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3664B1 - 내부 패널링부 - Google Patents

내부 패널링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3664B1
KR101603664B1 KR1020107018770A KR20107018770A KR101603664B1 KR 101603664 B1 KR101603664 B1 KR 101603664B1 KR 1020107018770 A KR1020107018770 A KR 1020107018770A KR 20107018770 A KR20107018770 A KR 20107018770A KR 101603664 B1 KR101603664 B1 KR 101603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ile fabric
airbag
preferred direction
fabric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8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3842A (ko
Inventor
울프람 뷜러
Original Assignee
파우레시아 이넨라움 시스템 게엠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62214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60366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파우레시아 이넨라움 시스템 게엠바하 filed Critical 파우레시아 이넨라움 시스템 게엠바하
Publication of KR20100123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3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3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3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6)의 통로 영역(8)을 숨기기 이한 내부 패널링부(1)에 관한 것으로, 평면 캐리어(2) 및 통로 영역(8)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직물 평면 구조물(textile planar foramtion; 3)을 포함하며, 상기 직물 평면 구조물(textile planar foramtion; 3)는 상기 에어백(6)을 전개하기 위해 정의된 테어 라인(5)을 따라 상기 직물 평면 구조물(textile planar foramtion; 3)을 절취하는 적어도 하나의 초기 약화부(4)를 포함하며, 상기 테어 라인(5)은 상기 직물 평면 구조물(textile planar foramtion; 3)의 우선 방향(x-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서 형성되고, 상기 직물 평면 구조물(textile planar foramtion; 3)을 우선 방향으로 더 절취하는 힘은 상기 직물 평면 구조물(textile planar foramtion)의 모든 다른 방향보다 더 작다. 에어백 커버의 제어된 오프닝이 본 발명에 의해 성취되며 주변 부품, 특히 윈드 쉴드의 파손이 방지된다. 특히 에어백 발포(제어된 절취하는 힘)에 채용되는 오프닝 과정이 보장된다.

Description

내부 패널링부{Inner panelling part}
본 발명은 에어백, 즉, 차량 이용자용 유지 시스템(retaining system)의 가스 색(gas sack)을 덮기 위한 내부 패널링부(inner panelling part)에 관한 것이다.
사고 시나리오 또는 에어백 전개에 따르면, 종래 기술에 따른 구체예의 내부 패널링부(inner panelling part)는 경우에 따라 내부 패널링부(inner panelling part)가 아주 다른 에어백의 운동량(momentum)에 지배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단점을 가진다. 이것은 두 단계 또는 다단계 에어백 시스템의 경우 명백하다. 사소한 사고의 경우, 일 단계의 트리거링(triggering)이 제공되거나 또는 모든 단계가 제공되지 않고 다음 단계의 트리거링(triggering)까지의 시간 지연(time delay)이 시나리오에 의존한다. 다른 가능한 오프닝 충격 사이의 큰 차이가 유발될 수 있지만, 또한 불꽃 충전 장치(pyrotechnic charge device)의 성질의 상당한 온도 의존성 때문에 의해서도 큰 차이가 유발될 수 있다. 최소 운동량을 가지는 오프닝 충격의 경우에도 오프닝 에어백에 의한 충분히 신뢰할만한 파단 오프닝(breaking opening)을 보장하기 위해 모든 경우에 있어 통로 오프닝의 영역에 있어서의 내부 패널링부(inner panelling part)는 충분히 약하게 디자인되어야 한다. 종래기술의 구체예에서, 에어백이 전개될 때, 시나리오와 상관없이 내부 패널링부(inner panelling part)를 파단 개방하여 매우 제한된 에너지량만 흡수될 수 있다. 에어백이 큰 운동량으로 열리는 시나리오의 경우, 커버링을 절취 개방하고 접어서 실질적으로 소량의 에너지가 흡수되는 것이 오프닝 충격의 운동량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것은 차례로 초과 에너지가 내부 패널링부(inner panelling part) 및 인접 구성요소 (특히 결과적으로 파손될 수 있는 차량 윈드 스크린(windscreen))에 물질 파괴를 유발하고 그와 관련되고 차량 승객을 위험하게 하는 입자들이 날리는 것을 거의 피할 수 없고 통로 오프닝을 둘러싸는 영역의 내부 패널링부(inner panelling part)의 복합 증강에 의하여 상당히 복잡해질 수 있다. 그 결과 윈드 스크린(windscreen)에 영향을 미치기 전에 적시에 급속히 나오는 에어백 커버를 멈추어, 특히 리바운드 스트랩(rebound strap)이 제공되는 윈드 스크린(windscreen)의 파손을 줄이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폭발 과정 동안 극단 상태까지 "느슨한(slack)" 이런 스트랩에 의해 일반적으로 제어되지 않은 상태의 에어백 커버를 방해받지 않는 최대 가속도를 허용하는 것을 보였다.
