 소모되는 경우, 동기화 실패로 간주하여, 초기 동기절체 사전점검(S10)으로 상태변경되고(S25), 사용자에게 동기화 실패 경고를 한다. 이를 위해, 알림부(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기화가 설정된 시간 이내에 완료되면 제어부(1)는 스위치 제어상태로 변경한다(S30). 이때, 제어부(1)는 스위치 제어를 준비한다.
고압인버터(20)가 S20에서 동기화를 완료한 경우, 제어부(1)는 K2 및 K3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태를 변경하게 한다(S35). 이 상태에서도 제2램프(32)가 점등될 수 있다.
즉, 제어부(1)는 바이패스 모드로 절체되는 경우 K3 스위치를 온하고, K2 스위치를 오프한다. 또는 제어부(1)는 인버터 모드로 절체되는 경우 K2 스위치를 온하고 K3 스위치를 오프한다.
이때, 스위치 상태변경이 소정 시간(예를 들어 200ms) 이내에 변경되지 않으면, 제어부(1)는 동기절체 실패로 인지하고 초기 시퀀스(S10)로 변경하며(S40), 사용자에게 경고한다.
K2 및 K3 스위치의 상태가 적절하게 변경되면 제어부(1)는 동기절체 종료상태로 변경된다(S45).
동기절체 종료상태에서, 제어부(1)는 동기절체 완료를 처리하고(S50), 초기화(S10)로 귀환한다. 이때, 제어부(1)는 제3램프(33)를 점등한다.
즉, 제어부(1)는 동기절체가 완료된 경우, 고압인버터(20)의 운전상태를 확인하여, 모드에 따라 바이패스 모드로 절체된 경우 고압인버터(20)를 정지하고, 인버터 모드로 절체된 경우 고압인버터(20)가 모터(10)를 운전하고 있는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확인결과, 제어부(1)는 운전상태가 정상이 아닌 경우 고장이 발생하였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확인한 운전상태가 정상인 경우 제3램프(33)를 점등하고, 사용자가 제1동작스위치(41)를 오프로 변경할 때까지 제3램프(33)의 점등을 유지한다. 사용자가 제1동작스위치(41)를 오프로 변경한 경우, S10으로 복귀하고 제3램프(33)를 소등하게 된다.
도 5와 도 6은 동기절체 제어를 설명하는 타임차트를 나타내는 일예시도로서, 도 5는 바이패스 모드로의 동기절체를, 도 6은 인버터 모드로의 동기절체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는, 고압인버터(20)의 동기절체 사용이 허가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K2 스위치가 온이고(5A), K3 스위치가 오프이고(5B), 또한 고압인버터(20)가 정상동작중인 것을 확인한 경우(5C), 제1램프(31)를 점등하여(5D), 절체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사용자가 제1동작스위치(41)를 바이패스 모드로 변경하고(5E), 제2동작스위치(42)를 선택한 경우(5F), 제어부(1)는 제1램프(31)를 소등하고 제2램프(32)를 점등하고(5G), 고압인버터(20)와 모터(10)의 전류의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5H).
동기화가 종료된 경우, 제어부(1)는 K3 스위치를 온하고(5I), K2 스위치를 오프하며(5J), 제어부(1)는 고압인터버(20)의 동작을 정지하고(5K), 제2램프(32)를 소등하고 제3램프를 점등한다(5L).
이후, 사용자가 제1동작스위치(41)를 바이패드 모드에서 오프로 상태를 변경하면(5M), 제어부(1)는 제3램프(33)를 소등할 수 있다(5N).
이와 같이, 제어부(1)는 인버터 모드에서 바이패스 모드로 절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와 같이 바이패스 모드에서 바이패스 모드로 동기절체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1)는 제어부(1)는, 고압인버터(20)의 동기절체 사용이 허가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K2 스위치가 오프이고(6A), K3 스위치가 온이고(6B), 또한 고압인버터(20)가 정상동작중인 것을 확인한 경우(6C), 제1램프(31)를 점등하여(6D), 절체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사용자가 제1동작스위치(41)를 인버터 모드로 변경하고(6E), 제2동작스위치(42)를 선택한 경우(6F), 제어부(1)는 제1램프(31)를 소등하고 제2램프(32)를 점등하고(6G), 고압인버터(20)와 모터(10)간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6H).
동기화가 종료된 경우, 제어부(1)는 K2 스위치를 온하고(6I), K3 스위치를 오프하며(6J), 제2램프(32)를 소등하고 제3램프를 점등한다(6K).
이후, 사용자가 제1동작스위치(41)를 인버터 모드에서 오프로 상태를 변경하면(6L), 제어부(1)는 제3램프(33)를 소등할 수 있다(6M).