근본적으로 종래기술에 따른, 에어백 플랩(flap)/에어백 덮개의 오프닝 거동은 플랩 또는 덮개의 약함의 유형 및 강도에 의해 지시 또는 영향을 받아야 한다고 말할 수 있다. 덮개를 열기 위한 필요한 수준의 힘은 사용된 약화된 물질의 물질 고유값에 의해 제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 패널링부(inner panelling part) 및 에어백이 트리거링(triggering)될 때, 제어되지 않은 파열(bursting) 및 파편(fragment)의 형성, 입자의 비행 및 날카로운 가장자리의 생성에 관련된 물질의 파괴를 안정하게 방지하는 성질로 생성하기에, 또한 내부 패널링부(inner panelling part)의 오프닝 에어백에 의해 가능한 한 멀리 가능한 다른 에너지가 입력되는 경제적인 간단한 구조를 결합하는 대응하는 에어백 배열을 개발하는 것이다. 특히, 윈드 스크린(windscreen)에 매우 가깝게 위치하는 에어백 배열과 더불어, 다중 단계 트리거링(triggering)으로도 윈드 스크린(windscreen)이 전혀 파손되지 않게 된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내부 패널링부(inner panelling part)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백의 통로 영역을 커버하기 위한 내부 패널링부(inner panelling part)가 제공되며, 다음을 포함한다:
● 평면 캐리어,
●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로 영역을 커버하는 직물(textile fabric)로서,
● 직물(textile fabric)은 에어백을 전개하기 위해 정의된 테어 라인(tear line)을 따라 절취 개방(tearing-open)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초기 약화부(initial weakening)를 가지며,
● 테어 라인(tear line)의 적어도 한 방향이 직물(textile fabric)의 우선 방향(preferred direction)을 따라 형성되고,
● 우선 방향(preferred direction)에서의 직물(textile fabric)을 더 절취하는 힘은 직물(textile fabric)의 다른 모든 방향보다 작다.
이 배열로, 특히 에어백을 전개하는 동안 윈드 스크린(windscreen)의 파괴를 피한다. 이것은 계기판에 통합된 에어백 배열 및 윈드 스크린(windscreen)에 가깝게 위치하는 에어백 배열에 있어 특히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 특히 미리 결정된 관련된 힘/힘의 수준으로 제어된 절취를 성취하며, 급속하게 나오는 에어백 플랩의 가속이 트리거링(triggering)/절취 개방(tearing-open) 단계의 전체 기간 동안 제어된다.
그러므로 이점은 에어백이 트리거링(triggering)될 때, 내부 패널링부(inner panelling part)의 절취(tearing) 매개변수의 정의된 조정, 특히 특히 미리 결정한 신장율(elongation)으로 미리 결정된 힘의 조정이다. 또한, 다단식 에어백 트리거링(triggering)의 경우에 강도에 관계없이, 각각 충격력이 정확하게 흡수된다.
그러므로, 전체적으로, 본 출원에서, 전체 사고 단계 동안 에어백의 제어된 개방이 보장되고, 특히 약해진 직물(textile fabric)의 우선 방향(preferred direction)에 의해 생성되는 정의된 테어 라인(tear line)이 보장된다.
내부 패널링부(inner panelling part)은 자동차에 배열될 수 있고 또는 계기판의 일부로서 배열될 수 있다. 그러나, 자동차의 어떤 위치에서 측면 에어백에 내부 패널링부를 고정할 수도 있다.
"평면 캐리어"는 특히 (예를 들면, 장식부를 지지하거나 또한 에어백 장치를 유지시키는) 지지 기능을 포함하는 치수 측면에서 안정한 요소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그런 캐리어는 긴 유리섬유 보충재 또는 다른 플라스틱 물질이 제공된 폴리프로필렌일 수 있고, 금속 또는 나무도 여기서 전체적으로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직물(textile fabric)"은 적어도 일부에서 통로 영역을 커버한다. 또한 완전히 덮을 수도 있고 또는 단지 적은 부분만 덮을 수 있다. 게다가, 캐리어의 "홀"을 덮을 수도 있고, 일체된 에어백 덮개를 가지는 "밀폐" 캐리어에 걸쳐 덮을 수 있다.
직물(textile fabric)은 에어백을 전개하기 위해 정의된 테어 라인(tear line)을 따라서 직물을 절취하기 위한 "초기 약화부(initial weakening)"를 가진다. 이에 의하여 "초기 약화부(initial weakening)"는 절개부(incision), 레이저 약화부(laser weakening), 기공 등등으로서 바람직하게 디자인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테어 라인(tear line)"은 직물(textile fabric)의 우선 방향(preferred direction)을 따라서 형성된다. 여기서 "우선 방향(preferred direction)"은 정의된 방법으로 절취될 것으로 예정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에 의하여 우선 방향(preferred direction)에서의 직물(textile fabric)을 더 절취하는 힘은 직물(textile fabric)의 모든 다른 방향보다 작다. 정의된 방향으로 또한 더 절취할 수 있고 계기판의 "폭파(blowing up)" 및 제어되지 않은 다른 파괴에 이를 수 있는, 측면으로의 "항복(yielding)"이 제공되지 않는다. 이에 의하여 직물(textile fabric)은 각각 내부 패널링부(inner panelling part) 또는 에어백 커버 또는 장식부에 부착되어 통로 영역의 정의된 오프닝을 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에 부착되기 때문에, 이들 다른 구성요소가 날아가는 것(flying off)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선안을 종속항에 나타낸다.
EN ISO 13937-2에 따른 다른 절취 테스트에서 레그에서 결정된 더 절취하는 힘은 40N 내지 1,000N, 바람직하게는 50N 내지 500N, 더 바람직하게는 60N 내지 200N인 한 개선안이 제공된다. 여기서 샘플의 크기는 150mm×50mm이며, 클램핑 길이는 100mm이고 , 초기 힘은 2N이며, 테스트 속도는 100mm/min이다. 평면 캐리어가 통로 영역에 오프닝을 가지는 배열의 경우, 더 절취하는 힘은 시작(outset)에서보다 작고(예를 들면, 40N 내지 150N), 반면에 "연속적인" 캐리어의 경우 힘이 더 크게 산출되어야 할 것으로 추측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통로 영역의 가장자리는 (레이저 기공 등과 같은) 추가 약화부(weakenings)에 의해 약화되며, 평면 캐리어의 기공 위치는 거기에 연결된 직물(textile fabric)의 테어 라인(tear line)과 대응하게 서로 조화된다.
직물(textile fabric)의 다른 방향(표면 평면의 수직인 상기의 모든 방향)에서의 절취력보다 우선 방향(preferred direction)에서의 더 절취하는 힘은 적어도 1.5 내지 10배, 바람직하게 3 내지 7배 더 작은 다른 개선안이 제공된다. 이런 방식으로, 항상 매우 강한 폭발에서도 우선 방향(preferred direction)의 방향으로 절취되는 것을 보장한다.
우선 방향(preferred direction)에서의 인장 강도(tensile strength)가 직물(textile fabric)의 표면 평면의 다른 방향보다 더 큰 더 유리한 구체예가 제공된다. 치수 70mm×15mm의 샘플을 예로서 EN ISO 13934-1에 따라 결정된다. 여기에 의해 우선 방향(preferred direction)에서 직물(textile fabric)의 최대 인장 강도(tensile strength)는 200 내지 4,000N일 수 있다. 제1 예시 물질에 있어서, x-방향의 최대 인장 강도(tensile strength)는 900~1,100MPa이고 y-방향에서의 최대 인장 강도는 600MPa이며, 제2 예시 물질에 있어서, X-방향의 최대 인장 강도는 1,500~1,700MPa이고 y-방향에서의 최대 인장 강도는 250~350MPa이며, 제3 물질에 있어서, x-방향의 최대 인장 강도는 2,000~2,200MPa이고 y방향의 최대 인장 강도는 500MPa이다. 여기에 있어서 우선 방향(preferred direction)에서의 직물(textile fabric)의 대응하는 파단 연신율(breaking elongation)은 50% 내지 80%이다. 항상 원하는 신축성/연신율로 정의된 힘을 이용하기 위해 조정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제어된 오프닝 과정을 초래하는 것을 보장한다. 제1 예시 물질에 있어서, 상술한 최대 인장 강도(tensile strength)에 있어 대응하는 파단 연신율(breaking elongation)이 x-방향에서는 50~60%이고 y-방향에서는 120~150%이다; 제2 물질에 있어서 파단 연신율이 x-방향에서는 70%이며 y-방향에서는 100~130%이며, 제3 예시 물질에 있어 파단 연신율이 x-방향에서는 60%이고, y-방향에서는 100~130%이다.