이와 같이, 제어부(1)는 바이패스 모드에서 인버터 모드로 절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동기절체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은, 고압인버터가 고압인버터의 출력 스위치 K2와 상용전원 스위치 K3를 자동으로 제어한다. 제어기능이 오작동할 경우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는 READY로 표시된 경우에만 동기절체를 시작할 수 있으며, RUN으로 표시되는 경우 동기절체 동작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동기절체 준비완료, 진행 및 종료상황을 표시함으로써, 동기절체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하고, 동기절체를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제어부 10: 모터
20: 고압인버터 30: 램프
40: 조작 스위치

Claims (9)

  1. 고압인버터에 연결된 제1스위치를 상용전원에 연결된 제2스위치로 절체하여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가 온이고, 상기 제2스위치가 오프인 것을 확인하고, 상기 고압인버터가 정상동작중인지 확인하여, 절체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제1램프를 점등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바이패스 모드로의 전환(상기 제1스위치를 상기 제2스위치로 절체)을 알리는 제3스위치의 입력과 절체시작을 요청하는 제4스위치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절체동작이 수행중임을 알리는 제2램프를 점등하는 단계;
    상기 고압인버터 전류와 상기 모터의 전류를 동기화하는 단계;
    상기 제2스위치를 온하고, 상기 제1스위치를 오프하는 단계; 및
    절체동작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제3램프를 점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위치가 온이고, 상기 제2스위치가 오프인 것을 확인하고, 상기 고압인버터가 정상동작중인지 확인하여, 절체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제1램프를 점등하는 단계는,
    상기 고압인버터의 설정에서 동기절체 사용이 허가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스위치가 온이고, 상기 제2스위치가 오프인 것을 확인하여 동기절체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고압인버터가 정상동작중인지 확인하여 동기절체를 수행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고압인버터의 동기절체 사용 허가, 상기 동기절체 모드의 판단 및 상기 동기절체의 수행 가능이 모두 확인된 경우에만, 상기 제1램프를 점등하는 단계; 및
    상기 고압인버터의 동기절체 사용 허가, 상기 동기절체 모드의 판단 및 상기 동기절체의 수행 가능 중 어느 하나라도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무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램프의 점등과 함께 상기 고압인버터의 동작을 정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절체를 오프하는 상기 제3스위치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3램프를 소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램프의 점등과 함께 상기 제1램프를 소등하는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램프의 점등과 함께 상기 제2램프를 소등하는 제어방법.
  6. 상용전원에 연결된 제1스위치를 고압인버터에 연결된 제2스위치로 절체하여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가 온이고, 상기 제2스위치가 오프인 것을 확인하고, 상기 고압인버터가 정상동작중인지 확인하여, 절체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제1램프를 점등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인버터 모드로의 전환(상기 제1스위치를 제2스위치로 절체)을 알리는 제3스위치의 입력과 절체시작을 요청하는 제4스위치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절체동작이 수행중임을 알리는 제2램프를 점등하는 단계;
    상기 고압인버터 전류와 상기 모터의 전류를 동기화하는 단계;
    상기 제2스위치를 온하고, 상기 제1스위치를 오프하는 단계; 및
    절체동작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제3램프를 점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위치가 온이고, 상기 제2스위치가 오프인 것을 확인하고, 상기 고압인버터가 정상동작중인지 확인하여, 절체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제1램프를 점등하는 단계는,
    상기 고압인버터의 설정에서 동기절체 사용이 허가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스위치가 온이고, 상기 제2스위치가 오프인 것을 확인하여 동기절체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고압인버터가 정상동작중인지 확인하여 동기절체를 수행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고압인버터의 동기절체 사용 허가, 상기 동기절체 모드의 판단 및 상기 동기절체의 수행 가능이 모두 확인된 경우에만, 상기 제1램프를 점등하는 단계; 및
    상기 고압인버터의 동기절체 사용 허가, 상기 동기절체 모드의 판단 및 상기 동기절체의 수행 가능 중 어느 하나라도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무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절체를 오프하는 상기 제3스위치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3램프를 소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램프의 점등과 함께 상기 제1램프를 소등하는 제어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램프의 점등과 함께 상기 제2램프를 소등하는 제어방법.