직물(textile fabric)이 피륙 직물(woven fabric), 니트(knitted fabric) 또는 플리스(fleece)인 특히 유리한 개선안이 제공된다.
피륙 직물(woven fabric)에 있어서 우선 방향(preferred direction)은 날실(warp threads) 또는 씨실(weft threads) 방향으로 형성된다.
직물(textile fabric)로서, 특히 플라스틱 물질, 폴리에스테르 피륙 직물(polyester woven fabrics) 또는 폴리에스테르 니트(polyester knitted fabrics)가 가능하다. 이들은 바람직하게 250~600g/㎡(단층 직물) 또는 350~800g/㎡(배리어 포일을 가지는 직물)의 평량(basis weight)을 가질 수 있다. 통로 영역이 직물(textile fabric)로 커버되면, 배리어 포일은 바람직하게 5~15mm만큼 가장자리 너머로 오버랩되도록 제공되어야 한다. 직물(textile fabric)은 단층(single-layer) 또는 다층일 수 있다. 특히, 여기에 직물(textile fabric)의 일부분인 "실링 포일(sealing foils)"이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직물(textile fabric)은 또한 다수의 "균일" 층을 포함할 수 있고, 우선 방향(preferred direction)이 전체적으로 제공되는 것이 단지 중요하다.
일 구체예는 에어백이 자동차의 계기판의 승객 에어백을 제공한다. 여기에 의해 통로 영역의 덮개의 힌지와 윈드 스크린(windscreen) 사이의 가장 작은 공간은 30 내지 150mm,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00mm일 수 있다.
직물(textile fabric)은 평면 캐리어에 특히 리벳을 박거나(riveting) 조여서(screwing) 분리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직물(textile fabric)이 평면 캐리어에 안전하게 용접되거나 나중에 접착제로 붙이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직물(textile fabric)의 테어 라인(tear line)은 적어도 일부에서 통로 영역의 가장자리와 평행해야 한다. 직물(textile fabric)이 통로 영역을 완전히 덮을 수도 있다.
특히 계기판의 승객 에어백으로 상술하는 구체예의 경우, 직물(textile fabric)의 초기 약화부(initial weakening)는 바람직하게 자동차의 윈드 스크린(windscreen)에서 멀리 떨어지는 방향을 향한 통로 영역의 측면에 위치한다. 상술한 것처럼, 초기 약화부(initial weakening)은 직물(textile fabric)의 절개부(incision) 또는 다른 약화부(weakening)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우선 방향(preferred direction)의 절개부(incision)의 길이는 적어도 2 내지 20mm, 바람직하게 5 내지 15mm일 수 있다.
평면 캐리어에의 직물(textile fabric)의 배열은 다르게 디자인될 수 있다. 직물(textile fabric)은 에어백 모듈을 향하여 또는 멀리 떨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평면 캐리어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직물(textile fabric)은 적어도 일부에서 평면 캐리어에 용접되거나 주입(inject)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평면 캐리어는 바람직하게 에어백 덮개를 열고 유지하기 위한 힌지를 가지며, 힌지는 직물 물질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힌지가 직물(textile fabric)의 일부분인 것이 유리하지만, 힌지는 독립부를 의미할 수도 있다.
직물(textile fabric)이 에어백 모듈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평면 캐리어의 측면에 배치되고, 평면 캐리어가 직물(textile fabric)에 의해 덮이는 통로 영역의 오프닝을 가지며, 직물(textile fabric)이 바람직하게 후방 발포된(rear-foamed) 가시측(visible-side) 장식층 및 평면 캐리어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른 유리한 개선안은 나머지 종속항에서 기술된다.
본 발명을 몇몇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 패널링부(inner panelling part)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 패널링부(inner panelling part)의 예를 단면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 패널링부(inner panelling part)의 다른 구체예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 패널링부(inner panelling part; 1)를 도시한다. 이 내부 패널링부(inner panelling part)는 통로 영역(8)을 포함하거나 커버한다. 직물(textile fabric; 3)이 접착제로 붙여 있고/용접되어 있고(welded) 또한 점에서 고정된 긴 유리섬유 보충재(PP30LGF)를 가지는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어진 평면 캐리어(2)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평면도가 도시된다(통로 영역은 검정 색으로 전체 표면 위에서 표시되었지만, 연속적인 직물(textile fabric; 3) 아래에 위치한다). 직물(textile fabric; 3)은 초기 약화부(initial weakening; 4)를 가진다. 초기 약화부(initial weakening)는 직물(textile fabric)의 절개부(incision)로서 형성되며, 이에 의해 절개부(incision)가 x-방향으로 더 절취된다. 전체적으로, 직물(textile fabric)에 연속하는 "U"-자형 절개부가 제공되며, "U"의 다리가 초기 약화부(initial weakening)를 나타낸다. 그리고 이 초기 약화부(initial weakening; 4)가 테어 라인(tear line; 5)에 연결된다. 이 테어 라인(tear line)은 곳곳에서 약해지는 선일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이것은 초기 약화부(initial weakening)의 약화되지 않은 연속부(unweakened continuation)이다. 여기서 "x"-방향은 직물(textile fabric)의 "우선 방향(preferred direction)"을 의미한다. 테어 라인(tear line; 5)이 이 우선 방향(preferred direction)을 따라 형성되고, 우선 방향(preferred direction), "x-방향"으로 직물(textile fabric)을 더 절취하는 힘은 다른 모든 방향에서 직물(textile fabric)을 절취하는 힘보다 작다. 그 결과, 신뢰할 수 있게 X 방향으로 "더 절취하는" 것이 보장된다. 에어백을 통과하는 동안 "더 절취될" 수 있고, 에어백을 전개하는 대응 에너지가 대응하게 흡수되기에 충분하게만 절취된다.
이 제어된 신장(elongation)과 함께 제어된 절취하는 힘 때문에, 직물(textile fabric)의 통로 영역을 커버하는 부분의 제어되지 않는 "급속한 출현"을 피하고 그 결과 또한 윈드 스크린(windscreen; 9)의 손상이 방지된다.
EN ISO 13937-2에 따라, 레그를 더 절취하는 테스트에서 결정된, 약화되지 않은 직물(textile fabric)을 x-방향으로 더 절취하는 힘은 본 경우 60N이다. 우선 방향(preferred direction)으로 더 절취하는 힘은 직물(textile fabric)의 모든 다른 방향, 특히 y-방향 또는 x-방향(우선 방향(preferred direction))에 수직인 방향보다 1.5배 이상 더 작다. 70mm×15mm의 샘플에서 결정된, 이 예시 물질에 있어서 직물(textile fabric)의 가장 큰 인장 강도(tensile strength)는 x-방향에서 1,600N(대응하는 파단 연신율(breaking elongation) 70%)이며 y-방향에서 300N(대응하는 파단 연신율(breaking elongation) 115%)이다.
표면 평면(x-y 평면)의 x-방향 이외의 모든 방향에서, 직물(textile fabric)은 작은 인장 강도(tensile strength)를 가진다.
본 직물(textile fabric)은 피륙 직물(woven fabric)이다. 여기서 우선 방향(preferred direction)(x 방향)은 피륙 직물(woven fabric)의 날실(warp threads) 방향으로 또는 피륙 직물(woven fabric)의 씨실(weft threads) 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경우의 직물(textile fabric; 3)은 다층으로, 실링 포일(seling foil)이 직물 층(textile woven layer)에 적용되어, 직물(textile fabric)에 속하고 평면 캐리어(2)에 대하여 후자를 불침투성으로 발포하도록 밀봉한다.
본 내부 패널링부(inner panelling part)는 자동차용 승객 에어백의 영역의 계기판의 일부이다. 예를 들면, 통로 영역의 힌지와 윈드 스크린(windscreen) 사이의 최소 공간(a, 도 1 및 2 참조)은 70mm이다.