KR1020130168392A 2013-12-31 2013-12-31 고압인버터 동기절체 제어방법 KR101605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392A KR101605592B1 (ko) 2013-12-31 2013-12-31 고압인버터 동기절체 제어방법
US14/570,929 US9331611B2 (en) 2013-12-31 2014-12-15 Method for controlling synchronous switch change in medium voltage inverter
EP14198236.3A EP2897281B1 (en) 2013-12-31 2014-12-16 Method for controlling change of a power source between an inverter and a utility power
ES14198236T ES2861955T3 (es) 2013-12-31 2014-12-16 Método para controlar el cambio de una fuente de energía entre un inversor y una red eléctrica
JP2014263237A JP6023160B2 (ja) 2013-12-31 2014-12-25 高圧インバータ同期切り替え制御方法
CN201410858197.2A CN104753405B (zh) 2013-12-31 2014-12-30 控制中压变频器中同步切换变化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392A KR101605592B1 (ko) 2013-12-31 2013-12-31 고압인버터 동기절체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732A KR20150078732A (ko) 2015-07-08
KR101605592B1 true KR101605592B1 (ko) 2016-03-22

Family

ID=52101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8392A KR101605592B1 (ko) 2013-12-31 2013-12-31 고압인버터 동기절체 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31611B2 (ko)
EP (1) EP2897281B1 (ko)
JP (1) JP6023160B2 (ko)
KR (1) KR101605592B1 (ko)
CN (1) CN104753405B (ko)
ES (1) ES2861955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66398B (zh) * 2017-01-03 2019-08-16 新疆知信科技有限公司 一次风机变频切工频时的稳定运行方法
JPWO2020013015A1 (ja) * 2018-07-09 2021-05-20 日立三菱水力株式会社 可変速発電電動装置
CN110797968B (zh) * 2019-11-06 2021-04-27 漳州科华技术有限责任公司 不间断电源防掉电方法、系统及终端设备
CN112436759A (zh) * 2020-11-23 2021-03-02 顿汉布什(中国)工业有限公司 一种离心式冷水机组双启动装置及其控制方法
CN115663989B (zh) * 2022-10-20 2023-04-28 上海山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市电逆变切换控制方法及电路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2170A (en) * 1975-11-28 1976-09-21 Borg-Warner Corporation Variable speed, constant frequency induction generator system
JPH0783635B2 (ja) 1985-01-10 1995-09-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インバ−タ装置
JPS6311090A (ja) 1986-07-02 1988-01-18 Mitsubishi Electric Corp 誘導電動機の節電運転制御装置
JP3201641B2 (ja) 1992-04-15 2001-08-27 松下電工株式会社 誘導電動機の制御装置
US7598628B2 (en) * 2002-12-20 2009-10-06 Siemens Building Technologies, Inc. Automated bypass method and apparatus
US9018882B2 (en) 2011-01-26 2015-04-28 Yaskawa America, Inc. Variable frequency drive bypass energy savings
US20130235494A1 (en) * 2011-09-06 2013-09-12 Kent Jeffrey Holce Integrated Bypass Apparatus, System, and/or Method for Variable-Frequency Drives
CN102751919A (zh) * 2012-07-07 2012-10-24 浙江利欧股份有限公司 双电压自动切换开关和处理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경수 외 3명, 전력전자학회 2013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현대 고압인버터-N5000 카탈로그.현대중공업,(2013.5. 공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753405B (zh) 2017-05-17
US9331611B2 (en) 2016-05-03
ES2861955T3 (es) 2021-10-06
EP2897281A2 (en) 2015-07-22
CN104753405A (zh) 2015-07-01
EP2897281B1 (en) 2021-01-20
KR20150078732A (ko) 2015-07-08
US20150188460A1 (en) 2015-07-02
EP2897281A3 (en) 2016-03-23
JP6023160B2 (ja) 2016-11-09
JP2015130790A (ja) 2015-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5592B1 (ko) 고압인버터 동기절체 제어방법
JP5481089B2 (ja) 遠隔点灯制御システム
EP2991447B1 (en) Induction heating cooker
JP5220585B2 (ja) 交通信号制御システム及び信号制御方法
KR101803880B1 (ko) 자동부하 전환개폐기
JP5656396B2 (ja) 交通信号システム
JP2011154842A (ja) 照明装置
JP6779005B2 (ja) ハイブリッド電源システム
JP2007244167A (ja) 電源制御装置及び電源制御方法
KR101681592B1 (ko)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용 계전 요소의 선택 표시 및 설정장치
KR200469313Y1 (ko) 다기능 스위치장치
JP7396167B2 (ja) 誘導灯装置
CN103970430A (zh) 操作面板上的菜单显示控制方法、控制系统和操作面板
JP5612021B2 (ja) 制御機及び信号灯器
KR20140081311A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JP5899404B2 (ja) 誘導加熱調理機器
KR101782169B1 (ko) 자동 부하 전환 스위치 및 그의 제어방법
JP2003173493A (ja) 保守用信号制御機
JP6161567B2 (ja) 加熱調理器
JP4333383B2 (ja) 機器アダプタおよび電気機器
JP2002250579A (ja) 温度調整システム及びその応急運転方法
JP2015095858A (ja) リモコン装置
JP2013197732A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6111408A (zh) 一种电子定时器插座及其定时设置方法
JP2005216709A (ja) 機器アダプ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