도 2는 예를 들면 도 1의 A-A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내부 패널링부(inner panelling part)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계기판의 일부는 평면 캐리어(2), 주조된 외피에 의해 형성된 표면 장식부(surface decorative part; 15) 및 근본적으로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져 있는 중간층(16)을 가진다. 도면에, 또한 계기판이 설치되는 자동차의 윈드 스크린(windscreen; 9)을 찾을 수 있다. 평면 캐리어(2)에서, (도 1에서 검고 평면으로 나타내는) 통로 영역(8)은 승객 에어백을 위해 오목부를 형성한다. 에어백 모듈(17)이 통로 영역(8)의 뒤에 배치되고 또한 삽입된 금속판을 평면 캐리어(2)에 위치시킬 목적으로 통로 영역의 가장자리(R)에 캐리어를 나사/리벳 고정한다. 또한 평면 캐리어(2)는 통로 영역(8)을 포위하는 플라스틱 물질 프레임(18)에 의해 강화되고, 그 프레임은 평면 캐리어(2)에 아래쪽으로부터 멜트(melt)된다. 폴리아미드 직물로 형성된 직물(textile fabric; 3)은 중간층(16)으로 삽입되며, 폴리아미드 직물이 중간층(16)의 구성요소가 되고 폴리우레탄 폼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이거나 관통된다. 직물(textile fabric; 3)이 통로 영역(8)을 커버하는 사실의 결과로, (평면 캐리어(2)가 오목부를 형성한) 이 영역의 계기판은 또한 충분한 치수 안정성을 달성한다. 마찬가지로 도면에 에어백 발포의 강도에 따라 기인하는 3개의 트리거링(triggering) 상태(E1, E2, E3)가 도시된다. 가장 강한 발포(E3)의 경우, 윈드 스크린(windscreen)이 여기서 파손될 수도 있지만 여기서는 윈드 스크린(windscreen)에 접촉하지 않는다.
도 3a 및 3b는 다른 구체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이 도 2에 따른 구체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예정한다. 도 3a은 차례로 윈드 스크린(windscreen; 9)을 가지는 통로 영역의 계기판의 단면을 도시한다. 평면 캐리어(2)가 장식 포일로 박판으로 만들어지지 않는 경제적인 자동차가 관심대상이다. 직물(textile fabric; 3)이 평면 캐리어(2)의 밑바닥에 용접된다. 직물(textile fabric)뿐만 아니라 평면 캐리어(2)로 연결되는 약화부(19)가 생성된다. 에어백 모듈(17)은 자동차 가로방향 캐리어(크로스 카 빔)(20)에서 지지된다.
도 3b는 도 3a의 B-B선의 도면을 도시한다. 초기 약화부(initial weakening; 4)에 대하여 인접하는, 테어 라인(tear line; 5)을 여기서 찾을 수 있다. 이 테어 라인(tear line; 5)의 근처에서, 직물(textile fabric)은 약화되지 않는다(unweaken). 또한 여기서 힌지(S)의 위치도 볼 수 있다. 여기에 의해 힌지는 본 발명에 따른 더 절취하는 성질을 가지는 직물(textile fabric)에 의하여 형성된다.

Claims (25)

  1. 평면 캐리어(2),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로 영역(8)을 커버하는 직물(textile fabric; 3)을 포함하며,
    상기 직물(textile fabric)은 에어백(6)을 전개하기 위해 정의된 테어 라인(tear line; 5)을 따라 절취 개방(tearing-open)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초기 약화부(initial weakening; 4)를 포함하며,
    상기 테어 라인(tear line; 5)의 적어도 한 방향은 상기 직물(textile fabric; 3)의 우선 방향(preferred direction)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우선 방향(preferred direction)에서의 상기 직물(textile fabric; 3)을 더 절취하는 힘은 상기 직물(textile fabric; 5)의 다른 모든 방향보다 작은, 에어백(6)의 통로 영역(8)을 커버하기 위한 내부 패널링부(inner panelling part; 1)에 있어서,
    상기 우선 방향(preferred direction)(x-방향)에서 상기 직물(textile fabric; 3)의 최대 인장 강도(tensile strength)는 200 내지 4,000N이며,
    상기 우선 방향(preferred direction)(x-방향)에서의 상기 직물(textile fabric; 3)의 대응하는 파단 연신율(breaking elongation)은 40%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패널링부.
  2. 제1항에 있어서,
    EN ISO 13937-2에 따른 다른 절취 테스트에서 레그에서 결정된 상기 더 절취하는 힘은 40N 내지 1,000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패널링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방향(preferred direction)에서의 상기 더 절취하는 힘은 상기 직물(textile fabric; 3)의 다른 방향보다 적어도 1.5 내지 10배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패널링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방향(preferred direction)(x-방향)에서의 인장 강도(tensile strength)는 상기 직물(textile fabric; 3)의 표면 평면(x-y 평면)의 다른 방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패널링부.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textile fabric; 3)은 피륙 직물(woven fabri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패널링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방향(preferred direction)은 피륙 직물(woven fabric)의 날실(warp threads) 또는 씨실(weft threads) 방향으로 형성되는 내부 패널링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textile fabric; 3)은 플리스(fleece) 또는 니트(knitted fabri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패널링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textile fabric; 3)은 단층 또는 다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패널링부.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약화부(initial weakening)는 상기 직물(textile fabric)의 절개부(incisi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패널링부.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방향(preferred direction)(x-방향)의 상기 절개부(incision)의 길이는 적어도 2 내지 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패널링부.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textile fabric; 3)은 에어백 모듈(17)을 향하여 상기 평면 캐리어(2)의 측면(12)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패널링부.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textile fabric; 3)은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평면 캐리어(2)에 용접되거나 주입(inject)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패널링부.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캐리어(2)는 에어백 덮개(13)를 열고 유지하기 위한 힌지(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패널링부.
  23. 삭제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S)는 상기 직물(textile fabric; 3)의 일부이거나 상기 직물(textile fabric; 3)의 독립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패널링부.
  25. 제1항 내지 제4항, 제7항 내지 제10항 및 제18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textile fabric; 3)이 에어백 모듈(17)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상기 평면 캐리어(2)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통로 영역(8)의 상기 평면 캐리어(2)는 상기 직물(textile fabric; 3)에 의해 덮이는 오프닝을 포함하며, 상기 직물(textile fabric; 3)은 후방 발포된(rear-foamed) 가시측(visible-side) 장식층(14) 및 상기 평면 캐리어(2)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패널링부.
KR1020107018770A 2008-02-25 2009-02-24 내부 패널링부 KR1016036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11519.3 2008-02-25
DE102008011519A DE102008011519A1 (de) 2008-02-25 2008-02-25 Innenverkleidungstei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842A KR20100123842A (ko) 2010-11-25
KR101603664B1 true KR101603664B1 (ko) 2016-03-15

Family

ID=40622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8770A KR101603664B1 (ko) 2008-02-25 2009-02-24 내부 패널링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414016B2 (ko)
EP (2) EP2254774B1 (ko)
KR (1) KR101603664B1 (ko)
CN (1) CN101959722B (ko)
AT (1) ATE556896T1 (ko)
DE (1) DE102008011519A1 (ko)
WO (1) WO20091063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41710A1 (de) * 2009-09-16 2011-03-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Insassenschutz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0001508A1 (de) 2010-02-01 2011-08-04 Takata-Petri Ag, 63743 Airbagabdeck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0047750A1 (de) 2010-10-08 2012-04-12 F.A. Kümpers GmbH & Co. KG Scharnier mit einer Textilie
EP2825456B1 (en) * 2012-06-07 2020-04-29 Zodiac Seats France Aircraft airbag system
JP6020277B2 (ja) * 2012-10-22 2016-11-02 豊田合成株式会社 車両用内装パネル及び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US9228383B2 (en) 2013-04-10 2016-01-05 F. A. Kuempers GmbH & Co. KG Hinge comprising a textile
DE102013216191B4 (de) * 2013-08-14 2021-10-21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Trägerelements und Trägerelement für ein Transportmittel
DE102013216452B4 (de) * 2013-08-20 2016-12-01 Sgl Carbon Se Verbesserte Elektroden/Nippel-Verbindung
DE102013014405B4 (de) * 2013-08-29 2023-08-03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Verkleidungsteil zur Anbringung an einem Fahrzeug-Karosserieteil mit einem Airbag-Modul, Airbagsystem mit einem Karosserieteil und einem solchen Verkleidungstei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Verkleidungsteils
US20180065584A1 (en) * 2016-09-07 2018-03-08 Thunder Power New Energy Vehicle Development Company Limited Airbag module for wood dashboard surface
DE102018102632A1 (de) * 2018-02-06 2019-08-08 Konrad Hornschuch Ag Bezugsmaterial zur Abdeckung einer Airbageinheit
US11167716B2 (en) * 2019-02-05 2021-11-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verse-weakened passenger air bag door
DE102021207774A1 (de) 2021-07-21 2023-01-2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Innenverkleidungsteil zur Abdeckung einer Airbag-Einricht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9262A (en) 1995-12-12 1998-07-14 Toyoda Gosei Co., Ltd. Car interior finish member with air bag cover
US20050062271A1 (en) 2001-10-12 2005-03-24 Dieter Heckl Covering element for airba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3032Y2 (ko) * 1980-02-07 1986-09-26
JPH03186450A (ja) * 1989-12-14 1991-08-14 Takata Kk エアバッグ装置のカバー
JP3168646B2 (ja) * 1991-12-13 2001-05-21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ツグ装置
JPH04143142A (ja) * 1990-10-02 1992-05-18 Nissan Motor Co Ltd エアバッグ装置用カバー
US5590901A (en) * 1994-09-14 1997-01-07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vehicle trim panel having hidden air bag door
DE19718931C1 (de) * 1997-04-28 1998-08-06 Petri Ag Airbagabdeckkappe aus Träger- und Deckschicht unterschiedlicher Elastizität
DE19811685C1 (de) * 1998-03-18 1999-06-02 Achter Viktor Gmbh & Co Kg Textiles Flächengebilde mit Sollbruchlinie
DE19935625C2 (de) * 1999-07-29 2003-12-04 Ruetgers Kunststofftechnik Gmb Gassackabdeckung
DE10055546C2 (de) * 2000-03-10 2002-11-28 Aradex Ag Airbag-Verkleidung mit Schwächungsstrukturen sowie Verfahren zur Erzeugung der Schwächungsstrukturen
DE20206379U1 (de) * 2002-04-23 2002-06-27 Delius Gmbh Verstärkungsgewebe für Airbag-Abdeckungen in Kraftfahrzeugen
ES2301835T3 (es) * 2002-08-05 2008-07-01 Elbit Systems Ltd. Metodo y sistema de formacion de imagenes de vision nocturna montado en vehiculo.
US7100941B2 (en) * 2003-02-24 2006-09-05 Collins & Aikman Pre-weakening of fabric covered airbag doors
DE10345026B4 (de) * 2003-09-24 2007-07-19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Innenverkleidungsteil zur Abdeckung eines Airbags
DE112006000443B8 (de) * 2005-03-07 2010-02-11 Honda Motor Co., Ltd. Innenmaterial und Laserstrahlbearbeitungsverfahren dafür
DE102005016262B4 (de) * 2005-04-08 2007-11-15 Schreiner Group Gmbh & Co. Kg Verbundflachmaterial, insbesondere als Verschlusslappen für eine Airbagaufnahme
DE102005034354B4 (de) * 2005-07-22 2014-08-28 Lisa Dräxlmaier GmbH Airbagabdeckung
DE202007016848U1 (de) * 2007-03-01 2008-07-10 K.L. Kaschier- Und Laminier Gmbh Scharnierung für einen Airbagdecke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9262A (en) 1995-12-12 1998-07-14 Toyoda Gosei Co., Ltd. Car interior finish member with air bag cover
US20050062271A1 (en) 2001-10-12 2005-03-24 Dieter Heckl Covering element for airba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54774A1 (de) 2010-12-01
EP2384940B1 (de) 2013-11-27
CN101959722A (zh) 2011-01-26
ATE556896T1 (de) 2012-05-15
US20110062686A1 (en) 2011-03-17
EP2384940A3 (de) 2012-01-18
EP2254774B1 (de) 2012-05-09
WO2009106363A1 (de) 2009-09-03
US8414016B2 (en) 2013-04-09
DE102008011519A1 (de) 2009-09-03
KR20100123842A (ko) 2010-11-25
CN101959722B (zh) 2013-03-13
EP2384940A2 (de) 201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3664B1 (ko) 내부 패널링부
US8613465B2 (en) Side airbag device
US7878528B2 (en) Knitted fabric comprising inlaid yarns for airbag flap
US10773676B2 (en) Spacer fabric having hinge function
JP5321581B2 (ja) 車両用ニーエアバッグ装置
US20150021889A1 (en) Airbag with slit vent
KR101086746B1 (ko) 에어백 덮개용 내부 트림부
US20040164525A1 (en) Controlled tether arrangement for an airbag
US20090273164A1 (en) Interior Panelling Part for Covering an Airbag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US10933835B2 (en) Passenger air bag door
KR20090017971A (ko) 자동차 인테리어 부품
KR20130103159A (ko) 커튼 에어백 모듈
US8172257B2 (en) Safety device for a motor vehicle
US9428141B2 (en) Driver airbag apparatus
US8651524B2 (en) Airbag trajectory control envelope
JP4460503B2 (ja) 衝突物保護装置
GB2386877A (en) An air-bag safety device
KR101606477B1 (ko) 차량용 에어백 도어
KR20200134485A (ko) 시트용 측면 에어백 장치
US7205044B2 (en) Plastic par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plastic part and use of the plastic part
CN111936354A (zh) 用于机动车的安全气囊的出射通道
KR102454734B1 (ko) 무릎 에어백 장치
KR980008860A (ko) 차량 탑승자 구속 시스템용 가스 백
KR102376146B1 (ko) 에어백 쿠션용 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100499949B1 (ko) 은폐식 에어백 도어의 전개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